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973A -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973A
KR20190042973A KR1020170134683A KR20170134683A KR20190042973A KR 20190042973 A KR20190042973 A KR 20190042973A KR 1020170134683 A KR1020170134683 A KR 1020170134683A KR 20170134683 A KR20170134683 A KR 20170134683A KR 20190042973 A KR20190042973 A KR 2019004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nozzle member
pressing plate
tube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714B1 (ko
Inventor
박혜린
김지효
김주현
손병일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7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에 저장된 화장액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어셈블리, 상기 용기 어셈블리 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압 플레이트,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파우치,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파우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COMPACT TYPE COSMEIC CASE HAVING NOZZLE MEMBER}
본 발명은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외모를 아름답게 하는 것 물품에만 한정되지 않고 인체를 청결하게 하거나 피부와 모발 등에 영양을 공급하여 외모를 아름답게 하며 동시에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의 분류는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 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때를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화장품의 분류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용기를 결정하는 요소는 먼저 화장품이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고상 또는 분말로 이루어져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며 그 다음은 사용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디자인의 화장품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장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바르는 부분이 넓은 피부임에도 불구하고 공기에 노출된 부분에 의하여 변질이 될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들은 케이스 내부에 제품들이 수용되고, 사용자는 우레탄이나 스폰지 재질의 퍼프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흡착시킨 후에 이를 피부에 바르게 된다.
그러나 콤팩트 타입의 경우 화장 원료가 공기와 노출되는 면적이 넓어서 화장액이 산화되거나 변질될 위험이 아주 크다. 또한, 압축 분말 형태의 화장물질은 퍼프에 묻혀서 사용할 수 있으나, 화장액을 콤팩트 타입의 화장 용기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화장액을 배출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파우치에 저장된 화장액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내장된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장액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어셈블리, 상기 용기 어셈블리 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압 플레이트,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파우치,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파우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재에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하단에 모서리가 형성된 블레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에는 상기 블레이드부가 끼움되는 노치(notch)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에는 상기 노즐부재가 삽입되는 배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 홀에는 상기 배출 홀을 가로 막는 차단 막이 설치되며, 상기 노치는 상기 차단 막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또한,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는 상기 노즐부재가 삽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에는 상기 노즐부재가 삽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배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 홀 및 상기 배출 홀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노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는 지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는 상기 지지 홀에 삽입되는 돌출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돌출 관부를 매개로 상기 지지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노즐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관부는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관부의 내부에는 상기 돌출 관부를 밀폐하는 차단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돌출 관부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 관부, 상기 연결 관부의 상단에서 절곡 형성된 토출 관부, 상기 연결 관부의 하단에 연결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에는 굽어져 외측으로 돌출되되 하단에 모서리를 갖는 하단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돌기 사이에는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복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관부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 관부의 둘레방향으로 이어진 실링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솔리드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거치 홀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거치 홀에 삽입되며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진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더 큰 가요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는 서로 마주하는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은 상기 상면과 연결되며 상기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과 상기 하면과 연결되며 상기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만나서 형성하는 측단 모서리는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측단보다 상기 파우치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는 서로 마주하는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주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어셈블리는 상기 파우치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직접 수용하는 내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의 내벽에는 상기 용기 내벽의 높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된 복수의 지지 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 턱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솔리드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거치 홀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거치 홀에 삽입되며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진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에 형성된 내부 홀에 삽입되며 솔리드한 소재로 이루어진 누름판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누름판보다 더 큰 가요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어셈블리에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상면과 맞닿아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파우치에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어셈블리는 상기 파우치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직접 수용하는 내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을 향하여 잡아 당기는 탄성부재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노즐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노즐부재를 이용하여 가압 플레이트와 파우치를 용이하게 고정하고, 화장액을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내에 화장액이 수용된 파우치가 설치되므로 화장액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서 가압 플레이트와 파우치와 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서 가압 플레이트와 파우치와 노즐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가압 플레이트, 파우치, 및 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가압 플레이트, 파우치, 및 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가압 플레이트, 파우치, 및 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스프링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노즐부재와 파우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 어셈블리(110), 가압 플레이트(140), 파우치(pouch)(150), 및 노즐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100)는 직경이 높이 보다 더 큰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퍼프(123)와 액체 형태의 화장품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100)는 수용되는 화장 물질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본 기재에서 콤팩트형 화장품이라 함은 퍼프와 압축된 분말 또는 액체로 이루어진 화장품이 내장된 원반 형태의 화장품을 의미한다.
