KR20190047152A - 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152A
KR20190047152A KR1020170139027A KR20170139027A KR20190047152A KR 20190047152 A KR20190047152 A KR 20190047152A KR 1020170139027 A KR1020170139027 A KR 1020170139027A KR 20170139027 A KR20170139027 A KR 20170139027A KR 20190047152 A KR20190047152 A KR 20190047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moving
turntab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1574B1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이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주 filed Critical 이승주
Priority to KR102017013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574B1/en
Priority to PCT/KR2017/013538 priority patent/WO2019083081A1/en
Publication of KR2019004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1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B60S13/02Turntables; Travers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direction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cheap and safe by enabling a vehicle to shift a direction by vertical rotation us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direction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turntable receiving the vehicle load and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turntable and ascending or descending by rotating the turntable; a fixing unit enclosing a side of the moving unit and guiding the ascent or descent of the moving unit, wherein the fixing unit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lifting unit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uni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lifting the moving unit; and a rotation unit including a protrusion uni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moving unit and a rotation line, wherein the rotation line is formed to be twisted in a diago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fixing unit and is penetrated to guide the protrusion unit. The moving unit causes the protrusion unit and the rotation lin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load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turntable to descend while rotating, and the protrusion unit and the rotation lin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force received from the rising portion to ascend while rotating.

Description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자중에 의한 회전으로 셀프 방향 전환이 가능한 주차용 또는 다목적용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direction vehicle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directional vehicle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parking or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turning in a self-direction by rotation due to its own weight.

좁은 면적에 많은 차량을 주차하여야 하는 필요 때문에 입체적으로 주차시키는 주차 장치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Because of the need to park a large number of vehicles on a small area, a parking device for three-dimensionally parking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or a long time.

이러한 입체주차장치는, 승강기와 차량적재용 파렛트를 이용하여 상, 하, 좌, 우의 각 주차공간으로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각 층에 차량을 가로 배열을 통해 여러 차량을 주차시키는 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수평 순환식 주차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Such a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allows the vehicle to be parked in upper, lower, left, and right parking spaces by using an elevator and a pallet for loading vehicles. In this method, Technologies are becoming mainstream. In other words, horizontal circulation parking lot was mainstream.

그리고, 차량 1 대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에 이층으로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한 주차 장치를 설치하여 2 대까지 주차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A device for parking two cars by installing a parking device capable of parking two levels in a space where one vehicle can park is developed and used. In other words

그러나, 주차장을 사용할 면적이 아주 적거나, 넓은 지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공사가 어렵고 공사할 비용도 부족한 경우, 예로서 차량 1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면적을 이용하여 5대 내지 10대 정도까지 주차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parking lot is used in a very small area, the construction for securing a large underground space is difficult,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sufficient, for example, The need for a device that can make the

즉, 수평 순환식 주차장치는 토지의 점유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토지의 점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대신에 지상의 상부 공간을 많이 이용할 수 있는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가 대두되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horizontal circulation parking lot occupies a lot of occupied space of the land, instead of occupying a small occupied space of the land, a vertically circulating parking lot which can use the upper space on the ground has emerged.

이러한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들은, 파레트의 리프팅 및 방향 전환을 통해 수직으로의 주차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se vertical circulation parking devices allow vertical parking through lifting and turning of the pallet.

이러한 입체적 주차 장치들도 수평 순환식이든 수직 순환식이든, 주차 장치로 차량이 진입하기 위해서는 주차 장치 진입로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Whether these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s are horizontal circulation type or vertical circulation type, a wide space is required for the parking device access road in order for the vehicle to enter the parking device.

즉, 주차 장치는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 차량의 출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차장치의 직하부에 차량 방향전환장치를 구성하여 차량이 항상 전진 입고한 후 주차장치 내에서 방향 전환하여 주차장치에서 외부로 전진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That is, the parking apparatus is configured such that a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is disposed immediately under the parking apparatus so that the vehicle can be readily discharged from a place with a narrow space, So that the goods are forwarded and delivered to the outside.

