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866A -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866A
KR20190043866A KR1020170135909A KR20170135909A KR20190043866A KR 20190043866 A KR20190043866 A KR 20190043866A KR 1020170135909 A KR1020170135909 A KR 1020170135909A KR 20170135909 A KR20170135909 A KR 20170135909A KR 20190043866 A KR20190043866 A KR 20190043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ecavir
fatty acid
acid ester
composition
ester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257B9 (ko
KR102197257B1 (ko
Inventor
강명주
한영택
이대로
호명진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2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57B1/ko
Publication of KR10219725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57B9/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수성현탁액 내 습윤성과 현탁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주사하기 위해 주사용수에 가할 경우, 습윤성이 매우 낮아 주사용수에 전혀 분산되지 않고, 응집이 일어나 근육 또는 피하에 주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견되었는데, 수성현탁액 내 안정화제를 포함하여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습윤성과 현탁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Stabilizing composition for aqueous suspension of entecavir fatty acid esters analogs}
본 발명은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수성현탁액 내 습윤성과 현탁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엔테카비어(entecavir), 즉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합물 2-아미노-9-[(1S,3R,4S)-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2-메틸렌사이클로펜틸]-1H-퓨린-6(9H)-온은 뉴클레오사이드 유형의 항바이러스제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엔테카비어는 시중에서 시판 중인 항-HBV (B형 간염 바이러스) 약물 중에 최고의 항-HBV 활성을 나타내는 약물이다. 엔테카비어의 항-HBV 활성은 라미뷰딘 및 아데포비어 디피복실보다 각각 100배 및 3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부작용이 적고, 라미뷰딘에 내성을 나타내는 환자에서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엔테카비어는 B형 간염에 유용한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HBV 감염 치료에는 엔테카비어 제제의 장기간 복용이 필요한데, 엔테카비어는 식사시간을 피해 매일 경구투여를 해야 하므로 환자의 복약 순응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한 번의 약물투여를 통해 장시간의 항-HBV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많은 이유로, 오랜 기간, 바람직하게는 약 3주이상, 특히 약 1개월에 걸쳐 유효한 서방성 또는 지속성(delayed) 방출(데포) 제제로 엔테카비어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생분해성 고분자에 기반한 미립구 형태 또는 지질 소재에 기반한 서방성 주사제형 (depot)이 시도된 바 있다. 하지만 엔테카비어의 소수성 고분자 및 지질 소재에 대한 낮은 친화성과, 수용성 매질에 대한 높은 용해도로 인해 이들 제형에 탑재되어 있는 약물이 서방출되지 못하고 매질에 급격히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약물을 고분자 또는 지질 소재의 담체에 탑재하는 과정에서 약물의 손실이 불가피하며, 담체가 일부 파괴 또는 변형될 경우, 내부에 탑재된 약물이 급속히 빠져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9635호(2014.09.02)
본 발명의 목적은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수성현탁액 내 습윤성과 현탁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 (b) 안정화제; 및 (c)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C4 내지 C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알켄 또는 알카인 중의 하나임.
또한, 본 발명은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을 용매에 용해 또는 고르게 분산 시키는 제1단계;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마크로골 15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 폴리옥실 35 카스토 오일(Polyoxyl 35 castor oil)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와, 등장화제, 완충화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주사용수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용액을 제2단계의 용액에 적가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수성현탁액 내 습윤성과 현탁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주사하기 위해 주사용수에 가할 경우, 습윤성이 매우 낮아 주사용수에 전혀 분산되지 않고, 응집이 일어나 근육 또는 피하에 주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견되었는데, 수성현탁액 내 안정화제를 포함하여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습윤성과 현탁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엔테카비어 경구 요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환자의 복약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수성 현탁액 주사제 제조를 위한 엔테카비어의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합성법을 발명한 바 있다. 