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084A -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084A
KR20130124084A KR1020120047711A KR20120047711A KR20130124084A KR 20130124084 A KR20130124084 A KR 20130124084A KR 1020120047711 A KR1020120047711 A KR 1020120047711A KR 20120047711 A KR20120047711 A KR 20120047711A KR 20130124084 A KR20130124084 A KR 2013012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motion
electrode
touch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061B1 (ko
Inventor
신승록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061B1/ko
Priority to US13/714,055 priority patent/US9141210B2/en
Priority to CN201210545757.XA priority patent/CN103383606B/zh
Publication of KR2013012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는 근접/모션 구동전극;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SENSOR FOR DETECTING PROXIMITY/MOTION AND TOUCH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t Display)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색 재현율이 뛰어나 주목받아 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TV, 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넷북, 휴대폰(mobile phone), 냉장고의 표시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그러나,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법을 익혀야 하고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면서도 간단하고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에 대한 요구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으로 화면과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센서(touch sensor)가 제안되었다.
터치 센서는 간단하고, 오작동이 적으며, 별도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보면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거나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편리성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단순히 표시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또는 아이콘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그와 관련된 기능을 선택할 수 있었을 뿐,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까지는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최근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휴대가 가능한 정보 통신기기(예를 들면, 모바일 폰, PDA, 테블릿, 넷북, 노트북 등)를 통해서도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와 마찬가지로 웹페이지, 동영상, 음악, 전자책 구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었으나, 다음 화면으로의 진행을 위해 페이지를 넘기거나, 볼륨을 업/다운하는 경우 등에는 화면을 일일이 터치하지 않고서는 실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뿐 아니라 근접/모션(proximity/motion)에 대한 감지 기능을 갖는 센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정보 통신기기의 사용시 터치뿐 아니라 근접/모션에 대한 감지도 가능한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는, 근접/모션 구동전극;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는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제 1 및 제 2 전극열들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는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에 접속되어 근접/모션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 중 최외각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 중 최외곽의 제 2 전극열들에 접속된 근접/모션 콘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에 접속되어 터치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에 접속된 터치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는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에 접속되어 근접/모션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들에 접속된 근접/모션 콘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에 접속되어 터치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에 접속된 터치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대향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한 컬러필터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제 1 및 제 2 전극열들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들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대향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한 컬러필터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하는 인캡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인캡슐레이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제 1 및 제 2 전극열들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들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하는 인캡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인캡슐레이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의하면, 터치뿐 아니라 근접/모션에 대한 감지도 가능하기 때문에 화면을 일일이 터치하지 않고도 표시되는 정보의 지시 및 선택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I-I'라인 및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b는 도 3a의 흐름도의 제 1 내지 제 3 루프들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b에 도시된 제 1 루프 내지 제 3 루프에서의 구동전압을 각각 도시한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I-I'라인 및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터치(touch)"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센서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며, "근접/모션(proximity/motion)"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센서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지만, 센서에 근접하거나 센서를 향해 특정 동작(예를 들면, 페이지 스크롤, 볼륨 업/다운을 위해 손가락을 화면에 접근시키거나 동작하는 행위)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I-I'라인 및 II-II'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부(100), 근접/모션 콘트롤러(110), 터치 콘트롤러(120) 및 메인 콘트롤러(130)를 포함한다.