물론, 주차 장치뿐만이 아니라 막다른 길에 위치한 상점 또는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 승차 구매점 등과 같은 곳에서는 차량의 임시 주차 후 방향의 전환을 위해서 차량 방향전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Of course, not only parking devices but also stores or drive throughs located on dead end roads, riding points, etc., are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fter temporary parking.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 방향전환장치들은, 차량의 방향 회전을 위해 유압 또는 전자, 전기 등 복잡한 역학 구조를 가지는 설계와 다수의 무거운 장치들이 필요하다.Thus, in the conventional 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s, a design having a complicated dynamics structure such as hydraulic or electronic or electric, and a plurality of heavy devices are required for directional rotation of the vehicle.

이러한 종래의 차량 방향전환장치들은, 복잡한 설계와 다수의 장치들로 인해 제작 비용이 많이 들고, 무거운 기계 장치들의 오작동으로 인한 인명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Such conventional 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s are expensive to manufacture due to complicated designs and a large number of devices, and many human accidents due to malfunction of heavy mechanical devices are occurring.

이에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 방향전환장치를 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any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invent a 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중에 의한 수직 회전을 통해 차량의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저렴하고 안전한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lf-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원통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며 차량의 하중을 받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이동부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는 상승부; 및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구와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비틀려 구성되되 상기 돌출구를 가이드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라인을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받는 상기 차량의 하중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하강하고, 상기 상승부로부터 받는 힘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med into a cylinder; A turntab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a load of the vehicle; A mov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turntable and moving up or down by rotating the turntable; A fixing unit configured to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moving unit and guiding the moving unit up or down, and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rising part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raising the moving part; And a rotation unit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ving unit and a rotation lin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unit in a diagonal direction so as to guide the protrusion and the moving unit includes a rotating unit,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rotation line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load of the vehicle so that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rotation line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force received from the rising portion, do.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강 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하중에 따라 상기 상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하중이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상승부가 상기 이동부에 힘을 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동부의 하강 속도가 기설정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 load of the vehic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load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when the moving unit is lowered, So that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oving section can be controlled so as to maintain the predetermined speed.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와 상기 상승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상승 시 또는 하강 시의 충격을 경감시키는 댐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가 기설정 가속도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이동부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를 경감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The damp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amping unit that is formed between the moving unit and the lifting unit to reduce an impact when the lifting unit moves up or down,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force transmitted by the moving unit so as to reduce the rising acceleration or the falling acceleration of the moving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의해 상기 돌출구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로 완전 진입 시, 상기 스위치부에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인입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온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출구를 구속 해제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 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인출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오프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출구를 구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a switch unit is formed at each of four wheels of the vehicle. And a restraining unit for restraining or restraining the protrusion by on or off of the switch unit, wherein when the vehicle is fully entered into the turntable, Four wheels are respectively drawn in and the switch unit is turned on to release the release of the protrusion, and when the vehicle advances to the outside from the turntable, four wheels of the vehicle are drawn out from the switch unit, By controlling the off stat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otrusion to be restricted.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턴테이블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 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제어되는 보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housing to compensate a ste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turntable so that the vehicle advances to the outside from the turntable, wherein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includes: And a compensating member which is controlled to be inclined at an oblique angl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구체적으로, 상기 상승부는, 유압 장치 또는 기압 장치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ising portion may be a hydraulic device or a pneumatic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돌출구와 접촉 또는 상기 돌출구로부터 이탈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수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부재와 꼬인위치에 형성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 또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온 상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제1 부재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돌출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오프 상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돌출구로와 접촉되어 상기 돌출구를 구속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or detached from the protrusion; A second membe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nd a third membe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and formed in a twist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wherein the third member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or detached from the switch portion, The first member is released from the protrusion by contacting the switch unit and receiving a force from the switch unit to transmit the force to the first member, and when the switch unit is in the off state , The first membe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jecting opening to restrict the projecting opening by removing the force that is released from the switch portion and is transmitted from the switch portion to the first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자중에 의한 수직 회전을 통해 차량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차 장치에서의 차량 방향전환장치 또는 막다른 길에서의 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한 차량 방향전환장치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설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vertical rotation by its own weight so a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parking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can be designed simply and inexpensiv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고 그리고 별도의 제어 없이도 자동으로 차량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without a driver getting off and without any additional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회전 속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를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adjust the rotation speed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vehicle,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rotate saf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는, 좁은 공간에서도 차량의 방향 전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changed even in a narrow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구속부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구속부의 평면 투영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of a restraining portion of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restraining portion of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구속부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의 구속부의 평면 투영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view of a restraining portion of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ar projection view of the restraining portion of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하우징(10), 단차 보상부(13), 턴테이블(20), 이동부(30), 고정부(40), 상승부(50), 회전부(60), 제어부(70), 댐핑부(80) 및 구속부(90)를 포함한다. 1 to 5, a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part 13, a turntable 20, a moving part 30, And includes a fixing part 40, a lifting part 50, a rotation part 60, a control part 70, a damping part 80 and a restricting part 90.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하우징(10)은, 상측이 개방되되 측면(11), 하면(12)으로 구성된 원통으로 형성된다. The housing 10 is formed as a cylinder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a side face 11 and a lower face 12.

