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130A - 위치 서버,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통신 디바이스 및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 Google Patents

위치 서버,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통신 디바이스 및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130A
KR20190039130A KR1020197003967A KR20197003967A KR20190039130A KR 20190039130 A KR20190039130 A KR 20190039130A KR 1020197003967 A KR1020197003967 A KR 1020197003967A KR 20197003967 A KR20197003967 A KR 20197003967A KR 20190039130 A KR20190039130 A KR 2019003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s
infrastructure equipment
location
positioning referenc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928B1 (ko
Inventor
신 홍 웡
마틴 워윅 빌
브라이언 알렉산더 마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81Transmission between bas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위치 서버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통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로부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서버. 위치 서버는 접속 인터페이스에 의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접속 인터페이스는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보고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서버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위치 서버에 의해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로부터의 추가의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생성함으로써,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 서버를 돕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위치 서버,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통신 디바이스 및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본 개시 내용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위치결정(positioning)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에 보고된 관찰된 시간 차이들로부터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서버들에 관한 것이다.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관찰된 시간 차이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위치 서버에 보고된다. 본 개시 내용은 또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통신 디바이스들 및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3GPP 정의 UMTS 및 롱 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에 기초한 것들과 같은 제3 및 제4 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은 개선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들을 갖는 정교한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제4 세대 네트워크들이 스마트폰들 및 태블릿 컴퓨터들과 같은 디바이스들로부터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 및 낮은 레이턴시들에서 통신을 지원할 수 있지만, 미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감소된 복잡도 디바이스들,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들, 이동성을 거의 또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디바이스들, 고해상도 비디오 디스플레이들 및 가상 현실 헤드셋들을 포함하는 훨씬 더 넓은 범위의 디바이스들로의 그리고 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통신을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셀에 의해 서빙되는 디바이스들의 수의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소위 사물 인터넷은 사용되고 있는 많은 저전력 또는 저비용 디바이스들을 구상한다.
감소된 대역폭 및/또는 능력 디바이스들의 경우, 협대역 IoT(NB-IoT) 통신 디바이스는 다양한 낮은 데이터 레이트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저대역폭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내부 베이스먼트(basement)들과 같은, 확장된 커버리지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전력 효율적 양자 모두인 그러한 저비용 디바이스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저비용 디바이스들에 대한 응용들 중 하나는, 물체들 자체가 추적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에 의해 그러한 통신 디바이스들이 부착되는 물체들을 추적하기 위한 설비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전에 제안된 하나의 위치 기술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알려진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보고들로부터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기초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관찰된 시간 차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부착된 위치 서버에 보고했다. 위치 서버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수신된 참조 신호들의 이러한 관찰된 시간 차이들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 다음, 위치 서버는 관찰된 시간 차이들에 기초하여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결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삼각측량 기술을 수행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저비용 및 저전력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요구는 새로운 과제들을 제시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위치 서버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가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적인 또는 개선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그 상대적 이동 레이트(relative rate of movement)를 측정하고 상대적 이동 레이트에 비례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결정하는 것의 레이트를 적응시키고 및/또는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송신하는 것의 레이트를 적응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들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측정된 상대적 이동 레이트가 정지중인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따라서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결정하는 것 및/또는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추가 양태들 및 실시예들은 통신 디바이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제공된다.
이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이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며, 첨부 도면들에서 유사한 부분들에는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이 제공되며, 첨부 도면들에서:
도 1은 LTE 표준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를 제공한다;
도 2는 통신 디바이스(UE)의 위치가 복수의 기지국(도시된 3개의 eNodeB들)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도착 시간의 차이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배열의 예시적 표현을 제공한다;
도 3은 복수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복수의 자원 요소에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 요소들의 그리드의 예시적 표현을 제공한다;
도 4는 위치결정 시기(positioning occasion) 및 위치결정 기간을 제공하기 위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패턴의 예시적 표현이다;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추가적인 위치결정 시기들 및 위치결정 기간들을 제공하기 위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 및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패턴의 예시적 표현이다;
도 6은 이전에 제안된 배열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프레임 번호들 간의 타이밍 차이를 조건부로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물체를 추적하는 예시적인 응용으로서 정지중 및 이동중인 개를 도시하는 예시적 표현이다;
도 8은 본 기술에 따라 관찰된 시간 차이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인 상태에 있는지 또는 이동중인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정지중인 상태 및 이동중인 상태 각각에 대해,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측정된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송신하는 것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적응시키는 프로세스의 예시적 표현이다;
도 10은 관찰된 시간 차이 측정들을 결정할지 또는 결정된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송신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상이한 경로들의 효과 및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 경로에 대한 효과의 예시적 표현이다;
도 11은 본 기술에 따른 참조 신호 수신 신호 강도 측정들로부터 결정된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라 관찰된 시간 차이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관찰된 시간 차이 측정들을 결정하거나 결정된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송신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트리거하기 위해 상이한 위치들에서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에서의 차이의 예시적 표현이다;
도 13은 본 기술에 따른 기지국들의 세트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된 신호 시간 차이들로부터 결정된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라 관찰된 시간 차이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기지국들의 세트의 서브 세트로부터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된 신호 시간 차이들로부터 결정된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에 따라 관찰된 시간 차이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하는 것에 이어서, 본 기술에 따른 더 정확한 위치 추정을 도출하기 위해 세트의 나머지 기지국들에 대한 수신된 신호 시간 차이들을 측정하고 보고하는 것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종래의 LTE 네트워크
이제, 본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3GPP에 의해 정의된 LTE 표준들에 따라 구성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LTE 표준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 및 표준들을 갖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발견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시스템의 일부 기본 기능을 예시하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의 다양한 요소들과 그들 각각의 동작 모드들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3GPP(RTM) 기구(body)에 의해 관리되는 관련 표준들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이 주제에 관한 많은 서적들, 예를 들어, Holma H. 및 Toskala A [1]에서도 설명된다.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양태들은 임의의 공지된 기술들에 따라, 예를 들어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들에 따른 것들과 같은 관련 표준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들(101)을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를 포함한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101)는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네트워크 요소, 향상된 NodeB(eNodeB (eNB)) 또는 조정 엔티티로서 지칭될 수 있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커버리지 영역 또는 셀 내의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104)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02)는 또한, 인증, 이동성 관리, 과금 등을 포함하는 기능을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서빙되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는 각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와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들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101A) 및 각자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유닛(101B)을 포함한다.
