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04A -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004A
KR20140000004A KR1020120067065A KR20120067065A KR20140000004A KR 20140000004 A KR20140000004 A KR 20140000004A KR 1020120067065 A KR1020120067065 A KR 1020120067065A KR 20120067065 A KR20120067065 A KR 20120067065A KR 20140000004 A KR20140000004 A KR 2014000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as
active ingredient
water
ace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호
Original Assignee
조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호 filed Critical 조남호
Priority to KR102012006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004A/ko
Publication of KR2014000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 제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증류수,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해가스 제거제 원액의 성분비는 증류수 11∼23 중량%,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된 물 30∼38 중량%, 도토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감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보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구리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 질산크롬 0.005∼0.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은 감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보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물을 제올라이트로 가열 처리하여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빙초산을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의 유효성분 추출물,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하여 음이온성분으로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이러한 원액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 등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성의 추출물 숙성액, 목적에 따라서 별도로 처리된 물 및 빙초산, 및 기타 다수의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켜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은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식물성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그 추출물들을 상온 대기중에서 숙성시킨다. 그리고,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하여 음이온성분을 함유한 물을 준비하고, 빙초산에 숯을 넣어 처리한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한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으로 수득된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정해진 용기에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한 후 발생된 증류물을 일정한 관로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이송되고 있는 관을 급속 냉각시키면 증류액이 만들어지며 그 증류액을 일정시간 뚜껑이 없는 용기에 저장하면 물보다 가벼운 유해한 화학성분이 기체가 되어 증발하게 되고 남아있는 제거제가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증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A RECIPE FOR SIMULTANEOUSLY REMOVE HAZARDOUS GASES AND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다른 화합물들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킴으로써 얻은 식물성의 추출물 숙성액으로 화학물질의 독성을 완충 또는 제거하고 다른 화합물들로는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환경이 윤택해 짐에 따라 보다 나은 생활환경과 작업환경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고자 환경개선 사업에 과거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의 기술과 자본을 투입하는 실정이다. 즉, 경제규모의 팽창으로부터 각종 유해가스 발생을 초래했으며 결국 이에 대한 처리능력의 한계와 함께 심각한 환경 오염문제를 일으켰다. 이중 황화수소, 머캅탄류, 아민류, 기타 악취물질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고, 이러한 악취물질은 알.떠블유.몬크레프(R.W.Moncreff)와 아무어(Amoore)의 연구 발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휘발성이 높고 증기압력이 크며 비교적 유기용매에 쉽게 녹으며, 둘째, 일반적으로 비금속 화합물의 악취가 금속물질 보다 심하다. 셋째, 질소 혹은 유황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넷째, 화학구조가 비슷한 화합물도 그 냄새가 완전히 같을 수 없으며, 동일계열의 물질은 분자량이 클수록 악취도 강해진다. 일반적으로 취기 감각은 미량인 여러 종류의 취기물질에서 발생하여, 이것들에 의한 후각자극의 종합적인 지각으로서 특유의 냄새가 불쾌성 또는 혐오성과 함께 감지되게 된다. 이러한 악취는 크게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정신상태, 내분비계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와 같이, 대기중의 유해가스는 인간에게 극히 유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들이 종래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그 일 예로 생물탈취법, 흡착법, 촉매산화법, 응결법, 및 은폐법등의 처리방법이 제시되었고, 대부분 성능의 저하, 운전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악취 제거제는 목적가스를 완전 분해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시적인 은폐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시적인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2차 오염 악취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06560호에서는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 액에 유해가스 제거용으로 다른 화합물들을 혼합함으로써 화학물질 자체의 독성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저렴한 가격 및 우수한 성능을 갖는 유해가스 제거제를 개시하고 독성을 크게 완화함으로써 가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또는 각 동물이나 인체의 피부에 악 영향 을 주는 화학성분을 제거하여 저렴하고 손쉽게 사용 할 수 있지만 상기 특허원에서 개시하고 있는 유해가스 제거제는 그 사용 시 에 제거제원액의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색상과 화학성분으로 인하여 피부 등에 심각한 발진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밝은 천이나 종이류 의류 등에 얼룩 또는 착색의 우려가 높으며 각종 철 등과 같은 금속류에 심한부식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해가스 제거제 보다 성능 및 안전성에서 우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증류수,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해가스 제거제 원액의 성분비는 증류수 11∼23 중량%,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30∼38 중량%, 도토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감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보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구리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 질산크롬 0.005∼0.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은 감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보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물을 제올라이트로 가열 처리하여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빙초산을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의 유효성분 추출물,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하여 음이온성분으로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이러한 원액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 등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성의 추출물 숙성액, 목적에 따라서 별도로 처리된 물 및 빙초산, 및 기타 다수의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켜 제조한 것이다.이러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은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식물성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그 추출물들을 상온 대기중에서 숙성시킨다. 