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508B1 - 유체 디스펜싱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디스펜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508B1
KR102080508B1 KR1020180088147A KR20180088147A KR102080508B1 KR 102080508 B1 KR102080508 B1 KR 102080508B1 KR 1020180088147 A KR1020180088147 A KR 1020180088147A KR 20180088147 A KR20180088147 A KR 20180088147A KR 102080508 B1 KR102080508 B1 KR 10208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rate
body portion
air
vortex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623A (ko
Inventor
김현용
김환욱
김환홍
김효정
Original Assignee
(주)에너지원닥터
김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너지원닥터, 김현용 filed Critical (주)에너지원닥터
Priority to KR102018008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5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유체 디스펜싱 장치는 유체가 도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유체를 토출하며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제1 단면적보다 작은 제2 단면적을 갖는 병목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상기 헤드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병목부에 형성된 공기 도입부; 및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이온화시키고, 상기 몸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상기 공기 도입부를 통해 상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체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유속 증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디스펜싱 장치{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
본 발명은 가정용으로 욕실 및 주방에서 사용 가능하며, 버블이 혼합된 이온수를 고압으로 토출함으로써 절수 효과가 우수하며 컴팩트한 사이즈를 갖는 유체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욕실에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물을 분출시키는 샤워기 시설이 마련되고, 가정의 주방에는 주방기기 또는 식품을 세척하기 위해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물을 분출하는 샤워 헤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외에도 가정용 이외에 산업용으로 세척 또는 세정을 위해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동하는 물에 와류를 형성하면서 유속의 가감속 및 미세전류의 발생으로 물의 이온화를 촉진시켜 절수, 수질정화능력, 보습력 및 세정력이 우수한 등록특허 제10-1849533호,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2018년 4월 11일 등록)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는 제1 이온수 형성부를 통해 와류를 형성할 수 있지만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이온수 형성부의 내부를 관통하는 홀에 의하여 와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유속이 가속된 후 급속히 감속된다.
이와 같이 유속이 가속된 후 급속히 감속됨에 따라 상기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한 공기 유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에 다량의 버블을 발생 시킨 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하여 전원을 이용하여 버블을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원을 이용해 버블을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부에 의해 생산 원가가 증가되고 부품수가 크게 증가되며 기포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의 사이즈가 크게 증가되어 휴대 및 보관이 어려운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등록특허 제10-1849533호,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2018년 4월 11일 등록)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에 이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유체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의 유속을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을 정도로 강제로 증가시킬 수 있는 유체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 없이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부품수 감소, 부피 감소 및 생산 원가를 크게 감소시키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유체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유체 디스펜싱 장치는 유체가 도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유체를 토출하며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제1 단면적보다 작은 제2 단면적을 갖는 병목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상기 헤드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병목부에 형성된 공기 도입부; 및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이온화시키고, 상기 몸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상기 공기 도입부를 통해 상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체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유속 증가 유닛을 포함한다.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상기 공기 도입부는 상기 병목부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 나사를 포함한다.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상기 유속 증가 유닛은 상기 유체를 이온화시키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감싸며 아연, 황동 및 망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몸체부를 포함한다.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상기 금속 몸체부의 표면에는 상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및 상기 금속 몸체부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가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및 상기 금속 몸체부의 외측면 사이에는 유속 부스터가 배치된다.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상기 유속 부스터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및 상기 금속 몸체부의 표면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유속 부스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금속 몸체부의 표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상기 유속 증가 유닛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를 감싸며 아연, 황동 및 망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몸체부 및 상기 금속 몸체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 유속 증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속 증가부에는 상기 유속 증가부의 일측단 및 상기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을 나선 형상으로 관통하여 상기 유체가 통과하면서 이온화를 촉진 및 상기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나선홀이 형성된다.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이온수 형성 유닛 사이에는 상기 유체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에는 제2 필터 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유체를 토출되는 다공판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디스펜싱 장치는 일반적인 수압 및 유속을 갖는 수돗물로서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버블을 형성하기 어려우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유속 증가 유닛, 넥부의 병목부를 이용하여 유속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유체 내에 버블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원을 이용한 버블 생성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피를 크게 감소시키고, 부품수를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생산 원가를 크게 향상시키고 이에 더하여 유체를 이온화하여 이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속 증가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속 증가 유닛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마그네트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체 디스펜싱 장치(500)는 하우징(100), 유속 증가 유닛(200) 및 공기 도입부(30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유체 디스펜싱 장치(500)는 제1 필터 유닛(420) 및 제2 필터 유닛(44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유속 증가 유닛(200), 공기 도입부(300), 제1 필터 유닛(420) 및 제2 필터 유닛(440)을 수납 및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내부에서 유속 증가, 버블 발생, 필터링 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유속 증가 유닛(200), 제1 필터 유닛(420) 및 제2 필터 유닛(440)을 조립, 분해 및 교환할 수 있도록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몸체부(150) 및 헤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50) 및 헤드부(190)는 상호 조립 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작된다.
