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692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692A
KR20190042692A KR1020197009134A KR20197009134A KR20190042692A KR 20190042692 A KR20190042692 A KR 20190042692A KR 1020197009134 A KR1020197009134 A KR 1020197009134A KR 20197009134 A KR20197009134 A KR 20197009134A KR 20190042692 A KR20190042692 A KR 20190042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pacitance
switch
anode
proxim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240B1 (ko
Inventor
마사토시 요네야마
가즈요시 오마타
츠카사 야기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1L51/5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01L2251/536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정전 용량을 상이한 감도로 검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조명 장치(100)는 면상의 양극(12)과, 양극(1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면상의 음극(14)과, 양극(12)과 음극(1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양극(12)과 음극(14) 사이에 흘려진 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발광층(13)과, 양극(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극(12)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회로(40)와, 음극(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음극(14)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회로(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본 개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면상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면상의 조명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면상의 조명 장치에 관하여, 국제 공개 제2015/182001호(특허문헌 1)는 터치 검지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당해 조명 장치에는,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면상의 한 쌍의 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한쪽 전극에는, 터치 검지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당해 터치 검지 회로는, 유저가 조명 장치에 터치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조명 장치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국제 공개 제2015/182001호
터치 검지 기능뿐만 아니라, 근접 검지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조명 장치는, 터치 검지 기능과 근접 검지 기능의 양쪽을 가짐으로써, 유저의 터치 조작을 검지한 경우와, 유저의 근접을 검지한 경우로 나누어, 발광 양태를 바꿀 수 있다. 유저 동작에 따라서 발광 양태를 바꾸기 위해서는, 조명 장치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는 복수의 검지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조명 장치는, 터치 검지 회로를 하나만 갖기 때문에, 유저 동작에 따라서 발광 양태를 바꿀 수 없다. 그 때문에, 정전 용량의 변화를 상이한 감도로 검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어떤 국면에 있어서의 목적은, 정전 용량을 상이한 감도로 검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어떤 국면에 따르면, 조명 장치는, 면상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면상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에 흘려진 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발광층과,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제1 검지부와,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제2 검지부를 구비한다.
어떤 국면에 있어서, 정전 용량을 상이한 감도로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터치 검지 기능 및 근접 검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주요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를 탑재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시퀀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제어 시퀀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중의 XVII-X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 중의 XIX-XI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르는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 및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는, 적절히 선택적으로 조합되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
[조명 장치(1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조명 장치(1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장치(100)는 발광 패널(2)과, 금속층(11)과, 밀봉 부재(15)와, 절연층(16)과, 투과 부재(19)를 포함한다.
발광 패널(2)은, 면상의 발광 소자이며, 예를 들어 OLED이다. 발광 패널(2)은, 보텀 에미션형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여도 되고, 톱 에미션형 유기 EL 소자여도 된다. 발광 패널(2)은, 양극(12)과, 발광층(13)과,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12)(애노드 전극)은 투명성을 갖는 도전막이다. 양극(12)은 예를 들어 투과 부재(19) 상에 ITO(Indium Tin Oxide: 인듐 주석 산화물)가 성막됨으로써 형성된다. 양극(12)을 형성하기 위한 ITO막은, 양극(12)의 접속 단자(17) 및 음극(14)의 접속 단자(18)를 형성하기 위해서, 패터닝에 의해 두 영역으로 분할된다. 접속 단자(18)의 ITO막은, 음극(14)(캐소드 전극)과 접속된다. 음극(1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다.
발광층(13)은 양극(12)(제1 전극)과 음극(14)(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층(13)은 양극(12)의 접속 단자(17)와, 음극(14)의 접속 단자(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후술하는 전원(30)(도 3 참조)으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음으로써 발광한다. 발광층(13)으로부터의 광은, 양극(12) 및 투과 부재(19)를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밀봉 부재(15)는 박막 유리 또는 수지 필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15)는 양극(12), 발광층(13), 및 음극(14)을 밀봉한다. 밀봉 부재(15)는 금속층(11)에 덮여 있다.
절연층(16)은 음극(14)과 양극(1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음극(14) 중, 절연층(16)이 위치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은, 접속 단자(18)에 접속된다.
[터치 검지 기능 및 근접 검지 기능]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는 유저의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기능과, 유저의 근접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여, 조명 장치(100)에 있어서의 터치 검지 기능 및 근접 검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조명 장치(100)에 있어서의 터치 검지 기능 및 근접 검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주요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장치(100)는 발광 패널(2)과, 전원(30)과, 터치 조작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회로(40)와, 유저의 근접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 회로(50)를 포함한다.
전원(30)은 양극(12) 및 음극(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극(12) 및 음극(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30)은 발광층(13)에 일정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원이다.
검지 회로(40)(제1 검지부)는 양극(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극(12)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40)는 양극(12)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정전 용량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체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고, 도전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유저의 손가락이 양극(12)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양극(12) 간에 정전 용량(Cf)이 발생한다. 그 결과, 손가락과 양극(12) 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40)는 양극(12)과 손가락 간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검지 회로(50)(제2 검지부)는 음극(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음극(14)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50)는 음극(14)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에 대한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조작체란, 유저의 손가락 등의 신체 부분을 말한다. 일례로서, 조작체는, 유저의 손가락이다.
양극(12)과 마찬가지로, 유저의 손가락이 음극(14)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음극(14)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한다. 그 결과, 음극(14)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정전 용량의 변화는, 유저의 손가락이 음극(14)에 접근할수록 커지고, 유저의 손가락이 음극(14)에 접촉한 시점에서 최대가 된다. 이 점에 착안하여, 검지 회로(50)는 음극(14)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 회로(40)와는 다른 감도로 검지하여, 유저의 근접을 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는 음극(14)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역치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유저의 근접을 검지한다. 한편,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는 양극(12)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역치(>제1 역치)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유저의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이와 같이, 검지 회로(40, 50)가 정전 용량의 변화를 상이한 감도로 검지함으로써, 검지 회로(40)는 터치 조작을 검지할 수 있고, 검지 회로(50)는 유저의 근접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양극(12)이 발광용 및 터치 검지용으로 공용되고, 음극(14)이 발광용 및 근접 검지용으로 공용됨으로써, 터치 검지 및 근접 검지를 위하여 새롭게 전극이 마련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조명 장치(100)의 박형화가 실현된다. 또한, 조명 장치(100)의 비용이 낮아진다.
