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864A - Glass melting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articles - Google Patents

Glass melting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864A
KR20190045864A KR1020180126526A KR20180126526A KR20190045864A KR 20190045864 A KR20190045864 A KR 20190045864A KR 1020180126526 A KR1020180126526 A KR 1020180126526A KR 20180126526 A KR20180126526 A KR 20180126526A KR 20190045864 A KR20190045864 A KR 2019004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hroat
molten glass
melting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0619B1 (en
Inventor
도시아키 마츠야마
가즈키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8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 C03B5/262Drains, i.e. means to dump glass melt or remove unwant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2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 C03B5/027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by passing an electric current between electrodes immersed in the glass bath, i.e. by direct resistance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C03B7/08Feeder spouts, e.g. gob feeders
    • C03B7/088Outlets, e.g. orifice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lass melting furnace capable of suppressing mixing of foreign glass into glass good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goods. The glass melting furnace (10) includes a dissolver (20) and a throat (30). The dissolver (20) includes a dividing wall (40) and a discharge unit (50), and melts glass having temperature T_2 of 1,580°C or higher, wherein viscosity η becomes 10^2 poise. In addition, the dividing wall (40) is placed over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solver (20) in order to block some of flow of molten glass G. The discharge unit (50) is placed in a bottom unit (21) of the dissolver (20) between the throat (30) and the dividing wall (40) in order to discharge molten glass G. Furthermore, height H_S from the bottom unit (21) to the bottom end of an inlet of the throat (30) is 20 mm or higher.

Description

유리 용해로, 및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GLASS MELTING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ARTICL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유리 용해로, 및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melting furnac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유리 용해로를 구성하는 내화물은, 고온의 용융 유리와 접촉하여 침식되어 용융 유리에 용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용융 유리와는 상이한 조성, 비중의 이질 유리가 생성된다. 한편, 용융 유리와 접촉하는 부분의 내화물은, 용융 유리에 대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전주 벽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지르코니아계 전주 벽돌은 다른 전주 벽돌보다도 지르코니아(ZrO2) 함유율이 높아, 다른 전주 벽돌보다도 내식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지르코니아(ZrO2)는, 유리 조성에는 포함되지 않는 성분이며 용융 유리보다도 비중이 높기 때문에, 용융 유리에 용출되면 이질 유리의 생성이 조장된다. 이와 같은 이질 유리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유리 물품에 혼입되면, 원하는 품질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생산 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일어난다.The refractory constituting the glass melting furnace is eroded in contact with the molten glass at a high temperature and eluted into the molten glass. Thus, a heterogeneous glass having a composition and specific grav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molten glass is produced. On the other hand, as the refractory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molten glass, it is often the case that a poling brick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to molten glass is used. Among them, zirconia-based electroconductive bricks have higher zirconia (ZrO 2 ) content than other electroconductive bricks, and are superior in corrosion resistance to other electroconductive bricks. However, zirconia (ZrO 2 ) is a component that is not included in the glass composition and has a specific gravity higher than that of the molten glass, so that when the molten glass is eluted into the molten glass, generation of the heterogeneous glass is promoted. When such a heterogeneous glass is mixed with a finally obtained glass art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lowered because the desired quality is not satisfied.

이와 같은 이질 유리를 유리 물품에 혼입시키지 않도록 특허문헌 1에는, 저부에, 이질 유리를 배출하기 위한 유리 배출부를 구비한 유리 용해로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heterogeneous glass from being mixed into a glass artic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glass melting furnace having a glass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heterogeneous glass at the bottom.

일본 특허 공개 제2006-6290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62903

그러나 저부에 유리 배출부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는, 이질 유리가 유리 물품에 혼입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한다. 유리 용해로 내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는, 유리 용해로 내에서 순환류를 형성하면서 하류측으로 유동한다. 용융 유리의 순환류가 큰 경우나 순환류의 이동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저부에 정체되어 있는 이질 유리가 유리 배출부로 흐르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용융 유리를 청징조 또는 성형로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스로트에 이질 유리가 혼입되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유리 물품에도 이질 유리가 혼입된다.However, merely providing the glass discharge portion at the bottom does not sufficiently prevent the heterogeneous glass from being mixed into the glass article. The molten glass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flows to the downstream side while forming a circulating flow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When the circulating flow of the molten glass is large or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circulating flow is high, it is difficult for the heterogeneous glass stagnated at the bottom to flow to the glass discharging portion. For this reason, a heterogeneous glass is mixed in the throat for transferring the molten glass toward the blue sign or the molding furnace, and a heterogeneous glass is also mixed into the finally obtained glass article.

특히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1580℃ 이상인 유리는, 유리 용해로 내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유리 용해로를 구성하는 내화물이 침식되어 용융 유리에 용출되기 쉽다. 그 때문에, 이질 유리가 유리 물품에 혼입되는 문제가 현재화된다.Particularly, the glass having the temperature T 2 of 10 2 poise at a viscosity η of 10 2 poise or higher is 1580 ° C. or higher,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glass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is high, so that the refractory constituting the glass melting furnace is eroded and easily eluted into the molten glass. Therefore, a problem that heterogeneous glass is incorporated into a glass article is presently availabl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질 유리가 유리 물품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유리 용해로, 및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ass melting furnace capable of suppressing the incorporation of a heterogeneous glass into a glass artic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본 발명의 유리 용해로는, 유리 원료를 용해시켜 얻어진 용융 유리를 하류측으로 유동시키는 용해조와, 상기 용해조에 연통되어 마련되고 상기 용융 유리를 청징조 또는 성형로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스로트를 구비하는 유리 용해로이며, 상기 용해조는 구획벽과 배출부를 구비하고,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1580℃ 이상인 유리를 용해시키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용해조의 폭 방향에 걸쳐 마련되어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의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스로트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용해조의 저부에 마련되어 상기 용융 유리를 배출하고,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스로트의 입구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lass melting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lass melting furnace having a melting vessel for flowing a molten glass obtained by melting a glass raw material to the downstream side and a throat provid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melting vessel and for transferring the molten glass toward a blue- Wherein the melting tank has a partition wall and a discharge portion, the glass having a temperature T 2 of 1580 ° C or more at which the viscosity η is 10 2 poise is dissolved, and the partition wall is provided over the width direction of the melting tank,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elting vessel between the throat and the partition wall to discharge the molten glass and the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to the bottom of the inlet of the throat is 20 [Mm]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용해 공정과 성형 공정과 서랭 공정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용해 공정은, 용해조에 있어서, 유리 원료를 용해시켜 얻어진 용융 유리를 하류측으로 유동시키고,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1580℃ 이상인 유리를 용해시키고, 상기 용해조는, 상기 용해조의 폭 방향에 걸쳐 마련되는 구획벽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스로트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용해조의 저부에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의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융 유리는, 상기 용해조에 연통되어 마련되는 스로트를 통하여 청징 공정 또는 상기 성형 공정을 향하여 이송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융 유리를 배출하고,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스로트의 입구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which comprises a melting step, a molding step and a quenching step, wherein the melting step is a step of causing the molten glass obtained by melting the glass raw material to flow downstream And the glass having a temperature T 2 of 1580 ° C or more at which the viscosity η is 10 2 poise is melted. The melting tank has a partition wall provided over the width direction of the melting tank, and the throat and the partition wall Wherein the partition wall blocks a part of the flow of the molten glass and the molten glass is introduced into the molten glass through a throat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olten glass, And the discharge portion discharges the molten glass, and the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inlet of the throat is 20 [mm] or more.

