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091A - 거실제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실제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091A
KR20190046091A KR1020170139254A KR20170139254A KR20190046091A KR 20190046091 A KR20190046091 A KR 20190046091A KR 1020170139254 A KR1020170139254 A KR 1020170139254A KR 20170139254 A KR20170139254 A KR 20170139254A KR 20190046091 A KR20190046091 A KR 2019004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amount
damper
exhaust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Priority to KR102017013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091A/ko
Publication of KR2019004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 전이나 화재 후에,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와 통신함으로써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각각을 개폐 작동시키고 그 개폐 상태를 댐퍼식별번호별로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구동기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개폐신호 또는 기류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한 스케줄과 불일치하는 개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연댐퍼 존재를 경고하거나 고장진단을 경고하고 해당 재연댐퍼의 개폐 작동을 상기한 스케줄과 일치하도록 자동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전이나 화재 후에,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제연댐퍼 각각이 정상 개폐 작동하는지를 경고하거나 고장진단을 경고함으로써 제연댐퍼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정상 작동 상태로 쉽게 정정할 수 있고, 고장발생 시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해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실제연 시스템{Smoke control system for living room}
본 발명은 거실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제연구역 또는 제연구역 내에 설치된 댐퍼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고 거실제연을 위하여 제연구역으로 공급되는 송풍량을 제어하는 거실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실제연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하는 화재실(이하, 제연구역이라 함)에서 화재경보가 울리면 제연구역의 제연경계 아랫부분에 설치된 급기 덕트와 연결된 급기 송풍기를 작동하여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제연구역의 상부에 설치된 배기 덕트와 연결된 배기 송풍기로 화재연기를 배출하여 연기층의 하강을 지연함으로써 연기와 열기를 피해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도모하고 소방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거실제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로서, 거실제연을 위해 개폐 작동하도록 건물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제연구역(예컨대, A구역, B구역 등)별로 설치되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에 배치되는 제연댐퍼(101,102,103,104,201,202,203,204,301,302,401,402)와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하여 상기 제연구역으로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급기 송풍기(C01) 및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하여 상기 제연구역으로부터의 배기량을 제어하는 배기 송풍기(C0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거실제연 시스템은 제어기(C04)가 구동기(C03)를 작동시켜 화재 신호 전과 화재 시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제연댐퍼를 개방(Open) 또는 패쇄(Close) 상태로 제어한다.
종래의 거실제연 시스템은 도시 건물의 고밀도화, 집적화, 고층화에 따라 대형화 또는 입체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종래의 거실제연 시스템의 구성품들은 대형 공간을 형성하는 건물의 반자와 천장 사이의 공기조화설비, 환기설비, 설비배관 및 소화설비 배관, 전기설비 및 전선트레이, 통신을 위한 통신선로 등과 같은 다양한 설비와 함께 입체적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한편, 건축설계에서는 건축비의 절감을 위하여 반자와 천장 사이의 높이를 최소화하고 건물 내 재실자를 위한 설비의 공간 배열과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거실제연을 위한 주 덕트는 대부분 공기조화설비와 겸용으로 사용하고 분지 덕트는 필요에 따라 공기조화와 거실제연의 겸용 또는 거실제연 전용으로 설치한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거실제연 시스템은 평소에는 공기조화설비의 주 덕트와 분지 덕트는 공기조화의 기능을 수행하다가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한 주 덕트와 겸용 또는 전용 분지 덕트에 설치된 제연댐퍼(예컨대, SMD, Smoke Motorized Damper)가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개방(Open) 또는 패쇄(Close) 상태로 작동하여 제연구역을 이루며, 급기 또는 배기를 위하여 공기조화기의 급배기용 송풍기를 사용하거나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송풍기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용도가 적합하지 않는 경우 거실제연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의 거실제연용 급배기 송풍기를 설치하여 화재 시 연동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다른 한편, 신축 건물의 준공 시에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설계도서의 제연구역 확인 후 제연구역별 급기량과 배기량이 설계 성능 이상인지 확인을 위하여 거실제연의 성능 시험절차는 아래와 같이 수행되며, 준공 후 소방시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법적으로 매년 2회에 걸쳐 성능의 적정 유지 여부를 소방시설관리 전문 업체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거실제연의 성능 시험절차]
1. 화재신호가 울리지 않은 평상상태에서 공기조화 또는 환기시스템이 적절하도록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른 재연댐퍼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한다.
