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670A - 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670A
KR20190045670A KR1020170138518A KR20170138518A KR20190045670A KR 20190045670 A KR20190045670 A KR 20190045670A KR 1020170138518 A KR1020170138518 A KR 1020170138518A KR 20170138518 A KR20170138518 A KR 20170138518A KR 20190045670 A KR20190045670 A KR 20190045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one
drones
imag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성은
Original Assignee
홍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은 filed Critical 홍성은
Priority to KR102017013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5670A/en
Publication of KR2019004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6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manipulation experience apparatus which restricts altitude and range of movement of a flying drone so that drone manipulation practice can be performed without restriction even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room. In addition, the drone manipulation experience apparatus can provide free flight experience in a certain space without battery replacement through constant power supply.

Description

드론 조종 체험 장치 {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

본 발명은 드론 조종 체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비행하는 드론의 고도 및 이동범위를 제한함으로 실내 등 한정된 장소에서도 제약 없이 드론의 조종연습이나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시 전력공급을 통해 배터리 교체 없이 일정한 공간 내 자유로운 비행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론 조종 체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manipulation experienc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limiting the altitude and movement range of a flying dragon drill, it is possible to practice exercises and experience of a drone without limitation even in a limited place such as the room, Thereby allowing a free flight experience in the space to be achieved.

일반적인 회전익 드론은 기체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성이나, 경제성이 뛰어나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경량화물운송, 재난구조업무 등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규격의 제품 출시로 개인 취미활동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The general rotor wing drones are easy to carry and are easy to carry, and they are very fast and economical. They are being applied to a variety of fields such as aerial photography, low-altitude reconnaissance search, light cargo transportation, disaster relief service, etc. Recently, It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 personal hobby activity.

이에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자유 학기제, 방과 후 수업 등 진로 체험과 관련하여 드론에 대한 수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이며 성인층에서도 드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따라 드론에 입문하려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Therefore, the lesson about the drones related to the career experience such as the free school term and the after-school class from the elementary school to the high school is being done, and as the interest in the dron is increasing in the adult, the number of people intending to enter the dron is increasing.

이러한 교육수요의 증가에 따라 많은 교육업체나 개인을 통해 드론 조종 교육이나 개인별 드론 조종 연습 등을 진행되고 있으나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이는 드론의 특성상 조종술이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비행은 안전사고나 기체파손 등 인적, 물질적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크며, 실제 현장에서도 크고 작은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As the demand for education increases, many training companies and individuals are conducting drone pilot training and individual drone pilot practice.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drone moving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e flight in unfamiliar condition may cause safety accidents or gas damage The possibility of causing human and material loss is very high, and large and small accidents occur frequently in the actual field.

이와 같은 안전문제로 드론 입문시 교사가 일대일 교육이 필요한 상황에서 동시에 다수 인원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으며, 드론이 충분히 비행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나 실질적으로 실내 교육장소가 협소할 뿐 아니라 사람이 많은 장소나 야간시간 드론 비행을 금지하는 등의 법적 규제의 문제로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This safety problem poses a real difficulty for many students at the same time in the situation where one-on-one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teacher at the beginning of the drone,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free space enough for the drone to fly enough. In addition to narrowing, there are difficulties in legal regulations such as prohibiting people from flying in places or at night time.

또한, 일반적으로 입문용 드론 배터리의 비행가능 시간이 대략 6분(2시간 충전) 수준으로 원활한 교육을 위해서는 다량의 배터리 확보와 수시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general, the start time of the introductory drone battery is about 6 minutes (2 hours charging time).

이러한 문제로 인해 교육현장뿐 아니라 드론 판매점 등에서도 고가의 드론 판매시에도 드론 비행 시연 없이 진열 상품을 판매하는 실정으로, 판매자의 드론 조종술 능력 부족과 공간 확보 곤란 등으로 수요자의 구매 욕구를 유발할 수 있는 드론 비행 시연 불가능한 상황이다.Due to these problems, it is difficult to sell display products without a demonstration of drones even when selling expensive drones at educational shops as well as at drones, and it is possible to induce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by lack of skill of drone piloting and space It is impossible to demonstrate a drone fligh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7411호 (2016.11.1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77411 (Nov. 11, 2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 드론의 조종연습이나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시 전력공급을 통해 배터리 교체 없이 일정한 공간 내 자유로운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론 조종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 piloting exercise or experience without time and place restriction, And to provide a drone manipulation experience device that allows a drone to be manipul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론 교육시 조종자의 수준을 반영한 모드와 게임기능을 제공하여 교육, 연습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가상 비행 영상을 통한 광고 등을 통해 다양한 수익창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드론 조종 체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e and a game function reflecting the level of a driver in a drones education, thereby enhancing education and exercise effects and providing a variety of revenue generating means through advertisement through virtual flight images And to provide an experience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측으로 드론이 안착되되 상기 베이스판 상측으로 세워진 기둥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착륙대로 구성되는 몸체; 하단이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 고정되되, 규격이 다른 복수의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내부를 통과하며 하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상부로 전달하는 제1케이블과,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가 접촉한 상태로 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상기 하부구조체에 연결되는 제1케이블로부터의 직류전원을 상부구조체로 전달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하는 중계부와, 상기 상부구조체에 연결되어 상기 드론으로 공급하는 제2케이블 및 커넥터로 구성되는 전원부; 상기 상부구조체의 상측에 상기 드론의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including a base plate, a landing pad on which a drone is seated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through pillars erected above the base plate, A lower end fixed to a center of the base plate, a plurality of pipes having different sizes are sequentially inser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A first cable tha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ransfers a DC voltage supplied from a lower portion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ble and a second cable that is rotatable in a lateral direction with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relay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to transmit power to the upper structure, and a second cable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upper structure to supply the drones;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ody of the dron above the upper structure; .

