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78B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978B1
KR100999978B1 KR1020100060471A KR20100060471A KR100999978B1 KR 100999978 B1 KR100999978 B1 KR 100999978B1 KR 1020100060471 A KR1020100060471 A KR 1020100060471A KR 20100060471 A KR20100060471 A KR 20100060471A KR 100999978 B1 KR100999978 B1 KR 100999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lar cell
monitoring
sola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2010006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30State monitoring, e.g. fault, temperature monitoring, insulator monitoring, corona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회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모니터링 시스템과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이상 발생 시 회로 자동으로 오프(Off) 기능을 수행하면서 작업시간 및 공간을 줄이도록 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과 인버터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함과 함께 각 태양전지모듈이 연결된 회로군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 역전류의 이상유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와,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와 인버터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의 결과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MONITOTING CONTROL UNIT OF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화석에너지는 그 양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언젠가는 고갈되고 여러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석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는 여러 종류가 있는바,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조력, 파도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파력,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풍력, 그리고 땅속의 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지열 등이 있으며, 이들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태양 에너지가 있다.
이러한 태양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은 태양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발전된 직류 전기 에너지는 전력 변환 장치(인버터)를 통하여 교류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생산된 전기는 한전계통과 연계되어 부하측에 공급하게 되며, 나머지 전력은 한전계통으로 역전송된다. 여기서 부족한 전기는 한전으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이와 같이 계통과 연계되어 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태양전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 고장 및 회로 이상 시 다른 태양전지 회로로 역전류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국내외 계통연계표준에 의해 보호 및 안정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안전기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배선용 차단기,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 보호용 퓨즈 등을 구비하게 되고, 전력계측을 위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별도의 계측장비를 구축하게 된다.
기존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 전력계측장치,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 전력 계측 장치, 케이블 덕트, 방열판 등을 구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접속반에 취부된 각종 구성 부품들로 인하여 배선이 많아지며, 작업시간 및 공간도 많이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별 회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고, 모니터링 시스템과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이상 발생 시 회로 자동으로 오프(Off) 기능을 수행하면서 작업시간 및 공간을 줄이도록 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과 인버터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함과 함께 각 태양전지모듈이 연결된 회로군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 역전류의 이상유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와,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와 인버터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의 결과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회로군과 연결되어 전압, 전류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비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인버터로 전송하기 위한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퓨즈와, 직류전류가 역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와, 상기 보호용 퓨즈와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 사이에 구성되어 외부의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에서 원격으로 접속과 차단을 제어하는 IGBT와,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전된 전압 및 전류계측을 위한 홀센서와, 상기 태양전지모듈 회로군과 인버터 사이에 연결된 IGBT의 ON 또는 OFF를 수동 제어하는 스위치와, 상기 홀센서로부터 계측된 전압 및 전류를 전달받아 상기 스위치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에 정보를 전달하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이 직렬로 결합되는 각 회로군들의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인출하고, 이상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하여 안전하게 개별 회로군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접속반에 취부되는 장치 중의 하나로 IGBT, 보호용 퓨즈,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고 있어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설치 시 배선이 간편하고 접속반의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가 설치된 접속반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1회로군에 대한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4회로군에 대한 태양광 발전 감지 제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도 1의 인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가 설치된 접속반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모듈(100)과는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접속반(200) 내부에 구성되어 있다.