2. 제연구역별로 화재신호를 주어 화재신호가 주어진 제연구역에만 급기 및 배기가 되고 있는지를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른 재연댐퍼 작동상태(화재시 재연댐퍼 작동상태) 확인을 위하여 타 제연구역에 누기 또는 급기 및 배기 기구에 급기와 배기가 되는 현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3. 화재 신호가 울린 제연구역별 급기량과 배기량의 성능이 국가화재안전기준이 정한 공기량 이상인지 확인을 한다.
4. 거실제연을 위한 모든 제연구역을 대상으로 위의 절차를 수행 후 국가화재안전기준의 규정 이상의 성능이 확보되었음을 확인 후 문서를 작성하여 소방서에 보고하여야 한다.
참고로, 거실제연의 성능 시험에 있어서, 현재 하나의 건물 또는 다수의 건물의 대형 지하상가에 다수의 제연구역 중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해당하는 제연구역을 구성하는 급기 및 배기 덕트 내 제연댐퍼의 식별번호에 따른 작동을 노멀 클로즈(Normal Close) 또는 노멀 오픈(Normal Open) 상태로 정하고, 화재신호가 울리면 화재신호가 발신된 제연구역에만 급기 및 배기덕트 내 제연댐퍼의 식별번호에 따라 개방(OPEN) 또는 패쇄(CLOSE) 상태로 작동을 정하는 것을 제연댐퍼 스케줄 또는 스케줄 리스트(Schedule List)라 한다.
상기와 같은 거실제연의 성능 시험 수행 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신축 건물의 소방 준공을 앞두고 제연 TAB(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 수행 시, 평소 공기조화상태에서 제연댐퍼 스케쥴 리스트(댐퍼식별번호 순서)에 따라 화재 신호 전 제연댐퍼의 상태가 노멀 클로즈(Normal Close) 또는 노멀 오픈(Normal Open)인지를 확인하고 제연구역용 제연댐퍼 작동상태의 적정 여부를 확인하고 맞지 않는 제연댐퍼는 그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제연댐퍼에 대하여 설정된 열림과 닫힘 상태대로 작동되도록 모든 제연댐퍼를 번호 순서대로 반드시 확인 및 수정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처럼, 제연댐퍼의 식별번호별 작동 확인 시 송풍기를 가동하여 공조상태에서의 제연댐퍼 열림과 닫힘 상태 확인은 가벼운 반짝이 실 등을 기구 입구에 위치하여 흡입과 배출 상태를 확인하고 스케쥴 리스트와 맞지 않는 제연댐퍼는 시험작업자가 반자위로 올라가 해당 식별번호의 제연댐퍼를 찾아 작동 셋팅을 변경하거나 결선을 변경하여야 하며, 이러한 상태가 완료되기 위하여서는 위의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확인이 되어야 한다.
이처럼 공조상태에서 스케줄 리스트에 따른 제연댐퍼 열림과 닫힘 상태 확인이 완료되면, 제연구역별로 화재신호를 주어 동일한 방법으로 제연구역과 그 주변의 제연댐퍼의 식별번호별로 기류흐름을 확인하는 작업이 건물 전체에 대한 제역구역의 구획이 완전하게 이루어짐을 확인할 때까지 반복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는 화재신호 발신 제연구역에 스케쥴 리스트에 따라 식별번호 순서대로 급기와 배기의 제연댐퍼가 열림과 닫힘 상태로 작동하도록 작동신호만 주어지고 있다.
