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700A -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700A
KR20100094700A KR1020090013796A KR20090013796A KR20100094700A KR 20100094700 A KR20100094700 A KR 20100094700A KR 1020090013796 A KR1020090013796 A KR 1020090013796A KR 20090013796 A KR20090013796 A KR 20090013796A KR 20100094700 A KR20100094700 A KR 20100094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reatment
skin care
skin
micro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민용
Original Assignee
전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용 filed Critical 전민용
Priority to KR102009001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4700A/ko
Publication of KR2010009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플래트의 상부면에 바이브레이터나 초음파자극기의 금속진동판 등의 치료기기의 말단이 탈착가능 하게하고, 마이크로니들 플레트의 곡률도를 용도에 맞게 조정하여 성형하거나, 플레트에 약물의 유출방지턱을 형성하여, 피부에 도포되는 약물 등의 성분을 외부 유실이나 공기 중 증발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히 피부내로 전달되게 하면서, 치료기기의 에너지를 동시에 피부에 인가하여 복합적인 효과를 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이크로니들, 바이브레이터, 초음파진동기, 광선조사기, 금속진동판, 약물, 고주파 기기, 저주파 기기, 이온 투입기, 금속코팅,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 마이크로니들 보호커버, 결착턱,약물저장층, 약물출구공, 약물코팅층, 결착컵, 결착슬릿, 결착돌기, 결착나사, 유출방지턱, 곡률도, 상부덮개, 플레트, 니들고정덮개, 통전홀,

Description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THE TREATMENT AND SKIN CARE SYSTEM CONNECTED WITH MICRO-NEEDLE STAMP}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스탬프를 이용한 신속한 약물 및 기타 코스메틱 물질의 경피투여 와 아울러 물리적, 전기적 및 광학적 의료기기와 연동되어 복합효과를 내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피부는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부는 자외선의 작용 및 피부 혈액순환의 장애 및 영양전달 물질의 공급불완전 등의 기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점차 세월이 흐르면서 세포의 활성화가 떨어지는 노화의 과정을 밟아가고 있다. 따라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탄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코스메틱 물질을 피부에 도포하여주고 있지만 이러한 성분들이 피부 배리어를 통과하여 표피 및 진피층으로 흡수되는 비율은 고작 0.3%에 그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위하여 고분자 물질인 코스메틱 성분을 나노화시킨다든지 이온화시켜서 피부 배리어를 통과하는 비율을 높이고자 하고 있다. 또한 초음파의 진동에너지를 이용하여 피부 세포간의 공간을 확장하여 투과율을 높이는 경피전달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침투시키고자 하는 물질의 분자량이 클 경우에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기술이 도입되었다.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기술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바, 우선 롤러형태로써 롤러 주위로 다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형성시키고 이를 피부표면에 굴려서 마이크로 니들이 피부에 다수의 미세한 채널을 형성한 뒤에 2차적으로 약물이나 코스메틱 성분을 도포하여 주는 방식이 있으며, 여기에다 진동유닛을 손잡이에 첨가하여 니들의 침투력을 높여주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니들 롤러 시스템의 예는 , KR 10-2008-0,074,433호, KR 20-0,428,914호 등에 소개되어 있다. 또 다른 방식은 편평한 면에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을 형성하고 이를 피부에 도장 찍듯이 손에 의하여 수직으로 압력을 가해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채널을 형성한 뒤 상기와 같이 약물이나 코스메틱 성분을 도포해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시스템은 US 6,607,513 B1호, KR20-0,423,963호, KR10-0,802,155호 등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의 두 가지 방식은 일단 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여 종래에는 통과하지 못했던 고분자 물질 등이 피부를 투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점에서는 진일보 하였지만, 침투 채널을 형성한 뒤 단순히 약물이나 코스메틱 성분을 도포하여 줌으로써 침투과정에 있어 일부 성분은 피부내로 투입되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이 대기중으로 건조 소멸되는 단점이 있으며, 마이크로니들 롤러의 손잡이에 진동유닛을 일체로 구비한 시스템의 경우 진동유닛이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삽입될 때 용이하게 해주는 점에 불과하고, 진동에너지가 마이크로니들의 침투이외 다른 용도로 쓸 수 없는 점이 아쉬우며 전체적으로 마이크로니들 유닛의 제작 경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패치방식이 있다. 