즉,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0)과,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110)와,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0)과 인버터(110)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0)로부터 발전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함과 함께 각 태양전지모듈(100)이 연결된 회로군(120)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 역전류의 이상유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와,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와 인버터(11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의 결과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부(130) 및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의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발전 감지 제어 장치(210)와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는 485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상호간에 전달받게 된다. 이때 무선 통신 방법 중의 하나로 485통신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CDMA 방식과 같은 통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는 도 1에서와 같이, 접속반(200) 내부에 구성된다. 즉, 사각틀 형상의 접속반 케이스(220) 내부에 난연성 케이블(230), 상기 난연성 케이블(230)을 외상, 습기, 열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전폐(全閉) 구조를 갖는 케이블 덕트(240),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로부터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250),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의 결과에 따라 과부하 및 숏트 등의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트립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배선용 차단기(260) 및 전류를 이동하는 버스바(270)와, 상기 난연성 케이블(230)을 지지하는 터미널 단자대(280)와 함께 내장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즉, 도 3은 1회로군에 대한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4는 4회로군에 대한 태양광 발전 감지 제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태양전지 모듈 회로군(120)과 연결되어 전압, 전류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비되는 입력부(211)와, 상기 입력부(211)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인버터(110)로 전송하기 위한 출력부(212)와, 상기 입력부(211)의 입력신호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퓨즈(213)와, 직류전류가 역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214)와, 상기 보호용 퓨즈(213)와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214) 사이에 구성되어 외부의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에서 원격으로 접속과 차단을 제어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215)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00)에서 발전된 전압 및 전류계측을 위한 홀센서(216)와, 상기 태양전지모듈 회로군(120)과 인버터(110) 사이에 연결된 IGBT(215)의 ON 또는 OFF를 수동 제어하는 스위치(217)와, 상기 홀센서(216)로부터 계측된 전압 및 전류를 전달받아 상기 스위치(217)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에 정보를 전달하는 CPU(2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 회로군(120)은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0)이 하나의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며, 하나의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를 이용하여 최대 4개의 태양전지모듈 회로군(120)이 연결되어 감시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접속반(200)에 취부되는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는 태양전지모듈(100)의 발전시 전압, 전류를 계측함은 물론,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0)이 직렬로 결합된 태양전지모듈 회로군(120)의 과전압, 과전류 및 역전류 등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개별 회로군의 사고를 방지하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는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와 485통신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회로군(120)이 접속되어 전압, 전류 등을 계측 및 제어할 수 있어, 종래의 개별 계측 및 제어에 비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축 시 배선이 간단해 지며 공간 활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는 상기 보호용 퓨즈(213)의 단선상태를 알려주어 발광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가 점등되도록 하는 비상 신호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211)의 전압, 전류 신호를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에 전송하고, 비교된 데이터에서 이상을 발견한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에서 회로 OFF 신호시 명령을 수행하도록 주고 받는 통신모듈(도시되지 않음)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는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로부터 전압, 전류 신호를 받아 다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 회로군(120)의 회선 이상 유무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알려준다. 