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001A - 비침습적 수송 방법 - Google Patents

비침습적 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001A
KR20190042001A KR1020197004020A KR20197004020A KR20190042001A KR 20190042001 A KR20190042001 A KR 20190042001A KR 1020197004020 A KR1020197004020 A KR 1020197004020A KR 20197004020 A KR20197004020 A KR 20197004020A KR 20190042001 A KR20190042001 A KR 2019004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tive ingredient
invasive
acicular crystals
crys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 구안 왕
Original Assignee
츠 구안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 구안 왕 filed Critical 츠 구안 왕
Publication of KR2019004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92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vibrations, e.g. phono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06Face

Abstract

본 발명은 경피적 수송 분야에 관한 것이다. 비침습적 수송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활성 물질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비침습적 수송 방법은 침상형 결정의 코팅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침상형 결정은 표피층 상에 미세 채널 어레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활성 성분의 경피적 수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추가로 미용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침습적 수송 방법
본 출원은 2016년 8월 19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NON-INVASIVE TRANSPORTATION METHOD"인,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610698366.X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특허는 그 전문이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경피적 수송(transdermal transportation) 분야, 및 특히, 비침습적 수송 방법(non-invasive transportation method)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미용(cosmetology) 및 피부 재생(dermal regeneration)에 사용될 수 있다.
배경기술
노화되면서 피부가 필요로 하는 중요 화합물의 생성 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피부는 콜라겐 및 탄력 섬유 손실로 고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부의 진피 구조의 기능은 감퇴된다. 따라서, 최적의 피부 재생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극 및 활성 물질이 필요하다.
활성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피부에 의한 활성 물질의 흡수는 표피 각질층 존재로 인해 제한된다. 표층 세포에 의해 형성된 보호 장벽인 표피 각질층은 고분자 물질 및 유기 물질이 피부 내로 유입되고, 인체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막는다. 많은 활성 물질이 표피를 통해 진피로 또는 더욱 깊은 심층부로 혈관 내까지 순조롭게 통과할 수 없는 바, 활성 물질을 적용시킴으로써 진피를 재생시키는 것은 효과가 미미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이 개발되었다.
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에서는, 작은 바늘이 장착된 장치에 의해 표피에 천자하여 활성 물질이 그를 통해 피부 내로 유입되는 천자된 채널을 생성한다. 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을 사용하는 또 다른 방법은 활성 물질을 직접 진피 내로 주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은 기술상 우수한 효과를 가져오지만, 동시에, 피부를 손상시킨다. 적절히 치료되지 않을 경우, 손상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비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에서는, 각질층 및 땀샘 뿐만 아니라, 모낭인 자연적 통로를 통해 활성 물질이 진피 내로 어느 정도까지 침투되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비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의 예로는 이온영동, 전기영동, 전기천공, 물 분사류(water jetting), 공기 분사류(air jetting), 미세바늘 기반 장치(micro-needle based devices), 초음파, 레이저 박피 및 다른 박피 치료법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비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이 활성 물질을 진피 내로 더욱 깊게 침투시키는 것으로 보이기는 하나, 비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에서는 활성 물질이 각질층을 통해 침투되어야 하지만, 각질층은 활성 물질의 침투를 막기 때문에, 이는 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기술상 미미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주된 목적 중 하나는 기존의 비침습적 경피적 수송 기술과 관련하여 경피적 수송의 효능을 크게 개선시키는 비침습적 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하기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이용한다.
침상형 결정(needlelike crystal)을 피부 상에 적용(apply)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침상형 결정이 표피층에 마이크로채널 어레이(micro-channel array)를 형성하고, 이로써,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이 마이크로채널 어레이를 통해 피부 내로 수송되는 것인 비침습적 수송 방법.
