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364A -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364A
KR20190046364A KR1020170140074A KR20170140074A KR20190046364A KR 20190046364 A KR20190046364 A KR 20190046364A KR 1020170140074 A KR1020170140074 A KR 1020170140074A KR 20170140074 A KR20170140074 A KR 20170140074A KR 20190046364 A KR20190046364 A KR 2019004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experiential learning
learning
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연경
김상섭
이상선
송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컨즈
이상선
김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컨즈, 이상선, 김상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컨즈
Priority to KR102017014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364A/ko
Publication of KR2019004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체험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체험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스별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미션 콘텐츠를 열어 체험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체험 학습 장소를 이동하며 실시간으로 제시되는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험 학습 콘텐츠 및 미션 호출방식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체험 학습 활동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체험 학습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완료한 레이스 목록, 각 레이스별 체험 학습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와 온라인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체험 학습의 미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체험 학습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XPERIENTIAL LEARNING SERVICE USING ON LINE}
본 발명은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체험 학습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체험과 교육을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험 학습은 학교 또는 기타 사설교육시설에서 이루어지며, 학생들은 학교, 학원 등에서 책, 홍보자료 및 인터넷 등을 통해 교사로부터 지식을 전달받아 학습하게 된다.
이때, 교사들은 자녀들의 학습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체험 학습 장소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려고 노력하나, 그 정보의 양과 질에 한계가 있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체험 학습을 원활히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체험 학습은 해당 장소에 대한 사전 조사, 경로 탐색, 학습 목표, 학습 내용, 학습 결과 보고 등의 일련의 과정들이 필요하나, 학생들에게 이러한 과정들이 원활히 제공되지 못해, 체험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체험 학습과 관련된 종래기술은, 특허공개 제10-2012-0071076호 및 특허공개 제10-2017-001769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1. 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71076호(명칭: 체험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2. 문헌 2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17690호(명칭: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벙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온라인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체험 학습의 미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체험 학습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체험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체험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스별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미션 콘텐츠를 열어 체험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체험 학습 장소를 이동하며 실시간으로 제시되는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험 학습 콘텐츠 및 미션 호출방식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체험 학습 활동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체험 학습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완료한 레이스 목록, 각 레이스별 체험 학습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체험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체험 학습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스별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미션 콘텐츠를 열어 체험 학습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체험 학습 장소를 이동하며 실시간으로 제시되는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험 학습 콘텐츠 및 미션 호출방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체험 학습 활동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며, 사용자의 체험 학습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완료한 레이스 목록, 각 레이스별 체험 학습 내용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와 온라인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체험 학습의 미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체험 학습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험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션 콘텐츠 저작 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스 구매와 관련된 내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완료한 레이스 목록 보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찜한 레이스 목록 및 유료 프로그램 구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QR 코드로 교재를 등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험 포트폴리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스, 미션 다운로드 및 수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GPS, 비컨 및 호출 미션 연동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스, 미션 관리 및 콘텐츠 저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스 미션 관리 툴 및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션 콘텐츠 저작 툴 및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개락적으로 설명한다.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은, 체험 학습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예: 앱)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카카오톡 계정을 통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한다. 자동 로그인을 설정하면 이후 앱 사용시 별도의 로그인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체험 코스(예: 전시관, 박물관 및 놀이 공원 등)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은 체험 코스에 대한 레이스의 분류 정보에 따라, 지역별, 기관 유형별, 교과별로 레이스를 검색하거나 기관명, 키워드 등으로 개별 레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은 체험 코스에 대한 레이스별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해당 레이스 내에 있는 미션 콘텐츠를 열어 체험 활동을 시작한다. 이때, 미션 콘텐츠가 유료 레이스인 경우, 레이스 안내 세부 페이지 및 내용에 따라 레이스 관련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매한 레이스를 사용할 때, 보조 교재인 스티커카드와 워크북 세트를 등록하여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교재별로 연계 레이스 정보를 담고 있는 고유한 QR코드를 부여하고, 구매 콘텐츠 등록 메뉴에 있는 QR코드 리더를 통해 이 코드를 읽어 교재 등록을 완료한다. 인증이 완료된 레이스는 미션 콘텐츠가 활성화된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체험 학습 장소를 이동하며 실시간으로 제시되는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험 학습 콘텐츠 및 미션 호출방식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미션 호출 방식은 다음의 방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GPS 연동 방식 : 미션 콘텐츠의 속성이 GPS 연동방식인 경우, 입력된 메타정보 중 위도와 경도의 값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이내에 현재 GPS 위치값이 들어오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관련 미션을 호출하는 신호를 받는다.