또한, 현재발전량, 금일 발전량, 누적발전량, 설비이용율 등의 정보를 보여주며,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설치된 일사량, 온도 및 풍속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날씨에 관한 정보와 태양광 발전상태를 비교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00)로부터 발전된 적류전압을 집진하여 후단의 인버터(110)에 제공하는 것으로, 과전압, 과전류, 역전류 등 이상 발생으로 태양전지모듈(100) 및 회로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전류 등의 신호를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하여 고객이 태양광 발전정보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인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110)는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2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여 인버터 제어부(111)로 전송하는 회로수신 신호처리부(112)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수신받는 전력신호 수신모듈(113)과, 상기 태양전지모듈(100)에서 전송된 전력신호를 외부출력전력에 송신되도록 하기 위한 전압 및 전력으로 처리하기 위한 전력변환 모듈(114)과, 상기 전력변환모듈(114)에 의하여 변환된 전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전력신호 출력모듈(115)과, 상기 태양전지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수신전력신호 및 외부로 출력되는 출력전력신호의 전압 및 전류의 상태정보신호, 그리고 인버터(110)의 상태정보신호를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140)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처리하는 통신신호처리모듈(11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태양전지모듈 200 : 접속반
210 :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 220 : 케이스
230 : 난연성 케이블 240 : 케이블 덕트
250 : A/D 변환기 260 : 배선차단기
270 : 버스바 280 : 터미널 단자대

Claims (5)

  1.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과 인버터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태양전지모듈로부터 발전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함과 함께 각 태양전지모듈이 연결된 회로군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 역전류의 이상유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와,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와 인버터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의 결과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회로군과 연결되어 전압, 전류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비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를 인버터로 전송하기 위한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퓨즈와, 직류전류가 역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와, 상기 보호용 퓨즈와 역전류 방지 다이오드 사이에 구성되어 외부의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에서 원격으로 접속과 차단을 제어하는 IGBT와,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발전된 전압 및 전류계측을 위한 홀센서와, 상기 태양전지모듈 회로군과 인버터 사이에 연결된 IGBT의 ON 또는 OFF를 수동 제어하는 스위치와, 상기 홀센서로부터 계측된 전압 및 전류를 전달받아 상기 스위치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에 정보를 전달하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감지 제어 장치와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는 485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상호간에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보호용 퓨즈의 단선상태를 알려주어 발광다이오드가 점등되도록 하는 비상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태양광 발전 감시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처리하여 인버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로수신 신호처리부와,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수신받는 전력신호 수신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전송된 전력신호를 외부출력전력에 송신되도록 하기 위한 전압 및 전력으로 처리하기 위한 전력변환 모듈과,
    상기 전력변환모듈에 의하여 변환된 전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전력신호 출력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전송된 수신전력신호 및 외부로 출력되는 출력전력신호의 전압 및 전류의 상태정보신호, 그리고 인버터의 상태정보신호를 데이터수집 및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처리하는 통신신호 처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KR1020100060471A 2010-06-25 2010-06-25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KR100999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71A KR100999978B1 (ko) 2010-06-25 2010-06-25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71A KR100999978B1 (ko) 2010-06-25 2010-06-25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978B1 true KR100999978B1 (ko) 2010-12-13

Family

ID=4351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71A KR100999978B1 (ko) 2010-06-25 2010-06-25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978B1 (ko)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13B1 (ko) 2011-03-23 2011-09-08 강문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 스트링 출력 성능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4038B1 (ko) 2011-08-11 2012-04-13 합자회사 광명전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별 전류 측정장치가 구비된 접속반
KR101165957B1 (ko) 2011-06-24 2012-07-31 박일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접속함의 스마트 모듈 장치
KR101191214B1 (ko) 2010-12-28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275050B1 (ko) 2011-11-30 2013-06-17 (주)월드에너텍 셀렉터 스위치를 이용한 태양광 접속반
WO2013049501A3 (en) * 2011-09-30 2013-08-01 Solarbos, Inc. System for combining direct current power from multiple inputs
KR101337927B1 (ko) 2013-05-13 2013-12-06 (주)신호엔지니어링 전기안전보호기능 및 우회보정선로를 갖는 태양광발전 채널별 감시장치