패치의 피부면과 접촉하는 면에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을 형성하고 니들자체 혹은 피부에 접하는 면에 약물을 코팅하거나 약물을 함유한 생분해성 니들을 형성하거나 피부와 접하지 않는 면에 약물저장층을 형성하여 피부에 침투된 마이크로 니들에 의하여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서서히 약물 등을 경피투여하여 체내로 흡수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약물침투 시스템의 예는 US 6,312,612 B1호,KR10-2008-0,050,580호, KR10-2005-0,019,789호 등에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전술한 방식과 마찬가지로 약물을 체내로 송달함에 있어 경구투여가 가져올 수 있는 위장관에서의 심한 분해, 장막에서의 불량한 흡수, 및/또는 간에 의한 1차 통과 파괴로 인한 비효율성의 제거 및 환자의 바늘공포증 실질적인 통증, 그리고 국부적 피부손상을 피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동일하며, 상대적으로 약물 손실 없이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체내로 흡수시키는 점에 있어서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피부의 넓은 부위에 약물을 고르고 빨리 그리고, 약물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피부내로 침투시켜야 하는 점에 있어서는 전술한 롤러방식이나 스탬프 방식에 비해서는 덜 효과적인 방식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은 주사나 경구투여 이외의 방법으로 약물이나 코스메틱 물질을 체내에 투입시키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의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식 외에 노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전기적, 음파적, 열적 및 광학적 에너지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피부 및 인체 조직에 가하여 노화된 세포의 활성화 및 병변을 일으키는 세포나 조직의 치료 등에 적용하고 있다.
그 몇 가지 예로써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우선, 의료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기기는 압전세라믹에 의하여 발생된 초음파 에너지를 피부 나 체내 조직에 가하여 초당 수만에서 수백만 번 진동하게 함으로써 피부조직의 혈액순환을 증진시켜 체액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고 세포의 물질순환을 촉진시켜 세포의 활성화를 증가시켜 피부노화를 회복시키거나, 암세포나 종양조직의 부위에 강한 열을 발생시켜 소멸을 시켜 치료하기도 한다.
또 한편으로 고주파 치료기는 전기를 생체에 가할 때 생체를 구성하는 분자들의 이온들이 RF교류전류에 의하여 양전하는 음극 쪽으로 음전하는 양극 쪽으로 끌려가는 분극운동을 하여 세포조직 내에서 열을 발생시켜 모발성장의 촉진, 통증치료, 혈액순환촉진, 치질치료, 암세포 증식의 억제, 비만관리(체지방 분해),여드름제거, 기미제거, 충혈, 안구건조증 개선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갈바닉 이온 전류는 흐르는 방향과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로서 화학적 효과와 가열효과 및 혈관운동의 자극효과가 있어 수용성 물질의 피부침투를 극대화시키고 피부 노화방지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기술이 피부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10-2008-0,074,433호 (호남석유화학, 한국과학기술원) 2008.8.13
[문헌2] KR 20-0,428,914호 (황득생) 2006.10.10
[문헌3] KR 20-0,428,918호 (황득생) 2006.10.10
[문헌4] KR 10-2008-0,056,850호 (이영도) 2008.6.24
[문헌5] US 6,607,513 B1 (James Down외 4인) 2003.8.19
[문헌6] KR20-0,423,963호 (주식회사 토아스) 2006.8.14
[문헌7] KR10-0,802,155호 (하지훈) 2008.1.31
[문헌8] US 6,312,612 B1호 (Faiz Feisal Sherman 외 3인) 2001.11.6
[문헌9] US 3,964,482호 (Martin S.Gerstel외 1인) 1976.6.22
[문헌10] KR 10-2008-0,050,580호 (테라젝트, 권성윤) 2008.6.9
[문헌11] KR 10-2005-0,019,789호 (권성윤) 2005.3.3
[문헌12] KR 20-0,440,752호 (윤양효) 2008.6.24