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부(100)는 근접/모션 감지센서 및 터치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근접/모션 감지센서는 투명 기판(SUB)의 제 1 면에 형성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을 포함한다.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은 일체로 된 하나의 전극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근접/모션 감지센서는 투명 기판(SUB)의 제 1 면과 반대측의 제 2 면에서 제 1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터치 감지부(100)의 상하측 최외곽부에 나란하게 형성된 2개의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과, 상기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터치 감지부(100)의 좌우측 최외곽부에 나란하게 형성된 2개의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을 포함한다.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과 상기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의 교차부에는 각각 절연패턴(INS)이 형성되어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과 상기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이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유지하도록 해 준다.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의 각각은 복수의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들(PRx1)과, 이웃하는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들(PRx1)을 연결하는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 연결부들(PRc1)을 포함한다.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의 각각은 복수의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들(PRx2)과, 이웃하는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들(PRx2)을 연결하는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 연결부들(PRc2)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 센서는 투명 기판(SUB)의 제 2 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과, 터치 구동전극열들(TS)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을 포함한다.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과 복수의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의 교차부에는 각각 절연패턴(INS)이 형성되어 터치 구동전극열(TS)과 터치 감지전극열(RS)이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유지하도록 해 준다. 터치 구동전극열들(TS)의 각각은 복수의 구동전극패턴들(Tx)과 이웃하는 구동전극패턴들(Tx)을 연결하는 터치 구동전극 연결부(Tc)를 포함하고, 터치 감지전극열들(TS)의 각각은 복수의 터치 감지전극 패턴들(Rx)과, 이웃하는 터치 감지전극 패턴들(Rx)을 연결하는 터치 감지전극 연결부(R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부(100)에서, 터치 감지 센서의 상하측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은 근접/모션 감지 센서의 2개의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과 동일하고, 좌우측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감지전극열들(RS)은 2개의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과 동일하다. 즉,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부(100)의 상하측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은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의 기능을 겸하고, 좌우측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은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등을 이용하여 정보 통신기기에 대해 특정 행위(화면을 향해 손가락을 움직여 화면 상에 나타난 페이지를 넘기거나 볼륨을 조절하는 행위 등)를 하였을 경우(이하, "근접/모션"이라 함) 이를 인식하여 근접/모션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제 1 라우팅 배선(RW1)을 통해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접속되고, 제 2 라우팅 배선(RWX1)과 제 4 라우팅 배선(RWX1a)를 통해 상측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에 접속되며, 제 2 라우팅 배선(RWX4)과 제 4 라우팅 배선(RWX4a)를 통해 하측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에 접속되며, 제 3 라우팅 배선(RWY1)과 제 4 라우팅 배선(RWY1a)를 통해 좌측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에 접속되고, 제 3 라우팅 배선(RWY5)과 제 4 라우팅 배선(RWY5a)를 통해 우측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에 접속된다.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근접/모션 구동전압(Vp)을 인가하고, 근접/모션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근접/모션이 행해지기 전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과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 PSy) 사이의 초기 상호 정전용량과 근접/모션 후에 측정된 상호 정전용량의 차이를 측정하여 근접/모션의 유무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메인 콘트롤러(130)에 송신한다.
터치 콘트롤러(120)는 정보 통신기기의 특정 위치에 터치(즉, 접촉)이 있었을 경우 이를 인식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터치 콘트롤러(120)는 제 2 라우팅 배선(RWX1)과 제 5 라우팅 배선(RWX1b)를 통해 최상측 터치 구동전극열(TS)에 접속되고, 제 2 라우팅 배선(RWX4)과 제 5 라우팅 배선(RWX4b)를 통해 최하측 터치 구동전극열(TS)에 접속되며, 제 2 라우팅 배선(RWX2, RWX3)을 통해 중간 위치의 터치 구동전극열(TS, TS)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터치 콘트롤러(120)는 제 3 라우팅 배선(RWY1)과 제 6 라우팅 배선(RWY1b)를 통해 최좌측 터치 감지전극열(RS)에 접속되고, 제 3 라우팅 배선(RWY5)과 제 6 라우팅 배선(RWY5b)를 통해 최우측 터치 감지전극열(RS)에 접속되며, 제 3 라우팅 배선(RWY2, RWY3, RWy4)을 통해 중간 위치의 터치 감지전극열(RS, TS, RS)에 각각 접속된다.
터치 콘트롤러(120)는 터치 구동전극열(TS)에 터치 구동전압(Vt)을 인가하고, 터치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터치가 이루어지기 전의 터치 구동전극열과 터치 감지전극열에 의해 형성되는 초기 상호 정전용량과 터치 후에 측정된 상호 정전용량의 차이를 바탕으로 터치가 이루어진 터치 위치를 판단하고, 그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터치 좌표 데이터를 메인 콘트롤러(130)에 출력한다.