유저가 조명 장치(100)에 접근한 것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검지하기 위해서는, 근접 검지용의 음극(14)의 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근접 검지용의 음극(14)의 면적은, 터치 검지용의 양극(12)의 면적보다도 넓다.
또한, 상술에서는, 검지 회로(40)가 터치 검지용으로 사용되고, 검지 회로(50)가 근접 검지용으로 사용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검지 회로(40, 50)의 용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국면에 있어서, 검지 회로(40, 50)는, 모두, 터치 검지용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검지 회로(40)는 양극(12)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서 기능하고, 검지 회로(50)는 음극(14)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는 터치 위치의 차이에 따라 발광 양태를 바꿀 수 있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검지 회로(40, 50)는, 모두, 근접 검지용으로 사용된다. 이 경우, 검지 회로(40)는 양극(12)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로서 기능하고, 검지 회로(50)는 음극(14)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는 유저의 접근 방식의 차이에 따라, 발광 양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양극(12)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역치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유저의 근접이 검지되고, 음극(14)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역치(>제1 역치)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유저의 터치 조작이 검지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제1, 제2 역치의 대소 관계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의 손가락이 조명 장치(100)에 접근했을 때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은, 전극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서 커진다. 그 때문에, 양극(12) 및 음극(14)의 면적이 상이하면, 검지 회로(40, 50)에 동일한 역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검지 회로(40, 50)의 감도는 상이하다. 이 점에 착안하여, 검지 회로(40)에 의한 터치 검지의 감도, 및 검지 회로(50)에 의한 근접 검지의 감도는, 양극(12) 및 음극(14)의 면적에 따라 바뀌어도 된다.
또한, 정전 용량에 의한 터치 검지 또는 근접 검지에는, 검지 전극과 접지 간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자기 용량 방식이 채용되어도 되고, 검지 전극과 다른 도전성 부재 간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상호 용량 방식이 채용되어도 된다. 자기 용량 방식 또는 상호 용량 방식에 의해 검지된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조작 또는 조작체의 근접이 검지된다.
[제어 시퀀스]
조명 장치(100)는 발광층(13)의 발광 기간과, 검지 회로(40)(제1 검지부)에 의한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과, 검지 회로(50)(제2 검지부)에 의한 근접 센싱 기간 중 적어도 둘을 각각 순차 전환한다. 발광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과, 근접 센싱 기간이 고속으로(예를 들어, 수십Hz 이상) 전환됨으로써, 유저가 발광층(13)의 발광의 깜박임을 느낄 일 없이, 터치 검지 및 근접 검지가 실현된다. 또한, 터치 검지 및 근접 검지의 타임 래그도 짧아져, 조명 장치(100)의 조작성이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발광, 터치 검지, 및 근접 검지의 제어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조명 장치(100)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발광 패널(2)의 등가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등가 회로로서의 발광 패널(2)에서는, 양극(12) 및 음극(14)은 각각, 단자(도 4의 흑색점)로 표현되고, 발광층(13)은 발광 다이오드(D)와 콘덴서(C)의 병렬 회로로 표현된다.
양극(12)에는, 스위치(SW1)(제1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1)는, 양극(12)을 전원(3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양극(12)을 소정 전위의 접점(N1B)(제1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양극(12)을 검지 회로(4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스위치(SW1)는, 제어 장치(101)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101)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집적 회로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적어도 하나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적어도 하나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그들의 조합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음극(14)에는, 스위치(SW4)(제2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4)는, 음극(14)을 접지(G)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음극(14)을 소정 전위의 접점(N4B)(제2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음극(14)을 검지 회로(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각 T1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1)는 발광 기간에 있어서, 양극(12)을 전원(3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스위치(SW1)를 전환함과 함께, 음극(14)을 접지(G)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즉,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A)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한다. 그 결과, 전원(30)→양극(12)→발광 다이오드(D)→음극(14)→접지(G)로 전류가 흘러, 발광 패널(2)이 발광한다. 전원(30)이 정전류원일 경우에는, 발광 패널(2)은, 안정된 휘도로 발광한다.
시각 T2에 있어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양극(12)을 검지 회로(4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스위치(SW1)를 전환함과 함께, 음극(14)을 소정 전위의 접점(N4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스위치(SW4)를 전환한다. 즉,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C)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B)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양극(12)이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에 접속되고, 음극(14)이 플로팅 상태로 된다. 플로팅 상태란, 소정 전위(즉, 플로팅 전위)에 접속된 상태를 말하며, 전원이나 기기의 접지에 접속되지 않은 부유 전위 상태를 말한다. 그 결과, 검지 회로(40)→양극(12)→발광 다이오드(D)→음극(14)→접점(N4B)의 경로는, 접지(G)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즉, 플로팅 상태)로 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조명 장치(100)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양극(12)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양극(12)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40)는 양극(12)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유저에 의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3에 있어서, 근접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양극(12)을 소정 전위의 접점(N1B)에 접속하는 상태로 스위치(SW1)를 전환함과 함께, 음극(14)을 검지 회로(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즉,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C)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양극(12)이 플로팅 상태로 되어, 음극(14)이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에 접속된다. 그 결과, 접점(N1B)→양극(12)→발광 다이오드(D)→음극(14)→검지 회로(50)의 경로는, 접지(G)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즉, 플로팅 상태)로 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조명 장치(100)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음극(14)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음극(14)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50)는 음극(14)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유저의 근접을 검지한다.
시각 T4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다시 도래한다. 시각 T4 이후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101)는 다시,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순차 실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상술에서는, 제어 장치(101)가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음극(14)을 플로팅 상태로 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제어 장치(101)는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양극(12)을 플로팅 상태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에서는, 제어 장치(101)가,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양극(12)을 플로팅 상태로 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제어 장치(101)는,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음극(14)을 플로팅 상태로 해도 된다.
