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313A -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313A
KR20190044313A KR1020170136588A KR20170136588A KR20190044313A KR 20190044313 A KR20190044313 A KR 20190044313A KR 1020170136588 A KR1020170136588 A KR 1020170136588A KR 20170136588 A KR20170136588 A KR 20170136588A KR 20190044313 A KR20190044313 A KR 2019004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lithium
electrode
selenium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진
김원희
엄광섭
이승민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3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313A/ko
Publication of KR2019004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고분자로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에 관한 것으로, 황 화합물을 담지한 탄소를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하여 제1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을 양극으로 배치하는 단계, 리튬 금속을 포함하여 제2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을 음극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배터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Selenium-sulfur compound electrode material coated with polyanilin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러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탄소에 셀레늄-황 화합물을 담지시킨 후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한 것을 전극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리튬-황 배터리는 높은 무게당 이온 용량, 낮은 가격 및 자연에 풍부한 물질의 장점으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리튬-황 배터리는 낮은 전도도로 인한 고율 방전 한계 및 충방전 중 폴리설파이드의 용해로 인한 낮은 사이클 수명의 단점 및 한계를 가져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에 커패시터 전극 물질로 사용되는 탄소 물질은 구조적 안정성이 있으나 이론적 충전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 슈퍼커패시터에서 요구되는 높은 충전 용량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도성 고분자, 산화 금속 등 여러 가지 대안 물질이 소개되고 있다.
공액(conjugation) 고분자는 탄소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지며 기계적, 화학적, 광학적 특성이 뛰어나며 부식안정성,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합성의 가능성을 가진다. 이러한 고분자는 원자들, 특히 탄소 원자와 탄소 원자 사이, 탄소 원자와 질소 원자 사이에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을 가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공액 결합을 지니는 화합물들은 그 자체로는 전도성을 나타내지 않으나, 도판트(dopant)를 이용해 도핑을 시키면 전도성을 나타낸다.
전도성 고분자는 위의 특성 때문에 태양 전지, 경량화 배터리, 발광 다이오드, 에너지 저장장치, 센서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들 중에서도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피놀은 낮은 가격, 환경적 안정성, 쉬운 합성 등의 장점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폴리아닐린은 가역적인 양성자 도핑가능성, 산화환원 반응의 재현가능성, 전기적 전도성 때문에 전기적 물질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충전 용량이 높으나 사이클 수명(cyclic life)이 낮고, 충방전시 부피 변화가 큰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탄소 물질과 폴리아닐린의 복합물질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기존의 리튬-황 배터리의 황의 부도체 특징으로 전도성이 떨어지는 물질은 셀레늄-황 화합물의 포함된 셀레늄 성분으로 대체하므로 황보다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갖을수있고 그로 인해 배터리의 전극 물질로써 더 유리한 면이 있다. 셀레늄의 산화환원 전위는 황에 비해 높으며 이는 황에 비해 고출력에 대응가능하다. 따라서, 셀레늄-황 화합물은 기존의 리튬-황 전지의 차세대 양극 물질로써 주목받고 있다. 또한 셀레늄-황 화합물의 부피당 이론용량은 예를 들어, 4,026 mAh/cm3 로 황 (3,467mAh/cm3 )에 비하여 더 큰 부피당 이론용량을 가진다. 따라서 셀레늄-황 화합물은 큰 부피당 이론용량을 필요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적합한 물질이라 할 수 있다.
셀레늄-황 화합물의 경우 낮은 전기전도성으로 인해 배터리 시스템 내부의 저항을 증대시키고, 이는 높은 전류에서의 이론용량 발현을 취약하게 한다. 또한, 충방전을 오랫동안 진행하게 되면 전극에 있던 셀레늄-황 화합물이 전해질에 녹아나오게 되고 이는 전극 물질의 손실을 가져오며 용량 감소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전기전도성이 좋은 전도성 고분자를 셀레늄-황 화합물 위에 코팅하므로 전체 전극물질의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시스템 내부 저항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는 셀레늄-황 화합물의 이론용량을 모두 발현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전도성 고분자 코팅으로 인해 셀레늄-황 화합물 표면의 고분자 막이 형성한다. 이는 오랜 충방전을 한 후에도 전극에 있던 셀레늄-황 화합물이 전해질에 녹아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용량을 유지시켜주게 되기 때문에 셀레늄-황 화합물을 포함한 리튬-황 배터리 물질의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KR 10-115374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튬-황 배터리의 낮은 전도도로 인한 고율 방전 한계 및 충방전 중 폴리설파이의 용해로 인한 낮은 사이클 수명 단점을 개선된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지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리튬-황 배터리를 제조하는 방법은 황 화합물을 담지한 탄소를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하여 제1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을 양극으로 배치하는 단계, 리튬 금속을 포함하여 제2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극을 음극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황 화합물을 담지한 탄소를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하여 전극을 형성하여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된 전극을 통해 배터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을 통해 고속 충전 및 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을 통해 충전 용량 및 안정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리튬-황 배터리의 방전시 메커니즘을 나타낸 그래프 이다.