용기 어셈블리(110)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용기(112)와 외부 용기(112) 내에 삽입된 내부 용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용기(112)는 내부 용기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며, 일반적인 콤팩트 형태의 화장품 용기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용기 어셈블리(110)는 항균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용기 어셈블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 어셈블리의 표면에는 은 나노 항균 물질, 항균성 금속 이온을 방출하는 금속 나노 입자 등의 항균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외부 용기(112)는 내부 용기(114)가 삽입되는 하부 수납부(113)와 하부 수납부(1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외부 커버(115)를 포함한다. 외부 커버(115)는 하부 수납부(113)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 커버(115)의 개폐에 따라 내부 용기(114)가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된다. 또한 외부 용기(112)에는 외부 용기(112)의 개폐를 위한 버튼(117)이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커버(115)의 하면에는 거울(125)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 용기(114)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부(116)와 수용부(116)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수용부(116)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내부 커버(118)를 포함한다.
수용부(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원통 형상의 수용부(116)를 제시하였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부(116)는 사각기둥, 타원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116)와 내부 커버(118)는 힌지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커버(118)와 외부 커버(115) 사이에는 퍼프(123)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공간(124)이 형성된다.
퍼프(123)는 항균 기능을 갖는 퍼프(123)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퍼프(123)는 발포 수지에 항균 물질이 포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포 수지는 폴리 우레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포 수지에는 항균 기능을 갖는 폴리페놀, 세피오라이트, 멘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내부 용기(114)에는 가압 플레이트(140)와 파우치(150)가 수용된다. 수용부(116)의 내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가압 플레이트(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 턱(121)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6)에는 복수의 돌출 턱(121)가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서 가압 플레이트와 파우치와 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서 가압 플레이트와 파우치와 노즐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압 플레이트(1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 플레이트(140)는 내부 용기(114)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압 플레이트(14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 용기의 벽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리브(guide rib)(14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1)는 가압 플레이트(140)의 측단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이어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리브(141)는 가압 플레이트(140)가 내부 용기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가압 플레이트(14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압 플레이트(140)에는 노즐부재(160)가 삽입되는 지지 홀(143)이 형성된다. 지지 홀(143)은 가압 플레이트(14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150)는 가압 플레이트(140)의 하부에 위치하며 파우치(150)의 상면은 가압 플레이트(140)의 하면과 맞닿는다. 파우치(150)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우치(150)의 외장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라미네이팅 필름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우치(15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150)에는 노즐부재(160)가 착탈 결합되는 배출 홀(151)이 형성된다. 배출 홀(151)은 파우치(150)의 상면에 형성되며 파우치(15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홀(143)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 홀(143)과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재(160)는 가압 플레이트(140) 및 파우치(150)에 삽입되는 연결 관부(161)와 연결 관부(161)에서 절곡 형성된 토출 관부(162), 및 연결 관부(1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부(163)를 포함한다.
연결 관부(161)는 가압 플레이트(140) 및 파우치(15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 홀(143) 및 배출 홀(151)에 삽입된다. 토출 관부(162)는 연결 관부(161)에서 가압 플레이트(14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 관부(162)의 선단에는 화장액을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65)가 형성된다.
토출 관부(162)의 내경은 토출구(165)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 관부(162)의 하단은 가압 플레이트(140)의 상면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토출 관부(162)의 하단은 가압 플레이트(140)의 상면에서 이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163)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하단에 모서리가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부(163)의 내주면은 연결 관부(161)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부(163)의 내경은 아래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163)의 하단에는 파우치(150)를 찢을 수 있도록 날카로운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150)에는 배출 홀(151)을 가로막는 차단 막(156)이 설치되고, 차단 막(156)은 파우치(15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단 막(156)에는 차단 막(156)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진 노치(157)가 형성된다. 노치(157)는 차단 막(156)의 측단을 따라 이어져 노치(157)는 고리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노치(157)의 종단면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 사용하고자 할 때, 노즐부재(160)를 지지 홀(143) 및 배출 홀(151)에 삽입하여 파우치(15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노즐부재(160)가 지지 홀(143) 및 배출 홀(151)에 삽입될 때 블레이드부(163)의 하단은 노치(157)와 맞닿으며, 블레이드부(163)가 노치(157)를 가압하여 노치(157)를 파단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부(163)가 파우치(150)를 가압할 때, 파우치(150)의 상면이 아래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압 플레이트(140)의 하면과 파우치(150)의 상면은 접착제,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163)의 하단부는 매우 얇고 날카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노치(157)를 파단시키는 과정에서 블레이드부(163)의 일부는 노즐부재(160)의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휘어진 부분은 파우치(150)의 내부에서 노즐부재(160)가 파우치(15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와 같이 화장액이 파우치(150) 내에 삽입되면 사용자가 가압 플레이트(140)를 하부로 가압할 때, 파우치(150)가 눌려져서 변형되며 파우치(150) 내부의 화장액은 노즐부재(160)를 통해서 가압 플레이트(140)의 상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부재(160)를 이용하여 밀봉된 파우치(150)를 개방할 수 있으며 파우치(150)가 개방되기 전에는 밀봉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화장액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200)는 가압 플레이트(240), 파우치(250), 및 노즐부재(26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 플레이트(2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24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 용기의 벽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리브(241)와 노즐부재(260)가 삽입되는 지지 홀(243)이 형성된다.