메인 콘트롤러(130)는 근접/모션 인식을 위한 근접/모션 구동시에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근접/모션 구동전압(Vp)을 공급하도록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를 제어하고, 터치 인식을 위한 터치 구동시에는 터치 구동전극열(TS)에 터치 구동전압(Vt)을 공급하도록 터치 콘트롤러(12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들(PRx1, PRx2), 터치 구동전극(Tx), 터치 감지전극(Rx)는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 PSy), 터치 구동전극열(TS), 터치 감지전극열(RS)을 바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근접/모션 구동전극(PT),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 PSy),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 복수의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oum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 금속 메쉬형 투명 전극(metal mesh type transparent material), 금속 나노 와이어(metal nano wire), 탄소 계열 투명 전극들로 부터 선택된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절연패턴(INS)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질화실리콘(SiNx), 이산화실리콘(SiO2) 등의 무기막, 포토 아크릴 등의 유기막 등이 이용되지만 절연층의 재료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터치 구동전극열(TS)과 터치 감지전극열(RS)의 교차부에 절연패턴(INS)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콘택홀들이 형성된 절연층을 형성하고, 절연층 상에 터치 구동전극열과 터치 감지전극열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하되, 그들 교차부에는 터치 구동전극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절연층 하부에 연결층을 형성하여 콘택홀을 통해 분리된 터치 구동전극열들을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내지 제 6 라우팅 배선들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Al, AlNd, Mo, MoTi, Cu, Cr, Ag, Ag 계열 합금들과 같은 금속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흐름도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3 루프들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b에 도시된 제 1 루프 내지 제 3 루프에서의 구동전압을 각각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터치 감지센서가 스마트폰, 넷북,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정보 통신기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정보 통신기기로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른 어떤 분야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정보 통신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소비전력의 절감을 위해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다. 예컨대, 통화기능을 갖는 정보 통신기기의 경우 전력 절감을 위해 전원을 완전히 오프(power off)하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정보 통신기기의 미사용시에는 전력소모를 최소로 하는 딥 슬립 모드(deep sleep mode)를 두고, 전화가 오거나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특정 버튼을 누를 때 딥 슬립 모드 상태를 벗어나 웨이크 업 모드(wake-up mode)로 진입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웨이크 업 모드는 사용자가 정보 통신기기에 다음 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대기상태를 의미한다.
도 3a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는 특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을 경우(S100), 메인 콘트롤러(130)를 통해 근접/모션 콘트롤러(110)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고, 터치 콘트롤러(120)가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화가 오거나 사용자가 정보 통신기기의 사용을 위해 특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메인 콘트롤러(130)는 근접/모션 콘트롤러(110)가 웨이크 업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S120).
근접/모션 콘트롤러(110)가 웨이크 업 상태로 되면, 메인 콘트롤러(130)의 제어하에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근접/모션 구동전압(Vp)을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근접/모션 구동전압(Vp)을 주기적으로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공급한 후, 근접/모션 구동전극(PT)과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 사이의 초기 상호 정전용량과 근접/모션 행위 후의 상호 정전용량의 차를 비교한 후 그 비교결과를 메인 콘트롤러(130)에 전송한다(S130). 메인 콘트롤러(130)는 비교결과에 따라 상호 정전용량의 차이가 없으면 근접/모션 행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S130의 NO)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를 딥 슬립 상태로 제어한다(S140). 반면, 메인 콘트롤러(130)는 상호 정전용량의 차이가 있으면 근접/모션 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여(S130의 YES) 근접/모션 콘트롤러(110)의 동작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고 터치 콘트롤러(120)는 인에이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S150).
근접/모션 행위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되어 근접/모션 콘트롤러(110)가 딥 슬립상태로 유지된 경우, 전화가 오거나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누르면, 메인 콘트롤러(130)는 웨이크 업 신호를 근접/모션 콘트롤러(110)에 공급하여 근접/모션 콘트롤러가 웨이크 업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S120).