이때 상기 중계부는 상기 하부구조체의 상측으로 노출형성되어 직류전원이 인가되는 제1하부전극 및 제2하부전극과, 상기 상부구조체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회전시 각각 상기 제1하부전극 및 제2하부전극과 접촉을 유지하며 전원을 인가받는 제1상부전극 및 제2상부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lay unit includes a first lower electrode and a second lower electrod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tructure and applied with DC power, and a second lower electrod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tructure, And a first upper electrode and a second upper electrode which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supplied with power.

또한, 상기 몸체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동작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와, 광고콘텐츠와 동작모드에 따른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한 멀티미디어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른 멀티미디어콘텐츠 및 설정에 따른 광고콘텐츠를 상기 영상출력부 및 음향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콘텐츠재생부를 구비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n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n acou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and includes an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n operation mode to select from a user, a multimedia unit including an image content and an audio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a content playback unit operable to output the multimedia contents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s according to the settings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and the audio output unit.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의 조종신호를 수신하는 연계부와,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콘텐츠 또는 멀티미디어콘텐츠 영상에 드론 영상을 포함시키되 상기 수신되는 조종신호를 상기 드론 영상에 반영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콘텐츠는 수신되는 조종신호에 따라 시점이 변화하는 영상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linking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drones, an image processing unit including a dron image in the advertisement content or the multimedia content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and reflect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on the dron image, And the multimedia contents may include image contents whose viewpoint changes according to a received control signal.

본 발명을 통해 드론 교육시 실내 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안전하게 드론 조종술을 연마할 수 있고, 드론 판매 매장 등에서는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드론 비행 시연 및 체험을 할 수 있으므로 판매효과를 증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perform drone manipulation in a narrow space such as an indoor room during drone training and can demonstrate a drone flight without experiencing a large expense at a drone sale store, .

최근 드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 현 시점에서 학교나 학원 등 드론 교육 기관에서 시간, 장소, 공간 등의 제약 없이 누구나 안전하게 드론 조종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드론 판매 매장의 드론 판촉용, 식당 및 카페 등의 홍보, 게임장이나 오락시설에서 게임/이벤트용도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으며, 판매처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며 장치에 설치된 모니터와 인터넷을 활용하여 전국, 지역, 마을 단위 광고를 함으로써 장치 판매뿐만 아니라 광고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Nowadays, with interest in drone, it is possible for anyone to experience drone manipulation safely without restriction of time, place and space in the dron education institute such as school or academy,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places in various places for game / event use in publicity, game or entertainment facilities. I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sales of devices, You can generate advertising revenu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제1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안착 모습을 나타낸 제2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제1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비행 모습을 나타낸 제2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비행 모습을 나타낸 제3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firs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in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ing state of a d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irst side view showing an outer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ond side view showing a flying state of a d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third side view showing a flying state of a dr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드론 조종 체험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figuration of a drone piloting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제1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안착 모습을 나타낸 제2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제1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비행 모습을 나타낸 제2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firs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on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ing state of a dr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ter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ond side view showing a flying state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조종장치(220)를 통해 무선조종되는 드론(210)의 고도 및 전후좌우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한정된 공간 내에서 자유로운 비행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비행중인 드론이 천장, 벽면을 비롯한 다양한 사물이나 사람과 충돌하며 발생할 수 있는 인적,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limits the movement of the radio controlled drone (210) in the altitud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the control device (220) and allows free flight control within a limited space. To prevent human and material damage that may occur due to collision with objects or people.

