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054A - 서스펜드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서스펜드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054A
KR20190039054A KR1020190039013A KR20190039013A KR20190039054A KR 20190039054 A KR20190039054 A KR 20190039054A KR 1020190039013 A KR1020190039013 A KR 1020190039013A KR 20190039013 A KR20190039013 A KR 20190039013A KR 20190039054 A KR20190039054 A KR 2019003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el
rope
piec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164B1 (ko
Inventor
아키라 와타나베
신이치로 야노
신지 하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42837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90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42838A external-priority patent/JP6675080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연직 방향에 대한 케이스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는 서스펜드형 콘센트를 제공한다. 케이블(3)은 컬부(33), 제 1 접속단(31) 및 제 2 접속단(32)을 갖는다. 컬부(33)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직선을 중심축(Z1)으로 하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단(31)은 컬부(33)의 상단부(332)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속단(32)은 컬부(33)의 하단부(331)에 연결되어 있고 콘센트 본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3)은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고, 케이스(1) 내에 있어서 제 2 접속단(32)이 콘센트 본체(2)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는 도입구(101)에서 케이스(1)의 외부 공간에 연결되어 있고, 컬부(33)의 하단부(331)를 수납하는 컬 수납 공간(131)을 갖는다.

Description

서스펜드형 콘센트{SUSPENDED TYPE RECEPTAC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서스펜드 구조체에 매달리는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천정에 고정되는 지지체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로프(rope)와, 로프의 선단에 자유롭게 승강하도록 마련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7-193995호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천정) 서스펜드형 콘센트는 케이블(전원 컬 코드(curl cord))과, 어태치먼트 플러그(attachment plug)를 자유롭게 꽂고 빼도록 접속되는 콘센트 본체(콘센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은 양단부를 제외한 부위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의 일단부는 지지체 내에 수납되고, 케이블의 타단부는 케이스 내에 도입되어 있다. 콘센트 본체는 케이스(본체) 내에서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스펜드형 콘센트에서는, 케이스의 표면 중앙으로부터는 대략 원통 형상의 헤드부가 돌출되어 있고, 헤드부를 관통하는 구멍을 통해 로프가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케이블은 헤드부의 베이스 부분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 케이스 내에 도입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스펜드형 콘센트에서는, 케이블 중,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단부가 헤드부의 베이스 부분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 기울어진 위쪽으로부터 케이스 내에 도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케이블로부터 케이스에 장력이 작용하거나 케이블 중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 헤드부와 간섭함으로써, 케이스가 연직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연직 방향에 대한 케이스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는 서스펜드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는 케이스와, 콘센트 본체와,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는 서스펜드 구조체에 매달린다. 상기 콘센트 본체는 플러그 블레이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접속면을 갖는다.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상기 접속면을 노출시키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다. 상기 케이블은 컬부(curl portion), 제 1 접속단 및 제 2 접속단을 갖는다. 상기 컬부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직선을 중심축으로 하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단은 상기 컬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속단은 상기 컬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센트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 내에 도입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제 2 접속단이 상기 콘센트 본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도입구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공간에 연결되 있고 상기 컬부의 상기 하단부를 수납하는 컬 수납 공간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있어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의 사선 앞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의 사선 뒤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의 사선 앞쪽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의 사선 뒤쪽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있어서 커버 및 케이블을 제거한 상태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있어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다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있어서, 바디(body)로부터 스토퍼를 떼어낸 상태의 바디 및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 9b는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있어서, 바디에 스토퍼를 부착한 상태의 바디 및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전술의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이용되는 스토퍼의 측면도이다.
(1) 개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도 2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 등의 서스펜드 구조체(9)(도 4 참조)에 매달리는 케이스(1)와, 콘센트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콘센트 본체(2)에 전기 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어 전기 기기에의 전력 공급을 실시하는 콘센트(Outlet)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서스펜드형 콘센트(10)의 콘센트 본체(2)로서, 접지극 부착의 교류 100V용이며, 2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접속 가능한 2구 타입의 콘센트를 예시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스펜드 구조체(9)가 건물의 천정에서, 천정에 매달린 상태로 사용되는 옥내용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를 예시한다. 서스펜드형 콘센트(10)가 사용되는 건물은, 예를 들면 공장, 학교, 점포, 및 병원 등의 비주택이어도 좋고, 단독 주택 및 집합 주택 등이어도 좋다.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계통 전원(상용 전원) 등의 전원과 콘센트 본체(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3)을 더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3)의 일단(제 1 접속단(31))은 예를 들면, 서스펜드 구조체(9)에 마련된 매입형 콘센트 등의 급전부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3)의 타단(제 2 접속단(32))은 콘센트 본체(2)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콘센트 본체(2)에 대해서 전원으로부터 급전이 행해진다. 케이블(3)은 대부분이 케이스(1)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부만이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어 있다. 또한,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케이블(3)은 적어도 일부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이른바 컬 코드이며, 케이스(1)와 서스펜드 구조체(9)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연직선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서스펜드 구조체(9)에 케이스(1)를 매달기 위한 로프(4)와, 로프(4)를 감는 릴(reel)(5)을 더 구비하고 있다. 릴(5)은 케이스(1) 내에 수납되어 있다. 로프(4)는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 로프 구멍(102)으로부터 케이스(1)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로프(4) 중 케이스(1) 외부로 인출된 선단부는 케이스(1) 외부에서 서스펜드 구조체(9)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1)에 걸리는 하중은 로프(4)를 통해서 서스펜드 구조체(9)에 걸리게 되어, 서스펜드 구조체(9)에 대해서 케이스(1)가 매달린다. 또한, 연직선을 따르는 케이스(1)와 서스펜드 구조체(9) 사이의 거리는 케이스(1)로부터의 로프(4)의 인출량에 의해 정해지므로, 릴(5)이 로프(4)의 감기 및 풀기를 행함으로써, 케이스(1)가 연직선을 따라서 이동(승강)한다.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릴(5)은 래칫(ratchet) 기구에 의해, 로프(4)의 풀기만이 가능해지도록 회전의 방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4)를 잡아 당기면 케이스(1)로부터 로프(4)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로프(4)가 인출된 상태에서 해제 버튼(61)이 조작되면, 래칫 기구에 의한 제한이 해제되어, 권취 스프링(62)으로부터 릴(5)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로프(4)를 감는 방향으로 릴(5)이 회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서스펜드 구조체(9)에 매달린 상태에서 케이스(1)를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케이스(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케이스(1)를 손으로 잡고, 케이스(1)를 아래쪽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케이스(1)를 하강시킬 수 있고, 해제 버튼(61)을 조작함으로써 케이스(1)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서스펜드형 콘센트(10)를 사용하지 않을 때(미사용시)에는, 서스펜드 구조체(9)의 근처까지 케이스(1)를 상승시켜 두고, 서스펜드형 콘센트(10)를 사용할 때(사용시)만, 소망의 높이까지 케이스(1)를 하강시킨다고 하는 사용법이 가능하다.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예를 들면, 전동 공구, 조명 기구, 및 청소 기기 등의 각종 전기 기기에의 전력 공급에 이용된다.
