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941B1 -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941B1
KR101856941B1 KR1020160130638A KR20160130638A KR101856941B1 KR 101856941 B1 KR101856941 B1 KR 101856941B1 KR 1020160130638 A KR1020160130638 A KR 1020160130638A KR 20160130638 A KR20160130638 A KR 20160130638A KR 101856941 B1 KR101856941 B1 KR 10185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vinyl pack
protective
pack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391A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호수의나라수오미
(주) 우수컨버팅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수의나라수오미, (주) 우수컨버팅, 이동훈 filed Critical (주)호수의나라수오미
Priority to KR102016013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2583/082Details relating to container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와 관한 것으로서, 상기 물티슈 비닐팩(1)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T)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직방체의 형태로 상기 물티슈 비닐팩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면에 원형의 개구부(22)가 천공되어 있는 보호용기(20); 및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개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30,4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용기는 합성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의 양에 따라 높이가 신축된다.

Description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CASE FOR WET-TISSUE REFILL PACK}
본 발명은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티슈 비닐팩이 수용되어 물티슈 비닐팩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의 양에 따라 높이가 신축됨으로써 마지막까지 물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아기들의 기저귀 교환 시 주변 피부 또는 그 외에 얼굴, 손, 발 등을 닦아주거나 여성들의 미용이나 세정뿐만 아니라 각종 생활용품 및 사무용품의 소독 및 청소 등 다양한 곳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물티슈는 습윤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비닐팩에 일부분이 겹쳐진 상태로 저장된다. 이때, 비닐팩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외부의 충격에 쉽게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강한 내구성을 갖는 기능성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기능성 합성수지는 일반 합성수지와 달리 단가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능성 합성수지로 제작된 비닐팩은 내부에 저장된 물티슈가 다 사용되면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 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닐팩의 경우 양측단부의 모서리가 날카롭게 절단되어 있어 사용자가 모서리에 찔리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비닐팩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닐팩이 수용되는 케이스가 국내실용신안공보 제20-045170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물티슈가 저장된 비닐팩을 보관할 수 있으며,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의 양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탄성수단이 비닐팩을 자동으로 상승시켜 물티슈를 마지막까지 원활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에 비닐팩을 수납한 상태로 사용할 경우, 비닐팩의 모서리에 의해 찔리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줄어 들며, 비닐팩을 얇은 재질로 제작하더라고 케이스가 비닐팩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비닐팩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많이 들며, 탄성수단 등이 부식되거나 고장 났을 경우에는 교체 및 수리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로부터 비닐팩이 좌우 유동이 일어날 경우 비닐팩의 인출구와 케이스의 인출구의 위치가 서로 상이해져 물티슈를 원활하게 인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51707호, “물티슈 케이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티슈 비닐팩이 반복적으로 수용되어 물티슈 비닐팩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의 양에 따라 높이가 신축됨으로써 마지막까지 물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티슈 비닐팩이 보호케이스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물티슈 비닐팩을 지지해줌으로써 보호케이스로부터 물티슈 비닐팩 내부에 저장된 물티슈를 원활히 인출할 수 있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는, 상기 물티슈 비닐팩(1)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T)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직방체의 형태로 상기 물티슈 비닐팩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면에 원형의 개구부(22)가 천공되어 있는 보호용기(20); 및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개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30,4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용기는 합성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의 양에 따라 높이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호용기의 저면에는 지지턱(24)이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턱은 상기 물티슈 비닐팩의 상면을 눌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턱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보호용기로부터 상기 물티슈 비닐팩이 