그리고,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하여 음이온성분을 함유한 물을 준비하고, 빙초산에 숯을 넣어 처리한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한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으로 수득된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정해진 용기에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한 후 발생된 증류물을 일정한 관로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이송되고 있는 관을 급속 냉각시키면 증류액이 만들어지며 그 증류액을 일정시간 뚜껑이 없는 용기에 저장하면 물보다 가벼운 유해한 화학성분이 기체가 되어 증발하게 되고 남아있는 제거제가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증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를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초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감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90∼18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조건에서 비율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제시한 온도, 압력,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유효 추출성분이 변하여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2) 보리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보리는 겉보리를 이용하고, 겉보리를 약 250℃로 15분간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며, 보리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0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조건에서 비율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제시한 온도, 압력,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유효 추출성분이 변하여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3)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도토리는 도토리알, 도토리나무 및 도토리나뭇잎을 가루상태로 파쇄 시킨 후 메틸알콜에 침지시키고 이를 상온에서 10일 이상 방치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의 추출 및 숙성을 동시에 진행시킨다. 상기 결과물에서 고형분를 분리시켜 도토리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메틸알코올 용액인 숙성액을 만든다. 상기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4) 유효성분 추출물들의 숙성단계
상기와 (1),(2)와 같이 추출된 감초 유효성분 추출액 및 보리 유효성분 추출액을 실온(25∼30도), 대기압 상태에서 10일 이상 숙성시켰다. 상기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5) 제올라이트로 물을 가열 처리하는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제올라이트는 물에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압력용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2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상기 방법으로 처리한 물을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여기에서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하는 이유는 물속에서의 음이온 성분을 증가시킴으로 유해가스 제거제에 사용되어질 음이온 성분의 물을 얻기 위함이다.
(6)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숯을 빙초산에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빙초산에 함침시켜 10일간 보관한다. 이는 고순도의 시약급 빙초산을 사용할 경우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시판되는 공업용 빙초산을 사용하는데, 이때 공업용 빙초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빙초산에 숯을 함침시킴으로써 불순물을 제거, 정제 할 수 있는 것이다.
(7) 혼합단계
상기 식물성인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제올라이트로 가열 처리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한다.
(8) 증류단계
정해진 밀폐용기에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모아 이송관로를 이용하여 이송하며 이송관로를 급속 냉각시켜 응축된 증류액을 적당한 용기에 받아낸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유해가스 제거제가 제조될 수 있고, 그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배합비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증류수 11∼23 중량%,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된 물 30∼38 중량%, 도토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감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보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 중량%, 황산구리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 질산크롬 0.005∼0.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제조하고, 그 원액을 증류함으로써 유해가스 제거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기에는 상기의 배합비로 제조된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제조하고 이를 증류시킴으로써 얻은 유해가스 제거제를 사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황화메틸, 이화화메틸,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암모니아 및 트리메틸아민의 유해가스 및 악취에 대한 성능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들이 하기 표들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제거제의 성능실험을 위한 실험 장치는 가스 주입부와 반응부 그리고 측정부로 나타낼 수 있다. 가스 주입부는 일정한 가스량을 주입할 수 있게 플로미터(flowmeter-Metheson : E1-3A101-V/E200)를 이용하여 최대한의 실험오차를 줄였다. 반응부는 반응가스와 반응성이 없는 재질의 파이렉스(pyrex : 내열성 및 화학 내구성이 강한 유리)를 이용하였다. 측정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HP5890)와 중화적정법의 원리로서 변색된 정도로 측정하고자 하는 가스의 농도를 판독할 수 있는 간이 측정장치인 검지관(Gastech.)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지관의 경우 Model Number에 따라 그 측정 농도 범위가 구분되어 진다.
<유해가스제거제의 성능 실험 결과>
(1) 아세트알데히드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 58900/FI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파이렉스 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아세트알데히드 용액(99%)을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700∼8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아세트알데히드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1]
아세트알데히드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1
표 1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제거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2) 포름알데히드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5890/FI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 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포름알데히드 용액(35∼38%)을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400∼5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포름알데히드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2]
포름알데히드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2
표 2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포름알데히드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제거율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3) 황화수소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E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황화수소 가스(99.99%)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0∼13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황화수소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3]
황화수소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3
표 3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황화수소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황화수소에 대한 제거율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4) 메틸머캅탄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0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메틸머캅탄(99.99%)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메틸머캅탄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메틸머캅탄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4]
메틸머캅탄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4
표 4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메틸머캅탄에 대한 제거율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5) 황화메틸
① 시험기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주입한다.
