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756A -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 - Google Patents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756A
KR20190043756A KR1020170135704A KR20170135704A KR20190043756A KR 20190043756 A KR20190043756 A KR 20190043756A KR 1020170135704 A KR1020170135704 A KR 1020170135704A KR 20170135704 A KR20170135704 A KR 20170135704A KR 20190043756 A KR20190043756 A KR 2019004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ding
point
robo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7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7666B1 (en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이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이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이트론
Priority to KR102017013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666B1/en
Priority to CN201711318539.1A priority patent/CN109686172B/en
Publication of KR2019004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6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which comprises a board member for moving the robot in which a moving path is indicated and a coding robot body moving along the moving path by recognizing the moving path, wherein the moving path comprises: a main moving path part on which a main moving path is indicated and the coding robot body is moving; and an operation point part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moving path and allows the coding robot body to perform predetermined motions. Therefore, through the change of output according to an input object, children of kindergarten 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can easily understand basics of coding. In addition, by using the change of emotions of a coding pet robot body which can attract attention of users, who are children of kindergarten 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t is possible to improve access to coding education and improve learning effects of children of kindergarten 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Description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

본 발명은 코딩 교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딩 교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코딩 로봇본체에 입력되는 입력대상에 따른 코팅 로봇본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여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ing education apparatus and a coding edu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ding education apparatus and a coding educa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so as to be understood.

일반적으로 코딩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즉, 주어진 명령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C언어, 자바, 파이선 등의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In general, coding refers to computer programming, that is, input of a given command in a language that the computer understands, and refers to making a program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C, Java, or Python.

코딩 교육은 논리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을 키울 수 있어 근래에 들어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Coding education can increase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of creativity and logic.

그리고, 코딩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지능형 로봇, 빅 데이터 분석 및 활용 등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변하는 것들이 ICT(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 증가하고 있다.Coding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s it represent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intelligent robots, and big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through software based o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코딩 교육은 퍼즐이나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으로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프로그램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접근되고 있다.Coding education is approaching to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basic principles of the program by game method such as puzzle and block matching.

그러나, 퍼즐이나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은 입력과 입력에 따른 프로그램의 변화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어 코딩의 원리를 교육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However, game methods such as puzzles and block matching can not accurately express changes in programs according to input and input, and thus have a limitation in training the principle of coding.

또한, 퍼즐이나 블록 맞추기 등의 게임 방식은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이 쉽고 간편하게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코딩에 대한 기초를 쉽게 이해시키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difficulty in easily understanding the basics of cod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easily and easily approach the kindergarten or the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such as puzzle and block matching.

국내특허등록 제1683022호 '코딩 학습용 교구'(2016년 11월 30일 등록)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683022 'Coding teaching paradigm' (registered on November 30, 2016)

본 발명의 목적은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 중 경로를 입력값에 따라 변경하여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a movement of a robot which changes the path of a moving robot body in accordance with an input value so that a child of a kindergarten or a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an easily understand a coding bas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경로가 표시된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 이동경로를 인식하여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코딩 로봇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이동하는 주 이동경로가 표시된 메인 이동경로부,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인식하여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동 포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control system including a board moving member for moving a robot, a coding robot body for recognizing a moving path and moving along a moving path, And an operation point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and for allowing the coding robot body to recognize and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Lt; / RTI >

이 때,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이동하는 주 이동경로가 표시된 메인 이동경로부 및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코딩 로봇본체가 인식하여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동 포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vement path includes a main movement path part indicated by the main movement path on which the coding robot main body moves, and an operation point part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main movement path part and allowing the coding robot main body to recognize and perform a preset operation can do.

이 때,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는 기설정된 색상으로 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일측에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와 붙어서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may be formed in a line shape with a predetermined color, and the operation point portion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and attached to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이 때,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를 따라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색상으로 각각 구비되고, 각 색상에 따라 동작을 구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ng point portions are provided in plura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a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lors, and the opera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color.

이 때, 상기 코딩 로봇본체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와 상기 작동 포인트부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부, 상기 색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메인 이경경로부를 따라 주행하는 로봇 주행부, 상기 로봇 주행부와 상기 출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색상, 상기 작동 포인트부의 색상을 감지하여 각 색상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색상 인식부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ding robot main body includes a recognizing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main moving path unit and the operating point unit,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color or voice, a robot running unit running along the main diameter path unit,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output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wherein the recognition unit detects a color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a color of the operation point unit, .

이 때, 상기 인식부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색상을 인식하는 제1인식부 및 상기 제1인식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 포인트부의 색상을 감지하는 제2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cogniz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e color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and a second recognizing unit for sensing the color of the operating point unit located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recognizing unit.

이 때, 상기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에는 각 작동 포인트부의 근처에 각 작동 포인트부에 해당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가 표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bot moving board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operation point unit near each operation point unit.

이 때,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에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이동경로 표시용 마커펜 및 상기 작동 포인트부와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포인트 표시용 마커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path marker pen for displaying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main movement path unit, and a point marker pen for displaying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int unit.

