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497A -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497A
KR20190046497A KR1020170140373A KR20170140373A KR20190046497A KR 20190046497 A KR20190046497 A KR 20190046497A KR 1020170140373 A KR1020170140373 A KR 1020170140373A KR 20170140373 A KR20170140373 A KR 20170140373A KR 20190046497 A KR20190046497 A KR 20190046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ing device
switch unit
switch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433B1 (ko
Inventor
김슬기롬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4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34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30Preventing polarity revers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 및 부스바의 연결점과, BMS IC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 및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의 제1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 및 상기 부스바의 연결점과, 상기 BMS IC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 및 상기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의 제2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제어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BATTERY MANAGEMENT SYSTEM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부스바의 역전압에 의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부족 문제 및 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하여,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 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가솔린이나 증유 등의 화석연료에 의한 내연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자동차를 대체하기 위하여, 대용량 배터리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배터리 엔진을 장착한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에 관한 기술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용량 배터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고, 각 배터리 팩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각 배터리 모듈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각 배터리 모듈은 각 BMS IC(Battery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Circuit)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관리된다. 즉, 각 BMS IC는 각 배터리 모듈 및 각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상의 배터리 모듈 및 BMS IC의 연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여덟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세 개의 배터리 모듈(10)은 각각 열세 개의 채널을 가지는 세 개의 BMS IC(12)와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팩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10)은 부스바(Busbar)(14)를 통해 서로 직렬연결될 수 있다.
BMS IC(12)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각 배터리 모듈(10)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BMS IC(12)는 열세 개의 채널 중 여덟 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배터리 모듈(10)에 포함된 여덟 개의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기존의 대용량 배터리 시스템은 한 개의 BMS IC를 통해 두 개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관리할 수 없다. 만약 한 개의 BMS IC를 통해 두 개 이상의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측정할 경우, 배터리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부스바의 저항 변화로 인한 역전압의 발생에 의해 BMS IC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대용량 배터리 시스템은 열세 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BMS IC(12) 두 개를 통해 총 스물여섯 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여덟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0) 세 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BMS IC(12) 한 개를 추가로 사용해야 한다.
이처럼 기존의 대용량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모듈당 하나의 BMS IC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각 BMS IC에는 사용되지 않는 잔여 채널이 존재하게 된다.
결국, 기존의 대용량 배터리 시스템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채널 수에 비해 더 많은 수의 BMC IC를 사용해야 하므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 생산 원가가 증가할 수밖에 없어 문제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과 BMS IC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의 제어를 통해 부스바의 역전압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BMS I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스바의 역전압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한 개의 BMS IC를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 및 부스바의 연결점과, BMS IC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 및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의 제1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 및 상기 부스바의 연결점과, 상기 BMS IC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 및 상기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의 제2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제어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치부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와 연결되면, 상기 BMS IC로부터 상기 부스바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와 연결되면, 상기 BMS IC로부터 상기 부스바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드가 전압 밸런싱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의 제1극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의 제2극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드가 슬립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와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드가 전압 센싱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의 제1극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의 제2극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과 BMS IC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의 제어를 통해 부스바의 역전압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BMS I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에 의하면, 부스바의 역전압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한 개의 BMS IC를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상의 배터리 모듈 및 BMS IC의 연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서로 단락된 NMOSFET 및 PMOSFET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밸런싱 모드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모드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센싱 모드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위칭 소자의 예로는 BJT, JFET, MOSFET 또는 IGBT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셀의 제1극은 양극이고 제2극은 음극일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셀의 제1극은 음극이고 제2극은 양극일 수 있다. 즉, 배터리 셀의 제1극 및 제2극은 서로 다른 극이며 어느 하나의 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는 제1 스위칭 소자(212), 제1 스위치부(214), 제2 스위칭 소자(222), 제2 스위치부(224) 및 스위칭 제어부(28)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소자(212)는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 및 부스바(24)의 연결점(213)과, BMS IC(26) 사이에 연결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은 부스바(24)를 통해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과 부스바(24)가 연결되는 연결점(213)은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부(214)는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 및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칭 소자(212)는 NMOSFET일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는 NMOSFET의 게이트(Gate) 단자가 되며 제2 단자는 NMOSFET의 드레인(Drain) 단자가 된다.