Ⅱ. 황화메틸 용액(99.9%)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황화메틸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황화메틸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5]
황화메틸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5
표 5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황화메틸 농도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황화메틸에 대한 제거율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6) 이황화메틸
① 시험기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황화메틸 가스(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황화메틸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이황화메틸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6]
이황화메틸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6
표 6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황화메틸 농도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이황화메틸에 대한 제거율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7) 이산화질소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산화질소 가스(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산화질소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이산화질소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7]
이산화질소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7
표 7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산화질소를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산화질소에 대한 제거율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8) 이산화황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산화황 가스(9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500∼7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산화황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황 가스 잔존 농도를 측정한다.
[표 8]
이산화황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8
표 8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산화황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산화황에 대한 제거율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9) 암모니아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암모니아수(35%)를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400∼5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암모니아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 잔존 농도를 측정한다
[표 9]
암모니아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09
표 9는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를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암모니아에 대한 제거율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10) 트리메틸아민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5890/N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트리메틸아민 용액(35∼38%)를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500∼7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트리메틸아민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트리메틸아민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10]
트리메틸아민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10
표 10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트리메틸아민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제거율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11) 표면상의 얼룩 및 부식에 대한 시험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제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를 밝은 색의 의류에 분사하고 착색여부를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는 의류에 착색을 전혀 유발시키지 않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제거제는 약간의 착색을 유발시켰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제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를 금속류에 분사하고 부식을 관찰한 결과 즉시 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 시간이 경과하면 그 부식의 정도가 심각하여 금속재질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지만, 본 발명의 제거제는 부식을 전혀 유발시키기 않았고, 수 일 후에도 부식이 없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제거제는 밝은 색의 의류나 천등에 분사하였을 경우에 원료원액제조 과정상 발생된 색상으로 인하여 (약한 청록색)심각한 착색이 발생하고 금속류에 분사하거나 제거제가 묻었을 경우에 즉시 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 시간이 경과하면 그 부식의 정도가 심각하여 금속재질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른다 하지만 본 발명제품의 제거제는 그 부식성이 강한 화학성분을 억제시켜 물과 같은 무색을 띠고 있어 밝은 천이나 의류 등에 분사하여도 착색이 되지 않고 악취와 유해가스만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며 금속류에 분사하거나 제거제가 금속류에 묻어도 금속류에 부식이 거의 없고 수 시간이 아닌 수 일 간을 발명된 제거제에 담가놓아도 부식이 없었으며 금속류의 재질에 변함이 없어 지속적으로 본 발명제품을 분사 또는 침전시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이다.
상기 실험에 따른 부식에 대한 실험 결과를 이하 그래프로 나타낸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증류수,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해가스 제거제 원액의 성분비는 증류수 11∼23 중량%,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30∼38 중량%, 도토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감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보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구리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 질산크롬 0.005∼0.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은 감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보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물을 제올라이트로 가열 처리하여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빙초산을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의 유효성분 추출물,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하여 음이온성분으로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이러한 원액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 등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성의 추출물 숙성액, 목적에 따라서 별도로 처리된 물 및 빙초산, 및 기타 다수의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켜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은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식물성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그 추출물들을 상온 대기중에서 숙성시킨다. 그리고,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하여 음이온성분을 함유한 물을 준비하고, 빙초산에 숯을 넣어 처리한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한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으로 수득된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정해진 용기에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한 후 발생된 증류물을 일정한 관로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이송되고 있는 관을 급속 냉각시키면 증류액이 만들어지며 그 증류액을 일정시간 뚜껑이 없는 용기에 저장하면 물보다 가벼운 유해한 화학성분이 기체가 되어 증발하게 되고 남아있는 제거제가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증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를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초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감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90∼18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조건에서 비율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제시한 온도, 압력,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유효 추출성분이 변하여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2) 보리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보리는 겉보리를 이용하고, 겉보리를 약 250℃로 15분간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며, 보리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0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조건에서 비율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제시한 온도, 압력,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유효 추출성분이 변하여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3)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도토리는 도토리알, 도토리나무 및 도토리나뭇잎을 가루상태로 파쇄 시킨 후 메틸알콜에 침지시키고 이를 상온에서 10일 이상 방치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의 추출 및 숙성을 동시에 진행시킨다. 상기 결과물에서 고형분를 분리시켜 도토리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메틸알코올 용액인 숙성액을 만든다. 상기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4) 유효성분 추출물들의 숙성단계
상기와 (1),(2)와 같이 추출된 감초 유효성분 추출액 및 보리 유효성분 추출액을 실온(25∼30도), 대기압 상태에서 10일 이상 숙성시켰다. 상기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5) 제올라이트로 물을 가열 처리하는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제올라이트는 물에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압력용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2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상기 방법으로 처리한 물을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여기에서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하는 이유는 물속에서의 음이온 성분을 증가시킴으로 유해가스 제거제에 사용되어질 음이온 성분의 물을 얻기 위함이다.