또한, 하우징(10)은, 상측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는 단차 보상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13 formed on any one of upper edges.

단차 보상부(13)는, 하우징(10)의 상측의 가장자리(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형성되되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하도록 하우징(10)과 턴테이블(20) 사이의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13 is provided on the upper edge (not shown)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turntable 20 is adjusted so that the vehicle C can advance out of the turntable 20. [ The step difference can be compensated.

단차 보상부(13)는,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 시, 하우징(10)의 내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제어되는 보상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13 may include a compensating member 131 that is controll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when the vehicle C advances outwardly from the turntable 20. [

보상 부재(131)는, 하우징(1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가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 시, 하우징(10)의 내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다. 이를 통해서 차량(C)은 외부로 진출 시, 하우징(10)의 상측 가장자리와 턴테이블(20) 간이 높이 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에 의한 진출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The compensating member 131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compensating member 131 is inclined obliquely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when the car C advances outwardly from the turntable 20. Thus, when the vehicle C advances to the outside,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housing 10 and the turntable 20 due to a step formed by a height difference can be prevented.

턴테이블(20)은, 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차량(C)의 하중(W)을 받는다. The turntable 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and receives the load W of the vehicle C. [

구체적으로 턴테이블(20)은,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30)의 상면(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이동부(30)와 함께 하우징(10)의 내부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동부(30)와 함께 하우징(10)의 내부를 상승 또는 하강함과 동시에 차량(C)을 회전시켜 차량(C)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turntable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a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not shown) of the moving part 30 to move up or down inside the housing 10 together with the moving part 3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 by rotating the vehicle C while raising or lower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together with the part 30. [

즉, 도 2를 살펴보면, (a)에서 차량(C)의 방향이 (b)에서의 차량(C)의 방향과 같이 전환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2,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 in (a) can be switched to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 in (b).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180도 회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례로 90도만 회전시킬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회전 정도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At this time, although it is possible to rotate 180 degrees 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otate only 90 degrees.

이동부(30)는, 상면, 측면(31) 및 하면(32)으로 구성되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턴테이블(20)의 하측에 연결되며, 턴테이블(20)을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한다. The moving part 30 is formed as a cylinder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31 and a lower surface 32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turntable 20 and rotates to raise or lower the turntable 20.

이동부(30)는, 턴테이블(20)로부터 받는 차량(C)의 하중(W)을 통해 돌출구(61)와 회전라인(62)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하강하고, 상승부(50)로부터 받는 힘을 통해 돌출구(61)와 회전라인(62)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상승한다. 즉, 이동부(30)는, 돌출구(61)와 회전라인(62)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 또는 하강으로 인해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상측에 연결 고정된 턴테이블(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ving unit 30 causes the projection 61 and the rotation line 62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load W of the vehicle C received from the turntable 20 to descend with the rotation, So that the projection 61 and the rotation line 62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rise together with the rotation. That is, the moving unit 30 can rotate due to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protrusion 61 and the rotating line 62, so that the turntable 20 connected and fixed on the upper side can be rotated .