(2) 상세
(2.1) 전체 구성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도 1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 콘센트 본체(2), 케이블(3), 로프(4) 및 릴(5)에 더해서, 해제 버튼(61), 권취 스프링(62), 스토퍼(7) 및 플랜지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케이스(1)는 바디(11)와 커버(12)의 2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커버(12)를 제거한 상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스펜드 구조체(9)로서의 건물의 천정에 서스펜드형 콘센트(10)가 부착된 상태에서의,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인(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아래쪽(연직 방향)을 「아래쪽」으로서 설명한다. 또,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케이스(1)에 있어서의 바디(11)와 커버(12)가 결합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바디(11)로부터 보아 커버(12)측을 「앞쪽」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하고, 서스펜드형 콘센트(10)를 정면에서 보아 오른쪽을 「오른쪽」, 왼쪽을 「왼쪽」으로서 설명한다. 도면 내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는 설명을 위해서 표기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실체를 따르지 않는다. 다만, 이들의 방향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의 사용 방향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플랜지부(9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용의 부착 브래킷을 이용해서 서스펜드 구조체(9)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플랜지부(90)가 케이블(3) 및 로프(4)의 상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서스펜드형 콘센트(10)가 서스펜드 구조체(9)에 부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플랜지부(90)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3) 및 로프(4)는 플랜지부(90)의 하면의 중앙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출되어 있다. 플랜지부(90)의 내측에 있어서는, 케이블(3)의 상단으로 되는 제 1 접속단(31)이 매입형 콘센트 등의 급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플랜지부(90)에 있어서, 서스펜드 구조체(9)에 대한 기계적인 결합과 전원(계통 전원 등)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이 모두 행해진다.
케이스(1)는 합성 수지제이며, 콘센트 본체(2) 등을 수납한다. 일례로서 케이스(1)는 ABS 수지제이다. 케이스(1)는 전후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이며, 또한 좌우 방향보다 상하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긴」 형상이다. 또한, 케이스(1)는 상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여기서, 케이스(1)는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에 걸쳐, 단차 없이 연결된 형상, 이른바 「원 모션 폼」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의 외주면은, 하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까지는 밖을 향해서 볼록하도록 완만하게 만곡하고 있고,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로부터 상단까지는 안쪽을 향해서 볼록하도록 완만하게 만곡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의 외주면은 위쪽으로부터 보아, 둘레 전체에 걸쳐 단차 없이 연결된 만곡면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예를 들면, 케이스(1)의 상부를 잡음으로써, 비교적 손이 작은 사용자도, 케이스(1)를 잡기 쉬워져, 케이스(1)의 승강 조작이 용이해진다. 케이스(1)의 표면은 주름 가공(엠보싱 가공)된 요철면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말하는 「주름 가공」은 케이스(1)의 성형시에, 케이스(1)의 표면에 작은 요철의 잔물결 형상(주름)을 붙이는 가공이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바디(11)와 커버(12)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디(11)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커버(12)는 후면이 개방되어 있다. 바디(11) 및 커버(12)는 서로의 개구를 맞추도록 해서,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바디(11) 및 커버(12)의 사이에는, 콘센트 본체(2) 등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13)(도 1 참조)이 형성된다. 바디(11)는 전면의 개구의 내주 가장자리에 복수(여기에서는 6개)의 결합 구멍(111)(도 5 참조)을 가지고 있다. 커버(12)는 후면의 개구의 내주 가장자리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여기에서는 6개)의 결합 클로우(121)(도 6 참조)를 가지고 있다. 결합 클로우(121)가 결합 구멍(111)에 걸린 상태에서, 복수개(여기에서는 3개)의 결합 나사(14)가 바디(11)를 통해 커버(12)에 체결됨으로써, 커버(12)가 바디(11)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케이스(1)의 내부 공간(1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 수납 공간(131)과, 콘센트 수납 공간(132)과, 중계 공간(133)과, 권취 공간(134)의 4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환언하면, 케이스(1)는 컬 수납 공간(131)과, 콘센트 수납 공간(132)과, 중계 공간(133)과, 권취 공간(134)을 가지고 있다. 컬 수납 공간(131)은 후술하는 케이블(3)에 있어서의 컬부(33)의 일부(하단부(331))가 수납되는 공간이다. 콘센트 수납 공간(132)은 콘센트 본체(2)가 수납되는 공간이다. 중계 공간(133)은 컬 수납 공간(131)과 콘센트 수납 공간(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이다. 권취 공간(134)은 릴(5), 권취 스프링(62) 및 스토퍼(7) 등, 로프(4)를 감기 위한 기구가 수납되는 공간이다. 컬 수납 공간(131), 중계 공간(133), 및 권취 공간(134)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들 4개의 공간(131~134)은 대략, 케이스(1) 내에서 위쪽으로부터 컬 수납 공간(131), 중계 공간(133), 권취 공간(134), 콘센트 수납 공간(132)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계 공간(133)은 컬 수납 공간(131)의 좌측 아래쪽에 위치한다. 권취 공간(134)은 컬 수납 공간(131)의 아래쪽 및 중계 공간(133)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콘센트 수납 공간(132)은 권취 공간(134)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케이블(3)의 통로에 주목하면, 컬 수납 공간(131)은 중계 공간(133) 및 권취 공간(134)을 통해, 콘센트 수납 공간(132)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4개의 공간은 케이스(1)의 내부 공간(13)을 기능에 의해 구분한 공간에 지나지 않고, 이들 4개의 공간의 경계(도 1에 일점 쇄선으로 표시)에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칸막이벽 등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이들 4개의 공간 중 적어도 2개의 공간은 칸막이벽 등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케이스(1)의 상단부에는, 케이블(3)을 케이스(1) 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01)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101)는 바디(11)의 상단부에,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바디(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입구(101)는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바디(11)를 관통한다. 도입구(101)는 컬 수납 공간(131)과 케이스(1)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3)은 케이스(1)의 후면으로부터, 케이스(1)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케이스(1) 내의 컬 수납 공간(131)에 도입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도입구(101)에 대해서 위쪽으로부터 케이블(3)이 용이하게 삽입 가능해지도록, 도입구(101)는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도입구(10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바디(11)의 중앙부가 아니고, 바디(11)의 우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2.2) 케이블의 배선 구조」의 란에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의해, 케이블(3)의 컬부(33)가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된 상태에서, 컬부(33)의 중심축(Z1)이 케이스(1)의 상면의 대략 중앙부를 지나게 된다. 또, 커버(12)는 상단부에 있어 도입구(10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후면의 개구의 내주 가장자리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돌출편(123)을 가지고 있다. 돌출편(123)의 하면은 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케이블(3)이 도입구(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3)이 위쪽으로 끌어 당겨져도, 케이블(3)은 돌출편(123)의 하면에 접촉하여, 케이블(3)에의 커버(12)의 침투가 억제된다.
