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379A -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379A
KR20190043379A KR1020170135374A KR20170135374A KR20190043379A KR 20190043379 A KR20190043379 A KR 20190043379A KR 1020170135374 A KR1020170135374 A KR 1020170135374A KR 20170135374 A KR20170135374 A KR 20170135374A KR 20190043379 A KR20190043379 A KR 20190043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gnetized
post
bubble gener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도
Original Assignee
지니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니스(주) filed Critical 지니스(주)
Priority to KR102017013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379A/ko
Publication of KR2019004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은 정수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을 자화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자화수 생성부, 자화수 생성부를 통해 변환된 자화수를 전기분해함으로써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물의 이동을 위한 유로를 포함하되, 유로는 자화수 생성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고정부, 일측에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자화수 생성부의 삽입을 위한 제 1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및 제 1 개방부와 결합되는 제 1 마개를 포함하며, 제 1 하우징은 정수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제 1 유입구 및 자화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를 포함하고, 제 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자화수 생성부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제 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A SYSTEM GENERATING MAGNETIC IONIZED WATER}
본 발명은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수 생성의 전처리 및 후처리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자화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된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화수란 강력한 자석 사이에 물을 통과시켜 자석의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물 분자의 집단(클러스터)이 분자 단위로 쪼개져서 큰 물의 집단에서 작은 물의 집단으로 미립자화되어 생성된 물을 말한다. 이렇게 미립자화된 물은 물 분자 각각이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육각이나 혹은 오각으로 된 고리구조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가진 자화수를 자화 육각수 혹은 오각수라고 부른다.
자화 육각수는 육각 고리 구조로 미립자화되어 체내 흡수성이 좋고, 용해력 및 세정력이 뛰어나 급수관 내의 녹이나 물이끼, 스케일 등을 억제, 방지하여 배관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기존의 이온수기에서 발생하는 배관 및 전해조에서의 스케일 발생 문제를 해소하고자 자화 육각수를 생성할 수 있는 자화수 생성장치를 기존의 이온수기에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9643호를 살펴보면, 이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전해조의 전처리 단계에 전류량 조절을 통해 제어가능한 자화장치를 구성하여 자화 이온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적 구성에 의하면 이온수기 자체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을 포함한 자화 이온수 생성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들은 자화수 생성을 위한 구성이 별도로 형성되어 배관을 통해 연결되거나 이온수 생성을 위한 전해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자화수 생성을 위한 구성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수리 및 교체가 어려우며, 선택적으로 이온수만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9643호 (2006.07.0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화수 생성을 위한 구성이 별도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분리 시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온수만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자화수 생성 효율의 향상을 위해 물 클러스터가 원활하게 미립자화될 수 있도록 하며, 배관의 변형을 통해 자화수 생성을 위한 구성을 형성하여 종래의 기술보다 콤팩트하게 구성된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은 정수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을 자화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자화수 생성부, 자화수 생성부를 통해 변환된 자화수를 전기분해함으로써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물의 이동을 위한 유로를 포함하되, 유로는 자화수 생성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고정부, 일측에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자화수 생성부의 삽입을 위한 제 1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및 제 1 개방부와 결합되는 제 1 마개를 포함하며, 제 1 하우징은 정수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제 1 유입구 및 자화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를 포함하고, 제 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자화수 생성부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제 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부는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링 형상의 제 1 버블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버블 생성부의 내주연은 자화수 생성부의 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 1 버블 생성부의 외주연은 제 1 하우징의 내부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조를 통해 생성된 이온수에 추가적인 자화 처리를 하기 위한 후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유로는 후처리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고정부, 일측에 제 2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후처리부의 삽입을 위한 제 2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 및 제 2 개방부와 결합되는 제 2 마개를 포함하며, 제 2 하우징은 전해조를 통해 생성된 이온수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구 및 후처리부를 통해 추가적으로 자화 처리된 이온수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구를 포함하고, 제 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후처리부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제 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는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링 