[문헌13] KR 10-2004-0,023,101호 (정훈기공) 2004.3.18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피부의 넓은 면적에서 종래의 방식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약물 등을 체내로 경피투여 하면서 약물이나 코스메틱 성분등의 유실을 최소화하고, 또한 그 제작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작경비를 줄일 수 있게 하며, 여타의 전기적 물리적 광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의료기기와 손쉽게 결착되게 하여 그 작용효과를 증대시키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그 하부에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플레트 상면에 바이브레이터의 말단 팁이나 초음파진동기의 진동판 등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접착제 층을 형성하거나, 바이브레이터의 말단 팁이나 초음파진동기의 금속진동판 또는 기타 의료기기 등의 말단과 대응하게끔 결착컵, 결착슬릿, 결착돌기, 결착나사 등을 형성하여 탈착 가능하게 하고, 피부 면과 접촉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주위로 약물 등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출방지턱을 형성하거나 또는 플레트의 곡률도를 조정하여 피부에 도포된 약물 등을 마이크로니들 스탬프로 경피투여 시킬 때 약물의 공기 중 누출 및 소실을 최소화하며, 광학에너지가 피부에 직접 작용할 수 있게 플레트의 중앙에 공동을 형성하거나, 전기적 에너지가 피부에 동시에 인가될 수 있게 플레트 상하면에 금속코팅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경피투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이크로니들 플레트 상부 면에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탈착장치로 여러 종류의 의료기기와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고, 부착하여 압력을 가하면 피부와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플레트 사이에 도포된 약물 등이 마이크로니들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피부 내 침투가 용이하며, 스탬프 플레트의 하부면에 형성된 유출방지턱 및 굴곡진 플레트 단면으로 인하여 약물이나 코스메틱 성분 등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거나 소실되는 것을 더욱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둘째, 제작비면에서 마이크로니들과 플레트를 일체화하여 성형하고 이에 접착제층 및 금속층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 시킬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시스템 제작경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셋째, 마이크로니들의 침투와 동시에 바이브레이터 또는 초음파 에너지 등의 물리적, 전기적, 광학적 에너지를 병행하여 피부에 인가할 수 있어 마이크로니들의 피부삽입으로 확보된 채널이 더욱 확장되어 약물 등의 고분자 물질의 경피 투여가 더욱 쉽고 빨라지며, 인가되는 전기적 물리적 광학적인 의료기기의 작용과 상호 복합작용으로 피부내의 혈액의 흐름 및 체액의 흐름이 더욱 원활한 상태가 되어 영양물질의 세포내 공급도 활성화되는 동시에 약물의 체내 유입이 가속화되고 피부개선효과 등이 배가 된다.
넷째, 빠른 약물의 침투효과로 인하여 넓은 면적의 피부를 통한 경피투여를 하고자 할 적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약물 뿐 만아니라 코스메틱 물질을 안면 또는 기타 부위의 피부에 투입할 시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섯째, 마이크로니들 스탬프는 저렴하게 1회용으로 처리할 수 있어 각종 의료기기 등과 결착하여 사용 시 감염의 우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나 진동기기 일체형의 경우보다 제작 경비 면에서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도1 도2A 도2B 도2C 도2D 및 도3은 의료기기 말단과 결착되는 다양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플레트의 단면도로써, 각각의 플레트(23) 윗면에는 접착제층 (6)이 형성되고 사용 시 접착제 커버(7)를 벗겨내고 결합하고자하는 의료기기 등의 말단에 마이크로니들 스템프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플레트(23) 윗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6) 및 그 접착제커버(7)는 플레트(23) 전체를 커버할 수도 있으며, 가운데가 비어있는 원형 등으로 형성되는 등 그 모양은 다양할 수 있다. 플레트(23)에 형성되는 마이크로니들(1)의 모양은 뾰쪽한 바늘형상, 중앙이 빈 공동의 원기둥 형상, 칼날형상, 등 모양과 그 숫자에 제한은 없다. 상기 플레트(23) 및 마이크로니들(1)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성형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폴리메틸타크릴레이트(PMMA), 봉합사 재료의 폴리머, 폴리디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PDM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E)등이 있으며,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리화학적, 광학적 투과성 등의 특성을 지닌 성형 가능한 물질의 적용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플레트(23)의 성분과 별도로 금속제 마이크로니들이 하나 또는 그 이상 병행되어 사용될 수 도 있다.