본 발명의 유리 용해로, 및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질 유리가 유리 물품에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lass melting furn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glass article, mixing of the heterogeneous glass into the glass article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용해로의 Y축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용해로의 X축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의 Ⅰ-Ⅰ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용해로의 Y축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용해로의 X축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3의 Ⅱ-Ⅱ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Y-axis vertical plane.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in the X-axis vertical pla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Y-axis vertical plane.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X-axis vertical plane, an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3;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종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내지」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to " representing the numerical range means a range including numerical values before and after the numerical range.

또한 각 도면의 기준의 방향은 기호, 숫자의 방향에 대응한다. 도면에 있어서는, 적절히 3차원 직교 좌표계로서 XYZ 좌표계를 나타내며, Z축 방향을 도 1 내지 4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하고, X축 방향을 도 1, 3에 도시하는 유리 용해로(10, 110)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도 2, 4에 도시하는 유리 용해로(10, 110)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X축 방향은 평면으로 본 용융 유리 G의 흐름 방향이고, Y축 방향은 용융 유리 G의 흐름 방향과 직교한다.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in each drawing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the symbol or number. In the drawing, the XYZ coordinate system as a three-dimension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is appropriately represented, the Z-axis direction is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S. 1 to 4, and the X-axis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10, 110 And the Y axis direction is set to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glass melting furnaces 10 and 110 shown in Fi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X-axis direction is a plane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G, and the Y-axis direction is orthogona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G.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류측 및 하류측이란, 유리 용해로(10, 110) 내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G의 흐름 방향(X축 방향)에 대한 것이며, +X측이 하류측, -X측이 상류측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refer to the flow direction (X axis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G in the glass melting furnaces 10 and 110, and the + X side is the downstream side and the -X side is the upstream side to be.

[유리 용해로][Glass melting furnace]

「제1 실시 형태」≪ First Embodimen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용해로의 Y축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용해로의 X축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의 Ⅰ-Ⅰ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용해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Y-axis vertical plan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X-axis vertical plane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A first embodiment of a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는, 원료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공급된 유리 원료를 용해시켜 얻어진 용융 유리 G를 하류측(+X측)으로 유동시키는 용해조(20)와, 용해조(20)에 연통되어 마련되고 용융 유리 G를 청징조(도시하지 않음) 또는 성형로(도시하지 않음)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스로트(30)를 구비한다.The glass melting furna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elting vessel 20 for flowing a molten glass G obtained by melting a glass raw material supplied by a raw material supply device (not shown) to the downstream side (+ X side) And a throat 30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olten glass 20 for transferring the molten glass G toward a blue sign (not shown) or a molding furnace (not shown).

용해조(20)는 구획벽(40)과 배출부(50)를 구비하며,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1580℃ 이상인 유리를 용해시킨다. 구획벽(40)은, 용해조(20)의 폭 방향(Y축 방향)에 걸쳐 마련되어 용융 유리 G의 흐름의 일부를 차단한다. 배출부(50)는, 스로트(30)와 구획벽(40) 사이에 있어서의 용해조(20)의 저부(21)에 마련되어 용융 유리 G를 배출한다.The melting vessel 20 has a partition wall 40 and a discharge portion 50 and dissolves glass having a temperature T 2 of 1580 ° C or higher at a viscosity η of 10 2 poise. The partition wall 40 is provided over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elting tank 20 to block a part of the flow of the molten glass G. The discharge portion 50 is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melting tank 20 between the throat 30 and the partition wall 40 to discharge the molten glass G. [

용해조(20)는, 용융 유리 G의 상측(+Z측)에 위치하는 벽부에 버너(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료 및 가스를 사용하는 버너 연소에 의하여, 용해조(20)의 내부에 공급된 유리 원료를 용해시켜 용융 유리 G를 얻는다. 연료는 천연가스 또는 중유가 사용되고, 가스는 산소 또는 공기가 사용된다. 용해조(20)는 저부(21)과 측벽부(22)를 구비하며, 용융 유리 G를 보유 지지한다. 저부(21) 및 측벽부(22)는, 내측이 용융 유리 G와 접촉하기 때문에, 내식성이 우수한 전주 벽돌로 형성된다. 전주 벽돌의 예로서는 지르코니아계 벽돌, 알루미나·지르코니아·실리카(AZS)계 벽돌, 알루미나계 벽돌을 들 수 있다. 저부(21) 또는 측벽부(22)는 통전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해도 된다. 통전 전극은,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줄열을 발생시켜, 유리 원료를 용해시켜 용융 유리 G를 얻는다.The melting vessel 20 is provided with a burner (not shown) in a wall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 Z side) of the molten glass G and is heated by burner burning using fuel and gas, The molten glass G is obtained by dissolving the supplied glass raw material. The fuel is natural gas or heavy oil, and the gas is oxygen or air. The melting vessel 20 has a bottom portion 21 and a side wall portion 22, and holds the molten glass G therein. Since the bottom portion 21 and the side wall portion 22 are in contact with the molten glass G on the inside, they are formed of electroconductive bricks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Examples of the electropolishing bricks include zirconia-based bricks, alumina-zirconia-silica (AZS) -based bricks, and alumina-based bricks. The bottom portion 21 or the side wall portion 22 may be provided with a current-carrying electrode (not shown). The energizing electrode generates a joule heat by applying a voltage to dissolve the glass raw material to obtain a molten glass G.