따라서 거실제연의 성능 확인 시에는 상기한 평소 공기조화상태에서 스케쥴 리스트(댐퍼식별번호 순서)에 따른 화재 신호 전 제연댐퍼의 작동상태와 화재 시 스케줄 리스트에 따른 제연댐퍼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을 반드시 반복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거실제연 시스템은 화재실의 제연댐퍼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타 제연구역의 제연댐퍼 제어가 불가능하다.
특히, 화재 신호 전과 화재 시 스케줄 리스트에 따른 제연댐퍼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은 실제 대형 지하상가와 같은 경우 천정고가 높으며 빛이 차단된 암흑 속에서 다수 설비의 교차와 배열이 된 공간에서 수행되므로 제연댐퍼의 식별번호 순서대로 해당 제연댐퍼를 찾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힘들고 공간의 구성에 따라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으며, 특히 추락에 따른 인명의 사상이 발생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작업이고, 실제로는 대공간에 층고가 높은 경우 제연구역의 구획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상기한 화재 신호 전과 화재 시 스케줄 리스트에 따른 제연댐퍼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제연구역별로 국가화재안전기준의 급기 및 배기량의 송풍량이 측정하여 성능이 법적 설계 풍량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현재는 제연구역별 송풍량 측정은 위에서 설명한 환경에서 제연구역별로 직관 덕트의 적정한 위치를 설정하여 반자 위 덕트에 피토관(Pitot tube)으로 송풍량을 측정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태가 대부분이며 실제적으로 측정된 결과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뿐만 아니라 매년 2회 정기적으로 종합정밀점검과 작동기능점검을 하여야 하나 할 수 없어서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작업의 위험성이 따른다.
KR 10-2014-0140760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전이나 화재 후에,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와 통신함으로써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각각을 개폐 작동시키고 그 개폐 상태를 댐퍼식별번호별로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구동기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개폐신호 또는 기류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한 스케줄과 불일치하는 개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연댐퍼 존재를 경고하거나 고장진단을 경고하고 해당 재연댐퍼의 개폐 작동을 상기한 스케줄과 일치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거실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풍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거나 상기 급기량측정기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여 급기풍량가변기 또는 배기풍량가변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을 자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에 대한 수동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급기풍량가변기 또는 배기풍량가변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을 수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하는 거실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상기 풍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제연구역에 대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상기 급기량측정기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과 비교하여 건물의 제연구역 전체 또는 제연구역별 누설량의 적정성 또는 제연구역에 배치된 제연댐퍼의 작동 적정성 여부를 판별하는 거실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연구역 내부 상황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 내부 상황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거실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은, 거실제연을 위해 개폐 작동하도록 건물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제연구역별로 설치되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에 배치되는 제연댐퍼와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하여 상기 제연구역으로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급기 송풍기 및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하여 상기 제연구역으로부터의 배기량을 제어하는 배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거실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해당 제연댐퍼의 개폐 상태를 알리는 개폐신호를 출력하거나 해당 제연댐퍼 주변에서 기류가 감지되면 기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류감지기; 및 화재 전이나 화재 후에,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와 통신함으로써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각각을 개폐 작동시키고 그 개폐 상태를 댐퍼식별번호별로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구동기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개폐신호 또는 상기 기류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한 스케줄과 불일치하는 개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연댐퍼 존재를 경고하거나 고장진단을 경고하고 해당 재연댐퍼의 개폐 작동을 상기한 스케줄과 일치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급기 덕트에서 급기량을 측정하거나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배기 덕트에서 배기량을 측정하는 풍량측정기와; 상기 급기 송풍기의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서 급기량을 측정하는 급기량측정기; 및 상기 배기 