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512A -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512A
KR20190043512A KR1020190045411A KR20190045411A KR20190043512A KR 20190043512 A KR20190043512 A KR 20190043512A KR 1020190045411 A KR1020190045411 A KR 1020190045411A KR 20190045411 A KR20190045411 A KR 20190045411A KR 20190043512 A KR20190043512 A KR 2019004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user
transfer
user terminal
accou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은행
Priority to KR1020190045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512A/ko
Publication of KR2019004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7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in that multiple accounts are available, e.g. to the p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계좌 이체 처리 서버에서 실행된다. 상기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로부터 제1 계좌 및 제2 계좌 간 특정 금액의 이체 승인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계좌 및 상기 제2 계좌가 상기 사용자의 명의로 개설된 계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상기 제1 계좌에서 특정 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제2 계좌에 상기 특정 금액을 입금하여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명의의 계좌들 간의 이체 시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계좌 이체 처리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METHOD OF PROCESSING ACCOUNT TRANSF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외에는 은행, 종금사, 증권사, 투자신탁사, 카드사, 우체국 등 수많고 다양한 금융 기관이 존재하고 있다. 다수의 사람은 금융 기관 중 1개 이상의 곳에 계좌를 개설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실물거래 및 금융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계좌간 자금의 이동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계좌간의 이체는 동일한 금융 기관 사이의 계좌간 특정 금액을 이체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계좌 이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보안 카드에 있는 번호 중 특정 번호를 입력한 후,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보안 카드를 분실하면 해당 금융 기관에 방문하여 보안 카드를 재발급 받아야 한다. 그런데, 직장을 다니는 사용자는 업무 시간에 은행을 방문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공인인증서가 설치된 단말에서만 계좌 이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명의의 계좌들 간의 이체 시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계좌 이체 처리가 되도록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계좌들 간의 이체 시 계좌를 개설한 금융 기관의 식별자가 다르더라도 계좌들의 사용자 명의가 동일하면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계좌 이체 처리가 되도록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융 기관에서 발행된 보안카드 및 OTP(One Time Password) 카드를 사용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사용자가 기 구축한 이체 인증 번호를 통해 계좌 이체 처리가 되도록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별로 저장된 계좌 이체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계좌 이체 요청 시 동일한 이체 처리에 대해서는 별도의 인증 과정 없이 계좌 이체가 처리되도록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계좌 이체 처리 서버에서 실행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로부터 제1 계좌 및 상기 제1 계좌와 타행인 제2 계좌 간 특정 금액의 이체 승인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계좌 및 상기 제2 계좌가 설정된 동일 사용자 명의의 계좌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및 제2 계좌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명의로 개설된 계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상기 제1 계좌에서 특정 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제2 계좌에 상기 특정 금액을 입금하여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구축된 인증 번호 테이블에 있는 이체 인증 번호를 구성하는 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번호의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체 인증 번호가 생성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구축된 식별자 테이블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계좌 및 상기 제2 계좌가 상기 사용자의 명의로 개설된 계좌이면, 상기 제1 계좌 및 제2 계좌 각각을 개설한 금융 기관의 식별자가 동일한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체 인증 번호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카드 번호, 계좌 번호 및 주민 등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별자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주소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계좌 및 제2 계좌 각각은 자유입출금 계좌 또는 금융 상품과 연관된 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융 상품은 적금 상품, 보험 상품 및 