케이스(1)의 상면에는, 로프(4)를 케이스(1)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로프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로프 구멍(102)은 케이스(1)의 표면의 중앙부에, 케이스(1) 상벽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프(4)는 케이스(1)의 상면으로부터, 케이스(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케이스(1) 외부로 인출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로프 구멍(102)에 대해서 앞쪽으로부터 로프(4)가 용이하게 삽입 가능해지도록, 로프 구멍(102)은 바디(11)와 커버(12)의 경계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디(11)와 커버(12)의 각각에 형성된, 위쪽으로부터 보아 반원 형상의 한 쌍의 구멍이 합쳐져서, 원 형상의 하나의 로프 구멍(102)이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 내에서의 로프(4)의 배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케이스(1)의 하면에는, 콘센트 본체(2)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3)는 케이스(1)의 하벽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에서,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 내에 있어서의 개구부(103)의 주위에는, 콘센트 본체(2)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 구조(112, 122)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 구조(112)는 바디(11)에 마련되고, 지지 구조(122)는 커버(12)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 구조(112, 122)는 개구부(103)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또, 케이스(1)는 바디(11)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후크(104)를 더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후크(104)는 전기 기기의 플러그로부터 연장하는 전원 코드를 걸기 위한 구조이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콘센트 본체(2)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 전원 코드 등의 자체 무게에 의해 플러그에 대해서 아래 방향으로 걸리는 하중을 후크(104)에서 받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1)의 전면에는, 해제 버튼(61)을 수납하기 위한 버튼용 오목 개소(124)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용 오목 개소(124)는 커버(12)의 전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버튼용 오목 개소(124)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해제 버튼(61)의 누름 봉(611)이 통과하는 조작 구멍(125)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구멍(125)은 커버(1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콘센트 본체(2)는, 합성 수지제이고 직방체 형상인 하우징(21)과, 하우징(21) 내에 수납되는 블레이드 수용 부재 등의 내장 부품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21)의 하면은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면(23)을 구성한다. 접속면(23)에는, 플러그의 블레이드(또는 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콘센트 본체(2)는 플러그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의 블레이드(또는 핀)를 고정하는 락(lock) 기구를 가지고 있다.
콘센트 본체(2)는 케이스(1)에 형성된 개구부(103)로부터 접속면(23)을 노출시키도록,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1)에 수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1)의 하면으로부터 접속면(23)이 약간 돌출하도록 콘센트 본체(2)가 케이스(1)에 지지되어 있고, 콘센트 본체(2)의 대부분은 케이스(1)에 수납되어 있다. 콘센트 본체(2)는 바디(11)의 지지 구조(112)와 커버(12)의 지지 구조(122)로, 전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이도록 해서 개구부(103) 내에 지지된다.
또한, 콘센트 본체(2)는 케이블(3)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단자부는 하우징(21)의 상면에 형성된 단자 구멍(211)으로부터 케이블(3)의 제 2 접속단(32)을 꽂아 넣음으로써 케이블(3)이 접속되는 어태치먼트 방식의 퀵 커넥트 단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센트 본체(2)에 대해서, 한 쌍의 전원선 및 접지선(어스선)의 합계 3개의 전선이 접속된다.
케이블(3)은 제 1 접속단(31)(도 4 참조), 제 2 접속단(32), 및 컬부(33)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속단(31)은 컬부(33)의 상단부(332)(도 4 참조)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접속단(31)은 플랜지부(9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제 2 접속단(32)은 컬부(33)의 하단부(331)에 연결되어 있고, 콘센트 본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속단(32)은 케이스(1)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들 제 1 접속단(31)과 제 2 접속단(32)은 컬부(33)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컬부(33)는 상하 방향(연직 방향)을 따르는 직선(연직축)을 중심축(Z1)으로 하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 내의 중심축(Z1)은 설명을 위해서 표기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실체를 따르지 않는 가상선이다. 즉, 컬부(33)는 케이블(3)의 일부가 중심축(Z1)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helix)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나선은 회전하면서 회전면에 직교하는 중심축(Z1)을 따라 한 방향으로 상승하는 곡선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컬부(33)는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위쪽으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선회하는 나선 형상이다. 컬부(33)는 인장 코일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지고 있고, 중심축(Z1)을 따라 신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컬부(33)는 이른바 컬 코드이며, 중심축(Z1)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컬부(33)는 신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밀착시)에는, 중심축(Z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3)은 예를 들면 비닐 평행 코드(VFF) 등의, 복수개의 심선(한 쌍의 전원선 및 접지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복수개의 심선이 비닐 등의 절연 피복으로 피복된 평형(平型)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케이블(3)은 단면 형상이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컬부(33)에 있어서 직경 방향(래디얼 방향)으로 편평하게 되도록, 케이블(3)이 성형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3)은 심선이 복수개의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트위스트 선이다.
로프(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트위스트 실이다. 로프(4)는 일단이 케이스(1) 내에서 릴(5)에 고정되어 있고, 릴(5)의 주위에 감긴 후에 릴(5)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케이스(1) 내에는, 로프 구멍(102)의 우측 아래쪽의 위치에, 원통형의 가이드 롤러(107)가 배치되어 있고, 릴(5)로부터 도출된 로프(4)는 가이드 롤러(107)에 의해 위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가이드 롤러(107)에 의해 위쪽으로 휘어진 로프(4)는 로프 구멍(102)을 통해 케이스(1)의 외부로 인출되고, 선단부가 케이스(1)의 외부에서 서스펜드 구조체(9)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프(4)는 케이스(1)의 외부에서 컬부(33)의 중심축(Z1) 상에 위치한다.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릴(5)을 회전시켜서 로프(4)의 권취량을 변경함으로써, 케이스(1)로부터의 로프(4)의 인출량이 변경되어, 서스펜드 구조체(9)로부터 케이스(1)까지의 거리가 변경된다. 로프(4) 전체의 길이는 서스펜드형 콘센트(10)의 사용이 상정되는 장소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예를 들면, 서스펜드형 콘센트(10)가 사용되는 건물의 서스펜드 구조체(9)(천정)로부터 바닥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나 이 거리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된다.
릴(5)은 로프(4)의 감기 및 풀기를 실시한다. 릴(5)은 합성 수지제이며, 일례로서 ABS 수지제이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5)은, 원통형이고 주위에 로프(4)가 감기는 제 1 드럼(51), 제 1 드럼(51)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플랜지(52), 및 제 1 드럼(51)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플랜지(53)을 가지고 있다. 즉, 릴(5)은 이른바 보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랜지(52)에는 로프 걸기 홈(521)이 형성되어 있어, 로프(4)의 일단이 로프 걸기 홈(521)에 걸려 고정된다. 또, 제 2 플랜지(53)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제 2 드럼(54)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드럼(54)은 제 1 드럼(51)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이며, 제 1 드럼(51)과 동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드럼(54)의 둘레부에는, 적어도 1개(여기에서는 4개)의 오목 개소(541)가 직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릴(5)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앞쪽에서 제 1 플랜지(52)보다 뒤쪽의 위치에, 전벽(前壁)(55)을 가지고 있다. 전벽(55)의 전면 및 후면에는, 제 1 드럼(51)과 동심 형상으로 회전축(551)이 마련되어 있다(도 6 및 도 8 참조). 또, 전벽(55)의 전면에는, 원통형의 제 3 드럼(552)이 회전축(551)과 동심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회전축(551)은 바디(11)에 마련된 축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제 3 드럼(552)의 내부에는, 커버(12)에 마련된 중공의 실린더체(127)가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릴(5)은 앞쪽으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1)에 지지된다.