이 때,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모드를 상기 작동 포인트부에 대해 기설정된 동작을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수행모드와, 작동 포인트부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코딩 로봇본체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변경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로봇본체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상기 동작 수행모드와 상기 경로 변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n operation mode for allowing the coding robot body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operation point unit of the coding robot body, and an operation mode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operation point unit, And a mode changeover swit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coding robot to select one of the operation mode and the path change mode.

이 때,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는 서로 교차되는 제1이동 경로부와 제2이동 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이동 경로부와 상기 제2이동 경로부가 교차점의 일측에 작동 포인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경로 변경모드에서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교차점에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게 되며,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방향에 따라 복수의 색상으로 구분되어 각 색상별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ovement path portion and a second movement path por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movement path portion and the second movement path portion are provided with operation point portions on one side of the intersection, Wherein the operation point unit change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at an intersection point, and the operation point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lors according to a runn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The running directions can be changed to different directions.

이 때,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상기 교차점에서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전진 포인트부,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를 오른쪽으로 90°로 회전시켜 주행시키는 우향 포인트부, 상기 교차점에서 코딩 로봇본체를 왼쪽으로 90°로 회전시켜 주행시키는 좌향 포인트부, 상기 교차점에서 코딩 본체를 180°로 회전시켜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유턴 포인트부 및 상기 교차점에서 코딩 본체를 정지시키는 정차 포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point unit includes a forward point unit for forward movem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at the intersection point, a right point unit for rotating the coding robot body to the right by 90 degrees at the intersection, A turning point unit for rotating the coding body 180 degrees to move the coding robot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at the intersection point, And a stop point portion for stopping the main body.

이 때, 상기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에는 교차로가 복수로 구비된 격자형태의 메인 이동경로부에서 코딩 로봇본체의 출발점이 표시되고, 상기 정차 포인트부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도착지점을 표시하며 상기 출발점과 상기 도착 지점의 사이에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상기 전진 포인트부, 상기 우향 포인트부, 상기 좌향 포인트부, 상기 유턴 포인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교차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표시되어 상기 경로 변경모드를 통해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출발점에서 출발하여 도착 지점에 도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bot moving board member displays a starting point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in a grid-shaped main moving path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intersections, and the stop point portion indicates an arrival point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orward point portion, the right point portion, the left point portion, and the turn point portion, which changes the moving path of the coding robot body between the arrival points, is selectively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rsections, The coding robot main body can arrive at the arrival point starting from the starting point through the path changing mode.

본 발명은 입력 대상에 따른 출력 변화를 통해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for a child of a kindergarten or a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to understand the basis of coding through output change according to an input object.

본 발명은 사용자인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관심을 끌 수 있는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 경로 변화를 이용하여 코딩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ccessibility to the coding learning and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by using the change of the moving path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which can be of interest to the user who is a child in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또한, 본 발명은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 경로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코딩 학습 효과를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t the moving path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ding learn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동작 수행모드와 경로 변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코딩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ccessibility to coding learning, improve learning effects, and improv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y selecting one of the operation mode and the path change m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에서 코딩 로봇봇본체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에서 코딩 로봇봇본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의 다른 예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coding robot bot body in 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ding robot bot main body in 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에서 코딩 로봇봇본체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에서 코딩 로봇봇본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of a coding robot bot body in a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ding robot bot main body in 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의 일 실시 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to 3, an embodiment of 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는 이동경로(110)가 표시된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100)를 포함한다.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moving board member (100) marked with a movement path (110).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100)는 종이 재질로 제조되고, 마분지 등의 두꺼운 재질의 종이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The robot moving board member 100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is made of a thick paper board such as cardboard.

코딩 로봇본체(200)는 이동경로(110)를 인식하여 이동경로(1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The coding robot body 200 recognizes the movement path 110 and moves along the movement path 110.

이동경로(110)는 코딩 로봇본체(200)가 이동하는 주 이동경로가 표시된 메인 이동경로부(111),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일측에 위치하며 코딩 로봇본체(200)가 인식하여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동 포인트부(112)를 포함한다. The moving path 11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moving path 111 and includes a main moving path 111 in which the main moving path on which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moves is indicated, And an operation point unit 112 for performing the set operation.

메인 이동경로부(111)는 기설정된 색상으로 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코딩용 로봇본체가 색상을 인식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선형태로 형성되어 코딩 로봇본체(200)가 선형태의 이동경로(11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The main moving path unit 111 is formed in a linear shape in a predetermined color, and the coding robot body is formed in a line shape having a thickness capable of recognizing colors so that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can be moved in a line- 110).

메인 이동경로부(111)는 경로의 양단부가 서로 이어져 코딩 로봇본체(200)가 순환 이동될 수 있는 순환 경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main moving path unit 111 is formed in a circular path shape in which the both ends of the pat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can be circulatively moved.

또한, 작동 포인트부(112)는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일측에 메인 이동경로부(111)와 붙어서 사각 또는 원 형태의 기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점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point unit 112 is formed in a point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f a square or circle shape attached to the main moving path unit 111 at one side of the main moving path unit 111. [

그리고, 작동 포인트부(112)는 코딩 로봇본체(200)가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최소한의 크기를 가지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is noted that the operating point unit 112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o as to have at least the minimum size that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can recognize.