도 2은 리튬-황 배터리의 방전 시 황의 구조 및 화학적 조성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는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에 용해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전도성 폴리머로 코팅된 셀레늄-황 전극 모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전극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리튬-황 배터리를 나타낸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전도성 고분자 코팅 전과 코팅 후를 비교한 충전, 방전 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폴리아닐린이 코팅된 황 화합물을 담지한 카본의 TEM 사진이다.
도 9은 폴리아닐린, 황 화합물을 담지한 카본, 폴리아닐린이 코팅된 황 화합물을 담지한 카본의 FT-IR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리튬-황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리튬-황 배터리 제조방법은 황 화합물을 담지한 탄소를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하여 제1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을 양극으로 배치하는 단계, 리튬 금속을 포함하여 제2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을 음극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및 폴리피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리튬-황 배터리의 방전시 메커니즘을 나타낸 그래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황 화합물과 전도성카본은 바인더(binder)로 연결되어 양극에 배치되어 있고, 리튬(Li)은 음극 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리튬-황 배터리 방전시 메커니즘 및 시간에 따른 전압 값 그래프이다.
상기 메커니즘은 Ⅰ, Ⅱ 및 Ⅲ 구간으로 나뉠 수 있다. Ⅰ 또는 Ⅱ의 구간은 용해성 영역(soluble region) 으로 Ⅰ구간에서 2.3V, Ⅱ구간에서 2V내지2.3V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Ⅲ 구간은 비용해성 영역(insoluble region)으로 예를 들어, 2V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리튬-황 배터리의 방전 시 황의 구조 및 화학적 조성 변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Ⅰ, Ⅱ 및 Ⅲ 으로 구분지어 리튬-황 방전시 황의 구조 및 화학적 조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Ⅰ구간은 S8이 Li2S8 로 Li이 합성되는 구간, Ⅱ구간은 Li2S8 이 Li2Sn (2<n<8)의 폴리설파이드로 변형 되는 구간, Ⅲ구간은 Li2Sn 이 Li2S2 또는 Li2S 로 나뉘는 구간으로 리튬-황 배터리를 방전하면 배터리의 전해액 내에서 화학적 조성의 변화가 관찰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리튬-황 배터리는 예를 들어, 높은 무게당 이온용량이 2,600Wh/kg, 1,672mAh/g의 고용량 소재, 낮은가격 및 자연에 풍부한 물질로 구성되는 장점 과 (5x10-18 S/cm)의 낮은 전도도로 인한 고율 방전 한계 및 충방전중 폴리설파이드의 용해로 인한 낮은 사이클 수명의 단점을 알 수 있다.
도 3은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에 용해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기존 리튬-황 배터리는 충 방전 시, 양극활물질인 황이 폴리 설파이드 형태로 전해애엑 용해되어 용량 감소 및 불안정한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리튬-황 배터리의 황 전도도는 주도체 성질을 지니기 때문에 고속 충전 또는 고속 방전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양극활물질 황과 셀레늄(Se)을 사용하여 전도성을 올리고 음극 물질의 리튬(Li)을 리튬 외에 리튬-실리콘(Li-Si)을 사용하여 전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전도성 폴리머가 코팅된 셀레늄-황 전극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셀레늄-황 전극을 예를 들어, 전도성 폴리머인 폴리아닐린(PANi)을코팅함으로 써 기존의 리튬-셀레늄-황 전지 보다 전극내 전기전도도를 향상 시킬수 있고, 폴리아닐린을 셀레늄-황 전극 물질에 코팅함으로써, 충방전 중에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설파이드가 전ㅎ액에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극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다공성 카본에 담지된 셀레늄 디설파이드, 증류수 및 아세톤을 혼합하고 교반봉으로 교반시켜SeS2/C의 분산을 준비하는 단계, 제조된 혼합물을 초음파를 이용해 고르게 분산 하는 단계; 초음파 분산을 통해 고르게 분포된 혼합물에 염산(2M) 및 고분자 모노머(아닐린, 피롤 등)를 첨가하고 15분 교반봉을 이용해 교반하는 단계, 교반된 혼합물에 산화제(Ammonium persulfate solution)를 첨가하고 6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 증류수와 에탄올을 이용해 세척 및 필터를 통해 거른 후 진공건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된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리튬-황 배터리를 나타낸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캡, 웨이브 스프링, 스페이서 디스크, 리튬, 개스킷, 분리막,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및 케이스로 이루어진 구조로 리튬-황 배터리가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전도성 고분자 코팅 전과 코팅 후를 비교한 충전, 방전 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이클 횟수(cycle number)에 따른 비용량(Specific Capacity/mAhg-1)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 내에 포함된 Crate는 전지의 충반전 속도를 표시하는 단위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C/10 rate로 충전은 10시간 동안 완전히 충전 시킬 때의 충전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그래프의 C/10에서 2C까지 충전 및 방전 속도를 높이고 다시 C/5로 충전 및 방전 시켰을 때 전도성 고분자 코팅을 하기 전에 1C, 2C 에서 용량이 거의 발현되지 않지만, 코팅후 높은 충전 및 방전 속도에서도 용량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및 방전 속도가 높아질 때 코팅 전보다 코팅후가 변화의 폭이 작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사이클이 진행된 후에도 코팅을 한 것이 용량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폴리아닐린이 코팅된 황 화합물을 담지한 카본의 TEM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폴리아닐린이 코팅된 황화합물을 담지한 카본의 주사 전자 현미경 분석 TEM 사진으로 이 사진을 통해 황 화합물이 담지된 카본 위에 폴리 아닐린이 코팅되고 코어(core) / 쉘(shell) 구조를 잘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극이 폴리아닐린이 코팅된 황 화합물을 포함하는 특징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9는 폴리아닐린, 황 화합물을 담지한 카본, 폴리아닐린이 코팅된 황 화합물을 담지한 카본의 FT-IR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파장수(wavenumbers (cm-1))에 따른 Transmlsslon(a.u.)값으로 폴리아닐린, 황 화합물을 담지한 카본, 폴리아닐린이 코팅된 황 화합물을 담지한 카본을 각각 측정한 FT-IR 그래프이다.