또한, 전벽(55)의 후면에는, 스프링 유지 프레임(56)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유지 프레임(56)은 제 1 드럼(51)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이며, 제 1 드럼(51) 및 제 2 드럼(54)의 내부에, 제 1 드럼(51) 및 제 2 드럼(54)과는 비동심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유지 프레임(56)에는 어태치먼트 홈(561)이 형성되어 있고, 어태치먼트 홈(561)에는 권취 스프링(62)의 일단이 삽입된다.
권취 스프링(62)은 이른바 나선형 스프링이며, 탄성을 갖는 금속판이 소용돌이(spiral) 형상으로 감겨져서 구성되어 있다. 권취 스프링(62)은 앞쪽으로부터 보아,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선회하는 소용돌이 형상이다. 여기서 말하는 소용돌이는 동일 평면 상에 있어서, 선회함에 따라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곡선을 의미한다. 권취 스프링(62)은 외측의 단부가 스프링 유지 프레임(56)의 어태치먼트 홈(561)에 플러그 인(plug-in)되어 지지되고, 내측의 단부가 바디(11)에 마련된 지지 하우징(116) 내에서 감겨져서 지지 하우징(116) 내에 지지되어 있다. 권취 스프링(62)은 릴(5)에 로프(4)를 감는 방향(앞쪽으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스토퍼(7)는 릴(5)의 회전을 규제하는 부재이며,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 가공을 해서 형성된다. 스토퍼(7)는 케이스(1) 내에 있어서, 릴(5)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7)는 폭 방향이 전후 방향을 따라고, 또한 길이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서 규정 각도(θA)만큼 오른쪽 위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지지부(8)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8)는 케이스(1)에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7)는 고정부(71), 탄성부(72) 및 규제부(73)를 갖는다. 고정부(71), 탄성부(72) 및 규제부(73)는 스토퍼(7)의 길이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해, 고정부(71), 탄성부(72) 및 규제부(73)가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고정부(71)는 스토퍼(7)에 있어서 지지부(8)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고정부(71)는 평판 형상의 평판부(711)와, 평판부(711)에 있어서의 스토퍼(7)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평판부(711)의 두께 방향의 한쪽(도 1의 우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각편(脚片)(712) 및 제 2 각편(713)을 가지고 있고, 앞쪽으로부터 보아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8)는 바디(11)에 마련된 지지 프레임(81)을 가지고 있다. 지지 프레임(81)은 고정부(71)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1)은 길이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서 규정 각도(θA)만큼 오른쪽 위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81) 내에는, 상벽의 중앙부가 위쪽으로 오목한 것에 의해 형성된 직방체 형상의 공간(제 1 퇴피 공간)과 하벽의 중앙부가 아래쪽으로 오목한 것에 의해 직방체 형상의 공간(제 2 퇴피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81)은 평판부(711)의 상면의 좌단부, 평판부(711)의 상면의 우단부, 제 1 각편(712)의 선단, 및 제 2 각편(713)의 선단에 접촉해서, 고정부(71)를 사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부(71)는 수평면에 대해서 규정 각도(θA)만큼 오른쪽 위쪽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81)에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프레임(81)은 제 1 퇴피 공간 및 제 2 퇴피 공간을 가지고 있지만, 지지 프레임(81)은 제 1 퇴피 공간 및 제 2 퇴피 공간을 가지지 않아도 좋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72)는 고정부(71)에 연속하고 있다. 탄성부(72)는 캔틸리버 빔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71) 측의 단부를 고정단으로 해서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탄성부(72)가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부(72)의 상면은, 고정부(71)의 평판부(711)의 상면과 하나의 면(面一)으로 되어 있다.
규제부(73)는 탄성부(72)에 연속하고 있고, 탄성부(72)에 대해서 고정부(7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규제부(73)는 제 1 규제편(731)과, 제 2 규제편(732)과, 접속편(733)을 가지고 있다. 제 2 규제편(732)은 탄성부(72)에 연속하고 있고, 탄성부(72)에 대해서 경사지는 평판 형상이다. 접속편(733)은 제 2 규제편(732)에 연속하고 있고, 탄성부(72)와 평행한 평판 형상이다. 제 1 규제편(731)은 접속편(733)에 연속하고 있고, 접속편(733)에 대해서 경사지는 평판 형상이다.
도 1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7)는 탄성부(72)에 있어서의 고정부(71) 측의 단부를 고정단으로 해서, 규제부(73)가 아래쪽으로 변위하도록 탄성부(72)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제 1 규제편(731) 및 제 2 규제편(732)이 릴(5)의 오목 개소(541) 내에 위치한다. 이하, 이 상태의 스토퍼(7)의 위치를 「규제 위치」라고 한다. 규제 위치에 있어서는, 제 1 규제편(731)이 오목 개소(541)의 우측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로프(4)를 감는 방향(도 1의 시계 회전 방향)의 릴(5)의 회전이 규제된다. 규제 위치에 있어서, 탄성부(72)에 있어서의 규제부(73) 측의 단부는 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스토퍼(7)에는, 탄성부(72)와 규제부(73)의 경계의 부분으로부터 우하 방향(탄성부(72)가 탄성 변형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편(74)이 마련되어 있다. 후크편(74)은 앞쪽으로부터 보아 J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해제 버튼(61)의 누름 봉(611)의 후단에 걸리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누름 봉(611)이 뒤쪽으로 변위하면, 후크편(74)은 누름 봉(611)에 의해 뒤쪽 아래로 눌려진다. 이때, 후크편(74)에 마련된 직사각형의 버팀판이 바디(11)에 대해 버팀판의 뒤쪽에 마련된 역 U자 형상의 리브에 접촉함으로써, 후크편(74)의 뒤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후크편(74)은 아래쪽으로 변위하게 된다. 후크편(74)이 누름 봉(611)에 밀려 아래쪽으로 변위되면, 탄성부(72)가 아래쪽으로 탄성 변형되고, 제 1 규제편(731) 및 제 2 규제편(732)이 오목 개소(541)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하, 제 1 규제편(731) 및 제 2 규제편(732)이 오목 개소(541)로부터 벗어간 상태의 스토퍼(7)의 위치를 「해제 위치」라고 한다. 해제 위치에 있어서는, 제 1 규제편(731)은 오목 개소(541) 밖에 위치하므로, 로프(4)를 감는 방향의 릴(5)의 회전이 허용된다. 그 때문에, 로프(4)는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에 의해 릴(5)에 감기게 된다.