파우치(250)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우치(250)의 외장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라미네이팅 필름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우치(250)는 서로 마주하는 상면(252)과 하면(254), 및 상면(252)과 하면(254)을 연결하는 측면(230)을 포함한다. 상면(252)과 하면(254)은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230)은 상면(252)에 연결되며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231)과 하면(254)에 연결되며 하면(254)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232)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231)과 제2 경사면(232)은 서로 연결되어 측단 모서리(235)를 형성한다.
제1 경사면(231)과 제2 경사면(232)은 상면(252)과 하면(254)보다 파우치(25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측단 모서리(235)는 상면(252) 및 하면(254)의 측단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파우치(250)에는 노즐부재(260)가 착탈 결합되는 배출 홀(251)이 형성된다. 배출 홀(251)은 상면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홀(243)과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재(260)는 관으로 이루지며 가압 플레이트(240) 및 파우치(250)에 삽입되는 연결 관부(261)와 연결 관부(261)에서 절곡 형성된 토출 관부(262), 및 연결 관부(2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부(263)를 포함한다.
노즐부재(260)의 외주면에는 지지 홀(243) 및 배출 홀(251)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산은 연결 관부(261) 및 블레이드부(263)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홀(243) 및 배출 홀(251)의 내주면에는 노즐부재(26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부재(260)는 가압 플레이트(240) 및 파우치(250)와 나사 결합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부재(260)는 가압 플레이트(240)와 파우치(25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 플레이트(240)와 파우치(250)를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가압 플레이트, 파우치, 및 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재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는 가압 플레이트(340), 파우치(350), 및 노즐부재(36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 플레이트(3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340)는 내부 용기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바, 이를 위해서 가압 플레이트(34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 용기의 벽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리브(34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341)는 가압 플레이트(340)의 측단에서 돌출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이어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리브(341)는 가압 플레이트(340)가 내부 용기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가압 플레이트(34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압 플레이트(340)에는 노즐부재(360)가 삽입되는 2개의 지지 홀(343)이 형성된다. 2개의 지지 홀(343)은 가압 플레이트(34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350)는 가압 플레이트(340)의 하부에 위치하며 파우치(350)의 상면은 가압 플레이트(340)의 하면과 맞닿는다. 파우치(350)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우치(350)의 외장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라미네이팅 필름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우치(35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35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마주하는 상면(352)과 하면(354), 상면(352)과 하면(354)을 연결하는 주름관(353)을 포함한다. 주름관(353)에는 복수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높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상면(352)에는 노즐부재(360)가 착탈 결합되는 2개의 배출 홀(351)이 형성된다. 배출 홀(351)은 파우치(350)의 상면에 형성되며 파우치(35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350)에는 배출 홀(351)을 가로막는 차단 막(356)이 설치되고, 차단 막(356)은 파우치(35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단 막(356)에는 노치(357)가 형성되는데, 노치(357)는 차단 막(357)의 직경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치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외측으로 벌어진 가지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재(360)는 가압 플레이트(140) 및 파우치(150)에 삽입되는 연결 관부(361)와 연결 관부(361)에서 절곡 형성된 토출 관부(362), 및 연결 관부(3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부(363)를 포함한다.
연결 관부(361)는 가압 플레이트(340) 및 파우치(35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관부(361)에는 실링 및 고정을 위한 오링(367)이 설치될 수 있다. 오링(367)은 연결 관부(361)와 가압 플레이트(340)에 사이에 배치되어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노즐부재가 가압 플레이트(3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토출 관부(362)는 연결 관부(361)에서 가압 플레이트(34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363)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하단에 모서리가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부재(360)의 하부에는 노즐부재(360)의 외측으로 돌출된 턱부(368)가 형성되는데, 턱부(368)는 블레이드부(363)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턱부(368)는 노즐부재(360)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되, 턱부(368) 사이에는 절개된 슬릿(36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턱부(368)는 슬릿(369)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다.
턱부(368)의 상면은 노즐부재(360)의 외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되며, 턱부(368)의 하면은 노즐부재(360)의 외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재(36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슬릿(36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369)은 블레이드부(363)에서 연결 관부(361)까지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363)에 외압이 가해질 때, 블레이드부(363)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슬릿의 간격이 감소할 수 있다.