송풍기의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서 배기량을 측정하는 배기량측정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풍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거나 상기 급기량측정기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여 급기풍량가변기 또는 배기풍량가변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을 자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에 대한 수동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급기풍량가변기 또는 배기풍량가변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을 수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풍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제연구역에 대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상기 급기량측정기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과 비교하여 건물의 제연구역 전체 또는 제연구역별 누설량의 적정성 또는 제연구역에 배치된 제연댐퍼의 작동 적정성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별 연기층 높이 또는 연기 농도를 감시하는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와 통신함으로써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연구역 내부 상황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 내부 상황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연댐퍼 각각에 대한 개폐 작동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정해진 스케줄과 상관없이 제연댐퍼 각각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전이나 화재 후에,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제연댐퍼 각각이 정상 개폐 작동하는지를 경고하거나 고장진단을 경고함으로써 제연댐퍼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정상 작동 상태로 쉽게 정정할 수 있고, 고장발생 시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해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시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여 쉽게 급기 송풍기 또는 배기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제연구역에서 거실제연에 필요한 설정 풍량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연구역에 대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급기 송풍기 또는 배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배기량과 비교함으로써 건물의 제연구역 전체 또는 제연구역별 누설량의 적정성 또는 제연구역에 배치된 제연댐퍼의 작동 적정성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별 연기층 높이 또는 연기 농도를 감시카메라를 통해 감시하여 정해진 스케줄과 상관없이 제연댐퍼 각각의 개폐 작동 및 급기 송풍기 또는 배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시의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제연구역 또는 타 제연구역에서 연기나 화재의 확산을 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거실제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은 제연댐퍼(101,102,103,104,201,202,203,204,301,302,401,402)와 급기 송풍기(C01), 배기 송풍기(C02), 기류감지기(a01,a02,a03,b01,b02,b03,c01,c02,c03,d01,d02,d03), 풍량측정기(501,502,601,602), 급기량측정기(503,504), 배기량측정기(603,604), 감시카메라(701,702), 구동기(C03), 표시장치(C03') 및 제어기(C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은 상기 제어기(C04)에 의해 구동하여 급기 송풍기(C01)의 풍량을 조절하는 급기풍량가변기(C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은 상기 제어기(C04)에 의해 구동하여 배기 송풍기(C02)의 풍량을 조절하는 배기풍량가변기(C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연댐퍼(101,102,103,104,201,202,203,204,301,302,401,402)는 거실제연을 위해 개폐 작동하도록 건물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제연구역(예컨대, A구역, B구역 등)별로 설치되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에 배치되어 개폐 작동한다.
상기 급기 송풍기(C01)는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하여 상기 제연구역으로의 급기량을 제어한다.
상기 배기 송풍기(C02)는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하여 상기 제연구역으로부터의 배기량을 제어한다.
상기 기류감지기(a01,a02,a03,b01,b02,b03,c01,c02,c03,d01,d02,d03)는 상기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해당 제연댐퍼의 개폐 상태를 알리는 개폐신호를 출력하거나 해당 제연댐퍼 주변에서 기류가 감지되면 기류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기류감지기(a01,a02,a03,b01,b02,b03,c01,c02,c03,d01,d02,d03)는, 예컨대 제연댐퍼가 열리면 온되고 닫히면 오프되는 리드스위치로 해당 제연댐퍼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면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로 구별되는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전송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풍량측정기(501,502,601,602)는 상기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급기 덕트에서 급기량을 측정하거나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배기 덕트에서 배기량을 측정한다.
상기 급기량측정기(503,504)는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서 급기량을 측정한다.
상기 배기량측정기(603,604)는 상기 배기 송풍기(C02)의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서 배기량을 측정한다.
상기 감시카메라(701,702)는 상기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별 연기층 높이 또는 연기 농도를 감시한다.