용해조(20)는 용융 유리 G와 접촉하기 때문에, 용해조(20)를 구성하는 전주 벽돌의 일부가 용융 유리 G에 용출된다. 용해조(20)에, 지르코니아(ZrO2)를 포함한 전주 벽돌을 사용한 경우, 비중이 높은 지르코니아(ZrO2) 성분이 용융 유리 G에 용출된다. 그 때문에, 용해조(20)의 저부(21) 근방에는, 지르코니아(ZrO2) 농도가 높고 비중이 높은 이질 유리 G1이 체재하고 있다.Since the melting vessel 20 is in contact with the molten glass G, a part of the copper bricks constituting the melting vessel 20 is eluted into the molten glass G. In the case of using the electrolytic bath 20 with the electrolytic brick containing zirconia (ZrO 2 ), the zirconia (ZrO 2 ) component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is eluted into the molten glass G. For this reason,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21 of the melting vessel (20), and zirconia (ZrO 2) a concentration of high specific gravity is high heterogeneity glass G1 are staying.

저부(21)로부터 스로트(30)의 입구의 하단까지의 높이를 HS라 한다. 높이 HS는 20[㎜] 이상이다. 높이 HS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이다. 높이 HS를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를 통하여 하류측(+X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HS를 200[㎜] 이하로 함으로써, 이질 유리 G1을 제외한 용융 유리 G를 효율적으로 스로트(30)보다 하류측(+X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And the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21 to the lower end of the inlet of the throat 30 is H S. The height H S is 20 [mm] or more. The height H S is preferably 200 [mm] or less, more preferably 40 to 150 [mm], and still more preferably 60 to 100 [mm]. By making the height H S equal to or larger than 20 [m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terogeneous glass G1 from flowing out to the downstream side (+ X side) through the throat 30. Further, by setting the height H S to 200 [mm] or less, the molten glass G excluding the heterogeneous glass G1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downstream side (+ X side) than the throat 30.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트(30)는, 용해조(20)의 폭 방향(Y축 방향) 중앙부에 연통되어 마련된다. 그 때문에, 용융 유리 G의 흐름이 폭 방향(Y축 방향)으로 대칭으로 되어, 도 1에 도시하는 하류측 순환류(102)를 제어하기 쉬워진다.As shown in Fig. 2, the throat 30 is provided communicating with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elting tank 2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flow of the molten glass G is symmetrical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the downstream-side circulation flow 102 shown in FIG. 1 can be easily controlled.

구획벽(40)은, 저부(21)보다 상측(+Z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용융 유리 G의 하층의 흐름을 차단하는 댐 구조이다. 구획벽(40)은, 구획벽(40)의 상측(+Z측), 상류측(-X측), 하류측(+X측)의 용융 유리 G에 대하여 각각 전진류(100), 상류측 순환류(101), 하류측 순환류(102)를 형성한다. 전진류(100)는 용해조(20) 내의 상류측(-X측)으로부터 하류측(+X측)을 향하여 흐른다. 상류측 순환류(101)는, 용융 유리 G의 상부에 있어서 용해조(20) 내의 상류측(-X측)을 향하여 흐르고, 용융 유리 G의 하부에 있어서 용해조(20) 내의 하류측(+X측)을 향하여 흐르는 순환류이다. 하류측 순환류(102)는, 용융 유리 G의 상부에 있어서 용해조(20) 내의 하류측(+X측)을 향하여 흐르고, 용융 유리 G의 하부에 있어서 용해조(20) 내의 상류측(-X측)을 향하여 흐르는 순환류이다. 구획벽(40)은, 전주 벽돌, 백금, 백금 합금, 이리듐, 몰리브덴 등, 용융 유리 G에 대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하여 구성된다.The partition wall 40 is a dam structure provided to extend above the bottom portion 21 (on the + Z side) to block the flow of the lower layer of the molten glass G. The partition wall 40 is divided into a forward flow 100 and a downstream flow region 50 on the upper side (+ Z side), the upstream side (-X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 X side) of the partition wall 40, The circulation flow 101 and the downstream circulation flow 102 are formed. The forward flow 100 flows from the upstream side (-X side) in the melting tank 20 toward the downstream side (+ X side). The upstream side circulation flow 101 flows toward the upstream side (-X side) in the melting vessel 2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lten glass G and flows toward the downstream side (+ X side) in the melting vessel 20 below the molten glass G, As shown in Fig. The downstream side circulation flow 102 flows toward the downstream side (+ X side) in the melting vessel 20 on the upper side of the molten glass G and flows toward the upstream side (-X side) in the melting vessel 20 below the molten glass G, As shown in Fig. The partition wall 40 is made of a material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to the molten glass G, such as electric pole brick, platinum, platinum alloy, iridium, molybdenum and the like.

배출부(50)는 스로트(30)와 구획벽(40) 사이의 저부(21)에 마련되며, 저부(21)의 하측(-Z측)에, 이질 유리 G1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51)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여, 구획벽(40)보다 하류측(+X측)에 저류되어 있는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배출관(51)은 저부(21)보다 하측(-Z측)으로 통 형상으로 뻗어 있으며, Z축 수직면의 단면이 원형이지만,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배출관(51)에는, 이질 유리 G1이 혼입된 용융 유리 G의 유하량을 제어하기 위한 가열 설비(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출관(51)은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이며, 직접 통전 가열 설비가 마련됨으로써 용융 유리 G의 유하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ion 50 is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21 between the throat 30 and the partition wall 40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Z side) of the bottom portion 21 with a discharge pipe 51 for discharging the foreign glass G1 ). Thus, the foreign glass G1 stored on the downstream side (+ X side) of the partition wall 4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throat 30. The discharge tube 51 extends cylindrically downward (-Z side) from the bottom portion 21,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Z-axis vertical plane is circular, but it may be polygonal. The discharge pipe 51 may be provided with a heating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molten glass G mixed with the heterogeneous glass G1. In this case, the discharge pipe 51 is made of platinum or a platinum alloy, and the amount of the molten glass G to be drained can be precisely controlled by providing a direct current heating devic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50)는 용해조(20)의 폭 방향(Y축 방향) 중앙부에 마련된다. 배출부(50)는, 배출관(51)이 스로트(30)의 폭 방향(Y축 방향) 내측에 마련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2, the discharge portion 50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elting tank 20. As shown in Fig. The discharge portion 50 is provided inside the width direction (Y axis direction) of the throat 3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heterogeneous glass G1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at 30. [