이를 위해 구성되는 몸체(100)는 기본적으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판형의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111) 및 상기 기둥(111)을 통해 베이스판(110)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로 떨어져 설치되되, 상부면에 드론이 안착되는 착륙대(120)를 구비한다.The body 100 constituted for this purpose is basically composed of a plate-shaped base plate 110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pillars 111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10, And a landing platform 12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plate 110, on which the drones are mounted.

상기 착륙대(120)의 사이즈는 체험대상이 되는 드론(2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사이즈로 이루어지되 설치되는 공간의 높이 및 사용자 편의를 위한 높이의 기둥(111)과 더불어 외부 충격 및 비행중인 드론을 통해 전달되는 추진력 등에도 안정적으로 설치상태 유지가 가능한 사이즈 및 형상의 베이스판(110)을 구비하게 된다.The size of the landing platform 120 is set such that the drone 210 to be experienced can be stably installed. The height of the installed space and the height of the pole 111 for user's convenience, And a base plate 110 of a size and shape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an installed state even with propulsion force transmitted through a drone.

이때 상기 착륙대(120)의 중앙에는 드론(210)의 일부가 빠지지 않으면서 후술되는 지지부(140)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공(121)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의 베이스판(110) 및 착륙대(120)와 함께 전후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기둥(111)에 의해 착륙대(120)가 지지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드론의 사이즈나 사용자의 필요에 맞추어 기둥(111)의 숫자를 비롯하여 착륙대(120) 및 베이스판(110)의 형상이 적절히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t this time, a through hole 12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anding platform 120 so that a portion of the drone 210 does not come off but a support portion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smoothly pass through.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ing platform 120 is supported by the four pillars 111 form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square base plate 110 and the landing platform 120, It is apparent that the shape of the landing platform 120 and the base plate 110 as well as the number of the pillars 111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또한, 상기 기둥(111)에는 원하는 높이에서 상기 드론(210)의 조종장치(2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별도의 거치대(101)가 설치될 수도 있다.The column 111 may be provided with a holder 101 for holding the controller 220 of the drone 210 at a desired height.

상기 베이스판(110)의 중앙에는 규격이 다른 복수의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140)가 설치된다. 즉 첨부된 도면과 같이 가장 큰 내경을 갖는 제1파이프(141a)가 상기 베이스판(110)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1파이프(141a)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2파이프(141b)가 제1파이프(141a)에 삽입되고, 제2파이프(141b)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3파이프(141c)가 제2파이프(141b)에 삽입되며, 제3파이프(141c)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제4파이프(141d)가 제3파이프(141c)에 삽입되는 형태로 지지부(140)가 구성되어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A support portion 14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10 to allow a plurality of pipes of different sizes to be sequentially inserted and to be vertically adjustable in a telescopic manner. That is, the first pipe 141a having the largest inner diameter a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s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pipe 141a having an inn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pipe 141a A third pipe 141c having an inn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pipe 141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ipe 141b while the third pipe 141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ipe 141b, And the fourth pipe 141d having an inner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is inserted into the third pipe 141c.

이때 지지부(140)를 구성하며 상호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파이프들은 그 이동 길이가 제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설치장소의 천장 높이와 비행하는 드론(210)의 상승 가능 고도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부(140)가 상기 관통공(121)을 통과하며 적절한 길이로 늘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첨부된 도면에서 4개의 파이프(141a, 141b, 141c, 141d)로 지지부(140)가 구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파이프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this case, the pipes constituting the support portion 140 and slidingly mov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limited in the movement length thereof, and the support portion 140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ceiling height of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ascendable height of the flying drone 210,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and extend to an appropriate length. In the same figure, the supporting part 140 is formed of four pipes 141a, 141b, 141c, and 141d.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supporting part 140 can be composed of an appropriate number of pipes as needed.

본 발명에서 비행대상이 되는 드론(210)은 하부가 상기 지지부(140)의 상측에 고정수단(170)을 통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착륙대(120)에 안착되며, 비행시 고도 상승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140)의 길이가 자연스럽게 늘어나면서 드론(210)의 상승고도를 제한하여 조작이 미숙하더라도 천장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드론(210) 하강시 상기 지지부(140)가 자중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며 착륙대(120)의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210 to be an object of flight is seated on the landing platform 120 with its lower portion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40 through a fixing means 170,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140 is naturally extended to limit the rising height of the drones 210 so as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ceiling even if the operation is immature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140 is reduc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dron 210 is lowered So that it can be stably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landing platform 120.

