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477A - 스위칭 밸브 및 간헐 송풍 건 - Google Patents

스위칭 밸브 및 간헐 송풍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477A
KR20190039477A KR1020187038161A KR20187038161A KR20190039477A KR 20190039477 A KR20190039477 A KR 20190039477A KR 1020187038161 A KR1020187038161 A KR 1020187038161A KR 20187038161 A KR20187038161 A KR 20187038161A KR 20190039477 A KR20190039477 A KR 20190039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ir
switching valve
pilot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802B1 (ko
Inventor
요시히로 후루카와
코이치 테라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가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가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가네이
Publication of KR2019003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05B12/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for effecting pulsating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servo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for mounting on, or in combination with, hand-actuated valves
    • F16K31/14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for mounting on, or in combination with, hand-actuated valves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간헐 송풍 건(10a)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과 밸브 조립체(31)를 구비하는 스위칭 밸브(26)를 가지고, 밸브 조립체(31)는 밸브 공을 개폐하는 밸브 몸체(53), 소구경 파일럿 챔버(34)를 칸막이하는 소구경 피스톤(33), 대구경 파일럿 챔버(38)를 칸막이하는 대구경 피스톤(37)으로 구성된다. 스위칭 밸브 케이스(27) 내로부터 공기 토출부(24)로 토출하는 공기를 바이패스 유로(77)에 의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로 공급하는 밸브 몸체(53)는 폐쇄 위치로 스위칭되고, 공기를 배출하는 밸브 몸체(53)는 개방 위치로 스위칭된다.

Description

스위칭 밸브 및 간헐 송풍 건
본 발명은 압축 공기를 대상물을 향해 간헐적으로 토출하는 스위칭 밸브 및 간헐 송풍 건 관한 것이다.
간헐 송풍 건은 피가공물이나 도장 표면 등의 대상물에 간헐적으로 공기를 불어 피가공물의 가공 칩이나 도장 표면의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간헐적, 즉 단속적으로 공기를 대상물에 분사하여 가공 칩이나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연삭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공 칩을 불어 날려 제거하는 간헐 송풍 건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다. 이 간헐 송풍 건은 스위치 레버와 공기 분출 유로가 짜 넣어진 송풍 건 본체를 구비하고있다. 이 간헐 송풍 건에서는 공기 공급 유로가 송풍 건 본체에 연결되어, 공기압원으로부터의 공기는 공기 공급 유로에 의해 송풍 건 본체 내의 공기 분출 유로에 공급된다. 공기 공급 유로를 여는 방향으로 스프링 힘이 가해지는 개폐 밸브가 공기 공급 유로에 설치된다.  개폐 밸브보다 상류쪽에 바이패스 유로가 연결된 바이패스 유로를 닫는 방향으로 스프링 힘이 가해재는 파일럿 밸브가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된다. 이 송풍 건에서는 각각 스프링 리턴 식의 개폐 밸브와 파일럿 밸브가 송풍 건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공기가 간헐적으로 토출구에서 분출된다.
특허 문헌 2의 도 3에는 연통 차단기구를 구비한 공기 토출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연통 차단기구는 공급측 통로와 배출측 통로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연통을 차단하는 상태로 작동한다. 공기 토출 장치는 밸브공으로의 이동 공간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장치 본체를 가지고 있으며, 연통 차단기구는 이동 공간 내를 슬라이딩하는 2 개의 스풀형 밸브 몸체와 두 밸브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갖고 있다. 공급측 통로와 배출측 통로는 장치 본체의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동 공간에 연통되어 있으며, 공급측 통로에서 배출측 통로로 이동 공간을 통해 흐르는 공기는 장치 본체를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흐른다. 연통 차단기구가 공급측 통로와 배출측 통로를 연통시키는 상태와, 연통을 차단하는 상태로 작동하여 공기가 간헐적으로 공기 토출부에서 분출된다.
JP 2014-83518 A JPH7-190221 A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송풍 건 본체의 외부에 개폐 밸브와 파일럿 밸브를 설치하면, 송풍 건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압원을 송풍 건 본체에 연결하는 공기 공급 유로에 개폐 밸브가 설치되고, 바이패스 유로에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기 때문에, 개폐 밸브와 파일럿 밸브는 송풍 건 본체의 외부에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대상물에 공기를 분사할 때, 호스나 튜브로 구성된 공기 공급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에 개폐 밸브와 파일럿 밸브가 설치되어 그것들을 질질 끌게 되므로, 이에 의해 가공 칩이 날려 조작의 작업성이 나쁘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급측 통로와 배출측 통로가 횡방향으로 연장한 장치 본체에 형성된 공기 토출 장치는, 장치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공기 토출 장치를 스위칭 밸브로서 송풍 건 본체에 내장하려면 송풍 건 본체를 대형화해야 한다. 게다가, 이 구조의 공기 토출 장치를 송풍 건에 내장하려면 공기의 흐름을 크게 사행(蛇行)시켜야 하기 때문에 밸브의 폭 치수를 크게 해야 하므로, 송풍 건에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송풍 건에 내장하기 위해 종래의 공기 토출 장치를 소형화하면 토출구에서 다량의 공기를 토출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토출량을 확보하면서 스위칭 밸브 및 간헐 송풍 건의 소형화를 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칭 밸브는,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가 설치된 공기 흡입부와 소구경 구멍이 일단에 형성되고,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가 설치된 공기 토출부와 상기 소구경 구멍보다 내경이 큰 대구경 구멍이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 및 상기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에 연통하는 밸브 챔버가 형성된 스위칭 밸브 케이스와; 상기 밸브 챔버에 위치시켜서 형성되어 밸브 공을 가지는 밸브 시트 부재와; 상기 밸브 공을 개폐하는 밸브 몸체가 형성된 주축, 상기 소구경 구멍에 삽입되어 소구경 파일럿 챔버를 칸막이하는 소구경 피스톤 및 상기 대구경 구멍에 삽입되어 대구경 파일럿 챔버를 칸막이하는 대구경 피스톤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스위칭 밸브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와 상기 대구경 파일럿 챔버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갖는다.
본 발명의 간헐 송풍 건은 상기 스위칭 밸브를 가지며, 또한 공기 흡입 부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로 공급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로 공기의 공급을 정지하는 한편,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작동 정지 위치에 스위칭하는 트리거 밸브를 갖는다.