2. BEACON 연동 방식 : 전시관에 BEACON 단말기를 설치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을 통해 BEACON 코드가 주변에서 인식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해당 BEACON과 연계된 미션을 호출하는 신호를 받는다.
3. 미션 간 호출 방식 : 미션의 호출 관계를 정의한 경우, 순차적으로 미션의 수행 후 연계되는 미션이 활성화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방식들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미션은 공간과 상황에 맞게 학습자에게 제시되며, 학습자는 체험의 진행과 각 코스별 체험 활동을 수행하며 체험 학습을 진행한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은 체험 학습 활동 결과에 따라, 앱에서 제공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체험 학습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와 콘텐츠 사이의 인터랙션은 다음과 같다.
1. 사진 찍기 : 사용자가 보고 관찰한 내용을 사진으로 찍는다.
2. 비디오 촬영 : 사용자의 느낌, 생각 등을 비디오로 녹화한다.
3. 퀴즈 풀기 : 내용 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단답 쓰기, 객관식 문제 풀기, 숨은 그림 찾기, 드래그하여 정답 맞추기 등의 유형으로 퀴즈를 출제한다.
4. 글쓰기 : 생각과 느낌 등을 긴 문장형태로 작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상술한 인터랙션 기능을 통해 학습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는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응답 등의 유형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은, 체험 학습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앱의 '마이페이지' 에서 완료한 레이스 목록, 각 레이스별 체험 내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험 학습에대한 완료 레이스의 목록은 다음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타임라인 보기 : 일자 별로 체험한 레이스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2. 앨범 보기 : 인증샷을 중심으로 방문한 내역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다.
3. 각각의 레이스와 미션 콘텐츠가 가진 메타정보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체험학습 통계와 학습 주제별 역량 성취도 통계 등을 체험학습 레포트를 통해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네이티브 앱으로 체험학습을 위해 다음의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첫 번째 기능은 체험 학습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인터렉션을 제공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이다. 학습데이터의 주된 생성 방식은 기록과 저장을 통해 만들어진다. 주요 기록방식은, 예를 들면, 사진찍기, 퀴즈풀기, 비디오 녹화하기, 글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부 내용은 학습 결과 기록을 위한 인터렉션 부분을 참조한다.
두 번째 기능은 학습자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앱 사용 관련 정보, 미션별 수행정보(수행 완료 여부, 수행시간, 오답률), 기본 적인 체험 기록물(방문 인증샷, 체험 일지), 체험 기관 평가, 레이스내의 미션 진도 정보 등을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목록을 음성과 결합하여 동영상을 만들들 수 dTL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녹화할 사진 목록을 고르고 한 개의 사진으로 화면에 띄어놓은 상태에서 마이크에 자신의 음성을 녹음한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체 데이터 맵을 개발할 수 있다. 현재 문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 지고 있으나 데이터양이 많아 전송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은 전송속도 개선을 위해 각각의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를 나타내는지 문자로 표기하지 않고 데이터 맵을 가지고 위치에 따른 데이터를 파악(예: 1열 2행은 화면 크기 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오프라인 로딩을 위한 문자 데이터를 이미지화(1픽셀 당 3개의 문자열을 가실 수 있도록 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미션의 데이터를 오프라인에서 카메라로 인식하기 위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이미지가 1픽셀당 rgb값으로 3개의 문자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험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험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화면은, 학습 미션 콘텐츠를 어플리케이션에서 볼 수 있도록 생성, 수정, 삭제하고, 콘텐츠 소스를 등록하며, 체험 학습 코스를 생성 및 수정하고, 레이스를 개설하며, 레이스 내에서 제시되는 미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션 콘텐츠 저작 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션 콘텐츠 저작 툴은, 예를 들면, 체험 학습과 관련된 퀴즈, 사진찍기, 비디오 녹화, 이미지 슬라이드 및 게임 등과 같은 인터랙션 저작 및 속성을 설정하고, 콘텐츠 관련 소스를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회원가입, 완료한 레이스 목록 확인, 찜한 레이스 목록 확인, 레이스 구매내역 확인, 체험 포트폴리오 제공, 기관 검색, 유료 레이스 구매 비컨 미션 획득, 위치 기반 미션 획득, 미션 수행(사진 찍기, 퀴즈 풀기, 비디오 녹화 및 글쓰기)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터넷 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식별정보, 이력정보, 학습데이터, 구매정보, 찜한 레이스 등의 데이터베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체험 기관정보, 기관 유형정보, 교과 연계정보, 주제 분류정보 및 키워드 관련 정보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이름, 미션 속성, 분류 정보, 스티커 정보, GPS(위치) 정보, 비컨 정보 및 호출 미션코드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회원 가입 및 로그인 시 다른 서버의 회원 가입 정보 및 로그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은 