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257A -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257A
KR20190044257A KR1020170136457A KR20170136457A KR20190044257A KR 20190044257 A KR20190044257 A KR 20190044257A KR 1020170136457 A KR1020170136457 A KR 1020170136457A KR 20170136457 A KR20170136457 A KR 20170136457A KR 20190044257 A KR20190044257 A KR 20190044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extract
gas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호
조주연
Original Assignee
조남호
조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호, 조주연 filed Critical 조남호
Priority to KR102017013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257A/ko
Publication of KR2019004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류수 11~30 중량%,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11~30 중량%, 참나무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칡넝쿨 또는 칡뿌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함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해가스내 화학물질 자체의 독성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저렴한 가격 및 우수한 성능을 갖는 유해가스 제거제를 얻을 수 있고 그 유해가스 제거제를 통해 각종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금속 표면에서 부식을 야기시키지 않고 동,식물 등에 화학성분의 부작용을 억제하고 인체에 화학성분의 노출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AGENTS FOR SIMULTANEOUSLY REMOVING HAZARDOUS GASES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참나무, 칡 및 함초로부터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을 후속 처리과정을 통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각종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을 포함한 유해가스의 독성을 완화 또는 제거하고 특히 유해가스로 인한 철 등의 금속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환경이 윤택해 짐에 따라 보다 나은 생활환경과 작업환경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환경개선 사업에 많은 노력과 비용을 투입하고 있다. 특히, 경제규모의 팽창으로부터 주거지역과 근접한 지역에 까지 확장된 각종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유해가스가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처리능력의 한계와 함께 처리방법의 미비로 인하여 심각한 환경 오염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중 황화수소, 머캅탄류, 아민류, 기타 악취물질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고, 이러한 악취물질은 알.떠블유.몬크레프(R.W.Moncreff)와 아무어(Amoore)의 연구 발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휘발성이 높고 증기압력이 크며 비교적 유기용매에 쉽게 녹으며, 둘째, 일반적으로 비금속 화합물의 악취가 금속물질 보다 심하다. 셋째, 질소 혹은 유황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넷째, 화학구조가 비슷한 화합물도 그 냄새가 완전히 같을 수 없으며, 동일계열의 물질은 분자량이 클수록 악취도 강해진다.
일반적으로 취기 감각은 미량인 여러 종류의 취기물질에서 발생하여, 이것들에 의한 후각자극의 종합적인 지각으로서 특유의 냄새가 불쾌성 또는 혐오성과 함께 감지되게 된다. 이러한 악취는 크게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정신상태, 내분비계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중의 유해가스는 인간에게 극히 유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많은 연구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생물탈취법, 흡착법, 촉매산화법, 응결법, 및 은폐법등의 처리방법이 제시되었고, 대부분 성능의 저하, 운전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악취 제거제는 목적가스를 완전 분해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시적인 은폐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시적인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2차 오염 악취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491687호(2005.05.18.등록)에는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액에 다른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식물성 추출 숙성액으로 화학물질의 독성을 완충 또는 제거하고 다른 화합물들로는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기술로는 전체적으로 저렴한 가격 및 우수한 성능을 갖는 유해가스 제거제를 개시하고 독성을 크게 완화함으로써 가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또는 각 동물이나 인체의 피부에 악 영향을 주는 화학성분을 제거하여 저렴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종래특허에서 개시하고 있는 유해가스 제거제는 그 사용시에 제거제원액의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색상과 화학성분으로 인하여 피부 등에 심각한 발진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밝은 천이나 종이류 의류 등에 얼룩 또는 착색의 우려가 높으며, 유해가스의 화학성분들로 인하여 각종 철 등과 같은 금속류에 심한 부식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456911호(2004년11월03일 등록)에 개시된 보일러 또는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 중 유해가스를 기체상태에서 세정하는 반건식 세정장치에서는, 케이싱 내에서 선회류를 형성하여 유해가스와 화학약품 및 수증기의 혼합율을 높여 세정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연소가스중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화학약품을 사용하고, 이에 의해 발생되는 또 다른 환경오염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중화제를 사용함에 따라 비용증가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기존의 유해가스 제거 방법에서 보다 개선된 성능과 안전성에서 우수한 유해가스 제거제 및 유해가스 제거방법이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56911호(2004년11월03일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0491687호(2005.05.18.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의 숙성액에 유해가스 제거용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저렴한 가격 및 우수한 성능으로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되, 유해가스 제거제가 적용된 대상의 표면에서의 얼룩 또는 착색 등과 같은 것을 방지하고 가정용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식물의 피부나 잎에 화학성분으로 인한 부적합한 부작용을 최대한 억제시키고 철과 같은 금속류에 부식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가스나 심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는, 증류수 11~30 중량%,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11~30 중량%, 참나무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칡넝쿨 또는 칡뿌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함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 제조방법은, 칡뿌리(또는 넝쿨)와 물을 중량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서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함초를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고, 함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서 가열하여 함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참나무 줄기를 파쇄하여 메틸알콜에 침지시켜 상온에 방치하여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고, 고형분를 분리시키는 참나무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일라이트를 물에 중량비로 1 : 10의 비율로 압력용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20분간 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냉각하여 음이온 성분을 포함하는 물을 분비하는 단계,