즉, 제1 스위치부(214)는 제1 스위칭 소자(212)의 게이트 단자를 제1 스위칭 소자(212)의 드레인 단자와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부(214)에 의해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가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와 연결되면 부스바(24)로부터 BMS IC(26)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해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서로 단락된 MOSFET의 동작 특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서로 단락된 NMOSFET 및 PMOSFET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서로 단락된 NMOSFET 의 구조(31),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서로 단락된 PMOSFET의 구조(32) 및 각 MOSFET의 게이트-소스(Source) 전압(v)에 대응되는 드레인 전류(i)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33)가 도시되어 있다.
MOSFET은 MOSFET의 드레인-소스 전압(vDS)이 게이트-소스 전압(vGS)과 문턱 전압(vT)(Threshold Voltage)의 전압 차보다 클 경우 포화(Saturation) 상태에 놓인다(34). 즉, MOSFET의 드레인 전압(vD)과 게이트 전압(vG)의 차가 문턱 전압(vT)보다 높을 경우 MOSFET은 포화 상태에 놓이며, 이때 MOSFET의 드레인 전류(i)는 게이트 전압(vG)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MOSFET의 문턱 전압(vT)은 항상 0보다 큰 전압값을 가지므로, 드레인 전압(vD)과 게이트 전압(vG)의 차가 0이 되는 MOSFET, 즉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단락된 MOSFET은 항상 포화 상태에 놓일 수 있다(35).
도 3에 도시된 그래프(33)를 참조하면, 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문턱 전압(vT) 이상일 경우 드레인 전류(i)는 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vGS)의 증가에 따라 지수 함수 형태로 증가될 수 있으며, 반대로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문턱 전압(vT) 미만일 경우 드레인 전류(i)는 0이 될 수 있다.
즉,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가 서로 단락된 MOSFET은 pn 접합 다이오드(pn-junction Diode)와 유사한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부(214)에 의해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가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와 연결될 경우 제1 스위칭 소자(212)는 다이오드와 유사한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칭 소자(212)는 NMOSFET이므로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는 게이트 단자이고,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는 드레인 단자이다.
따라서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가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와 연결되면 제1 스위칭 소자(212)의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는 서로 단락되며, 제1 스위칭 소자(212)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은 0이 된다.
결국,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가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NMOSFET인 제1 스위칭 소자(212)의 드레인 전류는 0이 되므로, 부스바(24)로부터 BMS IC(26)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222)는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 및 부스바(24)의 연결점(223)과, BMS IC(26) 사이에 연결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은 부스바(24)를 통해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과 부스바(24)가 연결되는 연결점(223)은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224)는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 및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칭 소자(222)는 PMOSFET일 수 있다. 이때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는 PMOSFET의 게이트 단자가 되며 제2 단자는 PMOSFET의 드레인 단자가 된다.
즉, 제2 스위치부(224)는 제2 스위칭 소자(222)의 게이트 단자를 제2 스위칭 소자(222)의 드레인 단자와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부(224)에 의해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가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되면, BMS IC(26)로부터 부스바(24)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부(224)에 의해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가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될 경우 제2 스위칭 소자(222)는 다이오드와 유사한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칭 소자(222)는 PMOSFET이므로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는 게이트 단자이고,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는 드레인 단자이다.
따라서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가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되면 제2 스위칭 소자(222)의 게이트 단자와 드레인 단자는 서로 단락되며 제2 스위칭 소자(222)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은 0이 된다.