카카오톡 로그인을 확인하고, 카카오톡에 로그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정보 조회 및 제공에 동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사용자 정보(예: 이름, 주민번호, 연락처, 이메일 및 인증 정보 등)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스 구매와 관련된 내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구매한 레이스의 기관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기관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구매한 레이스의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관의 유료 레이스 구매 객수별 레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완료한 레이스 목록 보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다양한 콘텐츠 중, 앨범 메뉴를 선택하여, 완료한 레이스 목록에 대한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날짜 순서로 수해한 레이스 목록, 인증 사진, 체험 후기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완료한 레이스 관련 정보를 타임라인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SNS와 같이 인증 사진 및 기관 체험 후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찜한 레이스 목록 및 유료 프로그램 구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찜한 레이스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기관 상세 홈페이지를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유료 프로그램을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구매 내역과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QR 코드로 교재를 등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QR 코드 등록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QR 인증 페이지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다말은 QR코드 인증 실행 후, 서비스 제공 서버에 레이스 구매 내역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구매 레이스 상세 페이지에 접속 후 구매 레이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체험 포트폴리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의 역량 데이터와 학습 데이터를 레이스의 주제 및 미션 분류별로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각 항목을 그래프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스, 미션 다운로드 및 수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레이스 및 미션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레이스 및 미션 별 구성 정보 파일 및 리소스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레이스 및 미션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내에 레이스 및 미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레이스 구성 정보 및 미션 정보에 따른 탭, 미션 목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각 요소 별 설정된 기능 설정 및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미션 구성 정보 분석 후 실행 화면에 따른 요소 별 배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미션 수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인터랙티브 요소를 수용하고, 수행 결과를 저장하면, 수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GPS, 비컨 및 호출 미션 연동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레이스 시작 이후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GPS 미션의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사용자 단말은 GPS와 미션의 위치 정보간 거리가 소정거리(예: 50미터) 이내인 경우 사용자에 알림을 보여주고 미션의 숨김 상태 해제 후 목록에 추가한다. 사용자 단말은 ㅂ비컨(BEACON)으로부터 BLE신호를 수신하여 BEACON의 고유값을 획득하면 해당 값을 가진 BEACON 미션을 조회한다. 사용자 단말은 BEACON 고유값을 가진 미션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여주고 미션의 숨김 상태 해제 후 목록에 추가한다. 사용자 단말은 미션을 완료할 때 미션의 고유값을 가진 호출 미션을 조회한다. 사용자 단말은 완료 미션의 고유값이 가진 호출미션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여주고 미션의 숨김 상태 해제 후 목록에 추가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스, 미션 관리 및 콘텐츠 저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레이스의 정보를 생성, 수정한다. 사용자 단말은 레이스의 중간 분류의 정보(어플리케이션에서는 레이스의 탭으로 보이게 된다)를 등록한다. 사용자 단말은 미션의 정보를 등록, 수정한다. 사용자 단말은 미션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저작된 미션의 내용은 구성정보를 가지고 있는 JSON 파일과 구성요소의 이미지인 리소스 파일을 생성해서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은 미션 콘텐츠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콘텐츠 위치 구성, 사진 및 영상 미리보기, 텍스트 및 슬라이드 이미지 편집, 선다형, 단답형, 이미지 놓기, 숨은 그림찾기 퀴즈, 페이지 이동 및 웹 이동, 사진 및 영상 촬영 버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이스 미션 관리 툴 및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션 콘텐츠 저작 툴 및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과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가스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체험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체험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스별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미션 