또한 이동부(30)는, 측면(31)의 일부분에 돌출구(61)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32)의 하측에는 댐핑부(80)가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61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side surface 31 of the moving part 30. A damping part 80 may be disposed under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moving part 30. [

고정부(40)는, 이동부(30)의 측면(31)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이동부(30)의 상승 도는 하강을 가이드하며, 하우징(10)의 하면(12) 상에 고정된다. The fixing portion 4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31 of the moving portion 30 and is fixed on the lower surface 12 of the housing 10 while guid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moving portion 30.

구체적으로 고정부(40)는, 상측(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개방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41)에 회전 라인(62)이 형성될 수 있고, 하면(부호 도시하지 않음) 상에 상승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ing portion 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pened on the upper side (not shown), and the rotation line 62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41, and on the lower surface (not shown) The lifting portion 50 can be disposed.

상승부(50)는, 이동부(30)의 하면(32)과 하우징(10)의 하면(12) 사이에 형성되며, 이동부(30)를 상승시킨다. The lifting portion 5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32 of the moving portion 30 and the lower surface 12 of the housing 10 to raise the moving portion 30.

상승부(50)는, 차량(C)이 턴테이블(20)로부터 외부로 진출 시, 이동부(30)에 힘이 전달되도록 하여 이동부(30)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이동부(30)가 차량(C)이 턴테이블(20)로 진입하기 전의 위치로 재위치 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vehicle C advances from the turntable 20 to the outside, a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oving part 30 so that the moving part 30 can be raised. So that the moving part 30 can be repositioned to a position before the vehicle C enters the turntable 20. [

여기서 상승부(50)는, 일례로 유압 장치 또는 기압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탄성 재질의 스프링일 수 있다. The raised portion 50 may be, for example, a hydraulic device or a pneumatic device, and may be a spring made of an elastic material.

회전부(60)는, 이동부(30)의 측면(31)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구(61)와 고정부(40)의 측면(41)에 사선 방향으로 비틀려 구성되되 돌출구(61)를 가이드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 라인(62)을 포함한다. The rotating portion 60 is formed by projecting the projecting portion 61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31 of the moving portion 30 and the side surface 41 of the securing portion 40 so as to guide the projecting portion 61 And a rotation line (62) formed therethrough.

돌출구(61)는, 회전 라인(62)과 상호작용하여 돌출구(61)가 형성된 이동부(30)가 상승과 함께 회전 또는 하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trusion 61 interacts with the rotation line 62 so that the movable portion 30 formed with the protrusion 61 can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r the downward movement.

회전 라인(62)은 고정부(40)의 측면(41)에 형성되어 돌출구(61)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상부에서 하부로의 사선 방향으로 측면(41)에 돌출구(61)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rotation line 62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41 of the fixing portion 40 so as to interact with the projecting portion 61 and the projecting portion 61 penetrates through the side surface 41 in the diagon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 ≪ / RTI >

이때, 회전 라인(62)은 하우징(10)의 측면(11) 상에도 형성되어 돌출구(61)가 하우징(10)의 측면(11)까지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tation line 62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11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protrusion 61 penetrates the side surface 11 of the housing 10.

제어부(70)는, 이동부(30)의 하강 시 측정부(71)에 의해 측정된 차량(C)의 하중(W)에 따라 상승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section 70 can control the rising section 50 in accordance with the load W of the vehicle C measured by the measuring section 71 when the moving section 30 is lowered.

측정부(71)는, 턴테이블(20)의 하측과 이동부(30)의 상측 사이에 형성되어 차량(C)의 하중(W)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71)는 턴테이블(20)에 내장될 수도 있다. The measuring section 71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turntable 20 and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section 30 and can measure the load W of the vehicle C. [ At this time, the measuring unit 71 may be embedded in the turntable 20.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측정부(71)로부터 측정되어 전달받은 차량(C)의 하중값이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승부(50)가 이동부(30)에 힘을 가하도록 제어하여 이동부(30)의 하강 속도가 기설정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lift unit 50 to apply a force to the moving unit 30 when the load value of the vehicle C measured and delivered from the measuring unit 7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descending speed of the unit 30 is maintained at the predetermined speed.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차량(C)의 종류에 관계없이 회전 속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를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차량(C)이 소형차이든 대형차 또는 덤프 트럭이든 동일한 회전 속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vehicle C, and thus has an effect that the driver can be safely rotated. That is, the vehicle C can have the same rotational spee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compact car or a dump truck, and can safely rotate various kinds of vehicles.