작동 포인트부(112)는 메인 이동경로부(111)를 따라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색상으로 각각 구비되고, 각 색상에 따라 동작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operation point units 112 are provided in pluralit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a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lors, respectively, and the opera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color.

코딩 로봇본체(200)는 메인 이동경로부(111)와 작동 포인트부(112)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부(210), 색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220), 메인 이경경로부를 따라 주행하는 로봇 주행부(250), 로봇 주행부(250)와 출력부(2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23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한다.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includes a recognition unit 210 for recognizing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and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an output unit 220 for outputting color or voice, An operation control unit 2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bot driving unit 250 and the output unit 220 and a power supply unit 240 for supplying power.

인식부(210)는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색상, 작동 포인트부(112)의 색상을 감지하여 각 색상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색상 인식부인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recognition unit 210 is a color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colors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and colors of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and discriminates and recognizes the respective colors.

인식부(210)는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색상을 인식하는 제1인식부(211), 제1인식부(211)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되어 작동 포인트부(112)의 색상을 감지하는 제2인식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unit 210 includes a first recognition unit 211 for recognizing the color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and a second recognition unit 211 located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recognition unit 211 for sensing the color of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And a second recognition unit 212. [

작동 포인트부(112)는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우측에 위치되고, 제2인식부(212)는 작동 포인트부(112)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1인식부(211)의 우측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The operation point unit 112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and the second recognition unit 212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ecognition unit 211 so as to recognize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As an example.

제2인식부(212)는 제1인식부(2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작동 포인트부(112)가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도 각 작동 포인트부(112)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recognition unit 21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cognition unit 211 so that even if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is selectively positioned o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So that the point unit 112 can be recognized.

로봇 주행부(250)는 코딩 로봇본체(200)부의 하부면에 돌출되는 주행바퀴(251)와 주행바퀴(251)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작동 제어부(230)는 코딩 로봇본체(200)부가 메인 이동경로부(111)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로봇 주행부(250)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 포인트부(112)의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과 음성을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obot driving unit 250 includes a traveling wheel 251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ding robot body 200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traveling wheel 251. The operation control unit 230 includes a coding robot body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driving unit 250 so as to travel along the main main moving path unit 111 and outputs different colors and sounds through the output unit 220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operating point unit 112 .

전원 공급부(240)는 코딩 로봇본체(200)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다. The power supply unit 240 has an on / off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전원 공급부(240)는 내부에 전력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지를 포함하고, 충전지를 충전하여 인식부(210), 출력부(220), 작동 제어부(23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power supply unit 240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supplies power to the recognition unit 210, the output unit 220,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30 by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코딩 로봇본체(200)는 햄스터 모양, 강아지 모양, 고양이 모양 등 애완동물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교육 대상 즉, 사용자인 유아 또는 아동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인 유아 또는 아동이 코딩 로봇본체(200)의 이동과 동작에 몰입하고, 코딩 로봇본체(200)의 이동과 동작을 쉽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The coding robot body 200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hape of a pet such as a hamster shape, a dog shape, and a cat shape so that an educational target, that is, an infant or a child as a user can be interested, The robot 200 is immersed in the movement and movement of the robot body 200, and the movement and opera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200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accepted.

출력부(220)는 코딩 로봇본체(200)의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을 빛을 발광하는 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20)는 코딩 로봇본체(200)의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20 may include a lamp unit that emits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200. The output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unit that outputs different voic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200.

작동 제어부(230)는 램프부로 해당 동작에 대응되는 색깔의 빛을 출력함과 동시에 스피커부로 해당 동작에 맞는 음성을 출력하여 교육 대상인 유아 또는 아동이 코딩 로봇본체(200)의 동작 변화를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230 outputs light of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peration to the lamp unit and simultaneously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to the speaker unit so that the infant or the child to be educated can more accurately confirm the operation change of the coding robot body 200 .

색상을 인식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로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밝혀두고, 작동 제어부(230)는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색상이 기 저장되어 제1인식부(211)로 메인 이동경로부(111)를 인식하면서 메인 이동경로부(111)를 따라 코딩 로봇본체(200)가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 중 제2인식부(212)로 작동 포인트부(112)를 인식하면 코딩 로봇본체(200)가 정지된 후 해당 작동 포인트부(112)의 색상에 따른 동작을 수행 즉, 출력부(220)로 해당 작동에 대한 색상과 음성을 출력한 후 다시 메인 이동경로부(111)를 따라 코딩 로봇본체(200)가 이동하도록 한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230 stores the color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and stores the color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to the first recognition unit 211,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moves along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while recognizing the operation point unit 111 and recognizes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by the second recognition unit 212 during movement, And outputs the color and voice for the operation to the output unit 220. Thereafter, the color and sound for the operation are output to the output unit 220, (200) moves.

또한,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100)에는 각 작동 포인트부(112)의 근처에 각 작동 포인트부(112)에 해당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113)가 표시되어 각 작동 포인트부(112)에 대한 동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An operation display unit 113 is displayed on the robot moving board member 100 near the respective operation point units 112 to indicate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operation point units 11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operation.