도 1의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104)은 또한, 통신 단말기들, 사용자 장비(UE), 단말기 디바이스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네트워크 엔티티를 통해 동일 또는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에 의해 서빙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통신은 투 웨이(two way) 통신 링크들을 통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는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들과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사이의 통신들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송수신기 유닛(104A) 및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유닛(104B)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101)들은 그것들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로밍할 때 통신 디바이스들(104)로의 모바일 통신 서비스들의 라우팅 및 관리를 수행하도록 배열되는 서빙 게이트웨이 S-GW(106)에 접속된다. 이동성 관리 및 접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108)는 홈 가입자 서버(HSS)(110)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디바이스들(104)과의 EPS(enhanced packet service) 접속들을 관리한다. 다른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은, PCRF(policy charging and resource function)(112), 인터넷 네트워크(116)에 그리고 최종적으로 외부 서버(120)에 접속하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GW)(114)를 포함한다. LTE 아키텍처에 대한 추가 정보가 Holma H. 및 Toskala A.의 "LTE for UMTS OFDN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라는 명칭의 저서 25 페이지 이후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통신 디바이스들은 사물 인터넷(IoT), 또는 감소된 대역폭 또는 능력 디바이스들의 경우, 협대역 IoT(NB-IoT)를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되었다.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디바이스들은 전력 효율적이고, 예를 들어, 내부 베이스먼트들과 같은 확장된 커버리지에서 동작할 수 있는 저비용 디바이스들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저비용 디바이스들에 대한 응용들 중 하나는 그러한 통신 디바이스들이 부착되는 물체들을 추적하고, 물체들 자체가 추적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설비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전에 제안된 하나의 위치 기술은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로서 알려져 있고, 여기서 통신 디바이스 또는 UE는 참조 신호 시간 차이(RSTD)를 측정한다. RSTD는 참조 eNodeB에 의한 참조 신호의 송신과 타겟 eNodeB 송신 참조 신호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이다. UE는 2개 이상의 eNodeB에 의해 송신된 참조 신호들에 대한 RSTD를 측정하며, 이는 3개 이상의 eNodeB를 수반할 것인데, 그 이유는 그들 중 하나가 참조 eNodeB이고 이들 측정된 RSTD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부착된 위치 서버에 송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치 서버는 수반된 eNodeB들의 알려진 위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RSTD 측정들에 기초하여 UE 포지션을 계산한다. 즉, 위치 서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eNodeB를 수반하는 eNodeB들 각각으로부터의 상대적 시간 차이로부터 UE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삼각측량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eNodeB(101.1, 101.2, 101.3)가 도시된다. ENodeB들(101.1, 101.2, 101.3) 각각은 참조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이 참조 신호들은 그 후 상이한 시간들에서 통신 디바이스 또는 UE(104)에 의해 수신된다. 시간들의 차이의 보고를 수신하는 위치 서버는 eNodeB들(101.1, 101.2, 101.3)의 알려진 위치에 대한 UE(104)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종래의 삼각측량 기술에 따라 UE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UE(104)의 위치가 추정될 수 있는 정확도는 수신된 참조 신호들로부터 UE(104)에 의해 RSTD가 측정되는 정확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eNodeB(101.1)로부터의 도착 시간은 ΔT1의 정확도를 가지며, eNodeB(101.2)의 도착 시간은 ΔT2의 정확도를 가지며, eNodeB(101.3)에 대한 도착 시간은 ΔT3의 정확도를 갖는다. 도착 시간 측정의 정확도는 측정된 참조 신호들의 품질 및 참조 신호들의 대역폭에 의존한다.
도착 시간은 알려진 신호를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LTE의 예에 대해, 일부 신호들은 알려진 포맷에 따라 그리고 예를 들어 CRS, PSS 또는 SSS와 같은 공지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에서 송신된다. 그러나, 이러한 참조 신호들은 셀-간(inter-cell) 간섭들을 경험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예들에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PRS)이 도입된다. 도 3은 박스들(302)로서 표현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요소들을 포함하는 2개의 예시적인 LTE 서브 프레임(300, 301)의 예시를 도시한다. 서브 프레임들 각각은 홀수 및 짝수 시간 슬롯들(308, 310)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박스들(302)의 수직 또는 y 축 라인으로 표현되는 서브 캐리어들을 포함하는 I = 0 내지 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자원 요소들(302)은 물리 자원 블록(306) 내의 eNodeB에 대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304)의 세트를 또한 포함하고, 점유된 위치는 eNodeB의 셀 ID에 의존한다. 상이한 주파수 시프트들을 갖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 위치들의 최대 6개까지의 상이한 세트들이 송신될 수 있고, 따라서 최대 6개의 상이한 eNodeB가 주파수 시프트당 하나의 eNodeB를 가정하는 경우에 한 번에 측정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주파수 시프트를 공유하는 eNodeB들이 그들 자신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상이한 시퀀스들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TPRS={160, 320, 640, 1280} 서브 프레임들의 기간을 갖는 NPRS={1, 2, 4, 6}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들을 통해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된다. 위치결정 참조 신호 송신의 NPRS 연속적인 서브 프레임들은 위치결정 시기로서 알려져 있다. 위치결정 시기 및 위치결정 기간 TPRS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간 분리된 유닛들은 서브 프레임들(400)을 포함하며, 이 서브 프레임은 무선 프레임들(402)로 형성된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402)은 10개의 서브 프레임(400)을 포함한다. 다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기간(408)에 의해 분리된 무선 프레임(402)의 1 내지 4로 번호가 매겨진, 서브 프레임들(404, 406) 중 4개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4개의 서브 프레임의 각각의 그룹을 분리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9로 번호가 매겨진 서브 프레임들(400)은 NPRS=4 서브 프레임들의 길이를 갖는 위치결정 시기를 나타내고 서브 프레임 1, 2, 3 및 4를 점유한다.
어린이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어린이에게 부착되는 어린이 추적기(child tracker)들과 같은 추적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어린이 추적기를 형성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포지션의 빠른 업데이트를 필요로 한다. IoT 디바이스들은 또한 정상 커버리지 영역 밖에서 작동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그러한 추적 디바이스들은 PRS가 검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RS의 반복들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러한 통신 디바이스의 경우, 기존의 PRS 자원들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TPRS =1280 서브 프레임들(즉, 1.28초) 및 NPRS=6인 경우, PRS 측정마다 100 반복을 필요로 하는 커버리지 향상(coverage enhancement) 하의 디바이스에 대해, 이것은 하나의 측정이 일어나는데 21초가 걸릴 것이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는 보고를 행하기 위해 몇 가지 측정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되는 바와 같이 상당한 자원 사용 없이 RSTD의 측정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의 개선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PRS)(S-PRS)이 짧은 시간 지속 기간 동안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고, S-PRS를 수신하기 위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UE(즉, UE들의 그룹)를 타겟팅하는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S-PRS는, 모든 UE로의 추가적인 PRS를 무차별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에 비해 자원들의 효율적인 사용을 초래할 수 있는 필요가 발생할 때 네트워크가 추가적인 PRS를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즉, RSTD를 측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PRS를 요구하는 UE에 대해, UE는 기존 PRS에 더하여 S-PRS를 사용할 수 있다. UE가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면, 기존의 PRS 송신이 계속되더라도 S-PRS 송신은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기존 PRS는 위치결정 시기 길이 NPRS = 6 서브 프레임들(504, 506)을 갖는 매 TPRS 기간(508)마다 브로드캐스팅된다. UE 또는 UE들의 작은 그룹이 추가적인 PRS를 필요로 한다면, 네트워크는 S-PRS를 송신할 수 있고,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예에 대해, S-PRS는 8개의 서브 프레임(500)에 대해 다음 무선 프레임(502)에서 송신되고 그 이후 송신되지 않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S-PRS는 하나 이상의 이웃 eNodeB에 의해 송신되고, 이웃 eNodeB들은 기존의 브로드캐스트 기반 PRS에서의 것들과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그룹 내의 다른 eNodeB들보다 UE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eNodeB들과 같은 eNodeB들의 서브 세트에 대한 S-PRS의 형태로 추가적인 PRS를 제공할 수 있다. S-PRS는 예를 들어 UE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브로드캐스트 기반 PRS에 있지 않은, eNodeB들로부터의 PRS들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PRS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측정 보고 구성의 일부일 수 있다. 구성은 S-PRS 세트들의 수 및 S-PRS를 포함하는 주파수 및 시간 자원들을 나타내고, 각각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eNodeB에 대응한다. S-PRS에 사용되는 자원들은 브로드캐스트 기반 PRS에 대해 사용되는 것들과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S-PRS의 RRC 구성은 시작 및 정지 시간, 예를 들어, 이들 S-PRS 송신들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RRC 구성은 S-PRS의 주파수 및 시간 자원들을 나타내지만 S-PRS의 추가 상세들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사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추가 상세들"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S-PRS 송신들의 시작 서브 프레임 및 정지 서브 프레임와 같은, S-PRS의 시작 및 S-PRS 송신들의 정지.