임의적으로, 상기 침상형 결정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는 단계는
침상형 결정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기 이전에 그를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는 단계, 또는
활성 성분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기 이전에 침상형 결정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본 방법은
활성 성분의 피부 내로의 수송을 촉진시키는 추가의 경피적 수송 방법을 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의 경피적 수송 방법은 이온영동, 전기영동, 전기천공, 물 분사류, 공기 분사류, 미세바늘 기반 장치, 초음파, 레이저 박피 및 다른 박피 치료법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임의적으로, 본 방법은
활성 성분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해 피부를 안마식으로 누르거나(pressing), 또는 주무르는(kneading)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본 방법은 미용 또는 재생 기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제공되는 비침습적 수송 방법은 침상형 미세구조를 가지는 결정을 표면 상에 적용시켜 마이크로채널 어레이를 형성함으로써, 피부 장벽을 통한 활성 물질의 침투를 개선시킬 수 있고, 피부 깊숙히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추가로, 피부 내로의 침투 후, 결정의 미세바늘 구조는 피부 활력을 자극하여 피부 그 자체가 예컨대, 콜라겐과 같은 물질을 생산할 수 있게 하고, 이로써, 피부 재생을 촉진시킬 것이다. 마지막으로, 피부의 자연요법에 기인하여 피부내 결정은 분해되고, 피부에 의해 흡수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또는 선행 기술의 기술적 해결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양태 또는 선행 기술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첨부된 도면을 하기에서 간단하게 설명할 것이다. 자명하게는, 하기 기술되는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양태 중 일부만을 나타내는 것이며, 당업자는 어떤 창조적 노력 없이도 상기 도면을 기초로 하여 다른 도면도 수득할 수 있다.
도 1은 피부 구조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선행 기술의 롤러식(roller-type) 또는 안마식으로 누르는(pressing-type) 미세바늘 완제품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의, 롤러식 미세바늘, 안마식으로 누르는 미세바늘, 및 본 출원의 실시양태 1 사이의 비교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피부에 적용 이후의, 롤러식 미세바늘, 안마식으로 누르는 미세바늘, 및 본 출원의 실시양태 1 사이의 비교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현미경 (100X)하에 관찰된, 균질 액체 중에 현탁된 침상형 결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은 침상형 결정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은 광학 현미경 (10X x 40X)하에 관찰된 침상형 결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참조 번호:
1― 표피층(epidermis layer);
11― 각질층(stratum corneum);
12― 투명층(stratum lucidum);
13― 과립층(stratum granulosum);
14― 유극층(stratum spinosum);
15― 기저층(stratum basale);
2― 진피(dermis);
21― 촉각 소체(tactile corpuscle);
22― 모세혈관(capillary);
23― 진피 유두(dermal papilla);
24― 입모근(arrector pili muscle);
25― 피지선(sebaceous gland);
3― 피하 조직(subcutaneous tissue);
31― 모간(hair shaft);
32― 땀샘 모공(sweat gland pore);
33― 땀샘관(sweat gland duct);
34― 땀샘(sweat gland);
35― 지방 조직(adipose tissue);
36― 소동맥(arteriole);
37― 소정맥(venule);
38― 모유두(hair papilla); 및
39― 소체(corpuscl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기술상의 해결 방안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포함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의해 제공되는 비침습적 수송 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비침습적 수송 방법은 침상형 미세구조를 가지는 결정을 이용한다. 피부 상에 적용된 이후에 침상형 결정은 표피층에, 활성 물질이 그를 통해 피부 내로 수송될 수 있는 마이크로채널 어레이를 형성할 것이다.
침상형 미세구조를 가지는 결정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고, 균질 액체 중에 현탁된다. 도 5는 100X 배율로 현미경하에 관찰된 결정의 미세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피부의 표피층 (1)은 각질층 (11), 투명층 (12), 과립층 (13), 유극층 (14) 및 기저층 (15)으로 구성되고; 피부의 진피 (2)는 촉각 소체 (21), 모세혈광 (22), 진피 유두 (23), 입모근 (24), 피지선 (25) 및 땀샘관 (33)을 포함한다.