스위칭 밸브는,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가 설치된 공기 흡입부와 소구경 구멍이 일단에 설치되고,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가 설치된 공기 토출부와 상기 소구경 구멍보다 내경이 큰 대구경 구멍이 타단에 설치된 밸브 케이스를 갖고 있다. 스위칭 밸브 케이스에는 밸브 조립체가 설치되고, 밸브 조립체는 밸브 케이스의 밸브 챔버에 위치시켜 설치된 밸브공을 갖는 밸브 시트 부재, 밸브공을 개폐하는 밸브 몸체가 설치된 주축, 소구경 구멍에 내장되어 소구경 파일럿 챔버를 칸막이하는 소구경 피스톤 및 대구경 구멍에 내장된 스위칭 밸브 케이스의 타단부 사이에서 대구경 파일럿 챔버를 칸막이하는 대구경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바이패스 유로는 공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공기를 대구경 파일럿 챔버에 공급하여 밸브 몸체를 폐쇄 위치로 스위칭하고, 대구경 파일럿 챔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밸브 몸체를 여는 위치로 스위칭하여, 공기 흡입부에 공급된 공기가 간헐적으로 공기 토출부에서 토출된다. 스위칭 밸브 케이스를 세장형으로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토출량을 확보하면서, 스위칭 밸브를 간헐 송풍 건의 내부에 내장할 수 있다.
간헐 송풍 건은, 스위칭 밸브와 트리거 밸브를 가지며, 트리거 밸브는 공기 흡입부에 공급된 공기를 소구경 파일럿 챔버에 공급하는 작동 위치와, 소구경 파일럿 챔버로 공기의 공급을 정지하는 한편 소구경 파일럿 챔버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작동 정지 위치로 스위칭한다. 간헐 송풍 건은, 세장형으로 소형화된 스위칭 밸브가 내장되어 있어, 간헐 송풍 건의 소형화가 달성됨과 동시에, 간헐 공기를 대상물에 분사할 때 분사 작업을 쉽게할 수 있다. 간헐 송풍 건을 소형화해도 토출 노즐에서 공기의 토출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 형태의 간헐 송풍 건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간헐 송풍 건의 공압 회로도이며,(A)는 트리거 레버가 조작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B)는 트리거 레버가 조작된 순간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간헐 송풍 건의 공압 회로도이며,(A)는 트리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소구경 파일럿 챔버에 공기가 공급되어 메인 밸브가 열린 위치가된 상태를 나타내고,(B)는 대구경 파일럿 챔버에 공기가 공급되어 메인 밸브가 닫힌 위치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의 간헐 송풍 건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인 밸브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간헐 송풍 건의 공압 회로도이며,(A)는 트리거 레버가 조작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B)는 트리거 레버가 조작된 순간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간헐 송풍 건의 공압 회로도이며,(A)는 트리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소구경 파일럿 챔버에 공기가 공급되어 메인 밸브가 열린 위치가된 상태를 나타내고,(B)는 대구경 파일럿 챔버에 공기가 공급되어 메인 밸브가 닫힌 위치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토출 노즐로부터의 공기의 ON 상태와 OFF 상태의 ON/OFF주기를 나타낸 특성 곡선이다. 
도 13은 변형예의 메인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간헐 송풍 건(10a)은 케이스(11)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1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케이스 편(11a, 11b)으로 이루어지며, 양쪽 케이스 편(11a 및 11b)을 맞대어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양쪽의 케이스 편(11a 및 11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나사 부재(12)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도 1에서는 한 쪽의 케이스 편(11b)의 맞댐 결합면이 나타나 있다.
케이스(11)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13)와, 이 그립부(13)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건 통부(14)를 가지고 있으며, 건 통부(14)는 그립부(1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뻗어있다. 수용 공간(15)이 케이스 (11) 내부에 설치된다. 토출구(16a)를 갖는 토출 노즐(16)이 노즐 홀더(17)에 고정된 노즐 홀더(17)에 의해, 토출 노즐(16)이 건 통부(14)의 선단에 장착된다. 공기 흡입부(21)가 그립부(13)의 기단부에 설치되고, 공기 흡입부(21)는 밸브 입력 포트(22)를 가지고있다. 도시하지 않은 공급 호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급 배관이 공기 흡입부(21)에 연결되어, 공기 공급원으로부터의 공기는 공급 배관을 통해 밸브 입력 포트(22)로 공급된다.
공기 토출배관(23)이 케이스(11) 내에 내장된다. 공기 토출배관(23)은 그립부(13) 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류쪽부(23a)와, 이 상류쪽부(23a)의 선단에 연결되는 하류쪽부(23b)를 갖고있다. 하류쪽부(23b)는 상류쪽부(23a)에 대해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뻗어 건 통부(14) 내로 연장되고, 노즐 홀더(17)에 연결된다. 공기 토출부(24)가 공기 토출배관(23)의 상류쪽부(23a)에 연결된다. 공기 토출부(24)는 공기 흡입부(21)에 대해 거의 동축으로 배치되어, 반다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공기 흡입부(21)와 공기 토출부(24)는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일부를 구성한다. 공기 토출부(24)는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를 가지며,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는 공기 토출배관(23)의 내부에 연통된다. 공기 흡입부(21)와 공기 토출부(24) 중 적어도 하나를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스위칭 밸브 케이스(27)는 그립부(13)의 기단부 측에서 그립부(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스위칭 밸브(26)는 스위칭 밸브 케이스(27)를 가지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밸브 케이스(27)는 공기 흡입부(21)와 공기 토출부(24) 이외에, 공기 흡입부(21)에 장착되는 제 1 케이스 편(27a)과, 제 1 케이스 편(27a)에 장착되는 제 2 케이스 편(27b)을 갖고, 공기 토출부(24)는 제 2 케이스 편(27b)에 장착된다. 즉, 공기 흡입부(21)와 공기 토출부(24) 사이에 제 1 케이스 편(27a)과 제 2 케이스 편(27b)이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구경 구멍(28)이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일단에, 즉 공기 흡입부(21)가 배치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단부에 설치된다. 소구경 구멍(28)은 바닥있는 구멍이며,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기단부쪽의 단벽을 개재하여,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에 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있다. 대구경 구멍(29)이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타단, 즉 공기 토출부(24)가 배치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단부에 설치된다. 대구경 구멍(29)도 바닥있는 구멍이며,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선단부쪽의 단벽을 개재하여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에 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있다. 대구경 구멍(29)의 내경은 소구경 구멍(28)의 내경보다 크다.
이와 같이 소구경 구멍(28)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일단부이며, 공기 흡입부(21)의 내부에 설치된다. 대구경 구멍(29)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타 단부이며, 공기 토출부(24)의 내부에 설치된다.
밸브 조립체(31)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 내에 축 방향으로 장착된다. 밸브 조립체(31)는 스위칭 밸브 케이스(27) 내를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밸브 조립체(31)는 주축(32)을 가지며, 소구경 구멍(28)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장되는 소구경 피스톤(33)이 주축(32)의 기단부에 설치된다. 소구경 구멍(28)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씨일 부재가 소구경 피스톤(33)에 장착되어 있으며, 소구경 피스톤(33)과 소구경 구멍(28)에 의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가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상의 주축 가이드(35)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내장되어 있으며, 주축 가이드(35)는 케이스 편(27b)에 고정된다. 주축 가이드(35)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플랜지(36)가 주축(32)의 선단부에 설치된 주축 가이드(35)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밀봉 부재가 플랜지(36)에 장착된다. 대구경 피스톤(37)이 대구경 구멍(29)에 슬라이딩 가능 내장되어 있으며, 밸브 케이스(27)의 선단부 측 가장자리 벽과 대구경 피스톤(37) 사이에 대구경 파일럿 챔버(38)가 형성된다. 대구경 피스톤(37)은 주축(32)의 단면에 받쳐여 있으며, 주축(32)에 일체로 설치된 소구경 피스톤(33)과, 대구경 피스톤(37)과, 주축(32)에 의해 밸브 조립체(31)가 구성된다. 또한 대구경 피스톤(37)과 주축(32)은 연결된다.