결국,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가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PMOSFET인 제2 스위칭 소자(222)의 드레인 전류는 0이 되므로, BMS IC(26)로부터 부스바(24)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과 BMS IC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의 제어를 통해 부스바의 역전압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BMS I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28)는 제어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제어부(28)는 제어 모드가 전압 밸런싱 모드이면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하거나,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제어부(28)는 제어 모드가 슬립 모드이면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와 연결하고,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제어부(28)는 제어 모드가 전압 센싱 모드이면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하고,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 모드에 따른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 및,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이오드 및 단락선은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에 따른 제1 스위칭 소자 및 제2 스위칭 소자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의 연결 구조는 각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밸런싱 모드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제어부(28)는 제어 모드가 전압 밸런싱 모드이면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하거나,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과 연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압 밸런싱 모드에서 스위칭 제어부(28)가 제1 스위치부(214)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하고, 제2 스위치부(224)를 제어하여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스위칭 제어부(28)는 제1 스위치부(214)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함으로써 제1 스위칭 소자(212)의 게이트-기판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제어부(28)는 제1 스위치부(214)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함으로써 제1 스위칭 소자(212)의 게이트 전압 및 기판 전압의 제어를 통해 부스바(24),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 및 BMS IC(26)를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수 있다(412).
한편, 스위칭 제어부(28)는 제2 스위치부(224)를 제어하여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함으로써 BMS IC(26)로부터 부스바(24)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422).
이처럼 본 발명의 스위칭 제어부(28)는 전압 밸런싱 모드에서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 및 제2 스위칭 소자(222)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BMS IC(26)와 부스바(24)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데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부스바(24),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배터리 셀 및 BMS IC(26)의 단락에 사용함으로써, BMS IC(26)가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특정 배터리 셀의 전압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모드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제어부(28)는 제어 모드가 슬립 모드이면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와 연결하고,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립 모드에서 스위칭 제어부(28)가 제1 스위치부(214)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와 연결하고, 제2 스위치부(224)를 제어하여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스위칭 제어부(28)는 제1 스위치부(214)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2 단자와 연결함으로써 부스바(24)로부터 BMS IC(26)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512).
또한, 스위칭 제어부(28)는 제2 스위치부(224)를 제어하여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2 단자와 연결함으로써 BMS IC(26)로부터 부스바(24)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522).
이처럼 본 발명의 스위칭 제어부(28)는 전압 밸런싱 모드에서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 및 제2 스위칭 소자(222)를 모두 전류의 차단에 사용함으로써, 부스바(24)의 역전압으로 인한 전류로부터 BMS IC(26)를 보호함과 동시에 BMS IC(26)가 각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전압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센싱 모드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제어부(28)는 제어 모드가 전압 센싱 모드이면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하고,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과 연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압 센싱 모드에서 스위칭 제어부(28)가 제1 스위치부(214)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하고, 제2 스위치부(224)를 제어하여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과 연결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스위칭 제어부(28)는 제1 스위치부(214)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함으로써 제1 스위칭 소자(212)의 게이트-기판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제어부(28)는 제1 스위치부(214)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의 제1 단자를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의 제1극과 연결함으로써, 제1 스위칭 소자(212)의 게이트 전압 및 기판 전압의 제어를 통해 부스바(24),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 및 BMS IC(26)를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수 있다(612).
한편, 스위칭 제어부(28)는 제2 스위치부(224)를 제어하여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과 연결함으로써 제2 스위칭 소자(222)의 게이트-기판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스위칭 제어부(28)는 제2 스위치부(224)를 제어하여 제2 스위칭 소자(222)의 제1 단자를 n번째 배터리 모듈(21)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211)의 제2극과 연결함으로써, 제2 스위칭 소자(222)의 게이트 전압 및 기판 전압의 제어를 통해 부스바(24), n+1번째 배터리 모듈(22)의 처음 단 배터리 셀(221) 및 BMS IC(26)를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수 있다(622).