상기 제어기(C04)는 화재 전이나 화재 후에,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C03)와 통신함으로써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각각을 개폐 작동시키고 그 개폐 상태를 댐퍼식별번호별로 표시장치(C03')에 표시하고, 상기 구동기(C03)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개폐신호 또는 상기 기류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한 스케줄과 불일치하는 개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연댐퍼 경고하거나 고장진단을 경고하고 해당 재연댐퍼의 개폐 작동을 상기한 스케줄과 일치하도록 자동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C04)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C03)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풍량측정기(501,502,601,602)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거나 상기 급기량측정기(503,504)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603,604)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여 급기풍량가변기(C01') 또는 배기풍량가변기(C02')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C02)의 배기량을 자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C04)는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C02)의 배기량에 대한 수동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급기풍량가변기(C01') 또는 배기풍량가변기(C02')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을 수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C04)는 상기 풍량측정기(501,502,601,602)에 의해 측정된 제연구역에 대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상기 급기량측정기(503,504)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603,604)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과 비교하여 건물의 제연구역 전체 또는 제연구역별 누설량의 적정성 또는 제연구역에 배치된 제연댐퍼의 작동 적정성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제어기(C04)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C03)와 통신함으로써 감시카메라(701,702)에 의해 촬영된 제연구역 내부 상황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 내부 상황을 표시장치(C03')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기(C04)는 제연댐퍼 각각에 대한 개폐 작동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정해진 스케줄과 상관없이 제연댐퍼 각각의 개폐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표시장치(C03')는 LCD 표시장치, LED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C03')는 마이크나 스피커를 추가함으로써 음성인식서비스 혹은 음성출력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터치 스위치 혹은 화면상의 소프트버튼을 입력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C03')는 화재 발생 신고 혹은 구호 요청을 위한 긴급통화버튼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C03')는 화재 발생 시 점등 혹은 점멸 작동하여 화재대피 비상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2는 2개의 제연구역 A구역, B구역으로 이루어진 건물의 어느 한층을 예시한다.
도 2의 급기 송풍기(C01)는 급기 덕트를 통해 제연구역을 이루는 A구역과 B구역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한다.
A구역의 분지 급기덕트에는 제연댐퍼 101, 102가 배치되어 기류감지기 a01, a02에 의해 제연댐퍼 101, 102의 개폐 상태가 감지되거나 기류가 감지되고, B구역의 분지 급기덕트에는 제연댐퍼 103,104가 배치되어 기류감지기 b01, b02에 의해 제연댐퍼 103, 104의 개폐 상태가 감지되거나 기류가 감지된다.
A구역의 주 급기덕트에는 제연댐퍼 301이 배치되어 기류감지기 a03에 의해 제연댐퍼 301의 개폐 상태가 감지되거나 기류가 감지되고, B구역의 주 급기덕트에는 제연댐퍼 302가 배치되어 기류감지기 b03에 의해 제연댐퍼 302의 개폐 상태가 감지되거나 기류가 감지된다.
A구역의 주 급기덕트에는 풍량측정기 501이 배치되어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급기 덕트에서 급기량을 측정하고, B구역의 주 급기덕트에는 풍량측정기 502가 배치되어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급기 덕트에서 급기량을 측정한다.
도 2의 상기 급기 송풍기(C01)는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서 급기량측정기 503 또는 504가 급기량을 측정한다.
도 2의 배기 송풍기(C02)는 배기 덕트를 통해 제연구역을 이루는 A구역과 B구역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한다.
A구역의 분지 배기덕트에는 제연댐퍼 201, 202가 배치되어 기류감지기 c01, c02에 의해 제연댐퍼 201, 202의 개폐 상태가 감지되거나 기류가 감지되고, B구역의 분지 배기덕트에는 제연댐퍼 203,204가 배치되어 기류감지기 d01, d02에 의해 제연댐퍼 203, 204의 개폐 상태가 감지되거나 기류가 감지된다.
A구역의 주 배기덕트에는 제연댐퍼 401이 배치되어 기류감지기 c03에 의해 제연댐퍼 401의 개폐 상태가 감지되거나 기류가 감지되고, B구역의 주 배기덕트에는 제연댐퍼 402가 배치되어 기류감지기 d03에 의해 제연댐퍼 402의 개폐 상태가 감지되거나 기류가 감지된다.
