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806A - 미용용액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미용용액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806A
KR20190042806A KR1020170134327A KR20170134327A KR20190042806A KR 20190042806 A KR20190042806 A KR 20190042806A KR 1020170134327 A KR1020170134327 A KR 1020170134327A KR 20170134327 A KR20170134327 A KR 20170134327A KR 20190042806 A KR20190042806 A KR 20190042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receiving
section
cosmetic solution
cov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499B1 (ko
Inventor
이하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우주
Priority to KR102017013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499B1/ko
Priority to CN201820169232.3U priority patent/CN208054025U/zh
Publication of KR2019004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미용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및 본체의 하면을 커버링하여 수용부를 폐쇄하는 커버지;를 포함하고, 수용부는 복수 개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리브가 형성된 상면부, 수용부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며 상면부 다각형의 형상에 따라 외측으로 각이 지도록 돌출된 각부가 연속해서 형성된 측면부 및 하방으로 개방된 면으로써 커버지에 의해 폐쇄된 하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용용액 수용 용기{A CONTAINER OF COSMETIC SOLUTION}
본 발명은 미용용액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제조회사는 새로운 화장품을 출시하였을 때에 새로운 제품에 대해 광고를 목적으로 소량의 일회용 화장품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데, 소비자는 새로운 화장품으로 바꾸고자 할 때 일회용 화장품을 먼저 사용해보고 해당 화장품이 자신의 피부 상태 및 피부색과 잘 맞는 화장품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일회용 화장품은, 작은 크기의 유리용기와 플라스틱용기로서 수회 사용할 수 있는 양의 화장품이 담겨지게 되고, 보편적으로는 합성수지(비닐)를 소재로 한 파우치 형태의 것이 있다.
한편, 종래의 일회용 화장품 파우치는 액상의 로션 및 에센스 등의 화장품이 공기 중에 노출될 시 부패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한 밀봉 구조를 갖고 있으며, 해당 화장품을 사용할 시에는 비닐재로 된 파우치의 일측단을 절취 개봉한 상태에서 그 내용물을 꺼내어 사용해야 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가위 등의 절단수단을 구비하여 파우치의 일측단을 절취하였으며, 일측단에 절취선이 형성된 파우치의 경우에는 파우치의 상, 하단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이들을 각기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겨 해당 파우치의 선단을 절취 개봉하여 화장품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방법과 같은 절취 사용법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상당한 번거로웠고, 가위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절단 부위를 잘못 가늠하여 그 내부의 내용물을 자르거나, 절단된 부위에 채워진 화장품 등이 과도하게 토출되어 버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753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용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수용부 내에 있는 미용용액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수용부 내에 있는 미용용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미용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및 본체의 하면을 커버링하여 수용부를 폐쇄하는 커버지;를 포함하고, 수용부는 복수 개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리브가 형성된 상면부, 수용부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며 상면부 다각형의 형상에 따라 외측으로 각이 지도록 돌출된 각부가 연속해서 형성된 측면부 및 하방으로 개방된 면으로써 커버지에 의해 폐쇄된 하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 상면부의 다각형은 육각형이며, 상면부는 복수의 다각형이 서로 맞닿아 공유하는 변에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상면부에 전체적으로 허니콤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는 상면부의 중앙에서 본체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가장 높을 수 있다.