도1은 마이크로니들(1) 어레이가 플레트(23) 아래에 형성되고 그 측면 테두리에 약간 경사지게 유출방지턱(21)이 완만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유출방지턱(23)은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전체의 테두리 또는 내부의 공동 쪽에도 형성되어 피부에 도포된 약물(5) 등이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2A는 마이크로니들(1) 플레트(23)의 아래 면이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 아래의 약물을 가두게 된다..
도2B는 마이크로니들(1) 플레트(23)의 아래 면이 편평한 형태로 형성되고, 유출방지턱(21)없이 플레트(23)의 상면에 접착제층(6)과 접착제커버(7)가 형성된다.
도2C는 마이크로니들(1) 플레트(23)의 아래 면이 바깥쪽으로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고, 유출방지턱(21)이 플레트(23)의 상면에 접착제층(6)과 접착제커버(7)가 형성된다.
도2D는 마이크로니들 스템프의 가운데 부분이 원형으로 비어있는 공동(27)을 형성하여 레이저와 같은 광학적 에너지가 피부에 직접 조사될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공동(27)은 크기와 모양에 있어서 반드시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사되는 광원에 따라서 그 수에 있어서도 제한이 없다. 즉, 마이크로니들 사이에 다수의 공동(27)이 형성될 수 도 있다.
도3은 마이크로니들(1) 어레이가 플레트(23) 아래에 형성되고 그 측면 테두리에 플레트(23)와 거의 90도 각도로 유출방지턱(21)을 형성하며, 플레트(23)의 상면에 접착제층(6)과 접착제커버(7)가 형성된다.
이상의 도1 도2A 도2B 도2C 및 도3에서 각각의 마이크로니들(1)이 형성된 플레트(23)의 상면에 접착제층(6)이 형성되어 여기에 후술하는 다양한 종류의 바이브레이터(2), 초음파진동기(3) 등의 의료기기의 말단이나 금속진동판(4) 등과 탈착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결착컵(16), 결착슬릿(17), 결착돌기(18), 결착턱(19), 결착나사(20) 등이 부착되어 상기의 바이브레이터(2) 초음파진동기(3) 등 의료기기의 말단과 결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착구조는 종래의 마이크로니들 스탬프가 손잡이와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제작단가가 비싸지고 따라서 소비자가 고비용을 지불해야 구매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마이크로니들(1)은 감염의 위험 때문에 여러 번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고, 1회용으로 사용 후 버려야 하는 점은 자원의 낭비가 심한 것이 단점이다.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스탬프는 마이크로니들(1) 어레이가 형성된 플레트(23)의 상면에 간편한 공정으로 접착제층(6)을 형성함으로써 종래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각종 바이브레이터(2) 및 다양한 에너지를 피부에 인가하여 복합적인 효과를 동시에 낼 수 있는 의료기기 등과 결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마이크로니들 스탬프를 의료기기 등으로부터 탈거하여 버릴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감염의 예방 및 비용 감소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4는 환자피부의 도식적 단면도로써 피부의 가장 외곽에 있는 각질층(10)은 통상 10내지 20미크론 두께의 죽은 세포층으로, 주로 세라마이드인 지질의 소수성 세포와 매트릭스로 둘러쌓인 친수성 각질세포를 함유한다. 이러한 각질층(10)은 구조적 조성적 특성으로 인하여 약물이나 다른 외부 성분물질의 피부 내 침투를 억제하고 체내물질의 체외 이동을 동시에 억제하는 가장 큰 장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각질층(10)은 2내지 3주간의 턴오버 기간을 가지면서 각질층 세포들이 떨어져 나간다.