일 예로 작동 포인트부(112)는 파란색인 제1작동 포인트부(112a), 노란색인 제2작동 포인트부(112b), 하늘색인 제3작동 포인트부(112c), 보라색인 제4작동 포인트부(112d), 빨간색인 제5작동 포인트부(112e), 녹색인 제6작동 포인트부(112f)를 포함하고, 제1작동 포인트부(112a)의 경우 물마시기 동작을 수행하고, 제2작동 포인트부(112b)의 경우 먹이를 먹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3작동 포인트부(112c)의 경우 목욕하기 동작을 수행하고, 제4작동 포인트부(112d)의 경우 화장실 가기 동작을 수행하고, 제5작동 포인트부(112e)의 경우 놀이터 가기 동작을 수행하고, 제6작동 포인트부(112f)의 경우 잠자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For example, the operating point unit 112 includes a first operating point unit 112a that is blue, a second operating point unit 112b that is yellow, a third operating point unit 112c that is a sky color, and a fourth operating point unit And a sixth operation point part 112f which is green. In the case of the first operation point part 112a, a water-drink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a second operation point part 112d, Performs a bathing operation in the case of the third operating point portion 112c, performs a toilet top operation in the case of the fourth operating point portion 112d,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a playground mov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point unit 112e and a sleep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sixth operation point unit 112f.

제1작동 포인트부(112a)를 인식하여 작동되는 물마시기 동작에서 출력부(220)는 파랑색 빛을 발광하고, 물먹는 동작을 표현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먹이를 먹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한다.In the water-drinking operation performed by recognizing the first operating point unit 112a, the output unit 220 emits blue light and outputs a voice expressing a water-eating operation to express the action of eating the food.

또한, 제2작동 포인트부(112b)를 인식하여 작동되는 먹이를 먹는 동작에서 출력부(220)는 노랑색 빛을 발광하고, 먹이를 먹는 동작을 표현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먹이를 먹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한다.Also, in the operation of recognizing the second operating point part 112b and eating the operated food, the output part 220 emits a yellow light and expresses an action of eating a food by outputting a voice representing an action of eating the food do.

또한, 제3작동 포인트부(112c)를 인식하여 작동되는 목욕하기 동작에서 출력부(220)는 하늘색 빛을 발광하고, 목욕하는 동작을 표현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먹이를 먹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bathing operation in which the third operating point part 112c is recognized and operated, the output unit 220 emits blue light and expresses an operation of eating food by outputting a voice expressing an operation of bathing.

또한, 제4작동 포인트부(112d)를 인식하여 작동되는 화장실 가기 동작에서 출력부(220)는 보라색 빛을 발광하고, 화장실 가기 동작을 표현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먹이를 먹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220 emits purple light in the restroom operation operated by recognizing the fourth operating point unit 112d, and expresses an operation of eating the food by outputting a voice expressing the toilet top operation.

또한, 제5작동 포인트부(112e)를 인식하여 작동되는 놀이터 가기 동작에서 출력부(220)는 빨간색 빛을 발광하고, 놀이터 가기 동작을 표현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먹이를 먹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layground top operation in which the fifth operation point portion 112e is recognized and operated, the output unit 220 emits red light and outputs a voice expressing a playground top operation, thereby expressing the action of eating the food.

또한, 제6작동 포인트부(112f)를 인식하여 작동되는 잠자기 동작에서 출력부(220)는 녹색 빛을 발광하고, 잠자기 동작을 표현하는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먹이를 먹는 동작을 표현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leep operation in which the sixth operation point unit 112f is recognized and operated, the output unit 220 emits green light and outputs a voice expressing a sleeping operation, thereby expressing an operation of eating a food.

동작 표시부(113)는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안쪽에서 해당 작동 포인트부(112)에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 작동 포인트부(112)의 작동을 표시하는 그림으로 해당 작동 포인트부(112)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고, 사용자인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작동 포인트부(112)에 대한 작동을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peration display unit 113 displays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point unit 112 at a position fac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point unit 112 from the inside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 And allows the user, a kindergarten or a child in the low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to easily and accurately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int unit (112).

일 예로, 메인 이동경로부(111)를 중심으로 제1작동 포인트부(112a)의 반대편에는 물통 그림의 제1동작 표시부(113a)가 도시되고, 제2작동 포인트부(112b)의 반대편에는 해당 먹이에 대한 그림의 제2동작 표시부(113b)가 도시되고, 제3작동 포인트부(112c)의 반대편에는 욕조에 대한 그림의 제3동작 표시부(113c)가 도시되고, 제4동작 포인트부의 반대편에는 변기에 대한 그림의 제4동작 표시부(113d)가 도시되고, 제5동작 포인트부의 반대편에는 미끄럼틀, 정글집 등의 놀이기구에 대한 그림의 제5동작 표시부(113e)가 도시되고, 제6동작 포인트부의 반대편에는 침대에 대한 그림의 제6동작 표시부(113f)가 도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display portion 113a of the water bottle is show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operation point portion 112a with respect to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111, A third operation display portion 113c of the picture for the bathtub is show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operation point portion 112c and a second operation display portion 113b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urth operation point portion 113c A fifth operation display portion 113e of a picture of a play device such as a slide or a jungle house is show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fth operation point portion, The sixth operation indicator 113f of the bed can be show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ed.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는 메인 이동경로부(111)에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이동경로 표시용 마커펜, 작동 포인트부(112)와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포인트 표시용 마커펜을 더 포함하여 이동경로 표시용 마커펜, 포인트 표시용 마커펜으로 메인 이동경로부(111)의 경로를 변경하고, 작동 포인트부(112)를 새로 더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the movement of th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oint unit 112 and the movement path marker pen for displaying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The marker pointing marker pen further includes a marker pointing marker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main moving path section 111 and displaying a new operation point section 112 with the marker pad for movement path display and the marker for point display .