이어서, 단계 S160에서는 터치 콘트롤러(120)가 인에이블 상태로 되어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부(100)에 터치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터치 여부가 판정되어 터치가 있었음이 판정될 때까지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근접/모션 구동전압(Vp)을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공급하고, 터치 콘트롤러(120)는 터치 구동전압(Vt)을 터치 구동전극열들(TS)에 공급한다. 터치 콘트롤러(120)는 터치 구동전극열들(TS)과 터치 감지전극열들(RS) 사이의 초기 상호 정전용량과 터치 후의 상호 정전용량의 차를 비교한 후 그 비교결과를 메인 콘트롤러(130)에 전송한다(S160).
메인 콘트롤러(130)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호 정전용량의 차이가 없으면 터치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하여(S160의 NO), 근접/모션 콘트롤러와 터치 콘트롤러가 S150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반면, 메인 콘트롤러(130)는 상호 정전용량의 차이가 있으면 터치가 있었다고 판단하여(S160의 YES)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제어하고(S170), 터치 콘트롤러(120)는 동작상태로 유지시킨다(S180).
그리고, 터치 콘트롤러(120)는 단계 S190에서 다른 터치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다른 터치가 있으면(S190의 YES) 단계 S180으로 복귀하여 또 다른 터치가 있는지를 검출한다. 단계 S190에서 다른 터치가 검출되지 않으면(S190의 NO), 단계 S110으로 복귀하여 메인 콘트롤러(130)는 근접/모션 콘트롤러(110)가 인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터치 콘트롤러(120)가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3b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루프 1~루프 3에서의 근접/모션 콘트롤러(110)와 터치 콘트롤러(120)의 동작 상태에 대해 비교하기로 한다. 루프 1은 근접/모션이 없는 판정의 경우로서,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인에이블 상태로 되지만, 터치 콘트롤러(120)는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으며, 근접/모션의 유무 상태만 판단한다. 이 때,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정 주기의 파형을 갖는 근접/모션 구동전압(Vp)를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공급한다.
도 3b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루프 1~루프 3에서의 근접/모션 콘트롤러(110)와 터치 콘트롤러(120)의 동작 상태에 대해 비교하기로 한다. 루프 1은 근접/모션이 없는 판정의 경우로서,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인에이블 상태로 되지만, 터치 콘트롤러(120)는 디스에이블 상태에 있으며, 근접/모션의 유무 상태만 판단한다. 루프 1의 단계에서,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근접/모션 구동전압(Vp)를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공급한다.
루프 2는 근접/모션이 판정된 경우로서,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동작상태로 되고, 터치 콘트롤러(120)는 인에이블 상태로 되며, 터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이다. 루프 2의 단계에서, 근접/모션 콘트롤러(110)와 터치 콘트롤러(1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1의 경우보다 짧은 주기를 갖는 근접/모션 구동전압 Vp를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공급하고, 근접/모션 구동전압 Vp의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갖는 터치 구동전압 Vt를 터치 구동전극열(PS)에 공급한다.
루프 3은 추가 터치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로서,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디스에이블 상태로 되고, 터치 콘트롤러(120)는 동작 상태로 되어,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터치 감지센서로만 구동하는 단계이다. 루프 3의 단계에서, 터치 콘트롤러(12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루프 2의 경우보다 짧은 주기를 갖는 터치 구동전압 Vt를 터치 구동전극열(PS)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부(100), 근접/모션 콘트롤러(110), 터치 콘트롤러(120) 및 메인 콘트롤러(130)를 포함한다.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부(100)는 근접/모션 감지센서 및 터치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근접/모션 감지센서는 투명 기판(SUB)의 제 1 면에 형성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을 포함한다.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은 일체로 된 하나의 전극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근접/모션 감지센서는 투명 기판(SUB)의 제 1 면과 반대측의 제 2 면에서 제 1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터치 감지부(100)의 상하측 최외곽부에 나란하게 형성된 2개의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1, PSx2)과, 상기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1, PSx2)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터치 감지부(100)의 좌우측 최외곽부에 나란하게 형성된 2개의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1, PSy2)을 포함한다.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1, PSx2)과 상기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1, PSy2)의 교차부에는 각각 절연패턴(INS)이 형성되어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1, PSx2)과 상기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y1, PSy2)이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유지하도록 해 준다.