이때 드론(210)의 충분히 고도가 상승한 상태에서도 역시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드론(210) 조정시 움직임이 제한되며 벽체, 구조물, 사람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부(140)를 구성하는 파이프를 낚싯대와 같은 플랙시블 재질로 구성하며 휘어질 수 있는 범위에서 드론의 전, 후, 좌, 우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지지부(140)를 구성하는 각 파이프 사이에 간격을 두어, 주어진 간격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드론의 전, 후, 좌, 우 방향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dron 210 is elevated to a sufficiently high altitude, the movement of the dron 210 is restricted during the adjustment of the dron 210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prevent collision with walls, structures, The pipe constituting the support portion 14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ishing rod and is allowed to move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of the dron within a range in which it can be bent, or between the pipes constituting the support portion 140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intervals so that the movement of the drone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erformed within a range allowed by a given interva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비행 모습을 나타낸 제3측면도로서, 드론듸 일정 구간내 전후좌우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한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FIG. 5 is a third side view showing a flying state of the dron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for allowing movement in the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directions within the drones.

이 경우 상기 지지부(140)의 하단이 베이스판(110) 상측면에 형성되는 단턱(103) 등으로 설정된 일정 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공(121)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드론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40 is allowed to move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defined by the step 10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and correspondingly, the through- A structure that allows the movement of the drone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made.

물론 드론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유사 개념을 적용하여 종래에도 드론 연습시 고도 및 움직임 제한을 위한 수단으로 로프와 같은 연성 재질의 고정수단을 통해 지면이나 기타 구조물을 드론과 연결하는 방안도 시도되었다. 하지만, 드론의 비행시 매우 방향 하강기류를 동반하게 되므로 로프가 휘날리며 엉키거나 여타의 구조물에 감겨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하측 고정부를 중심으로 로프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매우 넓은 비행범위로 인해 충분히 상승한 상태에서 초보자의 조작 실수로 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드론이 벽체나 천장 또는 바닥면, 심지어 사람과도 충돌하여 피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여전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Of course, applying a similar concept to limit the movement of drones has also attempted to connect the ground or other structures to the drone through the use of flexible materials such as ropes as a means of height and movement restriction during drone practice. However, when the drones f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pe is accompanied by a very low directional airflow, causing the rope to tangle and be wound around other structures, and also due to the wide range of the rope, In the elevat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one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due to the operation error of the novice user is likely to cause damage due to collision with the wall, the ceiling, the floor, or even a person, but this problem can be solved completely in the present invention.

기본적으로 상용 드론에는 비행동작을 위한 전원으로 배터리가 탑재된다. 드론의 종류를 비롯하여 비행동작에 따라 전원공급시간이 다를 수 있으나 일반인들이 접할 수 있는 드론의 경우 2시간 충전 기준 비행시간은 6분 수준으로 입문용 드론의 연습에 따른 운용 시간이 짧아 다양의 배터리를 구비한 상태에서 수시로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Basically, commercial drones are equipped with a battery as a power source for flight oper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drones, the power supply tim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light operation. However, in case of the drone that can be accessed by the public, the flight time for the 2 hour charge is about 6 minutes. There is a difficulty in changing the battery from time to time.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량의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배터리 교체 작업 없이 상용의 전력을 이용하여 비행하는 드론(210)에 상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부(150)를 구비하여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드론(210)을 비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50 that can supply a constant power to the drone 210 that is equipped with a large amount of batteries or is operated by commercial power without battery replacement operation, 210) to be able to fly.

상기 전원부(150)는 기본적으로 사용의 전원에 연결을 위한 콘센트와 더불어 상용의 교류 전원을 드론에 구동을 위한 적정 직류전원(통상 3.7V)으로 변환하는 변압기(151)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변압기(151)는 상기 몸체(100)에 내장될 수도 있고, 외부에 설치되어 변환된 직류전원을 케이블을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변압기의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지극히 자명하므로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power supply unit 150 basically includes a socket for connection to a power source for use, and a transformer 151 for converting a commercial AC power source into a proper DC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drone (typically 3.7 V). The transformer 151 may be embedded in the body 100 or may receive external DC power through a cable. The construction of such a transformer is extremely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prevent the gist of the invention from being blurred.

상기 변압기(151)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은 상기 지지부(140)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1케이블(152)을 통해 상기 지지부(140) 상단까지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제1케이블(152)은 상기 지지부(140)의 최장 확장시에 대응한 충분한 길이로 구비되어 드론(210) 상승시 지지부(140)의 길이가 늘어남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제1케이블(152)의 상측도 올라가며 원활히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C power output from the transformer 151 is transm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140 through the first cable 152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part 140. The first cable 152 is provided at a sufficien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est extension of the support portion 140 so that the first cable 152 is naturally supporte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upport portion 140 when the dron 210 rises. So that the power can be smoothly transmitted.