노즐부재(360)가 지지 홀(343)을 관통하여 배출 홀(351)에 삽입되면 블레이드부(363)가 노치(357)를 파단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드부(363)는 지지 홀(343) 및 배출 홀(351)의 내면에 의하여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노즐부재(360)가 배출 홀(351)을 통과하면 블레이드부(363)가 벌어지며 턱부(368)가 파우치(350)의 내측에 걸려질 수 있다.
본 제3 실시예와 같이 노즐부재(360)에 턱부(368) 및 슬릿(369)이 형성되면 노즐부재(360)가 파우치(350) 및 가압 플레이트(3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350)의 측면에 주름관(353)이 형성되면 가압 플레이트(340)로 파우치(350)를 가압할 때 파우치(350)를 보다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가압 플레이트, 파우치, 및 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400)는 내부 용기(414), 가압 플레이트(440), 파우치(450), 및 노즐부재(46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용기 어셈블리(410)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용기(412)와 외부 용기(412) 내에 삽입된 내부 용기(414)를 포함한다. 외부 용기(412)는 내부 용기(414)가 삽입되는 하부 수납부(413)와 하부 수납부(4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외부 커버(415)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 용기(414)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부(416)와 수용부(416)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수용부(416)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내부 커버(418)를 포함한다.
내부 용기(414)의 내벽에는 용기 내벽의 높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된 복수의 지지 턱(48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턱(480)은 내부 용기(41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 턱(480)이 내부 용기(41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될 수도 있다.
지지 턱(480)은 가압 플레이트(44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면은 내부 용기(414)의 내벽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내부 용기(414)의 내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 플레이트(44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압 플레이트(440)의 측면에는 돌출 형성되며 지지 턱(480)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447)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447)는 가압 플레이트(440)의 측단을 따라 이어져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447)의 상면은 가압 플레이트(440)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며, 걸림 돌기(447)의 하면은 가압 플레이트(440)의 측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450)에서 화장액이 빠져 나간 후, 파우치(45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파우치(450) 내부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본 제4 실시예와 같이 지지 턱(480)과 걸림 돌기(447)가 형성되면 지지 턱(480)이 가압 플레이트(4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파우치(450)가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아주 미세한 지지 턱(480)을 형성하면 1회에 토출되는 화장액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가압 플레이트(440)는 지지부(442), 변형부(445), 및 누름판(446)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42)와 누름판(446)은 솔리드한 소재로 이루어진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42)와 누름판(446)은 폴리 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442)의 중앙에는 변형부(445)가 삽입되는 거치 홀(448)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445)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변형부(445)는 지지부(442) 및 누름판(446)보다 더 큰 가요성을 갖는다. 변형부(445)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폴리머 필름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부(445)의 중앙에는 누름판(446)이 삽입되는 내부 홀(449)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판(446)은 내부 홀(449)에 삽입되며 솔리드한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부(445)와 누름판(446)은 지지부(442)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형부(445)와 누름판(446)의 두께는 지지부(442)의 두께의 0.3배 내지 0.7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442)의 중앙에는 변형부(445)가 삽입되는 거치 홀(44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42)에는 노즐부재(460))가 삽입되는 지지 홀(44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42)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2개의 반원을 형성할 때 지지 홀(443)은 일측 반원 상에 형성되고, 거치 홀(448)은 타측 반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450)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우치(450)의 외장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라미네이팅 필름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우치(45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450)는 화장액을 파우치(450)에서 배출시키며 지지 홀(443)에 삽입되는 돌출 관부(4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 관부(45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들이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재(460)는 관으로 이루지며 돌출 관부(451)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노즐부재(460)는 가압 플레이트(440) 및 파우치(450)에 삽입되는 연결 관부(461)와 연결 관부(461)에서 절곡 형성된 토출 관부(462), 및 연결 관부(4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부(463)를 포함한다. 노즐부재(460)의 외주면에는 돌출 관부(451)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산은 연결 관부(461) 및 블레이드부(463)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재(460)는 돌출 관부(451)를 매개로 지지 홀(443)에 삽입된다.
본 제4 실시예와 같이 돌출 관부(451)가 형성되고 노즐부재(460)와 돌출 관부(451)가 나사 결합되면 파우치(450)와 노즐부재(46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가압 플레이트(440) 전체가 솔리드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면 파우치(450)에 화장액인 만충된 경우, 가압 플레이트(440)를 조금만 눌러도 많은 양의 화장액이 토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제4 실시예에 의하면 누름판(446)을 누를 때 변형부(445)가 아래로 경사지도록 변형되면서 소량의 화장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가압 플레이트, 파우치, 및 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5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500)는 가압 플레이트(540), 파우치(550), 노즐부재(560), 및 스프링부재(510)를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 플레이트(5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540)는 내부 용기(114)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 플레이트(540)는 원판 형상의 지지부(542)와 지지부(542)의 내측에 위치하는 누름부(54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42)는 솔리드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부(542)의 중앙에는 누름부(546)가 삽입되는 거치 홀(547)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546)는 가압 플레이트(540)보다 두께가 더 작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거치 홀(547)에 삽입 설치된다. 누름부(546)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지지부(542)보다 더 큰 가요성을 갖는다.