[조명 장치(100)의 제어 구조]
도 6을 참조하여, 조명 장치(100)의 제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조명 장치(100)가 실행하는 처리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처리는, 조명 장치(100)의 제어 장치(101)(도 4 참조)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다른 국면에 있어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로 소자 또는 기타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제어 장치(101)는 스텝 S10의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수십ms)이 경과한 시점에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판단한다. 또는, 제어 장치(101)는 제어가 스텝 S60으로부터 스텝 S10으로 전환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수십ms)이 경과한 시점에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101)는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판단하면(스텝 S10에 있어서 "예"), 제어를 스텝 S12로 전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0에 있어서 NO), 제어 장치(101)는 스텝 S10의 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터치 검지용을 위하여 상술한 스위치(SW1, SW4)(도 4 참조)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1)는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에 양극(12)을 접속하도록 스위치(SW1)를 전환함과 함께, 소정 전위의 접점(N4B)에 음극(14)을 접속하도록 스위치(SW4)를 전환한다.
스텝 S20에 있어서,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는 터치 조작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검지 회로(40)는 양극(12)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경우에, 터치 조작을 검지했다고 판단한다. 검지 회로(40)는 터치 조작을 검지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에 있어서 "예"), 제어를 스텝 S22로 전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20에 있어서 "아니오"), 검지 회로(40)는 제어를 스텝 S30으로 전환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발광 패널(2)의 휘도 설정값을 제1 휘도로 변경한다. 제1 휘도의 값은, 설계자나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스텝 S22의 처리가 실행된 시점에서는, 발광 패널(2)의 휘도 설정값이 바뀔뿐이며, 발광 패널(2)의 휘도는, 후술하는 스텝 S52에 있어서의 발광 기간에 바뀐다.
스텝 S30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근접 센싱 기간이 도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제어 장치(101)는 터치 센싱 기간이 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수십ms)이 경과한 시점에서 근접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101)는 근접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판단하면(스텝 S30에 있어서 "예"), 제어를 스텝 S32로 전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0에 있어서 "아니오"), 제어 장치(101)는 제어를 스텝 S20으로 되돌린다.
스텝 S3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근접 검지를 위하여 상술한 스위치(SW1, SW4)(도 4 참조)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1)는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소정 전위의 접점(N1B)에 양극(12)을 접속하도록 스위치(SW1)를 전환함과 함께,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에 음극(14)을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스텝 S40에 있어서,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는 조명 장치(100)에 대한 유저의 근접을 검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검지 회로(50)는 음극(14)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경우에, 유저의 근접을 검지했다고 판단한다. 검지 회로(50)는 유저의 근접을 검지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0에 있어서 "예"), 제어를 스텝 S42로 전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에 있어서 "아니오"), 검지 회로(50)는 제어를 스텝 S50으로 전환한다.
스텝 S4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발광 패널(2)의 휘도 설정값을 제2 휘도로 설정한다. 제2 휘도의 값은, 설계자나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스텝 S42의 처리가 실행된 시점에서는, 발광 패널(2)의 휘도 설정값이 바뀔뿐이며, 발광 패널(2)의 휘도는, 후술하는 스텝 S52에 있어서의 발광 기간으로 바뀐다.
스텝 S50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조명 기간이 도래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제어 장치(101)는 근접 센싱 기간이 개시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수십ms)이 경과한 시점에서 조명 기간이 도래했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101)는 조명 기간이 도래했다고 판단하면(스텝 S50에 있어서 "예"), 제어를 스텝 S52로 전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0에 있어서 "아니오"), 제어 장치(101)는 제어를 스텝 S40으로 되돌린다.
스텝 S52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조명 처리를 위하여 상술한 스위치(SW1, SW4)(도 4 참조)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1)는 양극(12)을 전원(30)에 접속하도록 스위치(SW1)를 전환함과 함께, 음극(14)을 접지(G)에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이때, 제어 장치(101)는 스텝 S20에서 터치 조작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2에서 설정된 제1 휘도로 발광 패널(2)을 점등한다. 제어 장치(101)는 스텝 S40에서 유저의 근접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2에서 설정된 제2 휘도로 발광 패널(2)을 점등한다. 제어 장치(101)는 전원(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조정함으로써, 발광 패널(2)의 휘도를 조정한다.
스텝 S60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제어 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서, 제어 장치(101)는 유저로부터 전원 오프의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101)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0에 있어서 "예"), 도 6에 도시한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60에 있어서 "아니오"), 제어 장치(101)는 제어를 스텝 S10으로 되돌린다.
또한, 상술에서는, 터치 검지 및 근접 검지에서 발광 패널(2)의 휘도가 바뀌는 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발광 패널(2)의 휘도 이외가 바뀌어도 된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100)는 터치 검지 및 근접 검지에서, 발광 패널(2)의 발광 간격(즉, 점멸 양태)을 상이하게 해도 되고, 조명 장치(100)의 발광색을 상이하게 해도 된다.
[조명 장치(100)를 탑재한 기기]
도 7을 참조하여, 조명 장치(100)를 탑재하는 기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조명 장치(100)를 탑재하는 정보 처리 장치(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는, 스마트폰으로서의 정보 처리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상술한 조명 장치(100)와, 조작 버튼(118)과, 하우징(119)과, 액정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한다.