피부 각질층(10) 아래에는 50 내지100미크론 두께의 표피층(11)이 형성되어 있다. 표피(11) 바로 아래에는 진피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는 혈관이나 림 프관 신경말단 등이 존재하며 원활한 대사물질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진피(12)의 두께는 1내지 3㎜이다.
도5 도6 및 도7은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에 압력을 가했을 때 피부와 접촉되는 면의 도식적 단면도로써 마이크로니들(1)이 각질층(10)을 지나 표피층(11) 진피층(12)으로 진입될시 일정한 압력을 피부표면에 가해 졌을 때 피부는 고유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아래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때 피부에 먼저 도포된 약물(5) 등은 플레트(23) 아래에 머물고 있다가 일부는 마이크로니들(1)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표피(11) 진피층(12)으로 침투되고, 일부는 플레트(23)의 측면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플레트(23)의 측면에 일정한 각도로 형성된 유출방지턱(21)에 의하여 측면으로 밀려나던 약물(5) 등을 플레트(23)의 하부측면 공간 내에 가두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마이크로니들(1)에 의하여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피부에 침투된다. 이때 유출방지턱(21)의 각도가 90도에 가까우면 플레이트의 압력에 의하여 측면으로 밀려난 약물(5)등은 유출방지턱(21) 주변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게 되고 테두리 부위로 약물(5)의 침투가 상대적으로 많게 된다. 그리고 이때 유출방지턱(21)의 각도가 완만하게 형성되면 약물(5)은 플레트(23)의 아래 피부 면에 균일하게 침투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유출방지턱(21)을 형성하는 것과 달리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플레트(23)의 아래 면을 안쪽으로 오목하게 라운딩되게 형성하면 약물(5) 등은 피부와 플레트(23) 사이의 공간에 갇히게 되고 상부의 누르는 압력으로 마이크로니들(1)에 의해 형성된 채널을 타고 약물손실 없이 피부내의 체액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도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트(23)의 안쪽 면이 편평하면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라운딩된 경우에 비하여 플레트(23)와 피부 사이에 존재하는 약물(5) 등의 양은 적을 수 있다. 또한 도2C처럼 플레트(23)가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하면 코 주변 등 피부의 좁은 요철부위에 효율적으로 약물(5)을 침투하게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8A-도8E는 마이크로니들 플레트의 상면에 접착 또는 형성될 수 있는 연결소재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써, 마이크로니들(1) 형성된 플레트(23)의 상면에 다양한 종류의 결착도구를 형성한 실시예들로써 마이크로니들 스탬프는 상기의 바이브레이터(2)등과 결착될 때 더욱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결착컵(16), 결착슬릿(17), 결착돌기(18), 결착턱(19), 결착나사(20)등을 부착시킬 수 있게 하거나, 상기의 결착기둥(16), 결착슬릿(17), 결착돌기(18), 결착턱(19) 결착나사(20)를 일체로 형성한 마이크로니들 스템프를 성형하여 제조 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 도시 열거한 외에도 다양한 모양이나 숫자 또는 그 크기 등에 제한이 없이 결착구조 등을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이들에 대응하는 바이브레이터(2)나 초음파진동기(3) 또는 광선조사기(28) 등 의료기기들의 말단과 결착할 수 있게 한다.