밸브 조립체(31)는 기단부쪽의 소구경 피스톤(33)의 선단부 쪽의 플랜지(36)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있다. 즉, 밸브 조립체(31)의 양쪽 끝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조립체(31)는 안정하게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슬라이딩한다.
호흡 챔버(breathing chamber)(39)가 대구경 구멍(29)에 의해 형성된다. 호흡 챔버(39)는 대구경 피스톤(37)을 통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호흡 챔버(39)는 도시하지 않은 호흡 구멍, 즉 브리드 포트(breathing port)는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외부에 연통된다.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대구경 피스톤(37)이 구동될 때 호흡 챔버(39) 내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대구경 피스톤(37)이 역방향으로 구동될 때는, 외부의 공기가 호흡 챔버(39)내로 유입한다. 대구경 피스톤(37)의 역방향 이동은 스토퍼(40)에 의해 규제된다.
원통형상의 밸브 시트 부재(41)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 내에 설치되고, 밸브 시트 부재(41)의 축방향 양쪽에 스페이서(42,43)가 배치된다. 밸브 시트 부재(41)는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와 일체로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원호상이며, 간극을 개재하여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내부에 배치되는 2개의 부재를 가지며, 밸브 시트 부재(41)에 설치된다. 스페이서(43)를 형성하는 2개의 부재 사이에 통로(44)가 형성된다. 스페이서(42)도 마찬가지로 밸브 시트 부재(41)에 마련된 원호상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2개의 부재 사이에 통로(45)가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스페이서(42,43)의 경우에는, 경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환상 부분을 밸브 시트 부재(41)에 일체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입력 연통공(46)이 소구경 구멍(28)에 평행하게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형성되며, 통로(45)는 입력 연통공(46)을 개재하여 밸브 입력 포트(22)에 연통된다. 출력 연통공(47)이 대구경 구멍(29)에 평행하게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형성되며, 통로(44)는 출력 연통공(47)를 개재하여 밸브 출력 포트(25)에 연통된다. 밸브공(51)이 밸브 시트 부재(41)에 형성되어, 밸브공 (51)보다 상류쪽의 1차실(52a)과 밸브공(51)보다 하류쪽의 2차실(52b)로 구성되는 밸브 챔버(52)이 스위칭 밸브 케이스(27) 내에 형성된다. 밸브 챔버(52)과 호흡 챔버(39)는 주축 가이드(35)와 플랜지(36)에 의해 칸막이된다.
이와 같이, 스위칭 밸브(26)는 밸브 조립체(3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단 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밸브 입력 포트(22), 소구경 파일럿 챔버(34), 밸브 챔버(52), 대구경 파일럿 챔버(38),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밸브를 가늘고 길게 소형화할 수 있다.
밸브 몸체(53)가 주축(32)에 설치된다. 밸브 몸체(53)는 주축(32)에 일체로 설치된 대경부와 그 외주면에 설치된 밀봉부(53a)에 의해 형성된다. 밸브 몸체(53)는 포핏형(poppet type) 이며, 밸브 조립체(31)의 축방향 왕복 운동에 의해 밸브공(51)을 개폐한다. 밸브 몸체(53)가 밸브 시트 부재(41)의 밸브 시트(54)에 접촉하면 밸브 몸체(53)는 밸브공(51)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밸브 몸체(53)가 밸브 시트(54)에서 분리되면 밸브 몸체(53)는 밸브공(51)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한다. 밸브 몸체(53)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면 1차실(52a) 및 2차실(52b)과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밸브 입력 포트(22)로부터 밸브 출력 포트(25)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한편, 밸브 몸체(53)가 개방 위치에 위치하면, 1차실(52a)은 2차실(52b)에 밸브공(51)을 통해 연통된다. 따라서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에 공급된 공기는, 입력 연통공(46), 1차실(52a), 밸브공(51), 2차실(52b), 출력 연통공(47)를 통해 밸브 출력 포트(25)로 흐른다.
밸브 몸체(53)에 대해 폐쇄 위치로 향하는 스프링 힘을 가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로 압축 코일 스프링(55)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장착된다. 공기 흡입부(21)의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 하에서, 간헐 송풍 건(10a)이 어떤 방향으로 조작되어도, 압축 코일 스프링(55)의 스프링 힘에 의해 밸브 몸체(53)가 폐쇄 위치로 향하도록 밸브 조립체(31)에 스프링 힘이 가해진다.
밸브 조립체(31)는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에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밸브 몸체(53)가 밸브공(51)을 개방하는 방향의 추력, 즉 가압력(A)을 소구경 피스톤(33)에서 받는다. 이 가압력(A)에 의해 밸브 몸체(53)가 밸브공(51)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면, 주축(32)에 의해 대구경 피스톤(37)은 대구경 파일럿 챔버(38)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 호흡 챔버(39)의 용적이 커져 공기가 외부에서 유입된다.
한편,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와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기가 공급되면, 대구경 피스톤(37)에 대해 밸브공(5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공기의 가압력과 스프링 힘을 합한 추력, 즉 가압력(B)이 부여된다. 그 가압력(B)은 밸브 몸체(5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압력(A)보다 크다. 이와 같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밸브 몸체(53)는 밸브공(5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기가 공급되고,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용적이 증가하면, 호흡 챔버(39)가 수축하여 호흡 챔버(39)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스위칭 밸브(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31)의 양단에 파일럿 챔버가 마련된 양쪽 파일럿형 개폐 밸브이다. 파일럿 압력에 의해 밸브공(51)이 개방되면,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에 공급된 공기는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 (25)로 분출되어, 공기 토출배관(23)으로 안내되어 토출구(16a)에서 대상물을 향해 토출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56)가 케이스(11)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트리거 레버(56)의 기단부는 지지 핀(57)에 의해 건 통부(14)의 그립부(13) 쪽에 설치되어, 그립부(13)의 바깥 쪽을 따라 뻗어있다.