KR101376725B1 (ko) * 2013-10-14 2014-03-27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태양광 모듈 접속반
CN103888058A (zh) * 2014-03-07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测电流的过温状态指示型光伏接线盒
CN103888067A (zh) * 2014-04-03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霍尔传感器和fm传输的远程监控型光伏接线盒
CN103888072A (zh) * 2014-04-03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热敏电阻测温和单线通讯协议的远程监控型光伏接线盒
CN103888060A (zh) * 2014-03-07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半导体测温的过温状态指示型光伏接线盒
CN103888059A (zh) * 2014-03-07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测电压的过温状态指示型光伏接线盒
CN103888061A (zh) * 2014-04-03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半导体测温和fm传输的远程监控型光伏接线盒
CN103888057A (zh) * 2014-03-07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远红外热传感器的过温状态指示型光伏接线盒
CN103888062A (zh) * 2014-04-03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测电流和电力导线载波的远程监控型光伏接线盒
WO2014099749A1 (en) * 2012-12-18 2014-06-26 Enphase Energy, Inc. Smart junction box for a photovoltaic system
KR101419814B1 (ko) 2014-04-04 2014-08-14 (주)에이치에스쏠라에너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스마트 접속반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발전효율 계측방법
KR101496199B1 (ko) * 2014-04-18 2015-02-26 (주)대연씨앤아이 전력 차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 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9536B1 (ko) * 2014-12-29 2015-04-08 주식회사 대경산전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시스템
KR20160090040A (ko) * 2015-01-21 2016-07-29 고광대 포터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장치
KR101859352B1 (ko) * 2018-01-12 2018-05-17 이기현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8512059A (zh) * 2018-05-16 2018-09-07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控制柜
KR101948102B1 (ko) * 2016-11-10 2019-02-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역전압 보호 장치
CN109595148A (zh) * 2018-12-28 2019-04-09 苏州鼎威新能源有限公司 一种户外光伏水泵测试系统
KR20190046497A (ko) * 2017-10-26 2019-05-0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US10411645B1 (en) 2016-05-09 2019-09-10 Solarbos, Inc Photovoltaic module sourced control power
KR102084783B1 (ko) 2019-09-23 2020-03-04 주식회사 아이팔 머신러닝기반 태양광발전운영 관리시스템
KR102084784B1 (ko) 2019-09-23 2020-05-26 주식회사 아이팔 머신러닝기반 태양광발전운영 관리방법
US10950402B2 (en) 2017-10-17 2021-03-16 Solarbos, Inc. Electrical contactor
KR20210044542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기계학습을 이용한 수면 분석 장치
KR20220115236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건기 역전력 차단 예방 및 화재 감시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접속함
KR20220117571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티케이이에스 태양광 발전 진단 기능을 가지는 접속함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40A (ja) * 1996-10-11 1998-05-06 Nissin Electric Co Ltd 太陽光発電装置
KR100809483B1 (ko) 2007-10-25 2008-03-03 이현화 태양광 발전설비의 최적전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30132B1 (ko) * 2009-03-10 2009-12-08 ㈜코리아에너텍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접속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440A (ja) * 1996-10-11 1998-05-06 Nissin Electric Co Ltd 太陽光発電装置
KR100809483B1 (ko) 2007-10-25 2008-03-03 이현화 태양광 발전설비의 최적전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30132B1 (ko) * 2009-03-10 2009-12-08 ㈜코리아에너텍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접속반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214B1 (ko) 2010-12-28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064113B1 (ko) 2011-03-23 2011-09-08 강문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 스트링 출력 성능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101165957B1 (ko) 2011-06-24 2012-07-31 박일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접속함의 스마트 모듈 장치
KR101134038B1 (ko) 2011-08-11 2012-04-13 합자회사 광명전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별 전류 측정장치가 구비된 접속반
WO2013049501A3 (en) * 2011-09-30 2013-08-01 Solarbos, Inc. System for combining direct current power from multiple inputs
KR101275050B1 (ko) 2011-11-30 2013-06-17 (주)월드에너텍 셀렉터 스위치를 이용한 태양광 접속반
US9105765B2 (en) 2012-12-18 2015-08-11 Enphase Energy, Inc. Smart junction box for a photovoltaic system
WO2014099749A1 (en) * 2012-12-18 2014-06-26 Enphase Energy, Inc. Smart junction box for a photovoltaic system
KR101337927B1 (ko) 2013-05-13 2013-12-06 (주)신호엔지니어링 전기안전보호기능 및 우회보정선로를 갖는 태양광발전 채널별 감시장치
KR101376725B1 (ko) * 2013-10-14 2014-03-27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태양광 모듈 접속반