임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용기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며, 상면에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열십(十)자 형태의 절개부(3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40)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일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호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내측 중앙에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제2 인출구(43)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42); 및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선회하며 상기 본체의 제2 인출구를 개폐하는 회동체(45);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용기에 상기 물티슈 비닐팩이 수용될 경우, 상기 본체의 타단부는 상기 물티슈 비닐팩의 제2 인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인출구로부터 한 장의 물티슈를 인출시 이어서 인출되는 다음 물티슈는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맞닿아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일부분만 인출된 상태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인출구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는 물티슈 비닐팩이 수용되는 보호용기가 합성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의 양에 따라 높이가 신축됨으로써 물티슈를 마지막까지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용기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지지턱이 물티슈 비닐팩의 상면을 눌러 지지해줌으로써 물티슈 비닐팩의 신축에 따라 보호용기의 신축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티슈 비닐팩과 맞닿는 지지턱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보호용기로부터 물티슈 비닐팩이 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생기지 않도록 임시 고정해줌으로써 물티슈 비닐팩의 인출구와 보호용기의 개구부가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물티슈의 인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및 보호케이스에 수용되는 물티슈 비닐팩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에 물티슈 비닐팩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덮개의 작용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및 보호케이스에 수용되는 물티슈 비닐팩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에 물티슈 비닐팩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덮개의 작용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10)는, 직방체 형태로 물티슈 비닐팩(1)이 수용되는 보호용기(20) 및 보호용기(20)의 상측에 연결되어 물티슈가 인출되는 덮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호용기(20)는 직방체로 구비된다. 보호용기(20)의 모서리는 라운드가 형성되어 만곡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보호용기(20)는 반드시 각이 형성되어 있는 직방체가 아닌 모서리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직방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보호용기(2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보호용기(20)의 내부에는 물티슈(T)가 저장되어 있는 물티슈 비닐팩(1)이 수용된다. 물티슈 비닐팩(1)은 보호용기(20) 하단의 비닐팩 출입구(26)를 통하여 보호용기(20)로부터 출입하게 된다. 비닐팩 출입구(26)는 보호용기(20)의 하단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비닐팩 출입구(26)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보호용기(20)의 하단이 전부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물티슈 비닐팩(1)이 출입할 수 있도록 보호용기(20)의 저면 일부분이 개방되거나 절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보호용기(20)의 상면 중앙부에는 원형으로 천공된 개구부(22)가 마련되며, 개구부(22)는 타원형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22)의 둘레를 따라 보호용기(20)의 저면에는 지지턱(24)이 돌출된다. 지지턱(24)의 단면은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보호용기(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턱(24)은 보호용기(20)의 내부에 물티슈 비닐팩(1)이 수용될 경우 물티슈 비닐팩(1)의 상면을 눌러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물티슈 비닐팩(1)과 맞닿는 지지턱(24)에는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점착제는 지지턱(24)과 물티슈 비닐팩(1)을 임시 고정하는 물질로서, 일정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만 분리되도록 지지턱(24)과 물티슈 비닐팩(20) 사이를 결속하는 특성이 있는 물질이라면 무엇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점착제는 지지턱(24)과 물티슈 비닐팩(1)의 고정 및 해제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반영구적인 점착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지지턱(24)과 점착제로 인하여 보호용기(20)에 물티슈 비닐팩(1)이 임시 고정되므로, 보호용기(20)로부터 물티슈 비닐팩(1)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보호용기(20)의 개구부(22)와 물티슈 비닐팩(1)의 인출구(2)가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보호용기(20)는 물티슈 비닐팩(1)에 적층 되어 저장되어 있는 물티슈(T)의 양에 따라 물티슈 비닐팩(1)과 함께 높이가 신축되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된다. 이를 위하여 보호용기(20)는 합성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물티슈 비닐팩(1)의 부피와 함께 신축되는 보호용기(20)의 측면은 주름 형태를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보호용기(20)의 상측에는 덮개(30)가 구비된다. 덮개(30)는 보호용기(20)의 개구부(22)와 연통 되며 물티슈 비닐팩(1)의 물티슈(T)가 인출되는 절개부(32)를 제공한다.