형상의 제 2 버블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제 2 버블 생성부의 내주연은 후처리부의 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 2 버블 생성부의 외주연은 제 2 하우징의 내부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에 따르면, 자화수 생성을 위한 구성이 별도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자화수 생성을 위한 구성의 보완, 수리, 교체 등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에 따르면, 자화수 생성을 위한 구성을 분리 시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온수만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에 따르면, 공급되는 물을 미립자화하는 것을 도와주는 추가적인 구성을 통해 자화 육각수의 생성 효율 및 최종적으로 자화 이온수의 생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제 1 하우징 또는 제 2 하우징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b) 제 1 하우징 또는 제 2 하우징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자화수 생성부 또는 후처리부와 결합된 버블 생성부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b) 버블 생성부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제 1 하우징(310) 또는 제 2 하우징(330)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b) 제 1 하우징(310) 또는 제 2 하우징(330)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은 정수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을 자화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자화수 생성부(100), 자화수 생성부(100)를 통해 변환된 자화수를 전기분해함으로써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200) 및 물의 이동을 위한 유로(300)를 포함하되, 유로(300)는 자화수 생성부(1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고정부(311), 일측에 제 1 고정부(3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자화수 생성부(100)의 삽입을 위한 제 1 개방부(312)가 형성되는 제 1 하우징(310) 및 제 1 개방부(312)와 결합되는 제 1 마개(320)를 포함하며, 제 1 하우징(310)은 정수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제 1 유입구(310-1) 및 자화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310-2)를 포함하고, 제 1 유입구(31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자화수 생성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제 1 배출구(31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부(1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화수 생성부(100) 내부에는 자화수 생성을 위한 영구자석이 복수개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자화수 생성부(100)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제 1 고정부(311) 및 제 1 마개(320)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 1 돌출부는 자화수 생성부(100)의 상단면 및 하단면보다 작은 크기의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고정부(311)에는 자화수 생성부(100)의 제 1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 1 함몰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 1 함몰부는 제 1 돌출부와 동일한 크기의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개방부(312) 및 제 1 마개(320)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을 통해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마개(320)의 중심부에는 자화수 생성부(100)의 제 1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돌출부와 동일한 크기의 다각기둥 형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내용에 의하면 제 1 하우징(310) 내부의 제 1 고정부(311)의 제 1 함몰부와 자화수 생성부(100)의 제 1 돌출부가 결합되고, 제 1 마개(320)의 중심부의 구멍과 자화수 생성부(100)의 제 1 돌출부가 결합되면서 제 1 마개(3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개방부(312)와 결합됨으로써, 자화수 생성부(100)가 제 1 하우징(310) 내부에서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 1 유입구(310-1)가 제 1 하우징(310)의 일측에 자화수 생성부(100)의 하부쪽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1 배출구(310-2)는 제 1 유입구(310-1)의 맞은편 타측에 자화수 생성부(100)의 상부쪽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유입구(31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자화수 생성부(100)의 하부쪽에서 상부쪽의 길이 방향으로 흘러 자화수로 변환된 후 제 1 배출구(31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 1 유입구(310-1)가 제 1 하우징(310)의 일측에 자화수 생성부(100)의 상부쪽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1 배출구(310-2)는 제 1 유입구(310-1)의 맞은편 타측에 자화수 생성부(100)의 하부쪽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유입구(31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자화수 생성부(100)의 상부쪽에서 하부쪽의 길이 방향으로 흘러 자화수로 변환된 후 제 1 배출구(31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자화수 생성부(100) 또는 후처리부(400)와 결합된 버블 생성부(500)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b) 버블 생성부(500)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수 생성부(100)는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링 형상의 제 1 버블 생성부(500)를 더 포함하되,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내주연은 자화수 생성부(100)의 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외주연은 제 1 하우징(310)의 내부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버블 생성부(500)는 자화수 생성부(100)의 외면에 형성되어 물이 흐를 수 있는 제 1 하우징(310)의 빈 공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이 제 1 하우징(310)으로 유입되어 자화수 생성부(100)의 길이방향으로 흐를 시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복수개의 공극을 통해 물이 흐를 수 있다. 