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344A -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344A
KR20190046344A KR1020170140035A KR20170140035A KR20190046344A KR 20190046344 A KR20190046344 A KR 20190046344A KR 1020170140035 A KR1020170140035 A KR 1020170140035A KR 20170140035 A KR20170140035 A KR 20170140035A KR 20190046344 A KR20190046344 A KR 2019004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assembly
stabilizer
vehicle
link
ro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7033B1 (en
Inventor
서보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033B1/en
Publication of KR2019004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3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5Mounting of sub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bilizer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es: a stabilizer bar mounted on a sub-frame; and a stabilizer link unit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stabilizer bar and a strut assembly of the vehicle,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trut assembly upon rolling a vehicle body for a length thereof to be varied to absorb twisting of the stabilizer bar or for the stabilizer link unit to be vertically moved.

Description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0001]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 선회시 기계적으로 롤강성을 상승시키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abilizer apparatus which mechanically raises the roll stiffness when the vehicle is turned.

일반적으로 차량에 있어서 독립 현가장치를 적용할 경우에는 차량의 기울어진 자세에서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차체 롤(roll) 량을 제어하기 위해 스테빌라이저 바를 적용하여 롤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Generally, when an independent suspension is applied to a vehicle, the vehicle is in an unstable state in an inclined posture. Accordingly, a stirrer bar is applied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roll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roll stability.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는 차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부는 링크를 매개로 현가계통에 설치된다. 즉, 링크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양단부를 차체 측 현가계통의 부품인 쇽업쇼버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주행 중 차량의 거동 자세의 변화에 따른 롤 변위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반력 토크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abilizer bars are arrang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and both ends are installed in a suspension system via a link. That is, the link is provided so that both ends of the stirrer bar are firmly supported on a shock absorb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suspension system of the vehicle body sid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stirrer bar when the roll is displac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behavior posture of the vehicle during running,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torque.

따라서, 롤 변위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에 비틀림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링크에서는 스테빌라이저 바에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비틀림 방향으로 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복원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stirrer bar in the twisting direction at the time of roll displacement, the link provides a supporting force in a tors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stirrer bar so that the torsional restoring characteristic of the stabilizer bar can be realized do.

하지만, 종래의 스테빌라이저 바 시스템은 좌,우 휠이 동위상으로 작동시에는 승차감 향상 측면에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나, 좌,우 링크가 가변되지 않게 연결되어 있어 작은 스트로크의 위상차이에도 불구하고 스테빌라이저 바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승차감에 대한 불만이 제기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abilizer bar system, when the left and right wheels operate in the same phase, the torsion should not occur in terms of ride comfort, but the left and right links are connected so as not to vary, Torsion occurs in the stirrer bar, raising a complaint about the riding comfort of the driver.

이를 억제하기 위해, 스테빌라이저 바에 유압식 액츄에이터를 적용하여, 선회시 좌,우 휠에 서로 다른 힘을 전달하여 롤 강성을 선택적으로 높이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차량의 중량 및 원가를 상승시키고, 액츄에이터 구동시 발생하는 지연시간으로 인해 운전자가 이질감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uppress this, a hydraulic actuator is applied to the stabilizer bar to selectively increase the roll stiffness by transmitting different forces to the left and right wheels when turning. However, this increases the weight and cost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feels a sense of heterogeneity due to the delay time occurring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10-2010-0046487 AKR10-2010-0046487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선회시 기계적으로 길이를 가변하거나 스테빌라이저 링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중량 및 원가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선회시 롤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addle-type vehicle which can mechanically change its length or move the stabilizer link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vehicle is turn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tabilizer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는 서브프레임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 및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양단과 차량의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고, 차체 롤링 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그 길이가 가변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bilizer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stabilizer bar mounted on a subframe; And a stabilizer arranged to mutually connect the both ends of the stirrer bar and the strut assembly of the vehicle an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absorb twist of the stabilizer bar by rotating together with the strut assembly when the vehicle body is rolled, Link unit.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은, 일단이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타단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어퍼링크;와 일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어퍼링크의 제1나사부가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로어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abilizer link unit includes an upper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rut assembly and the other end having a first threaded portion, one end connected to the stirrer bar, and the other end configured to relatively rotate the first screw portion of the upper link And a lower link formed with a second threaded portion to be coupled therewith.