(6)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숯을 빙초산에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빙초산에 함침시켜 10일간 보관한다. 이는 고순도의 시약급 빙초산을 사용할 경우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시판되는 공업용 빙초산을 사용하는데, 이때 공업용 빙초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빙초산에 숯을 함침시킴으로써 불순물을 제거, 정제 할 수 있는 것이다.
(7) 혼합단계
상기 식물성인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제올라이트로 가열 처리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한다.
(8) 증류단계
정해진 밀폐용기에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모아 이송관로를 이용하여 이송하며 이송관로를 급속 냉각시켜 응축된 증류액을 적당한 용기에 받아낸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유해가스 제거제가 제조될 수 있고, 그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배합비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증류수 11∼23 중량%,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된 물 30∼38 중량%, 도토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감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보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 중량%, 황산구리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 질산크롬 0.005∼0.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제조하고, 그 원액을 증류함으로써 유해가스 제거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기에는 상기의 배합비로 제조된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제조하고 이를 증류시킴으로써 얻은 유해가스 제거제를 사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황화메틸, 이화화메틸,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암모니아 및 트리메틸아민의 유해가스 및 악취에 대한 성능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들이 하기 표들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제거제의 성능실험을 위한 실험 장치는 가스 주입부와 반응부 그리고 측정부로 나타낼 수 있다. 가스 주입부는 일정한 가스량을 주입할 수 있게 플로미터(flowmeter-Metheson : E1-3A101-V/E200)를 이용하여 최대한의 실험오차를 줄였다. 반응부는 반응가스와 반응성이 없는 재질의 파이렉스(pyrex : 내열성 및 화학 내구성이 강한 유리)를 이용하였다. 측정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HP5890)와 중화적정법의 원리로서 변색된 정도로 측정하고자 하는 가스의 농도를 판독할 수 있는 간이 측정장치인 검지관(Gastech.)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지관의 경우 Model Number에 따라 그 측정 농도 범위가 구분되어 진다.
<유해가스제거제의 성능 실험 결과>
(1) 아세트알데히드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 58900/FI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파이렉스 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아세트알데히드 용액(99%)을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700∼8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아세트알데히드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1]
아세트알데히드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13
표 1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제거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2) 포름알데히드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5890/FI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 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포름알데히드 용액(35∼38%)을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400∼5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포름알데히드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2]
포름알데히드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14
표 2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포름알데히드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제거율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3) 황화수소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E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황화수소 가스(99.99%)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0∼13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황화수소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3]
황화수소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15
표 3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황화수소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황화수소에 대한 제거율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4) 메틸머캅탄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0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메틸머캅탄(99.99%)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메틸머캅탄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메틸머캅탄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4]
메틸머캅탄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16
표 4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메틸머캅탄에 대한 제거율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5) 황화메틸
① 시험기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주입한다.
Ⅱ. 황화메틸 용액(99.9%)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황화메틸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황화메틸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5]
황화메틸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17
표 5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황화메틸 농도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황화메틸에 대한 제거율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6) 이황화메틸
① 시험기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황화메틸 가스(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황화메틸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이황화메틸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6]
이황화메틸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43
표 6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황화메틸 농도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이황화메틸에 대한 제거율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7) 이산화질소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산화질소 가스(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산화질소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Ⅴ. 일정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이산화질소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7]
이산화질소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19
표 7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산화질소를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산화질소에 대한 제거율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8) 이산화황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산화황 가스(9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500∼7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산화황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황 가스 잔존 농도를 측정한다.