트리거 레버(56)에 의해 조작되는 트리거 밸브(61)가, 그립부(13)의 선단부 쪽에 위치하여 케이스(11) 내에 설치된다. 트리거 밸브(61)는 그립부(13)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밸브 하우징(62)과, 트리거 레버(56)에 맞닿는 밸브 축(63)을 가지며, 밸브 축(63)은 밸브 하우징(62)에 수용되고, 밸브 축(63)은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스프링 부재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64)에 의해 트리거 레버(56)로 향하는 방향의 스프링 힘이 밸브 축(63)으로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트리거 레버(56)의 선단부가 그립부(13)에서 떨어지는 방향의 스프링 힘이 압축 코일 스프링(64)에 의해 트리거 레버(56)에 가해진다. 작업자가 트리거 레버(56)를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수동 조작하면, 트리거 레버(56)는 작동 위치로 스위칭된다. 한편, 트리거 레버(56)에서 손을 떼면, 트리거 레버(56)는 작동 정지 위치로 스위칭된다. 트리거 레버(56)는 조작 수단을 구성하고있다.
트리거 입력 포트(65)가 형성된 입력 커플러(65a)와, 트리거 출력 포트(66)가 형성된 출력 커플러(66a)가 밸브 하우징(62)에 설치된다. 또한 배기 포트 (67)가 밸브 하우징(62)의 단면에 개구되어 설치된다. 트리거 레버(56)가 작동 위치로 조작되면, 트리거 입력 포트(65)는 트리거 출력 포트(66)에 연통된다. 트리거 레버(56)가 작동 정지 위치로 조작되면, 트리거 입력 포트(65)와 트리거 출력 포트(66)의 연통이 차단되고, 또한 트리거 출력 포트(66)는 배기 포트(67)에 연통된다.
급기 포트(71)를 갖는 급기 커플러(71a)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설치된다. 급기 포트(71)는 입력 연통공(46)을 통해 밸브 입력 포트(22)에 연통된다. 급기 커플러(71a)는 호스 등의 관형 부재로 구성된 트리거 공급 유로(72a)에 의해 입력 커플러(65a)에 연결된다. 밸브 입력 포트(22)로 공급된 공기는 트리거 공급 유로(72a)에 의해 트리거 입력 포트(65)에 공급된다.
제 1 파일럿 포트(73)를 가진 파일럿 커플러(73a)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설치된다. 제 1 파일럿 포트(73)는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에 연통된다. 파일럿 커플러(73a)는 호스 등의 관형 부재로 구성된 트리거 출력 유로(72b)에 의해 출력 커플러(66a)에 연결된다. 트리거 출력 포트(66)에서 출력된 공기는 트리거 출력 유로(72b)에 의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로 공급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 포트(71)와 제 1 파일럿 포트(73)는 그립부(13)의 횡단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따라 그립부(13)를 작업자가 파지하기 쉬운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트리거 레버(56)가 조작되면, 트리거 밸브(61)는 트리거 입력 포트(65)와 트리거 출력 포트(66)가 연통하는 작동 위치로 스위칭된다. 트리거 밸브(61)가 작동 위치가되면, 공기 흡입부(21)의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에서 트리거 공급 유로(72a)를 통해 트리거 입력 포트(65)에 공기가 공급되고, 트리거 출력 포트(66)에서 트리거 출력 유로(72b)를 통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에 공기가 공급된다. 트리거 밸브(61)가 작동 위치로 스위칭되어 있는 동안은 항상 공기가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에 공급된다. 한편, 트리거 레버(56)가 조작되지 않고, 트리거 레버(56)가 작동 정지 위치로 스위칭된 경우에는 트리거 입력 포트(65)와 트리거 출력 포트(66)의 연통이 차단되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에 대한 공기 공급이 정지된다. 또한 트리거 밸브(61)가 정지 위치로 스위칭된 경우에는 소구경 파일럿 챔버(34)는 트리거 출력 유로 (72b)를 통해 배기 포트(67)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와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는 트리거 공급 유로(72a) 및 트리거 출력 유로(72b)로 구성된 트리거 유로(72)에 의해 연통된다. 그리고 트리거 유로(72)에 설치된 트리거 밸브(61)에 의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에 공기의 공급과 정지가 스위칭된다.
출력 포트(75)를 갖는 출력 커플러(75a)가 공기 토출부(24)에 설치되고, 출력 포트(75)는 연통 챔버(80)를 통해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에 연통된다. 제 2 파일럿 포트(76)를 가진 파일럿 커플러(76a)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설치되고, 제 2 파일럿 포트(76)는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연통된다. 출력 커플러(75a) 및 파일럿 커플러(76a)는 호스 등의 관 부재에서 바이패스 유로(77)에 의해 연결된다. 제 2 파일럿 포트(76)는 제 1 파일럿 포트(73)와 거의 동축 위치에 설치되고, 출력 포트(75)보다 간헐 송풍 건(10a)의 앞쪽에 위치한다.
교축부(78)가 케이스(11) 내에 설치된다. 교축부(78)는 케이스(11)에 고정된 교축 블록(79)과, 이 교축 블록(79)에 장착되는 상류쪽 커플러(81)와, 도시하지 않은 하류쪽 커플러를 갖추고 있다. 교축 유로(82)가 상류쪽 커플러(81)와 하류쪽 커플러, 두 커플러 사이에 위치하여 교축 블록(79)에 설치되고, 교축부(78)에 의해 공기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바이패스 유로(77)는 상류쪽 커플러(81)와 출력 커플러(75a) 사이의 상류쪽부(77a), 및 하류쪽 커플러와 파일럿 커플러(76a) 사이의 하류쪽부(77b)를 갖는다.
도시하지 않은 니들 밸브가 교축 블록(79)에 설치되고, 니들 밸브는 교축 유로(82)의 개방 정도(開度)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교축부(78)는 가변 교축 밸브이다. 교축부(78)는, 가변 교축으로 하지 않고 고정 교축으로할 수도 있다. 또한 내경이 작은 바이패스 유로(77)를 사용하면 바이패스 유로(77) 자체에 의해 고정 교축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트리거 레버(56)가 조작되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에 공기가 공급된 상태 하에서, 밸브 조립체(31)는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토출구(16a)에 공기를 토출하는 ON 상태와, 토출을 중지 OFF 상태를 교대로 스위칭한다. 따라서, 토출구(16a)에서 간헐적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바이패스 유로(77)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키면, 토출 시간과 토출 정지 시간은 조정된다.
스위칭 밸브(26)는 그립부(13)의 기단부쪽에 배치되고, 트리거 밸브(61)는 그립부(13)의 선단부쪽에 배치된다. 가늘고 긴 그립부(13)의 종단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스위칭 밸브(26)와 트리거 밸브(61)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그립부(13)의 횡단면의 크기를 확대하지 않고, 케이스(11) 내에 스위칭 밸브(26)와 트리거 밸브(61)가 설치되어, 간헐 송풍 건(10a)를 소형화할 수 있다.
트리거 공급 유로(72a)와, 트리거 출력 유로(72b)와, 바이패스 유로(77)는 각각 관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관형 부재는 스위칭 밸브(26)와 케이스(11) 사이에 수납되어, 케이스(11)가 소형화된다. 또한 스위칭 밸브(26)와, 트리거 밸브(61)와, 교축부(78)는 케이스(11) 내에 내장되어, 스위칭 밸브(26)나 교축부(78)를 케이스(11)의 외부에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대상물을 향해 공기를 간헐적으로 분사할 때의 작업 성이 강화된다.