피부 두께 (표피 (1) 및 진피 (2))는 개체의 연령, 성별, 광노화, 상이한 신체 부위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하기 표 1을 참조로 하여, 예로서 안면 피부를 봤을 때, 안면 피부 (표피 (1) 및 진피 (2)) 깊이는 0.5 mm 내지 1.5 mm이고; 상응하는 안면 표피 (1) 두께는 0.05 mm 내지 0.2 mm이고; 각질층 (11) 두께는 상응하여 0.015 mm 내지 0.02 mm이다. 각질층 (11)은 주요 피부 장벽이다. 중요한 활성 물질의 침투를 위해, 활성 성분이 각질층을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특정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Figure pct00001
피부 상에 적용된 이후에, 침상형 구조를 가지는 결정은 표피의 표피층 (1)에 0.02 mm 내지 0.5 mm 깊이의, 조밀하고, 균일한 마이크로채널 어레이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추가 수단의 도움으로, 마이크로채널 어레이의 깊이는 예를 들어, 최대 0.1 mm 내지 0.8 mm까지 추가로 깊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채널 어레이는 피부 장벽의 주요 성분인 각질층 (11)을 관통하고, 이로써, 활성 성분의 피부 장벽을 통한 진피 (2) 내로의 추가 침투를 촉진시킨다. 본 수송 방법이 예컨대, 안마와 같은 다른 수단과 함께 수행된다면, 마이크로채널 어레이는 더욱 깊은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즉, 결정의 어레이의 깊이는 안마에 의해 깊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채널 어레이 생성 후, 결정은 일반적으로 12시간 내지 48시간 이내에 자연 방어 기전을 통해 신체에 의해 완전히 흡수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결정은 6시간 내지 1일 이내에 피부에 의해 완전히 흡수될 것이다. 피부에는 어떤 손상도 발생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결정의 구체적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2 내지 14일 이내에 피부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침상형 미세구조를 가지며,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는 임의의 결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정은 자연으로부터, 예를 들어,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물론, 침상형 구조를 가지며, 최종적으로는 피부에 의해 분해되고, 흡수될 수 있는 상기 결정은 또한 인공적으로 합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을 것이다.
결정의 추출 유래 기점이 될 수 있는 식물은 바람직하게 아라세아에(Araceae)로부터의 식물 품종이다. 상기 식물 종에 존재하는 침상형 결정은 주로 식물 그 자체를 보호하기 위해 식물의 뿌리, 줄기, 잎 또는 다른 부분을 갉아먹는 곤충 또는 다른 유기체에게 갉아먹음으로부터 통증이 느껴지게 유발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침상형 결정은 독성 또는 부작용은 없고, 유기체에 의해 분해 및 흡수될 수 있다.
침상형 결정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 내지 nm 규모이다. 예를 들어, 결정 너비는 0.3 ㎛ 내지 8 ㎛일 수 있고, 길이는 20 ㎛ 내지 600 ㎛일 수 있다. 자연으로부터 수득되거나, 또는 인공적으로 합성되는 침상형 결정의 크기에 의존한다. 결정이 어떤 침습적 손상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부 내로 유입될 수 있는 한, 본 출원은 크기에 관하여 추가로 제한하지 않을 것이다.
침상형 결정의 미세구조를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100X 현미경하에 관찰된 현탁액 중의 침상형 결정을 보여주는 도 5 이외에, 본 출원은 또한, 광학 현미경 (10X x 40X)하에 관찰된, 라시아 스피노사(Lasia spinosa)의 뿌리로부터 추출된 칼슘 옥살레이트 침상결정를 보여주는 도 7도 제공한다.
추가로, 상기 침상형 형상은 단지 일반적으로는 결정의 형상을 기술한다. 피부 내로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임의의 장방형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방향으로 방추형 또는 화살표 모양이 바람직하다. 중공이거나, 또는 중실일 수 있는 단면은 예를 들어, 예컨대,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이, 둘레가 매끈한 형상; 또는 예컨대, 사각형, 다각형, 삼각형, 긴 직사각형 등과 같이, 둘레가 각진 모양인 형상인 것과 같이,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비록 횡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할 수는 있지만, 침상형 결정의 종횡비가 크기 때문에, 단면 형상의 차이가 피부 내로의 침투 능력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을 것이다.
침상형 결정이 가질 수 있는 가능한 미세형상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해, 침상형 결정의 일부 구체적인 형상을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할 것이다.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타입 1의 침상형 결정은 종방향으로 가운데는 굵고, 양 끝에서 가늘어지는 방추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조의 단면은 중실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타입 2의 침상형 결정은 종방향으로 상단부의 가운데 부분에서 돌출되어 있고, 맨 끝단에서 오목한 화살표 모양의 형상을 가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조는 가운데에 중간층이 있는 중공의 마름모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타입 3의 침상형 결정은 종방향으로 방추형이고, 상기 구조의 단면은 중공 다각형 형상이다. 타입 4의 침상형 결정은 종방향으로 방추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조는 상단 및 하단, 둘 모두에서는 H 형상이고, 가운데는 중공 사각형 형상인 단면을 가진다.
단결정 이외에도, 침상형 결정은 합성 공정 및 천연 추출 공정에 기인하여 다중의 단결정의 군집화 및 응집에 의해 형성되는 침상형 결정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침상형 결정 다발은 그 전체가 피부 내로 유입된다.