이때,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공극으로 흐르지 못하는 물이 제 1 버블 생성부(500)와 충돌함으로써 버블이 생성될 수 있으며,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공극으로의 유입되기 전 물의 압력과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공극으로 유입되어 흘러나온 물의 압력 차이로 인해 버블이 또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블을 생성을 통해 클러스터 간의 결합을 물 분자 단위로 쪼개어 자화수 생성부(100)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자화 육각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버블 생성부(500)는 자화수 생성부(10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내주연은 자화수 생성부(100)의 둘레와 동일한 이로 형성되므로, 자화수 생성부(100)가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자화수 생성부(100)를 제 1 하우징(310)에 결합하기 전에 제 1 버블 생성부(500)를 자화수 생성부(100)에 결합하여 제 1 버블 생성부(500)와 결합된 자화수 생성부(100)가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 1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길이는 자화수 생성부(1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자화수 생성부(10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때,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길이가 자화수 생성부(100)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복수개의 제 1 버블 생성부(500)가 자화수 생성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길이가 자화수 생성부(100)의 길이와 동일한 경우 제 1 버블 생성부(500)에는 물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제 1 유입 통로 및 제 1 배출 통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제 1 버블 생성부(500)의 길이가 자화수 생성부(100)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면, 제 1 유입구(310-1) 및 제 1 배출구(310-2)를 통해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제 1 버블 생성부(500)에는 제 1 유입구(310-1)와 제 1 배출구(310-2)와 맞물리는 위치에 제 1 유입 통로 및 제 1 배출 통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조(200)를 통해 생성된 이온수에 추가적인 자화 처리를 하기 위한 후처리부(400)를 더 포함하되, 유로(300)는 후처리부(4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고정부(331), 일측에 제 2 고정부(3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후처리부(400)의 삽입을 위한 제 2 개방부(332)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330) 및 제 2 개방부(332)와 결합되는 제 2 마개(340)를 포함하며, 제 2 하우징(330)은 전해조(200)를 통해 생성된 이온수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구(330-1) 및 후처리부(400)를 통해 추가적으로 자화 처리된 이온수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구(330-2)를 포함하고, 제 2 유입구(33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후처리부(400)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제 2 배출구(33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4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처리부(400) 내부에는 추가적인 자화 처리를 위한 영구자석이 복수개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후처리부(400)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제 2 고정부(331) 및 제 2 마개(340)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돌출부는 후처리부(400)의 상단면 및 하단면보다 작은 크기의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고정부(331)에는 후처리부(400)의 제 2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 2 함몰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함몰부는 제 2 돌출부와 동일한 크기의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방부(332) 및 제 2 마개(340)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을 통해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마개의 중심부에는 후처리부(400)의 제 2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돌출부와 동일한 크기의 다각기둥 형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내용에 의하면 제 2 하우징(330) 내부의 제 2 고정부(331)의 제 2 함몰부와 후처리부(400)의 제 2 돌출부가 결합되고, 제 2 마개(340)의 중심부의 구멍과 후처리부(400)의 제 2 돌출부가 결합되면서 제 2 마개(34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개방부(332)와 결합됨으로써, 후처리부(400)가 제 2 하우징(330) 내부에서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 2 유입구(330-1)가 제 2 하우징(330)의 일측에 후처리부(400)의 하부쪽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2 배출구(330-2)는 제 2 유입구(330-1)의 맞은편 타측에 후처리부(400)의 상부쪽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2 유입구(33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후처리부(400)의 하부쪽에서 상부쪽의 길이 방향으로 흘러 추가적인 자화 처리가 이루어진 이후 제 2 배출구(33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 2 유입구(330-1)가 제 2 하우징(330)의 일측에 후처리부(400)의 상부쪽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2 배출구(330-2)는 제 2 유입구(330-1)의 맞은편 타측에 후처리부(400)의 하부쪽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2 유입구(330-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후처리부(400)의 상부쪽에서 하부쪽의 길이 방향으로 흘러 추가적인 자화 처리가 이루어진 이후 제 2 배출구(330-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부(400)는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링 형상의 제 2 버블 생성부(500)를 더 포함하되,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내주연은 후처리부(400)의 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외주연은 제 2 하우징(330)의 내부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버블 생성부(500)는 후처리부(400)의 외면에 형성되어 물이 흐를 수 있는 제 2 하우징(330)의 빈 공간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이 제 2 하우징(330)으로 유입되어 후처리부(400)의 길이방향으로 흐를 시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복수개의 공극을 통해 물이 흐를 수 있다. 