터치 감지 센서는 투명 기판(SUB)의 제 2 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과, 터치 구동전극열들(TS)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을 포함한다.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과 복수의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의 교차부에는 각각 절연패턴(INS)이 형성되어 터치 구동전극열(TS)과 터치 감지전극열(RS)이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를 유지하도록 해 준다. 터치 구동전극열들(TS)의 각각은 복수의 구동전극패턴들(Tx)과 이웃하는 구동전극패턴들(Tx)을 연결하는 터치 구동전극 연결부(Tc)를 포함하고,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의 각각은 복수의 터치 감지전극 패턴들(Rx)과, 이웃하는 터치 감지전극 패턴들(Rx)을 연결하는 터치 감지전극 연결부(R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감지센서의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1, PSx2, PSy1, PSy2)은 터치 감지센서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과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감지센서의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과 다르다.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정보 통신기기에 대해 특정 행위(화면을 향해 손가락을 움직여 화면 상에 나타난 페이지를 넘기거나 볼륨을 조절하는 행위 등)를 하였을 경우(이하, "근접/모션"이라 함) 이를 인식하여 근접/모션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제 1 라우팅 배선(RW1)을 통해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접속되고, 제 7 라우팅 배선(RWPX1)을 통해 상측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1)에 접속되며, 제 7 라우팅 배선(RWPX2)을 통해 하측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2)에 접속되며, 제 8 라우팅 배선(RWPY1)을 통해 좌측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1)에 접속되고, 제 8 라우팅 배선(RWPY2)을 통해 우측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2)에 접속된다.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근접/모션 구동전압(Vp)을 인가하고, 근접/모션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근접/모션이 행해지기 전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과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1, PSx2, PSy1, PSy2) 사이의 초기 상호 정전용량과 근접/모션 후에 측정된 상호 정전용량의 차이를 측정하여 근접/모션의 유무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메인 콘트롤러(130)에 송신한다.
터치 콘트롤러(120)는 정보 통신기기의 특정 위치에 터치(즉, 접촉)이 있었을 경우 이를 인식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터치 콘트롤러(120)는 제 2 라우팅 배선들(RWX1, RWX2, RWX3, RWX4)를 통해 터치 구동전극열들(TS)에 각각 접속되고, 제 3 라우팅 배선들(RWY1, RWY2, RWY3, RWY4, RWY5)를 통해 터치 감지전극열들(RS)에 각각 접속된다.
터치 콘트롤러(120)는 터치 구동전극열(PS)에 터치 구동전압(Vt)을 인가하고, 터치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터치가 이루어지기 전의 터치 구동전극열(TS)과 터치 감지전극열(RS)에 의해 형성되는 초기 상호 정전용량과 터치 후에 측정된 상호 정전용량의 차이를 바탕으로 터치가 이루어진 터치 위치를 판단하고, 그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터치 좌표 데이터를 메인 콘트롤러(130)에 출력한다.