몸체부(150)는, 예를 들어, 유체 디스펜싱 장치(500)의 손잡이 역할을 하며, 몸체부(150)는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50)의 일측 단부에는 외부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몸체부(150)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는 헤드부(190)와 결합되는 체결부(120)가 형성된다.
외부 유체는 몸체부(15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체결부(120)가 형성된 타측 단부로 배출된다.
헤드부(190)는 몸체부(150)의 체결부(120)에 결합되는 넥부(neck portion,160)를 포함하며, 유체는 넥부(160)를 통해 헤드부(190)로 제공된다.
넥부(160)에는 몸체부(150)의 체결부(120) 부분의 제1 단면적 보다 작은 제2 단면적을 갖는 병목부(170)가 형성된다.
병목부(170)는 몸체부(150)에 삽입된 유속 증가 유닛(200)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증가된 유체의 유속을 2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속 증가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부(190)에 결합되는 몸체부(150)에는 제1 필터 유닛(420) 및 유속 증가 유닛(200)이 순서대로 결합된다.
제1 필터 유닛(420)은 몸체부(150)의 유체 유입구(110)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유속 증가 유닛(200)은 몸체부(150)의 내부에 제1 필터 유닛(42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필터 유닛(420)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면 하우징에는 용해 탱크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필터 유닛(420)은,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 유닛(420)은 유체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유체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필터 유닛(420)은 작은 입자들을 이용하여 물리적/기계적으로 유체의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필터 유닛(420)을 통과한 유체는 유속 증가 유닛(200)으로 제공되는데, 유속 증가 유닛(200)은 제1 필터 유닛(420)을 통과하면서 감소된 유체의 유속을 1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 및 유속 증가 유닛(200)을 통과하는 유체를 이온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유속 증가 유닛(200)은 몸체부(150)의 내부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몸체부(150)의 직경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유속 증가 유닛(200)은 마그네트(210), 와류 형성부(230), 커버부(250) 및 유속 부스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와류 형성부(230)는 하우징(100)의 몸체부(15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와류 형성부(230)는, 예를 들어, 원기둥과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닫.
원기둥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와류 형성부(230)의 일측 단부에는 타측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홈(235)이 형성된다.
와류 형성부(230)의 외측면에는 와류 형성부(230)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를 향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나선홈(237)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나선홈(237)의 폭은 몸체부(15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서 넓거나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5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경우 각 나선홈(237)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몸체부(15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 나선홈(237)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류 형성부(230)는, 예를 들어, 아연, 망간 및 황동과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와류 형성부(230)를 아연, 망간 및 황동과 같은 소재로 제작할 경우 음이온수를 보다 쉽게 생성할 수 있고 부식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와류 형성부(230)가 아연, 망간 및 황동과 같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합성 수지의 하나인 테프론 등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마그네트(210)는 와류 형성부(23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수납홈(235)에 삽입된다. 마그네트(210)로부터는 음이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자기장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마그네트(210)로부터 발생된 자기장 및 와류 형성부(230)의 나선홈(237)을 유체가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미세전류에 기인하여 유입된 유체에서는 이온화가 진행된다.
마그네트(210)는 특수 합금된 네오듐 영구자석으로 사용되며, 마그네트(210)의 모양은 원기둥, 사각 기둥 및 직사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마그네트(210)의 N극 및 S극은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250)는 와류 형성부(230)에 형성된 수납홈(235)에 끼워지고 이로 인해 수납홈(235)에 삽입된 마그네트(2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커버부(25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숫나사부와 대응하는 와류 형성부(230)의 수납홈(235)에는 숫나사부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커버부(250)는 자기장이 통과하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커버부(250)의 소재는 테프론, 아연, 망간 및 황동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류 형성부(230)가 아연, 망간 및 황동 중 어느 하나일 경우 커버부(250)는 테프론으로 형성하고, 와류 형성부(230)가 테프론으로 형성될 경우 커버부(250)는 아연, 망간 및 황동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홈(237)은 유체에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유속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와류 형성부(230)의 직경이 몸체부(150)의 내측면 사이즈보다 작을 경우 몸체부(150)의 내측면 및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누설되고, 누설되는 유체의 양만큼 유체의 유속은 감소된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 및 몸체부(150)의 내측면 사이의 갭으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에는 유속 부스터(270)가 배치된다.