예금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명의의 계좌들 간의 이체 시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계좌 이체 처리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융 기관에서 발행된 보안카드 및 OTP(One Time Password) 카드를 사용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사용자가 기 구축한 이체 인증 번호를 통해 계좌 이체 처리가 되도록 하여 보안카드 및 OTP카드 분실 시에도 카드 재발급을 위해 금융 기관을 방문해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좌들 간의 이체 시 계좌를 개설한 금융 기관의 식별자가 다르더라도 계좌들의 사용자 명의가 동일하면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계좌 이체 처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별로 저장된 계좌 이체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계좌 이체 요청 시 동일한 이체 처리에 대해서는 별도의 인증 과정 없이 계좌 이체가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서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에서 이체 인증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금융 기관이란 은행, 종금사, 증권사, 투자신탁사, 카드사, 우체국, 기타 특정인 또는 불특정인의 자금을 입출금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어떤 공적·사적 기관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금융 기관에 계좌를 개설하여 자금 입출금거래를 하고 있거나, 하고자 하는 자 또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모바일 뱅킹 엔진은 인터넷을 통해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금융 기관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좌 이체 처리 시스템은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는 네트워크 환경을 통하여 계좌 이체를 처리할 수 있다.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는 계좌 이체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과 적어도 일부의 실시간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제공 서버(1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에 접속 또는 통신을 유지하며, 사용자에게 계좌 이체 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단말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계좌 이체 처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모바일 뱅킹 엔진의 적어도 일부를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간 이체에 필요한 소정의 연산 중 적어도 일부는 빠른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200)는 자체로 구비한 모바일 뱅킹 엔진에서 연산된 결과를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는 통신부(110), 계좌 관리부(120), 인증 확인부(130) 및 계좌 이체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계좌 이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환경을 설정 또는 유지할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원화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좌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계좌의 종류는 자유입출금, 적금, 신탁 및 예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좌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계좌의 부가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여 계좌에 적용시킬 수 있다. 계좌의 부가 정보는 계좌에 대한 이체 한도 금액 및 출금 한도 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가 투자성 금융 상품과 연결된 계좌인 경우, 즉 계좌가 적금, 신탁 및 예금 중 적어도 하나의 계좌인 경우 계좌와 연결된 금융 상품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금융 상품 속성 정보는 가입일, 계약 기간, 이율 및 납입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계좌 개설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계좌 개설 이력은 해당 계좌와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국가 코드, 고객 분류, 고객 이름, 고객 주소, 지역 구분 코드, 전화 번호, 회사 주소, 회사 전화 번호, 계좌 번호, 최초 거래일 및 최종 거래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신용 등급에 따라 마이너스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마이너스 계좌는 사용자의 신용 등급에 따라 기 설정된 최대 금액 내에서 일정 금액의 돈을 빼고 넣을 수 있는 계좌이다.
계좌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계좌와 카드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계좌와 카드(예를 들어, 현금 카드, 체크 카드, 직불 카드 및 신용 카드)를 1:1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관리부(120)는 카드 A가 사용되면 계좌 B에서 출금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사용자 명의의 계좌와 카드를 N:1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관리부(120)는 카드 A가 사용되면 계좌 C 및 계좌 D에서 출금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카드 A가 사용되면 계좌 C에서 출금되고, 계좌 C의 금액이 부족하면 계좌 D에서 출금될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동일한 사용자 명의의 계좌를 상호 연결시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20)는 계좌를 개설한 금융 기관의 식별자와 상관 없이 동일한 사용자 명의의 계좌를 상호 연결시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은행 A에서 통장 a를 개설하고 은행 B에서 통장 b를 개설한 경우, 계좌 관리부(120)는 통장 a와 통장 b를 연결시킬 수 있다.