조명 장치(100)의 터치 검지용의 양극(12) 및 근접 검지용의 음극(14)은 정보 처리 장치(200)의 하우징(119)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면상의 양극(12) 및 음극(14)은 정보 처리 장치(200)의 하우징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터치 검지용의 양극(12)은 음극(14)보다도 하우징(119)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즉, 터치 검지용의 양극(12)과 하우징(119) 간의 거리는, 근접 검지용의 음극(14)과 하우징(119) 간의 거리보다도 짧다. 도 7의 예에서는, 지면 전방측에 양극(12)이 배치되고, 지면 안측에 음극(14)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 검지용의 양극(12)이 하우징(119)측에 마련됨으로써, 터치 검지에 있어서의 감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조명 장치(100)는 예를 들어, 조작 버튼(118)의 백라이트로서 기능한다.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200)에 근접하면, 조명 장치(100)가 소정 휘도로 점등하고, 유저는, 조작 버튼(118)을 시인할 수 있다. 유저가 정보 처리 장치(200)에 터치하면, 조명 장치(100)는 더욱 밝게 점등되어, 유저는, 조작 버튼(118)을 터치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조명 장치(100)가 스마트폰으로서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 적용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조명 장치(100)는 조명 기능을 갖는 기타의 기기에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100)는 가정용 조명, 차내 조명, 액정 디스플레이(120)의 백라이트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조명 장치(100)는 시계 등의 백라이트, 간판 광고, 신호기, 광 기억 매체 등의 광원, 전자 사진 복사기의 광원, 광통신 처리기의 광원, 광 센서의 광원, 일반의 가정용 전기기구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는 면상의 양극(12)과, 양극(1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면상의 음극(14)과, 양극(12) 및 음극(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을 포함한다. 양극(12)에는,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음극(14)에는,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는 터치 조작뿐만 아니라, 유저의 근접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양극(12)이 발광용 및 터치 검지용으로 공용되고, 음극(14)이 발광용 및 근접 검지용으로 공용됨으로써, 터치 검지 및 근접 검지를 위하여 새롭게 전극이 마련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조명 장치(100)의 박형화가 실현된다.
<제2 실시 형태>
[개요]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는 하나의 양극(12)과, 하나의 발광층(13)과, 하나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는 복수의 양극(12)과, 복수의 발광층(13)과, 하나의 음극(14)으로 구성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의 기타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조명 장치(100A)]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조명 장치(100A)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되는 금속층(11), 밀봉 부재(15), 절연층(16), 및 투과 부재(19)를 생략하고 있다.
조명 장치(100A)는 발광 패널(2A 내지 2C)을 포함한다. 발광 패널(2A)은, 면상의 양극(12A)과, 발광층(13A)과, 면상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패널(2B)은, 면상의 양극(12B)과, 발광층(13B)과, 면상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패널(2C)은, 면상의 양극(12C)과, 발광층(13C)과, 면상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광 패널(2A 내지 2C)은 음극(14)을 공용하고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조명 장치(100A)가 3개의 양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조명 장치(100A)가 두 양극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4개 이상의 양극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조명 장치(100A)가 3개의 발광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조명 장치(100A)가 두 발광층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4개 이상의 발광층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터치 검지 기능 및 근접 검지 기능]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조명 장치(100A)에 있어서의 터치 검지 기능과 근접 검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조명 장치(100A)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명 장치(100A)는 발광 패널(2A 내지 2C)과, 전원(30A 내지 30C)과,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A 내지 40C)와,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를 포함한다.
도 1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발광 패널(2A 내지 2C)의 등가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등가 회로로서의 발광 패널(2A)에 있어서는, 양극(12A) 및 음극(14)은 각각, 단자(도 10의 흑색점)로 표현되고, 발광층(13A)은 발광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의 병렬 회로로 표현된다. 등가 회로로서의 발광 패널(2B)에 있어서는, 양극(12B) 및 음극(14)은 각각, 단자(도 10의 흑색점)로 표현되고, 발광층(13B)은 발광 다이오드(D2)와 콘덴서(C2)의 병렬 회로로 표현된다. 등가 회로로서의 발광 패널(2C)에 있어서는, 양극(12C) 및 음극(14)은 각각, 단자(도 10의 흑색점)로 표현되고, 발광층(13C)은 발광 다이오드(D3)와 콘덴서(C3)의 병렬 회로로 표현된다.
전원(30A 내지 30C)은 정전류원이다. 전원(30A)은 접지(G) 및 접점(N1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극(12A) 및 음극(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A)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30B)은 접지(G) 및 접점(N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극(12B) 및 음극(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B)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30C)은 접지(G) 및 접점(N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극(12C) 및 음극(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C)에 전류를 공급한다.
검지 회로(40A 내지 40C)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검지 회로(40A)는 접점(N1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40B)는 접점(N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40C)는 접점(N3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50)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A)에 대한 유저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검지 회로(50)는 접점(N4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조명 장치(100A)에의 유저의 근접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1 역치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유저의 근접을 검지한다. 한편,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A 내지 40C)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의 변화량이 제2 역치(>제1 역치)를 초과한 것에 기초하여, 유저의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이와 같이, 검지 회로(40A 내지 40C, 50)가 정전 용량의 변화를 상이한 감도로 검지함으로써, 검지 회로(40A 내지 40C)는 터치 조작을 검지할 수 있고, 검지 회로(50)는 유저의 손가락의 근접을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터치 검지용으로 복수의 검지 회로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 장치(100A)는 유저가 발광 패널(2A 내지 2C) 중 어느 것을 터치했는지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양극(12A)에는, 스위치(SW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1)는, 양극(12A)을 전원(30A)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양극(12A)을 소정 전위의 접점(N1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양극(12A)을 검지 회로(40A)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스위치(SW1)는, 제어 장치(101)에 의해 제어된다.
양극(12B)에는, 스위치(SW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2)는, 양극(12B)을 전원(30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양극(12B)을 소정 전위의 접점(N2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양극(12B)을 검지 회로(40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스위치(SW2)는, 제어 장치(101)에 의해 제어된다.
양극(12C)에는, 스위치(SW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3)는, 양극(12C)을 전원(30C)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양극(12C)을 소정 전위의 접점(N3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양극(12C)을 검지 회로(40C)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스위치(SW3)는, 제어 장치(101)에 의해 제어된다.
음극(14)에는, 스위치(SW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4)는, 음극(14)을 접지(G)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음극(14)을 소정 전위의 접점(N4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음극(14)을 검지 회로(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스위치(SW4)는, 제어 장치(101)에 의해 제어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각 T11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발광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A)에 접속하고, 스위치(SW2)를 접점(N2A)에 접속하고, 스위치(SW3)를 접점(N3A)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한다. 그 결과, 전원(30A)→양극(12A)→발광 다이오드(D1)→음극(14)→접지(G)로 전류가 흘러, 발광 패널(2A)이 발광한다. 동시에, 전원(30B)→양극(12B)→발광 다이오드(D2)→음극(14)→접지(G)로 전류가 흘러, 발광 패널(2B)이 발광한다. 동시에, 전원(30C)→양극(12C)→발광 다이오드(D3)→음극(14)→접지(G)로 전류가 흘러, 발광 패널(2C)이 발광한다.