유속 부스터(270)는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 복수개가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유속 부스터(270)가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속 부스터(270)는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 및 몸체부(150)의 내측면 사이로 통과하는 유체를 차단하여 나선홈(237)으로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이 결과 나선홈(237)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유속은 증가된다.
유속 부스터(270)는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에 접촉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속 부스터(270)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소재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유속 부스터(270)는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 및 몸체부(150)의 내측면 사이로 통과하는 유체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유속 부스터(27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와류 형성부(230)의 표면에는 유속 부스터(270)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필터 유닛(420) 및 유속 증가 유닛(200)이 수납된 하우징(100)의 몸체부(150)는 헤드부(190)의 넥부(160)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몸체부(150)의 유속 증가 유닛(200)으로부터 토출된 유체는 유속이 1차적으로 증가된 상태로 헤드부(190)의 넥부(160)로 제공된다.
넥부(160)로 제공된 유속이 증가된 유체는 단면적이 감소된 병목부(170)를 통과하면서 유체의 유속은 2차적으로 크게 증가된다.
2차적으로 증가된 유체의 유속을 이용하여 넥부(160)의 외부의 공기가 넥부(16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병목부(170)에는 공기 도입부(300)가 형성된다.
공기 도입부(300)는, 예를 들어, 병목부(170)에 형성된 관통홀(310) 및 공기량 조절 나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넥부(160)를 빠르게 통과하는 유속에 의하여 넥부(160)의 외부의 공기는 관통홀(310)로 유입된다.
만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넥부(16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이 지정된 유속보다 느릴 경우 넥부(16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오히려 관통홀(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체의 유속을 빠르게 형성하는 유속 증가 유닛(200)은 본 발명에서 매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관통홀(310)을 통해 넥부(16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관통홀(310)에는 공기량 조절 나사(320)가 결합될 수 있다. 관통홀(310)에 결합된 공기량 조절 나사(320)를 이용해서 관통홀(310)로 제공되는 공기량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다.
제2 필터 유닛(440)의 전방에는 버블이 포함된 유체가 통과하는 다공이 배치되고, 다공판(180)은 고정 캡(185)에 의하여 헤드부(19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속 증가 유닛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속 증가 유닛(280)은 마그네트(282), 금속 몸체부(284), 유속 증가부(286) 및 유속 부스터(289)를 포함한다.
마그네트(282)는 자기장을 발생하며, 마그네트(282)는 몸체부(150)로 유입된 유체를 이온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마그네트(282)는 특수합금된 네오듐 영구자석으로 사용되며, 마그네트(282)의 모양은,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 사각 형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마그네트(282)의 N극 및 S극은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형상과 같이 배열될 수 있다.
금속 몸체부(284)는 마그네트(282)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금속 몸체부(284)는 마그네트(282)의 외측면을 감싸는 아연 소재, 황동 소재 및 망간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아연 소재, 황동 소재 또는 망간 소재를 2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유속 증가부(286)는 금속 몸체부(284)를 감싸는 역할을 하며, 유속 증가부(286)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유속 증가부(286)의 소재로서는 테프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속 증가부(286)의 표면에는 오목한 링형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유속 증가부(286)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는 링 형상으로 탄성을 갖는 유속 부스터(289)가 배치될 수 있다.
유속 부스터(289)는 유속 증가부(286)의 표면 및 몸체부(15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누설되어 유속 증가 유닛(280)을 통과한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유속 부스터(289)는 유속 증가부(286)의 표면 및 몸체부(150)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된다.
유속 증가부(286)는 몸체부(150)로 제공된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합성 수지 소재로 제작된 유속 증가부(286)의 일측단 및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 사이에는 나선홀(288)이 형성된다.
나선홀(288)은 유속 증가부(286)의 일측단 및 타측단 사이에서 나선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나선홀(288)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 몸체부(284)를 노출시키고, 이로 인해 나선홀(288)을 통과하는 유체는 금속 몸체부(284)와 접촉될 수 있다.
나선홀(288)은 나선 형태로 유속 증가부(286)를 통과하기 때문에 유체는 나선홀(288)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크게 증가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디스펜싱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도 배관 등으로부터 제공된 수돗물과 같은 유체는 제1 필터 유닛(420)이 배치된 필터 영역을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수돗물 등에 포함된 이물질, 부유물질, 금속 물질 등은 1차적으로 필터링 된다.
제1 필터 유닛(420)에서 필터링된 유체는 유속 증가 유닛(200)을 통과하게 된다.
유체가 와류 발생 영역에 배치된 유속 증가 유닛(200)을 통과하면서 유체의 일부는 유속 증가 유닛(200)에 포함된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에 의하여 이온화되면서 유체의 유속은 유속 증가 유닛(20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증가된다.