해제 버튼(6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스토퍼(7)를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킨다. 해제 버튼(61)은 합성 수지제이며, 일례로서 폴리아세탈 코폴리머제이다. 해제 버튼(61)은 편평한 직방체 형상이며, 케이스(1)의 버튼용 오목 개소(124)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해제 버튼(61)은 후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봉 형상의 누름 봉(611)을 가지고 있다. 해제 버튼(61)이 사용자에 의해 푸시 조작되면, 누름 봉(611)은 뒤쪽으로 이동하고, 스토퍼(7)의 후크편(74)을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7)는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변위한다. 또, 버튼용 오목 개소(124) 내에는 복귀 스프링(612)이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해제 버튼(61)으로부터 손을 떼면, 복귀 스프링(612)의 복원력에 의해 해제 버튼(61)이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누름 봉(611)으로부터 후크편(74)에 걸리는 힘이 없어져, 스토퍼(7)는 탄성부(72)의 복원력에 의해 해제 위치로부터 규제 위치로 변위한다.
(2.2) 케이블의 배선 구조
다음으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는 케이블(3)의 배선 구조에 대해, 도 1,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커버(12)를 제거한 상태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케이블(3)은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어 있다. 케이블(3)은 케이스(1) 내에 있어서 제 2 접속단(32)이 콘센트 본체(2)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케이스(1)는 도입구(101)에서 케이스(1)의 외부 공간에 연결되는 컬 수납 공간(131)을 가지고 있다. 컬 수납 공간(1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3) 중 컬부(33)의 하단부(331)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있어서는, 케이블(3)은 적어도 컬부(33)의 하단부(331)가 케이스(1) 내에 수납되도록,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어 있다.
컬부(33)의 하단부(331)는 컬부(33)의 일부이기 때문에, 중심축(Z1)의 주위를 선회하는 형상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직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수평면) 내에 있어서 컬부(33)의 중심축(Z1)의 주위를 선회하는 형상의 도입로(P1)가 형성되고, 이 도입로(P1) 상을 통해 케이블(3)이 케이스(1) 내에 도입되어 있다. 도입로(P1)는 케이블(3)의 통로이며, 컬 수납 공간(131)과 케이스(1)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도입구(101)는 도입로(P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3)은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Z1)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도입로(P1)를 따라 케이스(1)의 후면으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된다. 따라서, 케이스(1)는 컬부(33)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컬부(33)의 하단부(331)를 컬 수납 공간(131)에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입로(P1)는 주위의 공간으로부터 칸막이벽 등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 다만, 도입로(P1)는 주위의 공간으로부터 칸막이벽 등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도 7a에 있어서의 도입로(P1)는 설명을 위해, 케이블(3)의 통로를 명기하는 것에 불과하고, 실체를 따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7b에 있어서의 화살표 A1는 케이블(3)이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고 있는 형태를 개념적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실체를 따르지 않는다.
여기서, 컬부(33)의 하단부(331)는 컬부(33)의 일부이라고 해도, 케이스(1) 내에 수납되므로, 케이스(1)의 내부 공간(13)의 넓이 등의 영향을 받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컬부(33)의 하단부(331)는 컬부(33)에 있어서의 하단부(331) 이외의 부위와 동일한 나선 형상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컬부(33)에 있어서의 하단부(331) 이외의 부위와는 상이한 직경인 것 등, 나선 형상이 약간 무너진 형상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는 바디(11)에 있어서의 도입구(101)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 뒤쪽으로 도출하고, 뒤쪽만큼 도입구(101)의 좌우 방향의 폭이 넓어지도록 만곡된 가이드면(105)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입구(101)에 대해서 케이스(1)의 외측에는, 가이드면(105)을 따라 중심축(Z1)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만곡된 도입로(P1)가 형성된다.
또, 케이스(1)는 컬 수납 공간(131)에 있어서 컬부(33)의 하단부(331)의 일부를 끼우는 것에 의해, 컬부(33)의 하단부(331)를 지지하는 클램프부(106)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램프부(106)는 도입로(P1)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클램프편(113) 및 제 2 클램프편(126)(도 6 참조)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클램프편(113)은 바디(11)에 마련되고, 제 2 클램프편(126)은 커버(12)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클램프편(113) 및 제 2 클램프편(126)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도입구(101)와 중심축(Z1)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클램프편(113)의 선단부(전단부)는 바디(11)의 전면(개구면)으로부터 앞쪽으로 도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 2 클램프편(126)의 선단부(후단부)는 커버(12)의 후면(개구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 즉 커버(12)의 후면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클램프부(106)로 지지되는 컬부(33)의 하단부(331)는 도입구(101)로부터 커버(12)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축(Z1)의 주위를 크게 회전하도록, 컬 수납 공간(131)을 배선한다. 따라서, 도입구(101)에 대해서 케이스(1)의 내측(즉 컬 수납 공간(131))에는, 클램프부(106)를 지나서 중심축(Z1)의 주위를 선회하도록 만곡된 도입로(P1)가 형성된다.
그런데, 컬 수납 공간(1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공간(133) 및 권취 공간(134)을 통해, 콘센트 수납 공간(13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계 공간(133)은 컬 수납 공간(131)에 연결되는 입구(135)와, 콘센트 수납 공간(132)에 연결되는 출구(136)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135)는 컬 수납 공간(131)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출구(136)는 권취 공간(134)을 통해서 콘센트 수납 공간(132)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 공간(133)은 중심축(Z1)보다 왼쪽에 위치하고, 입구(135)에 대해서도 중심축(Z1)의 왼쪽에 위치한다. 여기서, 입구(135)는 케이스(1)에 형성된 한 쌍의 입구 보스(boss)(114)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출구(136)는 케이스(1)에 형성된 한 쌍의 출구 보스(115)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입구 보스(114) 및 한 쌍의 출구 보스(115)는 모두 클램프부(106)와 마찬가지로, 케이블(3)의 일부를 끼우는 것에 의해, 케이블(3)을 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입구 보스(114)는 컬 수납 공간(131)의 왼쪽에 위치한다. 한 쌍의 입구 보스(114)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계 공간(133)의 입구(135)는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케이블(3)이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입구 보스(114)의 대향 방향은 상하 방향에 대해서 평행은 아니고, 위쪽의 입구 보스(114)가 아래쪽의 입구 보스(114)의 좌측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중계 공간(133)의 입구(135)를 통과하는 케이블(3)은 컬 수납 공간(131)으로부터 좌측 아래쪽을 향해 한 쌍의 입구 보스(114) 사이를 통과한다.