계좌 관리부(120)는 계좌 이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계좌에 대한 입출금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좌 관리부(130)는 입출금 계좌에서 특정 금액을 출금하여 금융 상품과 연관된 계좌에 입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이체 제어부(140)에 의해 계좌 간 1,000,000원의 이체가 결정되면, 계좌 관리부(130)는 입출금 계좌에서 1,000,000원을 출금하여 적금 계좌에 1,000,000원을 입금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금융 상품은 적금 상품, 보험 상품 및 예금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확인부(130)는 계좌들 간 특정 금액의 이체 처리를 위해서 계좌들이 동일한 사용자 명의로 개설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 확인부(130)는 확인된 인증 결과를 계좌 이체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들이 사용자 A의 명의로 개설되었다면, 인증 확인부(130)는 계좌에 대한 인증 결과를 확인하여 계좌 이체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확인부(130)는 제1 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의 식별자와 제2 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의 식별자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계좌들이 동일한 사용자 명의로 개설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계좌 및 제2 계좌를 개설한 사용자의 주민등록 번호가 동일하면 계좌들이 동일한 사용자 명의로 개설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인증 확인부(130)는 계좌들 간 특정 금액의 이체 처리를 위해서 사용자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인증 확인부(130)는 확인된 인증 결과를 계좌 이체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확인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기 구축된 인증 번호 테이블에 있는 이체 인증 번호를 구성하는 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번호의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에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번호가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이용하여 이체 인증 번호가 생성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연관된 카드 번호 X23X-5X7X-9000 중 X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번호를 이용하여 원래의 카드 번호가 생성되는 경우, 인증 확인부(130)는 사용자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체 인증 번호는 카드 번호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연관된 계좌 번호, 주민 등록 번호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증 확인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기 구축된 식별자 테이블에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구축된 식별자 테이블에 사용자 단말(2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존재하면, 인증 확인부(130)는 사용자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 구축된 식별자 테이블에 사용자 단말(200)의 전화 번호가 존재하면, 인증 확인부(130)는 사용자 인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번호로서, IP 주소, 전화 번호 등과 같은 식별자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계좌 이체 제어부(140)는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계좌 이체를 처리할 수 있다.
계좌 이체 제어부(140)는 계좌 이체를 위한 대기 절차를 제공할 수 있고, 대기 절차에 의하여 입출금 계좌 선택 등이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계좌 이체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임 이체 제어부(140)는 계좌 관리부(120)를 이용하여 출금 계좌에서 특정 금액을 출금하여 입금 계좌에 입금되도록 할 수 있다.
계좌 이체 제어부(140)는 인증 확인부(130)를 이용하여 계좌 이체 진행에 필요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금 계좌 및 적금 계좌가 동일한 사용자의 명의로 개설되었다면, 인증 확인부(130)에서 확인된 인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입출금 계좌에서 특정 금액을 출금하여 적금 계좌에 입금시킬 수 있다.
인증 정보 테이블(150)은 사용자 별(예를 들어, 사용자 ID별)로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정보 테이블(150)은 사용자와 연관된 이체 인증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정보 테이블(150)은 사용자와 연관된 카드 번호, 계좌 번호 및 주민 등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인증 정보 테이블(150)은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IP주소 및 사용자 단말(200)의 고유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서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에 개시된 계좌 이체 처리 서버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 또는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나, 당업자는 이로부터 도 3의 다른 일 실시예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개시된 계좌 이체 처리 서버(200)는 계좌 이체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좌 이체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60)는 사용자 별로 계좌 이체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좌 이체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60)는 사용자 A 명의의 계좌간 이체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계좌 이체 제어부(140)는 계좌 이체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사용자 별 이체 결과를 기초로 동일한 이체 처리에 대해서는 인증 과정 없이 이체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계좌 이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은 전술한 계좌 이체 처리 서버(100)에서 수행되므로, 서로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나, 당업자는 전술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계좌들 간 특정 금액을 이체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계좌 이체 처리 방법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계좌 이체 처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사용자로부터 제1 계좌 및 제2 계좌 간 특정 금액의 이체 승인을 요청 받는다(단계 S410). 계좌 이체 처리 서버(200)는 제1 계좌 및 제2 계좌가 사용자의 명의로 개설된 계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0). 계좌 이체 처리 서버(200)는 제1 계좌 및 제2 계좌가 동일한 사용자의 명의로 개설되었다고 판단되면(단계 S430),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제1 계좌에서 특정 금액을 출금하여 제2 계좌에 특정 금액을 입금하여 계좌 이체를 처리한다(단계 S44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에서 이체 인증이 실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조도이다.