스로트(30)의 입구와 구획벽(40) 사이에 있어서의 용해조(20)가 보유 지지하는 용융 유리 G의 중량을 W[톤], 1일에 스로트(30)로부터 이송되는 용융 유리 G의 중량을 P[톤/일]라 한다. 이때,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는 0.2≤W/P≤2.0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P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4≤W/P≤1.2, 더욱 바람직하게는 0.5≤W/P≤1.0이다. W/P가 2.0 이하이면, 하류측 순환류(102)가 억제되어 이질 유리 G1이 말려올라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W/P가 0.2 이상이면, 이질 유리 G1을 제외한 용융 유리 G를 효율적으로 스로트(30)보다 하류측(+X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중량 P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톤/일]이다.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G retained by the melting tank 20 between the inlet of the throat 30 and the partition wall 40 is W [ton],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G conveyed from the throat 30 Is referred to as P [ton / day]. At this time, the glass melting furna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satisfies 0.2? W / P? 2.0. W / P is more preferably 0.4? W / P? 1.2, still more preferably 0.5? W / P? 1.0. When W / P is 2.0 or less, the downstream-side circulation stream 102 is suppressed and the heterogeneous glass G1 is hard to be rolled up, so that the heterogeneous glass G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ttle 30. [ Further, when the W / P is 0.2 or more, the molten glass G excluding the heterogeneous glass G1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downstream side (+ X side) than the throat 30. The weight P is preferably 20 to 200 [ton / day].

저부(21)로부터 용융 유리 G의 상면까지의 높이를 H0, 저부(21)로부터 구획벽(40)의 상단까지의 높이를 H1, 스로트(30)의 입구의 저부와 천장부 사이의 높이를 H2라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는, H1/H0이 0.3 내지 0.95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0.95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H1/H0이 0.3 이상이면, 하류측 순환류(102)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질 유리 G1이 말려올라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H1/H0이 0.95 이하이면, 전진류(100) 및 하류측 순환류(102)가 안정되어 이질 유리 G1이 말려올라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height from the bottom part 2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lten glass G is H 0 and the height from the bottom part 21 to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40 is H 1 , the height between the bottom part of the inlet of the throat 30 and the ceiling part Is referred to as H 2 .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H 1 / H 0 satisfies 0.3 to 0.95, more preferably 0.5 to 0.95. If H 1 / H 0 is 0.3 or 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wnstream-side circulation flow 102 from becoming large, and it is difficult for the heterogeneous glass G 1 to be rolled up, so that the heterogeneous glass G 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throttle 30 have. Further, when H 1 / H 0 is 0.95 or less, the forward flow 100 and the downstream side circulation flow 102 are stabilized and the heterogeneous glass G 1 becomes hard to be rolled up, so that the heterogeneous glass G 1 flows out into the throttle 30 .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는, H2/H0이 0.1 내지 0.5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2/H0을 0.1 내지 0.5로 함으로써,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이질 유리 G1을 제외한 용융 유리 G를 효율적으로 스로트(30)보다 하류측(+X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In the glass melting furna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H 2 / H 0 satisfies 0.1 to 0.5. By the H 2 / H 0 of 0.1 to 0.5, a dissimilar glass G1 is, while suppressing the leakage to the throat (30), except for dissimilar glass G1 molten glass G the effective throat (30) than the downstream side (+ X Side.

평면으로 보아, 용해조(20) 내의 상류단으로부터 하류단까지의 거리를 L0, 구획벽(40)의 하류단으로부터 용해조(20) 내의 하류단까지의 거리를 L1이라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용해조(20)는, L1/L0이 0.1 내지 0.5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L1/L0을 0.1 내지 0.5로 함으로써, 이질 유리 G1을 제외한 용융 유리 G를 효율적으로 하류측(+X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distance from the upstream end to the downstream end in the melting tank 20 is referred to as L 0 and the distance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partition wall 40 to the downstream end in the dissolving tank 20 is referred to as L 1 . The melting tank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has L 1 / L 0 of 0.1 to 0.5. By setting L 1 / L 0 to 0.1 to 0.5, molten glass G excluding the heterogeneous glass G 1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downstream side (+ X sid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조(20) 내의 폭 방향(Y축 방향) 거리를 W0, 스로트(30)의 폭 방향(Y축 방향) 거리를 W1이라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는, W1/W0이 0.03 내지 0.3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1/W0을 0.03 내지 0.3로 함으로써, 이질 유리 G1을 제외한 용융 유리 G를 효율적으로 하류측(+X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2,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Y axis direction) to W 0, Width direction of Lot 30, the distance (Y axis direction) distance in the melting vessel (20) W 1.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 1 / W 0 preferably satisfies 0.03 to 0.3. By setting W 1 / W 0 to 0.03 to 0.3, the molten glass G excluding the heterogeneous glass G 1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downstream side (+ X side).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는, 스로트(30)의 입구에 있어서, 용융 유리 G의 흐름 방향(X축 방향)의 평균 유속 V가 5 내지 15[m/h]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유속 V[m/h]는, 스로트(30)의 입구 개소의 X축 수직면에 있어서의 단면적을 S [㎡], 용융 유리 G의 밀도를 d[톤/㎥]라고 했을 때 V=P÷(24×S×d)로 산출된다. 평균 유속 V가 5[m/h] 이상이면, 이질 유리 G1을 제외한 용융 유리 G를 효율적으로 스로트(30)보다 하류측(+X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평균 유속 V가 15[m/h] 이하이면,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melt passag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average flow velocity V of 5 to 15 [m / h] in the flow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G at the inlet of the throat 30. [ The average flow velocity V [m / h] is expressed by V = P (m / h), where S [m2] denotes the cross- (24 x S x d). If the average flow velocity V is not less than 5 [m / h], the molten glass G excluding the heterogeneous glass G1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downstream side (+ X side) than the throat 30. [ Further, when the average flow velocity V is 15 [m / h] or les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hibit the heterogeneous glass G1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at 30.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유리는, 이질 유리 G1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바람직하게는 16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40℃ 이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유리는, 용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바람직하게는 1670℃ 이하이다.The glas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emperature T 2 at which viscosity η is 10 2 poise is preferably at least 1610 ° C., more preferably at least 1640 ° C., in order to effectively suppress the incorporation of heterogeneous glass G 1 . In order to facilitate dissolution, the glas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emperature T 2 at which the viscosity eta becomes 10 2 poise, preferably not more than 1670 ° C.