시각 T12에 있어서,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검지 회로(40A)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B)에 접속함으로써, 음극(14)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A)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발광 패널(2A)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40A)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13에 있어서,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검지 회로(40B)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B)에 접속함으로써, 음극(14)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B)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발광 패널(2B)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40B)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14에 있어서,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검지 회로(40C)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B)에 접속함으로써, 음극(14)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C)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발광 패널(2C)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40C)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15에 있어서, 근접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C)에 접속함으로써, 음극(14)을 검지 회로(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조명 장치(100A)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조명 장치(100A)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50)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A)에 대한 유저의 근접을 검지한다.
시각 T16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다시 도래한다. 시각 T16 이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순차 실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변형예]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에 있어서의 제어 시퀀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 11에 도시되는 제어 시퀀스에서는, 발광 패널(2A 내지 2C)에 대한 터치 검지가 시분할로 실행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도 12에 도시되는 제어 시퀀스에서는, 발광 패널(2A 내지 2C)에 대한 터치 검지가 동시에 실행된다.
시각 T21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발광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A)에 접속하고, 스위치(SW2)를 접점(N2A)에 접속하고, 스위치(SW3)를 접점(N3A)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한다. 그 결과, 전원(30A)→양극(12A)→발광 다이오드(D1)→음극(14)→접지(G)로 전류가 흘러, 발광 패널(2A)이 발광한다. 동시에, 전원(30B)→양극(12B)→발광 다이오드(D2)→음극(14)→접지(G)로 전류가 흘러, 발광 패널(2B)이 발광한다. 동시에, 전원(30C)→양극(12C)→발광 다이오드(D3)→음극(14)→접지(G)로 전류가 흘러, 발광 패널(2C)이 발광한다.
시각 T22에 있어서,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검지 회로(40A)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검지 회로(40B)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검지 회로(40C)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B)에 접속함으로써, 음극(14)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A 내지 2C) 중 어느 것에 터치하면, 조명 장치(100A)와 손가락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40A)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검지 회로(40B)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검지 회로(40C)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23에 있어서, 근접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C)에 접속함으로써, 음극(14)을 검지 회로(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조명 장치(100A)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조명 장치(100A)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50)는 조명 장치(100A)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조명 장치(100A)에 대한 유저의 근접을 검지한다.
시각 T24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다시 도래한다. 시각 T24 이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순차 실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는 터치 검지용으로, 복수의 양극과, 복수의 검지 회로를 포함한다. 터치 검지용의 복수의 검지 회로 각각은, 복수의 양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A)는 유저가 조명 장치(100A)의 어느 위치를 터치했는지를 검지할 수 있어, 터치 위치에 따라서 발광 양태를 바꿀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개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는 터치 센싱 기간 및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양극(12) 및 음극(14)을 동전위로 하고 있지 않았다. 이에 반해,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B)는 터치 센싱 기간 및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양극(12) 및 음극(14)을 동전위로 한다. 양극(12) 및 음극(14)을 동전위로 함으로써, 발광 패널(2)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조명 장치(100B)는 유저의 손가락과의 사이에 발생한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쉬워져, 보다 확실하게 터치 조작 및 근접을 검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B)의 기타의 점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터치 검지 기능 및 근접 검지 기능]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조명 장치(100B)에 있어서의 터치 검지 기능과 근접 검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조명 장치(100B)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점(N1B 내지 N3B)은, 전위 V0의 단자로 설정된다. 당해 단자는, 음극(14)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위 V0은, 음극(14)에 있어서의 전위와 동등하다.
스위치(SW4)의 접점(N4A)에는, 아날로그 버퍼(DA)(다이오드) 및 스위치(SW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5)는, 접점(N4A)을 전위 V1의 접점(N5A)에 접속하는 상태와, 접점(N4A)을 전위 V2의 접점(N5B)에 접속하는 상태와, 접점(N4A)을 전위 V3의 접점(N5C)에 접속하는 상태와, 접점(N4A)을 접지(G)에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접점(N5A)은, 양극(12A)과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위 V1은, 양극(12A)에 있어서의 전위와 동등하다. 접점(N5B)은, 양극(12B)과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위 V2는, 양극(12B)에 있어서의 전위와 동등하다. 접점(N5C)은, 양극(12C)과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위 V3은, 양극(12C)에 있어서의 전위와 동등하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B)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각 T41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발광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A)에 접속하고, 스위치(SW2)를 접점(N2A)에 접속하고, 스위치(SW3)를 접점(N3A)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하고, 스위치(SW5)를 접점(N5D)에 접속한다. 그 결과, 발광 패널(2A 내지 2C)이 발광한다.
시각 T42에 있어서,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검지 회로(40A)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하고, 스위치(SW5)를 접점(N5A)에 접속함으로써, 아날로그 버퍼(DA)를 통하여 음극(14)의 전위를 「V1」로 한다. 그 결과, 음극(14)의 전위는, 아날로그 버퍼(DA)를 통하여 양극(12A)의 전위와 동등해진다. 이에 의해, 발광 패널(2A)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검지 회로(40A)는 유저의 손가락과 조명 장치(100B) 간에 발생한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검지의 정밀도가 개선된다.
시각 T43에 있어서,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검지 회로(40B)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하고, 스위치(SW5)를 접점(N5B)에 접속함으로써, 아날로그 버퍼(DA)를 통하여 음극(14)의 전위를 「V2」로 한다. 그 결과, 음극(14)의 전위는, 아날로그 버퍼(DA)를 통하여 양극(12B)의 전위와 동등해진다. 이에 의해, 발광 패널(2B)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검지 회로(40B)는 유저의 손가락과 조명 장치(100B) 간에 발생한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검지의 정밀도가 개선된다.