콘텐츠를 열어 체험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체험 학습 장소를 이동하며 실시간으로 제시되는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험 학습 콘텐츠 및 미션 호출방식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체험 학습 활동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체험 학습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완료한 레이스 목록, 각 레이스별 체험 학습 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체험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체험 학습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외부의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레이스별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미션 콘텐츠를 열어 체험 학습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체험 학습 장소를 이동하며 실시간으로 제시되는 미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체험 학습 콘텐츠 및 미션 호출방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체험 학습 활동 결과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인터렉션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며, 사용자의 체험 학습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서 완료한 레이스 목록, 각 레이스별 체험 학습 내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KR1020170140074A 2017-10-26 2017-10-26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6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74A KR20190046364A (ko) 2017-10-26 2017-10-26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74A KR20190046364A (ko) 2017-10-26 2017-10-26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64A true KR20190046364A (ko) 2019-05-07

Family

ID=6665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074A KR20190046364A (ko) 2017-10-26 2017-10-26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3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280B1 (ko) * 2021-07-05 2021-12-01 재단법인 산림힐링재단 행위중독예방 학습 스마트기기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076A (ko) 2010-12-22 2012-07-02 (주)웹토이 체험학습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KR20170017690A (ko)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비즈플랜 체험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076A (ko) 2010-12-22 2012-07-02 (주)웹토이 체험학습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KR20170017690A (ko)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비즈플랜 체험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280B1 (ko) * 2021-07-05 2021-12-01 재단법인 산림힐링재단 행위중독예방 학습 스마트기기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reira et al. Survey and analysis of current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Bigham et al. Vizwiz: nearly real-time answers to visual questions
CN103123567A (zh) 在线学习应用程序
KR20140018329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rance et al. Enhancing fieldwork learning using mobile technologies
KR102248960B1 (ko) 인공지능 학습 플랫폼을 이용한 비즈니스 방법 및 시스템
TWI598855B (zh) 線上教學暨行動學習系統
Ogata et al. Ubiquitous Learning Log: What if we can log our ubiquitous learning
Kloss Android apps with app inventor: The fast and easy way to build android apps
Sadun The iPhone developer's cookbook: building applications with the iPhone 3.0 SDK
Figueiredo et al. Learning programming and electronics with augmented reality
KR20190046364A (ko) 온라인을 이용한 체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54610B1 (ko) 창작콘텐츠극 제작시스템
Hahn et al. Topic space: Rapid prototyping a mobile augmented reality recommendation app
Gleason Mobile technologies for every library
Kurniawan Intelligent IoT Projects in 7 Days
KR20150123013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장치
Chasapis et al. A prototype mobile application for the Athens Numismatic Museum
KR20230102566A (ko) 교육 콘텐츠의 반복 사용 횟수에 따른 마일리지 적립 방법 및 장치
Akopian et al. A template-based short course concept on android application development
KR20130107434A (ko) 스마트폰의 통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유아교육 정보 제공방법
CN112308744A (zh) 学习管理系统、用于处理数据的方法和装置
Honken et al. Building a sustainable mobile device strategy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stakeholder groups
KR101870507B1 (ko) 오답노트를 제공하는 데이터 활용시스템
Abeywardena Educational app development toolkit for teachers and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