도 6 및 도 7은, 간헐 송풍 건(10a)의 공압 회로도이다. 공기 공급원(83)은 도시하지 않은 급기 배관을 통해 공기 흡입부(21)에 연결되며,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는 트리거 공급 유로(72a)에 의해 트리거 밸브(61)에 연결된다. 트리거 밸브(61)가 도 1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소구경 파일럿 챔버(34)는 트리거 밸브(61)의 배기 포트(67)에 연통되어 대기압으로 유지되고, 스위칭 밸브(26)는 밸브공(51)을 폐쇄한 OFF 상태로 된다.
이 상태하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56)가 조작되어, 트리거 밸브(61)가 작동 위치로 스위칭되면,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에 공급된 공기는 트리거 밸브(61)를 통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로 공급된다. 소구경 파일럿 챔버(34)로 공기가 공급되면 개방 위치를 향해 가압력(A)이 밸브 조립체(31)에 가해지고, 밸브 몸체(53)가 밸브 시트(54)에서 떨어져 밸브공(51)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스위칭 밸브(26)가 스위칭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원(83)으로부터의 공기는 스위칭 밸브(26)를 통과하여, 공기 토출배관(23)으로부터 토출 노즐(16)로 공급되고, 토출구(16a)에서 대상물에 공기가 분사된다.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에 공급된 공기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77)에 의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된다.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되는 공기는, 교축부(78)에 의해 유로가 좁혀진다. 또한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내경은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의 내경보다 큰 직경이다. 따라서 스위칭 밸브(26)가 개방 위치로 스위칭된 후, 교축부(78)에 의한 지연과,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내경이 큰 것에 의한 지연을 합한 지연시간 동안은, 스위칭 밸브(26)는 ON 상태로 유지된다. 지연시간 후, 대구경 피스톤(37)에 가해지는 가압력(B)이 역방향의 가압력(A)보다 크다. 따라서 대구경 피스톤(37)과 밸브 조립체(31)는 이동하고, 밸브 몸체(53)는 밸브 시트(54)에 접촉하여, 밸브공(51)이 폐쇄되어 스위칭 밸브(26)는 OFF 상태로 스위칭된다.
도 7(B)는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된 공기로, 밸브 몸체(53)에 의해 밸브공(51)이 폐쇄된 스위칭 밸브(26)의 OFF 상태를 나타낸다. 스위칭 밸브(26)가 OFF 상태, 즉 폐쇄 위치로 스위칭되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 내의 공기는 바이패스 유로(77)를 통해 토출 노즐(16)로 배출된다. 소정의 OFF 유지 시간이 경과하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 내의 압력이 저하하여, 가압력(A)이 가압력(B)보다 커진다. 그러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 내의 공기의 압력에 의해 스위칭 밸브(26)가 도 7(A)에 도시된 개방 위치, 즉 ON 상태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트리거 레버(56)가 조작된 상태 하에서, 스위칭 밸브(26)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노즐(16)로부터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 상태, 즉 ON 상태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의 토출을 정지하는 정지 상태, 즉 OFF 상태를, 소정의 주기로 교대로 스위칭된다.
토출 노즐(16)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시간과 토출을 정지하는 시간은, 바이패스 유로(77)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에 의해 설정된다. 교축부(78)를 가변 교축부로 하면, 토출 시간과 토출 정지 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스위칭 밸브(26)는, 가늘고 긴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일단에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가 설치되고, 타단에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가 설치된다. 이같은 가늘고 긴 스위칭 밸브 케이스(27)를 가늘고 긴 그립부(13)의 내부에 수용하면, 그립부(13)의 하단에 밸브 입력 포트(22)가 위치되고, 그립부(13)의 상단에 밸브 출력 포트(25)가 위치하게 된다. 즉, 그립부(13)의 내부 공간의 최적의 위치에 입출력 포트가 설치되기 때문에, 그립부(13)의 내부 공간을 낭비없이 이용할 수 있다.
도 8과 9는 다른 실시 형태인 간헐 송풍 건(10b)을 나타낸다. 이 도면들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으며, 이하에서는 중복된 설명이 생략된다.
이 간헐 송풍 건(10b)에서는 상술한 간헐 송풍 건(10a)의 호흡 챔버(39)가 지연 파일럿 챔버(85)로 대체되어 있다. 지연 파일럿 챔버(85)는 대구경 피스톤(37)을 통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즉, 대구경 구멍(29)은 대구경 피스톤(37)의 외부에 위치하는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와, 대구경 피스톤(37)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연 파일럿 챔버(85)로, 대구경 피스톤(37)에 의해 칸막이 된다.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와 지연 파일럿 챔버(85)가 대구경 구멍(29)에 설치되고, 그러한 내경은 동일한 직경이다. 또한 밸브 챔버(52)과 지연 파일럿 챔버(85)가 주축 가이드(35)와 플랜지(36)에 의해 칸막이된다.
지연 바이패스 유로(86)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설치되며, 지연 파일럿 챔버(85)는 지연 바이패스 유로(86)에 의해 출력 연통공(47)에 연통된다. 따라서 밸브공(51)이 개방되면, 밸브공(51)을 통과한 공기는 출력 연통공(47) 및 바이패스 유로(77)를 통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되는 동시에, 출력 연통공(47)으로부터 지연 바이패스 유로(86)를 통해 지연 파일럿 챔버(85)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밸브공(51)이 개방되면, 밸브 몸체(53)를 폐쇄하는 방향의 공기 압력과, 그와 동일한 방향의 스프링 힘을 합한 가압력(B)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로부터 대구경 피스톤(37)으로 가해진다. 이와 함께, 밸브 몸체(53)를 개방하는 방향의 가압력(C)이 지연 파일럿 챔버(85)로부터 대구경 피스톤(37)으로 가해진다.
밸브공(51)과 지연 파일럿 챔버(85)가 근처에 배치되어, 유로의 중간에 교축이 없기 때문에 지연 파일럿 챔버(85)가 대구경 피스톤(37)에 가하는 가압력(C)은 밸브공(51)이 개방되면, 즉시 최대치에 이른다. 그 반면에, 대구경 파일럿 챔버(38)가 대구경 피스톤(37)에 가하는 가압력(B)는 점차 증가하여 최대치에 이른다. 공기는, 교축부(78)를 통과한 후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되기 때문에,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공기 압력은 밸브공(51)이 개방된 후, 교축부(78)의 교축에 따라 점차 증가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지연 파일럿 챔버(85)의 기능을 설명한다. 지연 바이패스 유로(86)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호흡구멍을 통해 대기 개방되어 있는, 간헐 송풍 건(10a)에서는 가압력(B)은 점차 증가하여 최대치에 이른다. 그러나 가압력(B)에 대항하는 가압력(C)이 없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시간 경과 후, 가압력(B)이 주축(32)를 이동시킨다.