「제2 실시 형태」&Quot; Second Embodiment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용해로의 Y축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용해로의 X축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3의 Ⅱ-Ⅱ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Y-axis vertical plane.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X-axis vertical plane, an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용해로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10)는, 용해조에 수용부(60)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와 구조가 상이하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Only the poin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The glass melting furnace 11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lass melting furnace 10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melting vessel is provid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6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용해조(120)는, 스로트(30)의 입구와 구획벽(40) 사이의 저부(21)에 마련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60)를 구비한다. 수용부(60)는 상자형 형상이며, 용융 유리 G를 저류한다. 수용부(60)는, 저부에 용융 유리 G를 배출하는 배출부(150)가 마련된다. 오목 형상의 수용부(60)는, X축 수직면 또는 Y축 수직면의 단면이 직사각형이지만, 정사각형, 반원형, 반타원형, 또는 코너가 라운딩된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수용부(60)는, Z축 수직면의 단면이 원형이지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어도 된다.3, the melting tank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recessed receiving portion 60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21 between the inlet of the throat 30 and the partition wall 40 do. The receiving portion 60 is box-shaped and holds the molten glass G t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150 for discharging the molten glass G to the bottom portion thereof. The concave receiving portion 60 may be rectangular, semicircular, semi-elliptical, or a rectangle with rounded corners although the cross section of the X axis vertical plane or the Y axis vertical plane is rectangular. Further, although the receiving portion 6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on the Z-axis vertical plane, it may be square or rectangular.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60)는 용해조(120)의 폭 방향(Y축 방향) 중앙부에 마련된다. 수용부(60)는 스로트(30)보다도 폭이 크기 때문에,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elting tank 120. As shown in Fig. Since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is larger in width than the throat 3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outflow of the heterogeneous glass G1 into the throat 30. [

배출부(150)는, 수용부(60)의 저부의 하측(-Z측)에, 이질 유리 G1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51)을 구비한다. 배출부(150)는, 배출관의 연직 방향(Z축 방향) 길이가 수용부(60)의 깊이 분만큼 짧아져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배출부(50)와 상이하다.The discharging portion 150 has a discharge pipe 151 for discharging the foreign glass G1 on the lower side (-Z sid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The discharge portion 150 is different from the discharge portion 50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ipe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is shortened by the depth of the receiving portion 60.

본 실시 형태의 용해조(120)에 의하면,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수용부(60)의 저부와 용해조(20)의 저부(21) 사이의 거리를 높이 HS1이라 한다. 높이 HS1은 5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 HS1이(50[㎜] 이상이면, 이질 유리 G1이 수용부(60) 내에 저류된다. 또한 높이 HS1이 300[㎜] 이하이면, 수용부(60) 내에서 용융 유리 G의 순환이 일어나 이질 유리 G1이 상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lting tank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heterogeneous glass G1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at 30. [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60 and the bottom portion 21 of the dissolving tank 20 is denoted by H S1 . The height H S1 is preferably 50 to 300 [mm]. When the height H S1 is equal to or larger than 50 mm, the heterogeneous glass G1 is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When the height H S1 is 300 mm or less, the circulation of the molten glass G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terogeneous glass G1 from flowing upward.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보아 수용부(60)의 하류 단부와 스로트(30)의 입구 사이의 흐름 방향(X축 방향) 거리를 LS라 한다. 거리 LS는 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 LS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이다. 거리 LS가 1000[㎜] 이하이면,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in the flow direction (X-axis direction) between the downstream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and the inlet of the throat 30 in plan view is referred to as L S. Distance L S is preferably 0 to 1000 [㎜]. The distance L S is more preferably 0 to 500 [mm], and still more preferably 0 to 100 [mm]. When the distance L S is 1000 [mm] or les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heterogeneous glass G1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at 30.

평면으로 보아 수용부(60)의 흐름 방향(X축 방향) 거리를 L2라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용해조(120)는, L2/L1이 0.05 내지 0.5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L2/L1을 0.05 내지 0.5로 함으로써,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distance in the flow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as viewed in plan is L 2 . In the melting vessel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L 2 / L 1 satisfies 0.05 to 0.5. By setting L 2 / L 1 to 0.05 to 0.5,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hibit the heterogeneous glass G 1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at 3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51)의 폭 방향(Y축 방향) 거리를 W2라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용해조(120)는, W2/W1이 1.1 내지 5.0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2/W1을 1.1 내지 5.0로 함으로써,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t is referred to Fig. 4 a, the width direction (Y-axis) distance of the receiving part (51), W 2, as shown in. In the melting vessel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W 2 / W 1 preferably satisfies 1.1 to 5.0. By setting W 2 / W 1 to be 1.1 to 5.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hibit the heterogeneous glass G 1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at 30.

수용부(60) 내의 용융 유리 G의 중량을 w[톤]라 하고, 1일에 배출부(15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유리 G의 중량을 D[톤/일]라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10)는 0.02≤w/D≤0.4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D가 0.02 이상이면, 수용부(60) 내에 이질 유리 G1을 저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w/D가 0.4 이하이면, 수용부(60) 내에서 용융 유리 G의 순환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량 D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톤/일]이다.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G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is denoted by w [ton], and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G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portion 150 on a day is denoted by D [ton / day].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melting furnace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satisfies 0.02? W / D? 0.4. If w / D is 0.02 or more, the heterogeneous glass G1 can b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so that the heterogeneous glass G1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ttle 30. If w / D is 0.4 or less, the circulation of the molten glass G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60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dissimilar glass G1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into the throat 30. The weight D is preferably 0.5 to 30 [ton / day].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도 포함된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but includes a design change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 110)는, 버너 가열 및 전기 가열에 의하여 유리 원료의 용해를 행하고 있지만, 버너 가열 단독 또는 전기 가열 단독으로 유리 원료의 용해를 행해도 된다.In the glass melting furnaces 10 and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glass raw materials are melted by burner heating and electric heating, but the glass raw materials may be dissolved by burner heating alone or electric heating alone.