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이체 인증 번호를 통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 특정 금액을 이체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계좌 이체 처리 방법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계좌 이체 처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관된 사용자로부터 제1 계좌 및 제2 계좌 간 특정 금액의 이체 승인을 요청 받는다(단계 S510). 계좌 이체 처리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기 구축된 인증 번호 테이블에 있는 이체 인증 번호(610)를 구성하는 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번호("X"해당하는 번호)의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에 요청한다(단계 S520). 계좌 이체 처리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번호가 입력되면(단계 S530)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이용하여 이체 인증 번호(610)가 생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40). 계좌 이체 처리 서버(200)는 이체 인증 번호(610)가 생성되면 제1 계좌에서 특정 금액을 출금하여 제2 계좌에 특정 금액을 입금하여 계좌 이체를 처리한다(단계 S55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계좌 이체 처리 서버
110: 통신부
120: 계좌 관리부
130: 인증 확인부
140: 이체 처리 제어부
150: 인증 정보 테이블
200: 사용자 단말

Claims (6)

  1.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계좌 이체 처리 서버에서 실행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로부터 제1 계좌 및 상기 제1 계좌와 타행인 제2 계좌 간 특정 금액의 이체 승인을 요청 받는 단계;
    상기 제1 계좌 및 상기 제2 계좌가 설정된 동일 사용자 명의의 계좌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및 제2 계좌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명의로 개설된 계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공인인증서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 과정 없이 상기 제1 계좌에서 특정 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제2 계좌에 상기 특정 금액을 입금하여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구축된 인증 번호 테이블에 있는 이체 인증 번호를 구성하는 번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번호의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체 인증 번호가 생성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구축된 식별자 테이블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계좌 및 상기 제2 계좌가 상기 사용자의 명의로 개설된 계좌이면, 상기 제1 계좌 및 제2 계좌 각각을 개설한 금융 기관의 식별자가 동일한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계좌 이체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인증 번호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카드 번호, 계좌 번호 및 주민 등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IP(Internet Protocol)주소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좌 및 제2 계좌 각각은
    자유입출금 계좌 또는 금융 상품과 연관된 계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상품은
    적금 상품, 보험 상품 및 예금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이체 처리 방법.
KR1020190045411A 2019-04-18 2019-04-18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90043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411A KR20190043512A (ko) 2019-04-18 2019-04-18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411A KR20190043512A (ko) 2019-04-18 2019-04-18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337A Division KR20140064242A (ko) 2012-11-20 2012-11-20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512A true KR20190043512A (ko) 2019-04-26

Family

ID=6628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411A KR20190043512A (ko) 2019-04-18 2019-04-18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5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6319C (en) Payment validation network
US82962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RIKS associated with accepting a financial instrument
CN101627574A (zh) 用于交易审查服务的系统和方法
KR20150109323A (ko) 자금 이체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0456A (ko) 실시간 대출 프로세싱 및 대출 자금
KR20080023282A (ko) 인체정보를 이용한 상거래 시스템의 대금 결제 방법
CN107392752A (zh) 数字货币钱包的查询方法和查询系统
CN107392602A (zh) 查询数字货币钱包的方法和系统
US11741442B1 (en) Infrastructure for maintaining math-based currency accounts
KR2002000039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은행대출 시스템
KR20190043512A (ko)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40064242A (ko) 계좌 이체 처리 방법,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161624B1 (ko) 환전 서비스 제공방법
JP4571268B2 (ja) 口座開設処理方法及び口座開設処理システム
KR20000072797A (ko)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90104215A (ko) 금매매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2000107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은행의 예,적금 신규계좌 개설 시스템
JP2007025907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JP4913794B2 (ja) 口座管理システムおよび口座管理プログラム
JP4847510B2 (ja) 口座管理システムおよび口座管理プログラム
TW200823807A (en) Anti-fraudulent method for financial service system using telephone number and identification code
KR20140028833A (ko) 원화 입출금 시스템, 이를 실행하는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20060086074A (ko) 현금지급장치 및 기록매체와, 이를 이용한 대출신청 시스템
KR101550097B1 (ko) 계좌 운용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3562812B1 (ja) ローン口座出金管理システム及びローン口座からの出金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