A구역의 주 배기덕트에는 풍량측정기 601이 배치되어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배기 덕트에서 배기량을 측정하고, B구역의 주 배기덕트에는 풍량측정기 602가 배치되어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배기 덕트에서 배기량을 측정한다.
도 2의 상기 배기 송풍기(C02)는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서 배기량측정기 603 또는 604가 배기량을 측정한다.
도 2에서는 2개의 제연구역 A구역, B구역에 각각 설치된 감시카메라 701, 702가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별 연기층 높이 또는 연기 농도를 감시한다.
화재 전이나 화재 후에, 상기 제어기(C04)는 미리 정한 스케줄(예컨대, 화재 전 공조용 스케줄이나 화재 후 거실제연 스케줄)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C03)와 통신함으로써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각각을 개폐 작동시키고 그 개폐 상태를 댐퍼식별번호별로 표시장치(C03')에 표시한다.
도 2의 경우, 제연구역 A구역, B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각각이 상기 제어기(C04)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제어기(C04)는 상기 구동기(C03)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개폐신호 또는 상기 기류감지신호에 근거에 근거하여 상기한 스케줄과 불일치하는 개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연댐퍼 존재를 경고하고 해당 재연댐퍼의 개폐 작동을 상기한 스케줄과 일치하도록 자동 제어한다.
예컨대, 화재 시 도 2의 제연구역 A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101, 102, 301 중 101이 화재 시 스케줄에 따라 개방(open) 상태여야 하는데 패쇄(close) 상태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C04)는 제연댐퍼 101을 패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자동 제어한다.
이때, 상기 개폐신호는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로 구별되고, 상기 제어기(C04)는 상기 구동기(C03)를 경유하여 상기 열림신호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류감지신호를 전달받지 못하거나, 상기 닫힘신호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상기 기류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상기한 스케줄과 불일치하는 개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연댐퍼, 예컨대 상기한 101에 대하여 고장점검을 경고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C04)는 제연댐퍼 각각에 대한 시스템 관리자의 개폐 작동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정해진 스케줄과 상관없이 제연댐퍼 각각의 개폐 작동을 변경 명령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재 시 도 2의 제연구역 A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101, 102, 301 중 101이 화재 시 스케줄에 따라 개방(open) 상태여야 하는데 패쇄(close) 상태로 표시된 후 상기 제어기(C04)에 의해 패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자동 변경되지 않은 경우, 시스템 관리자의 개폐 작동 변경 명령에 의해 상기 제어기(C04)는 제연댐퍼 101을 패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어기(C04)는 제연댐퍼 각각이 정상 개폐 작동하는지를 경고하거나 고장진단을 경고함으로써 제연댐퍼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정상 작동 상태로 쉽게 정정할 수 있고, 고장발생 시 신속한 유지보수를 통해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화재 시 상기 제어기(C04)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C03)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풍량측정기(501,502,601,602)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거나 상기 급기량측정기(503,504)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603,604)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여 급기풍량가변기(C01') 또는 배기풍량가변기(C02')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C02)의 배기량을 자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한다.
예컨대, 화재 시 도 2의 A구역의 주 급기덕트에 배치된 풍량측정기 501 또는 B구역의 주 급기덕트에 배치된 풍량측정기 502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을 근거하거나,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 배치된 급기량측정기 503 또는 504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을 근거하여 급기풍량가변기(C01')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급기량을 자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가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C02)의 배기량에 대한 수동 변경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기(C04)는 급기풍량가변기(C01') 또는 배기풍량가변기(C02')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을 수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한다.