이처럼, 본 발명의 스위칭 제어부(28)는 전압 밸런싱 모드에서 제1 스위치부(214) 및 제2 스위치부(224)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제1 스위칭 소자(212) 및 제2 스위칭 소자(222)를 모두 부스바(24),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배터리 셀 및 BMS IC(26)의 단락에 사용함으로써, 각 배터리 모듈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전압 또는 부스바(24)의 전압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는 배터리 모듈과 BMS IC를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의 제어를 통해 부스바의 역전압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BMS I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는 부스바의 역전압 전류를 차단하여 BMS IC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 개의 BMS IC를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8: 스위칭 제어부
212: 제1 스위칭 소자
214: 제1 스위치부
222: 제2 스위칭 소자
224: 제2 스위치부

Claims (6)

  1.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 및 부스바의 연결점과, BMS IC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 및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의 제1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 및 상기 부스바의 연결점과, 상기 BMS IC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 및 상기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의 제2극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제어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부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와 연결되면, 상기 부스바로부터 상기 BMS IC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가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와 연결되면, 상기 BMS IC로부터 상기 부스바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드가 전압 밸런싱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의 제1극과 연결하거나,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의 제2극과 연결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드가 슬립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와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자와 연결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모드가 전압 센싱 모드이면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n+1번째 배터리 모듈의 처음 단 배터리 셀의 제1극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1 단자를 상기 n번째 배터리 모듈의 마지막 단 배터리 셀의 제2극과 연결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KR1020170140373A 2017-10-26 2017-10-26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KR102042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373A KR102042433B1 (ko) 2017-10-26 2017-10-26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373A KR102042433B1 (ko) 2017-10-26 2017-10-26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497A true KR20190046497A (ko) 2019-05-07
KR102042433B1 KR102042433B1 (ko) 2019-11-08

Family

ID=6665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373A KR102042433B1 (ko) 2017-10-26 2017-10-26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08A1 (ko) * 2022-09-16 2024-03-21 주식회사 부명 배터리 셀들에 연결된 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989A (ko) * 2004-08-19 2006-02-23 주식회사 팬택 원격 전원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원격전원제어방법
JP2010142039A (ja) * 2008-12-12 2010-06-24 Macnica Inc 電力蓄積装置
KR100999978B1 (ko) * 2010-06-25 2010-12-13 박기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KR20110064055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회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20023896A (ko) * 2010-09-02 2012-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5002108A (ja) * 2013-06-17 2015-01-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989A (ko) * 2004-08-19 2006-02-23 주식회사 팬택 원격 전원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원격전원제어방법
JP2010142039A (ja) * 2008-12-12 2010-06-24 Macnica Inc 電力蓄積装置
KR20110064055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회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0999978B1 (ko) * 2010-06-25 2010-12-13 박기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KR20120023896A (ko) * 2010-09-02 2012-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5002108A (ja) * 2013-06-17 2015-01-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08A1 (ko) * 2022-09-16 2024-03-21 주식회사 부명 배터리 셀들에 연결된 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433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Series-connected self-reconfigurable multicell battery
US8872478B2 (en) Circuit and method for balancing battery cells
EP2557655A2 (en) Electrical storage apparatus
US9081069B2 (en) Protection IC and method of monitoring a battery voltage
KR101489563B1 (ko) 역접속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예비 전원 공급장치
US7816891B2 (en) Active voltage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storage device
CN103492888A (zh) 开关电路、选择电路、以及电压测定装置
JP5376641B2 (ja) 電池装置
CN101752619A (zh) 二次电池保护集成电路装置、二次电池保护模块和电池组
JP5274815B2 (ja) 電力供給制御回路
KR101456097B1 (ko) 멀티모듈 컨버터의 암 스위치 특성평가 방법 및 장치
US9077189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module device
KR102068968B1 (ko) 전지 전압 검출 회로
US20030095369A1 (en) Battery protection by a sequential blowing fuse
US11740300B2 (en) Short circuit det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witched capacitor converter
KR20190046497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CN210517777U (zh) 电池保护电路及电池充放电系统
CN102545163A (zh) 一种电池放电保护电路及led灯具
CN201222649Y (zh) 一种可充电池的过放电保护电路
JP5491666B1 (ja) 太陽電池特性測定装置
CN105529690A (zh) 电池保护电路、电池保护装置、电池组以及电池保护方法
JP2011204939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013017007A (ja) 半導体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装置
CN110601143A (zh) 电池保护电路及电池充放电系统
KR20210060913A (ko) 에너지 하베스팅용 배터리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