[표 8]
이산화황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0
표 8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산화황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산화황에 대한 제거율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9) 암모니아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암모니아수(35%)를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400∼5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암모니아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 잔존 농도를 측정한다
[표 9]
암모니아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1
표 9는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를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암모니아에 대한 제거율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10) 트리메틸아민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5890/N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트리메틸아민 용액(35∼38%)를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500∼7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트리메틸아민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트리메틸아민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10]
트리메틸아민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2
표 10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트리메틸아민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제거율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11) 표면상의 얼룩 및 부식에 대한 시험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제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를 밝은 색의 의류에 분사하고 착색여부를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는 의류에 착색을 전혀 유발시키지 않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제거제는 약간의 착색을 유발시켰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제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를 금속류에 분사하고 부식을 관찰한 결과 즉시 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 시간이 경과하면 그 부식의 정도가 심각하여 금속재질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지만, 본 발명의 제거제는 부식을 전혀 유발시키기 않았고, 수 일 후에도 부식이 없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제거제는 밝은 색의 의류나 천등에 분사하였을 경우에 원료원액제조 과정상 발생된 색상으로 인하여 (약한 청록색)심각한 착색이 발생하고 금속류에 분사하거나 제거제가 묻었을 경우에 즉시 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 시간이 경과하면 그 부식의 정도가 심각하여 금속재질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른다 하지만 본 발명제품의 제거제는 그 부식성이 강한 화학성분을 억제시켜 물과 같은 무색을 띠고 있어 밝은 천이나 의류 등에 분사하여도 착색이 되지 않고 악취와 유해가스만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며 금속류에 분사하거나 제거제가 금속류에 묻어도 금속류에 부식이 거의 없고 수 시간이 아닌 수 일 간을 발명된 제거제에 담가놓아도 부식이 없었으며 금속류의 재질에 변함이 없어 지속적으로 본 발명제품을 분사 또는 침전시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다른 화합물들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킴으로써 얻은 식물성의 추출물 숙성액으로 화학물질의 독성을 완충 또는 제거하고 다른 화합물들로는 유해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환경이 윤택해 짐에 따라 보다 나은 생활환경과 작업환경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고자 환경개선 사업에 과거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의 기술과 자본을 투입하는 실정이다. 즉, 경제규모의 팽창으로부터 각종 유해가스 발생을 초래했으며 결국 이에 대한 처리능력의 한계와 함께 심각한 환경 오염문제를 일으켰다. 이중 황화수소, 머캅탄류, 아민류, 기타 악취물질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고, 이러한 악취물질은 알.떠블유.몬크레프(R.W.Moncreff)와 아무어(Amoore)의 연구 발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휘발성이 높고 증기압력이 크며 비교적 유기용매에 쉽게 녹으며, 둘째, 일반적으로 비금속 화합물의 악취가 금속물질 보다 심하다. 셋째, 질소 혹은 유황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넷째, 화학구조가 비슷한 화합물도 그 냄새가 완전히 같을 수 없으며, 동일계열의 물질은 분자량이 클수록 악취도 강해진다.
일반적으로 취기 감각은 미량인 여러 종류의 취기물질에서 발생하여, 이것들에 의한 후각자극의 종합적인 지각으로서 특유의 냄새가 불쾌성 또는 혐오성과 함께 감지되게 된다. 이러한 악취는 크게 호흡기계, 순환기계, 소화기계, 정신상태, 내분비계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중의 유해가스는 인간에게 극히 유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들이 종래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그 일 예로 생물탈취법, 흡착법, 촉매산화법, 응결법, 및 은폐법등의 처리방법이 제시되었고, 대부분 성능의 저하, 운전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악취 제거제는 목적가스를 완전 분해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시적인 은폐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시적인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2차 오염 악취를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06560호에서는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 액에 유해가스 제거용으로 다른 화합물들을 혼합함으로써 화학물질 자체의 독성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저렴한 가격 및 우수한 성능을 갖는 유해가스 제거제를 개시하고 독성을 크게 완화함으로써 가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또는 각 동물이나 인체의 피부에 악 영향 을 주는 화학성분을 제거하여 저렴하고 손쉽게 사용 할 수 있지만 상기 특허원에서 개시하고 있는 유해가스 제거제는 그 사용 시 에 제거제원액의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색상과 화학성분으로 인하여 피부 등에 심각한 발진 등을 일으킬 수 있고 밝은 천이나 종이류 의류 등에 얼룩 또는 착색의 우려가 높으며 각종 철 등과 같은 금속류에 심한부식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해가스 제거제 보다 성능 및 안전성에서 우수한 유해가스 제거제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증류수,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해가스 제거제 원액의 성분비는 증류수 11∼23 중량%,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30∼38 중량%, 도토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감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보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구리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 질산크롬 0.005∼0.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은 감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보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물을 제올라이트로 가열 처리하여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빙초산을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의 유효성분 추출물,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하여 음이온성분으로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이러한 원액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 등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성의 추출물 숙성액, 목적에 따라서 별도로 처리된 물 및 빙초산, 및 기타 다수의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한 후, 이를 가열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켜 제조한 것이다. 이러한 유해가스 제거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은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으로부터 식물성의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그 추출물들을 상온 대기중에서 숙성시킨다. 그리고,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하여 음이온성분을 함유한 물을 준비하고, 빙초산에 숯을 넣어 처리한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한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으로 수득된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정해진 용기에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한 후 발생된 증류물을 일정한 관로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이송되고 있는 관을 급속 냉각시키면 증류액이 만들어지며 그 증류액을 일정시간 뚜껑이 없는 용기에 저장하면 물보다 가벼운 유해한 화학성분이 기체가 되어 증발하게 되고 남아있는 제거제가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증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를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초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감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90∼18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조건에서 비율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제시한 온도, 압력,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유효 추출성분이 변하여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2) 보리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보리는 겉보리를 이용하고, 겉보리를 약 250℃로 15분간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며, 보리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0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상기에서 제시한 조건에서 비율이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제시한 온도, 압력,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유효 추출성분이 변하여 유해가스 제거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3)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 추출단계
도토리는 도토리알, 도토리나무 및 도토리나뭇잎을 가루상태로 파쇄 시킨 후 메틸알콜에 침지시키고 이를 상온에서 10일 이상 방치시킴으로써 유효성분의 추출 및 숙성을 동시에 진행시킨다. 상기 결과물에서 고형분를 분리시켜 도토리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메틸알코올 용액인 숙성액을 만든다. 상기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4) 유효성분 추출물들의 숙성단계
상기와 (1),(2)와 같이 추출된 감초 유효성분 추출액 및 보리 유효성분 추출액을 실온(25∼30도), 대기압 상태에서 10일 이상 숙성시켰다. 상기 유효성분 추출액은 숙성기간에 따라 유해가스 제거성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최적의 숙성기간은 유해가스 제거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던 10일 이상이었다.