수용부는 상면부의 중앙에서 측면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의 테두리 중 일부 구간으로써 커버지와 접착되며 수용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작용될 경우 접착이 분리되는 제1접착부; 수용부의 테두리 중 제1접착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으로써 커버지와 접착되며 제1접착부보다 접착력이 강한 제2접착부; 제1접착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본체와 커버지 사이가 접착되지 않은 일정 면적의 비접착구간; 수용부의 테두리와 비접착구간의 외측으로써 본체와 커버지 사이를 접착하는 제3접착구간; 비접착구간에서 커버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착부는 본체와 커버지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접착부는 엠보 결합을 통해 본체와 커버지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접착부는 접착제를 통해 본체와 커버지가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비접착구간은 내측단, 외측단 및 양측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접착부는 비접착구간의 양측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단은 제1접착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외측단은 내측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측단은 제2접착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라인은 비접착구간에서 제1접착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비접착구간의 외측단을 향해 볼록한 곡선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제1접착부가 분리되어 수용부 내에 있는 미용용액이 토출될 시, 절개라인이 형성된 커버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공간에 토출홀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에 따르면, 수용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수용부 내에 있는 미용용액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수용부 내에 있는 미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부의 상면부는 복수 개의 다각형이 서로 밀착되어 이루어지되, 복수 개의 다각형이 서로 맞닿아 공유하는 변에 리브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허니콤 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용부의 지지력이 보다 강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부내의 미용용액을 토출시키기 위해 수용부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찌그러졌던 수용부가 다시 복원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반복적으로 수용부에 압력을 가하여 수용부 내의 미용용액을 토출시켜 수용부 내의 미용용액의 잔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용부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중앙에서 측면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아치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용부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부의 복원력을 향상시켜 수용부를 반복적으로 펌핑하여, 보다 많은 양의 미용용액이 토출되도록 해서 수용부 내의 미용용액의 잔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에서, 제1접착부가 분리되어 수용부에서 미용용액이 토출될 시 절개라인이 형성된 커버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생성된 토출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가 마스크팩 파우치에 삽입되어 접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의 실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는 스킨, 로션, 에센스 및 마스크팩용 액체 등을 수용하는 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가 실시예에 따라 마스크팩용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로 사용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미용용액 수용 용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는, 본체(100), 수용부(110) 및 커버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제1접착부(300), 제2접착부(400), 비접착구간(500), 절개라인(510) 및 제3접착구간(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의 각각의 구성의 특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0)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방으로 돌출되어 미용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100)는 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네 꼭지점 부분은 곡선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체(100)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본 발명의 본체(100)의 형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용부(110)는 본체(100)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어 본체(100)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해당 수용공간에는 미용용액이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미용용액은 벌꿀 성분이 포함된 액체일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는 복수 개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리브가 형성된상면부, 수용부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며 상면부 다각형의 형상에 따라 외측으로 각이 지도록 돌출된 각부가 연속해서 형성된 측면부 및 하방으로 개방된 면으로써 커버지에 의해 폐쇄된 하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10)의 상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다각형이 서로 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다각형은 실시예에 따라 육각형일 수 있다. 