지지부(542)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누름부(546)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라미네이팅 필름 또는 폴리머 필름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540)에는 노즐부재(560)가 삽입되는 지지 홀(5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홀(543)은 가압 플레이트(54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550)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우치(550)의 외장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라미네이팅 필름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우치(55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550)에는 화장액을 파우치(550)에서 배출시키며 지지 홀(543)에 삽입되는 돌출 관부(551)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재(560)는 관으로 이루지며 돌출 관부(551)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노즐부재(560)는 가압 플레이트(540) 및 파우치(550)에 삽입되는 연결 관부(561)와 연결 관부(561)에서 절곡 형성된 토출 관부(562), 및 연결 관부(5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부(563)를 포함한다.
연결 관부(561)는 가압 플레이트(540) 및 파우치(55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 관부(562)는 연결 관부(561)에서 가압 플레이트(54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563)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하단에 뾰족한 모서리가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부(563)의 내경은 아래와 갈수록 증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블레이드부(563)의 내면은 호형으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563)의 하단에는 파우치(550)를 찢을 수 있도록 날카로운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재(560)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실링 돌기(565)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실링 돌기(565)는 노즐부재(560)의 둘레를 따라 이어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돌기(565)는 돌출 관부(551)의 내면을 가압하여 노즐부재(560)가 돌출 관부(55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노즐부재(560)와 돌출 관부(551) 사이로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용기 어셈블리(110) 내에는 가압 플레이트(540)의 상면과 맞닿아 가압 플레이트(540)를 파우치(550)에 가압하는 스프링부재(510)가 설치된다. 스프링부재(510)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 용기(114)의 벽면에 나사, 리벳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스프링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프링부재(510)는 얇은 금속 판으로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부재(510)는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용기(114)의 벽면에 고정된 고정부(511)와 고정부(511)의 하단에 호형으로 굴곡된 탄성부(512)를 갖는다. 고정부(511)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511)에는 나사 또는 리벳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홀(515)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512)는 아래로 펴지는 복원력을 갖고 이러한 힘을 가압 플레이트(540)에 인가한다.
다만 여기서 스프링부재(510)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은 파우치(550)를 변형시킬 정도의 압력보다는 작은 압력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압 플레이트(540)를 눌러서 화장액을 토출시킨 이후에도 가압 플레이트(540)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므로 가압 플레이트(540)가 상승하지 않고 파우치(550)의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액이 빠져나간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6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600)는 탄성부재(612), 가압 플레이트(640), 파우치(650), 및 노즐부재(66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 플레이트(6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640)는 내부 용기(114)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는바, 이를 위해서 가압 플레이트(64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 용기의 벽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리브(64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641)는 가압 플레이트의 측단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이어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리브(641)는 가압 플레이트(640)가 내부 용기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가압 플레이트(640)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압 플레이트(640)에는 노즐부재(660)가 삽입되는 지지 홀(64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홀(643)의 상부에는 돌출 지지부(645)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돌출 지지부(645)는 가압 플레이트(64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며 지지 홀(643)과 연결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돌출 지지부(645)의 내면은 나사 가공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며, 지지 홀(643)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파우치(650)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우치(650)의 외장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라미네이팅 필름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우치(65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우치(650)에는 노즐부재(660)가 삽입되는 배출 홀(651)이 형성되며 배출 홀(651)은 지지 홀(643)과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재(660)는 가압 플레이트(640) 및 파우치(650)에 삽입되는 연결 관부(661)와 연결 관부(661)에서 절곡 형성된 토출 관부(662), 및 연결 관부(6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부(663)를 포함한다.