● 예를 들어 S-PRS에 의해 사용되는 제1 서브 캐리어와 같은, S-P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 요소들의 패턴. 다음의 서브 캐리어들은 도 3에 도시된 패턴의 라인들을 따라 제1 서브 캐리어의 함수로서 매핑될 수 있다.
● eNodeB당 S-P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 요소들의 수. 예를 들어, 먼 eNodeB들에 대해, S-PRS의 수신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더 많은 S-PRS가 적용될 수 있다.
● S-PRS에 사용되는 자원 요소들과 표준 PRS에 사용되는 자원 요소들 사이의 맵핑.
더 일반적인 의미에서, S-PRS를 정의하는 정보는 RRC 시그널링과 DCI 시그널링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S-PRS는 예를 들어 NPDCCH 또는 M-PDCCH에 의해 운반되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DCI는 S-PRS 송신의 지속 기간, 예를 들어, 반복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UE가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그 위치의 더 빠른 업데이트를 제공하도록 추가적인 PRS에 요구하고 따라서 그 결과 DCI를 통한 S-PRS의 동적 스케줄링이 이로운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룹 식별자는 UE들의 그룹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S-PRS에 대한 DCI를 포함하는 NPDCCH/M-PDCCH는, 구성된 그룹 내의 UE들만이 이 DCI의 콘텐츠를 판독할 필요가 있고 S-PRS로 스케줄링되도록, 그의 순환 중복 검사 CRC를 마스킹하기 위해 이 그룹 식별자를 사용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네트워크로부터 S-PRS를 요청할 수 있다. 이는 UE가, 요구된 성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특정 정확도에 도달하거나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 RSTD 측정들을 획득하기 위해 UE가 추가적인 PRS를 요구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최상의 포지션에 있다는 것으로 인식한다. 요청은 물리 계층 또는 RRC 요청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UCI)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추정된 전력 지연 프로파일(PDP) 탭들의 크기의 차이를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그의 RSTD 측정의 정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전력 지연 프로파일 탭들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UE는 S-PRS에 대한 요청을 전력 지연 프로파일이 추정되었던 eNodeB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UE는 UE가 S-PRS를 요구하는 eNodeB들을 표시하는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는 UE가 각각의 eNodeB(또는 eNodeB들의 그룹)로부터의 RSTD 측정의 정확도를 추정할 수 있을 때 유익하다. 이 경우, UE는, 정확한 RSTD 측정들을 갖지 않는 그러한 eNodeB들로부터의 S-PRS를 수신하기만 하면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정확한 RSTD 측정들을 갖는 그러한 eNodeB들에 대해서만 RSTD 측정들을 보고한다. 위치 서버가 RSTD 측정들이 누락된 측정 보고들을 수신하면, 위치 서버 또는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UE가 특정 eNodeB들에 대한 RSTD 측정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고 그러한 eNodeB들에 대해 S-PRS를 스케줄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RSTD 측정들 및 RSTD 측정들의 품질의 추정들을 보고한다. 위치 서버가 낮은 품질의 RSTD 측정들을 갖는 측정 보고들을 수신하여, 위치 서버가 UE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게 될 때, 위치 서버는 낮은 정확도의 RSTD 측정들과 연관된 그러한 eNodeB들에 대해 S-PRS를 스케줄링한다.
실시예에서, eNodeB는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eNodeB들에 대해 S-PRS 신호들을 사용하여 위치결정 보고를 요구하여 그러한 다른 eNodeB들이 S-PRS 및 그들 S-PRS의 특성들을 송신할 필요가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반적 형성 부분 또는 eNodeB보다 더 높은 레벨의 계층 구조에서의 다른 엔티티 또는 위치 서버는, eNodeB들의 세트에 대해, 그것들이 S-PRS 신호들을 UE들에 대해 조정된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요구받는 것을 표시한다.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효율적 사용
위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E의 위치는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보고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 배열에 따르면, UE의 수신기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와 조합하여 UE의 제어기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고,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한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UE들로 수행되는 공지된 절차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의해 예시된다. 이 예에서, UE는 수신된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에 기초하여 측정들을 보고하도록 구성된다. 제1 단계(S.61)에서, UE는 동일한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를 수신하는 시간을 비교하고 2개 이상의 상이한 기지국(NodeB)으로부터 동일한 SFN의 수신 사이의 시간 차이를 측정한다. 단계(S.62)에서, UE는 2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동일한 SFN을 수신하는 시간 차이의 변화를 계산한다. 판정 포인트(S.63)에서, UE는 시간 차이의 변화가 절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그렇다면,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S.64)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UE는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 동일한 SFN의 수신 시에 측정된 차이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보고하기로 진행하고, 이는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위치 서버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판정 포인트(S.63)에서 시간 차이의 변화가 절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S.61)로 다시 진행한다.
UE가 그의 위치 변화를 보고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는, UMTS 시스템에서 제안된 바와 같은 다른 예시적인 보고 이벤트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UE 위치는 절대 임계값보다 많이 변한다;
● 이벤트 7b 보고: SFN-SFN 측정은 절대 임계값보다 더 많이 변한다;
● GPS 시간 및 SFN 시간은 절대 임계값보다 더 많이 사이가 멀어졌다;
● GANSS 시간 및 SFN 시간은 절대 임계값보다 더 많이 사이가 멀어졌다.
아이템에 통신 디바이스(UE)를 부착함으로써 아이템이 추적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개 추적기의 경우, 아이템은 종종 정지중이고, 디바이스의 위치는 아이템이 이동할 때에만 요구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그의 사육장(702) 옆에 자는 중인 개(700)는 정지중이고, 개(700)가 고양이(704)를 뒤쫓을 때 도 7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개(700)가 그의 사육장(702)으로부터 멀리 이동했을 때에만 소유자는 그 개의 위치에 관심이 있다.
기술적 개선들이 바람직한 양태는 UE의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일부 기술을 제공하는 것은 전력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따라서 UE의 배터리들을 교체하는 것 사이의 또는 UE의 배터리들의 충전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UMTS에 대해 전개된 것들과 같은 위치 결정의 배경 방법들에서, UE는 네트워크(eNodeB 또는 위치 서버)에 의해 명령받을 때 위치결정-관련 측정들을 수행한다. UE가 위치결정 측정을 수행하도록 명령받을 때마다, UE는 다수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 다수의 eNodeB들에 대한 RSTD 측정들을 행함
● PUSCH와 같은 업링크 채널을 이용한 RSTD 측정들 보고
RSTD 측정들을 수행하는 동작 및 RSTD 측정들을 보고하는 동작 양자 모두는 전력을 소비한다. UE로부터의 측정 보고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따라서 UE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는 관점에서 유익할 것이다.