엔테카비어는 수용액에 대한 용해도가 1700 μg/ml에 달하는 반면, 엔테카비어의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100 μg/ml 이하의 낮은 수용해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낮은 수용해도를 감안할 때,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고체, 즉 현탁 상태로 근육 또는 피하 주사제로 투여할 경우, 생체 내에서 고체상태의 저장형으로 존재하다가 천천히 용해(dissolution) 및 가수분해(hydrolysis)되어 엔테카비어의 서방출 패턴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재하였다. 하지만, 합성된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주사하기 위해 주사용수에 가할 경우, 습윤성이 매우 낮아 주사용수에 전혀 분산되지 않고, 응집이 일어나 근육 또는 피하에 주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수성현탁액 내 습윤성과 현탁성을 개선하기 위한 안정화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 (b) 안정화제; 및 (c)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안정한 수성현탁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4 내지 C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알켄 또는 알카인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R1이 C15로서, 엔테카비어 팔미틴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엔테카비어로써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정화제는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2의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화합물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이성질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구연산염, 초산염, 젖산염, 주석산염, 말레산염, 글루콘산염, 숙신산염, 포름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옥살산염, 푸마르산염, 메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파라톨루엔술폰산염, 캠퍼술폰산염,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현탁액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안정화제는 염화 세틸피리디니움(cetylpyridinium chloride), 젤라틴(gelatin), 카세인(casein), 레시틴(포스페티드)(lecithin(phosphatides), 덱스트란, 글리세롤, 아카시아 고무, 콜레스테롤, 트라가칸트(tragacanth), 스테아린산, 염화벤잘코니움(benzalkonium chloride), 스테아린산칼슘(calcium stearate),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 monostearate), 세토스테아릴알콜(cetostearyl alcohol), 세토마크로고르 유화 왁스(cetomacrogol emulsifying wax),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알킬 에테르(예를 들면, 세트마크로골 1000과 같은 마크로골 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카스토 오일 유도체(polyoxyethylene castor oil derivatives),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시판되는 Tweens (등록상표), 예를 들면, Tween20 (등록상표) 및 Tween80 (등록상표) (ICI Specialty Chemicals)); 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 들면, Carbowaxs 3350 (등록상표) 및 1450 (등록상표), 및 Carbopo1 934 (등록상표) (Union Carbide)), 도데실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폴리옥시 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인산염, 도데실 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예를 들면, HPC, HPC-SL, 및 HPC-L),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비정질 셀룰로오스(noncrystalline cellulose), 규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트리에탄올 아민, 폴리비닐 알코올(PVA), 에틸렌옥사이드 및 포름알데히드와의 4- (1,1,3,3-테트라 메틸 부틸)-페놀 폴리머(티록사폴(tyloxapol), 슈페리온(Superione), 및 트리톤(triton)으로 알려져 있다), 폴록사머 (poloxamers) (예를 들면, Pluronics F68 (등록상표) 및 F108 (등록상표), 이것들은, 에틸렌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록 코폴리머이다); 포록사민(예를 들면, Tetronic 908 (등록상표), Poloxamine 908 (등록상표)로 알려짐, 이것은, 에틸렌디아민에 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에틸렌옥사이드의 연속 부가로부터 유도되는 4-관능성 블록 코폴리머이다(BASF Wyandotte corporation, Parsippany, N.J. )); 하전된 인 지방질(charged phospholipid), 예를 들면, 디미리스토일 포스페타이디 글리세롤(dimyristoyl phosphatidylglycerol), 디옥틸 술포 숙시네이트(Doss) ; Tetronic 1508 (등록상표) (T-1508) (BASF Wyandotte Corporation), 술포 숙신산 나트륨의 디알킬 에스테르(예를 들면, Aerosol OT (등록상표), 이것은 술포 숙신산 나트륨의 디옥틸 에스테르이다 (American Cyanamid)) ; DuponoI P (등록상표), 이것은 라우릴 황산나트륨이다(DuPont) ; Tritons X-200 (등록상표), 이것은 알킬 아릴 폴리에테르 슐포네이트이다(Rohm and Haas) ; Crodestas F-110 (등록상표), 수크로스스테아레이트 및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이다(Croda Inc. ); p-이소노닐 페녹시 폴리-(글리시돌), Olin-10G (등록상표) 또는 Surfactant 10-G (등록상표)로 알려져 있다(Olin Chemicals, Stamford, Conn. ); Crodestas SL-40(등록상표)(Croda,Inc.);및 SA9OHCO, 이것은 C18H37CH2(CON(CH3))-CH2(CHOH)4(CH2OH)2이다 (Eastman Kodak Co.); 디카노일-N-메틸글루카미드; n-디실 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디실 β-D-말트피라노시드; n-도데실 β-D-글루코피라노시드; n-도데실 β-D-말트시드; 헵타노일-N-메틸글루카미드; n-헵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n-헵틸β-D-티오글루코시드; n-헥실 