본 실시 형태의 용해조(20, 120)는, 평면으로 본 1축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 형상이지만, 유리 원료를 용해시킬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melting vessels 20 and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e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uni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seen in plan view, they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s long as they can dissolve the glass raw material.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부(50, 150)는 1개소 설치되어 있지만, 유리 용해로(10, 110)의 길이 방향(X축 방향) 또는 폭 방향(Y축 방향)으로 2개소 이상 설치되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s 50 and 150 are provided at one location, but two or more discharge units 50 and 150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xis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Y axis direction) of the glass melting furnaces 10 and 11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부(21)보다 상측(+Z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구획벽(40)의 형태를 설명했지만, 구획벽은, 용융 유리 G를 구획하는 것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partition wall 40 extended above the bottom portion 21 (+ Z sid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artition wall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it divides the molten glass G.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of glass article]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유리 용해로(10, 110) 중, 유리 용해로(110)를 사용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Next,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using the glass melting furnace 110 among the glass melting furnaces 10 and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형태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유리 원료를 용해시켜 용융 유리 G를 얻는 용해 공정 S1과, 용융 유리 G의 기포를 제거하는 청징 공정 S2와, 용융 유리 G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 S3과, 성형된 유리를 서랭하는 서랭 공정 S4를 포함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lass art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elting step S1 for melting a glass raw material to obtain a molten glass G, a refining step S2 for removing bubbles of the molten glass G, a molding step S3 for molding the molten glass G, And a quenching step S4 for quenching the formed glass.

용해 공정 S1은, 유리 원료를 용해조 내에 공급하고 유리 원료를 가열하여 용해시킨다. 유리 용해로에 마련된 버너의 화염을 유리 원료를 향하여 방사함으로써 유리 원료를 상방으로부터 가열한다. 버너의 화염에 의하여 가열함과 함께, 복수의 통전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통전하여, 줄열을 발생시켜 유리 원료를 가열한다.In the dissolving step S1, a glass raw material is supplied into a dissolver and the glass raw material is heated to be dissolved. The glass raw material is heated from above by spinning the flame of the burner provided in the glass melting furnace toward the glass raw material. The glass raw material is heated by the flame of the burner and energized by applying a voltage to a plurality of energizing electrodes to generate joule heat to heat the glass raw material.

용해 공정 S1은, 용해조에 있어서, 용융 유리를 하류측으로 유동시키고,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1580℃ 이상인 유리를 용해시킨다. 용해조는, 용해조의 폭 방향에 걸쳐 마련되는 구획벽을 구비하고, 또한 용해조의 저부에 배출부를 구비한다. 구획벽은 용융 유리의 흐름의 일부를 차단한다. 용융 유리는, 용해조에 연통되어 마련되는 스로트를 통하여 청징 공정 S2를 향하여 이송된다. 배출부는 용융 유리를 배출한다.In the dissolving step S1, the molten glass is caused to flow downstream in the melting tank to dissolve the glass having a temperature T 2 of 1580 ° C or higher at which the viscosity η becomes 10 2 poise. The dissolving tank has a partition wall provided over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solving tank, and has a discharge portion at the bottom of the dissolving tank. The partition wall blocks a part of the flow of the molten glass. The molten glass is conveyed toward the fining step S2 through a throat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elting tank. The discharge portion discharges the molten glass.

스로트의 입구와 구획벽 사이에 있어서의 용해조가 보유 지지하는 용융 유리의 중량을 W[톤], 1일에 상기 스로트로부터 이송되는 용융 유리의 중량을 P[톤/일]라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용해 공정 S1은 0.2≤W/P≤2.0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held by the melting vessel between the inlet of the throat and the partition wall is W [ton], and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conveyed from the throat per day is P [ton / day]. The melting step S1 of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satisfies 0.2? W / P? 2.0.

본 실시 형태의 용해 공정 S1에 있어서, 중량 P[톤/일]는, 1일에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유리 G의 중량을 D[톤/일]라고 했을 때 0.01≤D/P≤0.2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P가 0.01 이상이면, 이질 유리 G1을 배출부(50)로부터 충분히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질 유리 G1이 스로트(30)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D/P가 0.2 이하이면, 배출부(50)로부터의 용융 유리 G의 배출에 의한 생산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melting step S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ight P [ton / day] is 0.01? D / P? 0.2 when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G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portion on one day is D [ton / . If the D / P is 0.01 or more, the heterogeneous glass G1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50, so that the heterogeneous glass G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throat 30. [ If the D / P is 0.2 or less, the production loss due to the discharge of the molten glass G from the discharge portion 50 can be suppressed.

청징 공정 S2는, 용해 공정 S1에서 얻어진 용융 유리를 청징조에 공급하고 용융 유리 내의 기포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공정이다. 기포의 부상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청징조 내를 감압하여 탈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The firing step S2 is a step of supplying the molten glass obtained in the melting step S1 to the blue sign and floating the bubbles in the molten glass. As a method for promoting the floating of the bubble,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degassing the inside of the blue bubble by depressurization.

성형 공정 S3은, 용해조보다 하류측에 마련된 성형로에서 용융 유리를 성형한다. 서랭 공정 S4는, 성형로보다 하류측에 마련된 서랭로에서 성형된 유리를 서랭하여 최종적으로 유리 물품을 얻는다.In the molding step S3, a molten glass is formed in a molding furnac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elting bath. In the quenching step S4, the glass molded in the thirst furnace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orming furnace is thawed to finally obtain a glass article.

유리 물품으로서 유리판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플로트법이 이용된다. 플로트법은, 플로트 배스 내에 수용되는 용융 금속(예를 들어 용융 주석) 상에 도입된 용융 유리를 소정 방향으로 유동시켜, 띠판 형상의 유리 리본으로 하는 방법이다(성형 공정 S3). 유리 리본은,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된 후, 용융 금속으로부터 끌어올려져 서랭로 내에서 반송되면서 서랭되어 판유리로 된다(서랭 공정 S4). 판유리는, 서랭로로부터 반출된 후, 절단기에 의하여 소정의 치수 형상으로 절단되어 제품인 유리판으로 된다.In order to obtain a glass plate as a glass article, for example, a float method is used. The floa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molten glass introduced on a molten metal (for example, molten tin) accommodated in a float bath is flow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form a strip-shaped glass ribbon (molding step S3). The glass ribbon is cooled in the process of flo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n is drawn up from the molten metal and is conveyed in the throat furnace to be thawed to become a plate glass (quenching step S4). The plate glass is taken out from the throat furnace, and then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by a cutter to obtain a glass plate as a product.