숯을 빙초산에 중량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빙초산에 함침시켜 빙초산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 정제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칡, 함초, 참나무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일라이트로 가열 처리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황산, 염산동 용액,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단계에서의 혼합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증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칡 유효성분 추출액 및 함초 유효성분 추출액을 실온(25도), 대기압 상태에서 10일 이상 숙성시키는 유효성분 추출물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된 칡과 물을 압력용기에서 150~250℃의 온도로 90~18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함초를 약 250℃로 15분간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며, 함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서 150~250℃의 온도로 60~10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상기 혼합 단계에서, 증류수 11~30 중량%,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11~30 중량%, 참나무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칡넝쿨 또는 칡뿌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함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액에 유기가스 제거용으로 다른 화합물들을 혼합함으로써 화학물질 자체의 독성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저렴한 가격 및 우수한 성능을 갖는 유해가스 제거제를 얻을 수 있고 그 유해가스 제거제를 통해 각종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이러한 유해가스 제거제가 적용되는 대상의 미관 또는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그 표면에 얼룩이 남지 않거나 그 표면에서 부식을 야기시키지 않고 동,식물 등에 화학성분의 부작용을 억제하고 인체에 화학성분의 노출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가스나 심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아세트알데히드 제거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황화수소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메틸머캅탄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황화메틸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이황화메틸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이산화질소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이산화황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암모니차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한 트리메틸아민 제거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1은 종래 기술의 제거제를 금속에 사용시 부식 진행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금속에 사용시 부식 진행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와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는 칡(넝쿨 또는 뿌리)와, 함초 및 참나무 각각으로 부터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증류수,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황산, 질산동,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제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상기 유해가스 제거제 원액의 성분비는 증류수 11~30 중량%,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11~30 중량%, 참나무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칡넝쿨 또는 칡뿌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함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산동은 70%의 질산 20리터에 구리 750g을 녹인 것이다. 상기 황산은 7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순도가 더 높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빙초산도 숯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99%로 되게 정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 농장 등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성, 특히 알칼리성 식물의 추출물 숙성액, 목적에 따라서 별도로 처리된 물 및 빙초산, 및 기타 다수의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켜 제조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식물, 바람직하기로는 참나무, 칡(넝쿨 또는 뿌리) 및 함초 각각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그 추출물들을 상온 대기중에서 12~32시간 숙성시킨다. 상기한 참나무와 칡 및 함초 추출물의 숙성액은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물속에 일라이트를 넣고 가열하여 일라이트로 부터 발생되는 음이온성분을 함유한 물을 준비하고, 빙초산에 숯을 넣어 처리한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한다. 상기 일라이트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운모족 광물로서,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음이온을 다량 발생하며, 음이온을 띠기 때문에 부유물질의 양이온 미립자와 전기적인 중화로 응집 효과로 물과 토양 및 대기중에서 각종 중금속 및 유독가스를 흡착 및 탈취 분해작용을 한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황산, 질산동,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으로 수득된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정해진 용기에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한 후 발생된 증류물을 일정한 관로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이송되고 있는 관을 급속 냉각시키면 증류액이 만들어지며 그 증류액을 일정시간 뚜껑이 없는 용기에 저장하면 물보다 가벼운 유해한 화학성분이 기체가 되어 증발하게 되고 남아있는 제거제가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증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 제조 과정을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칡으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칡뿌리(또는 넝쿨)와 물을 중량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90~18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조건에서 비율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제시한 온도, 압력,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유효 추출성분이 변하여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2) 함초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함초를 약 250℃로 15분간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며, 함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0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조건에서 비율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제시한 온도, 압력,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유효 추출성분이 변하여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참나무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참나무는 줄기를 가루상태로 파쇄시킨 후 메틸알콜에 침지시키고, 이를 상온에서 10일 이상 방치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의 추출 및 숙성을 동시에 진행시킨다. 상기 추출물에서 고형분를 분리시켜 참나무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메틸알코올 용액인 숙성액을 만든다. 상기 참나무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4) 식물 유효성분 추출물들의 숙성단계
상기와 (1),(2)와 같이 추출된 칡뿌리의 유효성분 추출액 및 함초 유효성분 추출액을 실온(25~30도), 대기압 상태에서 10일 이상 숙성시켰다. 상기 칡뿌리와 함초의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5) 일라이트로 물을 가열 처리하는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일라이트는 물에 중량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압력용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2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상기 방법으로 처리한 물을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여기에서 물속에 일라이트를 넣고 가열하는 이유는 물속에서의 음이온 성분을 증가시킴으로 유해가스 제거제에 사용할 음이온 성분의 물을 얻기 위함이다.