댐핑부(80)는, 이동부(30)와 상승부(50) 사이에 형성되며, 이동부(30)의 상승 시 또는 하강 시의 충격을 경감시킨다.The damping portion 80 is formed between the moving portion 30 and the lifting portion 50 and reduces the impact when the moving portion 30 is lifted or lowered.

댐핑부(80)는, 이동부(30)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가 기설정 가속도보다 커지는 경우, 이동부(30)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를 경감하도록 이동부(30)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The damping unit 80 is provided with a force transmitted by the moving unit 30 so as to reduce the rising acceleration or the falling acceleration of the moving unit 30 when the rising acceleration or the falling acceleration of the moving unit 30 is greater than the preset acceleration .

이를 통해서 차량(C)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충격을 경감시켜 운전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is can alleviate the unpleasantness of the driver by reducing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 rises or falls.

구속부(90)는, 스위치부(91)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의해 돌출구(61)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다.The restricting portion 90 can restrain or release the protrusion 61 by turning the switch 91 on or off.

스위치부(91)는, 차량(C)의 네 바퀴(T)가 각각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어 구속부(90)에 차량(C)이 턴테이블(20)로 완전 진입 여부를 전달하여 구속부(90)가 돌출구(61)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91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our wheels T of the vehicle C are located so as to transmit the restraint unit 90 to the restraining unit 90 to transmit the vehicle C to the turntable 20, Can restrain or release the protrusion 61. [

구체적으로 구속부(90)는, 차량(C)이 턴테이블(20)로 완전 진입 시, 스위치부(91)에 차량(C)의 네 바퀴(T)가 각각 인입되어 스위치부(91)가 온의 상태가 됨으로써 돌출구(61)를 구속 해제하고,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 시 스위치부(91)에서 차량(C)의 네 바퀴(T)가 각각 인출되어 스위치부(91)가 오프의 상태가 됨으로써 돌출구(61)를 구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vehicle C enters the turntable 20 completely, the restraining portion 90 causes the four wheels T of the vehicle C to enter the switch portion 91, respectively, so that the switch portion 91 is turned on The four wheels T of the vehicle C are pulled out from the switch unit 91 and the switch unit 91 is turned off when the vehicle C advances to the outside from the turntable 20. [ 91 can be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thereby restraining the protrusion 61.

일례로 구속부(90)는, 돌출구(61)와 접촉 또는 돌출구(61)로부터 이탈되는 제1 부재(901), 제1 부재(901)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부재(902), 제2 부재(902)와 수직으로 연결되되 제1 부재(901)와는 꼬인 위치에 형성되는 제3 부재(903)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stricting portion 90 includes a first member 901 that is in contact with or protruding from the projecting portion 61, a second member 902 that is perpendicularly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901, And a third member 903 vertically connected to the member 902 and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member 901 is twisted with the first member 901.

여기서 제3 부재(903)는, 스위치부(91)와 접촉 또는 스위치부(91)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며, 스위치부(91)의 온 상태의 경우 스위치부(91)와 접촉되어 스위치부(91)로부터 힘을 받아 제1 부재(901)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제1 부재(901)가 돌출구(61)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스위치부(91)의 오프 상태의 경우 스위치부(91)로부터 이탈되어 스위치부(91)로부터 제1 부재(901)로 전달되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제1 부재(901)가 돌출구(61)와 접촉되어 돌출구(61)를 구속할 수 있다. Here, the third member 903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witch portion 91 or to be separated from the switch portion 91. When the switch portion 91 is in the ON state, the third member 903 contacts the switch portion 91, The first member 901 is released from the projecting portion 61 and the second member 901 is released from the switch portion 91 in the off state of the switch portion 91. [ The first member 901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61 to restrict the protrusion 61 by removing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witch unit 91 to the first member 901. [

즉, 도 3을 살펴보면, 제3 부재(903)는, 스위치부(91)의 온 상태의 경우 스위치부(91)와 접촉되어 스위치부(91)로부터 B2 방향의 힘을 받아 제1 내지 제3 부재(901~903)에 토크(Torque)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토크로 인해 제1 부재(901)로 B1 방향의 힘이 발생하여 제1 부재(901)가 돌출구(61)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돌출구(61)가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3, the third member 903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portion 91 in the ON state of the switch portion 91 and receives the force in the B2 direction from the switch portion 91, A torque is generated in the members 901 to 903 and a force in the B1 direction is generated by the first member 901 due to this torque and the first member 901 is disengaged from the projecting portion 61, 61 are moved in the A direction.