또한, 드론(210)의 하강시 상기 지지부(140)의 길이가 줄어들며 제1케이블(152)의 상측도 자중에 의해 내려오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케이블(152)이 자연스럽게 감길 수 있는 릴(Reel)을 상기 지지부(140) 하부에 구비하거나, 상기 지지부(140) 내부를 통과하는 제1케이블(152)이 코일 형태로 감긴 형태를 갖도록 하여 지지부(140)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며 원활히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dragon 210 descends,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140 is reduced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able 152 is lowered due to the weight thereof. If necessary, the first cable 152 can be wound Or the first cable 152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140 may be wound in the form of a coil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cable 152 is increas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140 And the length can be adjusted smoothly.

상기 지지부(140)의 상단에는 상기 제1케이블(152)을 통해 전달된 전원을 드론(210)으로 전달하되, 드론(210)의 제자리 회전인 요잉(Yawing) 동작시 케이블의 꼬임 현상 없이 원활히 전원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계부(160)가 설치된다.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cable 152 is transmitted to the dron 210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140 so that the pow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power source 210 without twisting the cable during the yawing operation, The relay unit 160 is installed so that the transfer can be performed.

기존의 유사 드론 고정장치에서는 상용전원이 아닌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을 통해 상시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드론의 Z축 운동(Yawing)시 케이블의 꼬임이 발생하게 되며, 지속적인 일 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반복된 양방향 Z축 회전시 케이블의 내지는 연결부의 손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similar drones fixing device,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rather than the commercial power sourc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source is always supplied through the cable, the cable is twisted when the dron is moved in the Z- Rotation of the Z-axis or repeated rotation of the Z-axis in the bidirectional direction may lead to damage of the cable or the connection portion.

이에 상기 중계부(160)는 기본적으로 상부구조체(164) 및 하부구조체(161)가 세로방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이들을 연결한 세로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횡 방향 360°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부구조체(161)에 연결된 제1케이블(152)로부터의 직류전원을 상기 상부구조체(164)의 회전 중에도 유지되는 접촉단자를 통해 상부구조체(164)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Accordingly, the relay unit 16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tructure 164 and the lower structure 161 are rotatable fre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360 °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connected with the upper structure 164 and the lower structure 16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irect current power from the first cable 152 connected to the lower structure 161 can be transmitted to the upper structure 164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held during the rotation of the upper structure 16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직류전원을 브러시를 통해 회전자에 인가하는 직류 모터의 원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구조로 상기 중계부(16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첨부된 도 6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예가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unit 16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tructures based on the principle of a DC motor that applies DC power to a rotor through a brush 6 illustrate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부(160)는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구조체(161)의 상측으로 노출형성되며 하부에 연결된 제1케이블(152)로부터 직류전원의 각 극이 연결되는 제1하부전극(162) 및 제2하부전극(163)을 구비한다. 즉 직류전원의 양극과 음극이 각각 제1하부전극(162) 및 제2하부전극(163)에 연결되거나 혹은 그 반대로 연결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는 제1하부전극(162)이 하부구조체 회전 중심에 제2하부전극(163)이 제1하부전극(162)과 이격되어 동심원을 이루며 구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The relay unit 160 may include a first lower electrode connected to each pole of the DC power source from a first cable 152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tructure 161 and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tructure 161, 162 and a second lower electrode 163.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DC power supply are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electrode 162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163, respectively, or vice versa. In the figure, the first lower electrode 162 is connected to the lower structure rotation center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163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first lower electrode 162

이외에도 제1하부전극(162)이 중심축이 아닌 제2하부전극(163)과 이격된 동심원으로 형성하는 등의 변형을 통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forming the first lower electrode 162 as a concentric circl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ower electrode 163 instead of the central axis.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구조체(164)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회전시 각각 상기 제1하부전극(162) 및 제2하부전극(163)과 접촉을 유지하며 전원을 인가받는 제1상부전극(165) 및 제2상부전극(166)이 구성된다.A first upper electrode 165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tructure 164 and receiving power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electrode 162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163 at the time of rotation, A second upper electrode 166 is formed.

이때 상기 상부구조체(164) 및 하부구조체(161)는 상호 접촉상태를 유지하며 회전하되 외력에 의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적절한 고정구조를 갖게 되며 원활한 회전을 위해 볼 베어링 등의 구조를 부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At this time, the upper structure 164 and the lower structure 161 maintain a mutual contact state and rotate, but have a proper fixing structure to prevent separation due to external force, and a structure such as a ball bearing can be added for smooth rotation It is self-evident.