이에 반해, 지연 파일럿 챔버(85)가 설치되어있는 경우에는, 가압력(B)에 대항하는 가압력(C)이 있으므로, 가압력(B)이 가압력(C)보다 충분히 커지지 않을 때에는, 주축(32)은 이동하지 않는다.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이 충분히 높아져 가압력(B)이 가압력(C)보다 커진다. 그러면 주축(32)은 밸브공(5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대구경 파일럿 챔버(38)가 커서, 그 압력 상승을 느리게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스위칭 밸브(26)의 스위칭 스위칭 주기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가 작은 경우에는 그 압력 상승을 느리게 설정하는 것은 어렵다. 교축부(78)의 교축의 최소치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연 파일럿 챔버(85)가 설치되고,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힘에 대해 지연 파일럿 챔버(85)의 힘이 대항하면, 실질적으로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 상승을 느리게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있다. 즉, 작은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이면서도 대구경 파일럿 챔버(38)가 큰 경우와 같은 지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구경 피스톤(37)의 양측에 파일럿 챔버를 설치하면, 토출 노즐(16)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시간과, 토출을 정지하는 시간을,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의 치수를 크게 함이 없이, 도 1 내지도 5에 나타낸 간헐 송풍 건(10a)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지연 파일럿 챔버(85)를 갖는 경우에는 주축(32)이 스트로크단에서 스트로크단까지 풀 스트로크하기 때문에, 밸브 시트(54)와 밸브 몸체(53)의 사이는 충분히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의 유량은 크다. 지연 파일럿 챔버(85)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짧은 주기로 주축(32)이 스트로크하기 때문에, 주축(32)이 풀 스트로크되지 않고 밸브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 공기의 유량이 적다. 간헐 송풍 건(10b)에서는 간헐 송풍 건(10a)의 호흡 챔버(39) 대신에 지연 파일럿 챔버(85)를 설치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조는 간헐 송풍 건(10a)과 동일하다.
도 10, 도 11은 간헐 송풍 건(10b) 공압 회로도이며, 토출 노즐(16)로부터의 공기의 간헐 토출 동작에 대해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스위칭 밸브(26)를 나타내는 공압도 기호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JIS 규격 등으로 인정되고 있는 기호가 아니다.
트리거 레버(56)가 도 10(A)에 나타낸 작동 정지 상태에서, 도 10(B)에 나타낸 작동 위치로 스위칭되면,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22)에 공급되는 공기는 트리거 밸브(61)를 통해 소구경 파일럿 챔버(34)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53)에 의해 밸브공(51)이 개방되고, 스위칭 밸브(26)는 ON 상태가 된다. 스위칭 밸브(26)가 ON 상태가되면 1차실 공기는 2차실(52b)로 흘러, 2차실(52b)에서 공기 토출배관(23)에 의해 토출 노즐(16)로 토출된다. 또한 2차실(52b)의 공기는 출력 연통공(47)에 연통되는 지연 바이패스 유로(86)를 통과해 지연 파일럿 챔버(85)에 공급된다. 따라서 대구경 피스톤(37)은 ON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가압력(C)이 가해진다.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의 공기의 일부는 바이패스 유로(77), 교축부(78)를 통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공급되고,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은 교축부(78)의 교축에 따르는 시간으로 서서히 상승한다.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이 충분히 상승하여,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에 의한 대구경 피스톤 (37)으로의 가압력과 압축 코일 스프링(55)의 스프링 힘을 합한 추력, 즉 밸브 몸체(53)를 폐쇄하는 방향의 가압력(B)이 지연 파일럿 챔버(85)의 압력에 의한 대구경 피스톤(37)으로 가압력(C), 소구경 파일럿 챔버(34)의 압력에 의한 소구경 피스톤(33)으로의 가압력(A)을 합한 추력보다 커지면, 대구경 피스톤(37)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축(32)은 이동된다. 이에 따라 밸브공(51)이 폐쇄되고 스위칭 밸브(26)는 토출 정지 상태, 즉 OFF 상태로 스위칭된다.
밸브공(51)이 폐쇄되면 2차실(52b)의 공기는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를 통해 토출구(16a)에서 대기 개방되어, 2차실(52b)의 압력은 저하한다. 동시에, 지연 파일럿 챔버(85)와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도 저하하기 시작한다.
지연 파일럿 챔버(85)의 공기는, 지연 바이패스 유로(86)와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를 통해 토출구(16a)에서 대기 개방된다. 그 유로는 짧고 교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연 파일럿 챔버(85)의 압력은 빠르게 저하된다. 이에 대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공기는 바이패스 유로(77)와 교축부(78)를 통해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에서 대기 개방된다. 그 유로는 교축되어 있기 때문에,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이 서서히 저하된다. 이와 같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에 발생하는 폐쇄 방향의 힘은 오래 유지되기 때문에, OFF 상태의 시간은 간헐 송풍 건(10a)보다 길다.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이 충분히 저하하면, 도 11(A)의 ON 상태로 돌아간다.
도 12는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 상승(세로축)과, 스위칭 밸브(26)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스위칭되는 스위칭 시간(가로축)과의 대응을 나타내는 특성 곡선이다. 도 1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간헐 송풍 건(10a)이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스위칭될 때의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스위칭 문턱값 압력이 부호 Sa로 표시되고, 도 8에 도시된 간헐 공기 블로 건(10b) 유사한 스위칭 문턱값 압력이 부호 Sb로 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간헐 송풍 건(10a)에서는 지연 바이패스 유로(86)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호흡 챔버(39)는 호흡구멍을 통해 대기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력(C)은 발생하지 않는다. 밸브공(51)을 폐쇄하는 방향의 가압력에 대향하는 힘, 즉 밸브공(51)을 개방하는 힘은 소구경 피스톤(33)으로의 가압력(A) 뿐이다. 따라서 가압력(B)이 상승하면 다이렉트로 대구경 피스톤(37)이 눌려, 밸브 몸체(53)는 폐쇠된다.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이 스위칭 문턱값 압력 (Sa)을 초과하면 밸브공(51)이 폐쇄된다.
이에 반해, 도 8과 9에 도시된 간헐 송풍 건(10b)에서는 공기가 2차실(52b)에서 지연 파일럿 챔버(85)로 공급되므로 밸브공(51)을 개방하는 방향의 가압력(C)이 대구경 피스톤(37)에 가해진다. 여기서, 가압력(C)에 대항하여 대구경 피스톤(37)을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걸리는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의 최소값을 스위칭 문턱값 압력(Sb)이라 한다. 가압력(C)이 대구경 피스톤(37)에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스위칭 문턱값 압력(Sb)은 스위칭 문턱값 압력(Sa)보다 높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이 문턱값 압력 (Sb)까지 상승하여 스위칭 밸브(26)가 폐쇄될 때까지의 시간, 즉 스위칭 시간(Tb)은 간헐 송풍 건(10a)의 스위칭 시간(Ta) 보다 길다. 이로 인해 간헐 송풍 건(10b)에서 ON 시간은 간헐 송풍 건 (10a)보다 길다.