물론, 제3 부재(903)는, 스위치부(91)의 오프 상태의 경우 스위치부(91)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최초 돌출구(61)의 구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Of course, since the third member 903 is not in contact with the switch portion 91 in the off state of the switch portion 91,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61 is kept in a restrained state.

또한, 구속부(90)는 스위치부(91)와 물리적인 접촉 없이도 전자적인 제어 지시를 통해서 돌출구(61)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부터 외부로 진출 시, 이동부(30)가 원위치하게 되면 돌출구(61)가 다시 구속부(90)에 구속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자적 제어를 통해 제3 부재(903)가 B2 방향의 힘을 지속적으로 받도록 할 수 있다. Also, the restricting portion 90 may restrain or restrain the projecting portion 61 through an electronic control instruction without physically contacting the switch portion 91. When the moving part 30 is retracted from the turntable 20 through the turntable 20, the third member (not show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tricting part 90 so that the projecting part 61 is restrained by the restricting part 90 903 can continuously receive the force in the B2 direction.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부(91)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C)의 네 바퀴(T)가 각각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지 않고 앞 바퀴(T)에만 즉, 좌측 및 우측 앞 바퀴(T)에만 설치될 수 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unit 91 is not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four wheels T of the vehicle C are located, but only the front wheels T, that is,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T).

구체적으로 도 5를 토대로 살펴보면, 구속부(90)는, 차량(C)이 턴테이블(20)로 완전 진입 시, 스위치부(91)에 차량(C)의 앞 두 바퀴(T)가 각각 인입되어 스위치부(91)가 온의 상태가 됨으로써 돌출구(61)를 구속 해제하고, 차량(C)이 턴테이블(20)에서 외부로 진출 시 스위치부(91)에서 차량(C)의 앞 두 바퀴(T)가 각각 인출되어 스위치부(91)가 오프의 상태가 됨으로써 돌출구(61)를 구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when the vehicle C is fully engaged with the turntable 20, the restraining portion 90 causes the two front wheels T of the vehicle C to be respectively drawn into the switch portion 91 When the vehicle C is moved out of the turntable 20, the switch portion 91 releases the two front wheels T (T) of the vehicle C from the switch portion 91, Can be pulled out and the switch portion 91 is turned off, thereby controlling the projecting portion 61 to be restricted.

이때, 구속부(90)의 제1 내지 제3 부재(901~903)는, 구속 해제 후 차량(C) 이 스위치부(91)를 이탈하는 경우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나, 스프링(S)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members 901 to 903 of the restraining portion 90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when the vehicle C leaves the switch portion 91 after releasing the restraint, The elastic member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자중에 의한 수직 회전을 통해 차량(C)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차 장치에서의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 또는 막다른 길에서의 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한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설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 to be switched through the vertical rotation by its own weight, Or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on a dead-end road can be designed simply and inexpensiv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운전자(도시하지 않음)가 하차하지 않고 그리고 별도의 제어 없이도 자동으로 차량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without a driver (not shown) getting off and without any additional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차량(C)의 종류에 관계없이 회전 속도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를 안전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niforml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vehicle C,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rotate saf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는, 좁은 공간에서도 차량(C)의 방향 전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 can be easily changed even in a narrow space.

상기와 같은 실시예 외에 지상의 회전 공간이 충분치 않은 경우, 차량(C)을 별도의 유압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차량(C)을 지하로 하강시킨 후, 상기와 같은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를 이용하여 차량(C)을 회전시킨 후, 다시 유압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C)을 지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rotation space on the ground is not sufficient in addition to the above embodiment, the vehicle C is lowered to the ground by using a separate hydraulic device (not shown) After the vehicle C is rotated using the apparatus 1, the vehicle C can be raised to the ground by using the hydraulic device again.

