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712A - 매립형 수전함 - Google Patents

매립형 수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712A
KR20190041712A KR1020170133262A KR20170133262A KR20190041712A KR 20190041712 A KR20190041712 A KR 20190041712A KR 1020170133262 A KR1020170133262 A KR 1020170133262A KR 20170133262 A KR20170133262 A KR 20170133262A KR 20190041712 A KR20190041712 A KR 2019004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main body
notification unit
uni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376B1 (ko
Inventor
강옥수
Original Assignee
강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수 filed Critical 강옥수
Priority to KR102017013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매립형 수전함이 개시된다. 수전함은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연결구를 수용하는 수전함본체와, 상기 수전함본체에 장착된 누수알림부와, 상기 누수알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누수알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 또는 배관연결구에서 누출된 누수에 통전되는 통전스위치를 가진 누수감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전함은 내부에서 누출된 누수가 통전스위치를 작동시키 누수알임부가 작동하게 함으로써 편리하게 신속하게 수전함으로 누수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수전함{A built-in water service box}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하는 매립형 수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등의 건축물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급수관을 씽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의 각수요처로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분배기로부터 연결되는 급수관은 화장실이나 욕실로 향하고, 각 실의 입구에 설치된 각각의 수전함으로부터 연결관을 결속하여 욕조, 세면대, 변기 등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559161호에서 벽체매립형 수전함을 개시하고 있다. 급수관은 힘을 주어 구부려진 상태로 인출되거나 삽입되며 상기 분배함 또는 수전함 내부에서 배관연결구에 의해 배출관으로 연결되는데, 부정확한 결합이나 편심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전함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누수는 수전함과 외부가 통하는 틈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와 같이, 수전함 내부에서 발생한 누수는 모든 건축물 내부로 누수가 확장된다. 이렇게 되면 누수 발견이 늦어지게 되고 누수가 발생한 최초 누수 발생부를 찾기 어려워지며, 누수에 대한 피해가 매우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전함 내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즉시 외부로 누수발생을 알릴 수 있는 매립형 수전함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매립형 수전함이 제공된다. 매립형 수전함은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연결구를 수용하는 수전함본체와, 상기 수전함본체에 장착된 누수알림부와, 상기 누수알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누수알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 또는 배관연결구에서 누출된 누수에 통전되는 통전스위치를 가진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립형 수전함은 간단한 구조로 누수발생을 외부로 알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통전스위치는 상기 수전함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응결이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적은 물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전함본체는 전방이 개방된 전면개방부, 상기 전면개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커버, 및 상기 메인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수전함본체와 연통하는 보조커버개구를 개폐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함으로써, 수전함 내부를 쉽게 확인할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부의 장착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누수알림부는 무선통신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알림부는 통전스위치가 온(on) 됨에 따라 누수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누수상태를 즉시 알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은 온수배관과 냉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상기 온수배관에 장착되는 온기전달부, 상기 냉수배관에 장착되는 냉기전달부, 및 상기 온기전달부와 상기 냉기전달부 사이에 샌드위치된 열전소자를 포함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을 반영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립형 수전함은 간단한 구조로 수전함 내에서의 누수를 감지하고, 감지 오동작을 방지하고, 수전함 내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누수상태를 