덮개(30)는 개구부(22)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막혀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22)가 타원형으로 천공되어 있으므로 개구부(22)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덮개(30)도 타원통형으로 구비된다. 덮개(3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물티슈(T)를 잡아 인출할 수 있는 절개부(32)가 마련된다. 절개부(32)는 덮개(30)의 상면에서 열십(十)자 형태로 절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0)의 절개부(32)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면 하방으로 휘어지게 되며, 절개부(32)가 휘어져 생긴 공간으로 물티슈(T)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절개부(32)는 사용자의 손이 빠지고 나면 다시 제자리로 복귀해서 보호케이스(10)의 내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덮개(30)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고무와 같은 합성수지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덮개(30)와 보호용기(20)는 본 실시예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보호용기(20)와 덮개(30)가 각각 제작되어 서로의 단부가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10)에 물티슈(T)가 저장되어 있는 물티슈 비닐팩(1)을 수용시켜준다. 물티슈 비닐팩(1)이 보호용기(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덮개(30)의 절개부(32)에 손을 삽입시켜 물티슈 비닐팩(1)의 물티슈(T)를 잡아 당겨줌으로써 보호케이스(10)로부터 물티슈(T)를 인출한다. 이때, 인출하고자 하는 물티슈와 중첩되어 있는 다음 물티슈는 보호용기(20)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덮개(3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절개부(32)가 구비되어 있는 덮개(30)는 탄성력이 있는 합성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물티슈(T)의 인출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출입된 상태에서는 절개부(32)가 하방으로 휘어져 보호케이스(10)의 내부를 개방시켜 물티슈(T)가 인출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물티슈(T)의 인출이 완료되면 덮개(30)의 내부로부터 손이 빠지면서 하방으로 휘어져 있던 절개부(32)도 제자리로 원상복귀 되어 보호케이스(10)의 내부를 견고히 폐쇄하게 된다.
또한, 물티슈(T)의 계속된 사용으로 물티슈 비닐팩(1)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면, 보호용기(20)도 물티슈 비닐팩(1)과 같이 높이가 축소되어 물티슈(T)의 지속적인 인출이 용이하게 도와준다. 이때, 물티슈 비닐팩(1)의 상면에 보호용기(20)의 지지턱(24)이 맞닿아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써 물티슈 비닐팩(1)의 높이 변화에 따라 보호용기(20)도 원활히 높이가 신축될 수 있게 가이드 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와 중복되는 보호용기에 대한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10`)의 덮개(40)는 본체(42) 및 회동체(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42)의 외측 일단부는 개구부(22) 둘레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며 내측 타단부는 개구부(22)의 안쪽을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보호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본체(42)의 내측 중앙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제2 인출구(4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보호용기(20)의 내측으로 하방 연장되어 있는 제2 인출구(43)의 단부는 보호용기(20)에 물티슈 비닐팩(1)이 수용되었을 경우, 물티슈 비닐팩(1)의 인출구(2)에 삽입된다. 덧붙여, 본체(42)의 타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 지름이 작아지도록 하향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제2 인출구(43)는 전체적인 모양이 하방으로 갈수록 내측 지름이 작아지는 원통형의 호퍼(hopper) 형상으로 구비된다.
회동체(45)는 본체(42)의 일측으로부터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체(42)로부터 회동체(45)의 선회에 따라 본체(45)의 제2 인출구(43)가 개폐된다. 본체(42)와 회동체(45)에는 제2 인출구(43)를 외부로부터 더욱 견고히 밀폐시키기 위한 하부 기밀벽(41) 및 상부 기밀벽(46)이 각각 돌출되며, 덮개(40)가 닫혔을 경우, 하부 기밀벽(41)은 상부 기밀벽(46) 사이에 삽입된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보호케이스(20)에 물티슈 비닐팩(1)을 수용시켜준다. 다음으로, 덮개(40)의 회동체(45)를 본체(42)로부터 회동시켜 본체(42)의 제2 인출구(43)를 개방시켜 준 후, 제2 인출구(43)를 통하여 물티슈 비닐팩(1)의 물티슈(T)를 인출시켜준다.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2 인출구(43)를 통하여 물티슈(T)를 인출할 경우, 인출하고자 하는 물티슈를 따라 끌려 나오는 다음 물티슈는 제2 인출구(43)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42)의 단부와 맞닿게 된다. 본체(42)의 단부에 접촉된 물티슈는 본체(42)와의 접촉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마찰력은 물티슈 사이의 밀착력보다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인출하고자 하는 물티슈를 따라 끌려 올라가는 다음 물티슈는 본체(42)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2 인출구(43)로부터 일부만 인출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또한, 제2 인출구(43)를 통하여 일부가 돌출된 물티슈는 덮개(40)의 회동체(45)를 선회시킬 시, 돌출되어 있는 물티슈의 일부분이 회동체(45)에 닿지 않도록 제2 인출구(43)의 안쪽으로 접어 넣게 된다. 이때, 제2 인출구(43)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형태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게 됨으로써 물티슈(T)의 일부를 용이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다시 물티슈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어 있는 호퍼 형상의 제2 인출구(43)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물티슈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집어 빼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물티슈 비닐팩 2:인출구