물론 차량(C)을 이동시키는 위치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지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빈 여유 공간(좌측 또는 우측 또는 상부 공간 등)에 위치시켜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1)를 이용하여 회전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회복될 수 있다. Of course, the position for moving the vehicle C is not limited to the underground, as described above, but is located in other empty space (left, right, upper space, etc.)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차량 방향전환장치 10: 하우징
11: 측면 12: 하면
13: 단차 보상부 131: 보상 부재
20: 턴테이블 30: 이동부
31: 측면 32: 하면
40: 고정부 41: 측면
50: 상승부 60: 회전부
61: 돌출구 62: 회전라인
70: 제어부 71: 측정부
80: 댐핑부 90: 구속부
901: 제1 부재 902: 제2 부재
903: 제3 부재 91: 스위치부
C: 차량 T: 바퀴
W: 하중 S: 스프링
1: 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10: housing
11: Side 12:
13: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part 131: compensating member
20: turntable 30: moving part
31: side 32:
40: fixing part 41: side
50: rising part 60: rotating part
61: protrusion 62: rotation line
70: control unit 71:
80: damping part 90: restraining part
901: first member 902: second member
903: third member 91: switch part
C: vehicle T: wheel
W: Load S: Spring

Claims (7)

원통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되며 차량의 하중을 받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되 상기 이동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이동부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는 상승부; 및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구와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비틀려 구성되되 상기 돌출구를 가이드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회전라인을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받는 상기 차량의 하중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하강하고,
상기 상승부로부터 받는 힘을 통해 상기 돌출구와 상기 회전라인을 상호작용하게 하여 회전과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A housing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 turntab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receiving a load of the vehicle;
A mov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turntable and moving up or down by rotating the turntable;
A fixing unit configured to surround a side surface of the moving unit and guiding the moving unit up or down, and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rising part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raising the moving part; And
And a rotation part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moving part and a rotation lin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art in a diagonal direction so as to guide the protrusion,
The moving unit includes:
And the rotation line is caused to interact with the protrusion through a load of the vehicle received from the turntable,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rotation line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force received from the rising portion to rise together with the ro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강 시,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하중에 따라 상기 상승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하중이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상승부가 상기 이동부에 힘을 가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동부의 하강 속도가 기설정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load of the vehicle;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load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when the moving unit is lowered,
Wherein,
Wherein when the loa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elevating portion controls the moving portion to exert a force so that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oving portion is maintained at the predetermined spe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상승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의 상승 시 또는 하강 시의 충격을 경감시키는 댐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상기 이동부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가 기설정 가속도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이동부의 상승 가속도 또는 하강 가속도를 경감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amp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moving portion and the rising portion to reduce an impact when the moving portion is lifted or lowered,
Wherein the damping unit comprises:
And absorbs a force transmitted by the moving unit so as to reduce a rising acceleration or a falling acceleration of the moving unit when the moving acceleration or the falling acceleration of the moving unit becomes larger than the preset acceler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온(On) 또는 오프(Off)에 의해 상기 돌출구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로 완전 진입 시, 상기 스위치부에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인입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온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출구를 구속 해제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 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차량의 네 바퀴가 각각 인출되어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오프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출구를 구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switch unit formed at a position where four wheels of the vehicle are respectively positioned; And
Further comprising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or restraining the projecting portion by on or off of the switch portion,
The restraining portion
When the vehicle enters the turntable completely, four wheels of the vehicle are respectively drawn into the switch unit to turn the switch unit on, thereby releasing the restraint from the restraint,
Wherein when the vehicle advances to the outside from the turntable, each of the four wheels of the vehicle is taken out from the switch unit to turn the switch unit into the OFF state, thereby controlling the protrusion.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턴테이블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턴테이블에서 외부로 진출 시,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제어되는 보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tep difference compensating section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housing to compensate a ste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turntable so that the vehicle advances to the outside from the turntable,
The step-
And a compensating member that is controlled to be inclined to an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when the vehicle advances to the outside from the turntab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는,
유압 장치 또는 기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self-vehicle direction changing device is a hydraulic device or a pneumatic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돌출구와 접촉 또는 상기 돌출구로부터 이탈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수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부재와 꼬인위치에 형성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 또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온 상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제1 부재로 힘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돌출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부의 상기 오프 상태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로 전달되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돌출구로와 접촉되어 상기 돌출구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차량 방향전환장치.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A first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or detached from the protrusion;
A second membe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nd
And a third membe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and formed in a twisted position with the first member,
And the third member comprises:
A contact portion which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or detached from the switch portion,
The first member is detached from the protrusion by contacting the switch unit and receiving a force from the switch unit to transmit the force to the first member in the ON state of the switch unit,
And the firs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projecting opening to restrict the projecting opening by releasing a force that is released from the switch portion and is transmitted from the switch portion to the first member in the off state of the switch portion. The self-vehicle direction switching device.