(5) 제올라이트로 물을 가열 처리하는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제올라이트는 물에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압력용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20분간 가열하면서, 2atm정도의 압력을 유지한다. 상기 방법으로 처리한 물을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한다. 여기에서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하는 이유는 물속에서의 음이온 성분을 증가시킴으로 유해가스 제거제에 사용되어질 음이온 성분의 물을 얻기 위함이다.
(6)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숯을 빙초산에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빙초산에 함침시켜 10일간 보관한다. 이는 고순도의 시약급 빙초산을 사용할 경우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시판되는 공업용 빙초산을 사용하는데, 이때 공업용 빙초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빙초산에 숯을 함침시킴으로써 불순물을 제거, 정제 할 수 있는 것이다.
(7) 혼합단계
상기 식물성인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에 증류수 및 제올라이트로 가열 처리된 물을 혼합함과 동시에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한다.
(8) 증류단계
정해진 밀폐용기에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넣고 그 용기에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모아 이송관로를 이용하여 이송하며 이송관로를 급속 냉각시켜 응축된 증류액을 적당한 용기에 받아낸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유해가스 제거제가 제조될 수 있고, 그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배합비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증류수 11∼23 중량%,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된 물 30∼38 중량%, 도토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감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 중량%, 보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 중량%, 황산구리 0.2∼1.0중량%, 질산동 0.8∼1.2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 질산크롬 0.005∼0.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제조하고, 그 원액을 증류함으로써 유해가스 제거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기에는 상기의 배합비로 제조된 유해가스 제조 원액을 제조하고 이를 증류시킴으로써 얻은 유해가스 제거제를 사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황화메틸, 이화화메틸,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암모니아 및 트리메틸아민의 유해가스 및 악취에 대한 성능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들이 하기 표들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유해가스제거제의 성능실험을 위한 실험 장치는 가스 주입부와 반응부 그리고 측정부로 나타낼 수 있다. 가스 주입부는 일정한 가스량을 주입할 수 있게 플로미터(flowmeter-Metheson : E1-3A101-V/E200)를 이용하여 최대한의 실험오차를 줄였다. 반응부는 반응가스와 반응성이 없는 재질의 파이렉스(pyrex : 내열성 및 화학 내구성이 강한 유리)를 이용하였다. 측정부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HP5890)와 중화적정법의 원리로서 변색된 정도로 측정하고자 하는 가스의 농도를 판독할 수 있는 간이 측정장치인 검지관(Gastech.)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검지관의 경우 Model Number에 따라 그 측정 농도 범위가 구분되어 진다.
<유해가스제거제의 성능 실험 결과>
(1) 아세트알데히드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 58900/FI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파이렉스 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아세트알데히드 용액(99%)을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700∼8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아세트알데히드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1]
아세트알데히드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3
표 1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아세트알데히드에 대한 제거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2) 포름알데히드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5890/FI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 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포름알데히드 용액(35∼38%)을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400∼5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포름알데히드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2]
포름알데히드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4
표 2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포름알데히드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제거율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3) 황화수소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E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황화수소 가스(99.99%)를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0∼13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황화수소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아세트알데히드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3]
황화수소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5
표 3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황화수소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황화수소에 대한 제거율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4) 메틸머캅탄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0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메틸머캅탄(99.99%)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메틸머캅탄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메틸머캅탄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4]
메틸머캅탄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44
표 4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메틸머캅탄에 대한 제거율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5) 황화메틸
① 시험기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주입한다.
Ⅱ. 황화메틸 용액(99.9%)을 사용하여 초기 농도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황화메틸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황화메틸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5]
황화메틸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7
표 5는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황화메틸 농도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황화메틸에 대한 제거율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6) 이황화메틸
① 시험기기 : 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황화메틸 가스(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황화메틸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이황화메틸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6]
이황화메틸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8
표 6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황화메틸 농도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이황화메틸에 대한 제거율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7) 이산화질소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산화질소 가스(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100∼2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산화질소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시간 후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이산화질소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7]
이산화질소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29
표 7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산화질소를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산화질소에 대한 제거율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8) 이산화황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기체크로마토그래프(cp3800/PF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이산화황 가스(99.99%)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500∼7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이산화황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황 가스 잔존 농도를 측정한다.