β-D-글루코피라노시드; 노나노일-N-메틸글루카미드; n-노닐 β-D-글루코피라노시드; 옥타노일-N-메틸글루카미드; n-옥틸-β-D-글루코피라노시드; 옥틸 β-D-티오글루코피라노시드 등 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예를 들면, Tween20 (등록상표) 및 Tween80 (등록상표))류, 마크로골 15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예를 들면, Solutol HS 15), 폴리옥시 에틸렌 캐스터 오일 유도체(polyoxyethylene castor oil derivatives)류(예를 들면, Cremophor EL), 폴리에틸렌 글리콜류가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w/v)의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등장화제, 완충화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등장화제는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덱스트로즈, 만니톨, 소르비톨, 락토즈, 나트륨 설페이트이다. 현탁액은 편리하게는 0.1 내지 10%(w/v) 등장화제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을 0.2 내지 1.5% 의 농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완충화제는 용액의 등장성, 중성의 pH 확보 및 현탁된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분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산 수소이나트륨(무수)(전형적으로 약 0.9%(w/v)) 및 인산 이수소 나트륨 일수화물(전형적으로 약 0.6%(w/v))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pH 조절제는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방부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벤질 알콜,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클로르부톨, 갈레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EDTA, 페놀, 클로로크레졸, 메타크레졸, 벤즈토니움 클로라이드, 미리스틸-γ -피콜리늄 클로라이드, 페닐머큐릭 아세테이트 및 티머로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항미생물제 및 항산화제이다. 특히, 이는 2%(w/v) 이하, 바람직하게는 1.5%(w/v) 이하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는 벤질 알콜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은 동결건조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주사 직전에 주사용수 등을 이용하여 재현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을 용매에 용해 또는 고르게 분산 시키는 제1단계;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마크로골 15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 폴리옥실 35 카스토 오일(Polyoxyl 35 castor oil)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와, 등장화제, 완충화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주사용수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용액을 제2단계의 용액에 적가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엔테카비어로써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정화제는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은 근육 또는 피하에 주사한 이후 체내에서 쉽게 가수분해되어 모약물 (엔테카비어)로 전환된다. 따라서 엔테카비어와 동일하게 만성 B형 간염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의약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엔테카비어 팔미틴산 40 mg (실시예 1), 80 mg (실시예 2, 6), 125 mg (실시예 3, 7), 250 mg (실시예 4, 5, 8)을 에탄올 10 ml에 용해시켰고, 안정화제로 Tween 20, Tween 80, Solutol HS 15 (Macrogol 15 Hydroxystearate), Cremophor EL (Polyoxyl 35 castor oil), PEG 4000(Polyethylene glycol 4000)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가했고, 등장화제로서 염화나트륨, 완충제로서 인산수소이나트륨칠수화물(Na2HPO4-7H2O) 및 인산이수소나트륨이수화물(NaH2PO4-2H2O)을 주사용수 100 ml에 용해시켰다. 엔테카비어 팔미틴산을 포함하는 에탄올을 40도로 유지된 주사용수 10 ml에 적가하고, 질소 퍼지 (7.5 L/min)를 통해 에탄올을 증발시켜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하기 표 1과 같다(단위: 중량 %).
구성성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엔테카비어
팔미틴산 (%)
0.20 0.77 1.2 4.60 8.42 0.77 1.16 10.18
Tween 20 (%) 0.1 0.48 0 0 0 0.48 0 0
Tween 80 (%) 0 0 1.91 0 0 0 2.33 0
Solutol HS 15 (%) 0 0 0 2.30 0 0.97 2.33 0
Cremophor EL (%) 0 0 0 0 6.32 0 0 4.89
PEG 4000 (%) 0 0.73 0 0 0 0 0 2.44
염화나트륨 (%) 0.89 0.87 0.86 0.83 0.76 0.87 0.84 0.73
인산이수소나트륨 이수화물 (%) 0.10 0.10 0.09 0.09 0.08 0.10 0.09 0.08
인산수소이나트륨 칠수화물 (%) 0.23 0.22 0.22 0.21 0.20 0.22 0.22 0.19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
q.s. q.s. q.s. q.s. q.s. q.s. q.s. q.s.
주사용수 (%)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pH 7.2 7.5 7.5 7.1 6.3 7.2 4.9 8.2
<비교예 1>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
엔테카비어 팔미틴산 80 mg 을 에탄올 10 ml에 용해시켰고, 등장화제로서 염화나트륨, 완충제로서 인산수소이나트륨칠수화물(Na2HPO4-7H2O) 및 인산이수소나트륨이수화물(NaH2PO4-2H2O)을 주사용수 100 ml에 용해시켰다. 엔테카비어 팔미틴산을 포함하는 에탄올을 40도로 유지된 주사용수 10 ml에 적가하고, 질소 퍼지 (7.5 L/min)를 통해 에탄올을 증발시켜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하기 표 2와 같다(단위: 중량 %).