도9A-도9E는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결착된 의료기기의 바람직한 실사용 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 마이크로니들(1) 플레트(23)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제층(6) 또는 다양한 결착컵(16)이나 결착슬릿(17) 등에 바이브레이터(2)나 초음파진동기(3) 등을 부착하거나 결착구조 등에 의하여 결착하여 약물(5) 등을 침투시키고자 하는 피부 면에 대고 눌러 마이크로니들(1)을 피부층에 삽입시키는 동시에 바이브레이터(2)나 초음파진동기(3), 광선조사기(28) 또는 후술하는 이온도입기 등의 전기적 물리적 에너지를 인가하게 되면, 단순히 스탬프 식으로 피부 면에 마이크로니들(1)을 수직으로 찌르거나 마이크로니들 롤러로 피부 면을 몇 회 문지르고 난 뒤에 약물을 도포해 주는 방식에 비하여, 약물(5) 이나 코스메틱 성분 등의 공기 중으로 증발이나 소멸 등의 손실은 방지하면서, 피부 침투효과는 배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빠르고 효율적으로 넓은 면적의 피부 면에 약물을 침투 시킬 수 있으며, 패치식의 붙여놓는 침투방식에 비하여 넓은 면적에 신속히 약물을 침투시킬 수 있고, 부차적으로 상기의 기기들로 인한 마이크로니들(1)의 피부삽입으로 확보된 채널이 더욱 더 확장되어 약물 등의 고분자 물질의 경피투여가 더욱 쉽고 빨라지며, 피부내의 혈액의 흐름 및 체액의 흐름이 원활한 상태가 되어 영양물질의 세포내 공급도 활성화 되고, 이온 또는 갈바닉 전류의 도전 통로로 사용될 경우,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주위로 극성을 띄는 이온 뿐 만 아니라 체액의 이동도 활성화시켜 세포내 단백질 및 DNA합성을 도와주어 상처나 잔주름 등의 손상되고 노화된 피부를 빠르게 회복시켜 주는 복합적인 효과를 주게 된다.
상기의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결된 의료기기 등을 통하여 피부에 약물(5)등을 다 침투시키거나, 결착된 의료기기의 에너지 인가를 마친 뒤 마이크로니들 스탬프는 간단히 탈거하여 감염방지를 위하여 버릴 수 있게 되어 위생적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니들 스탬프가 부착될 수 있는 기기는 상술된 기기 뿐 만 아니라 열거 되지 아니한 다양한 전기적 물리적 광학적 에너지를 발생하는 장치의 말단부위와 착탈되어 응용되어짐은 물론이다.
도10은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단면도로써, 플레트(23)의 하면에 다양한 종류의 약물(5)이나 코스메틱 성분 등이 제조과정에서 미리 코팅되는 약물코팅층(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팅 되어지는 약물(5)등은 피부 침투 전에 피부에 도포되는 용매, 주로 물 또는 노말셀라인에 의하여 용해되어 피부로 침투될 수 있으며, 상기의 물리적, 전기적 또는 광학적 의료기기의 자극에 의하여 용해 및 침투가 더욱 촉진되는 성분 등이 배합되어 코팅되어질 수 있다.
도11A 및 도11B는 약물저장층(9)을 마이크로니들 플레트(23)의 상면에 형성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단면도로써, 플레트(23) 아래쪽에는 제거 가능한 마이크로니들 보호커버(14)가 형성되어 있고, 플레트(23)의 상면에는 상부덮개(22)에 의하여 약물저장층(9)을 형성하고 그 상부덮개(22)의 상면에 접착제층(6)과 접착제커버(7)를 형성하며, 상부덮개(22)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저장된 약물(5) 등이 밀려 내려오며, 하나 이상의 약물출구공(15) 또는 마이크로니들(1b)에 형성된 약물출구공(15b)을 통하여 피부내로 투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의 바이브레이터(2)나 초음파진동기(3)의 물리적 진동 등은 약물(5)의 경피투여 작용을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
도12A 도12B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윗면에 금속코팅을 한 단면도의 예들로써, 금속 마이크로니들(1a)을 플레트(23)에 형성하고 플레트(23) 상면에 금속코팅층(8)을 형성시키고 금속 코팅된 플레트(23)의 윗면에 결착컵(16)을 형성하여 상기의 전기적 에너지를 인가 할 수 있는 의료기기와 결착되어 마이크로니들(1)의 피부침투로 약물(5) 등의 피부 침투 및 전기적 에너지로 인한 이온 및 갈바닉 미세전 류, 기타의 전기에너지 통전동로로 사용되어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시스템의 피부 개선효과 및 약물(5)의 침투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형성되는 금속코팅층 위의 결착컵(16)이나 결착슬릿(17)의 모양이나 크기, 두께,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결착컵(16) 내면에 나사선을 형성하는 등 이에 착탈되는 전기에너지 발생기기의 말단과 대응되게 함에 제한이 없다.