(6)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숯을 빙초산에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빙초산에 함침시켜 10일간 보관한다. 이는 고순도의 시약급 빙초산을 사용할 경우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시판되는 공업용 빙초산을 사용하는데, 이때 공업용 빙초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빙초산에 숯을 함침시킴으로써 불순물을 제거, 정제할 수 있는 것이다.
(7) 혼합단계
상기 식물성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일라이트로 가열 처리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질산크롬, 황산, 염산,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한다.
(8) 증류단계
정해진 밀폐용기에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모아 이송관로를 이용하여 이송하면서 이송관로를 급속 냉각시켜 응축된 증류액을 적당한 용기에 받아낸다. 상기 증류 단계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혼합액에서는 청록색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색상으로 인하여 유해가스 제거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흰색 천에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분들을 아래와 같이 배합하여 유해가스 제거제가 제조된다.
상기한 제조과정에서 유해가스 제거제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증류수 11~30 중량%,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11~30 중량%, 참나무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칡(뿌리 또는 넝쿨)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함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제조한 다음, 그 원액을 증류하여 유해가스 제거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1) 칡으로부터 유효성분 추출
칡뿌리(또는 넝쿨) 1kg을 물 30리터에 넣고 압력 추출기에서 150℃의 온도로 12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하였다.
(2) 함초로부터 유효성분 추출
함초 11kg을 약 250℃로 15분간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며, 상기 함초를 물 30리터에 넣고 압력 추출기에서, 200℃의 온도로 8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하여 추출된 액을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하였다.
(3) 참나무로부터 유효성분 추출
참나무 줄기 9kg을 가루상태로 파쇄시킨 후 90%의 메틸알콜 30리터에 침지시키고, 이를 상온에서 10일 이상 방치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의 추출 및 숙성을 동시에 진행시킨다. 상기 추출물에서 고형분를 분리시켜 참나무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메틸알코올 용액인 숙성액을 만든다. 상기 참나무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4) 식물 유효성분 추출물들의 숙성단계
상기와 (1),(2)와 같이 추출된 칡뿌리의 유효성분 추출액 및 함초 유효성분 추출액을 실온(25도), 대기압 상태에서 10일 이상 숙성시켰다.
(5) 일라이트로 물을 가열 처리하는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일라이트 1kg와 물 10리터를 압력용기에 넣고, 150℃의 온도로 12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상기 방법으로 처리한 물을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하였다.
(6)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숯 1kg을 빙초산 10리터에 함침시켜 10일간 보관하여 한다. 이는 고순도의 시약급 빙초산을 사용할 경우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시판되는 공업용 빙초산을 사용하는데, 이때 공업용 빙초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빙초산에 숯을 함침시킴으로써 불순물을 제거하여 99%의 빙초산을 얻는다.
(7) 혼합단계
상기 식물성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일라이트로 가열 처리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황산, 질산동,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한다.
증류수 1.1리터, 물 1.1리터, 참나무 숙성액 1.1리터, 칡숙성액 1.1리터, 과산화수소 0.4리터, 함초 숙성액 0.9리터, 황산 0.02리터, 질산동 용액 0.08리터, 숯으로 정제된 빙초산 0.1리터, 중탄산나트륨 0.85리터를 혼합하였다.