따라서,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도달되는 때에만 UE가 위치결정 측정 보고들을 수행하는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트리거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서빙 셀의 RSRP는 임계량보다 많이 변한다;
● 2개(또는 그 이상) 참조 셀들(예를 들어, 서빙 셀 및 가장 가까운 이웃)의 RSTD 측정은 임계량보다 많이 변한다;
● UE에서 측정된 측정 전력 지연 프로파일(PDP)은 특정 양보다 많이 변한다;
● UE는 상이한 셀을 선택한다;
● UE의 위치는 외부 자극으로부터 이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추적된 아이템(예를 들어, 개)은 (예를 들어, 개 사육장에 부착된 블루투스 비컨으로부터 송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블루투스 비컨과 연락을 유지한다: 개 추적기가 더 이상 블루투스 비컨 신호를 들을 수 없다면, 위치결정 측정 보고들이 트리거된다.
본 발명자들은 위의 트리거링 측정들이 위치결정 측정들 자체를 수행하는 것보다 적은 전력 소비를 수반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위치결정 측정들이 트리거가 활성화되는 경우에만 수행될 때, UE는 배터리 자원들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다음의 용어들은 아래의 표에 존재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1
위치결정 측정 보고들을 트리거하는 메커니즘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가 위치결정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해야 하는지를 UE가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의 흐름도에서, UE는 단계(S.81)에서 위치결정 측정 시기를 대기한다. 위치결정 측정 시기에서, UE는 단계(S.82)에서 트리거링-관련 측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E는 그 서빙 셀 상에서 eNodeB로부터 수신된 참조 신호들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을 측정한다. 판정 포인트(S.83)에서, 트리거링-관련 측정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측정된 RSRP가 특정량보다 많이 변경되는 경우, 단계(S.84)에서 UE는 위치결정 측정을 수행하고 보고한다. 예를 들어, UE는 다수의 eNodeB 상에서 RSTD를 측정하고 그 측정들을 보고하는 업링크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렇지 않다면, UE는 단계(S.81)에서 다음 위치결정 측정 시기를 대기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기 동작은 UE 구현에 따라 저전력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UE는 트리거 기반 위치결정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가 트리거 기반 위치결정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경우, UE는 종래의 배열에 대해서는 요구시(on-demand) 또는 주기적 위치결정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RSTD 위치결정 측정들이 트리거되었다면 RSTD 위치결정 측정들만을 보고하고, 어떠한 RSTD 측정들도 트리거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아무것도 보고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정 시기들에서, UE 보고들은 다음 중 어느 하나를 보고한다:
● 트리거링 측정이 UE가 RSTD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을 초래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에 대해 "변화 없음" 표시; 또는
● RSTD 측정들이 트리거되었다면 RSTD 측정들.
이 예에 따르면, UE가 어떤 타입의 측정을 수행했는지를 네트워크가 알기 때문에 이점이 제공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UE로부터의 보고가 없다면, 네트워크는 보고를 재송신하도록 UE에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중인 상태(MOV_state) 또는 정지중인 상태(STA_state)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결정된다. 도 9에서, 박스들(900)의 제1 행은 정지중(902)으로부터 이동중(904)으로 다시 정지중(906)으로 변하는 UE의 상대 이동의 표시를 나타낸다. 제2 행(910)에서, 화살표들(912, 914)은 UE의 측정 활동을 나타낸다. 백색 또는 채워지지 않은 화살표들(912)은 UE가 정지중인 상태(STA_state)에 있을 때 수행되는 측정들을 나타내는 반면, 흑색 또는 채워진 화살표들(914)은 UE가 이동중인 상태(MOV_state)에 있을 때 수행되는 측정들을 나타낸다. 제3 행(920)은 UE가 측정들을 네트워크에 보고할 때의 시기들을 나타내는 화살표들(922)을 나타낸다. 박스들의 제4 행은 정지중인 STA_state로 결정되거나 또는 이동중인 상태 MOV_state(932, 934)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UE의 결정된 위치결정 측정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보고들이 UE의 위치가 변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UE는 이동중인 상태(934)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위치결정 측정 보고들이 UE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UE는 정지중인 상태(932)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동중인 상태(934)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UE들은 위치결정 측정 보고들(922)을 전송하지만, 정지중인 상태에서의 UE들은 그러한 측정들이 일부 다른 이벤트 또는 측정에 의해, 예를 들어, RSRP 측정들에 의해 트리거되는 경우에만 위치결정 측정들을 전송한다. UE에게 그 지리적 위치를 통지하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메시지와 같은 위치 보고가 UE가 이동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UE가 이동중인 상태(934)에 진입했다고 간주될 수 있다. 다수의 연속적인 위치 보고(922)가 UE가 이동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UE는 정지중인 상태(934)에 진입했다고 간주될 수 있다. UE가 이동중인 상태(934)에 있는 것과 UE가 정지중인 상태(932)에 있는 것 사이에 히스테리시스(hysteresis)가 있을 수 있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인식되는 바와 같이, 도 9는 다음을 도시한다:
● UE는 초기에 정지중이고 STA_state(932)에 있다.
● STA_state에서, UE는 트리거링 측정들(채워지지 않은 화살표(912)로 도시됨)을 행하지만, 이러한 트리거링 측정들은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위치결정 보고들은 트리거되지 않는다.
● STA_state에서의 제4 트리거링 측정은 UE로부터의 이동(이때까지 UE가 이동중임)을 나타낸다. 그 후, UE는 위치결정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한다(제1 음영 화살표(922)로 표시됨).
● 위치결정 보고는 네트워크로 하여금 UE가 위치를 변경한 것으로 결정하게 한다. UE로 전송된 새로운 위치 보고는 UE로 하여금 MOV_state(934)로 이전하게 한다.
● MOV_state에서, UE는 위치결정 측정들(922)을 수행하고 보고한다. 그것은 네트워크로부터 위치 보고들을 수신한다.
● UE는 이동을 중단하지만, 그것이 여전히 MOV_state(934)에 있기 때문에, 위치결정 측정들을 측정하고 전송하는 것을 여전히 계속한다.
● 마지막 3개의 음영 위치결정 측정 보고들(936)은 UE 위치가 변경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UE 위치 보고들로 이어진다. 따라서, UE는 STA_state(932)로 이전된다.
● STA_state에서, UE는 트리거링 측정들을 수행하고, 위치결정 측정들이 트리거링되는 경우에 위치결정 측정들만을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RSRP에 대한 변화들과 같은) 트리거 이벤트의 변화 레이트가 임계값보다 높다면, UE는 트리거 기반 위치결정 측정들로부터 주기적 기반 위치결정 측정들로 스위칭한다. 이는 UE에 요구되는 위치결정 보고들의 레이트에 상한을 두고, 그에 의해 배터리 전력을 보존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트리거 이벤트들의 레이트, 예를 들어 RSRP 측정들이 위치결정 측정들을 트리거하는 레이트가 임계값보다 높으면, UE는 트리거 기반 위치결정 측정들로부터 주기적 기반 위치결정 측정들로 스위칭한다. 이는 UE에 요구되는 위치결정 보고들의 레이트에 상한을 두고, 그에 의해 배터리 전력을 보존한다.
다수의 트리거링 측정을 수행하는 것
도 10은 UE의 상이한 이동 경로들의 영향이 상이한 eNodeB들(eNB1, eNB2)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측정하는 것 및 그러한 측정들의 보고 양자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UE인, UE1은 eNodeB들(eNB1, eNB2(1001, 1002))의 위치에 대해 호(arc)(1000)를 따라 이동하는 반면, 제2 예시적인 UE2는 직선 경로(1004)를 따라 이동한다. 2개의 eNodeB들(eB1, eNB2) 사이의 이들 2개의 상이한 이동 경로(1000, 1004)는 트리거링 측정들에 상이한 영향들을 가질 수 있다.