유속 증가 유닛(200)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1차적으로 증가된 유체는 병목부(170)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2차적으로 다시 증가되는데, 유속이 2차적으로 증가된 유체의 유속에 의하여 병목부(170)에 형성된 공기 도입부(300)의 관통홀(31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체에 혼합된다.
버블이 혼합된 유체는 헤드부(190)로 유입된 후 제2 필터 유닛(440)에 의하여 다시 필터링된 후 다공판(180)을 통해 외부로 강하게 분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 제2 필터 유닛(440)을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용해 탱크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일반적인 수압 및 유속을 갖는 수돗물로서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버블을 형성하기 어려우나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유속 증가 유닛, 넥부의 병목부를 이용하여 유속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유체 내에 버블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원을 이용한 버블 생성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피를 크게 감소시키고, 부품수를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생산 원가를 크게 향상시키고 이에 더하여 유체를 이온화하여 기능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하우징 200...유속 증가 유닛
300...공기 도입부 420...제1 필터 유닛
440...제2 필터 유닛 500...유체 디스펜싱 장치

Claims (6)

  1. 유체가 도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유체를 토출하며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제1 단면적보다 작은 제2 단면적을 갖는 병목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상기 헤드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병목부에 형성된 공기 도입부; 및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이온화시키고, 상기 몸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와류를 형성하여 상기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상기 공기 도입부를 통해 상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유체에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유속 증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속 증가 유닛은 상기 유체를 이온화시키기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감싸며 아연, 황동 및 망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원통형상을 갖는 와류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 형성부의 표면에는 상기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및 상기 와류 형성부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가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및 상기 와류 형성부의 외측면 사이에는 유속 부스터가 배치되며,
    상기 유속 부스터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및 상기 와류 형성부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제공 된 유체가 상기 나선홈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유체의 유량을 증가 시키는 유체 디스펜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부는 상기 병목부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 나사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싱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부스터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및 상기 와류 형성부의 표면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유속 부스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류 형성부의 표면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 유체 디스펜싱 장치.
  6. 삭제
KR1020180088147A 2018-07-27 2018-07-27 유체 디스펜싱 장치 KR10208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147A KR102080508B1 (ko) 2018-07-27 2018-07-27 유체 디스펜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147A KR102080508B1 (ko) 2018-07-27 2018-07-27 유체 디스펜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623A KR20200012623A (ko) 2020-02-05
KR102080508B1 true KR102080508B1 (ko) 2020-03-02

Family

ID=6951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147A KR102080508B1 (ko) 2018-07-27 2018-07-27 유체 디스펜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5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516A (ja) * 2007-03-20 2008-10-02 Univ Of Tsukuba マイクロバブルシャワー
KR101515330B1 (ko) 2014-07-21 2015-04-24 이근원 무동력 버블 자화수 샤워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45U (ko) * 2009-10-26 2011-05-04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샤워기 헤드
KR101310402B1 (ko) * 2011-04-29 2013-09-17 이주철 버블 발생기
KR101849533B1 (ko) 2016-10-31 2018-06-11 주에너지원닥터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516A (ja) * 2007-03-20 2008-10-02 Univ Of Tsukuba マイクロバブルシャワー
KR101515330B1 (ko) 2014-07-21 2015-04-24 이근원 무동력 버블 자화수 샤워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8850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623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3817B (zh) 微细气泡液生成器
JP3209280U (ja) 家庭用水処理装置
JP4194522B2 (ja) 気液混合気泡発生装置
KR101455612B1 (ko) 다기능 샤워기
JP2009136864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KR102080508B1 (ko) 유체 디스펜싱 장치
JP3213014U (ja) 洗濯機用微細気泡水生成器
JP2007117853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US202000247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hydrogen by electrolysis
KR100731763B1 (ko) 정수기용 여과기의 물활성화장치
KR20190027103A (ko) 워터랩 샤워기
KR101961120B1 (ko) 이온식 수처리장치
KR101310402B1 (ko) 버블 발생기
KR20090004952U (ko) 마이크로 버블기가 장착된 버블 샤워기
KR101849533B1 (ko)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JP2007229664A (ja) ストレーナ装置
CN215917014U (zh) 一种微细气泡水生成器及洗衣机软管、淋浴软管
KR101441605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이 구비된 샤워기 헤드
CN113713973A (zh) 一种防堵塞喷头
JP2011152485A (ja) 帯電微粒子水含有微細気泡発生装置
KR20140018158A (ko) 수처리장치
CN212141636U (zh) 一种采用微气泡反冲洗的净水器
KR20210065209A (ko) 주방용 자화수 샤워 헤드 장치
JP3145914U (ja) 水道蛇口取付け型微細気泡生成器
KR200204198Y1 (ko) 자화맛사지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