또한, 사용자인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자유롭게 메인 이동경로부(111)와 작동 포인트부(112)를 자유롭게 표시하여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본인이 의도하는 입력값을 본인이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어 코딩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user who is a kindergarten or a child of an elementary school can freely display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and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freely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freely display the input value of himself / herself, Improve access to learning, and improve learning effectiveness.

이동경로 표시용 마커펜은 검정색의 잉크로 검정색 라인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일 예로 하고, 포인트 표시용 마커펜은 코딩 로봇본체(200)의 작동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의 마커펜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marking pen for marking the movement path can display a black line with ink of black color. The marking pen for marking the point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arker pens having different colors As an example.

포인트 표시용 마커펜은 코팅 로봇본체의 물마시기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1작동 포인트부(112a)를 표시하기 위한 파란색 마커펜, 코팅 로봇본체의 먹이를 먹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2작동 포인트부(112b)를 표시하기 위한 노란색 마커펜, 코팅 로봇본체의 목욕하기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3작동 포인트부(112c)를 표시하기 위한 하늘색 마커펜, 코팅 로봇본체의 화장실 가기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4작동 포인트부(112d)를 표시하기 위한 보라색 마커펜, 코팅 로봇본체의 놀이터 가기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5작동 포인트부(112e)를 표시하기 위한 빨간색 마커펜, 코팅 로봇본체의 잠자기 동작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5작동 포인트부(112e)를 표시하기 위한 녹색 마커펜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marker pen for point marking includes a blue marker pen for displaying a first operation point portion 112a for performing a water-drinking operation of the coating robot body, a second operation point portion 112b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eating food of the coating robot body , A yellow marker pen for displaying a third operation point part 112c for performing a bathing operation of the coating robot body, a fourth operation point part for performing a restroom operation of the coating robot body A red marker pen for displaying a fifth operation point portion 112e for performing a playground moving operation of the coating robot main body, a fifth operation for performing a sleep operation operation of the coating robot main body And a green marker pen for displaying the point portion 112e.

이동경로 표시용 마커펜과 포인트 표시용 마커펜은 제1인식부(211)와 제2인식부(212)로 인식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는 선 또는 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두께 이상의 펜부를 가지는 것으로 적어도 5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선 또는 점을 표시할 수 있는 펜부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movement path marker pen and the point marker pen may have a pen portion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so as to be able to display a line or point having a thickness recognizable by the first recognition portion 211 and the second recognition portion 212 And has a pen portion capable of displaying a line or a point having a thickness of at least 5 mm or more.

작동 제어부(230)는 코딩 로봇본체(200)의 모드를 작동 포인트부(112)에 대해 기설정된 동작을 코딩 로봇본체(200)가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수행모드와, 작동 포인트부(112)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코딩 로봇본체(200)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변경모드를 포함하고, 코딩 로봇본체(200)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260)가 구비되어 동작 수행모드와 경로 변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230 may include an operation mode for allowing the coding robot body 200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of the coding robot body 200 and an operation mode for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And a path change mode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mode changeover switch unit 260, Can be selected and executed.

모드 전환 스위치부(260)는 코딩 로봇본체(20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코딩 로봇본체(200)의 등을 누름으로써 모드 전환 스위치부(260)가 코딩 로봇본체(200)와 바닥 사이에서 눌려 동작 수행모드와 경로 변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de changeover switch unit 26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so that the user can push the back of the coding robotic main body 200 to allow the mode changeover switch unit 260 to move between the coding robotic main body 200 and the floo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operation mode and the path change mod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의 다른 예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메인 이동경로부(111)는 서로 교차되는 제1이동 경로부와 제2이동 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이동 경로부와 제2이동 경로부가 교차점의 일측에 작동 포인트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oding training apparatus using movement of a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main movement path unit 111 includes a first movement path unit and a second movement path unit, And an operating point portion 112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moving path portion and the second moving path portion.

또한, 경로 변경모드에서 작동 포인트부(112)는 교차점에서 코딩 로봇본체(200)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게 되며, 작동 포인트부(112)는 코딩 로봇본체(200)의 주행방향에 따라 복수의 색상으로 구분되어 각 색상별로 코딩 로봇본체(200)의 주행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In the path changing mode, the operating point unit 112 change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at the intersection point, and the operating point unit 112 changes a plurality of colors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is ch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ach color.