기존 비침습적 수송 방법에서는, 활성 성분이 주로 삼투압에 의해 피부 내로 침투되지만, 이는 효과가 거의 없고, 활성 성분 대부분은 피부 장벽 밖에서 차단되며, 이로 인해, 활성 성분이 낭비되고 있다. 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침상형 결정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크로채널 어레이의 도움으로, 활성 성분은 피부 장벽을 통과하여 침투될 수 있고, 이로써, 활성 성분의 흡수는 개선될 것이다.
기존 침습적 수송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본 출원의 결정은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이는 또한 침습적 미용에서 사용되는 미세바늘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피부 표면에 훨씬 더 우수한 균일한 분포를 보인다. 도 2는 선행 기술에 존재하는 롤러식 미세바늘 (좌측) 및 안마식으로 누르는 미세바늘 (우측) 제품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피부 상에 적용되기 이전의, 기존 침습적 롤러식 미세바늘 (예컨대, 더마(Derma) 롤러식 미세바늘) 및 안마식으로 누르는 미세바늘 뿐만 아니라, 본 출원의 비침습적 침상형 결정의 겔 제제의 개략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피부 상에 적용된 이후의 상기 3가지의 개략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롤러식 미세바늘 및 안마식으로 누르는 미세바늘, 둘 모두 피부를 손상시킨다. 추가로, 기존 미세바늘 방법에서 바늘 끝의 직경은 대략 밀리미터 규모이고, 바늘 끝 사이의 거리 또한 밀리미터 규모이며, 피부는 조밀한 관리를 받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안마식으로 누르는 미세바늘의 경우, 바늘 끝의 크기가 크고 (0.5 mm 내지 1 mm), 바늘 끝 사이의 거리 또한 큰 바 (예컨대, 0.3 mm), 바늘 끝 사이의 피부 면적은 크고, 이로써, 피부는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피복되지 못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침상형 결정은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미세 크기 작용으로 매우 조밀한 마이크로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침상형 결정의 배열을 더욱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침상형 결정은 유형적인 조밀한 배열로 그려졌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실제로, 이들 침상형 결정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고, 오직 현미경을 통해서만 관찰이 가능하다.
활성 성분의 흡수를 개선시키는 것 이외에도, 피부 내로의 침투 동안, 침상형 결정의 출현은 또한 피부의 면역계를 자극시켜 피부가 새 콜라겐 및 섬유를 생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진피 구조를 개선시키고, 피부의 유연성 및 탄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활성 성분을 침상형 결정과 혼합한 후, 피부 상에 적용시킬 수 있거나; 또는 침상형 결정을 적용시킨 이후에 활성 성분을 적용시킬 수 있다. 활성 성분과의 혼합 이후에 균질한 액체가 생성될 것이다. 결정의 침상형 미세구조는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본 출원은 활성 성분의 종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은 화장용, 또는 의료용 활성 성분일 수 있다. 화장용 활성 성분은 예컨대, 보습, 미백 또는 노화 방지 등과 같은 그의 효과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활성 성분은 히알루론산, 콜라겐, 비타민 C, 비타민 B3, 알로에, 알부틴, 리놀렌산, 보툴리눔 독소, 간세포, 양 태반 추출물, 인간 태반 추출물, 각종 효소 등일 수 있다. 의료용 활성 성분은 경피적 수송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송가능한 임의의 기존 약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독으로, 또는 더욱 우수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 경피적 수송 시스템과 함께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제품의 제형(dosage form)과 관련하여, 결정은 기존 공정 및 활성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액상 제형, 페이스트 제형, 겔 제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부 상에 적용된 이후에, 침상형 결정의 흡수는 가볍게 손으로 두드리기(manual patting), 안마, 주무르기, 안마식으로 누르기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로서, 침상형 결정 및 활성 성분 적용 이후에, 추가의 경피적 수송 기술, 예를 들어, 이온영동, 전기영동, 전기천공, 물 분사류, 공기 분사류, 미세바늘 기반 장치, 초음파, 레이저 박피 및 다른 박피 치료법 등을 사용하여 침상형 결정의 흡수를 추가로 증진시킬 수 있다.
이온영동 및 전기영동 방법, 이 둘 모두는 전기장의 작용에 기초한다. 전기장은 비침습적 방식으로 활성 물질을 피부 내로 수송하기 위해 하전된 입자에 대해 작용한다.