WO2015056935A1 (ko) * 2013-10-14 2015-04-23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태양광 모듈 접속반
CN103888058A (zh) * 2014-03-07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测电流的过温状态指示型光伏接线盒
CN103888060A (zh) * 2014-03-07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半导体测温的过温状态指示型光伏接线盒
CN103888059A (zh) * 2014-03-07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测电压的过温状态指示型光伏接线盒
CN103888057A (zh) * 2014-03-07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远红外热传感器的过温状态指示型光伏接线盒
CN103888072A (zh) * 2014-04-03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热敏电阻测温和单线通讯协议的远程监控型光伏接线盒
CN103888062A (zh) * 2014-04-03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测电流和电力导线载波的远程监控型光伏接线盒
CN103888061A (zh) * 2014-04-03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半导体测温和fm传输的远程监控型光伏接线盒
CN103888067A (zh) * 2014-04-03 2014-06-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霍尔传感器和fm传输的远程监控型光伏接线盒
KR101419814B1 (ko) 2014-04-04 2014-08-14 (주)에이치에스쏠라에너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스마트 접속반 및 이를 이용한 인버터 발전효율 계측방법
KR101496199B1 (ko) * 2014-04-18 2015-02-26 (주)대연씨앤아이 전력 차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 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9536B1 (ko) * 2014-12-29 2015-04-08 주식회사 대경산전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시스템
KR20160090040A (ko) * 2015-01-21 2016-07-29 고광대 포터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장치
KR101648464B1 (ko) * 2015-01-21 2016-08-24 고광대 포터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장치
US10411645B1 (en) 2016-05-09 2019-09-10 Solarbos, Inc Photovoltaic module sourced control power
KR101948102B1 (ko) * 2016-11-10 2019-02-14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역전압 보호 장치
US10950402B2 (en) 2017-10-17 2021-03-16 Solarbos, Inc. Electrical contactor
KR20190046497A (ko) * 2017-10-26 2019-05-0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KR102042433B1 (ko) 2017-10-26 2019-11-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보호 장치
KR101859352B1 (ko) * 2018-01-12 2018-05-17 이기현 에너지 절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8512059A (zh) * 2018-05-16 2018-09-07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控制柜
CN108512059B (zh) * 2018-05-16 2024-03-26 河南森源电气股份有限公司 控制柜
CN109595148A (zh) * 2018-12-28 2019-04-09 苏州鼎威新能源有限公司 一种户外光伏水泵测试系统
CN109595148B (zh) * 2018-12-28 2024-02-06 苏州鼎威新能源有限公司 一种户外光伏水泵测试系统
KR102084783B1 (ko) 2019-09-23 2020-03-04 주식회사 아이팔 머신러닝기반 태양광발전운영 관리시스템
KR102084784B1 (ko) 2019-09-23 2020-05-26 주식회사 아이팔 머신러닝기반 태양광발전운영 관리방법
KR20210044542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기계학습을 이용한 수면 분석 장치
KR20220115236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건기 역전력 차단 예방 및 화재 감시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접속함
KR20220117571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티케이이에스 태양광 발전 진단 기능을 가지는 접속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978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KR101012348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회로별 감지 제어 장치
US10680443B2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560345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30087902A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감시 제어 장치
KR101677930B1 (ko) 누설전류 및 아크의 감시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US8837098B2 (en) Method for limiting the generator voltage of a photovoltaic installation in case of danger and photovoltaic installation
KR200457335Y1 (ko) 스마트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602844B1 (ko) 과열 및 아크 검출을 통해 전기화재 감시진단 기능을 갖는 태양광 접속반
JPWO2012046331A1 (ja) 故障検出装置
KR101761269B1 (ko) 마이크로컨버터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306772B1 (ko) 태양광 발전시설의 종합보호 시스템
CN103081268A (zh) 接地装置
KR101357201B1 (ko) 태양광 접속반 모니터링 장치
KR20180112917A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 전기안전진단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6558A (ko) 감시 및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429421B1 (ko) 태양광발전용 지능형 접속반 유니트
KR101337927B1 (ko) 전기안전보호기능 및 우회보정선로를 갖는 태양광발전 채널별 감시장치
JP2015198508A (ja) 太陽光発電装置
KR20170103392A (ko) 낙뢰감지센서 및 송전 자동차단시스템
KR101030925B1 (ko) 감시 및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14285371A (zh) 高可靠性光伏发电系统智能监测通讯汇流箱及方法
CN206060225U (zh) 基于小型光伏发电系统的集控装置
KR20080027471A (ko) 태양광 발전소용 분전함
RU2318281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гарантирован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стационарного объе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