[표 8]
이산화황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30
표 8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시간에 따른 이산화황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산화황에 대한 제거율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9) 암모니아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암모니아수(35%)를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400∼5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암모니아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가스 잔존 농도를 측정한다
[표 9]
암모니아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31
표 9는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농도를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암모니아에 대한 제거율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10) 트리메틸아민
① 시험기기 : 검지관 채취기(GASTEC CO), 기체크로마토그래프(HP5890/NPD)
② 시험방법
Ⅰ. 10L용 pyrex반응기 내부에 고순도(99.9%) 질소가스를 10L가량 주입한다.
Ⅱ. 트리메틸아민 용액(35∼38%)를 기화장치를 사용하여 초기농도 값(500∼700ppm)이 되도록 반응기에 넣는다.
Ⅲ.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초기농도를 설정한다.
Ⅳ. 유해가스 제거제를 반응기 내부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20ml 주입시킨 후 트리메틸아민 가스와 잘 혼합되도록 교반시킨다.
V. 일정 시간후 검지관 채취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트리메틸아민 가스 잔존농도를 측정한다.
[표 10]
트리메틸아민 제거실험 결과치
Figure pat00032
표 10은 제거율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검증을 받기 위해 트리메틸아민 농도를 검지관과 기체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검지관의 종류가 다른 것은 검지관 종류별로 측정할 수 있는 농도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제거율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11) 표면상의 얼룩 및 부식에 대한 시험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제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를 밝은 색의 의류에 분사하고 착색여부를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는 의류에 착색을 전혀 유발시키지 않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제거제는 약간의 착색을 유발시켰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거제와 본 발명에 따른 제거제를 금속류에 분사하고 부식을 관찰한 결과 즉시 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 시간이 경과하면 그 부식의 정도가 심각하여 금속재질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지만, 본 발명의 제거제는 부식을 전혀 유발시키기 않았고, 수 일 후에도 부식이 없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제거제는 밝은 색의 의류나 천등에 분사하였을 경우에 원료원액제조 과정상 발생된 색상으로 인하여 (약한 청록색)심각한 착색이 발생하고 금속류에 분사하거나 제거제가 묻었을 경우에 즉시 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 시간이 경과하면 그 부식의 정도가 심각하여 금속재질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른다 하지만 본 발명제품의 제거제는 그 부식성이 강한 화학성분을 억제시켜 물과 같은 무색을 띠고 있어 밝은 천이나 의류 등에 분사하여도 착색이 되지 않고 악취와 유해가스만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며 금속류에 분사하거나 제거제가 금속류에 묻어도 금속류에 부식이 거의 없고 수 시간이 아닌 수 일 간을 발명된 제거제에 담가놓아도 부식이 없었으며 금속류의 재질에 변함이 없어 지속적으로 본 발명제품을 분사 또는 침전시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이다.
상기 실험에 따른 부식에 대한 실험 결과를 이하 그래프로 나타낸다.
.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식물성 추출물의 숙성액에 유기가스 제거용으로 다른 화합물들을 혼합함으로써 화학물질 자체의 독성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저렴한 가격 및 우수한 성능을 갖는 유해가스 제거제를 얻을 수 있고 그 유해가스 제거제를 통해 각종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는 이러한 유해가스 제거제가 적용되는 대상의 미관 또는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그 표면에 얼룩이 남지 않거나 그 표면에서 부식을 야기 시키지 않고 동, 식물 등에 화학성분의 부작용을 억제하고 인체에 화학성분의 노출을 감소시키는데 그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존 제품의 완제품의 산도가 1을 나타내고 있으나 증류를 함으로서 산도는 3과 4 중간을 나타내고 있어 부식을 야기 시키는 산성도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특징이 있고 기존 제품의 완제품이 연한 청록색을 띄고 있으나 증류를 함으로서 연한 청록색은 가라앉고 맑은 증류를 채집하게 됨으로서 밝은 색상의 천이나 종이에 직접 분사를 하여도 표면에 얼룩이 남지 않고 유해한 성분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악취와 유해가스를 제거할 성분이 더 높아져 물과 희석 비율이 커지게 되므로 경제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가스나 심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아세트알데히드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포름알데히드의 제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황화수소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메틸머캅탄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황화메틸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이황화메틸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이산화질소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이산화황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암모니아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제에 의해 제거된 트리메틸아민의 제거율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식물성의 추출물 숙성액에 유해가스 제거용으로 다른 화합물들을 혼합함으로써 저렴한 가격 및 우수한 성능으로 유해가스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가스 제거제가 적용된 대상의 표면에서의 얼룩 또는 착색 등과 같은 것을 방지하고 가정용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 식물의 피부나 잎에 화학성분으로 인한 부적합한 부작용을 최대한 억제시키고 철과 같은 금속류에 부식을 야기시키기 않도록 한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업, 가정, 병원, 또는 축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가스나 심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7)