전기영동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5분 내지 2 또는 3시간; 바람직하게, 5분 내지 60분, 추가로, 바람직하게, 10분 내지 30분, 및 추가로 바람직하게, 10분 내지 20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전기영동 기술만을 단독으로 하는 선행 기술과 비교하였을 때, 침상형 결정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채널 어레이의 도움하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기영동 기술은 활성 성분의 흡수를 신속하고, 크게 촉진시킬 수 있다.
전기천공은 세포 도입 방법(cell introduction method)이다. 진피의 세포막은 대개 인지질 분자로 구성된다. 인지질 이중층의 공간 구조는 적절한 전류에 의해 순간적으로 개방된 후, 회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활성 물질은 공간 구조가 개방되었을 때,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세포막의 완전성을 유지시켜 주며, 따라서, 이는 우수한 비침습적 세포 도입 방법이다. 전기천공 방법과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수송 방법은 활성 물질을 흡수시키는 데 있어 시너지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물 분사류 방법과 관련하여, 활성 물질이 땀샘을 통해 피부 내로 더욱 잘 침투될 수 있도록, 및 동시에 각질층의 두께를 박막화하기 위해 고압 물을 이용하여 안면 피부에 강한 충격을 줌으로써 활성 물질의 유입을 촉진시킨다.
물 분사류 방법과 유사한 원리로 공기 분사류 방법은 활성 물질의 유입을 촉진시키기 위해 피부 표면에 작용하도록 고압 공기를 이용한다.
초음파 방법에서, 액체를 얼굴에 바른 후, 초음파로 처리하면, 이에 따라 액체로부터 미세기포(microbubble)가 발생할 것이다. 미세기포는 그가 터지는 시점에 활성 물질의 피부 내로의 유입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할 것이다.
레이저 박피 방법 및 다른 박피 치료법은 대개 침상형 결정 및 활성 물질의 유입을 추가로 촉진시키기 위해 각질층을 박막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상기 기술된 방법들은 모두 공동으로 시너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침상형 결정 및/또는 활성 성분을 적용할 때, 그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본 출원의 원리에 기초하여,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비침습적 수송 방법은 다양한 화장 방법에서 유용하다. 임의적으로, 활성 성분이 의약 성분일 경우, 비침습적 수송 방법은 또한 치료 방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은 피부를 통한 물질의 경피적 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한 비침습적 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비침습적 수송 방법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은 구체적인 실시예로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1
1. 클렌징 에멀젼 및 클리닝 겔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안면에서 화장, 기름 및 먼지를 세척 제거하였다.
2. 활성 성분을 매회 1 ml씩 다회에 걸쳐 대상체의 안면 상에 적용시켰고, 구체적으로는:
a. 1 ml의 활성 성분을 안면 피부 상에 적용시키고, 균일하게 피복시켰고;
b. 또 다른 1 ml의 활성 성분을, 흡수 및 증발로 인해 건조된 안면 피부 상에 앞서 적용된 활성 성분과 같이 안면 피부 상에 적용시키고, 균일하게 피복시켰고;
c. 총 5 ml의 활성 성분이 사용될 때까지 단계 a 및 b를 반복하였고;
d. 활성 성분의 최초 적용에서부터 마지막 적용까지의 기간을 기록하였다.
비교 실시예 1
이전 시험이 후속되는 시험을 방해하는 것을 막고,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1에서의 피부 상태가 확실하게 가장 유사하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 1의 처리를 받은 후 5일째, 대상체는 비교 실시예 1의 처리를 받았다.
1. 클렌징 에멀젼 및 클리닝 겔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안면에서 화장, 기름 및 먼지를 세척 제거하였다.
2. 1 ml의 침상형 결정을 안면 상에 적용시킨 후, 1분 동안 세게 안마하였다.
3. 활성 성분을 매회 1 ml씩 다회에 걸쳐 대상체의 안면 상에 적용시켰고, 구체적으로는:
a. 1 ml의 활성 성분을 안면 피부 상에 적용시키고, 균일하게 피복시켰고;
b. 또 다른 1 ml의 활성 성분을, 흡수 및 증발로 인해 건조된 안면 피부 상에 앞서 적용된 활성 성분과 같이 안면 피부 상에 적용시키고, 균일하게 피복시켰고;
c. 총 5 ml의 활성 성분이 사용될 때까지 단계 a 및 b를 반복하였고;
d. 활성 성분의 최초 적용에서부터 마지막 적용까지의 기간을 기록하였다.