● UE1은 제1 eNodeB(eNB1) 주위의 원의 호(1000)에서 C로부터 D로 이동한다. 이 UE의 경우, 서빙 셀 eNB1로부터의 RSRP는 일정하고, 원(1000)의 이 호를 따른 모션은 이들 측정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없다. 이 UE1에 대해, 다음의 측정들은 이동을 나타낼 것이다:
○ (eNB1과 eNB2 사이의) RSTD: eNB1으로부터 UE의 거리는 일정하지만, eNB2에 대해 변한다.
○ 이웃 셀 eNB2에 대한 RSRP: eNB2로부터의 경로 손실은 호 C-D를 따라 변한다.
● UE2는, eNB1 및 eNB2(1001, 1002)로부터 수직이고 등거리인 직선(1004A 내지 B)으로 이동한다. RSTD 측정은 이 라인을 따라 변하지 않지만, 서빙 eNodeB 및 이웃 eNodeB에 대한 RSRP 측정들은 변한다.
도 10과 관련된 위의 관찰들에 기초하여, UE가 하나보다 많은 타입의 트리거링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인식되었으며, 이는 다음의 예들로 이어진다:
● 트리거링 측정 타입이 시간에 맞춰 사이클링한다. 예를 들어, 제1 측정 시기에서, UE는 서빙 셀의 RSRP 측정을 수행하고, 제2 측정 시기에서, UE는 이웃 셀의 RSRP 측정을 수행하고, 제3 측정 시기에서, UE는 2개의 참조 셀에 대해 RSTD 측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트리거링 측정들 중 임의의 것이 RSTD 측정들의 전체 세트를 트리거하는 경우, UE는 그러한 RSTD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한다.
● 트리거링 측정들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서빙 셀 RSRP가 변할 때 또는 단일 RSTD 측정이 변할 때 위치결정 보고를 수행한다.
● 트리거 이벤트는 모니터링되는 이웃 셀들 중 임의의 것 사이의 RSTD의 변화이다. 예를 들어, UE는 6개의 이웃 eNodeB에 대해 RSTD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트리거링 단계 동안, UE는 이러한 이웃 eNodeB들(및 서빙 eNodeB)의 쌍들 사이의 RSTD를 모니터링한다. UE는 이들 측정들을 시간에 맞춰 사이클링하거나, 임의의 하나의 트리거링 측정을 위해 RSTD 측정들의 서브 세트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된 이웃 eNodeB들의 RSTD 중 임의의 것이 임계값만큼 변하면, eNodeB들의 구성된 세트에 대한 전체 위치결정 측정이 UE에 의해 수행되고 보고된다. 임계값은 상이한 이웃 eNB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RSRP 기반 트리거링 측정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측정된 RSRP가 임계량보다 많이 변하는 경우 RSTD 위치결정 측정들을 수행한다(임계값은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UE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UE는 구현 및/또는 구성에 따라 다양한 시간들에서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다음의 상황들 중 하나 이상 하에서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 셀 선택 목적들을 위해 RSRP 측정들을 수행한다.
● 매 위치결정 측정 시기마다 RSRP 측정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RSRP 측정이 임계량보다 많이 변하는 경우, UE는 RSTD 측정들의 전체 세트를 수행한다.
● 페이징(paging) 시기에 RSRP 측정들을 수행한다.
● 모바일-발신 UL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RSRP 측정들을 수행한다.
RSTD 측정을 수행하도록 UE를 트리거하는 RSRP는 서빙 셀 상에서 또는 하나 이상의 이웃 셀 상에서 측정될 수 있다. RSRP가 이 셀들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임계량보다 많이 변하는 경우, 이는 UE가 이동했다는 표시이고 RSTD 측정들을 수행해야 한다.
위의 예에서, 측정의 변화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RSTD 측정들이 트리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화는 이전의 RSTD 측정이 수행되었을 때 취해진 측정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트리거가 RSRP 측정들에 기초하면, UE가 RSTD 측정을 수행할 때, UE는 또한 RSRP 측정을 수행하고 RSRP 측정을 (RSRP1로서) 저장한다. UE는 이어서 추가의 RSRP 측정들(RSRPnew)을 수행한다. abs(RSRPnew - RSRP1) > 임계값이면, UE는 새로운 RSTD 측정들을 수행하고 RSRP1 값을 새롭게 측정된 RSRP 측정, RSRPnew로 업데이트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예시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S.111: 디폴트 또는 리셋 값과 같은 초기 RSRP 값이 생성되거나, 또는 초기 RSRP1 값은 UE가 위치결정 측정들을 보고하도록 초기에 구성될 때 UE에 의해 측정된 RSRP 값일 수 있다.
S.112: 도 8에 도시된 예(단계 S.81)에 대해서는, UE는 측정 시기를 대기한다.
S.113: 측정 시기에서, UE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eNodeB들 중 하나의 eNodeB로부터의 RSRP의 측정을 수행한다. 그 다음, 결정된 RSRP 값은 새로운 RSRP 값(RSRPnew)이 된다.
S.114: 판정 포인트(S.114)에서, UE는 새로운 RSRP 값과 예전 것 사이의 절대 차이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abs(RSRPnew - RSRP1) > 임계값)를 결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처리는 다시 단계 S.112로 진행하고 UE는 위치결정 측정 시기를 대기한다.
S.115: 판정 포인트 S.114에서, 새로운 RSRP 값과 예전 RSRP 값 사이의 절대 차이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새로운 RSRP 값은 초기 RSRP 값으로서 저장된다.
S.116: UE는 이어서 수행하고 RSTD 값들을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보고하도록 진행한다.
전력 지연 프로파일 기반 트리거링 측정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측정들은 UE에 의해 측정된 전력 지연 프로파일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지연 프로파일들이 크게 변하면, UE는 위치결정 측정들을 수행하고 보고한다. 도 12는 2개의 위치에서의 RSTD 측정이 동일하지만 위치들에서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들이 상이한 예시적인 상황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2개의 eNodeB들(eNB1, eNB2) 사이에서, 직선 경로(1200)를 따라 이동한다. 2개의 상이한 측정 시기(1202, 1204)에서, UE는 eNodeB들(eNB1, eNB2)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을 측정한다. 전력 지연 프로파일들은 예를 들어 상이한 멀티-패스(multi-path) 프로파일들을 야기하는 빌딩들(1206, 1208, 1210)과 같은 상이한 주변들의 존재로 인해 상이할 수 있다. 위치 1 및 위치 2(1202, 1204)에서의 RSTD 측정들은 동일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위치 1 및 위치 2가 eNB1 및 eNB2로부터 수직이고 등거리인 라인(1200) 상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파 환경 내에 위치 2 주위에 수신된 신호의 다수의 반사들을 생성하는 빌딩들(1204, 1208, 1210)에 의해 야기되는 증가된 멀티-패스 수신의 결과로서, 전력 지연 프로파일 내의 다수의 멀티-패스 컴포넌트들이 생성된다. 위치 1에서, 먼 산으로부터의, 단일의 훨씬 지연된 컴포넌트를 갖는 전력 지연 프로파일 내에 단일의 우세 가시선 패스(single dominant line of sight path)가 존재한다. UE는 전력 지연 프로파일이 위치 1 과 위치 2 사이에서 상당히 변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어, 위치결정 측정 보고를 트리거한다.
위치결정 측정 보고들의 네트워크 트리거링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UE로부터의 PRACH 송신들의 모니터링에 의해 UE로의 왕복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왕복 시간이 임계량보다 많이 변하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RRC 메시지를 UE에 전송함으로써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UE를 트리거한다.