  1. 증류수 11∼23 중량%,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30∼38 중량%, 도토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0 중량%, 감초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11∼28중량%, 과산화수소 4∼7중량%, 보리에서 얻은 유효성분 추출물의 숙성액 9∼15중량%, 황산구리 0.2∼1.0중량%, 질산동 0.8∼1.2 중량%,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1∼3 중량%, 중탄산나트륨 8.5∼12 중량%, 질산크롬 0.005∼0.1 중량%를 혼합하여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제조하고, 이러한 원액에 열을 가하여 발생된 증류물을 냉각 응축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
  2. 감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보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처리 하여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
    빙초산에 숯을 넣어 처리한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감초, 보리 및 도토리 각각의 유효성분 추출물, 증류수 및 제올라이트로 가열처리 된 물, 숯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빙초산, 질산크롬, 황산구리, 질산동, 과산화수소 및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유해가스 제거 원액을 증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
  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는,
    감초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90∼180분간 가열하면서, 2atm의 압력을 유지하며,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하는 추출단계와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 대기압하에서 10일 이상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는,
    겉보리를 약 250℃로 15분간 가열하여 1차 전처리를 하며, 보리와 물을 무게비로 1 : 20∼30의 비율로 하여 압력 추출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00분간 가열하면서, 2atm의 압력을 유지하며, 추출된 액은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하는 추출 단계와 얻어진 추출액을 실온, 대기압하에서 10일 이상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토리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 및 숙성하는 단계는,
    도토리알, 도토리나무 및 도토리나뭇잎을 가루상태로 분쇄한 후 메틸알콜에 침지시켜 10일 이상 방치하여 동시에 이루어지는 추출 및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속에 제올라이트를 넣고 가열처리 하여 음이온성분의 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
    제올라이트와 물을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압력용기에 넣고, 150∼250℃의 온도로 60∼120분간 가열하면서, 2atm의 압력을 유지하며, 상온에서 완전히 식을 때까지 방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빙초산에 숯을 처리한 정제된 빙초산을 준비하는 단계는,
    숯을 빙초산에 무게비로 1 : 10의 비율로 하여 함침시켜 10일간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제의 제조방법.
KR1020120067065A 2012-06-22 2012-06-22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00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065A KR20140000004A (ko) 2012-06-22 2012-06-22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065A KR20140000004A (ko) 2012-06-22 2012-06-22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04A true KR20140000004A (ko) 2014-01-02

Family

ID=5013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065A KR20140000004A (ko) 2012-06-22 2012-06-22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0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09A (ko) * 2019-02-11 2020-08-20 이돈복 악취제거와 소독살균을 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09A (ko) * 2019-02-11 2020-08-20 이돈복 악취제거와 소독살균을 위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5121A (zh) 一种植物精华提取液除味剂及其制备方法
CN107281922A (zh) 除臭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813063A (zh) 一种餐厨垃圾除臭剂
KR20140000004A (ko)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646380A (zh) 一种具有提神抑菌功能的固体香水及其制备方法
KR20170033384A (ko) 피혁 또는 가죽제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6가 크롬 처리제, 조피혁 또는 조가죽제품 중 6가 크롬의 처리방법
KR20190044257A (ko)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91687B1 (ko) 유해가스 제거제 및 그의 제조방법
Bayramoglu et al. Analysis of release of free formaldehyde originated from THP salt tannages in leather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riganum onites essential oil as free formaldehyde scavenger
CN110665355A (zh) 一种含木本植物精油的除臭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79346A (zh) 一种绿色净味的甲醛清除剂
CN115109422A (zh) 一种橡胶和塑料除味剂及其制备方法
JP7268162B2 (ja) 低臭チオグリコール酸組成物
Diab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Micromeria libanotica Boiss., an endemic species of Lebanon
KR20050087618A (ko) 소취제 조성물
CN112972282A (zh) 天然除臭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4801426A (en) Amine deodorization
KR100290986B1 (ko) 기초목초액에함유된유해성분제거방법
KR100665494B1 (ko)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01921658A (zh) 一种用溴甲烷提取天然植物挥发性香味成分的方法
DD239728A5 (de) Verfahren zur selektiven trennung von schwefelwasserstoff aus gasgemischen, die auch kohlendioxid enthalten
Amenaghawon et al. Modeling the Kinetics of Essential Oils Recovery From Lemon Grass (Cymbopogon Spp.) by Steam Distillation
DE2209564A1 (de) Verfahren zur desodorierung von abgasen
IE87415B1 (en) An oil extract comprising dihomolinolenic aci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oil extract
JPH11197222A (ja) 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