이처럼, 상기 제어기(C04)가 화재 시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여 쉽게 급기 송풍기(C01) 또는 배기 송풍기(C02)의 작동을 제어하면 제연구역에서 거실제연에 필요한 설정 풍량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C04)는 상기 풍량측정기(501,502,601,602)에 의해 측정된 제연구역에 대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상기 급기량측정기(503,504)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603,604)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과 비교하여 건물의 제연구역 전체 또는 제연구역별 누설량의 적정성 또는 제연구역에 배치된 제연댐퍼의 작동 적정성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만약 도 2의 A구역에 화재가 발생하여 현재 제연구역을 이루고 B구역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예상제연구역이라고 가정한다면, A구역의 주 급기덕트에 배치된 풍량측정기 501이 제연댐퍼 101, 102, 301의 개폐 작동 중 제연구역 A구역에서 측정한 급기량이 B구역의 주 급기덕트에 배치된 풍량측정기 502가 제연댐퍼 103, 104, 302의 개폐 작동 중 예상제연구역 B구역에서 측정한 급기량보다 큰 것이 정상이고,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 배치된 급기량측정기 503 또는 504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과 비교하였을 때, 상기 급기 송풍기(C01)의 급기량이 현재 제연구역 A구역으로 급기되고 현재 화재실이 아닌 예상제연구역 B구역으로는 급기되지 않아야 정상이다.
하지만, 현재 화재실이 아닌 예상제연구역 B구역에서 풍량측정기 502가 제연댐퍼 103, 104, 302의 개폐 작동 중 측정한 급기량이 현재 화재실인 A구역으로의 급기량보다 크거나 정해진 기준값 이상으로 판정된다면 예상제연구역 B구역에 기준값 이상의 누설량이 발생하였거나 B구역에 배치된 제연댐퍼 103, 104, 302 중 어느 하나 이상, 혹은 전부가 불량 작동 혹은 오작동하는 것임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제연구역에 대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급기 송풍기(C01) 또는 배기 송풍기(C02)의 급기량이나 배기량과 비교함으로써 건물의 제연구역 전체 또는 제연구역별 누설량의 적정성 또는 제연구역에 배치된 제연댐퍼의 작동 적정성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C04)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C03)와 통신함으로써 감시카메라(701,702)에 의해 촬영된 제연구역 내부 상황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 내부 상황을 표시장치(C03')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2의 현재 화재실인 제연구역 A구역의 감시카메라 701이 연기층 높이 또는 연기 농도를 감시하고, 현재 화재실이 아닌 예상제연구역 B구역의 감시카메라 702가 내부 상황을 감시하는 동안,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예상제연구역 B구역에 연기 침투가 감시되었다면, 시스템 관리자의 개폐 작동 변경 명령에 의해 상기 제어기(C04)는 예상제연구역 B구역에서 정해진 스케줄과 상관없이 제연댐퍼 각각의 개폐 작동 및 급기 송풍기(C01) 또는 배기 송풍기(C02)의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시의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예상제연구역 B구역에서 연기나 화재의 확산을 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거실제연 시스템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1,102,103,104,201,202,203,204,301,302,401,402: 제연댐퍼
501,502,601,602: 풍량측정기 503,504: 급기량측정기
603,604: 배기량측정기 701,702: 감시카메라
a01,a02,a03,b01,b02,b03,c01,c02,c03,d01,d02,d03: 기류감지기
CO1: 급기 송풍기 C01': 급기풍량가변기
C02: 배기 송풍기 CO2': 배기풍량가변기
C03: 구동기 C03': 표시장치
C04: 제어기

Claims (5)

  1. 거실제연을 위해 개폐 작동하도록 건물의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제연구역별로 설치되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에 배치되는 제연댐퍼와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하여 상기 제연구역으로의 급기량을 제어하는 급기 송풍기 및 화재 시 거실제연을 위하여 상기 제연구역으로부터의 배기량을 제어하는 배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거실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해당 제연댐퍼의 개폐 상태를 알리는 개폐신호를 출력하거나 해당 제연댐퍼 주변에서 기류가 감지되면 기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류감지기; 및
    화재 전이나 화재 후에,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와 통신함으로써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된 상기 제연댐퍼 각각을 개폐 작동시키고 그 개폐 상태를 댐퍼식별번호별로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구동기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상기 개폐신호 또는 상기 기류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상기한 스케줄과 불일치하는 개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연댐퍼 존재를 경고하거나 고장진단을 경고하고 해당 재연댐퍼의 개폐 작동을 상기한 스케줄과 일치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제어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제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연댐퍼의 개폐 작동 중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급기 덕트에서 급기량을 측정하거나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으로 통하는 배기 덕트에서 배기량을 측정하는 풍량측정기와;