폴리아닐린을 코팅하기 전과 코팅한후 그래프의 개형이 유사함으로 황 화합물이 담지된 다공성 카본의 형태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닐린을 코팅한 후 다공성 카본에서 폴리아닐린의 IR흡광 피크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코팅이 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 화합물을 담지한 탄소를 폴리아닐린으로 코팅한 전극은 코어-쉘 형태를 잘 유지하며,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는 문제가 없어 오랜 수명을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는 리튬-황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황 화합물을 담지한 탄소를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하여 전극을 형성하여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된 전극을 통해 배터리의 수명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을 통해 고속 충전 및 방전을 가능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을 통해 충전 용량 및 안정적인 전기화학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황 화합물을 담지한 탄소를 전도성 고분자로 코팅하여 제1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을 양극으로 배치하는 단계;
    리튬 금속을 포함하여 제2전극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전극을 음극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황 배터리 제조방법.
KR1020170136588A 2017-10-20 2017-10-20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KR20190044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88A KR20190044313A (ko) 2017-10-20 2017-10-20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88A KR20190044313A (ko) 2017-10-20 2017-10-20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13A true KR20190044313A (ko) 2019-04-30

Family

ID=6628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588A KR20190044313A (ko) 2017-10-20 2017-10-20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3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83A (ko) * 2021-07-30 2023-02-07 (주) 에이프로 나노 입자를 구비한 리튬 이온 전지용 양극재 구조와 그의 제조방법
CN115911340A (zh) * 2023-02-02 2023-04-04 东北林业大学 一种载硫层状杨木炭/聚苯胺复合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746B1 (ko) 2010-10-04 2012-06-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패시터 전극 물질을 위한 폴리아닐린/활성탄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746B1 (ko) 2010-10-04 2012-06-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패시터 전극 물질을 위한 폴리아닐린/활성탄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583A (ko) * 2021-07-30 2023-02-07 (주) 에이프로 나노 입자를 구비한 리튬 이온 전지용 양극재 구조와 그의 제조방법
CN115911340A (zh) * 2023-02-02 2023-04-04 东北林业大学 一种载硫层状杨木炭/聚苯胺复合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8956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とそのための正極シート
US5518841A (en) Composite cathode
JP3708426B2 (ja) プロトン伝導型ポリマー2次電池
JP6153124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59912A (ja) 改質セルロースをベースとする固体ポリマー電解質、及びリチウム又はナトリウム二次電池におけるその使用
US20030096163A1 (en) Non 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15005135A1 (ja) 蓄電デバイス用電極およびその製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
JP2007281107A (ja) 蓄電デバイス
CN108292568A (zh) 电化学设备及其制造方法
JP2002093419A (ja) インドール系化合物を用いた二次電池及びキャパシタ
KR20140086875A (ko) 축전 디바이스용 정극 및 축전 디바이스
KR20190044313A (ko)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셀레늄-황 화합물 전극 물질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JP2015165481A (ja) 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
JP2015090842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84182A1 (ja) 蓄電デバイス、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極並びに多孔質シート
WO2014024941A1 (ja) 蓄電デバイス用正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蓄電デバイス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蓄電デバイス
WO2014006973A1 (ja) 蓄電デバイス用電極、そ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法
US20040110062A1 (en) Electrode using improved active material for battery and capacitor
EP2919306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089707B2 (ja) 固形電極組成物
JPS6220251A (ja) 二次電池
WO2014157059A1 (ja) 蓄電デバイス用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
JPS6376274A (ja) 二次電池
JP2015011876A (ja) 電極の製法、それにより得られた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
CN117352850A (zh) 一种低温快充钠离子电池电解液及钠离子电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