상기 제1나사부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부는 나머지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ale screw or a female thread, and the second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one shape.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은 연결된 차체 측에서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회전할 경우, 함께 회전하여 그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함께 회전하여 그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제1,2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abilizer link unit rotates together to shorten its length when the strut assembly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a rebound phenomenon occurs on the connected vehicle side, and when the strut assembly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은 일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와 연결되고, 타단이 브라켓과 결합된 링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에는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며,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stabilizer link unit includes a link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abilizer ba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racket, the strut assembly being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assembly and engaged with the bracket, And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bracket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회전력이 상기 링크부재의 상하방향 이동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assembly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rut assembly may be converted into a vertical movement force of the link member.

상기 가이드부는 연결된 차체 측에서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회전할 경우 상기 링크부재가 상승하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링크부재가 하강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ink member is raised when the strut assembly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a rebound phenomenon occurs in the connected body side and the link member is inclined to descend when the strut assembly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can do.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선회될 시 기계적으로 길이를 가변하거나 링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액추에이터를 적용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롤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중량 및 원가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abilizer system for a vehicl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is turned, it is mechanically varied in length or the link is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roll stiffness can be effectively improved without applying a separate actuator Weight, and cost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차량 좌회전 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biliz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bilizer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turned counterclockwis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bilizer link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ross section of the stabilizer link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cket and a stru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vehicle stabilizer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 좌회전 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biliz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biliz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turned counterclockwise.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는 서브프레임(70)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10); 및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의 양단과 차량의 스트러트 어셈블리(20)를 상호 연결하고, 차체 롤링 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의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그 길이가 가변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stabiliz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bilizer bar 10 mounted on a subframe 70; And a struc- turing device (10) for interconnecting both ends of the stabilizer bar (10) with the strut assembly (20) of the vehicle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trut assembly (20) And a stabilizer link unit 30 whose length is variable or vertically movable.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는 차량 서브 프레임(70)에 마운팅 부시를 통해 장착되도록 마련된다.The stabilizer bar 10 is mounted to the vehicle sub-frame 70 through a mounting bush.

본 발명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은 스테빌라이저 바(10)의 양단과 차량의 스트러트 어셈블리(20)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마련되고, 차량 주행 중 선회가 발생하여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회전하면, 상호 작용으로 인해 함께 회전하여 길이가 가변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에 전달되는 비틀림 강도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zer link unit 30 is provided to interconnect the both ends of the stabilizer bar 10 and the strut assembly 20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When the rotation of the stirrer bar 10 is changed, the length thereof is changed or moved up and down due to mutual action to absorb the torsional strength transmitted to the stirrer bar 10.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bilizer link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 cross-section of a stirrer link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와 연결되고, 타단에 제1나사부(32)가 형성된 어퍼링크(31);와 일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와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어퍼링크(31)의 제1나사부(32)가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나사부(34)가 형성된 로어링크(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stabilizer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zer link unit 3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trut assembly 2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upper link 3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abilizer bar 10 and the other end capable of relatively rotating the first screw portion 32 of the upper link 31 And a lower link 33 formed with a second screw portion 34 to be engaged therewith.

여기서, 상기 제1나사부(32)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부(34)는 나머지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screw portion 3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ale screw or a female screw,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34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선회할 경우,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데,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은 어퍼링크(31)와 로어링크(33)로 구분되기 때문에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와 연결된 어퍼링크(31)가 로어링크(33)를 기준으로 상대회전하게 된다.2, when the vehicle is turning, the strut assembly 20 rotates together with the wheel. Since the stabilizer link unit 30 is divided into the upper link 31 and the lower link 33 The upper link 31 connected to the strut assembly 20 is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link 33.

이러한 어퍼링크(31)의 상대회전으로 인해 제1나사부(32)가 로어링크(33)의 제2나사부(34)에 대해 회전하는데, 제1,2나사부(32,34)는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를 이루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상대회전할 경우, 어퍼링크(31)가 로어링크(33)를 기준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relative rotation of the upper link 31 causes the first screw portion 32 to rotate relative to the second screw portion 34 of the lower link 33.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2, The upper link 31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link 33 when the relative rotation is performed.