한편, 한 쌍의 출구 보스(115)는 한 쌍의 입구 보스(114)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한 쌍의 출구 보스(115)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는 상하 방향을 따라 케이블(3)이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그 때문에,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를 통과하는 케이블(3)은 중계 공간(133)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한 쌍의 출구 보스(115) 사이를 통과한다. 따라서, 중계 공간(133)에 있어서의 입구(135)와 출구(136)의 사이에서, 케이블(3)의 연장 방향이 「좌측 아래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출구 보스(115)의 간격은 한 쌍의 입구 보스(114)의 간격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3)은 단면 형상이 편평한 형상인 평형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입구 보스(114)의 간격은 케이블(3)의 단면 형상의 길이 치수와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출구 보스(115)의 간격은 케이블(3)의 단면 형상의 폭 치수와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계 공간(133)의 입구(135)에 있어서는, 케이블(3)의 두께 방향(케이블(3)의 단면 형상의 폭 방향)은 전후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한편,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에 있어서는, 케이블(3)의 두께 방향(케이블(3)의 단면 형상의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즉, 중계 공간(133)의 입구(135)에 있어서의 케이블(3)의 두께 방향과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에 있어서의 케이블(3)의 두께 방향은 서로 교차한다. 환언하면, 중계 공간(133)에 있어서의 입구(135)와 출구(136)의 사이에서, 케이블(3)이 꼬인 상태로 지지되는 것으로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한 쌍의 입구 보스(114) 및 한 쌍의 출구 보스(115)는 모두 바디(11)에 마련되어 있다. 다만, 한 쌍의 입구 보스(114)의 선단부(전단부)는 바디(11)의 전면(개구면)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한 쌍의 출구 보스(115)의 선단부(전단부)는 바디(11)의 전면(개구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바디(11)의 전면(개구면)과 대략 하나의 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계 공간(133)의 입구(135)에서는, 한 쌍의 입구 보스(114)가 커버(12) 내에서 케이블(3)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에서는, 한 쌍의 출구 보스(115)가 바디(11) 내에서 케이블(3)을 지지할 수 있다.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로부터 권취 공간(134)에 도입된 케이블(3)은 릴(5)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한쪽을 지나서, 콘센트 수납 공간(132)까지 배선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3)은 권취 공간(134)에서 2개로 분기하고 있고, 릴(5)의 좌우 방향의 양측을 지나서, 콘센트 수납 공간(132)까지 배선된다. 일례로서, 한쪽의 전원선 및 접지선은 릴(5)의 좌측쪽, 한편의 전원선은 릴(5)의 우측쪽을 지나서, 콘센트 수납 공간(132)까지 배선된다. 콘센트 수납 공간(132)에 있어서는, 케이블(3)의 선단부(하단부)로 되는 제 2 접속단(32)이 콘센트 본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2.3) 권취 기구
계속해서, 릴(5)에 의한 로프(4)의 권취 기구 및 그 동작에 대해, 도 1, 도 8을 참조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의 커버(12)를 제거한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5)은 전후 방향을 따르는 축(구체적으로는, 회전축(55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1) 내에 지지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릴(5)의 내부에는 권취 스프링(62)이 배치되어 있고, 릴(5)은 앞쪽으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도 8에 나타내는 가상의 화살표 B1의 방향 : 이하, 「제 1 방향」이라고 한다)의 탄성력을 권취 스프링(62)으로부터 받고 있다.
한편, 로프(4)는 일단이 릴(5)의 로프 걸기 홈(521)에 걸려 고정되어 있고, 제 1 드럼(51)의 주위로 앞쪽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감긴 후에, 제 1 드럼(51)의 우측 위쪽의 부분으로부터 제 1 드럼(51)의 접선을 따라 좌측 위쪽 방향으로 도출되어 있다(도 1 참조). 릴(5)로부터 도출된 로프(4)는 로프 구멍(102)을 통해 케이스(1)의 외부에 인출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서스펜드 구조체(9)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릴(5)은 로프(4)로부터, 로프(4)가 지탱하고 있는 물체(케이스(1) 등)에 걸리는 하중에 기인하는, 앞쪽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도 8에 나타내는 가상의 화살표 B2의 방향 : 이하, 「제 2 방향」이라고 한다)의 힘을 받고 있다.
또, 케이스(1) 내에는, 스토퍼(7)가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7)의 규제 위치에 있어서, 규제부(73)는 오목 개소(541)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규제부(73)의 제 1 규제편(731) 및 제 2 규제편(732)은 오목 개소(541) 내에 있어서, 오목 개소(541)의 우측의 측면 및 좌측의 측면에 각각 대향하고 있다.
로프(4)로부터의 제 2 방향의 힘이 권취 스프링(62)에 의한 제 1 방향의 힘보다 작은 경우, 릴(5)은 제 1 방향(도 8의 화살표 B1의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개소(541)의 우측의 측면이 제 1 규제편(731)에 접촉해서, 제 1 규제편(731)에 대해서 릴(5)로부터 제 1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동시에, 이 힘의 반작용으로서, 제 1 규제편(731)으로부터 릴(5)에 대해서, 제 2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여기서, 스토퍼(7)의 제 1 규제편(731)과 접속편(733) 사이의 제 1 소정 각도(θ1)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오목 개소(541)의 우측의 측면과 오목 개소(541)의 저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이다. 따라서, 릴(5)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의, 릴(5)(오목 개소(541)의 우측의 측면)로부터 제 1 규제편(731)에 걸리는 힘은, 릴(5)(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보다 위쪽 방향의 힘으로 된다. 이 때문에, 릴(5)로부터 제 1 규제편(731)에 걸리는 힘이 커졌다고 해도, 이 힘은 제 1 규제편(731)을 위쪽으로 (릴(5)의 중심측으로) 변위시키는 방향의 힘이기 때문에, 규제부(73)가 오목 개소(541)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로프(4)로부터의 힘이 권취 스프링(62)으로부터의 힘보다 작은 경우, 릴(5)에서는, 권취 스프링(62)에 의한 제 1 방향의 힘과 로프(4) 및 제 1 규제편(731)에 의한 제 2 방향의 힘이 밸런스한다. 이것에 의해, 릴(5)이 회전하지 않고, 케이스(1)의 연직 방향의 위치가 지지된다.