또한 유리판을 얻는 데에 다른 성형 방법으로서 퓨전법을 이용해도 된다. 퓨전법은, 홈통 형상 부재의 좌우 양측의 상부 에지로부터 넘쳐난 용융 유리를 홈통 형상 부재의 좌우 양 측면을 따라 유하시켜, 좌우 양 측면이 교차하는 하부 에지에서 합함으로써 띠판 형상의 유리 리본으로 하는 방법이다(성형 공정 S3). 용융 유리 리본은, 연직 방향(Z축 방향)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서랭되어 판유리로 된다(서랭 공정 S4). 판유리는, 절단기에 의하여 소정의 치수 형상으로 절단되어 제품인 유리판으로 된다.Further, a fusion method may be used as another molding method for obtaining a glass plate. The fus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molten glass overflowing from the upper edge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gutter-shaped member is lowered along both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gutter-shaped member and joined at the lower edge where the right and left sides intersect, (Molding step S3). The molten glass ribbon move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to be frosted to become a plate glass (quenching step S4). The plate glass is cut into a predetermined dimension by a cutter to form a glass plate as a product.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청징 공정 S2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은 청징 공정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용융 유리는, 용해 공정을 거쳐 성형 공정에서 유리 리본으로 성형된다.Furth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ning step S2, bu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include a fining step. In this case, the molten glass is formed into a glass ribbon in a molding process through a dissolving process.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유리 원료의 조성에는 특별히 제약이 없으며, 무알칼리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혼합 알칼리계 유리, 붕규산 유리, 또는 그 외의 유리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The composition of the glass raw material to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of alkali-free glass, aluminosilicate glass, mixed alkali glass, borosilicate glass, and other glas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유리는, 이질 유리 G1의 혼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위하여,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바람직하게는 16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40℃ 이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유리는, 용해가 용이해지기 위하여,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바람직하게는 1670℃ 이하이다.The glas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temperature T 2 at which the viscosity η is 10 2 poise is preferably at least 1610 ° C.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1640 ° C. in order to effectively suppress the incorporation of the aliphatic glass G 1 . Further, the glas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temperature T 2 at which the viscosity η is 10 2 poise, preferably not more than 1670 ° C., in order to facilitate dissolution.

본 발명을 상세히, 또한 특정 실시 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확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n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출원은, 2017년 10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05301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This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205301 filed on October 24, 2017, the content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제조되는 유리 물품의 용도는 건축용, 차량용,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용, 또는 그 외의 각종 용도를 들 수 있다.The glass articles to be manufacture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building use, automotive use, flat panel display use, cover glass use, and various other uses.

10, 110: 유리 용해로
20, 120: 용해조
21: 저부
22: 측벽부
30: 스로트
40: 구획벽
50, 150: 배출부
51, 151: 배출관
60: 수용부
100: 전진류
101: 상류측 순환류
102: 하류측 순환류
G: 용융 유리
G1: 이질 유리
10, 110: glass melting furnace
20, 120: Melting bath
21:
22:
30: throat
40: compartment wall
50, 150:
51, 151:
60:
100: forward flow
101: upstream-side circulation flow
102: downstream side circulation flow
G: molten glass
G1: heterogeneous glass

Claims (13)

유리 원료를 용해시켜 얻어진 용융 유리를 하류측으로 유동시키는 용해조와, 상기 용해조에 연통되어 마련되고 상기 용융 유리를 청징조 또는 성형로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스로트를 구비하는 유리 용해로이며,
상기 용해조는 구획벽과 배출부를 구비하고,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1580℃ 이상인 유리를 용해시키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용해조의 폭 방향에 걸쳐 마련되어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의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스로트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용해조의 저부에 마련되어 상기 용융 유리를 배출하고,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스로트의 입구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용해로.
A glass melting furnace comprising a melting furnace for flowing a molten glass obtained by melting a glass raw material to a downstream side and a throat provid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melting furnace and for transferring the molten glass toward a blue sign or a forming furnace,
Wherein the melting tank has a partition wall and a discharge portion, the glass having a temperature T 2 of 1580 캜 or more at which the viscosity η is 10 2 poise is dissolved,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provided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melting vessel to block a part of the flow of the molten glass,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at a bottom portion of the melting vessel between the throat and the partition wall to discharge the molten glass,
And a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to a lower end of an inlet of the throat is 20 mm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용해로는, 상기 스로트의 입구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용해조가 보유 지지하는 용융 유리의 중량을 W[톤], 1일에 상기 스로트로부터 이송되는 용융 유리의 중량을 P[톤/일]라고 했을 때 0.2≤W/P≤2.0을 만족시키는, 유리 용해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held by the melting vessel between the inlet of the throat and the partition wall is W [ton],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conveyed from the throat is P [ Ton / day], the glass melting furnace satisfies 0.2? W / P?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용해로는,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스로트의 입구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200[㎜] 이하인, 유리 용해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lass melting furnace has a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to a lower end of an inlet of the throat is 200 mm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조는, 상기 저부에 마련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깊이가 50 내지 300[㎜]이고, 저부에, 상기 용융 유리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마련되는, 유리 용해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elting tank has a concave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accommodating portion has a depth of 50 to 300 [mm], and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molten glass is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아 상기 수용부의 하류단과 상기 스로트의 입구 사이의 흐름 방향 거리가 0 내지 1000[㎜]인, 유리 용해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low direction distance between a downstream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inlet of the throat is 0 to 1000 [mm] in plan view.
용해 공정과 성형 공정과 서랭 공정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용해 공정은, 용해조에 있어서, 유리 원료를 용해시켜 얻어진 용융 유리를 하류측으로 유동시키고, 점도 η가 102포이즈로 되는 온도 T2가 1580℃ 이상인 유리를 용해시키고,
상기 용해조는, 상기 용해조의 폭 방향에 걸쳐 마련되는 구획벽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스로트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용해조의 저부에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의 일부를 차단하고,
상기 용융 유리는, 상기 용해조에 연통되어 마련되는 스로트를 통하여 청징 공정 또는 상기 성형 공정을 향하여 이송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융 유리를 배출하고,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스로트의 입구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glass article, comprising a melting step, a forming step and a quenching step,
In the dissolution step, the molten glass obtained by dissolving the glass raw material in the melting tank flows downward, and the glass having a temperature T 2 of 1580 ° C or higher at which the viscosity η is 10 2 poise is dissolved,
Wherein the melting tank has a partition wall provided over the width direction of the melting tank and has a discharge portion at a bottom portion of the melting tank between the throat and the partition wall, ,
Wherein the molten glass is conveyed toward the refining step or the forming step through a throat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elting tank, the discharging part discharging the molten glass,
And the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inlet of the throat is 20 mm or mo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트의 입구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용해조가 보유 지지하는 용융 유리의 중량을 W[톤], 1일에 상기 스로트로부터 이송되는 용융 유리의 중량을 P[톤/일]라고 했을 때 0.2≤W/P≤2.0을 만족시키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held by the melting vessel between the inlet of the throat and the partition wall is W [ton],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conveyed from the throat per day is P [ton / day] , And satisfies 0.2? W / P? 2.0 when the glass article is produced.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스로트의 입구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200[㎜] 이하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a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to a lower end of an entrance of the throat is 200 mm or less.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공정은,
상기 용해조의 저부에 마련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에서 상기 용융 유리를 저류하고,
상기 수용부의 저부에 마련되는 배출부에 의하여 상기 용융 유리를 배출하고,
상기 수용부는 깊이가 50 내지 300[㎜]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dissolving step comprises:
The molten glass is stored in a recessed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elting tank,
The molten glass is discharged by a discharge portion provided at a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has a depth of 50 to 300 [m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공정은, 평면으로 보아 상기 수용부의 하류단과 상기 스로트의 입구 사이의 흐름 방향 거리가 0 내지 1000[㎜]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ssolving step is such that a flow direction distance between a downstream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n inlet of the throat is 0 to 1000 mm in plan view.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공정은, 상기 수용부 내의 용융 유리의 중량을 w[톤], 1일에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유리의 중량을 D[톤/일]라고 했을 때 0.02≤w/D≤0.4를 만족시키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 / D? 0.4 when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in the receiving portion is w [ton] and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portion on the day is D [ton / day] Of the glass product.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공정은, 상기 스로트의 입구에 있어서,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의 평균 유속이 5 내지 15[m/h]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dissolving step has an average flow rate of 5 to 15 [m / h]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molten glass at the entrance of the thro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공정에 있어서, 상기 중량 P는, 1일에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유리의 중량을 D[톤/일]라고 했을 때 0.01≤D/P≤0.2를 만족시키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dissolving step, the weight P satisfies 0.01? D / P? 0.2 when the weight of the molten glas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on a day is D [ton / day] .
KR1020180126526A 2017-10-24 2018-10-23 Glass melting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articles KR1025406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5301 2017-10-24
JP2017205301A JP6943136B2 (en) 2017-10-24 2017-10-24 Glass melting furna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864A true KR20190045864A (en) 2019-05-03
KR102540619B1 KR102540619B1 (en) 2023-06-08