또한, 상기 상부구조체(164)에는 상기 하부구조체(161)를 통해 전달된 직류전원을 상기 드론(21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제2케이블(153)과 상기 제2케이블(153) 단부에 형성되어 드론(210) 전원단자에 연결되는 커넥터(154)가 구비된다. 이때 드론의 종류와 사용되는 배터리 타입에 따라 드론(210)에 구비되는 전원단자가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154)는 사용 드론에 구비된 전원단자에 대응하는 다양한 타입의 커넥터를 모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드론의 종류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조종 체험 장치를 원활히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tructure 164 is provided with a second cable 153 and a second cable 153 which are relatively short in length so that the DC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lower structure 161 can be supplied to the drones 210, And a connector 154 formed at the end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f the dron 210. [ Since the power source terminal provided in the drone 21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rone and the battery type used, the connector 154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onnector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ource terminal provided in the used dr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smoothly apply the drone piloting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rrespective of the type of drone.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40) 상단에 드론(2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70)은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구조체(164)에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부(140) 상단에 고정된 하부구조체(161) 상측에서 상부구조체(164)와 이에 고정된 드론(210)이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ixing unit 170 for fixing the dron 210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140 is formed on the upper structure 164, The upper structure 164 and the drone 210 fixed thereto can be smoothly rotated in a straight line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tructure 161 fixed to the lower structure 161.

상기 드론(210)을 상부구조체(164)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70)은 단일 타입의 드론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전용 지그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드론에 구애됨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벨크로 테이프나, 고정클립을 구비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벨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fixing means 170 for fixing the drones 210 to the upper structure 164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jig for use of a single type of dron, A velcro tape, or a belt having a fixing clip and a length adjustable.

또한, 멀티미디어콘텐츠를 다양한 용도로 접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32)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31)가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구비된 콘텐츠를 통해 상기 영상출력부(132) 및 음향출력부(131)로의 출력를 제어하는 제어부(180)가 구비된다.The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image output unit 132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131 for outputting sound in order to combine multimedia contents for various purposes, And a controller 180 for controlling the output to the video output unit 132 and the audio output unit 131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132 and the audio output unit 131.

상기 음향출력부(131)는 스피커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비교적 소형이므로 상기 몸체(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출력부(132)의 경우 TV 또는 모니터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100)에 구비될 경우 사이즈 및 해상도에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몸체(100)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 스탠드(102)에 설치됨으로 더욱 큰 사이즈로서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sound output unit 131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00 because the sound output unit 131 is relatively small in construction corresponding to a speaker. In the case of the video output unit 132, It is provided in the stand 102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body 100, so that a high-resolution image can be provided in a larger size.

상기 제어부(180)는 세부구성으로 다양한 동작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181)와, 광고콘텐츠와 동작모드에 따른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한 멀티미디어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182)와,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른 멀티미디어콘텐츠 및 설정에 따른 광고콘텐츠를 상기 영상출력부(132) 및 음향출력부(131)를 통해 출력하는 콘텐츠재생부(183)와, 상기 드론의 조종신호를 수신하는 연계부(184)와, 상기 영상출력부(132)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콘텐츠 또는 멀티미디어콘텐츠 영상에 드론 영상을 포함시키되 상기 수신되는 조종신호를 상기 드론 영상에 반영하는 영상처리부(185)를 구비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80 includes an interface unit 181 for providing a variety of operation modes in a detailed configuration to be selected from a user, a storage unit 182 for storing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advertisement contents and images and sound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 content playback unit 183 for outputting the multimedia contents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s according to the settings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132 and the audio output unit 131, And an image processor 185 for embedding the dron image into the advertisement content or the multimedia content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32 and reflect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the dron image.

상기 인터페이스부(181) 모드선택 스위치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상기 몸체(100) 상에 구비되어 전원의 On/Off를 비롯하여 제공되는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interface unit 181 is provided on the body 100 in the form of a mode selection switch or a touch screen so as to be able to select an operation mode including on / off of the power supply.

이때 동작모드라 함은 비행술 연습에 따른 숙련도 모드를 비롯하여 드론 비행과 접목된 다양한 게임모드로서 싱글게임, 대전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콘텐츠는 이러한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음향 및 영상콘텐츠뿐 아니라 드론 비행과 관련된 다양한 게임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수신되는 조종신호에 따라 시점이 변화하는 영상콘텐츠와, 다양한 광고콘텐츠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182)에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mode may be a skill game mode according to aviation practice, various game modes combined with a dragon flight, and may be a single game or a competitive game mode. The multimedia contents may be various game contents related to the dragon flight as well as sound and imag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ode. In particular, the multimedia contents may include video contents whose viewpoint changes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2.