OFF 상태로 스위칭된 후 ON 상태로 스위칭될 때까지의 시간, 즉 OFF 시간은 간헐 송풍 건(10b) 쪽이 간헐 송풍 건(10a)보다 길다. 그것은 스위칭 밸브(26)가 폐쇄된 후, 이하의 동작에 의한다.
지연 파일럿 챔버(85)의 공기는, 밸브(26)가 페쇄되면, 지연 바이패스 유로(86),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를 통해 즉시 외부로 배출된다. 즉, 스위칭 밸브(26)가 닫히면 지연 파일럿 챔버(85)의 압력, 즉 가압력(C)은 즉시 영(0)이 된다. 이에 대해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공기는, 교축부(7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대구경 파일럿 챔버(38)의 압력, 즉 가압력(B)는 점차 감소한다. 이와 같이, 스위칭 밸브(26)가 폐쇄된 후, 가압력(C)이 즉시 영이 되는 반면, 가압력(B)은 점차 감소한다. 따라서 스위칭 밸브(26)가 폐쇄에서 개방까지의 시간은 간헐 송풍 건(10b) 쪽이 간헐 송풍 건(10a)보다 길다.
이와 같이 간헐 송풍 건(10b)에서는 건의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토출 노즐(16)로부터의 공기의 토출 유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헐 토출의 ON 시간과 OFF 시간을 간헐 송풍 건(10a) 보다 길게할 수 있다.
도 13은 변형예의 스위칭 밸브(26a)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에 도시된 부재와 공통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다. 지연 파일럿압력 도입구(91)가 제 2 케이스 편(27b)에 설치되고, 지연 파일럿압력 도입구(91)은 공기 토출부(24)의 내부로 돌출되며, 연통실(80)과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를 관통하여 밖으로 공기 토출배관(23)의 내부까지 돌출되어 있다. 지연 파일럿압력 도입구(91)와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 사이에는 간극에 의해 유로가 형성된다. 출력 연통공(47)은 점선으로 표시된 유로(47a) 의해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25) 및 연통실(80)에 연통되어 있으며, 출력 연통공(47)으로 유출된 공기는 공기 토출배관(23)으로 유출하고, 연통실(80)에서 바이패스 유로(77)로 흐른다.
제 1 케이스 편(27a)에 형성된 입력 연통공(46)은, 제 1 케이스 편(27a)과 밸브 시트 부재(41) 사이의 간극에 개구된 연통공(46a)에 연통된다. 연통공(46a)은 밸브 시트 부재(41)에 형성된 통로(45)를 통해 1차실(52a)에 연통된다. 2차실(52b)에 연통하는 통로(44)가 밸브 시트 부재(41)에 형성되고, 통로(44)는 제 1 케이스 편(27a)과 주축 가이드(35) 사이에 형성된 원통형의 연통공(92)에 연통한다. 연통공(92)은 제 2의 케이스 편(27b)에 형성된 출력 연통공(47)에 연통된다.
지연 파일럿압력 도입구(91)는, 그 속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공기 토출배관(23)으로 개구하는 도입 유로(86a)를 가지고있다. 이 도입 유로(86a)와 연통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유로(86b)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설치되고, 이 연통 유로(86b)와 연통되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유로(86c)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설치되고, 연통 유로(86c)는 연통 유로(86d)에 의해 지연 파일럿 챔버(85)에 연통된다. 이처럼 도입 유로(86a), 연통 유로(86b, 86c, 86d)에 의해 지연 바이패스 유로(8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연 파일럿 챔버(85)는 연통 챔버(80)를 관통하여 공기 토출배관(23)에 돌출하는 지연 파일럿압력 도입구(91)에 연통하고, 연통실(80)에서 공기 토출배관(23)으로 유출된 공기가 지연 파일럿 챔버(85)에 공급된다. 도 9에 나타낸 스위칭 밸브(26)에서는 통로(44)에서 출력 연통공(47)으로 유출된 곳, 즉 1 차 압력에 가까운 곳에서 공기를 지연 파일럿 챔버(85)에 도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13에 도시된 스위칭 밸브(26a)에서는 출력 연통공(47)으로부터 떨어진 공기 토출배관(23) 내에서, 즉 1 차 압력에서 먼 2 차 압력에서 지연 파일럿 챔버(85)에 공기를 도입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면 도 13에 표시된 스위칭 밸브(26a)는 도 9에 도시된 밸브(26)보다 지연 시간을 길게할 수 있다.
도 13에 표시된 스위칭 밸브(26a)를 갖춘 간헐 송풍 건(10b)도,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밸브(26)를 갖춘 간헐 송풍 건(10b)과 같이 작동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연 바이패스 유로(86)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위칭 밸브 케이스(27)에 설치되어 있지만, 주축 가이드(35)에, 주축(32)에, 주축 가이드(35)와 주축(32) 사이에, 주축 가이드(35)와 스위칭 밸브 케이스(27) 사이에 지연 바이패스 유로(86)를 설치할 수 있다. 즉, 2차실(52b)에 유입된 공기를 지연 파일럿 챔버(85)에 도입할 수 있으면, 지연 바이패스 유로(86)는 어떤 곳이라도 설치할 수 있다.
이 간헐 송풍 건은 압축 공기를 대상물에 간헐적으로 분사하여 피가공물의 가공 칩이나 피도장면의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Claims (12)

  1.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가 설치된 공기 흡입부와 소구경 구멍이 일단에 형성되고,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가 설치된 공기 토출부와 상기 소구경 구멍보다 내경이 큰 대구경 구멍이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 및 상기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에 연통하는 밸브 챔버가 형성된 스위칭 밸브 케이스와,
    상기 밸브 챔버에 위치시켜서 형성되어 밸브 공을 가지는 밸브 시트 부재와,
    상기 밸브 공을 개폐하는 밸브 몸체가 형성된 주축, 상기 소구경 구멍에 삽입되어 소구경 파일럿 챔버를 칸막이하는 소구경 피스톤 및 상기 대구경 구멍에 삽입되어 대구경 파일럿 챔버를 칸막이하는 대구경 피스톤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스위칭 밸브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와 상기 대구경 파일럿 챔버를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가지는 스위칭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스위칭 밸브 케이스내로부터 공기 토출부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대구경 파일럿 챔버에 공급하여 상기 밸브 몸체를 폐쇄 위치로 스위칭하며, 상기 대구경 파일럿 챔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밸브 몸체를 개방 위치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구경 구멍 및 상기 대구경 구멍은, 상기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와 상기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위칭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상기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 상기 밸브 챔버, 상기 대구경 파일럿 챔버, 상기 스위칭 밸브 출력 포트의 순서로 배치되는, 스위칭 밸브.