메인 콘트롤러(130)는 근접/모션 인식을 위한 근접/모션 구동시에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에 근접/모션 구동전압(Vp)을 공급하도록 근접/모션 콘트롤러(110)를 제어하고, 터치 인식을 위한 터치 구동시에는 터치 구동전극열(TS)에 터치 구동전압(Vt)을 공급하도록 터치 콘트롤러(12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터치 구동전극(Tx), 터치 감지전극(Rx)은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구동전극열(TS), 터치 감지전극열(RS)을 바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근접/모션 구동전극(PT),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들(PSx, PSy),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열들(TS), 복수의 터치 감지전극열들(RS)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oum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 금속 메쉬형 투명 전극(metal mesh type transparent material), 금속 나노 와이어(metal nano wire), 탄소 계열 투명 전극들로 부터 선택된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한편, 절연패턴(INS)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질화실리콘(SiNx), 이산화실리콘(SiO2) 등의 무기막, 포토 아크릴 등의 유기막 등이 이용되지만 절연층의 재료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터치 구동전극열(TS)과 터치 감지전극열(RS)의 교차부에 절연패턴(INS)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콘택홀들이 형성된 절연층을 형성하고, 절연층 상에 터치 구동전극열과 터치 감지전극열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하되, 그들 교차부에는 터치 구동전극열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 절연층 하부에 연결층을 형성하여 콘택홀을 통해 분리된 터치 구동전극열들을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라우팅 배선들과 제 7 및 제 8 라우팅 배선들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Al, AlNd, Mo, MoTi, Cu, Cr, Ag, Ag 계열 합금들과 같은 금속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근접/모션 감지전극, 터치 구동전극 및 터치 감지전극이 기판의 일측에 형성되고, 근접/모션 구동전극이 기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터치 구동전극열(TS) 및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은 기판(SUB)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 및 터치 감지전극열(RS)은 기판(SUB)의 타측에 형성되며,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은 기판(SUB)의 타측에 형성된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 및 터치 구동전극열(TS) 상에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에서의 근접/모션 감지전극열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최외곽의 터치 구동전극열들 및 터치 감지전극열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형성되고, 제 4 실시예에서의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터치 구동전극열들 및 터치 감지전극열들과 독립된 별도의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5 및 제 6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과 터치 구동전극열(TS)은 제 1 기판(SUB1)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터치 감지전극열(RS)과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은 제 1 기판(SUB1)과 대향하는 제 2 기판(SUB2)의 1면 상에 형성되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제 1 기판(SUB1)의 타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에서의 근접/모션 감지전극열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최외곽의 터치 구동전극열들 및 터치 감지전극열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형성되고, 제 6 실시예에서의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터치 구동전극열들 및 터치 감지전극열들과 독립된 별도의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7 및 제 8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과 터치 감지전극열(RS)은 윈도우 커버(WC)의 1면 상에 형성되고, 터치 구동전극열(TS)과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은 기판(SUB)의 1면 상에 형성되며,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은 기판(SUB)의 타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7 실시예에서의 근접/모션 감지전극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최외곽의 터치 구동전극열들 및 터치 감지전극열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형성되고, 제 8 실시예에서의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터치 구동전극열들 및 터치 감지전극열들과 독립된 별도의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9 및 제 10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과 터치 감지전극열(RS)이 윈도우 커버(WC)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그 상부에 절연층(INS)이 형성된 후, 그 상부에 절연층(INS)에 의해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y) 및 터치 감지전극열(RS)과 접촉되지 않도록 터치 구동전극열(TS)과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PSx)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9 실시예에서의 제 1 및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최외곽의 터치 구동전극열들 및 터치 감지전극열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형성되고, 제 10 실시예에서의 근접/모션 감지전극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터치 구동전극열들 및 터치 감지전극열들과 독립된 별도의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10 실시예들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들이 표시장치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10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들이 액정표시장치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각각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26에서 도면부호 WC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10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들이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후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를 보호하기 위해 최상층에 구비되는 윈도우 커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도시 생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며, 컬러필터 어레이(CFA)의 상면에는 상부 편광판(POL1)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하면에는 하부 편광판(POL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그 내부에 형성된 유기 전계발광소자들을 보호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커버하는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며, 인캡슐레이터(ENC)의 상면에는 외광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해 형성되는 λ/4 편광판(quarter-wave polarization plate, QWP)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도시 생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며, 컬러필터 어레이(CFA)의 상면에는 상부 편광판(POL1)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하면에는 하부 편광판(POL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그 내부에 형성된 유기 전계발광소자들을 보호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커버하는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며, 인캡슐레이터(ENC)의 상면에는 