비교예 1
엔테카비어 팔미틴산 2.0
염화나트륨 0.5
인산이수소나트륨 일수화물 0.023
인산수소이나트륨 칠수화물 0.23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q.s.
pH 7.3
<비교예 2> 다른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엔테카비어 팔미틴산 40 (비교예 2), 80 (비교예 3, 5), 125 (비교예 6, 7), 250 (비교예 4, 8) mg을 에탄올 10 ml에 용해시켰고, 안정화제로 PVP K17(Polyvinylpyrrolidine K17), Na-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Span 20, SLS(Sodium laurylsulfate), P407(Poloxamer 407), HEC(Hydroxyethylcellulose) 및 Oleic acid를 가했고, 등장화제로서 염화나트륨, 완충제로서 인산수소이나트륨칠수화물(Na2HPO4-7H2O) 및 인산이수소나트륨이수화물(NaH2PO4-2H2O)을 주사용수 100 ml에 용해시켰다. 엔테카비어 팔미틴산을 포함하는 에탄올을 40도로 유지된 주사용수 10 ml에 적가하고, 질소 퍼지 (7.5 L/min)를 통해 에탄올을 증발시켜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하기 표 3과 같다(단위: 중량 %).
구성성분 (중량%)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엔테카비어
팔미틴산 (%)
0.19 0.76 1.50 3.14 2.25 4.50 10.10
PVP K17 (%) 1.93 0 0 0 0 0 0
Na-CMC (%) 0 3.55 0 0 0 0 0
SLS (%) 0 0 3.74 0 0 0 0
Span 20 (%) 0 0 0 1.41 0 0 0
P 407 (%) 0 0 0 0 6.74 0 0
HEC (%) 0 0 0 0 0 4.50 0
Oleic acid (%) 0 0 0 0 0 0 8.08
염화나트륨 (%) 0.87 0.85 0.85 0.85 0.81 0.81 0.73
일산이수소나트륨 이수화물 (%) 0.10 0.09 0.09 0.09 0.09 0.09 0.08
인산수소이나트륨 칠수화물 (%) 0.22 0.22 0.22 0.22 0.21 0.21 0.19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
q.s. q.s. q.s. q.s. q.s. q.s. q.s.
주사용수 (%)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q.s. to 100
pH 7.2 6.3 4.1 6.8 7.1 7.9 5.2
<실험예 1> 제조 후 성상, 입도, 함량, pH 평가
실시예 1-5와 비교예 1-8을 제조한 후 성상, pH, 함량을 평가했다. 유리 바이알에 5 ml을 담고, 성상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입자의 크기와 분포는 마스터사이저(MS 2000(Hydro 2000S), Malvern사)를 사용해 입도누적분포 10%(d(0.1)), 50%(d(0.5)), 90%(d(0.9))의 값으로 평가하였다. pH는 pH meter(Seven easy S20, Mettler toledo사)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함량은 UV/VIS이 장착된 HPLC(Waters사 515, 717plus, 486)를 사용하였고, 칼럼으로는 C18 칼럼(CAPCELL PAK C18, Shiseido사, Type MG 5um, 4.6mmI.D. x 150mm)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으로 Isopropyl alchol 60%를 1ml/min으로 용리하는 조건에서 253nm의 흡광 파장을 이용해 분석했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 및 표 5와 같다. 실시예는 모두 성상이 맑은 우유빛깔을 나타내며, 입도 균일성을 평가할 수 있는 SPAN 값이 모두 2.0 이하로 측정되었다. 반면, 비교예 1, 2, 3, 7, 8은 일부 응집 또는 침전이 발생하였으며, SPAN 값 역시 2.0 이상으로 입도가 불균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샘플들이 비교예에 비해 균일성이 우수한 제형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성상 균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입도
(㎛)
d(0.1) 2.45 4.17 4.54 7.32 4.65
d(0.5) 5.32 7.13 7.86 12.5 16.5
d(0.9) 12.1 16.4 19.5 24.3 30.0
SPAN 1.82 1.72 1.90 1.35 1.53
약물 함량 (%) 98.7 99.1 99.8 99.5 99.1
pH 7.1 6.3 7.2 7.5 7.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성상 응집/
침전생성
응집/
침전생성
응집/
침전생성
균일 균일 균일 응집/
침전생성
응집/
침전생성
입도
(㎛)
d(0.1) 6.32 5.99 9.66 7.61 3.54 1.05 7.85 10.2
d(0.5) 19.9 34.9 30.1 33.1 13.5 8.45 15.6 23.5
d(0.9) 99.5 136 71.6 65.3 28.6 29.6 79.6 98.7
SPAN 4.67 3.73 2.06 1.74 1.84 3.38 4.59 3.75
약물 함량 (%) 98.3 97.8 97.6 97.8 97.6 98.2 99.2 98.6
pH 7.3 7.2 6.3 7.2 6.3 7.5 7.3 5.9
<실험예 2> 가혹 안정성 평가
제조 직후 성상이 균일했던 실시예 6, 7, 8과 비교예 4, 5, 6에 대해 가혹 안정성 평가를 진행했다. 제조된 샘플 5ml을 유리 바이알에 담아 60℃로 유지된 항온 챔버에 5일간 보관한 후 성상과 입자도 변화를 평가했다. 입자의 크기와 분포는 마스터사이저(MS 2000(Hydro 2000S), Malvern사)를 사용해 입도누적분포 10%(d(0.1)), 50%(d(0.5)), 90%(d(0.9))의 값으로 평가하였다.