시각 T44에 있어서,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검지 회로(40C)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하고, 스위치(SW5)를 접점(N5C)에 접속함으로써, 아날로그 버퍼(DA)를 통하여 음극(14)의 전위를 「V3」로 한다. 그 결과, 음극(14)의 전위는, 아날로그 버퍼(DA)를 통하여 양극(12C)의 전위와 동등해진다. 이에 의해, 발광 패널(2C)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검지 회로(40C)는 유저의 손가락과 조명 장치(100B) 간에 발생한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검지의 정밀도가 개선된다.
시각 T45에 있어서, 근접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의 전위를 「V0」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B)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의 전위를 「V0」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의 전위를 「V0」로 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C)에 접속함으로써, 음극(14)을 검지 회로(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 결과, 양극(12A 내지 12C)의 전위는, 음극(14)의 전위와 동등해진다. 이에 의해, 발광 패널(2A 내지 2C)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검지 회로(50C)는 유저의 손가락과 조명 장치(100B) 간에 발생한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조명 장치(100B)에 대한 유저의 근접 검지의 정밀도가 개선된다.
시각 T46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다시 도래한다. 시각 T46 이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순차 실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변형예]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B)에 있어서의 제어 시퀀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 14에 도시되는 제어 시퀀스에서는, 발광 패널(2A 내지 2C)에 대한 터치 검지가 시분할로 실행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도 15에 도시되는 제어 시퀀스에서는, 발광 패널(2A 내지 2C)에 대한 터치 검지가 동시에 실행된다.
시각 T51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발광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A)에 접속하고, 스위치(SW2)를 접점(N2A)에 접속하고, 스위치(SW3)를 접점(N3A)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하고, 스위치(SW)를 접점(N5D)에 접속한다. 그 결과, 발광 패널(2A 내지 2C)이 발광한다.
시각 T52에 있어서,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A)을 검지 회로(40A)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2)를 접점(N2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B)을 검지 회로(40B)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3)를 접점(N3C)에 접속함으로써, 양극(12C)을 검지 회로(40C)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동시에,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하고, 스위치(SW5)를 접점(N5A 내지 N5C) 중 어느 것에 접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음극(14)은 아날로그 버퍼(DA)를 통하여 양극(12A 내지 12C)과 동전위로 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A 내지 2C) 중 어느 것에 터치하면, 조명 장치(100B)와 손가락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하여, 조명 장치(100B)의 정전 용량이 변화된다. 검지 회로(40A)는 조명 장치(100B)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검지 회로(40B)는 조명 장치(100B)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검지 회로(40C)는 조명 장치(100B)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54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다시 도래한다. 시각 T54 이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순차 실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01)는 발광 처리, 터치 검지 처리, 및 근접 검지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과 같이 하여, 조명 장치(100B)는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양극(12) 및 음극(14)을 동전위로 한다. 이에 의해, 발광 패널(2A 내지 2C)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A 내지 40C)는 유저의 손가락과 조명 장치(100C) 간에 발생한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터치 검지의 정밀도가 개선된다.
또한, 조명 장치(100B)는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양극(12) 및 음극(14)을 동전위로 한다. 이에 의해, 발광 패널(2A 내지 2C)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는 유저의 손가락과 조명 장치(100C) 간에 발생한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근접 검지의 정밀도가 개선된다.
<제4 실시 형태>
[개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는 복수의 양극(12)과, 복수의 발광층(13)과, 하나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C)는 복수의 양극(12)과, 하나의 발광층(13)과, 하나의 음극(14)으로 구성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C)의 기타의 점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조명 장치(100C)]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C)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조명 장치(100C)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중의 XVII-X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되는 금속층(11), 밀봉 부재(15), 절연층(16), 및 투과 부재(19)를 생략하고 있다.
조명 장치(100C)는 발광 패널(2A 내지 2C)을 포함한다. 발광 패널(2A)은, 면상의 양극(12A)과, 발광층(13)과, 면상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패널(2B)은, 면상의 양극(12B)과, 발광층(13)과, 면상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패널(2C)은, 면상의 양극(12C)과, 발광층(13)과, 면상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패널(2A 내지 2C)은 발광층(13) 및 음극(14)을 공용하고 있다.
전원(30A 내지 30C)은 정전류원이다. 전원(30A)은 양극(12A) 및 접지(G)에 접속되어 있고, 양극(12A) 및 음극(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30B)은 양극(12B) 및 접지(G)에 접속되어 있고, 양극(12B) 및 음극(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30C)은 양극(12C) 및 접지(G)에 접속되어 있고, 양극(12C) 및 음극(1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에 전류를 공급한다.
검지 회로(40A 내지 40C)는 유저의 터치 조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검지 회로(40A)는 양극(1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C)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40B)는 양극(1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C)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40C)는 양극(1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C)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50)는 유저의 근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검지 회로(50)는 음극(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유저의 근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C)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서는, 조명 장치(100C)가 3개의 양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조명 장치(100C)가 두 양극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4개 이상의 양극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발광 패널(2A 내지 2C)은 발광층(13) 및 음극(14)을 공용한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C)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제5 실시 형태>
[개요]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C)는 복수의 양극(12)과, 하나의 발광층(13)과, 하나의 음극(14)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D)는 복수의 양극(12)과, 복수의 발광층(13)과, 복수의 음극(14)으로 구성된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D)의 기타의 점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C)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조명 장치(100D)]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조명 장치(100D)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 중의 XIX-XI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되는 금속층(11), 밀봉 부재(15), 절연층(16), 및 투과 부재(19)를 생략하고 있다.
조명 장치(100D)는 발광 패널(2A 내지 2D)을 포함한다. 발광 패널(2A)은, 면상의 양극(12A)과, 발광층(13A)과, 면상의 음극(14A)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패널(2B)은, 면상의 양극(12B)과, 발광층(13A)과, 면상의 음극(14A)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패널(2C)은, 면상의 양극(12C)과, 발광층(13B)과, 면상의 음극(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광 패널(2D)은, 면상의 양극(12D)과, 발광층(13B)과, 면상의 음극(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광 패널(2A, 2B)은, 발광층(13A) 및 음극(14A)을 공용하고, 발광 패널(2B, 2C)은, 발광층(13B) 및 음극(14B)을 공용하고 있다.