주의: 상기 기술된 실험에서 사용된 활성 성분은 줄기 세포 추출물이었다.
5명의 각 대상체가 활성 성분을 모두 사용하는 데 소요된 총 시간이 하기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pct00002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침상형 결정으로 처리받은 대상체에서는 활성 성분 흡수 시간이 약 35.2%만큼 유의적으로 단축되었고, 이는 피부에 의한 활성 성분의 흡수 능력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2
1. 클렌징 에멀젼 및 클리닝 겔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안면에서 화장, 기름 및 먼지를 세척 제거하였다.
2. 20 ml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시약 병을 TMT 장치의 롤러 헤드에 연결시켰다.
3. TMT 장치를 작동시켰고, 그의 전력을 80%으로 설정하였다.
4. 롤링 작동기는 대상체의 안면 피부 전체에 환상으로 작동하였다.
5. 활성 성분의 최초 적용에서부터 활성 성분이 완전하게 다 사용될 때까지 그 기간을 기록하였다.
비교 실시예 2
이전 시험이 후속되는 시험을 방해하는 것을 막고, 실시양태 2에서의 피부 상태가 확실하게 비교 실시예 2에서의 것에 가장 근접하도록 하기 위해, 실시양태 2에서의 처리 후 5일 경과하였을 때 비교 실시예 2에서 기술되는 단계에 의해 대상체를 처리하였다.
1. 클렌징 에멀젼 및 클리닝 겔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안면에서 화장, 기름 및 먼지를 세척 제거하였다.
2. 2 ml의 침상형 결정을 안면 상에 적용시킨 후, 1분 동안 세게 안마하였다.
3. 20 ml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시약 병을 TMT 장치의 롤링 작동기에 연결시켰다.
4. TMT 장치를 작동시켰고, 그의 전력을 80%으로 설정하였다.
5. 롤링 작동기는 대상체의 안면 피부 전체에 환상으로 작동하였다.
6. 활성 성분의 최초 적용에서부터 활성 성분이 완전하게 다 사용될 때까지 그 기간을 기록하였다.
주의: 상기 기술된 실험에서 사용된 활성 성분은 줄기 세포 추출물이었다. 메조에스테틱(Mesoestetic)으로부터 입수한 TMT 장치는 전기영동 + 전기천공 다기능 장치이다.
5명의 각 대상체가 활성 성분을 모두 사용하는 데 소요된 총 시간이 하기 표 3에 열거되어 있다.
Figure pct00003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침상형 결정으로 처리받은 대상체에서는 활성 성분 흡수 시간이 약 53.7%만큼 유의적으로 단축되었고, 이는 피부에 의한 활성 성분의 흡수 능력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 사이의 비교에 기초하여, 전기 도입 기술(들) 사용과 함께 조합하여 침상형 결정을 사용함으로써 거의 동일한 기간 이내에 더 많은 활성 성분이 흡수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된다. 따라서, 기존의 통상적인 수송 방법(들)과 함께 조합하여 침상형 결정을 사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예시한 것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주에 기초하여, 당업계의 숙련가는 변형 또는 대안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변형 또는 대안은 본 발명의 보호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주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6)

  1. 침상형 결정(needlike crysal)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침상형 결정이 표피층에 마이크로채널 어레이(micro-channel array)를 형성하고, 이로써, 활성 성분이 마이크로채널 어레이를 통해 피부 내로 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비침습적 수송 방법(non-invasive transportation method).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형 결정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는 단계가 침상형 결정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기 이전에 그것을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비침습적 수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형 결정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는 단계가 활성 성분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기 이전에 침상형 결정을 피부 상에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비침습적 수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의 피부 내로의 수송을 촉진시키는 추가의 경피적 수송 방법(들)을 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추가의 경피적 수송 방법(들)이 이온영동, 전기영동, 전기천공, 물 분사류(water jetting), 공기 분사류, 미세바늘 기반 장치, 초음파, 레이저 박피 및 다른 박피 치료법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비침습적 수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해 피부를 안마식으로 누르거나, 또는 주무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비침습적 수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방법이 화장 방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비침습적 수송 방법.