(8) 증류단계
정해진 밀폐용기에 상기한 혼합단계에서의 혼합물을 넣고 용기에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모아 이송관로를 이용하여 이송하면서 이송관로를 급속 냉각시켜 응축된 증류액을 수집용기에 받아서 유해가스 제거제 원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증류 단계는 숙성액들과 불순물을 제거하며, 혼합액에서의 청록색으로 인하여 유해가스 제거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의류와 장비에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 원액을 사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황화메틸, 이화화메틸,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암모니아 및 트리메틸아민의 유해가스 및 악취에 대한 성능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들이 하기 표들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실험을 위한 실험 장치는 가스 주입부와 반응부 그리고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주입부에는 일정한 가스량을 주입할 수 있게 플로미터(flowmeter-Metheson : E1-3A101-V/E200)가 제공되어 최대한의 실험오차를 줄였다. 상기 반응부는 반응가스와 반응성이 없는 재질의 파이렉스(pyrex : 내열성 및 화학 내구성이 강한 유리)를 이용하였다. 상기 측정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HP5890)와 중화적정법의 원리로서 변색된 정도로 측정하고자 하는 가스의 농도를 판독할 수 있는 간이 측정장치인 검지관(Gastech.)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지관의 경우 모델넘버에 따라 그 측정 농도 범위가 구분되어 진다.
<유해가스제거제의 성능 실험 결과>
(1) 아세트알데히드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HP 58900/FID)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 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아세트알데히드 용액(99%)을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75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아세트알데히드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 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아세트알데히드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아세트알데히드(CH3CHO) 초기농도 750 0 검지관 NO. 92L
5 62.5 91.6 검지관 NO. 92L
10 5 99.3 검지관 NO. 92L
초기농도 750 0
5 7.5 99 기체크로마토그래프
10 0 100
아세트알데히드 초기농도 750ppm를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아세트알데히드의 감소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트그래프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표시하고, 도 1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1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가 10분 이상 경과시 거의 0에 가깝게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포름알데히드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HP5890/FID)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pyrex 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포름알데히드 용액(35%)을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45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포름알데히드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 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포름알데히드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포름알데히드
(HCHO)
0 450 0 검지관 NO. 93L
5 1 99.8 검지관 NO. 91L
10 0 100 검지관 NO. 91L
0 450 0
5 20.7 95.4 기체크로마토그래프
10 12.2 97.3
포름알데히드 초기농도 450ppm를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포름알데히드의 감소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트그래프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표시하고, 도 2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2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포름알데히드가 5분 이상 경과시 거의 5% 미만으로 제거되고, 10분정도 경과시에는 거의 0에 가깝게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에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을 사용한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3) 황화수소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CP3800/PEPD)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황화수소 가스(99.99%)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황화수소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 시간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황화수소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황화수소
(H2S)
0 1200 0 검지관 NO. 4HM
5 2 99.8 검지관 NO. 4LL
10 0 100 검지관 NO. 4LL
0 1200 0
5 0 100 기체크로마토그래프
10 0 100
황화수소 초기농도 1200ppm를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황화수소의 감소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트그래프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표시하고, 도 3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3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황화수소가 5분 이상 경과시 거의 0.2% 미만으로 제거되고, 10분정도 경과시에는 잔존 황화수소가 0로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에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을 사용한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4) 메틸머캅탄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CP30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메틸머캅탄(99.99%)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메틸머캅탄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메틸머캅탄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메틸머캅탄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황화수소
(H2S)
0 140 0 검지관 NO. 71
5 0 100 검지관 NO. 71
10 0 100 검지관 NO. 71
20 0 100 검지관 NO. 71
0 140 0
5 46.2 67 기체크로마토그래프
10 6.58 95.3
20 0 100
메틸머캅탄 초기농도 140ppm을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메틸머캅탄의 감소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트그래프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표시하고, 도 4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4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메틸머캅탄이 10분 이상 경과시 검지관에서는 잔존 메틸머캅탄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6.58ppm이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분 경과시에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에서도 잔존 메틸머캅탄이 0으로 나타나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황화메틸
① 시험기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주입한다.