    상기 급기 송풍기의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서 급기량을 측정하는 급기량측정기; 및
    상기 배기 송풍기의 흡입 덕트 또는 토출 덕트에서 배기량을 측정하는 배기량측정기;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풍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거나 상기 급기량측정기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근거하여 급기풍량가변기 또는 배기풍량가변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을 자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에 대한 수동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급기풍량가변기 또는 배기풍량가변기를 구동하여 상기 급기 송풍기의 급기량이나 상기 배기 송풍기의 배기량을 수동 설정 풍량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제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풍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제연구역에 대한 급기량이나 배기량을 상기 급기량측정기 또는 상기 배기량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급기량이나 배기량과 비교하여 건물의 제연구역 전체 또는 제연구역별 누설량의 적정성 또는 제연구역에 배치된 제연댐퍼의 작동 적정성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제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연구역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별 연기층 높이 또는 연기 농도를 감시하는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구동기와 통신함으로써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연구역 내부 상황 또는 해당 제연구역 주변의 예상제연구역 내부 상황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제연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연댐퍼 각각에 대한 개폐 작동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정해진 스케줄과 상관없이 제연댐퍼 각각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제연 시스템.
KR1020170139254A 2017-10-25 2017-10-25 거실제연 시스템 KR20190046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54A KR20190046091A (ko) 2017-10-25 2017-10-25 거실제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254A KR20190046091A (ko) 2017-10-25 2017-10-25 거실제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91A true KR20190046091A (ko) 2019-05-07

Family

ID=6665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254A KR20190046091A (ko) 2017-10-25 2017-10-25 거실제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0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760A (ko) 2013-05-30 2014-12-10 박재현 제연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760A (ko) 2013-05-30 2014-12-10 박재현 제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1218B2 (en) Fire/smoke damper control system
CA2167992C (en) Networked fume hood monitoring system
KR100906206B1 (ko) 화재 탐지와 국소화 방법 및 장치
US5439414A (en) Networked fume hood monitoring system
KR101796054B1 (ko) I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마트 화재 감지 시스템
KR20170088537A (ko) 일정한 방연풍속을 제공하는 제연설비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CZ300492B6 (cs) Zpusob detekce alespon jedné charakteristické veliciny požáru a vyvolávání poplachu, požární hlásic a požární signalizacní zarízení
KR101453485B1 (ko)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200493371Y1 (ko) 거실제연 시스템
CN112255957A (zh) 一种消防安防摄像头监控系统
JP2021122141A (ja) 防災システム
KR101690199B1 (ko) 제연설비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63823B1 (ko) 승객 대피경로 안내기능을 갖는 지하철 역사 및 터널화재방재 시스템
JP2023055960A (ja) 防災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器
KR101956787B1 (ko) 대피로 부속실을 위한 제연 방법 및 장치
CN113047891B (zh) 一种隧道安全系统
JP2007018240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CN109140585B (zh) 分布式空调系统及其空调室内机和消防方法
KR20190046091A (ko) 거실제연 시스템
KR102008618B1 (ko) 소방설비의 선로저항측정기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KR20110075754A (ko) 공간적 분석을 이용한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예측 방법 및 시스템
JP2012128469A (ja) 情報報知装置およびガス遮断装置
KR200469784Y1 (ko)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