이때,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공극으로 흐르지 못하는 물이 제 2 버블 생성부(500)와 충돌함으로써 버블이 생성될 수 있으며,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공극으로의 유입되기 전 물의 압력과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공극으로 유입되어 흘러나온 물의 압력 차이로 인해 버블이 또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블을 생성을 통해 클러스터 간의 결합을 물 분자 단위로 쪼개어 자화수 생성부(100)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자화 육각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버블 생성부(500)는 후처리부(400)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내주연은 후처리부(400)의 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므로, 후처리부(400)가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후처리부(400)를 제 2 하우징(330)에 결합하기 전에 제 2 버블 생성부(500)를 후처리부(400)에 결합하여 제 2 버블 생성부(500)와 결합된 후처리부(400)가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 2 하우징(3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길이는 후처리부(4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후처리부(40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때,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길이가 후처리부(400)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복수개의 제 2 버블 생성부(500)가 후처리부(4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길이가 후처리부(400)의 길이와 동일한 경우 제 2 버블 생성부(500)에는 물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제 2 유입 통로 및 제 2 배출 통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제 2 버블 생성부(500)의 길이가 후처리부(400)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면, 제 2 유입구(330-1) 및 제 2 배출구(330-2)를 통해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제 2 버블 생성부(500)에는 제 2 유입구(330-1)와 제 2 배출구(330-2)와 맞물리는 위치에 제 2 유입 통로 및 제 2 배출 통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화수 생성부 200: 전해조
300: 유로 310: 제 1 하우징
310-1: 제 1 유입구 310-2: 제 1 배출구
311: 제 1 고정부 312: 제 1 개방부
320: 제 1 마개 330: 제 2 하우징
330-1: 제 2 유입구 330-2: 제 2 배출구
331: 제 2 고정부 332: 제 2 개방부
340: 제 2 마개 400: 후처리부
500: 버블 생성부

Claims (4)

  1.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정수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을 자화수로 변환시키기 위한 자화수 생성부;
    상기 자화수 생성부를 통해 변환된 자화수를 전기분해함으로써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물의 이동을 위한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는 상기 자화수 생성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고정부; 일측에 상기 제 1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자화수 생성부의 삽입을 위한 제 1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개방부와 결합되는 제 1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기 정수 필터를 통해 여과된 물이 유입되는 제 1 유입구; 및 상기 자화수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자화수 생성부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수 생성부는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링 형상의 제 1 버블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버블 생성부의 내주연은 상기 자화수 생성부의 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버블 생성부의 외주연은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를 통해 생성된 이온수에 추가적인 자화 처리를 하기 위한 후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로는 상기 후처리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고정부; 일측에 상기 제 2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후처리부의 삽입을 위한 제 2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개방부와 결합되는 제 2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전해조를 통해 생성된 이온수가 유입되는 제 2 유입구; 및 상기 후처리부를 통해 추가적으로 자화 처리된 이온수가 배출되는 제 2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후처리부의 길이방향으로 흘러 상기 제 2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부는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링 형상의 제 2 버블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버블 생성부의 내주연은 상기 후처리부의 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버블 생성부의 외주연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둘레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KR1020170135374A 2017-10-18 2017-10-18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KR20190043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74A KR20190043379A (ko) 2017-10-18 2017-10-18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74A KR20190043379A (ko) 2017-10-18 2017-10-18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379A true KR20190043379A (ko) 2019-04-26

Family

ID=6628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374A KR20190043379A (ko) 2017-10-18 2017-10-18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3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3304A (zh) * 2019-11-14 2020-01-21 北京京润荷商贸有限公司 食品级溶油水及其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643A (ko) 2005-01-03 2006-07-06 주식회사 일양메디칼 전해장치 및 자화장치를 이용한 자화 이온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9643A (ko) 2005-01-03 2006-07-06 주식회사 일양메디칼 전해장치 및 자화장치를 이용한 자화 이온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3304A (zh) * 2019-11-14 2020-01-21 北京京润荷商贸有限公司 食品级溶油水及其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3379A (ko) 자화 이온수 생성 시스템
US20220194825A1 (en) Magnetized water generator
KR101310402B1 (ko) 버블 발생기
KR200446903Y1 (ko) 마이크로 버블기가 장착된 버블 샤워기
CN114728822A (zh) 多级式磁化水生成装置
KR102080508B1 (ko) 유체 디스펜싱 장치
JP2007229664A (ja) ストレーナ装置
US20140008275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integrated with water meter using magnet
KR200476726Y1 (ko) 자화 이온수기
KR102256660B1 (ko) 특고자성 전해수 자화수기 모듈, 특고자성 전해수 자화수기 모듈이 적용된 샤워노즐 및 필터형 특고자성 전해수 자화수기 모듈
KR20160118101A (ko) 가정용 수처리 장치
KR20100012693U (ko) 자화수 제조장치
KR20120078011A (ko) 정수기용 필터 베이스
KR101455856B1 (ko) 수직형 자화 이온수기
JP2006000823A (ja) 水処理装置
KR20190056051A (ko) 이오나이저가 설치된 급수배관구조체
JP2001191081A (ja) 磁化水製造装置
KR200342313Y1 (ko) 게르마늄 이온 연수기
KR200434808Y1 (ko) 자화수기
KR102138658B1 (ko) 자화수 생성장치
KR102493953B1 (ko) 분리 결합형 특고자성 자화수기 모듈
KR101280209B1 (ko) 경량화 및 유로를 개선한 히트펌프용 이온화식 수처리 배관
KR20050044237A (ko) 게르마늄 이온 연수기
JP2000210675A (ja) 流体処理装置
JPH10314749A (ja) 磁石密閉型磁気式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