위의 실시예들은 일부 트리거링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RSTD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트리거되고 있는 UE에 포커싱되었다. 이러한 동작의 형태는 (OTDOA와 같은) 다운링크-중심 위치결정 방법들에 특히 적용 가능하다. (UTDOA와 같은) 업링크-중심 위치결정 방법들에 관련된 업링크 송신들이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들에 의해 또한 트리거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트리거링 측정들 및 위치결정 측정들을 보고하는 것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트리거링 측정들 자체를 eNodeB에 보고한다. UE는 또한 추가의 위치결정 측정들을 향후에 eNodeB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링 측정은 eNodeB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에 대해 수행되는 RSTD 측정일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링 측정이 이전에 보고된 RSTD 측정으로부터, 절대 임계값보다 크게 변하면, UE는 이 RSTD 측정을 eNodeB에 보고한다. 이 예는 도 13의 흐름도에 도시되며, 이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S.131: 제1 단계에서, UE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현재 UE가 부착되어 있는 eNodeB뿐만 아니라 복수의 이웃 eNodeB를 포함하는 eNodeB들의 세트 내의 상이한 eNodeB들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에 대한 RSTD를 측정한다.
S.132: UE는 그 후 이전에 보고된 RSTD 값에 대한 RSTD의 변화를 계산한다.
S.133: 판정 단계에서, UE는 RSTD의 변화가 미리 정의될 수 있는 임계값을 초과했는지를 결정한다.
S.134: 변화가 임계값을 초과했다면, UE는 측정된 RSTD를 보고하도록 진행한다. 그러나, RSTD 값의 변화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S.131)로 복귀한다.
도 14는 UE가 eNodeB의 제한된 세트에 대해 RSTD 측정들을 트리거링 측정들로서 수행하는 더 복잡한 예를 도시한다. 그러한 트리거링 측정들 중 하나의 변화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UE는 트리거를 야기하는 RSTD 측정들을 즉시 보고한다. 도 14에 도시된 프로세스의 이러한 부분은 도 13에 제시된 예에 대응하고, 이에 따라 단계들(S.131, S.132, S.133 및 S.134)은 동일한 영숫자 부호들을 지닌다. 다음으로, UE는 단계(S.145)로 진행하여 eNodeB들의 다른 세트들에 대해 RSTD 측정들을 수행하여, 위치결정 측정들의 전체 세트를 생성하고 단계(S.146)에서, 이것들을 향후에 네트워크에 보고한다. 네트워크가 이 예에 따라 이른 위치결정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 때문이다:
● 네트워크는 추적된 디바이스가 이동했던 가장 이른 기회에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 네트워크는 새로운 디바이스 위치의 초기 추정을 도출할 수 있다.
○ 이 위치는 전체 위치결정 측정 보고가 후속하여 UE로부터 수신될 때 세분화될 수 있다.
도 14의 흐름도에서, 트리거링 측정 및 위치결정 측정은 상이한 유형들일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4의 트리거링 측정 S.131, S.132는 RSRP 측정일 수 있고, 위치결정 측정 S.134는 RSTD 측정들의 세트일 수 있다. RSRP 측정의 이른 보고 S.134는 UE 위치가 이른 단계에서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예를 들어, UE가 서빙 eNodeB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했는지의 초기 추정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추가 양태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단락들에서 정의된다:
단락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들을 송신하고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통신 디바이스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로서,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및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보고들을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제어기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위치 서버에 의해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 서버를 돕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단락 2. 단락 1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은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으로부터 생성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 및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으로부터 생성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포함하고, 제어기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으로부터 생성된 그리고 보충의 참조 신호들로부터 생성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조합하여- 보고들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더 정확한 추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단락 3. 단락 1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은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및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어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생성하기 위한 더 정확한 측정들을 생성하고, 그로부터 위치 서버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더 정확한 추정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 서버.
단락 4. 단락 1, 2, 또는 3에 있어서, 제어기는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게 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이 충족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더 정확한 추정이 생성될 수 있게 하는, 위치 서버.
단락 5. 단락들 1 내지 4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제어기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단락 6. 단락들 1 내지 5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제어기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수의 시간 단위 동안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단락 7. 단락 6에 있어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다수의 시간 단위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요건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서버.
단락 8. 단락들 4 내지 7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치 서버.
단락 9. 단락들 1 내지 8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내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각각에 의해 상이하게 송신되거나, 또는 보충의 참조 신호들은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내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하나에 의해서만 송신되는, 위치 서버.
단락 10. 단락들 1 내지 9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시간 단위들 및 시간 단위들에서의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의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위치 서버.
단락 11. 단락 10에 있어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시간 단위들 및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의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와 조합하여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위치 서버.
단락 12. 단락들 1 내지 11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더 큰 위치 정확도를 위한 요건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치 서버.
단락 13. 단락 12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의 정확도가 미리 결정된 정확도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더 큰 위치 정확도를 위한 요건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단락 1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디바이스들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송신기 및 수신기를 제어하여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과 하나 이상의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로부터 결정될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에 대한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하고,
제어기는 송신기와 조합되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15. 단락 14에 있어서,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송신기와 함께 구성되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가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게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16. 단락 14 또는 15에 있어서, 제어기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송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17. 단락 16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시간은 다수의 시간 단위로서 표현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18. 단락 17에 있어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다수의 시간 단위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요건에 따라 결정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19. 단락들 14 내지 18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20. 단락들 14 내지 19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제어기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그룹 중 하나로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송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고,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내의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에 상이하게 송신되거나 또는 보충의 참조 신호들은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그룹 내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서만 송신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21. 단락들 14 내지 20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시간 단위들 및 시간 단위들에서의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의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22. 단락 21에 있어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시간 단위들 및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의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와 조합하여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23. 단락들 14 내지 22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더 큰 위치 정확도에 대한 요청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24. 단락 23에 있어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위치 서버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명령어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의 상대적 도착 시간의 정확도가 미리 결정된 정확도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단락 25.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고,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생성하기 위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 서버를 돕도록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26. 단락 25에 있어서, 제어기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결정하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송신된 표시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 및 보충의 참조 신호들의 수신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표시를 포함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돕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27. 단락 25 또는 26에 있어서, 제어기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고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과 수신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조합으로부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의 더 정확한 측정들을 생성하도록,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송신된 표시는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과 수신된 보충의 참조 신호들의 조합으로부터 더 정확하게 생성된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표시를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28. 단락 25, 26 또는 27에 있어서, 제어기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도록 송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29. 단락 28에 있어서, 제어기는, 미리 결정된 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도록 송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30. 단락 29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로부터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정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31.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보고들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로부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선택되는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여,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뿐만 아니라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로부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생성함으로써,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 서버를 돕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32.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보고들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결정하는 것은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생성하기 위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 서버를 돕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단락 3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고,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여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제어기는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측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제어기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거나 또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의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결정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34. 단락 33에 있어서,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측정으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 레이트를 결정하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고,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는 것의 레이트를 적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35. 단락 34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신 디바이스의 결정된 상대적 이동 레이트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결정을 적응시키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고,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것의 레이트는 더 낮은 상대적 이동도에 대해 감소되고,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의 적응은 관찰된 시간 차이의 결정의 레이트에 대응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는 것의 레이트를 적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36. 단락들 33 내지 35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측정은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임계값에 대한 관찰된 시간 차이의 2개의 샘플을 비교하고, 관찰된 시간 차이의 2개의 샘플 사이의 차이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37. 단락 33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측정은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수신된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2개의 샘플에 대해 변경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수신된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변경된 경우에, 수신된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2개의 연속적인 샘플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았을 때 통신 디바이스의 더 낮은 상대적 이동에 대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38. 단락 36에 있어서, 제어기는,
수신된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을 나타내는 경우에,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지 않음으로써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것을 적응시키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39. 단락들 33 내지 38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참조 신호들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고, 수신된 신호 강도의 변화는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40. 단락들 33 내지 39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참조 신호들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고, 수신된 신호 강도의 변화는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41. 단락들 33 내지 39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변화는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42. 단락들 33 내지 39 중 임의의 것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통신 디바이스가 상이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를 통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해야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표시, 또는 통신 디바이스가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상이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강도에 기초한 제어기에 의한 판정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43. 단락들 33 내지 39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위치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모니터링된 비컨 신호를 나타내는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포함하고, 비컨 신호의 수신의 손실은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4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신호들을 송신하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제어기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송신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적응되는 레이트에서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45. 단락 44에 있어서, 제어기는,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비례하는 레이트에서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도록, 수신기 및 송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46. 단락 44 또는 45에 있어서,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는 통신 디바이스가 이동중이라는 것 또는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고,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는 것 또는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것을 적응시키는 것은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일 때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또는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47.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신된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고,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송신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적응되는 레이트에서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48. 단락 47에 있어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는,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비례하는 레이트에서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49. 단락 47 또는 48에 있어서,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는 통신 디바이스가 이동중인 것 또는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인 것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고,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는 것 또는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것을 적응시키는 것은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일 때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또는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참조들
[1] LTE for UMTS: OFDMA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 Harris Holma and Antti Toskala, Wiley 2009, ISBN 978-0-470-99401-6.