연결 관부(661)는 가압 플레이트(640) 및 파우치(65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 관부(662)는 연결 관부에서 가압 플레이트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재(660)의 외면에는 부분적으로 나사산(665)이 형성되는데, 노즐부재(660)에서 지지 홀(643)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돌출 지지부(645)에 삽입되는 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665)은 연결 관부(66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 지지부(645)와 노즐부재(660)에 나사산이 형성되면 노즐부재(660)가 지지 홀(643)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부재(660)를 회전시키면 노즐부재(660)와 돌출 지지부(645)를 용이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내부 용기(114)의 바닥과 가압 플레이트(640) 사이에는 가압 플레이트(640)를 내부 용기(114)의 바닥을 향하여 잡아 당기는 탄성부재(612)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612)는 고무줄,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612)의 상단은 가압 플레이트(640)에 고정되고, 탄성부재(612)의 하단은 내부 용기(114)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내부 용기(114)에는 탄성부재(612)를 감싸는 제1 가이드 관(613)과 제2 가이드 관(615)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관(613)은 내부 용기(114)의 바닥에 고정되며 제2 가이드 관(615)은 가압 플레이트(640)에 고정된다. 제2 가이드 관(615)은 제1 가이드 관(613)에 삽입되며, 제1 가이드 관(6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612)가 수축 또는 팽창할 때, 제2 가이드 관(615)이 제1 가이드 관(613)에 슬라이딩하여 탄성부재(612)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탄성부재(612)는 가압 플레이트(640)를 파우치(650)의 상면에 밀착시키며, 탄성부재(612)에 의하여 화장액이 토출되지 않도록 낮은 가압력을 작용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612)가 설치되면 파우치(650)에서 화장액이 토출된 후에, 파우치(650)가 다시 팽창하지 않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의 노즐부재와 파우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7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700)는 가압 플레이트(740), 파우치(750), 및 노즐부재(76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 플레이트(74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74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내부 용기의 벽면에 밀착되는 가이드 리브(741)와 노즐부재(760) 및 돌출 관부(751)가 삽입되는 지지 홀(743)이 형성된다.
지지 홀(743)은 가압 플레이트(74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지지 홀(743)의 내면은 가압 플레이트(74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 홀(743)의 내경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우치(750)는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도록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우치(750)의 외장재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라미네이팅 필름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우치(750)에는 화장액을 파우치(750)에서 배출시키며 지지 홀(743)에 삽입되는 돌출 관부(75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관부(751)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관부(751)의 내경과 외경은 상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관부(751)의 내주면에는 돌출된 실링 돌기(752)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실링 돌기(752)는 노즐부재(760)의 둘레를 따라 이어진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 돌기(752)는 노즐부재(760)의 외면을 가압하여 노즐부재(760)와 돌출 관부(751) 사이로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노즐부재(760)는 관으로 이루지며 돌출 관부(762)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 관부(761)와 연결 관부(761)의 상단에서 절곡 형성된 토출 관부(762), 및 연결 관부(761)의 아래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부(763)를 포함한다.
연결 관부(761)는 가압 플레이트(740) 및 파우치(75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 관부(762)는 연결 관부(761)에서 절곡되어 눕혀진다.
블레이드부(763)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하단에 뾰족한 모서리가 형성된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블레이드부(763)는 돌출 관부(762)에 삽입된다. 블레이드부(763)의 외경은 아래와 갈수록 감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부(763)의 하단에는 굽어져 노즐부재(760)의 외측으로 확장된 복수의 하단 돌기(765)가 형성될 수 있는데, 하단 돌기(765)의 하단에는 파우치(750)를 찢을 수 있도록 날카로운 모서리가 형성된다. 하단 돌기(765) 사이에는 슬릿(767)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 돌기(765)의 외경은 연결 관부(761)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노즐부재(760)와 파우치(750)의 결합 과정과 실링 돌기(752)의 생성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관부(751)에는 돌출 관부(751)를 가로 막는 차단 막(7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 막(756)에는 노치(757)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막(756)은 파우치(75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노치(757)는 차단 막(756)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차단 막(756)의 측단에서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노즐부재(760)가 돌출 관부(751)에 삽입될 때, 하단 돌기(765)가 노치(757)에 삽입되어 노치(757)를 파단시킨다. 하단 돌기(765)는 연결 관부(761)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고, 노치(757)와 차단 막(756)의 측단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므로 노치(757)가 찢어진 이후에도 차단 막(756)은 부분적으로 돌출 관부(751) 내에 존재한다.