한편, 로프(4)로부터의 제 2 방향의 힘이 권취 스프링(62)에 의한 제 1 방향의 힘보다 큰 경우, 릴(5)은 제 2 방향(도 8의 화살표 B2의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오목 개소(541)의 좌측의 측면이 제 2 규제편(732)에 접촉해서, 제 2 규제편(732)에 대해서 릴(5)로부터 제 2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동시에, 이 힘의 반작용으로서, 제 2 규제편(732)으로부터 릴(5)에 대해서, 제 1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여기서, 고정부(71)는 탄성부(72)에 있어서의 규제부(73)측의 단부가 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수평면에 대해서 규정 각도(θA)만큼 경사져 있다. 또, 스토퍼(7)의 제 2 규제편(732)과 탄성부(72)에 있어서의 규제부(73)측의 단부 사이의 제 2 소정 각도(θ2)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목 개소(541)의 좌측의 측면과 오목 개소(541)의 저면 사이의 각도는 둔각이다. 따라서, 릴(5)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의, 릴(5)(오목 개소(541)의 좌측의 측면)로부터 제 2 규제편(732)에 걸리는 힘은 릴(5)(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보다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이 된다. 이 때문에, 릴(5)로부터 제 2 규제편(732)에 걸리는 힘이 커지면, 이 힘은 제 2 규제편(732)을 아래쪽으로 (릴(5)의 직경 방향의 외향으로) 변위시키는 방향의 힘으로 되기 때문에, 규제부(73)가 아래쪽으로 변위해서 오목 개소(541)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케이스(1)를 아래쪽으로 끌어 당기는 등을 해서, 로프(4)로부터 릴(5)에 걸리는 제 2 방향의 힘이 커지면, 제 2 규제편(732)이 오목 개소(541)로부터 벗어나 릴(5)이 제 2 방향(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스토퍼(7)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방향의 릴(5)의 회전은 금지되고, 또한 제 2 방향의 릴(5)의 회전은 허용된다. 요컨대,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의 릴(5)은 래칫 기구에 의해, 제 2 방향(로프(4)를 푸는 방향)의 회전만이 가능해지도록 회전의 방향이 제한되어 있다.
또, 사용자가 해제 버튼(61)을 푸시 조작함으로써, 스토퍼(7)가 해제 위치에 변위하면, 규제부(73)가 오목 개소(541)로부터 벗어난다. 이때, 릴(5)은 스토퍼(7)로부터 힘을 받지 않고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양쪽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을 이용해서 로프(4)를 케이스(1) 내에 감아서 케이스(1)를 상승시킬 수도 있고,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에 저항해서 케이스(1)를 아래쪽으로 당김으로써, 로프(4)를 릴(5)로부터 계속 내보내고, 케이스(1)를 하강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해제 버튼(61)으로부터 손을 떼면, 스토퍼(7)가 규제 위치로 복귀해서, 규제부(73)가 릴(5)의 오목 개소(541) 내에 위치하고, 규제부(73)가 릴(5)의 회전을 재차 규제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스토퍼(7)에 제 2 규제편(732)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규제편(732)은 릴(5)의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 및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의 릴(5)의 회전력을 받아 제 2 규제편(732)을 오목 개소(541) 외부로 변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 이 제 2 규제편(732)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로프(4)로부터 릴(5)에 걸리는 제 2 방향의 힘이 권취 스프링(62)으로부터 릴(5)에 걸리는 제 1 방향의 힘보다 클 때, 제 2 규제편(732)에는, 이들 힘의 합인 제 2 방향의 힘이 걸린다. 이 합 중, 제 2 규제편(732)을 오목 개소(541)로부터 벗어나려는 방향의 성분(제 2 드럼(54)의 법선 방향의 힘)은 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에 대한 제 2 규제편(732)의 각도가 90°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 즉, 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에 대한 제 2 규제편(732)의 각도가 90°에 가까워질수록, 규제부(73)는 오목 개소(541)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규제편(732)이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의 릴(5)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도록, 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에 대한 제 2 규제편(732)의 각도를 90°에 가까운 각도로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7)는 규제 위치에 있어서, 탄성부(72)에 있어서의 규제부(73) 측의 단부가 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부(71)이 수평면에 대해서 규정 각도(θA)만큼 경사져 있다. 또, 제 2 규제편(732)과 탄성부(72)에 있어서의 규제부(73) 측의 단부 사이의 각도는 제 2 소정 각도(θ2)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스토퍼(7)에서는, 제 2 규제편(732)은 규제 위치에 있어서, 제 2 드럼(54)의 접선 방향에 대해서 대략 제 2 소정 각도(θ2)만큼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소정 각도(θ2)의 크기를 90°보다 크게 90°에 가까운 각도로 설정하고 있다.
일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규정 각도(θA)는 15°이며, 제 2 소정 각도(θ2)는 110°이다. 이것에 의해, 제 2 규제편(732)은 릴(5)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 이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을 넘는 하중이 케이스(1)에 걸린 경우에서도, 스토퍼(7)에 의해 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2.4) 보호 구조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7)에 제 2 규제편(732)이 마련되고 있어 케이스(1)에 걸리는 하중이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을 넘었다고 해도, 제 2 규제편(732)에 의해, 릴(5)이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스토퍼(7)의 폭(전후 방향의 폭)을 크게 해서 탄성부(72)의 탄성력을 크게 하면, 보다 큰 하중을 제 2 규제편(732)에 의해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때 고정부(71) 및 지지부(8)에는, 제 2 규제편(732)을 통해서, 케이스(1)에 걸리는 하중에 기인하는 힘이 걸리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제 2 규제편(732)을 통해서 고정부(71) 및 지지부(8)에 걸리는 힘을 지탱하기 위한 보호 구조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 보호 구조에 대해, 도 8, 도 9a, 도 9b 및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7)는 금속판을 펀칭 및 벤딩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71)(보다 상세하게는 평판부(711))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오목부(71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디(11)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81)의 내부에는, 돌기부(82)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82)는 스토퍼(7)의 오목부(71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오목부(714)에 압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부(82)는 앞쪽으로부터 보아 왼쪽 위로부터 오른쪽 아래로 연장하는 리브이다. 이와 같이, 오목부(714)에 돌기부(82)가 끼워 넣어짐으로서, 고정부(71)를 중심으로 하는 규제부(73)의 전후 방향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71)에는 접촉편(715)이 마련되어 있다. 접촉편(715)은 오목부(714)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고정부(71)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해서, 스토퍼(7)의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돌기부(82)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촉편(715)은 오목부(714)의 좌측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우측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돌기부(82)의 좌측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 2 규제편(732)이 릴(5)로부터 제 2 방향의 힘을 받으면, 스토퍼(7)는 릴(5)에 의해 오른쪽 위쪽으로 끌어 당기기 때문에, 돌기부(82)에는, 스토퍼(7)의 오목부(714)의 좌측의 끝 가장자리의 부분으로부터 오른쪽 위쪽 방향의 힘이 걸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7)가 접촉편(715)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오목부(714)의 끝 가장자리의 부분으로부터 돌기부(82)에 걸리는 힘을 접촉편(715)에 의해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편(715)은 스토퍼(7)에 있어서의 오목부(714)의 끝 가장자리의 부분을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714)의 끝 가장자리의 부분과 접촉편(715)의 경계가 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714)의 끝 가장자리의 부분과 접촉편(715)의 경계가 R 형상이 아닌 경우에 비해, 오목부(714)의 끝 가장자리 부분이 돌기부(82)에 침투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1 각편(712)의 선단 및 제 2 각편(713)의 선단이 챔퍼링(chamfering)되어 있다. 