[2] RP-161324, "New work item proposal: Enhancements of NB-IoT," Vodafone, Huawei, HiSilicon, Ericsson, Qualcomm, RAN#72
[3] RP-161321, "New WI proposal on Further Enhanced MTC", Ericsson, RAN#72
[4] TS36.133, "EUTRA: Requirements for support of radio resource management (Rel-13)," v13.3.0, ETSI

Claims (49)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로서,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로부터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보고들을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상기 위치 서버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위치 서버를 돕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은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 및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으로부터 생성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으로부터 생성된 그리고 상기 보충의 참조 신호들로부터 생성된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조합하여- 보고들은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의 더 정확한 추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은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및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생성하기 위한 더 정확한 측정들을 생성하고, 그로부터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더 정확한 추정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게 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이 충족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더 정확한 추정이 생성될 수 있게 하는, 위치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수의 시간 단위 동안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상기 다수의 시간 단위는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요건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 서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치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내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각각에 의해 상이하게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보충의 참조 신호들은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내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하나에 의해서만 송신되는, 위치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상기 시간 단위들 및 상기 시간 단위들에서의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의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위치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상기 시간 단위들 및 상기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의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와 조합하여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위치 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더 큰 위치 정확도를 위한 요건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치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의 정확도가 미리 결정된 정확도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더 큰 위치 정확도를 위한 요건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서버.
  1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디바이스들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에서,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과 하나 이상의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로부터 결정될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에 대한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신기와 조합되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여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기와 함께 구성되어,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가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게 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다수의 시간 단위로서 표현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상기 다수의 시간 단위는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요건에 따라 결정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상기 수신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그룹 중 하나로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내의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에 상이하게 송신되거나 또는 상기 보충의 참조 신호들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그룹 내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서만 송신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상기 시간 단위들 및 상기 시간 단위들에서의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의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이 송신되는 상기 시간 단위들 및 상기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의 표시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와 조합하여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통신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더 큰 위치 정확도에 대한 요청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에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위치 서버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의 상대적 도착 시간의 정확도가 미리 결정된 정확도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25.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생성하기 위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 서버를 돕도록 상기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결정하도록,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며,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송신된 표시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로의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 및 상기 보충의 참조 신호들의 수신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표시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돕는, 통신 디바이스.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과 수신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의 더 정확한 측정들을 생성하도록,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송신된 표시는 상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과 상기 수신된 보충의 참조 신호들의 조합으로부터 더 정확하게 생성된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표시를 제공하는, 통신 디바이스.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미리 결정된 조건들이 충족된 경우에,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에 대한 상기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들은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로부터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정확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인 것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1.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의 보고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로부터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 하여금, 선택되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송신하게 하여,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뿐만 아니라 상기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로부터 관찰된 시간 차이 보고들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 서버를 돕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2.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보고들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생성하기 위한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위치 서버를 돕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송신하여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측정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의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의 결정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측정으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 레이트를 결정하도록,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는 것의 레이트를 적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결정된 상대적 이동 레이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상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결정을 적응시키도록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것의 레이트는 더 낮은 상대적 이동도에 대해 감소되고,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의 적응은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결정의 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는 것의 레이트를 적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측정은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임계값에 대한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2개의 샘플을 비교하고,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2개의 샘플 사이의 차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도록,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측정은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들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2개의 샘플에 대해 변경되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변경된 경우에,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2개의 연속적인 샘플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았을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더 낮은 상대적 이동에 대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송신을 적응시키도록,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으로 낮은 이동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것을 적응시키도록,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조합하여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참조 신호들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 강도의 변화는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참조 신호들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 강도의 변화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 지연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상기 전력 지연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변화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
  4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이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를 통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해야 하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표시, 또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상이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강도에 기초한 상기 제어기에 의한 판정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모니터링된 측정들은 위치에 존재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모니터링된 비컨 신호를 나타내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비컨 신호의 수신의 손실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통신 디바이스.