전원(30A 내지 30D)은 정전류원이다. 전원(30A)은 양극(12A) 및 접지(G)에 접속되어 있고, 양극(12A) 및 음극(14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A)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30B)은 양극(12B) 및 접지(G)에 접속되어 있고, 양극(12B) 및 음극(14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A)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30C)은 양극(12C) 및 접지(G)에 접속되어 있고, 양극(12C) 및 음극(14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B)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30D)은 양극(12D) 및 접지(G)에 접속되어 있고, 양극(12D) 및 음극(14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층(13B)에 전류를 공급한다.
검지 회로(40A 내지 40D)는 유저의 터치 조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검지 회로(40A)는 양극(1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D)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40B)는 양극(1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D)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40C)는 양극(1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D)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40D)는 양극(12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터치 조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D)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50A, 50B)는, 유저의 근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검지 회로(50A)는 음극(14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유저의 근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D)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검지 회로(50B)는 음극(1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유저의 근접에 수반하는 조명 장치(100D)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D)는 근접 검지용으로, 복수의 음극과, 복수의 검지 회로를 포함한다. 근접 검지용의 복수의 검지 회로 각각은, 복수의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D)는 유저의 접근 방식에 따라서 발광 양태를 바꿀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개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는 검지 회로(40A 내지 40C)로 발광 패널(2A 내지 2C) 각각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E)는 하나의 검지 회로(40)로 발광 패널(2A 내지 2C) 각각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E)의 기타의 점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A)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터치 검지 기능 및 근접 검지 기능]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조명 장치(100E)에 있어서의 터치 검지 기능과 근접 검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조명 장치(100E)에 있어서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명 장치(100E)는 하나의 검지 회로(40)를 포함한다. 검지 회로(40)는 스위치(SW6)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6)의 접점(N6A)에는, 스위치(SW1)의 접점(N1C)이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6)의 접점(N6B)에는, 스위치(SW2)의 접점(N2C)이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6)의 접점(N6C)에는, 스위치(SW3)의 접점(N3C)이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SW6)의 접점(N6D)에는, 스위치(SW4)의 접점(N4C)이 접속되어 있다.
도 21은, 제6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E)의 제어 시퀀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시각 T61에 있어서, 발광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발광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A)에 접속하고, 스위치(SW2)를 접점(N2A)에 접속하고, 스위치(SW3)를 접점(N3A)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A)에 접속한다. 그 결과, 발광 패널(2A 내지 2C)이 발광한다. 이때, 스위치(SW6)는, 접점(N6A 내지 N6D) 중 어느 것에 접속되어도 된다.
시각 T62에 있어서,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C)에 접속하고, 스위치(SW2)를 접점(N2C)에 접속하고, 스위치(SW3)를 접점(N3C)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B)에 접속하고, 스위치(SW6)를 접점(N6A)에 접속한다. 그 결과,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가 발광 패널(2A)의 양극(12A)에 접속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A)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양극(12A)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한다. 검지 회로(40)는 손가락과 양극(12A) 간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A)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63에 있어서,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6)를 접점(N6B)에 접속하고, 스위치(SW1 내지 SW4)에 대해서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가 발광 패널(2B)의 양극(12B)에 접속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B)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양극(12B)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한다. 검지 회로(40)는 손가락과 양극(12B) 간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B)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64에 있어서,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당해 터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6)를 접점(N6C)에 접속하고, 스위치(SW1 내지 SW4)에 대해서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터치 검지용 검지 회로(40)가 발광 패널(2C)의 양극(12C)에 접속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C)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양극(12C)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한다. 검지 회로(40)는 손가락과 양극(12C) 간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C)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시각 T65에 있어서, 근접 센싱 기간이 도래했다고 하자.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1)를 접점(N1B)에 접속하고, 스위치(SW2)를 접점(N2B)에 접속하고, 스위치(SW3)를 접점(N3B)에 접속하고, 스위치(SW4)를 접점(N4C)에 접속하고, 스위치(SW6)를 접점(N6D)에 접속한다. 그 결과, 근접 검지용 검지 회로(50)가 공통의 음극(14)에 접속된다. 이때 유저의 손가락이 발광 패널(2A 내지 2C)에 접근하면, 손가락과 음극(14) 간에 정전 용량이 발생한다. 검지 회로(50)는 손가락과 음극(14) 간의 정전 용량이 소정량 이상 변화된 것에 기초하여, 발광 패널(2A 내지 2C)에 대한 근접을 검지한다.
근접 센싱 기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스위치(SW6)가 접점(N6D)에 접속됨으로써, 근접 검지 시의 감도를 터치 검지 시의 감도보다도 높게 한다. 이러한 감도의 전환은,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하드웨어 제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의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는 조명 장치(100E)는 하나의 검지 회로(40)로 발광 패널(2A 내지 2C) 각각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한다. 이에 의해, 조명 장치(100E)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조명 장치(100E)의 비용이 낮아진다.