도13A-도13E는 플레트(23) 상하로 금속코팅이 되어진 마이크로니들 스템프의 단면도들로써, 플레트(23)는 마이크로니들(1)과 일체로 성형하되 플레트(23)하부 및 플레트(23)의 상부에 각각 금속코팅을 입히되 플레트(23)의 일부면에 형성된 통전홀(25)내부도 동시에 코팅되는 방식으로 코팅하게 되면 작업공정이 훨씬 단축되면서 제조 단가가 다운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도13B에서와 같이, 별도의 금속기둥(26)을 통전홀(25)에 삽입하고 플레트(23) 상하부면에 금속코팅층(8,8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하 통전되는 금속코팅이 이루어진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윗면에 상기의 전기적 에너지를 인가 할 수 있는 기기의 말단 부위를 결착시켜 마이크로니들(1)의 피부침투와 더불어 전기적 에너지의 인가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코팅에 있어 플레트(23)의 일부 즉 테두리 부위에만 적용하고 플레트(23)의 가운데 부분은 광선 등이 투과될 수 있게 금속코팅에서 제외시키는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13D 및 도13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트(23)의 가운데 부위에 광학적 에너지가 피부에 직접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동(27)부위를 제외한 플레트(23)의 상하부면에 금속코팅층(8,8a)을 형성한 다. 따라서 끼움컵(16)에 결착되는 기기의 다양한 에너지를 피부에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선조사, 약물침투 및 전기적 물리적 에너지의 다양한 복합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14A-도14F는 끼움컵과 결합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평면도로써, 금속의 코팅에 있어서 플레트(23) 상에 결착되는 의료기기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서 전체, 2분할, 3분할 및 4분할되어 코팅되어질 수 있으며, 플레트(23)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공동(27) 부분으로는 광학적 에너지가 피부로 동시에 가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 도2A-도2D 및 도3은 의료기기 말단과 결착되는 다양한 형태의 마이크로니들 스탬프 플레트의 단면도이다.
도4는 환자피부의 도식적 단면도이다.
도5 도6 및 도7은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에 압력을 가했을 때 피부와 접촉되는 면의 도식적 단면도이다.
도8A-도8E는 마이크로니들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착 또는 형성될 수 있는 연결소재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A-도9E는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및 스킨케어시스템의 실사용 예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단면도이다.
도11A 및 도11B는 약물저장층을 마이크로니들 플레트의 상면에 형성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단면도이다.
도12A 도12B는 금속 마이크로니들이 플레트에 끼워진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단면도이다.
도13A-도13E는 마이크로니들 플레트 상하면에 금속코팅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단면도이다.