Ⅱ. 황화메틸 용액(99.9%)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황화메틸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황화메틸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황화메틸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황화메틸
(CH3)2S
0 200 0
20 100 50
40 50 77 기체크로마토그래프
60 2 99
120
150
황화메틸 초기농도 200ppm을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황화메틸의 감소를 기체크로마트그래프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5에 표시하고, 도 5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5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황화메틸이 20분 이상 경과시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에서는 50ppm이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60분 경과시에는 99%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2시간 경과후에는 잔존 황화메틸이 0으로 나타나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이황화메틸
① 시험기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이황화메틸 가스(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이황화메틸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 시간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이황화메틸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이황화메틸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이황화메틸
(CH3)2S2
0 200 0 기체크로마토그래프
10 75.4 62.3
20 15 92.5
40 0 100
이황화메틸 초기농도 200ppm을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이황화메틸의 감소를 기체크로마트그래프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6에 표시하고, 도 6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6과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이황화메틸은 40분 이상 경과시 잔존 이황화메틸이 0으로 나타나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이산화질소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이산화질소 가스(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이산화질소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이산화질소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이산화질소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이산화질소
(NO2)
0 60 0 검지관 NO.10
5 6 90 검지관 NO.10
10 1 98.3 검지관 NO.9L
이산화질소 초기농도 60ppm을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이산화질소의 감소를 검지관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7에 표시하고, 도 7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7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이산화질소는 10분 경과시 잔존 이산화질소가 1ppm으로 나타나 98.3%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8) 이산화황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이산화황 가스(9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500~7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이산화황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 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황 가스 잔존 농도를 측정한다.
이산화황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이산화황
(SO2)
0 1131.7 0 검지관 NO. 5M
5 0.2 99.9 검지관 NO. 5L
10 0 100 검지관 NO. 5La
0 0.2 99.9
5 0.2 99.9 기체크로마토그래프
10
이산화황 초기농도 1131.7ppm을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이산화황의 감소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8에 표시하고, 도 8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8과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이산화황이 10분 경과시 잔존 이산화황이 0ppm으로 나타나 100%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한 측정 결과는 5분 경과후 99.9%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9) 암모니아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암모니아수(35%)를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400~5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암모니아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 시간 후 검지관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 잔존 농도를 측정한다
암모니아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암모니아(NH3) 0 460 0 검지관 NO.3M
5 0 100 검지관 NO.3L
암모니아 초기농도 460ppm을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암모니아의 감소를 검지관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9에 표시하고, 도 9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9와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암모니아는 5분 경과시 잔존 암모니아가 0ppm으로 나타나 100%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10) 트리메틸아민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5890/NPD)
② 시험방법
Ⅰ. 10ℓ용 파이렉스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ℓ가량 주입한다.
Ⅱ. 트리메틸아민 용액(35~38%)를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500~7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분무기를 이용하여 20㎖ 주입시킨 후 트리메틸아민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 시간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트리메틸아민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트리메틸아민 제거실험 결과치
시험항목 시간(분) 결과치
(ppm)
제거율(%) 참고
트리메틸아민
(CH3)3N
0 500 0 검지관 NO.3M
10 0 100 검지관 NO.180
0 500 0 기체크로마토그래프
10 0 100
트리메틸아민 초기농도 500ppm을 질소가스에 함유시켜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분사하여 트리메틸아민의 감소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해 경과 시간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표 10에 표시하고, 도 10에는 제거율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위 표 10과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트리메틸아민이 10분 경과시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에 의해 측정된 잔존 트리메틸아민이 0ppm으로 나타나 100%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11) 표면상의 얼룩 및 부식에 대한 시험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제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를 밝은 색의 의류에 분사하고 착색여부를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는 의류에 착색을 전혀 유발시키지 않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제거제는 육안으로 식별되는 착색을 유발시켰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제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를 금속류에 분사하고 부식을 관찰한 결과 즉시 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 시간이 경과하면 그 부식의 정도가 심각하여 금속재질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지만, 본 발명의 제거제는 부식을 전혀 유발시키기 않았고, 수 일 후에도 부식이 없었다. 도 11과 1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거제와 본 발명에 의한 제거제의 시간 경과에 대한 부식정도를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도 11에서, 종래 기술에 의한 제거제를 금속류에 분사하거나 제거제가 묻었을 경우에 즉시 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4시간 경과후에는 노출된 금속표면에서 거의 100%의 부식 정도를 보여서 금속재질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른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거제는 금속류에 묻어도 금속류에 부식이 거의 없고 4시간 경과후에도 노출된 금속표면의 5% 미만 영역에서 부식이 발견되고 더 이상 부식이 진행되지 않고 수 일 간을 발명된 제거제에 담가놓아도 부식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금속류의 재질에 변함이 없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는 부식성이 강한 화학성분을 중화되게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제거제는 밝은 색의 의류나 천등에 분사하였을 경우에 원료원액제조 과정상 발생된 색상으로 인하여 (약한 청록색)심각한 착색이 발생한 반면, 본 발명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제는 부식성이 강한 화학성분을 중화되게 하여 물과 같은 색상을 띠고 있어 밝은 천이나 의류 등에 분사하여도 색상 변화없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각장, 산업 배기가스에 사용하여 유해가스를 제거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증류수 11~30 중량%,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11~30 중량%, 참나무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칡넝쿨 또는 칡뿌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함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을 포함하는 유해가스 제거제.