10,10`:보호케이스 20:보호용기
22:개구부 24:지지턱
30,40:덮개 32:절개부
42:본체 43:제2 인출구
45:회동체

Claims (7)

  1. 물티슈 비닐팩(1)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T)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직방체의 형태로 상기 물티슈 비닐팩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면에는 상기 물티슈 비닐팩의 인출구보다 크기가 같거나 큰 원형의 개구부(22)가 천공되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저면에는 상기 비닐팩의 상면을 눌러 지지하는 지지턱(24)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보호용기(20); 및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모양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열십(十)자 형태의 절개부(32)가 구비되며, 상기 절개부는 사용자의 손이 내부로 삽입되면 하방으로 휘어지고 사용자의 손이 외부로 빠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내부를 개폐하도록 작동하는 덮개(3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용기는 상기 물티슈 비닐팩에 저장된 물티슈의 양에 따라 높이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보호용기로부터 상기 물티슈 비닐팩이 임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기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30638A 2016-10-10 2016-10-10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KR10185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38A KR101856941B1 (ko) 2016-10-10 2016-10-10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638A KR101856941B1 (ko) 2016-10-10 2016-10-10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91A KR20180039391A (ko) 2018-04-18
KR101856941B1 true KR101856941B1 (ko) 2018-05-14

Family

ID=6208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638A KR101856941B1 (ko) 2016-10-10 2016-10-10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0066A (ja) * 2002-08-16 2004-04-30 Pigeon Corp ウエットティッシュ加温器
JP3538429B2 (ja) * 1996-04-01 2004-06-14 中村 憲司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8429B2 (ja) * 1996-04-01 2004-06-14 中村 憲司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2004130066A (ja) * 2002-08-16 2004-04-30 Pigeon Corp ウエットティッシュ加温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91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9540B2 (en)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product having improved dispensing orifice
KR101623613B1 (ko) 개폐 가능한 용기
US8567638B2 (en) Openable and closable container
CN109862816B (zh) 用于擦拭物的储存和分配容器
KR102054325B1 (ko) 제품용 저장 및 분배 용기
EP3137388B1 (en) Resealable label with hinge for use with dispenser package, and package having same
CN109715524B (zh) 盖机构、包装体及分配容器
US4411359A (en) Fluid pouch with integral straw
KR101845623B1 (ko) 물티슈 용기용 인출브라켓
KR101856941B1 (ko) 물티슈 비닐팩용 보호케이스
KR20170028552A (ko) 캡형 물티슈
KR101910845B1 (ko) 물티슈 인출용 보호케이스
KR200487696Y1 (ko) 일회용봉투를 포함한 물티슈 케이스
US20150113749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dispensing opening
KR101699403B1 (ko) 물티슈 포장용기용 접착 커버
JP2015217977A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用の取出口蓋
JPH0814307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の取出口構造
JP6002219B2 (ja) 栓部材及び当該栓部材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
JP3685858B2 (ja) 清拭シート収容容器
KR102048499B1 (ko) 미용용액 수용 용기
KR200342427Y1 (ko) 튜브형 용기
KR20190047149A (ko) 미용용액 수용 용기
KR20190033779A (ko) 화장수 저장 용기
KR20190047150A (ko) 미용용액 수용 용기
WO2000021841A2 (es) Envase flexible con obturador integr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