작동 포인트부(112)는 교차점에서 코딩 로봇본체(2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전진 포인트부(114), 교차점에서 코딩 로봇본체(200)를 오른쪽으로 90°로 회전시켜 주행시키는 우향 포인트부(115), 교차점에서 코딩 로봇본체(200)를 왼쪽으로 90°로 회전시켜 주행시키는 좌향 포인트부(116), 교차점에서 코딩 본체를 180°로 회전시켜 코딩 로봇본체(200)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유턴 포인트부(117), 교차점에서 코딩 본체를 정지시키는 정차 포인트부(118)를 포함한다.The operating point unit 112 includes a forward point unit 114 for moving forward at the intersec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A pointing unit 115 for moving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to the left at 90 degrees and a left point unit 116 for moving the coding robotic body 200 at 90 degrees to the left at the point of intersection, And a stop point portion 118 for stopping the coding body at the intersection point.

전진 포인트부(114)는 녹색, 우향 포인트부(115)는 파란색, 좌향 포인트부(116)는 노란색, 유턴 포인트부(117)는 보라색, 정차 포인트부(118)는 빨간색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The forward point portion 114 is green, the right point portion 115 is blue, the left point portion 116 is yellow, the U-turn point portion 117 is purple, and the stop point portion 118 is red do.

즉, 코딩 로봇본체(200)부는 경로 변경모드에서 제1인식부(211)를 통해 메인 이동경로부(111)를 따라 직진하다가 교차로에서 제2인식부(212)를 통해 작동 포인트부(112)를 인식하여 해당 작동 포인트부(112)에 의해 주행방향이 변경되거나 이동을 정지하게 된다.That is,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moves straight along the main movement path unit 111 through the first recognition unit 211 in the path change mode, and then moves to the operation point unit 112 through the second recognition unit 212 at the inters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is changed or the movement is stopped by the corresponding operating point unit 112.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100)에는 교차로가 복수로 구비된 격자형태의 메인 이동경로부(111)에서 코딩 로봇본체(200)의 출발점이 표시되고, 정차 포인트부(118)로 코딩 로봇본체(200)의 도착지점을 표시하며 출발점과 도착 지점의 사이에서 코딩 로봇본체(200)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전진 포인트부(114), 우향 포인트부(115), 좌향 포인트부(116), 유턴 포인트부(1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교차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표시되어 경로 변경모드를 통해 코딩 로봇본체(200)가 출발점에서 출발하여 도착 지점에 도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art point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is displayed in the grid moving main path portion 111 having a plurality of intersections in the robot moving board member 100 and the start point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is displayed in the main moving path portion 111, A forward point unit 114, a right point unit 115, a left point unit 116, and a U-turn point unit (not shown) for changing the moving path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arrival point 117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rsections so that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can start from the starting point and arrive at the arrival point through the path changing mode.

또한, 사용자인 유아 또는 아동이 포인트 표시용 마커펜을 이용하여 작동 포인트부(112)를 교차로에 직접 표시함으로써 코딩 로봇본체(200)를 출발점에서 도착 지점으로 도착시키는 다양한 경로를 확인하고, 만들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infant or child as a user can directly display the operating point part 112 on the intersection by using the marking pen for point marking, so that various paths for arriving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arrival point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can be confirmed .

경로 변경모드는 코딩 로봇본체(200)를 출발점에서 도착 지점으로 도착시키는 다양한 경로를 확인하고, 다양한 경로를 만들 수 있어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ath change mode can identify various paths that cause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to arriv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arrival point, and can make various paths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본 발명은 입력 대상에 따른 출력 변화를 통해 코딩의 기초를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for a child of a kindergarten or an elementary school to easily understand a coding basis through a change in output according to an input object.

본 발명은 사용자인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이 관심을 끌 수 있는 코딩 로봇본체(200)의 이동 경로 변화를 이용하여 코딩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학습효과를 향상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ccessibility to the coding learning and improves the learning effect by using the change of the moving path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which is of interest to the user who is a child of a kindergarten or an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

또한, 본 발명은 코딩 로봇본체(200)의 이동 경로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코딩 학습 효과를 더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set the moving path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200,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ding learn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동작 수행모드와 경로 변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코딩 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ccessibility to coding learning, improve learning effects, and improv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y selecting one of the operation mode and the path change mod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 110 : 이동경로
111 : 메인 이동경로부 112 : 작동 포인트부
112a : 제1작동 포인트부 112b : 제2작동 포인트부
112c : 제3작동 포인트부 112d : 제4작동 포인트부
112e : 제5작동 포인트부 112f : 제6작동 포인트부
113 : 동작 표시부 113a : 제1동작 표시부
113b : 제2동작 표시부 113c : 제3동작 표시부
113d : 제4동작 표시부 113e : 제5동작 표시부
113f : 제6동작 표시부 114 : 전진 포인트부
115 : 우향 포인트부 116 : 좌향 포인트부
117 : 유턴 포인트부 118 : 정차 포인트부
200 : 코딩 로봇본체 210 : 인식부
211 : 제1인식부 212 : 제2인식부
220 : 출력부 230 : 작동 제어부
240 : 전원 공급부 250 : 로봇 주행부
251 : 주행바퀴 260 : 모드 전환 스위치부
100: robot moving board member 110: moving path
111: main moving path unit 112: operating point unit
112a: first operating point part 112b: second operating point part
112c: third operating point part 112d: fourth operating point part
112e: fifth operating point part 112f: sixth operating point part
113: Operation display section 113a: First operation display section
113b: second operation display section 113c: third operation display section
113d: fourth operation display section 113e: fifth operation display section
113f: sixth operation display section 114: forward point section
115: right point unit 116: left point unit
117: U-turn point unit 118: Stop point unit
200: coding robot body 210:
211: first recognition section 212: second recognition section
220: output unit 230: operation control unit
240: power supply unit 250: robot running unit
251: running wheel 260: mode changeover switch