노즐부재(760)가 돌출 관부(751)에 완전히 삽입되면, 하단 돌기(765)가 돌출 관부(751)의 하단과 맞닿아 노즐부재(760)가 돌출 관부(75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또한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 관부(751)의 내면이 노즐부재(760)가 아래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부분적으로 남겨진 차단 막(756)이 실링 돌기(752)가 되어 노즐부재(760)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7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 돌기(765)가 형성되고 돌출 관부(751)의 외면이 노즐부재(760)를 지지하므로 노즐부재(760)가 돌출 관부(751) 내에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막(756)이 파단되면서 실링 돌기(752)가 형성되므로 실링 돌기(752)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400, 500, 600, 700: 콤팩트형 화장품 용기
110, 410: 용기 어셈블리
112, 412: 외부 용기
113, 413: 하부 수납부
114, 414: 내부 용기
115, 415: 외부 커버
116, 416: 수용부
117: 버튼
118, 418: 내부 커버
121: 돌출 턱
123: 퍼프
125: 거울
126: 상부 공간
140, 240, 340, 440, 540, 640, 740: 가압 플레이트
141, 241, 341, 541, 641, 741: 가이드 리브
143, 243, 343, 443, 543, 643, 743: 지지 홀
150, 250, 350, 450, 550, 650, 750: 파우치
151, 251, 351, 451, 551, 651, 751: 배출 홀
156, 356, 756: 차단 막
157, 357, 757: 노치
160, 260, 360, 460, 560, 660, 760: 노즐부재
161, 261, 361, 461, 561, 661, 761: 연결 관부
162, 262, 362, 462, 562, 662, 762: 토출 관부
163, 263, 363, 463, 563, 663, 763: 블레이드부
165: 토출구
252, 352: 상면
254, 354: 하면
230: 측면
231: 제1 경사면
232: 제2 경사면
235: 측단 모서리
353: 주름관
367: 오링
368: 턱부
369, 767: 슬릿
442, 542: 지지부
445: 변형부
446: 누름판
447: 걸림 돌기
448, 547: 거치 홀
449: 내부 홀
451, 762: 돌출 관부
510: 스프링부재
512: 탄성부
515: 고정 홀
511: 고정부
542: 지지부
546: 누름부
565, 752: 실링 돌기
612: 탄성부재
613: 제1 가이드 관
615: 제2 가이드 관
645: 돌출 지지부
665: 나사산
765: 하단 돌기

Claims (19)

  1.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어셈블리;
    상기 용기 어셈블리 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 어셈블리의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압 플레이트;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장액을 수용하며 외부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는 파우치; 및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파우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부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에는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하단에 모서리가 형성된 블레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에는 상기 블레이드부가 끼움되는 노치(notch)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에는 상기 노즐부재가 삽입되는 배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 홀에는 상기 배출 홀을 가로 막는 차단 막이 설치되며, 상기 노치는 상기 차단 막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는 상기 노즐부재가 삽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에는 상기 노즐부재가 삽입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배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 홀 및 상기 배출 홀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노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는 지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는 상기 지지 홀에 삽입되는 돌출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돌출 관부를 매개로 상기 지지 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관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노즐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관부는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관부의 내부에는 상기 돌출 관부를 밀폐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돌출 관부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 관부, 상기 연결 관부의 하단에 연결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에는 굽어져 외측으로 돌출되되 하단에 모서리를 갖는 하단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돌기 사이에는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관부의 내면에는 상기 돌출 관부의 둘레방향으로 이어진 실링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솔리드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거치 홀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거치 홀에 삽입되며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진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더 큰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서로 마주하는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고,
    상기 측면은 상기 상면과 연결되며 상기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과 상기 하면과 연결되며 상기 하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만나서 형성하는 측단 모서리는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측단보다 상기 파우치의 외측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서로 마주하는 상면과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어셈블리는 상기 파우치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직접 수용하는 내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의 내벽에는 상기 용기 내벽의 높이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된 복수의 지지 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측면에는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 턱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솔리드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거치 홀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거치 홀에 삽입되며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진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에 형성된 내부 홀에 삽입되며 솔리드한 소재로 이루어진 누름판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누름판보다 더 큰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어셈블리에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상면과 맞닿아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파우치에 가압하는 스프링부재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어셈블리는 상기 파우치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직접 수용하는 내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에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를 상기 내부 용기의 바닥을 향하여 잡아 당기는 탄성부재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20170134683A 2017-10-17 2017-10-17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200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83A KR102003714B1 (ko) 2017-10-17 2017-10-17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83A KR102003714B1 (ko) 2017-10-17 2017-10-17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73A true KR20190042973A (ko) 2019-04-25