상기 어퍼링크(31)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력이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를 통해 연결된 차체로 전달되어, 롤(Roll) 반대 방향으로의 힘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롤(Roll) 현상을 억제하여 롤강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When the upper link 31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a mo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connected through the strut assembly 20, and can act as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oll. As a result, roll stiffness of the vehicle can be increased by suppressing roll phenomenon of the vehicle.

특히,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은 연결된 차체 측에서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회전할 경우, 함께 회전하여 그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함께 회전하여 그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제1,2나사부(32,34)가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strut assembly 20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a rebound phenomenon occurs on the connected vehicle side, the stabilizer link unit 30 rotates together to shorten its leng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2 and 34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2 and 34 are extended together.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좌회전하는 상황인 경우, 관성에 의해 차량은 우측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게 되어, 좌측륜에 리바운드, 우측륜에 범프가 일어나는 롤(Roll) 현상이 발생한다.For exampl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turning leftward as shown in FIG. 2,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moves to the right due to inertia, so that a rebound on the left wheel and a roll phenomenon in which bumps on the right wheel occur Occurs.

이때, 좌측에 구비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의 길이가 짧아지고, 우측에 구비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의 길이가 길어지면 롤(Roll)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stabilizer link unit 30 provided on the left side is shortened and the length of the stabilizer link unit 30 provided on the right side becomes long, the roll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따라서, 본 발명에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을 구성하는 어퍼링크(31) 및 로어링크(33)는 연결된 차체가 리바운드되는 방향으로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회전하면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제1,2나사부(32,34)를 형성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nk 31 and the lower link 33 constituting the stabilizer link unit 30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trut assembly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to which the connected body is rebounded,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2 and 34 are formed so that the length is shortened.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차량이 좌회전하여 좌측륜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도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트러트 어셈블리(20)와 고정연결된 상기 어퍼링크(31)는 시계방향으로 상대회전하게 된다. 이때, 차량은 좌회전 상태이기 때문에 차체 좌측에는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는바, 제1,2나사부(32,34)는 어퍼링크(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로어링크(3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좌회전시 좌측에 구비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좌측 차체에서 발생하는 리바운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2, when the vehicle turns left and the left wheel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strut assembly 20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upper link 31 fixedly connected to the strut assembly 20 The relative rotation is made in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vehicle is in the left-turn state, the rebound phenomenon occurs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2 and 34 come close to the lower link 33 when the upper link 31 rotates clockwise A thread is formed so a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FIG. Therefore, the length of the stabilizer link unit 30 provided on the left side at the time of left turning becomes short, and the rebound phenomenon occurring in the left vehicle body can be suppressed.

반면, 우측륜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러트 어셈블리(2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어퍼링크(31)가 시계방향으로 상대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우측 차체에는 범프 현상이 발생하는바, 범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제1,2나사부(32,34)는 어퍼링크(31)가 로어링크(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ight wheel also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strut assembly 20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upper link 31 relatively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the bump phenomenon occurs in the right- In order to suppress the bump phenomen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2 and 34 are threaded so that the upper link 31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ower link 33.

만약, 차량이 우회전하게 된다면 좌측륜에 구비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은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좌측 차체에서의 범프현상을 억제하고, 우측륜에 구비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은 길이가 짧아져 차체 우측에서 발생하는 리바운드 현상을 억제하여 전체적인 차량 롤(Roll)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f the vehicle is turned to the right, the stabilizer link unit 30 provided on the left wheel becomes longer, thereby suppressing the bump phenomenon in the left vehicle body, and the stabilizer link unit 30 provided on the right wheel has a length The rebound phenomenon occurring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can be suppressed and the overall roll strength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 차륜에 각각 구비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은 서로 제1,2나사부(32,34)의 나사산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액츄에이터를 적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차량 선회시 차량 롤(Roll)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abilizer link units 30 provided on both wheels are formed such that the thread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hreaded portions 32 and 34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roll strength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turned without mechanically applying a separate actuator.