외부로 즉시 알릴 수 있고, 편리한 방법으로 발전을 통해 누수알림부가 사용하는 배터리의 방전을 반영구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수전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 내지 4는 도 1의 매립형 수전함의 커버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수전함(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수전함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수전함본체(110)의 메인커버(114)의 전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메인커버(114)의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4는 보조커버(115)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매립형 수전함(100)은 수전함본체(110), 누수알림부(130), 전원공급부(140), 및 누수감지부(150)를 포함한다.
수전함본체(110)는 전방이 개방된 박스(111) 및 박스(111)의 전방을 커버하는 메인커버(112)를 포함한다.
박스(111)는 개방부가 전면에 위치하도록 벽체에 매립된다. 박스(111)는 내부에 배관(102)을 연결하는 배관연결구(105)를 수용한다. 배관(102)은 수전함본체(110)의 좌우로부터 인입되는 온수배관(103)과 냉수배관(104)을 포함한다. 배관연결구(105)는 온수배관(103)을 연결하는 온수배관연결구(106)와 냉수배관(104)을 연결하는 냉수배관연결구(107)를 포함한다. 온수배관연결구(106)와 냉수배관연결구(107)는 외부의 수도꼭지(미도시)에 결합된다. 여기서, 배관(102) 및 배관연결구(105)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메인커버(112)는 좌우에 온수배관연결구(106)와 냉수배관연결구(107)가 통과하는 2개의 개구(113) 및 중앙에 보조커버(115)가 결합되는 보조커버개구(114)을 포함한다. 보조커버개구(114)는 수전함본체(110)의 내부 상태, 즉 누수상태, 누수알림부 상태, 전원공급부(140) 상태, 통전스위치(150) 상태를 메인커버(112)를 분리하지 않고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커버개구(114)에는 보조커버(11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커버(115)는 누수알림부(130), 예를 들면 LED소자가 전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보조커버(115)는 고정받침부(116) 및 래치걸림부(117)를 포함한다. 보조커버(115)는 박스(111) 내측을 향한 이면에 배터리장착부(118)을 포함한다. 배터리장착부(118)는 후술하는 전원공급부(140)의 배터리(141)를 장착한다.
누수알림부(130)는 누수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하는 LED소자, 소리를 발생하는 부저, 외부장치에 누수신호를 전송하는 IOT 무선통신소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누수알림부(130)는 배관(102) 또는 배관연결구(105)로부터 누출된 누수가 감지되면 누수를 알림 신호, 즉 광, 소리, 통신신호 등을 발생시킨다.
전원공급부(140)는 누수알림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1) 및 배터리(141)에 전원을 충전하는 발전기(142)를 포함한다.
배터리(141)는 누수알림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출력전극(146) 및 발전기(142)로부터 전기가 입력되는 2개의 충전전극(147)을 포함한다. 출력전극(146)은 2개의 전원선(148)으로 누수알림부(130)에 연결되고, 충전전극(147)은 2개의 충전선(149)을 통해 발전기(142)에 연결된다.
발전기(142)는 상기 온수배관(103)에 장착되어 온기를 전달하는 온기전달부(143), 상기 냉수배관(104)에 장착되어 냉기를 전달하는 냉기전달부(144), 및 상기 온기전달부(143)와 상기 냉기전달부(144) 사이에 배치되어 전달된 온기와 냉기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열전소자(145)를 포함한다. 발전기(142)에서 생성된 전기는 충전선(147)을 통해 배터리(141)에 전달되어 충전된다. 누수알림부(130)는 많은 전력이 필요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하지도 않기 때문에, 배터리(141)의 자연방전을 통한 완전방전을 보완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온수는 동절기에는 빈번히 공급되고, 하절기에는 일시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하절기에 발전하는 적은 양의 발전량으로도 배터리(141)의 자연방전을 충족시킬 수 있다.
누수감지부(150)는 상기 누수알림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전원선(148) 중 하나를 단락시키고, 단락된 양단부에 형성한 2개의 단락전극(152,154)을 근접 배치한 통전스위치(156)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102) 또는 배관연결구(105)에서 누출된 누수가 단락되었던 2개의 단락전극(152,154) 사이에 개재되어 통전되면 배터리(141)로부터의 전원이 누수알림부(130)에 전달된다. 즉, 통전스위치(156)가 단락상태이면 누수알림부(130)에는 전원이 차단되다가, 누수에 의해 통전되면 전원이 전달된다.
통전스위치(156)는 수전함본체(110)의 바닥에 배치하되, 바닥으로부터 약간의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응결현상이나 메인커버를 통해 유입된 작은 양의 물리 통전스위치(156)를 통작시켜 잘못된 누수 발생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누수는 지속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수전함본체(110) 내에 채워지나, 응결이나 작은 틈으로의 유입은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수전함본체(110) 내에 채워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수전함
102: 배관
103: 온수배관
104: 냉수배관
105: 배관연결구
110: 수전함본체
111: 박스
112: 메인커버
115: 보조커버
130: 누수알림부
140: 전원공급부
141: 배터리
142: 발전기
143:온기전달부
144: 냉기전달부
145: 열전소자
150: 누수감지부
152,154: 단락전극
156: 통전스위치