도14-도14F는 끼움컵과 결합된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금속코팅 분할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마이크로니들, 2바이브레이터, 3초음파진동기, 4금속진동판, 5약물, 6접착제층, 7접착제커버, 8,8a금속코팅층, 9약물저장층, 10각질층, 11표피층, 12진피층, 13약물코팅층, 14마이크로니들 보호커버, 15,15a약물출구공, 16결착컵, 17결착슬릿, 18결착돌기, 19결착턱, 20결착나사, 21유출방지턱, 22상부덮개, 23플래트, 24니들고정덮개, 25통전홀, 26금속기둥 27공동, 28광선조사기

Claims (14)

  1.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된 마이크로니들 스템프와;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의 플레트 상면에 결착 가능한 접착제를 형성하여;
    의료기기 등과 결착되어 치료 및 스킨케어를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하면에 유출방지턱을 형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여 의료기기 등과 결착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내부면에 일정한 곡률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의료기기 등과 결착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상면에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결착컵, 결착슬릿, 결착돌기, 결착턱 가운데 하나를 형성하여 대응하는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가운데에 공동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하부면에 약물코팅층을 형성하는 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상부면에 약물저장층을 형성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상부면에 금속코팅층을 형성하고, 금속제 마이크로니들을 플레트에 형성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금속코팅층을 형성하고, 플레트의 일부에 통전홀을 형성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10. 제1항과 5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공동부분을 포함한 금속코팅을 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11. 제1항과 5항에 있어서, 금속코팅층이 2분할, 3분할, 4분할되고, 각각의 분할에 금속코팅된 통전홀을 형성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12. 제1항과 9항에 있어서, 통전홀에 금속기둥을 형성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13. 제1항과 9항에 있어서, 플레트의 가운데 부분을 제외하고 금속코팅을 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14. 제1항과 9항에 있어서, 금속코팅층이 2분할, 3분할, 4분할되고, 각각의 분할에 형성된 통전홀도 금속코팅을 하여 의료기기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KR1020090013796A 2009-02-19 2009-02-19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KR20100094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96A KR20100094700A (ko) 2009-02-19 2009-02-19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796A KR20100094700A (ko) 2009-02-19 2009-02-19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00A true KR20100094700A (ko) 2010-08-27

Family

ID=4275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796A KR20100094700A (ko) 2009-02-19 2009-02-19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4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430A (ko) * 2011-03-03 2014-01-24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785844A (zh) * 2017-05-02 2018-11-13 江苏金甙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冲击波可触变药物及护肤品微流体输送装置
KR102428027B1 (ko) * 2022-02-07 2022-08-01 한상범 마이크로 니들이 장착된 스탬프형 유체 주입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7037B2 (en) 2007-08-03 2020-12-08 Neodyne Biosciences, Inc. Controlled strain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KR20140010430A (ko) * 2011-03-03 2014-01-24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10572A (ko) * 2011-03-03 2020-01-30 네오다인 바이오사이언시스,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타이트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701262B2 (en) 2011-03-03 2023-07-18 Neodyne Bioscienc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kin tightening
CN108785844A (zh) * 2017-05-02 2018-11-13 江苏金甙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冲击波可触变药物及护肤品微流体输送装置
KR102428027B1 (ko) * 2022-02-07 2022-08-01 한상범 마이크로 니들이 장착된 스탬프형 유체 주입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966B1 (ko) 어플리케이터들에 일체화될 수 있는 내장형 비-경구 지시 장치
Brown et al.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skin perturbation devices
Brown et al. Dermal and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current and future prospects
JP4782778B2 (ja) エクステンサ−リラクサ手段を含む経皮薬物送達装置
Yamada et al. Physical drug delivery enhancement for aged skin, UV damaged skin and skin cancer: Translation and commercialization
Nanda et al. Current developments using emerging transdermal technologies in physical enhancement methods.
US20060051404A1 (en) Microstructure roller system
EP2946805A1 (en) Microneedle, mould for producing same,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JP5408592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の迅速溶解法
CN112957606A (zh) 皮肤物理促渗剂及其应用
JP5746101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の迅速溶解法
KR20100101420A (ko) 마이크로니들 및 진동발생장치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기기
KR20100094700A (ko) 마이크로니들 스탬프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시스템
KR20190042001A (ko) 비침습적 수송 방법
Herwadkar et al. An update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technologies to enhance intradermal and transdermal drug delivery
Grice et al. Electrical and physical methods of skin penetration enhancement
US20210085945A1 (en) Non-invasive Transportation Method
Lee et al. Advancements in Skin‐Mediated Drug Delivery: Mechanism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Dhamecha et al. Physical approaches to penetration enhancement
Pawar et al. An updated review on glob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developments and future potential of non-invasive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JP2015134288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の迅速溶解法
JP6028063B2 (ja) アプリケータに統合可能な内蔵非言語的指示デバイス
Nguyen Microneedles: The Future of Drug Delivery
Kochhar et al. Introduction & Literature Review
Singh et al. Micropor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rug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