상기 콘텐츠재생부(183)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81)를 통해 선택된 동작모드에 대응한 멀티미디어콘텐츠를 상기 저장부(182)를 통해 불러 상기 음향출력부(131) 및 영상출력부(132)를 통해 출력하게 되며, 드론(210)의 비행 전이나 비행이 끝난 후 광고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ents reproducing unit 183 calls the multimedia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through the interface unit 181 through the storage unit 182 and outputs the multimedia contents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31 and the video output unit 132 And outputs the advertisement contents before or after the flight of the drones 210. [

이때 효과적인 콘텐츠 활용을 위해 드론 조종을 위한 신호를 상기 연계부(184)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영상처리부(185)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콘텐츠와 광고콘텐츠 상에 비행하는 드론 영상을 삽입한 상태에서 연계부(184)를 통해 수신되는 조종신호를 반영한 드론 영상 또는 영상콘텐츠의 시점변화를 통해 실제 콘텐츠 내 공간을 비행하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utilize the effective conten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one is received through the linkage unit 184, and the image content outputt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85 and the dragon- The effect of flying the actual contents space through the viewpoint change of the drones image or the image contents reflecting the steerin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unit 184 can be produced.

특히 해당 지역의 이동 로드뷰 등을 영상콘텐츠로 활용하여 해당 로드뷰에 포함된 상점 등의 간판 등을 광고콘텐츠로 부각시켜 비행 시뮬레이션 효과와 지역광고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0)에 GPS모듈을 탑재하여 몸체(100)가 설치된 위치정보를 습득 후 해당 지역에 기반한 지역 사업체를 중심으로한 광고콘텐츠의 선택 및 적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obtain a flight simulation effect and a local advertisement effect at the same time by using a mobile road view or the like of a corresponding region as a video content and highlighting a signboard such as a shop included in the load view as advertisement content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GPS module to be installed so that th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the local business based on the area can be performed after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body 100.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claims set forth to cover all such variations.

100: 몸체 101: 거치대
102: 스탠드 110: 베이스판
111: 기둥 120: 착륙대
121: 관통공 131: 음향출력부
132: 영상출력부 140: 지지부
141a ~ 141d: 파이프 150: 전원부
151: 변압기 152: 제1케이블
153: 제2케이블 154: 커넥터
160: 중계부 161: 하부구조체
162: 제1하부전극 163: 제2하부전극
164: 상부구조체 165: 제1상부전극
166: 제2상부전극 170: 고정수단
180: 제어부 181: 인터페이스부
182: 저장부 183: 콘텐츠재생부
184: 연계부 185: 영상처리부
210: 드론 220: 조종장치
100: Body 101: Cradle
102: stand 110: base plate
111: pillar 120: landing strip
121: Through hole 131: Acoustic output part
132: video output unit 140:
141a to 141d: pipe 150:
151: Transformer 152: First cable
153: second cable 154: connector
160: Relay unit 161:
162: first lower electrode 163: second lower electrode
164: superstructure 165: first upper electrode
166: second upper electrode 170: fixing means
180: control unit 181: interface unit
182: Storage unit 183: Content playback unit
184: Link unit 185: Image processing unit
210: Drone 220: Steering device

Claims (4)