Claims (5)

  1. 매립형 수전함에 있어서,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연결구를 수용하는 수전함본체와;
    상기 수전함본체에 장착된 누수알림부와;
    상기 누수알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누수알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 또는 배관연결구에서 누출된 누수에 통전되는 통전스위치를 가진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수전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스위치는 상기 수전함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수전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함본체는 전방이 개방된 전면개방부, 상기 전면개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커버, 및 상기 메인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수전함본체와 연통하는 보조커버개구를 개폐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수전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알림부는 무선통신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알림부는 통전스위치가 온(on) 됨에 따라 누수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수전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제공하는 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은 온수배관과 냉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상기 온수배관에 장착되어 온기를 전달하는 온기전달부, 상기 냉수배관에 장착되어 냉기를 전달하는 냉기전달부, 및 상기 온기전달부와 상기 냉기전달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달된 온기와 냉기의 온차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수전함.
KR1020170133262A 2017-10-13 2017-10-13 매립형 수전함 KR10197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62A KR101979376B1 (ko) 2017-10-13 2017-10-13 매립형 수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62A KR101979376B1 (ko) 2017-10-13 2017-10-13 매립형 수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12A true KR20190041712A (ko) 2019-04-23
KR101979376B1 KR101979376B1 (ko) 2019-05-16

Family

ID=6628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62A KR101979376B1 (ko) 2017-10-13 2017-10-13 매립형 수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983A (ja) * 2001-01-18 2002-07-31 Toto Ltd 給水の配管システムにおける電源供給構造
JP2003301488A (ja) * 2002-04-11 2003-10-24 Sekisui Chem Co Ltd 配管システム
KR20070029781A (ko) * 2007-02-16 2007-03-14 신기빈 배관연결구 및 이 배관연결구를 이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연결시스템
KR20070093306A (ko) * 2006-03-13 2007-09-18 (주)오폼프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0964959B1 (ko) * 2009-08-31 2010-06-21 주식회사 엑스텍 박스형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설비시스템
KR101284634B1 (ko) * 2013-06-11 2013-07-10 주식회사 동양이엔씨 누수 및 결로로 인한 통신장애 및 기계적 오류를 보완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기 및 건물용 시스템
KR20140025758A (ko) * 2012-08-22 2014-03-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식 열량계 및 열량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983A (ja) * 2001-01-18 2002-07-31 Toto Ltd 給水の配管システムにおける電源供給構造
JP2003301488A (ja) * 2002-04-11 2003-10-24 Sekisui Chem Co Ltd 配管システム
KR20070093306A (ko) * 2006-03-13 2007-09-18 (주)오폼프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20070029781A (ko) * 2007-02-16 2007-03-14 신기빈 배관연결구 및 이 배관연결구를 이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연결시스템
KR100964959B1 (ko) * 2009-08-31 2010-06-21 주식회사 엑스텍 박스형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설비시스템
KR20140025758A (ko) * 2012-08-22 2014-03-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식 열량계 및 열량 측정 방법
KR101284634B1 (ko) * 2013-06-11 2013-07-10 주식회사 동양이엔씨 누수 및 결로로 인한 통신장애 및 기계적 오류를 보완한 직접 디지털 제어기기 및 건물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9376B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76874A1 (en) Water leak detection, prevention and water con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60161940A1 (en) Intelligent water emergency system
US10428495B2 (en) Simplified leak detection in a plumbing system using pressure decay principle
US9245438B2 (en) Water leak detector for a pipe having a retention reservoir
US10316457B2 (en) Flood prevention device
JP6832652B2 (ja) 漏水検知システム
US20130025709A1 (en) Automated pipe freeze protection system
CN110870195B (zh) 液体分配系统
KR101979376B1 (ko) 매립형 수전함
CN110822163A (zh) 漏水保护器
KR101954317B1 (ko) 벽체매립형 수전장치 시공방법
ES2629485B1 (es) Estación de regulación y medición para suministro de gas
CN211175608U (zh) 漏水保护器
CN210567573U (zh) 智能家装供水管网漏水监测保护系统
KR20060115307A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배관시스템
US9109349B1 (en)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220276114A1 (en) Leakage detector system
CN213687009U (zh) 一种供暖系统用的防漏监控装置
JP3653350B2 (ja) 給湯装置
GB2577156A (en) A leak detection system for use with heating apparatus
US64272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solating water pressure from an appliance
KR101535869B1 (ko) 수도 계량기의 동파 방지 장치
RU2797401C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резерв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ным режимом в спа-системе
CN110388566A (zh) 一种循环水系统保护装置
CN218781840U (zh) 一种应用于多水源供水系统的住户水费计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