설계자는 상기 제1,2나사부(32,34)의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의 길이 변동량을 조절하여 롤 강성을 손쉽게 변동시킬 수 있다.The designer can easily change the roll stiffness by adjusting the variation of the length of the stabilizer link unit 30 by adjusting the pitch of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2 and 34. [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30)은 일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와 연결되고, 타단이 브라켓(35)과 결합된 링크부재(미도시);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에는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35)과 결합되며,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브라켓(35)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3)가 형성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acket and a stru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stabilizer link unit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bilizer link unit 3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abilizer bar 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bracket 35, The strut assembly 20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assembly 20 and is coupled to the bracket 35. The bracket 35 is vertic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trut assembly 20, And a guide portion 23 for guiding to slide can be formed.

도 5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링크부재는 브라켓(35)에 형성된 홀에 타단이 결합되도록 마련된다.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FIG. 5, the link member is provided such that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a hole formed in the bracket 35.

특히, 상기 가이드부(23)는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의 회전력이 상기 링크부재(미도시)의 상하방향 이동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guide portion 23 may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assembly 20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rut assembly 20 is converted into the upward and downward force of the link member (not shown) have.

즉, 차량 선회로 인해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회전하면, 스트러트 어셈블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부(23)를 따라 브라켓(35)이 대각선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브라켓(35)과 결합된 링크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스테빌라이저 바(10)에 비틀림력을 흡수하는 힘을 전달한다.That is, when the strut assembly 20 rotates due to vehicle turning, the bracket 35 slides diagonally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guide portion 2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assembly 20, To transmit the force to absorb the torsional force to the stabilizer bar 10 while raising or lowering the link member.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23)는 연결된 차체 측에서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회전할 경우 상기 링크부재가 상승하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링크부재가 하강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trut assembly 20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bound phenomenon occurs on the side of the connected vehicle body, the link member rises and the strut assembly 2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link member may be inclined to descend.

차량이 좌회전할 경우, 좌측 차륜과 좌측 스트러트 어셈블리(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링크부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려하기 때문에 브라켓(35)이 가이드부(23)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23)는 링크부재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됨으로써, 차체의 롤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When the vehicle is turned to the left, the left wheel and the left strut assembly 20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link member tries to keep the fixed state, so that the bracket 35 slides along the guide portion 23.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23 is formed to move the link member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roll phenomen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reduced.

또한, 우측 차륜 측에 구비된 가이드부(23)는 스트러트 어셈블리(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링크부재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롤(Roll) 현상을 저감시킨다.Further, the guide portion 23 provided on the right wheel side is formed so that the link member is moved in the descending direction when the strut assembly 2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reby reducing roll phenomen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에 따르면, 차량이 선회될 시 기계적으로 길이를 가변하거나 링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액추에이터를 적용하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롤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중량 및 원가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abilizer system for a vehicl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is turned, it is mechanically varied in length or the link is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roll stiffness can be effectively improved without applying a separate actuator Weight, and cost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스테빌라이저 바
20: 스트러트 어셈블리
23: 가이드부
30: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
31: 어퍼링크
32: 제1나사부
33: 로어링크
34: 제2나사부
35: 브라켓
70: 서브프레임
10: Stabilizer bar
20: Strut assembly
23: guide portion
30: stabilizer link unit
31: Upper link
32: first threaded portion
33: Lower Link
34: second threaded portion
35: Bracket
70: subframe

Claims (7)

서브프레임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바; 및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양단과 차량의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고, 차체 롤링 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을 흡수하도록 그 길이가 가변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A stabilizer bar mounted on the subframe; And
A stabilizer link provided to mutually connect both ends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strut assembly of the vehicle an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absorb twist of the stabilizer bar by rotating together with the strut assembly when the vehicle body is rolled, And a unit for driving the stabiliz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은, 일단이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타단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어퍼링크;와
일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어퍼링크의 제1나사부가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로어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bilizer link unit includes: an upper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rut assembly and the other end having a first threaded portion;
And a lower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abilizer bar and the other end coupled with the first screw portion of the upper link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부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부는 나머지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threaded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male screw or a female screw, and the second threaded portion is formed in the remaining one shap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은 연결된 차체 측에서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회전할 경우, 함께 회전하여 그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함께 회전하여 그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제1,2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tabilizer link unit rotates together to shorten its length when the strut assembly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a rebound phenomenon occurs on the connected vehicle side, and when the strut assembly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ar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screw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 유닛은 일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와 연결되고, 타단이 브라켓과 결합된 링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에는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며,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bilizer link unit comprises a link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tabilizer ba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bracket,
Wherein the strut assembly includes a guide portion install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assembly and coupled to the bracket and guiding the bracket to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f the strut assemb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회전력이 상기 링크부재의 상하방향 이동력으로 전환되도록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guide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assembly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rut assembly is converted into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force of the link memb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연결된 차체 측에서 리바운드 현상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회전할 경우 상기 링크부재가 상승하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링크부재가 하강하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ink member is raised when the strut assembly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a rebound phenomenon occurs in the connected body side and the link member is inclined to descend when the strut assembly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 vehicle stabilizer device.
KR1020170140035A 2017-10-26 2017-10-26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 KR1024970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35A KR102497033B1 (en) 2017-10-26 2017-10-26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35A KR102497033B1 (en) 2017-10-26 2017-10-26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44A true KR20190046344A (en) 2019-05-07
KR102497033B1 KR102497033B1 (en) 2023-02-07