베이스판(110)과, 상측으로 드론(210)이 안착되되 상기 베이스판(110) 상측으로 세워진 기둥(111)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110)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121)이 형성된 착륙대(120)로 구성되는 몸체(100);
하단이 상기 베이스판(110)의 중앙에 고정되되, 규격이 다른 복수의 파이프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관통공(121)을 통과하면서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부(140);
상기 지지부(140) 내부를 통과하며 하부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상부로 전달하는 제1케이블(152)과, 상부구조체(164) 및 하부구조체(161)가 접촉한 상태로 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상기 하부구조체(161)에 연결되는 제1케이블(152)로부터의 직류전원을 상부구조체(164)로 전달하도록 상기 지지부(140)의 상단에 결합하는 중계부(160)와, 상기 상부구조체(164)에 연결되어 상기 드론(210)으로 공급하는 제2케이블(153) 및 커넥터(154)로 구성되는 전원부(150);
상기 상부구조체(164)의 상측에 상기 드론(210)의 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7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 체험 장치.
And a through hole 121 is formed at a center of the base plate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10 through a column 111 on which the drone 210 is mounted and which is installed above the base plate 110 A body 100 composed of a formed landing platform 120;
A support 140 fixed to a center of the base plate 110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ipes in a manner that sequentially inserts the pipes into the through holes 121 so as to be vertically adjustable in length;
A first cable 152 which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part 140 and transfers the DC voltage suppli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a second cable 152 which is laterally rotatable with the upper structure 164 and the lower structure 161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relay unit 16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unit 140 to transmit DC power from a first cable 152 connected to the lower structure body 161 to the upper structure body 164, A power supply unit 150 including a second cable 153 and a connector 154 connected to the drones 210 to supply the drones 210;
Fixing means 170 for fixing the body of the drones 210 above the upper structure 164;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160)는 상기 하부구조체(161)의 상측으로 노출형성되어 직류전원이 인가되는 제1하부전극(162) 및 제2하부전극(163)과, 상기 상부구조체(164)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회전시 각각 상기 제1하부전극(162) 및 제2하부전극(163)과 접촉을 유지하며 전원을 인가받는 제1상부전극(165) 및 제2상부전극(16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 체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unit 160 includes a first lower electrode 162 and a second lower electrode 163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tructure 161 and to which DC power is applied, And a first upper electrode 165 and a second upper electrode 166 that are exposed while being kept in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electrode 162 and the second lower electrode 163 while being rotated, Drone pilot experien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32)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31)를 더 포함하고,
동작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181)와, 광고콘텐츠와 동작모드에 따른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한 멀티미디어콘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182)와,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른 멀티미디어콘텐츠 및 설정에 따른 광고콘텐츠를 상기 영상출력부(132) 및 음향출력부(131)를 통해 출력하는 콘텐츠재생부(183)를 구비하는 제어부(1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 체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100 further includes an image output unit 132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n acoustic output unit 131 for outputting sound,
A storage unit 182 for storing advertisement contents and multimedia contents including images and sou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a multimedia contents and setting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mode. And a content playback unit (183) for outputt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132) and the audio output unit (13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on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론(210)의 조종신호를 수신하는 연계부(184)와, 상기 영상출력부(132)를 통해 출력되는 광고콘텐츠 또는 멀티미디어콘텐츠 영상에 드론 영상을 포함시키되 상기 수신되는 조종신호를 상기 드론 영상에 반영하는 영상처리부(18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콘텐츠는 수신되는 조종신호에 따라 시점이 변화하는 영상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조종 체험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linking unit 184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of the dragon 210 and a dragon image in the advertisement content or the multimedia content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32,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185) for reflec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drones image,
Wherein the multimedia content includes an image content whose viewpoint changes according to a received control signal.
KR1020170138518A 2017-10-24 2017-10-24 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 KR201900456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18A KR20190045670A (en) 2017-10-24 2017-10-24 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18A KR20190045670A (en) 2017-10-24 2017-10-24 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670A true KR20190045670A (en) 2019-05-03

Family

ID=6658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518A KR20190045670A (en) 2017-10-24 2017-10-24 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567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288A (en) * 2019-07-30 2021-02-09 정일 Leisure Piloted Dron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230079937A (en) * 2021-11-29 2023-06-07 최효선 Practice device for flight control of small dr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411B1 (en) 2016-03-03 2016-11-17 조남섭 Hovering Exercise Apparatus of Unmanned flying obje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411B1 (en) 2016-03-03 2016-11-17 조남섭 Hovering Exercise Apparatus of Unmanned flying objec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288A (en) * 2019-07-30 2021-02-09 정일 Leisure Piloted Drone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230079937A (en) * 2021-11-29 2023-06-07 최효선 Practice device for flight control of small dr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6480A (en) Portable multiple module simulator apparatus
US2861806A (en) Rocket ship amusement apparatus
CN205539719U (en) Virtual reality wears display multi -angle view and experiences device on foot
KR20190045670A (en) Apparatus for experiencing drone maneuvering
JP6525145B2 (en) Emitting point figure pattern display system using a flying object, a method of displaying a light emitting point figure pattern, and a flying object used for the system and method
Marchand The Designers Go to the Fair II: Norman Bel Geddes, The General Motors" Futurama," and the Visit to the Factory Transformed
US11119509B2 (en) Configuring a color bi-directional pixel-based display screen with stereo sound for light shows using quadcopters
KR101962389B1 (en) Ground Test Flight Equipment for Drones and Play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10046414A (en) Parachute descent train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CN108043024A (en) A kind of roller-coaster based on image transmitting and posture sensing control simulates system of travelling
EP0094950A1 (en) Glider flight simulator
KR20190046302A (en) VR-based 12-seater flight experience simulator that can experience the reduction and acceleration / direction change feeling connected with motion of the aircraft in the video
US10362863B2 (en) Stowable sensory learning assembly
JPH08244691A (en) Simulator for parachute manufacturing training
JP7024985B1 (en) Floating advertising device
RU206260U1 (en) MOBILE PLATFORM FOR AVIASIMULATOR
KR20190000067A (en) Experience vehicle system for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CN206946881U (en) Suspension type floor information direction board
KR102091337B1 (en) Hang gliding exercise device
CN216561384U (en) Mobile CAVE immersive interactive projection system
JP3182053U (en) Video presentation device
CN212724403U (en) Space launching site demonstration equipment
KR20240014748A (en) Extended reality smart tour bus with transparent display
CN213123640U (en) Staying unmanned aerial vehicle aerial LED display screen
Collins Effective approaches to disorientation familiarization for aviation perso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