그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제시하였다. 성상 평가 결과 실시예 6, 7, 8은 밀도가 커 보관 시 침강이 일어나지만 가볍게 흔들어 줄 경우 매우 쉽게 재현탁되었다. 반면, 비교예 4, 5, 6은 가혹 조건에서 보관할 경우 다수의 응집체 또는 침전물이 발생하였으며 재현탁이 불가하였다. 입도 평가 결과 실시예 6, 7, 8은 60℃ 보관 후에도 SPAN 값이 2 이하로, 즉 균일한 입도분포를 보이는 반면 비교예 4, 5, 6은 제조 직후에 비해 매우 불균일한 입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성상 침강
/재현탁 가능
침강
/재현탁 가능
침강
/재현탁 가능
침전형성
/재현탁 불가
침전형성
/재현탁 불가
침전형성
/재현탁 불가
제조 후 입도
(㎛)
d(0.1) 2.32 2.53 8.95 7.61 3.54 1.05
d(0.5) 7.89 8.23 21.0 33.1 13.5 8.45
d(0.9) 15.5 17.9 35.2 65.3 28.6 29.6
SPAN 1.67 1.88 1.25 1.74 1.85 3.39
60도
5일차 입도
(㎛)
d(0.1) 2.15 1.54 7.5 12.3 9.54 6.54
d(0.5) 7.23 7.95 19.5 42.9 22.3 18.6
d(0.9) 16.5 17.0 38.5 123 82.6 89.3
SPAN 1.99 1.95 1.59 2.58 3.27 4.44
<실험예 3> 가속 안정성 평가
제조된 샘플 5ml를 유리 바이알에 옮겨 담고 40℃, 75% RH에서 12주간 보관한 후 성상, pH, 입도 및 약물 함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며,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제시하였다.
가속 안정성 시험 결과, 데이터가 제시된 실시예 6 뿐만 아니라, 모든 실시예는 성상, pH, 입도, 함량 안정성이 확보되었다. 이는 실온에서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물리화학적 안정성이 확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개시시 12주차
성상 우윳빛의 균일한 성상 침강/재현탁이 가능하며, 재현탁시 성상은 개시시와 동일
pH 7.22 7.28
입도
(㎛)
d(0.1) 2.32 2.15
d(0.5) 7.89 7.15
d(0.9) 15.53 15.42
함량 (%) 99.8±1.3 99.2±1.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4)

  1.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
    (b) 안정화제; 및
    (c)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C4 내지 C2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알켄 또는 알카인 중의 하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R1이 C15로서, 엔테카비어 팔미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구연산염, 초산염, 젖산염, 주석산염, 말레산염, 글루콘산염, 숙신산염, 포름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옥살산염, 푸마르산염, 메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파라톨루엔술폰산염, 캠퍼술폰산염,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마크로골 15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 폴리옥실 35 카스토 오일(Polyoxyl 35 castor oil)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등장화제, 완충화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화제는 염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화제는 인산수소이나트륨칠수화물, 인산이수소나트륨이수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엔테카비어로써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12.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을 용매에 용해 또는 고르게 분산 시키는 제1단계;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마크로골 15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Macrogol 15 Hydroxystearate), 폴리옥실 35 카스토 오일(Polyoxyl 35 castor oil)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와, 등장화제, 완충화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주사용수에 용해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용액을 제2단계의 용액에 적가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수화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엔테카비어로써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70135909A 2017-10-19 2017-10-19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KR10219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09A KR102197257B1 (ko) 2017-10-19 2017-10-19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09A KR102197257B1 (ko) 2017-10-19 2017-10-19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866A true KR20190043866A (ko) 2019-04-29
KR102197257B1 KR102197257B1 (ko) 2020-12-31
KR102197257B9 KR102197257B9 (ko) 2022-01-17

Family