외광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해 형성되는 λ/4 편광판(quarter-wave polarization plate, QWP)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도시 생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며, 컬러필터 어레이(CFA)의 상면에는 상부 편광판(POL1)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하면에는 하부 편광판(POL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그 내부에 형성된 유기 전계발광소자들을 보호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커버하는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며, 인캡슐레이터(ENC)의 상면에는 외광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해 형성되는 λ/4 편광판(quarter-wave polarization plate, QWP)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도시 생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며, 컬러필터 어레이(CFA)의 상면에는 상부 편광판(POL1)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하면에는 하부 편광판(POL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그 내부에 형성된 유기 전계발광소자들을 보호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커버하는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며, 인캡슐레이터(ENC)의 상면에는 외광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해 형성되는 λ/4 편광판(quarter-wave polarization plate, QWP)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도시 생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며, 컬러필터 어레이(CFA)의 상면에는 상부 편광판(POL1)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하면에는 하부 편광판(POL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도 7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편광판(POL1)과 컬러필터 어레이(CFA)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그 내부에 형성된 유기 전계발광소자들을 보호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커버하는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며, 인캡슐레이터(ENC)의 상면에는 외광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해 형성되는 λ/4 편광판(quarter-wave polarization plate, QWP)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될 때,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감지센서를 구성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유기 전계발광 소자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슐레이터(ENC)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면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의 근접/모션 구동전극(PT)이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λ/4 편광판(QWP)과 인캡슐레이터(ENC) 사이에 오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10 실시예에 따른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가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영동 표시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른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부 110 : 근접/모션 콘트롤러
120 : 터치 콘트롤러 130 : 메인 콘트롤러
SUB : 투명 기판 PT : 근접/모션 구동전극
PSx :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열 PSy :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열
PRx1 :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 PRx2 :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
PRc1 : 제 1 근접/모션 감지전극 연결부
PRc2 : 제 2 근접/모션 감지전극 연결부
TS : 터치 구동전극열 Tx : 터치 구동전극
Tc : 터치 구동전극 연결부 RS : 터치 감지전극열
Rx : 터치 감지전극 Rc : 터치 감지전극 연결부
RW1 : 제 1 라우팅 배선 RWX1~RWX4 : 제 2 라우팅 배선
RWY1~RWY5 : 제 3 라우팅 배선
RWX1a, RWX4a, RWY1a, RWY5a : 제 4 라우팅 배선
RWX1b, RWX4b : 제 5 라우팅 배선 RWY1b, RWY5b : 제 6 라우팅 배선
RWPX1, RWPX2 : 제 7 라우팅 배선 RWPY1, RWPY2 : 제 8 라우팅 배선

Claims (8)

  1. 근접/모션 구동전극;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제 1 및 제 2 전극열들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에 접속되어 근접/모션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 중 최외각의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 중 최외곽의 제 2 전극열들에 접속된 근접/모션 콘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에 접속되어 터치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에 접속된 터치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에 접속되어 근접/모션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들에 접속된 근접/모션 콘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열들에 접속되어 터치 구동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열들에 접속된 터치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5.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대향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한 컬러필터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제 1 및 제 2 전극열들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대향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한 컬러필터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컬러필터 어레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하는 인캡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인캡슐레이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8. 기판의 제 1 면 상에 형성되는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제 1 및 제 2 전극열들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들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하는 인캡슐레이터를 포함하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 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1 전극열들과,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성 전극열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전성 제 2 전극열들과,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제 1 및 제 2 전극열들이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전극들을 포함하는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센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측에 편광판을 구비하는 인캡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모션 구동전극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인캡슐레이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0120047711A 2012-05-04 2012-05-04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474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11A KR101474061B1 (ko) 2012-05-04 2012-05-04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3/714,055 US9141210B2 (en) 2012-05-04 2012-12-13 Proximity/motion and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1210545757.XA CN103383606B (zh) 2012-05-04 2012-12-14 接近/运动和触摸传感器以及具有该传感器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11A KR101474061B1 (ko) 2012-05-04 2012-05-04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084A true KR20130124084A (ko) 2013-11-13