Family

ID=6623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26A KR102540619B1 (en) 2017-10-24 2018-10-23 Glass melting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article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43136B2 (en)
KR (1) KR102540619B1 (en)
CN (1) CN10969417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2075016A1 (en) * 2020-10-08 2022-04-14
CN112923725A (en) * 2021-03-15 2021-06-08 翟延军 Oxygen-free flue gas circulation heating system for aluminum melting/steel rolling
CN113336421B (en) * 2021-06-04 2023-01-06 河南旭阳光电科技有限公司 Glass kiln, method for discharging glass kiln and discharging system of glass kil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903A (en) 2004-08-26 2006-03-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melting furnace
KR20150026568A (en) * 2013-09-03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Disparate glass removing apparatus an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234U (en) * 1986-07-28 1988-02-17
FR2737487B1 (en) * 1995-08-03 1998-01-09 Saint Gobain Vitrage DEVICE FOR MELTING VITRIFIABLE MATERIALS
US5961686A (en) * 1997-08-25 1999-10-05 Guardian Fiberglass, Inc. Side-discharge melter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fiberglass
CN2469003Y (en) * 2001-01-17 2002-01-02 山东三力工业集团有限公司 Unit kiln for melting neutral glass
EP1285886A3 (en) * 2001-08-20 2004-03-10 Schott Glas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glass melt
JP4446283B2 (en) * 2002-11-29 2010-04-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Glass melting furnace
JP2013199385A (en) * 2010-07-21 2013-10-03 Asahi Glass Co Ltd Molten glass convey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glass using the same
WO2012091133A1 (en) * 2010-12-28 2012-07-05 旭硝子株式会社 Clarification tank, glass melting furnace, molten glass production method, glassware production method and glassware production device
JP2014224002A (en) * 2013-05-15 2014-12-04 AvanStrate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glass plate, design method of dissolution tank, and dissolution ta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2903A (en) 2004-08-26 2006-03-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melting furnace
KR20150026568A (en) * 2013-09-03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Disparate glass removing apparatus an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77584A (en) 2019-05-23
TW201922633A (en) 2019-06-16
KR102540619B1 (en) 2023-06-08
CN109694176A (en) 2019-04-30
JP6943136B2 (en) 2021-09-29
CN109694176B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9320B2 (en) Method for forming a glass melt
JP5397371B2 (en) Molt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lten glass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45864A (en) Glass melting f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articles
KR1023939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glass article
US3811860A (en) Processing of stirring molten glass with bubbles from electrolysis
KR101971755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molten glass, method for producing molten glass,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e glass using said apparatus and method
JP2018008878A (en) Glass clarification method using physical bubbler
CN102503078A (en) Two-slot type glass tank
KR20140001886A (en) Clarification tank, glass melting furnace, molten glass production method, glassware production method and glassware production device
KR102497517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elting furnace of glass article
KR10256927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article
KR101493578B1 (en) Molten glass vacuum degassing apparatus, vacuum dega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roduct
JP5549674B2 (en) Molten glass production apparatus, molten glass production method, and plate glass production method using them
JP2013075823A (en) Method for melting glass and glass melting apparatus
JP2005053757A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TWI833713B (en) Glass melting furna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articles
KR20180075696A (en) Glass melting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batch melting and glass homogeneity
JP2020050545A (en) Glass melting furnace and glass melting method
KR202100540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tigating electrochemical attack of precious metal components in glass manufacturing process
JP2017065992A (en) Production method of glass substrate
JP2017178712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glass substrat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lass substrate
KR202100525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tigating electrochemical attack of precious metal components in glass manufacturing process
JP20201005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