또한, 상면부는 복수의 다각형이 서로 맞닿아 공유하는 변에 리브가 형성되어 상면부에 전체적으로 허니콤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110)의 상면부는 복수 개의 다각형이 서로 밀착되어 이루어지되, 복수의 다각형이 서로 맞닿아 공유하는 변에 리브가 형성되어 상면부에 허니콤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수용부(110)의 지지력이 보다 강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부(110)내의 미용용액을 토출시키기 위해 수용부(11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찌그러졌던 수용부(110)가 다시 복원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반복적으로 수용부(110)에 압력을 가하여 수용부(110) 내의 미용용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수용부(110)의 상면부가 허니콤 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용부(110)의 지지력 및 복원력이 향상되어 수용부(110)를 반복적으로 펌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부(110) 내의 미용용액의 잔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며 상면부 다각형의 형상에 따라 각이 지도록 돌출된 각부가 연속해서 형성된 측면부가 상면부와 하면부 사이에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압력이 가해져 찌그러졌던 수용부(110)가 보다 쉽게 복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용부(110)를 펌핑할 수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수용부(110) 내의 미용용액의 잔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용부(110)는 상면부의 중앙이 본체(100)에서 가장 많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에서 돌출되는 높이는 본체(100)의 상면부의 중앙에서 가장 높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수용부(110)는 상면부의 중앙에서 측면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수용부(110)는 중앙이 상방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중앙에서 측면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아치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용부(1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부(110)의 복원력을 향상시켜 수용부(110)를 반복적으로 펌핑하여, 보다 많은 양의 미용용액이 토출되도록 해서 수용부(110) 내의 미용용액의 잔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1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110)는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은 일 실시예일 뿐, 탄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이 본 발명의 수용부(110)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수용부(110)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용부(110)의 복원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용부(110)를 반복적으로 펌핑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많은 양의 미용용액이 토출되도록 하여 수용부(110) 내의 미용용액의 잔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커버지(200)는 본체(100)의 하면을 커버링하여 수용부(110)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지(200)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접착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접착부(300)는 수용부(110)의 테두리 중 일부 구간으로써 커버지(200)와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접착부(300)는 본체(100)와 커버지(20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00)의 수용부(110)의 테두리 중 일부 구간이 커버지(200)와 물리적으로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접착부(300)는 추후 설명할 제2접착부(400)와 달리 접착제 등을 하여 본체(100)와 커버지(200)를 완전 접착시킨 상태가 아니라, 엠보 결합을 통해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물리적으로 걸려있는 상태이다. 이처럼, 제1접착부(300)는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물리적으로 걸려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수용부(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해당 압력에 의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본체(100) 커버지(200)의 접착이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제1접착부(300)는 수용부(110) 내에 있는 미용용액이 수용부(110) 밖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접착부(300)의 면적에 따라 제1접착부(300)를 통한 접착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착부(300)의 면적이 너무 작은 경우,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엠보싱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면적이 작게되어 제1접착부(300)의 접착력이 작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용부(110)에 작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1접착부(300)를 통한 접착이 보다 쉽게 분리되어 수용부(110) 내의 미용용액이 토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1접착부(300)의 면적은 일정 크기 이상의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접착부(400)는 수용부(110)의 테두리 중 제1접착부(300)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으로써 커버지(200)와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접착부(400)는 제1접착부(300) 보다 접착력이 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접착부(400)는 접착제를 통해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2접착부(400)는 접착제 등을 통해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완전 접착 상태로, 수용부(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2접착부(400)를 통해 수용부(110) 내에 있는 미용용액이 토출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시, 제2접착부(400)로는 미용용액이 토출되지 못하게 하고, 제1접착부(300) 측으로만 화장수가 토출되도록하여, 미용용액이 보다 좁은 면적으로만 토출되도록함으로써, 미용용액이 보다 빠르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용용액의 토출속도가 빨라질수록 마스크팩 파우치의 하단부까지 미용용액이 골고루 침투될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용용액의 토출속도를 최대한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미용용액이 마스크팩 시트 하단부까지 고르게 침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접착부(400)는 후술한 비접착구간(500)의 양측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비접착구간(500)은 제1접착부(300)의 외측에 헝성되며 내측단(530), 외측단(540) 및 양측단(5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접착구간(500)은 본체(100)와 커버지(200) 사이가 접착되지 않은 상태이며, 일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내측단(530)은 제1접착부(300)의 외측에 형성되고, 외측단(540)은 내측단(53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측단(550)은 제2접착부(400)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비접착구간(500)은 제1접착부(300), 제2접착부(400) 및 후술할 제3접착구간(600)에 둘러싸여 형성된 구간으로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접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수용부(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 제1접착부(300)의 접착이 분리되어 수용부(110)내의 미용용액이 토출되는 경우, 토출된 미용용액은 제2접착부(400) 및 제3접착부(600)를 통해 토출되지 못하고, 비접착구간(500)의 일정 면적에 걸쳐 고이게 된다.