KR101474061B1 KR101474061B1 (ko) 2014-12-17

Family

ID=4949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711A KR101474061B1 (ko) 2012-05-04 2012-05-04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41210B2 (ko)
KR (1) KR101474061B1 (ko)
CN (1) CN10338360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925A1 (en) * 2015-05-27 2016-12-01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tereoscopic image sensing
KR20190042692A (ko) * 2016-09-13 2019-04-24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장치
CN110869838A (zh) * 2017-07-14 2020-03-06 贝尔-赫拉恒温控制有限公司 具有集成的光学操作接近传感器系统的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2945A1 (en) * 2012-08-21 2014-03-06 Cirque Corporation Method for increasing a scanning rate on a capacitance sensitive touch sensor having a single drive electrode
JP2014174760A (ja) * 2013-03-08 2014-09-22 Japan Display Inc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526893B (zh) * 2013-11-05 2016-03-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
CN103823212B (zh) * 2014-02-21 2016-08-17 联想(北京)有限公司 接近光传感器以及终端设备
US9921739B2 (en) * 2014-03-03 2018-03-2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control
CN104951111A (zh) * 2014-03-25 2015-09-3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模组
US10459623B2 (en) * 2014-04-17 2019-10-29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Touch detection in a capacitive sensor system
CN106415454A (zh) * 2014-04-30 2017-02-15 Lg伊诺特有限公司 触控设备、具有该触控设备的可穿戴设备及触控识别方法
CN104503612B (zh) * 2014-12-12 2017-11-1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和电子设备
KR102340480B1 (ko) * 2015-06-04 2021-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6549976B2 (ja) * 2015-11-27 2019-07-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装置及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US10437344B2 (en) * 2016-01-21 2019-10-08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Proximity activated gesture
CN106802742A (zh) * 2017-02-27 2017-06-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触控显示屏及其制作方法
KR20230043304A (ko) 2021-09-23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40000690A (ko) 2022-06-23 2024-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5658A (en) * 1992-07-13 1996-10-15 Cirque Corporation Capacitance-based proximity with interference re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EP2330492B1 (en) * 2006-06-09 2017-10-18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90107640A (ko) 2008-04-10 200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에 의한 물체 감지방법
JP5513933B2 (ja) * 2009-06-30 2014-06-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センサおよび表示装置
KR101623008B1 (ko) 2009-10-23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632854B2 (ja) * 2009-11-09 2014-11-26 ローム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ならびにタッチセンサ付き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の制御回路
KR101726623B1 (ko) * 2010-03-1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US8743083B2 (en) * 2010-10-15 2014-06-03 Logitech Europe, S.A. Dual mode touchpad with a low power mode using a proximity detection mod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925A1 (en) * 2015-05-27 2016-12-01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tereoscopic image sensing
US9898148B2 (en) 2015-05-27 2018-02-20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stereoscopic image sensing
KR20190042692A (ko) * 2016-09-13 2019-04-24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장치
CN110869838A (zh) * 2017-07-14 2020-03-06 贝尔-赫拉恒温控制有限公司 具有集成的光学操作接近传感器系统的显示装置
CN110869838B (zh) * 2017-07-14 2022-09-16 贝尔-赫拉恒温控制有限公司 具有集成的光学操作接近传感器系统的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83606B (zh) 2016-12-28
US20130293489A1 (en) 2013-11-07
KR101474061B1 (ko) 2014-12-17
US9141210B2 (en) 2015-09-22
CN103383606A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061B1 (ko)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US10409391B2 (en) Keyboard with adaptive input row
EP2527962B1 (en) Integrated digitizer display
US10318086B2 (en) Reducing touch sensor panel power consumption
US20120169635A1 (en) Touchable sensing matrix unit, a co-constructed active array substrate having the touchable sensing matrix unit and a display having the co-constructed active array substrate
EP3447618B1 (en)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9798419B2 (en)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panel
US20130176234A1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5103038A1 (en) Touch surface having capacitive and resistive sensors
KR101426200B1 (ko)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터치를 검출하는 방법
US11360616B1 (en) Stylus with touch input and compressive force sensors
KR101318446B1 (ko) 표시장치용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US20180095521A1 (en) Retention mode operation for reduced standby consumption in touch solutions
US93725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rranging electrode layers and associated routing traces in a sensor device
KR101119386B1 (ko) 터치스크린
TWI453643B (zh) 觸控面板和電子裝置
KR101248813B1 (ko)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 패널
KR102571347B1 (ko) 인셀 터치 표시장치용 기판 및 패널
US20230280857A1 (en) Touch sensing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piezoelectric film
KR101323048B1 (ko) 표시장치용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KR20170062646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157707A (ko) 다수의 센서 기능이 통합된 터치 스크린
US2018003220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3193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