ID=6628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909A KR102197257B1 (ko) 2017-10-19 2017-10-19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817A (ko) * 2021-02-22 2022-08-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장기지속성 유성현탁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523B1 (ko) * 1990-10-18 1998-12-01 니콜라스 피. 말라테스티닉 히드록시메틸(메틸렌시클로펜틸) 푸린 및 피리미딘
KR20070058028A (ko) * 1999-05-24 2007-06-07 소너스파머슈티칼즈인코포레이티드 난용성 약물용 에멀젼 부형제
CN101716137A (zh) * 2009-12-10 2010-06-02 沈阳双鼎制药有限公司 恩替卡韦注射剂
KR20140086722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종근당 양이온성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서방성 지질 초기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39635B1 (ko) 2011-11-01 2014-09-11 대원제약주식회사 안정성이 향상된 엔테카비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0971A (ko) * 2013-09-13 2015-03-23 한국콜마주식회사 난용성 의약품의 수용액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85569A (zh) * 2015-12-28 2016-05-18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恩替卡韦脂肪酸衍生物及其药物组合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523B1 (ko) * 1990-10-18 1998-12-01 니콜라스 피. 말라테스티닉 히드록시메틸(메틸렌시클로펜틸) 푸린 및 피리미딘
KR20070058028A (ko) * 1999-05-24 2007-06-07 소너스파머슈티칼즈인코포레이티드 난용성 약물용 에멀젼 부형제
CN101716137A (zh) * 2009-12-10 2010-06-02 沈阳双鼎制药有限公司 恩替卡韦注射剂
KR101439635B1 (ko) 2011-11-01 2014-09-11 대원제약주식회사 안정성이 향상된 엔테카비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6722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종근당 양이온성 약리학적 활성물질의 서방성 지질 초기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50030971A (ko) * 2013-09-13 2015-03-23 한국콜마주식회사 난용성 의약품의 수용액상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85569A (zh) * 2015-12-28 2016-05-18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恩替卡韦脂肪酸衍生物及其药物组合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817A (ko) * 2021-02-22 2022-08-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장기지속성 유성현탁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257B9 (ko) 2022-01-17
KR102197257B1 (ko)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1965B2 (ja) サブミクロンの9−ヒドロキシリスペリドン脂肪酸エステルの水性懸濁液
US20220305007A1 (en) Injectable formulation
JP4380925B2 (ja) ナノパーティクル組成物用の表面安定剤としてのpeg誘導体化脂質の使用
JP3274687B2 (ja) 9−ヒドロキシリスペリドン脂肪酸エステルの水性懸濁物
US11596597B2 (en) Depot formulation
KR20150114505A (ko) 불용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수용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형
BRPI0922806B1 (pt) Composição farmacêutica oral compreendendo bendamustina
WO2019175761A1 (en) Ready to use dantrolene compositions
CN111491632A (zh) 癌症治疗药
KR20160060656A (ko) 폴리에틸렌글리콜 함유 조성물
KR102197257B1 (ko)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수성현탁액의 안정화 조성물
KR20190043865A (ko)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주사 투여용 데포 제제
EP3416616B1 (en) Compositions of multiple aripiprazole prodrugs
JP2012232958A (ja) 注射製剤
US890639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which solubility of partially soluble tricyclic derivative is improved
KR102525204B1 (ko) 엔테카비어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의 장기지속성 유성현탁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9832A (ko) 폴리펩티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101777564B1 (ko) 테노포비어 디소프록실 유리염기를 함유한 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0973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axane and its derivatives
WO2021132565A1 (ja) シロリムスまたはその塩を含有する水性懸濁組成物
CN116744903A (zh) 包含二苯基吡嗪衍生物的药物组合物
WO2018096560A1 (en) Long acting depot formulation for the continuous dopaminergic stimulation
TW201302755A (zh) 含胺基酸穩定劑的替莫唑胺醫藥組成物及其製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