절개라인(510)은 비접착구간(500)에서 커버지(200)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개라인(510)은 제1접착부(300)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비접착구간(500)의 외측단(540)을 향해 볼록한 곡선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제1접착부(300)가 분리되어 수용부(110) 내에 있는 미용용액이 토출될 시, 미용용액의 압력에 의해 절개라인(510)이 형성된 커버지(200)가 하방으로 절곡되게 되는데, 절개라인(510)이 형성된 커버지가 하방으로 절곡됨에 따라 절곡된 공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출홀(5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절개라인(510)이 외측단(540)을 향해 볼록한 곡선으로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용부(110) 내의 미용용액이 토출될 시 절개라인(510)이 형성된 커버지가 보다 용이하게 절곡되어 하방으로 휘어져 토출홀(520)을 형성하게 되고, 토출홀(520)을 통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미용용액이 잘 토출될 수 있다. 만약, 절개라인(510)이 일자로 형성된 경우, 절개라인(510)이 형성된 커버지의 틈이 잘 벌어지지 않게되어 수용부(110)에서 토출된 미용용액이 마스크팩 파우치로 잘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절개라인(510)을 외측단(540)을 향해 볼록한 곡선으로 절개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제3접착구간(600)은 수용부(110)의 테두리와 비접착구간(500)의 외측으로써 본체(100)와 커버지(200) 사이가 접착된 상태이다. 즉, 제3접착구간(600)은 제2접착부(400)와 비접착구간(500)의 외측단(540) 외측에 형성된 일정 면적을 갖는 구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3접착구간(600)은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체(100)와 커버지(200)가 접착제 등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의 실 사용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가 마스크팩 파우치에 삽입되어 접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의 실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0)를 제외한 본체(100)는 마스크팩 파우치에 삽입되며, 본체(100) 상면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마스크팩 파우치 내부의 상측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와 마스크팩 파우치는 접착제, 열융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수용부(11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접착부(300)를 통한 본체(100)와 커버지(200)의 접착이 분리되어 수용부(110) 내에 있던 미용용액이 토출되며, 토출된 미용용액의 압력에 의해 절개라인(510)이 형성된 커버지(200)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공간에 토출홀(520)이 형성되고, 해당 토출홀(520)을 통해 미용용액이 토출되어 마스크팩 시트와 혼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미용용액 수용 용기에 따르면, 마스크팩 시트와 함께 수용되던 미용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분리하여 보관하였다가, 마스크팩을 사용할 시, 사용자가 간편한 방법으로 미용용액을 마스크 시트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신선하고 위생적인 마스크팩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부개선 효과도 증대시킬 수 있다.
100: 본체 110: 수용부
200: 커버지 300: 제1접착부
400: 제2접착부 500: 비접착구간
510: 절개라인 520: 토출홀
530: 내측단 540: 외측단
550: 양측단 600: 제3접착구간
700: 마스크팩 파우치 800: 마스크팩 시트

Claims (14)

  1. 플레이트 형상이며, 상방으로 돌출되어 미용용액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 및
    본체의 하면을 커버링하여 수용부를 폐쇄하는 커버지;를 포함하고,
    수용부는 복수 개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허니콤 리브가 형성된 상면부, 수용부의 측면 테두리를 이루며 상면부 다각형의 형상에 따라 외측으로 각이 지도록 돌출된 각부가 연속해서 형성된 측면부 및 하방으로 개방된 면으로써 커버지에 의해 폐쇄된 하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용부 상면부의 다각형은 육각형이며, 상면부는 복수의 다각형이 서로 맞닿아 공유하는 변에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상면부에 전체적으로 허니콤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용부는 상면부의 중앙에서 본체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가장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수용부는 상면부의 중앙에서 측면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용부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용부의 테두리 중 일부 구간으로써 커버지와 접착되며 수용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작용될 경우 접착이 분리되는 제1접착부;
    수용부의 테두리 중 제1접착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으로써 커버지와 접착되며 제1접착부보다 접착력이 강한 제2접착부;
    제1접착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본체와 커버지 사이가 접착되지 않은 일정 면적의 비접착구간;
    수용부의 테두리와 비접착구간의 외측으로써 본체와 커버지 사이를 접착하는 제3접착구간;
    비접착구간에서 커버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접착부는 본체와 커버지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접착부는 엠보 결합을 통해 본체와 커버지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접착부는 접착제를 통해 본체와 커버지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비접착구간은 내측단, 외측단 및 양측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2접착부는 비접착구간의 양측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내측단은 제1접착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외측단은 내측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측단은 제2접착부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절개라인은 비접착구간에서 제1접착부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비접착구간의 외측단을 향해 볼록한 곡선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14. 청구항 6에서,
    수용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제1접착부가 분리되어 수용부 내에 있는 미용용액이 토출될 시, 절개라인이 형성된 커버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공간에 토출홀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용액 수용 용기.