Claims (12)

이동경로가 표시된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 및
상기 이동경로를 인식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코딩 로봇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이동하는 주 이동경로가 표시된 메인 이동경로부,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인식하여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동 포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A robot moving board member having a moving path; And
And a coding robot body recognizing the movement path and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Wherein the moving path includes a main moving path portion indicating a main moving path on which the coding robot main body moves, and an operating point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moving path portion and allowing the coding robotic main body to recognize and perform a preset operation Coding training device using robot move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이동하는 주 이동경로가 표시된 메인 이동경로부; 및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코딩 로봇본체가 인식하여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동 포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path includes: a main movement path portion indicating a main movement path on which the coding robot main body moves; And
And an operating point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and configured to recognize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the coding robot main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는 기설정된 색상으로 선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일측에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와 붙어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is formed in a line shape in a predetermined color,
Wherein the operation point part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movement path part and is attached to the main movement path par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를 따라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색상으로 각각 구비되고, 각 색상에 따라 동작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operation point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and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lors, respectively, and the opera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col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와 상기 작동 포인트부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부, 상기 색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메인 이경경로부를 따라 주행하는 로봇 주행부, 상기 로봇 주행부와 상기 출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색상, 상기 작동 포인트부의 색상을 감지하여 각 색상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색상 인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ding robot body includes a recognition unit capable of recognizing the main movement path unit and the operation point unit,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color or voice, a robot running unit running along the main diameter path unit,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utput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Wherein the recognizing unit is a color recognizing unit that recognizes the colors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and the color of the operation point unit and recognizes each color separate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의 색상을 인식하는 제1인식부; 및
상기 제1인식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 포인트부의 색상을 감지하는 제2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firs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olor of the main movement path unit; And
And a second recognizing unit located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recognizing unit and sensing a color of the operating point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에는 각 작동 포인트부의 근처에 각 작동 포인트부에 해당되는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표시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obot moving board member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display portion for indicat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operation point portion in the vicinity of each operation point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에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이동경로 표시용 마커펜; 및
상기 작동 포인트부와 대응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포인트 표시용 마커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movement path marker for displaying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main movement path; And
Further comprising a point marking pen for displaying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int of the robo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부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모드를 상기 작동 포인트부에 대해 기설정된 동작을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수행하도록 하는 동작 수행모드와, 작동 포인트부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으로 코딩 로봇본체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 변경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로봇본체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상기 동작 수행모드와 상기 경로 변경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includes an operation mode for allowing the coding robot body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the operation point unit of the coding robot body and a mode for changing the path of the coding robot bod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point unit, A route change mode in which,
Wherein the coding robot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mode changeover switch so that one of the operation mode and the path change mode can be selected and execut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동경로부는 서로 교차되는 제1이동 경로부와 제2이동 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이동 경로부와 상기 제2이동 경로부가 교차점의 일측에 작동 포인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경로 변경모드에서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교차점에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게 되며,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방향에 따라 복수의 색상으로 구분되어 각 색상별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주행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main movement path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ovement path portion and a second movement path portion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movement path portion and the second movement path portion are provided with operation point portions on one side of the intersection,
Wherein the operation point unit change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at an intersection point, and the operation point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lors according to a runn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Where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bot is ch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 포인트부는,
상기 교차점에서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이동시키는 전진 포인트부;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를 오른쪽으로 90°로 회전시켜 주행시키는 우향 포인트부;
상기 교차점에서 코딩 로봇본체를 왼쪽으로 90°로 회전시켜 주행시키는 좌향 포인트부;
상기 교차점에서 코딩 본체를 180°로 회전시켜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유턴 포인트부; 및
상기 교차점에서 코딩 본체를 정지시키는 정차 포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operation point unit,
A forward point unit for moving forward at the intersec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A right point unit for rotating the coding robot main body at 90 degrees to the right at the intersection;
A leftward pointing part for rotating the coding robot main body at 90 degrees to the left at the intersection,
A turning point unit for rotating the coding body 180 ° at the intersection to move for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ding robot body; And
And a stop point portion for stopping the coding body at the intersec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로봇 이동용 보드판부재에는 교차로가 복수로 구비된 격자형태의 메인 이동경로부에서 코딩 로봇본체의 출발점이 표시되고, 상기 정차 포인트부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도착지점을 표시하며 상기 출발점과 상기 도착 지점의 사이에서 상기 코딩 로봇본체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상기 전진 포인트부, 상기 우향 포인트부, 상기 좌향 포인트부, 상기 유턴 포인트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교차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표시되어 상기 경로 변경모드를 통해 상기 코딩 로봇본체가 출발점에서 출발하여 도착 지점에 도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arting point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is displayed in the grid moving main path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intersections in the robot moving board member. The stop point portion indicates the arrival point of the coding robot main body, At least one of the forward point portion, the right point portion, the left point portion, and the turn point portion, which changes the moving path of the coding robot body, is selectively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rsection points, Wherein the coding robot body starts from a starting point and arrives at an arrival point via the robot.