KR1020170139027A 2017-10-25 2017-10-25 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KR1020115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27A KR102011574B1 (en) 2017-10-25 2017-10-25 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PCT/KR2017/013538 WO2019083081A1 (en) 2017-10-25 2017-11-24 Autonomous-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27A KR102011574B1 (en) 2017-10-25 2017-10-25 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152A true KR20190047152A (en) 2019-05-08
KR102011574B1 KR102011574B1 (en) 2019-08-19

Family

ID=6624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27A KR102011574B1 (en) 2017-10-25 2017-10-25 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1574B1 (en)
WO (1) WO201908308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3936B (en) * 2022-04-23 2023-07-25 山东国通智云实业集团有限公司 Full-automatic intelligent safe reciprocating type car wash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46B1 (en) * 2007-12-03 2008-01-21 한국철도공사 Turn table for overhaul of train
US20110053136A1 (en) * 2008-02-22 2011-03-03 B.B.I.P. Szellemi Tulajdonjog-Hasznosito Es Vagyon Turntable for support of loaded surfa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6968B2 (en) * 1991-03-11 2001-12-10 日成ビルド工業株式会社 Carriage device for elevator of multi-story parking facility
KR19990073695A (en) * 1998-03-02 1999-10-05 이종수 Turntable device of elevator parking facility
KR100974248B1 (en) * 2010-04-14 2010-08-05 김지수 A painting apparatus for tru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46B1 (en) * 2007-12-03 2008-01-21 한국철도공사 Turn table for overhaul of train
US20110053136A1 (en) * 2008-02-22 2011-03-03 B.B.I.P. Szellemi Tulajdonjog-Hasznosito Es Vagyon Turntable for support of loaded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574B1 (en) 2019-08-19
WO2019083081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2980T3 (en) Driverless transport vehicle for safe transport of heavy loads
US9963899B2 (en) Lift-slide parking system
JP4742591B2 (en) Elevator terminal safety device
US11220415B2 (en) Lifting system with lock position sensor for load indication, and method therefor
CN113479539B (en) Adjustable four-way vehicle floor paving track capable of being used for stable running of forklift
CN108756365B (en) Seesaw type double-layer bidirectional parking device
KR20190047152A (en) Self Vehicle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CN105155883A (en) Double-layered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EP3159246A1 (en) A vehicle comprising a driver seat unit
JP6010401B2 (en) Parking equipment
CN204876701U (en) Double -deck three - dimensional parking equipment
KR101382635B1 (en) Pusher axle system
KR101356249B1 (en) Load apparatus able to weight measurement for heavy duty vehicle
WO2005083205A1 (en) System for parking vehicles on two levels with two independent places
KR100838228B1 (en) Car lifter
JP2786755B2 (en) Vertical and horizontal traveling elevator system
JP3160798B2 (en) Pallet wheel stopper
KR102255164B1 (en) Door Assembly of Parking Structure Having Stopper Unit
KR102047853B1 (en) Multistory parking system
CN110775782B (en) Antiskid limiting platform, control method of antiskid limiting platform and elevator
KR102233802B1 (en) Moving Lift
JPH0720164Y2 (en) A pillar that can appear and disappear on the ground
JP2563710Y2 (en) Safety equipment for two-story garages
JPH10121768A (en) Lock device for parking car and operating-state indication device used therefor
KR20220124607A (en) Door Assembly of Parking Structure Having Pull-up Type Stopp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