  5.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상기 밸브 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를 상기 대구경 파일럿 챔버에 장착하고, 상기 대구경 피스톤을 통해 상기 대구경 파일럿 챔버의 반대측에 지연 파일럿 챔버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 공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지연 파일럿 챔버에 공급하는 지연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된, 스위칭 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연 바이패스 유로의 도입 유로가 형성된 지연 파일럿 압력 도입구가 상기 공기 토출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스위칭 밸브.
  7.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항의 스위칭 밸브와, 공기 흡입부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에 공급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에 대한 공기 공급을 정지시키고, 또한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작동 정지 위치로 스위칭하는 트리거 밸브를 가지는, 간헐 송풍 건(intermittent air blower gun).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밸브의 상기 공기 토출부에 연통하는 노즐과,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밸브와 상기 트리거 밸브가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간헐 송풍 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밸브는,
    상기 트리거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와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를 연통하는 트리거 유로와,
    상기 트리거 유로와 상기 스위칭 밸브 입력 포트를 연통하는 급기 포트와,
    상기 트리거 유로와 상기 소구경 파일럿 챔버를 연통하는 파일럿 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급기 포트와 상기 파일럿 포트가 상기 그립부의 횡단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간헐 송풍 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그 바이패스 유로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조정하는 가변 교축부(throttling part)를 형성하고, 상기 가변 교축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량을 조정할 수 있는, 간헐 송풍 건.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상기 트리거 밸브를 작동 위치와 작동 정지 위치에 스위칭하는 조작 수단을 설치한, 간헐 송풍 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요동 자재하게 설치된 트리거 레버인, 간헐 송풍 건.
KR1020187038161A 2016-08-29 2017-08-04 스위칭 밸브 및 간헐 송풍 건 KR102190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6987 2016-08-29
JPJP-P-2016-166987 2016-08-29
PCT/JP2017/028388 WO2018043032A1 (ja) 2016-08-29 2017-08-04 切換弁および間欠エアブローガ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477A true KR20190039477A (ko) 2019-04-12
KR102190802B1 KR102190802B1 (ko) 2020-12-14

Family

ID=6130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161A KR102190802B1 (ko) 2016-08-29 2017-08-04 스위칭 밸브 및 간헐 송풍 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8156B2 (ko)
JP (1) JP6591686B2 (ko)
KR (1) KR102190802B1 (ko)
CN (1) CN209569390U (ko)
TW (1) TWI716626B (ko)
WO (1) WO2018043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7555B2 (ja) * 2016-10-05 2020-02-14 Smc株式会社 間欠エア発生装置
EP3957402A4 (en) * 2019-04-18 2023-01-18 SMC Corporation HIGH PRESSURE FLUID EVACUATION DEVICE
US20230398564A1 (en) * 2020-11-17 2023-12-14 Engineered Controls International, Llc Cleaning receptacle for cryogenic fluid fueling nozzle
JP2024055247A (ja) * 2022-10-07 2024-04-18 Smc株式会社 間欠エア吐出用流体回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476A (ja) * 1992-07-20 1994-08-23 Koguma Kikai Kk 弁装置
JPH07190221A (ja) 1993-12-28 1995-07-28 Ckd Corp エア吐出装置
KR20070115200A (ko) * 2006-06-01 2007-12-05 창인건설(주) 분수용 3방향 밸브장치
JP2010174940A (ja) * 2009-01-28 2010-08-12 Nachi Fujikoshi Corp シーケンスバルブ
JP2014083518A (ja) 2012-10-26 2014-05-12 Honda Motor Co Ltd 間欠エアブローガ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6937A (en) * 1960-01-13 1963-10-15 Sands Asa Dewitt Safety cut-off valve requiring reset by pressure equalization
US4052008A (en) * 1976-04-12 1977-10-04 Chemetron Corporation Blow gun
US4124164A (en) * 1977-07-08 1978-11-07 Armstrong Cork Company Tamper proof safety cut-off fluid nozzle
US7219850B2 (en) * 2004-07-29 2007-05-22 Robert Bosch Gmbh Mechanical valve assembly
JP5256545B2 (ja) * 2010-02-10 2013-08-07 Smc株式会社 減圧切換弁
US9275823B2 (en) * 2012-03-21 2016-03-01 Fei Company Multiple gas injection system
EP2923628A4 (en) * 2012-11-21 2016-10-26 Olympus Corp FLOW ROUND PANEL UNIT FOR AN ENDOSCOPE AND ENDOSCOPE
DE112014003997B4 (de) * 2013-09-02 2023-07-06 Smc Corporation Fluidsteuerventil
CN103787254B (zh) * 2014-02-19 2016-08-17 佛山市优霸机械设备有限公司 双阀杆抽真空注液装置
JP6289358B2 (ja) * 2014-12-17 2018-03-07 株式会社コガネイ 間欠エア吐出装置
TWM499260U (zh) * 2014-12-18 2015-04-21 zhao-de Xu 風槍之風量調整結構改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476A (ja) * 1992-07-20 1994-08-23 Koguma Kikai Kk 弁装置
JPH07190221A (ja) 1993-12-28 1995-07-28 Ckd Corp エア吐出装置
KR20070115200A (ko) * 2006-06-01 2007-12-05 창인건설(주) 분수용 3방향 밸브장치
JP2010174940A (ja) * 2009-01-28 2010-08-12 Nachi Fujikoshi Corp シーケンスバルブ
JP2014083518A (ja) 2012-10-26 2014-05-12 Honda Motor Co Ltd 間欠エアブローガ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032A1 (ja) 2018-03-08
JPWO2018043032A1 (ja) 2019-02-28
CN209569390U (zh) 2019-11-01
TWI716626B (zh) 2021-01-21
US20190232312A1 (en) 2019-08-01
JP6591686B2 (ja) 2019-10-16
US11148156B2 (en) 2021-10-19
TW201806672A (zh) 2018-03-01
KR102190802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477A (ko) 스위칭 밸브 및 간헐 송풍 건
US4549854A (en) Vacuum generating device
EP3412920B1 (en) Silencer and ejector in which silencer is used
US6783050B2 (en) Nail gun provided with duster function
JP2007090221A (ja) スプレーノズル及びスプレーシステム
CN212420934U (zh) 一种新型手持式水刀切割枪
KR20030019856A (ko) 압축공기 공구용 지연 차단 커넥터
WO2014080664A1 (ja) 間欠エア吐出装置
JP6557246B2 (ja) 間歇エア発生装置
CN114466983B (zh) 高压流体喷出装置
TWI640690B (zh) 間歇性空氣產生裝置
JP6578230B2 (ja) 圧縮空気吐出装置
WO2017145573A1 (ja) 圧縮空気吐出装置
WO2008035238A1 (en) Mixing valve for portable sandblasting machines
CN113710369B (zh) 高压流体喷出装置
CN111515866B (zh) 一种新型手持式水刀切割枪
WO2013144920A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impulsive feeding of a pressurized fluid and an air weapon comprising such device
JP6606461B2 (ja) 給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