KR102003714B1 KR102003714B1 (ko) 2019-07-25

Family

ID=6628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683A KR102003714B1 (ko) 2017-10-17 2017-10-17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714B1 (ko)

Citation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74Y1 (ko) * 2004-12-29 2005-03-28 고길성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KR200437734Y1 (ko) * 2007-01-26 2007-12-26 애경산업(주) 디스펜서
JP2010265036A (ja) * 2009-05-15 2010-11-25 Kist-Europe Forschungs Gmbh 貯蔵容器およびその貯蔵容器の使用
US20120006853A1 (en) * 2009-03-31 2012-01-12 Toly Korea, Inc. Case for cream cosmetics having airless pump
KR20120048832A (ko) * 2010-11-08 2012-05-16 배명학 화장 유액 수용 용기
JP3186340U (ja) * 2013-07-09 2013-10-03 勝也 遠藤 液体容器用ノズル
KR200473573Y1 (ko) *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521396B1 (ko) * 2014-12-11 2015-05-18 김진우 밀폐식 액상 콤팩트 용기
KR20150055785A (ko) * 2013-11-14 2015-05-22 (주) 이루팩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KR101527758B1 (ko) * 2013-08-06 2015-06-12 (주)연우 에어리스 콤팩트 용기
KR20150087772A (ko) * 2014-01-20 2015-07-30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60080779A (ko) * 2014-12-30 2016-07-08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파우치 리필 팩트
KR20160084721A (ko) *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60002724U (ko) * 2015-01-27 2016-08-05 펌텍코리아 (주)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KR101661581B1 (ko) * 2015-12-17 2016-10-04 (주)연우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CN205696345U (zh) * 2016-05-11 2016-11-23 上海嘉亨日用化学品有限公司 一种旋转出料式化妆品容置瓶
KR200482091Y1 (ko) * 2015-03-31 2016-12-15 펌텍코리아 (주)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수직 가압 콤팩트 용기
KR20170047156A (ko) * 2015-10-22 2017-05-04 주식회사 케이알 화장품 용기
KR20170062560A (ko) * 2015-11-27 2017-06-08 펌텍코리아 (주) 러버패드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745365B1 (ko) * 2015-05-07 2017-06-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65259A (ko) * 2015-12-03 2017-06-13 황재광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74Y1 (ko) * 2004-12-29 2005-03-28 고길성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KR200437734Y1 (ko) * 2007-01-26 2007-12-26 애경산업(주) 디스펜서
US20120006853A1 (en) * 2009-03-31 2012-01-12 Toly Korea, Inc. Case for cream cosmetics having airless pump
JP2010265036A (ja) * 2009-05-15 2010-11-25 Kist-Europe Forschungs Gmbh 貯蔵容器およびその貯蔵容器の使用
KR20120048832A (ko) * 2010-11-08 2012-05-16 배명학 화장 유액 수용 용기
JP3186340U (ja) * 2013-07-09 2013-10-03 勝也 遠藤 液体容器用ノズル
KR101527758B1 (ko) * 2013-08-06 2015-06-12 (주)연우 에어리스 콤팩트 용기
KR200473573Y1 (ko) *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150055785A (ko) * 2013-11-14 2015-05-22 (주) 이루팩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KR20150087772A (ko) * 2014-01-20 2015-07-30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521396B1 (ko) * 2014-12-11 2015-05-18 김진우 밀폐식 액상 콤팩트 용기
KR20160080779A (ko) * 2014-12-30 2016-07-08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파우치 리필 팩트
KR20160084721A (ko) *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60002724U (ko) * 2015-01-27 2016-08-05 펌텍코리아 (주)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KR200482091Y1 (ko) * 2015-03-31 2016-12-15 펌텍코리아 (주)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수직 가압 콤팩트 용기
KR101745365B1 (ko) * 2015-05-07 2017-06-1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47156A (ko) * 2015-10-22 2017-05-04 주식회사 케이알 화장품 용기
KR20170062560A (ko) * 2015-11-27 2017-06-08 펌텍코리아 (주) 러버패드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170065259A (ko) * 2015-12-03 2017-06-13 황재광 콤팩트 용기
KR101661581B1 (ko) * 2015-12-17 2016-10-04 (주)연우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CN205696345U (zh) * 2016-05-11 2016-11-23 上海嘉亨日用化学品有限公司 一种旋转出料式化妆品容置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714B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198B2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JP6456868B2 (ja) シーリング部材を有する、製品、特に化粧品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ためのデバイス
EP1293448B1 (fr) Récipient distributeur d'un produit cosmétique
US8821059B2 (en) Cosmetic container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CN108778955B (zh) 卫生用薄页纸收纳容器
KR101736322B1 (ko) 액상화장품 용기
JP2005324868A (ja) 物質特に化粧品やケア製品の包装装置
JP2002028026A (ja) 収容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EP2301377A2 (en) Liquid container with application function
KR20046028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KR101512442B1 (ko) 연질 브러시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156577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60002144U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102003714B1 (ko)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1237448B1 (ko) 연질 브러시를 갖는 튜브형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942665B1 (ko) 토출구가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20190071291A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KR101942664B1 (ko) 노즐이 형성된 파우치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20160085060A (ko)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06820538B (zh) 气垫粉饼容器
KR102225137B1 (ko) 화장품 리필부를 장착하기 위한 캡
KR101942666B1 (ko) 회전 가능한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200487988Y1 (ko) 우레탄퍼프를 결합한 밀폐구조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877630B1 (ko)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이 결합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