  2. 칡뿌리(또는 넝쿨)와 물을 중량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서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함초를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고, 함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서 가열하여 함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참나무 줄기를 파쇄하여 메틸알콜에 침지시켜 상온에 방치하여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고, 고형분를 분리시키는 참나무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일라이트를 물에 중량비로 1 : 10의 비율로 압력용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20분간 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냉각하여 음이온 성분을 포함하는 물을 분비하는 단계,
    숯을 빙초산에 중량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빙초산에 함침시켜 빙초산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 정제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칡, 함초, 참나무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일라이트로 가열 처리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황산, 염산동 용액,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단계에서의 혼합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증류단계를 포함하는 유해가스 제거제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추출된 칡 유효성분 추출액 및 함초 유효성분 추출액을 실온(25도), 대기압 상태에서 10일 이상 숙성시키는 유효성분 추출물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칡과 물을 압력용기에서 150~250℃의 온도로 90~18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함초를 약 250℃로 15분간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며, 함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서 150~250℃의 온도로 60~10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에서, 증류수 11~30 중량%, 일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11~30 중량%, 참나무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칡넝쿨 또는 칡뿌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함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 제조방법.

KR1020170136457A 2017-10-20 2017-10-20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4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57A KR20190044257A (ko) 2017-10-20 2017-10-20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457A KR20190044257A (ko) 2017-10-20 2017-10-20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57A true KR20190044257A (ko) 2019-04-30

Family

ID=6628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457A KR20190044257A (ko) 2017-10-20 2017-10-20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2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574A (ko) 2020-01-14 2021-07-22 이상기 살균 탈취 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11B1 (ko) 2001-07-06 2004-11-10 주식회사 시원기업 반건식 세정장치를 구비한 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0491687B1 (ko) 2002-02-05 2005-05-27 한국배연탈황탈질(주)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11B1 (ko) 2001-07-06 2004-11-10 주식회사 시원기업 반건식 세정장치를 구비한 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0491687B1 (ko) 2002-02-05 2005-05-27 한국배연탈황탈질(주)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574A (ko) 2020-01-14 2021-07-22 이상기 살균 탈취 조성물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Emissions, measurement, and control of odor in livestock farms: A review
JPWO2010098440A1 (ja) 高モノテルペン成分含有精油、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精油を用いた環境汚染物質浄化方法
KR20070080437A (ko)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CN110876811A (zh) 水溶性植物提取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07281922A (zh) 除臭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822969A (zh) 新型发酵腐熟除臭剂及其使用方法
CN110813063A (zh) 一种餐厨垃圾除臭剂
KR20190044257A (ko)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801177A (zh) 利用天然植物提取液除臭的方法
CN109569245A (zh) 一种天然植物源环保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1570824B1 (ko) 친환경 악취 제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친환경 악취 제거제 조성물
CN102389582A (zh) 含s化合物除异味液
KR101671577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83183B1 (ko) 정제 목초액을 이용한 소취제
CN110665355A (zh) 一种含木本植物精油的除臭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79346A (zh) 一种绿色净味的甲醛清除剂
CN109045933B (zh) 一种除臭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hungsiriporn et al. Use of wood vinegar as fungus and malodor retarding agent for natural rubber products.
JP3757679B2 (ja) 消臭剤
KR100491687B1 (ko)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054193A (zh) 一种垃圾填埋场用液体复合除臭剂的制备方法
KR20140000004A (ko)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1576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
JP4278470B2 (ja) 木材の乾燥排出液を利用した消臭剤
JP3458808B2 (ja) 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