  44.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송신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적응되는 레이트에서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비례하는 레이트에서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수신 사이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이동중이라는 것 또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것을 적응시키는 것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일 때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또는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47.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신된 참조 신호들의 관찰된 시간 차이들을 보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시간 자원과 주파수 자원을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시간 단위로 분리되고, 복수의 시간 분리된 단위는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포함함 -,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상기 수신된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의 표시를 송신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따라 적응되는 레이트에서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위치에 대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수신 사이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의 상기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에 비례하는 레이트에서 상기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의해 송신된 상기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의 상기 수신 사이의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이동의 레이트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이동중인 것 또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인 것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는 것을 적응시키는 것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정지중일 때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또는 상기 관찰된 시간 차이를 결정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97003967A 2016-08-12 2017-07-17 위치 서버,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통신 디바이스 및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KR102321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4042 2016-08-12
EP16184042.6 2016-08-12
PCT/EP2017/067987 WO2018028941A1 (en) 2016-08-12 2017-07-17 Location server,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for the use of supplementary postioning reference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130A true KR20190039130A (ko) 2019-04-10
KR102321928B1 KR102321928B1 (ko) 2021-11-05

Family

ID=5674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967A KR102321928B1 (ko) 2016-08-12 2017-07-17 위치 서버,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통신 디바이스 및 보충의 위치결정 참조 신호들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70577B2 (ko)
EP (2) EP4213550A1 (ko)
KR (1) KR102321928B1 (ko)
CN (1) CN109644423B (ko)
WO (1) WO20180289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759A1 (ko) * 2019-08-14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2054B (zh) * 2018-09-27 2021-04-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定位方法及装置
US11451926B2 (en) * 2018-10-31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on-demand transmission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network
WO2020191646A1 (en) * 2019-03-27 2020-10-01 Nokia Shanghai Bell Co., Ltd. Wireless positioning measurement
CN111867050B (zh) * 2019-04-29 2023-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装置、节点和服务器
EP3736596A1 (de) * 2019-05-06 2020-11-11 Siemens Healthcare GmbH Zusatzmodul für ein gerät, servereinrichtung, lokalisierungs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entsprechendes speichermedium
CN111934830B (zh) * 2019-05-13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CN112235757B (zh) * 2019-07-15 2024-03-1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定位的方法、设备、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276941A (zh) * 2019-12-26 2022-11-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定位参考信号的传输资源的配置、接收方法及终端
WO2021162923A1 (en) * 2020-02-14 2021-08-19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in positioning signaling
CN113556669A (zh) * 2020-04-17 2021-10-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处理定位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138312A4 (en) * 2020-05-12 2023-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O SUPPORT THE SAME
EP4150361A1 (en) * 2020-05-15 2023-03-22 Nokia Technologies Oy Dynamic update of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based on user equipment location updates
EP4197251A4 (en) * 2020-08-11 2024-05-01 Qualcomm Inc SUBSET DISPLAY OF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FOR ENERGY SAVING IN USER DEVICES
CN112004190B (zh) * 2020-08-27 2021-06-29 苏州智铸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终端设备进行定位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基站群
US11770790B2 (en) * 2020-09-10 2023-09-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onfiguration of measurement gaps
EP4278798A1 (en) * 2021-01-15 2023-11-22 INTEL Corporation Nr positioning measurement accuracy
CN115175235A (zh) * 2021-04-02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及装置
US11765769B2 (en) * 2021-07-30 2023-09-19 Qualcomm Incorporated Supplemental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WO2023041144A1 (en) * 2021-09-14 2023-03-23 Nokia Technologies Oy Triggering user equipment-side machine learning model update for machine learning-based positioning
CN116074949A (zh) * 2021-11-03 2023-05-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及相关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480A (ko) * 2011-04-11 2014-01-2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기반 측정 사용자 장비-기반 포지셔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및 물품들
KR20150100759A (ko) * 2012-12-24 2015-09-0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송신 안테나 구성을 활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30976A (ko) * 2013-07-12 2016-03-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Otdoa prs 보조 데이터의 제공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801B2 (ja) * 2001-02-27 2010-0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測位装置と測位方法及び測位システム
US6950663B2 (en) * 2001-08-24 2005-09-27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of locating a mobile station based on observed time difference
GB0503040D0 (en) * 2005-02-14 2005-03-23 Nokia Corp Location services for unlicensed mobile access
US8068056B2 (en) * 2005-08-25 2011-11-29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reporting with 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KR100748513B1 (ko) * 2005-10-07 2007-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9083745B2 (en) * 2007-03-12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independent location services
KR20090029623A (ko) * 2007-09-18 2009-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획득 방법
US8660574B2 (en) * 2008-04-02 2014-02-25 Qualcomm Incorporated Generic positioning protocol
WO2009127776A1 (en) * 2008-04-16 2009-10-22 Nokia Corporation Area event support indication
US9234959B2 (en) * 2008-12-17 2016-01-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fingerprinting positioning
KR101644881B1 (ko) * 2009-04-10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9002354B2 (en) * 2009-06-12 2015-04-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control, SINR optimization and signaling enhancement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TDOA measurements
US9279879B2 (en) * 2009-06-26 2016-03-08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in the presence of passive distributed elements
US8918115B2 (en) * 2009-09-10 2014-12-2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location server for determining a postion of a target device
US9374798B2 (en) * 2010-05-26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of multiple positioning protocols
JP5087105B2 (ja) * 2010-06-03 2012-1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測位装置及び方法
KR101191215B1 (ko) * 2010-07-16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US9100782B2 (en) * 2010-07-27 2015-08-04 Sk Telecom Co., Ltd. Location and state information providing/inquiring system using WLAN/WPAN communication, log information providing/inquiring system and method, service server and customer terminal, location and state providing/inquiring method
CN102186191A (zh) * 2011-05-05 2011-09-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Otdoa测量及定位辅助数据发送方法、系统及装置
US9225449B2 (en) * 2012-05-11 2015-12-29 Intel Corporation Performing a handover in a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CN104583802A (zh) * 2012-06-05 2015-04-29 耐克斯特纳威公司 用于用户设备的位置定位的系统和方法
CN103582115B (zh) * 2012-07-27 2019-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控制设备及移动通信系统
US9516541B2 (en) * 2013-09-17 2016-12-06 Intel IP Corporation Congestion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real-time delay-sensitive applications
US9462448B2 (en) * 2014-04-14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for indoor location
US9491575B2 (en) * 2014-06-13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beacons with wireless backhaul
WO2016032308A1 (ko) * 2014-08-29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otdoa 관련 동작 수행 방법
US9986373B2 (en) * 2015-01-12 2018-05-29 Intel Corporation LTE-A systems and method of DRS based positioning
US9781259B1 (en) * 2016-07-27 2017-10-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t location track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9949067B2 (en) * 2016-07-29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ing PRS searches for shorter LPP-type positioning sessions
US10244346B2 (en) * 2016-08-12 2019-03-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rmining a position of a wireless device in a cellular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480A (ko) * 2011-04-11 2014-01-2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네트워크-기반 측정 사용자 장비-기반 포지셔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및 물품들
KR20150100759A (ko) * 2012-12-24 2015-09-0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송신 안테나 구성을 활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30976A (ko) * 2013-07-12 2016-03-2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Otdoa prs 보조 데이터의 제공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53744* *
3GPP TR37.857 v13.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759A1 (ko) * 2019-08-14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5683B1 (en) 2023-03-08
EP4213550A1 (en) 2023-07-19
EP3485683A1 (en) 2019-05-22
US11570577B2 (en) 2023-01-31
US20220163614A1 (en) 2022-05-26
US20230179956A1 (en) 2023-06-08
KR102321928B1 (ko) 2021-11-05
WO2018028941A1 (en) 2018-02-15
CN109644423A (zh) 2019-04-16
CN109644423B (zh)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9956A1 (en) Location server,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for the use of supplementary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CN103039108B (zh) 用于支持频率间测量的方法和设备
US20210219254A1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22545389A (ja) Wtru支援型位置決め
US11825438B2 (en) Positioning signal measurement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and wake-up signal
KR20230048347A (ko) 네트워크 설정 기반의 사이드링크 측위 방법 및 장치
CN110249643B (zh) 扩展覆盖下的测量报告
CN104350779A (zh) 管理不确定的测量时机
US20210410063A1 (en) Positioning signal measurement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KR102246505B1 (ko) Rstd 측정을 위한 기준 송신 포인트 선택 제어
US20220263557A1 (en) A method of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scheduling tci
JP2023512218A (ja) 複数の不連続受信グループとの測位測定/報告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7409334B (zh) 终端、终端操作方法、传输协调器设备、基站以及传输协调器设备的操作方法
US10771210B2 (en)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2005589A (zh) 移动终端的位置测量系统
KR202200465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 (sounding reference signal;srs)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097008A1 (en) Dormant secondary cell positioning signaling
CN118019997A (zh) 定位测量和干扰事件
CN109495864B (zh) 一种终端测速方法及基站
US8494562B2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4018880A1 (en) A method of a user equipment, a method of an access network node, a user equipment, and an access network node
WO2023095803A1 (ja) 通信システム
WO2023189902A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access network node
WO2023072361A1 (en) Sidelink signal positioning coordination based on user device capability
WO2022148656A1 (en) Positioning i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