Family

ID=6665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035A KR102497033B1 (en) 2017-10-26 2017-10-26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0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791A (en) 2022-01-05 2023-07-12 박종배 Method of manufacturing stabilizer beam by using doubled steel pipe and stabilizer beam manufactured of the same
KR20230105792A (en) 2022-01-05 2023-07-12 박종배 Method of manufacturing hydraulic cylinder beam by using doubled steel pipe and hydraulic cylinder beam manufactured of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3013A (en) * 2004-11-19 2006-06-08 Toyota Motor Corp Steering retention force adjusting mechanism
KR20080023435A (en) * 2006-09-11 2008-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ink of stabilizer for vehicle
KR20100046487A (en) 2008-10-27 201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stabilizer bar
KR20130056642A (en) * 2011-11-22 2013-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isplacement adjusting apparatus of stabilizer-bar link
KR20140055270A (en) * 2012-10-31 2014-05-09 대원강업주식회사 Universal link for testing durability of stabilizer bar
KR20140073134A (en) * 2012-12-06 2014-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ehicle body stability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3013A (en) * 2004-11-19 2006-06-08 Toyota Motor Corp Steering retention force adjusting mechanism
KR20080023435A (en) * 2006-09-11 2008-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ink of stabilizer for vehicle
KR20100046487A (en) 2008-10-27 201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stabilizer bar
KR20130056642A (en) * 2011-11-22 2013-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isplacement adjusting apparatus of stabilizer-bar link
KR20140055270A (en) * 2012-10-31 2014-05-09 대원강업주식회사 Universal link for testing durability of stabilizer bar
KR20140073134A (en) * 2012-12-06 2014-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Vehicle body stability control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791A (en) 2022-01-05 2023-07-12 박종배 Method of manufacturing stabilizer beam by using doubled steel pipe and stabilizer beam manufactured of the same
KR20230105792A (en) 2022-01-05 2023-07-12 박종배 Method of manufacturing hydraulic cylinder beam by using doubled steel pipe and hydraulic cylinder beam manufacture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033B1 (en)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00B1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6435417B2 (en) Multiple support point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US10054203B2 (en) Rotational inerters
US8562009B2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CN110023117B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US20230347704A1 (en) Stabilizer for vehicle
KR101284346B1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KR20190046344A (en) Stabilizer apparatus for vehicle
KR20110056988A (en) Stabilizer bar assembly for vehicle
KR100521217B1 (en) front suspension structure of vehicle
JP2009227004A (en) Suspension device
KR101640680B1 (en) Damper device of suspension system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suspension system apparatus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585425B1 (en) Stabilizer-bar having variable stiffness for vehicle
KR20130062138A (en) Stabilizer device for vehicle
KR102542943B1 (en) Variable roll stiffness device of vehicle
KR102213288B1 (en) Stabilizer for vehicle
KR101284339B1 (en) Sliding unit for active roll control system
KR101918347B1 (en) Variable roll stiffness device of vehicle
KR102074645B1 (en) Dual Void Type Bush and Multi-link Suspension
KR102654153B1 (en) Vehicle body control apparatus
KR101284340B1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KR20150069840A (en) Multi-link type suspension
KR20090040058A (en) Specifical external force connected device for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in vehicle
KR100580486B1 (en) Suspension having double function element in vehicle
JP2012111250A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reducing braking bias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