KR1020170134327A 2017-10-17 2017-10-17 미용용액 수용 용기 KR102048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27A KR102048499B1 (ko) 2017-10-17 2017-10-17 미용용액 수용 용기
CN201820169232.3U CN208054025U (zh) 2017-10-17 2018-01-31 美容液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27A KR102048499B1 (ko) 2017-10-17 2017-10-17 미용용액 수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806A true KR20190042806A (ko) 2019-04-25
KR102048499B1 KR102048499B1 (ko) 2019-11-26

Family

ID=6399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327A KR102048499B1 (ko) 2017-10-17 2017-10-17 미용용액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8499B1 (ko)
CN (1) CN208054025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673A (ja) * 1993-05-28 1996-11-12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子供に安全な2室式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JP2004244419A (ja) * 2003-01-31 2004-09-02 Pbl Technology Ltd 携帯用包装を有する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200437531Y1 (ko) 2007-03-30 2007-12-07 (주)아모레퍼시픽 절취수단을 갖는 화장품 파우치 보관함
KR20140039806A (ko) * 2012-09-25 2014-04-02 주식회사 블리스팩 내용물의 전이유도수단을 갖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
KR101731926B1 (ko) * 2016-11-29 2017-05-02 (주)엔코스 이종 혼합 파우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673A (ja) * 1993-05-28 1996-11-12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子供に安全な2室式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JP2004244419A (ja) * 2003-01-31 2004-09-02 Pbl Technology Ltd 携帯用包装を有する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200437531Y1 (ko) 2007-03-30 2007-12-07 (주)아모레퍼시픽 절취수단을 갖는 화장품 파우치 보관함
KR20140039806A (ko) * 2012-09-25 2014-04-02 주식회사 블리스팩 내용물의 전이유도수단을 갖는 이종 내용물 포장체
KR101731926B1 (ko) * 2016-11-29 2017-05-02 (주)엔코스 이종 혼합 파우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499B1 (ko) 2019-11-26
CN208054025U (zh)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760B1 (ko) 분배 용기
US5380110A (en) Packet containing treatment liquid with applicator and method
RU2459753C2 (ru) Выда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US20200187902A1 (en) Gel application system
TWI651070B (zh) 用於施配可流動材料之施配器
CN104159470A (zh) 封装液体的半刚性凹形施加器
US9878339B2 (en) Applicator head and dispenser for a preferably pasty medium
KR101492445B1 (ko) 물티슈 내용물유출방지라벨
JPH01167084A (ja) 包装体
US20080112750A1 (en) Pack
EP3429940A1 (en) Container seal with dual tabs
KR20190042806A (ko) 미용용액 수용 용기
KR102054473B1 (ko) 마스크팩
KR20190047149A (ko) 미용용액 수용 용기
US9463907B2 (en) Cream dispenser
KR20190047150A (ko) 미용용액 수용 용기
KR200471807Y1 (ko) 절취선이 있는 스티커부착 파우더 용기
CN101596150B (zh) 皮肤外用剂及盛装该皮肤外用剂的一次性容器
KR102560766B1 (ko) 믹싱 제품
KR20190033779A (ko) 화장수 저장 용기
KR101856941B1 (ko)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US8991650B2 (en) Stopper member and a dispenser including such a member
CN218705426U (zh) 一种单腔化妆品易撕包
JP2004083120A (ja) 分配包装体
KR10225297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블리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