<정리>
어떤 국면에 따르면, 조명 장치는, 면상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면상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에 흘려진 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발광층과,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제1 검지부와,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제2 검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검지부는,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전극의 면적은, 상기 제1 전극의 면적보다도 넓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발광층의 발광 기간과, 상기 제1 검지부에 의한 상기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과, 상기 제2 검지부에 의한 상기 근접의 센싱 기간 중 적어도 둘을 각각 순차 전환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발광층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극에는, 제1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제1 검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상기 제1 전극을 소정 전위의 제1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에는, 제2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전극을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2 검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상기 제2 전극을 소정 전위의 제2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발광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상기 제1 스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1 검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상기 제1 스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을 제2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상기 제2 스위치를 전환하고, 상기 근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제1 접점에 접속하는 상태로 상기 제1 스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2 검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동전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근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동전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근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을 플로팅 상태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검지부는,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검지부는,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이다.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는, 복수의 상기 제1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1 검지부를 구비한다. 복수의 상기 제1 검지부 각각은,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는, 복수의 상기 제2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2 검지부를 구비한다. 복수의 상기 제2 검지부 각각은,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하우징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하우징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하우징 간의 거리보다도 짧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 2A∼2D: 발광 패널
11: 금속층
12, 12A∼12D: 양극
13, 13A∼13C: 발광층
14, 14A, 14B: 음극
15: 밀봉 부재
16: 절연층
17, 18: 접속 단자
19: 투과 부재
30, 30A∼30D: 전원
40, 40A∼40D, 50, 50A∼50C: 검지 회로
100, 100A∼100E: 조명 장치
101: 제어 장치
118: 조작 버튼
119: 하우징
120: 액정 디스플레이
200: 정보 처리 장치

Claims (15)

  1. 조명 장치이며,
    면상의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면상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간에 흘려진 전류에 따라서 발광하는 발광층과,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제1 검지부와,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을 검지하기 위한 제2 검지부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부는,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며,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인,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면적은, 상기 제1 전극의 면적보다도 넓은, 조명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발광층의 발광 기간과, 상기 제1 검지부에 의한 상기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과, 상기 제2 검지부에 의한 상기 근접의 센싱 기간 중 적어도 둘을 각각 순차 전환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는,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발광층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더 구비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에는, 제1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제1 검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상기 제1 전극을 소정 전위의 제1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에는, 제2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전극을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2 검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와, 상기 제2 전극을 소정 전위의 제2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발광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상기 제1 스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1 검지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상기 제1 스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을 제2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상기 제2 스위치를 전환하고,
    상기 근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을 상기 제1 접점에 접속하는 상태로 상기 제1 스위치를 전환함과 함께, 상기 제2 전극을 상기 제2 검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조명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동전위로 하는, 조명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근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동전위로 하는, 조명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터치 조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을 플로팅 상태로 하는, 조명 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근접의 센싱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을 플로팅 상태로 하는, 조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부는,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며,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조명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부는, 상기 제1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이며,
    상기 제2 검지부는, 상기 제2 전극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 장치에 대한 조작체의 근접을 검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 센서인, 조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복수의 상기 제1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1 검지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1 검지부 각각은, 복수의 상기 제1 전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조명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복수의 상기 제2 전극과,
    복수의 상기 제2 검지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2 검지부 각각은, 복수의 상기 제2 전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조명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하우징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하우징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하우징 간의 거리보다도 짧은, 정보 처리 장치.
KR1020197009134A 2016-09-13 2017-08-15 조명 장치 KR102144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8542 2016-09-13
JPJP-P-2016-178542 2016-09-13
PCT/JP2017/029360 WO2018051708A1 (ja) 2016-09-13 2017-08-15 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692A true KR20190042692A (ko) 2019-04-24
KR102144240B1 KR102144240B1 (ko) 2020-08-12

Family

ID=6161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134A KR102144240B1 (ko) 2016-09-13 2017-08-15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5846B2 (ko)
EP (1) EP3514452B1 (ko)
JP (1) JP6885407B2 (ko)
KR (1) KR102144240B1 (ko)
CN (1) CN109690185B (ko)
WO (1) WO2018051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2953A1 (ja) * 2017-11-10 2019-05-16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装置
JP7320970B2 (ja) * 2019-03-28 2023-08-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1081889B (zh) * 2019-11-21 2022-05-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照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9594A (ja) * 2001-11-20 2008-07-10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統合されたタッチ・センサおよび発光装置
KR20130124084A (ko) * 2012-05-04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40104343A (ko) * 2011-04-18 2014-08-28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저머니 Ⅱ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Oled 인터페이스
WO2015182001A1 (ja) 2014-05-30 2015-12-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及び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75544T1 (de) * 2004-04-22 2007-10-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Steuerschnittstelle für ein elektronisches gerät
US20080316182A1 (en) * 2007-06-21 2008-12-25 Mika Antila Touch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 Sensor
CN101655720B (zh) * 2008-08-22 2012-07-18 清华大学 个人数字助理
TWI479714B (zh) 2008-01-29 2015-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具整合式之鄰近感測器的有機發光二極體照明裝置
US8552936B2 (en) * 2008-09-08 2013-10-08 Koninklijke Philips N.V. OLED device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ing means
US8638314B2 (en) * 2008-10-17 2014-01-28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buttons combined with electroluminescent lighting
EP2461239A3 (en) * 2010-12-02 2014-03-1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489900B2 (ja) * 2015-03-30 2019-03-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入力装置及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9594A (ja) * 2001-11-20 2008-07-10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統合されたタッチ・センサおよび発光装置
KR20140104343A (ko) * 2011-04-18 2014-08-28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저머니 Ⅱ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Oled 인터페이스
KR20130124084A (ko) * 2012-05-04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WO2015182001A1 (ja) 2014-05-30 2015-12-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及び照明装置
KR20160039231A (ko) * 2014-05-30 2016-04-08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5407B2 (ja) 2021-06-16
US20190239311A1 (en) 2019-08-01
EP3514452B1 (en) 2021-06-16
WO2018051708A1 (ja) 2018-03-22
CN109690185B (zh) 2020-12-29
KR102144240B1 (ko) 2020-08-12
US10785846B2 (en) 2020-09-22
CN109690185A (zh) 2019-04-26
JPWO2018051708A1 (ja) 2019-06-24
EP3514452A4 (en) 2019-07-24
EP3514452A1 (en)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50366B (zh) 具有电容式接近感测装置的oled设备
KR102057660B1 (ko)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8735780B (zh)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设备
KR102011435B1 (ko) 터치스크린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4019806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102088416B1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CN107621901B (zh) 显示装置以及包括其的便携式终端
JP2011514700A (ja) 組み込まれた近接センサを備えるoled照明装置
KR10190579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140097870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KR102144240B1 (ko) 조명 장치
KR20150039933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KR20150019012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US20190155438A1 (en) Touch input device
TWI541709B (zh) 平面自發光型觸控開關
CN109062459B (zh) 电容触控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6737268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および照明装置
KR20160110653A (ko) 촉각센서와 발광 소자를 융합한 스마트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8601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 및 조명 장치
KR101787285B1 (ko) 촉각센서와 발광 소자를 융합한 스마트 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JP673726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および照明装置
KR100872062B1 (ko) 키패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엘시트 백라이트 및이를 이용한 키패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