KR1020170135704A 2017-10-19 2017-10-19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 KR1020676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04A KR102067666B1 (en) 2017-10-19 2017-10-19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
CN201711318539.1A CN109686172B (en) 2017-10-19 2017-12-12 Coding education device moved by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704A KR102067666B1 (en) 2017-10-19 2017-10-19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756A true KR20190043756A (en) 2019-04-29
KR102067666B1 KR102067666B1 (en) 2020-01-17

Family

ID=6618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704A KR102067666B1 (en) 2017-10-19 2017-10-19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7666B1 (en)
CN (1) CN109686172B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18A (en) * 2019-06-28 2021-01-06 최성일 Self-made board kits of drive code line formation for driving line tracing robot
KR20210007346A (en) * 2019-07-11 2021-01-20 김철회 Coding learning apparatus and coding lear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10075791A (en)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마매코 Teaching tools for coding learning
KR20220001371U (en)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토이트론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usic performance cod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354B1 (en) * 2019-06-19 2021-02-09 주식회사 지니로봇 Saypen to provide coding training by pairing with robot and method of the same
CN111820922B (en) * 2020-06-19 2022-09-27 华中师范大学 Evaluation method for calculating thinking for childr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59B1 (en) * 2010-08-16 2011-05-02 서창준 Toy car having color sensor
KR20130100558A (en) * 2012-03-02 2013-09-11 주식회사 유진로봇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robot
KR20160076158A (en) * 2014-12-22 2016-06-30 (주)모션블루 Toy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and computer program
KR101683022B1 (en) 2016-02-29 2016-12-08 주식회사 휴인텍 Training aids for cording study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30680T1 (en) * 1999-02-04 2006-07-15 Lego As PROGRAMMABLE TOY WITH COMMUNICATION MEANS
CN105396295B (en) * 2015-11-17 2018-07-17 卢军 A kind of space programming robot toy towards childr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859B1 (en) * 2010-08-16 2011-05-02 서창준 Toy car having color sensor
KR20130100558A (en) * 2012-03-02 2013-09-11 주식회사 유진로봇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robot
KR20160076158A (en) * 2014-12-22 2016-06-30 (주)모션블루 Toy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and computer program
KR101683022B1 (en) 2016-02-29 2016-12-08 주식회사 휴인텍 Training aids for cording study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18A (en) * 2019-06-28 2021-01-06 최성일 Self-made board kits of drive code line formation for driving line tracing robot
KR20210007346A (en) * 2019-07-11 2021-01-20 김철회 Coding learning apparatus and coding lear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10075791A (en) 2019-12-13 2021-06-23 주식회사 마매코 Teaching tools for coding learning
KR20220001371U (en)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토이트론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usic performance 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666B1 (en) 2020-01-17
CN109686172A (en) 2019-04-26
CN109686172B (en)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3756A (en)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movement of robot
Özgür et al. Cellulo: Versatile handheld robots for education
Pisarov et al. Programming the mbot robot in school
Nacher et al.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preschool game-based instruction: Experiences and future challenges
Sapounidis et al. Educational robots driven by tangible programming languages: A review on the field
García-Peñalvo et al. Evaluation of existing resources (study/analysis)
Marco et al. Bringing tabletop technologies to kindergarten children
Chen et al. A survey on storytelling with robots
KR20190043753A (en)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emontion change model of robot and coding education method using the same
Martin Children, cybernetics, and programmable turtles
Sun et al.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robot teaching assistant in facilitating learning
Louka et al. Programming environments for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preschool educ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lves et al. Web based robotic simulator for tactode tangible block programming system
Orhani Robots Assist or Replace Teachers in the Classroom
Aufderheide et al. Experiences with LEGO MINDSTORMS as an Embedded and Robotics Plattform withi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Karaca et al. Ros based visual programming tool for mobile robot education and applications
US20120040324A1 (en) Remotely controlled biomimetic robotic fish as a scientific and educational tool
Rossano et al. Cod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with Arduino.
Wang et al. Innovative control education using a low cost intelligent robot platform
Arroyo et al. Towards the design of a robot for supporting children’s attention during long distance learning
KR20210067744A (en) System of STEAM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Coding Technology and the Teaching Material for STEAM
Mariappan et al. A design methodology of programmable tangible bloc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robotic system
Vargová et al. Robotic toys and their use in pre-primary and primary education
de Oliveira et al. Thinking Open and Ludic Educational Robotics: Considerations Based on the Interaction Design Principles
Uribe et al. 4 th Graders creating robots with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