KR1020197004020A 2016-08-19 2017-08-18 비침습적 수송 방법 KR20190042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698366.XA CN106166326A (zh) 2016-08-19 2016-08-19 一种非介入导入方法
CN201610698366.X 2016-08-19
PCT/CN2017/098037 WO2018033141A1 (zh) 2016-08-19 2017-08-18 非介入导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001A true KR20190042001A (ko) 2019-04-23

Family

ID=5737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020A KR20190042001A (ko) 2016-08-19 2017-08-18 비침습적 수송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188647A1 (ko)
EP (1) EP3501592A4 (ko)
JP (1) JP2019528111A (ko)
KR (1) KR20190042001A (ko)
CN (2) CN106166326A (ko)
BR (1) BR112019003224A2 (ko)
SG (1) SG11201900925YA (ko)
WO (1) WO2018033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6326A (zh) * 2016-08-19 2016-11-30 王子元 一种非介入导入方法
KR20210148840A (ko) * 2018-05-30 2021-12-08 츠 구안 왕 비침습적 수송 방법
CN112494796A (zh) * 2020-12-02 2021-03-16 中山大学 一种拍打式微针美容贴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63104B1 (en) * 2002-07-01 2014-02-12 Maria Villani Spongilla-based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acne
DE102005040251A1 (de) * 2005-08-24 2007-03-01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Transcorneales System zur Abgabe eines Arzneimittel-Wirkstoffes
KR20090087877A (ko) * 2006-10-05 2009-08-18 마리아 빌라니 피부 연마 기구 또는 피부 재생 수단으로서의 스폰질라 골편의 용도
US20150150788A1 (en) * 2012-06-22 2015-06-04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livering a compound through a biological barrier
CN103142479A (zh) * 2013-03-29 2013-06-12 中国药科大学 一种磷脂-维生素e琥珀酸聚乙二醇酯胶束的应用
KR101760045B1 (ko) * 2014-04-08 2017-07-20 (주)파이온텍 해면에서 얻은 천연 바이오 스폰지로부터 미세침의 정제 및 추출 방법
CN105616187B (zh) * 2016-02-04 2018-06-19 上海新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直达真皮层的涂抹式水光针及其制备方法
CN105999535A (zh) * 2016-04-27 2016-10-12 厦门大学 海绵骨针作为皮肤物理促渗剂的应用
CN106166326A (zh) * 2016-08-19 2016-11-30 王子元 一种非介入导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3224A2 (pt) 2019-07-16
US20200188647A1 (en) 2020-06-18
WO2018033141A1 (zh) 2018-02-22
CN114129886A (zh) 2022-03-04
EP3501592A1 (en) 2019-06-26
SG11201900925YA (en) 2019-03-28
EP3501592A4 (en) 2020-06-03
JP2019528111A (ja) 2019-10-10
CN106166326A (zh)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6046A1 (zh) 一种皮肤促渗方法及其促渗剂
US10646702B2 (en) Microneedle, mould for produc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US6532386B2 (en) Electrotransort device comprising blades
US9358376B2 (en) Microneedle roller
Majid et al. Microneedling and its applications in dermatology
KR20190042001A (ko) 비침습적 수송 방법
P Raphael et al. Recent advances in physical delivery enhancement of topical drugs
US201800991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iggering wound recovery by delivering solution into the pores of recipient
KR101166587B1 (ko) 모발로의 유효성분의 이온도입 및 원적외선 부여트리트먼트 장치
CN215135863U (zh) 微电流纳米微针晶片装置
US20160135889A1 (en) Method for depilation by photothermolysis with melanin
US20210085945A1 (en) Non-invasive Transportation Method
KR20100094700A (ko)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Elghblawi Medical micro-needling
KR20180000477A (ko)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도입된 하이드로겔 팩
CN214260363U (zh) 一种纳米微针
Dhurat et al. Microneedling
CN112587791A (zh) 微电流纳米微针晶片装置及导入外泌体的方法
RU2197952C1 (ru) Способ омоложения кожи (варианты)
Capasso Gabriella Fabbrocini, Patrizia Forgione, and
Singh et al. Micropor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rug delivery
BR102019021128A2 (pt) fórmula para dermocosmético revitalizador facial
KR20200062097A (ko) 마이크로 스피큘, 이의 제조용 몰드 및 이의 제조 방법
Bacci Dermoelectroporation and Biodermogenesi “
CN113262391A (zh) 紧致皮肤微针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