특히, 규제부(73)에 가까운 쪽의 제 1 각편(712)의 선단이 챔퍼링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규제편(732)에 릴(5)로부터 제 2 방향의 힘이 가해져서, 스토퍼(7)가 릴(5)에 의해 오른쪽 위쪽으로 끌어 당겨져도, 각편(712, 713)의 선단이 지지 프레임(81)에 침투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들 각편(712, 713)의 선단은 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C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81)은 제 1 접촉부(831) 및 제 2 접촉부(832)를 가지고 있다. 제 1 접촉부(831) 및 제 2 접촉부(832)는 스토퍼(7)의 평판부(711)에 있어서의, 스토퍼(7)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대향하고 있고, 평판부(711)에 면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후 방향에 수직인 면내(도 8의 지면에 평행한 면내)에서의 고정부(71)의 회전이 억제되고, 또한 고정부(71)의, 스토퍼(7)의 길이 방향 주위에서의 기울기가 억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접촉부(831)는 평판부(711)의 표면에 있어서의 우단부에 면접촉하고 있고, 제 2 접촉부(832)는 평판부(711)의 표면에 있어서의 좌단부에 면접촉하고 있다. 제 1 접촉부(831) 및 제 2 접촉부(832)와 평판부(711)와 사이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제 1 접촉부(831)와 제 2 접촉부(832) 사이의 간격은 제 1 각편(712)과 제 2 각편(713)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접촉부(831)와 제 2 접촉부(832) 사이의 간격은 제 1 각편(712)과 제 2 각편(713) 사이의 간격의 1/2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81)의 외주부에는 제 1 ~ 제 7 보강 리브(811~817)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보강 리브(811)는 지지 프레임(81)의 외주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면과 직교하는 방향(좌측 위쪽)으로 돌출한다. 제 2 보강 리브(812)는 지지 프레임(81)의 외주부의 좌면으로부터 좌측 위쪽으로 돌출한다. 제 3 보강 리브(813)는 지지 프레임(81)의 외주부의 우면으로부터 오른쪽 위쪽으로 돌출한다. 제 4 보강 리브(814)는 지지 프레임(81)의 외주부의 좌면으로부터 좌측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제 5 보강 리브(815)는 지지 프레임(81)의 외주부의 우면으로부터 우측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제 6 및 제 7 보강 리브(816, 817)는 지지 프레임(81)의 외주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면과 직교하는 방향(우측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특히, 지지 프레임(81)에는, 제 1 각편(712)의 선단과 접촉하는 부분의 외주부에 제 5 보강 리브(815)가 마련되어 있다. 또 지지 프레임(81)에는, 제 2 각편(713)의 선단과 접촉하는 부분의 외주부에 제 4 보강 리브(814)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규제편(732)이 릴(5)로부터 제 2 방향의 힘을 받아, 스토퍼(7)가 릴(5)에 의해 오른쪽 위쪽으로 끌어당겨도, 제 4 보강 리브(814) 및 제 5 보강 리브(815)에 의해 지지 프레임(81)의 변형 등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상기의 보호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릴(5)로부터 제 2 규제편(732)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고정부(71)의 위치 어긋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상기의 보호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을 받게 되는 스토퍼(7)를 보다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스프링(62)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해서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을 높게 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는 케이스의 강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3) 이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케이스(1)와, 콘센트 본체(2)와, 케이블(3)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는 서스펜드 구조체(9)에 매달린다. 콘센트 본체(2)는 플러그 블레이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231)이 형성된 접속면(23)을 갖는다. 콘센트 본체(2)는 케이스(1)에 형성된 개구부(103)로부터 접속면(23)을 노출시키도록,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1)에 수납된다. 케이블(3)은 컬부(33), 제 1 접속단(31) 및 제 2 접속단(32)을 갖는다. 컬부(33)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직선을 중심축(Z1)으로 하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단(31)은 컬부(33)의 상단부(332)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속단(32)은 컬부(33)의 하단부(331)에 연결되어 있고, 콘센트 본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3)은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고, 케이스(1) 내에 있어서 제 2 접속단(32)이 콘센트 본체(2)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는 도입구(101)에서 케이스(1)의 외부 공간에 연결되어 있고, 컬부(33)의 하단부(331)를 수납하는 컬 수납 공간(131)을 갖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케이블(3)은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고, 케이블(3) 중 컬부(33)의 하단부(331)가 케이스(1) 내의 컬 수납 공간(131)에 수납된다. 따라서, 가령 케이블(3)로부터 케이스(1)에 대해서 장력이 작용한다고 해도, 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컬부(33)의 중심축(Z1)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고, 연직 방향에 대한 케이스(1)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컬부(33)의 하단부(331)가 케이스(1) 내에 수납되는 구성이므로, 컬부(33)와 케이스(1)의 간섭이 생기기 어렵고, 컬부(33)와 케이스(1)의 간섭에 기인한 연직 방향에 대한 케이스(1)의 기울기도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직 방향에 대한 케이스(1)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는 서스펜드형 콘센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1 형태에 있어, 도입구(101)는 컬 수납 공간(131)과 케이스(1)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도입로(P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입로(P1)는 연직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컬부(33)의 중심축(Z1)의 주위를 선회하는 형상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케이블(3)은 연직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컬부(33)의 중심축(Z1)의 주위를 선회하는 도입로(P1)를 따라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게 된다. 따라서, 도입구(101)에 대해, 컬부(33)의 형상(나선 형상)이 무너지기 어렵고, 케이블(3)로부터 케이스(1)에 대해서 작용하는 하중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도입로(P1)는 적절히 생략되어도 좋다.
제 3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1 또는 제 2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1)는 컬 수납 공간(131)에 있어서 컬부(33)의 하단부(331)의 일부를 끼우는 것에 의해, 컬부(33)의 하단부(331)를 지지하는 클램프부(106)를 더 갖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컬 수납 공간(131)에서 컬부(33)의 하단부(331)가 지지되므로, 클램프부(106)는 케이스(1)로부터의 케이블(3)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컬부(33)의 하단부(331)가 지지되므로, 가령 케이블(3)로부터 케이스(1)에 대해서 장력이 작용해도, 케이스(1) 내에서의 컬부(33)의 하단부(331)의 이동이 억제된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클램프부(106)는 적절히 생략되어도 좋다.
제 4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1 ~ 제 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컬부(33) 중 케이스(1)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케이스(1)와 서스펜드 구조체(9) 사이의 거리에 따라 컬부(33)의 중심축(Z1)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컬부(33)가 신축함으로써, 케이스(1)와 서스펜드 구조체(9) 사이의 거리가 변화했을 때에, 케이블(3)의 느슨함 등이 방지된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컬부(33)는 신축되지 않아도 된다.
제 5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1 ~ 제 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1)는 콘센트 본체(2)가 수납되는 콘센트 수납 공간(132), 및 컬 수납 공간(131)과 콘센트 수납 공간(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계 공간(133)을 더 갖는다. 이 경우, 중계 공간(133)은 컬 수납 공간(131)에 연결되는 입구(135)와 콘센트 수납 공간(132)에 연결되는 출구(136)를 갖는다. 이 경우, 중계 공간(133)의 입구(135)는 연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케이블(3)이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는 연직 방향을 따라서 케이블(3)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중계 공간(133)에 있어서의 입구(135)와 출구(136)의 사이에서, 케이블(3)의 연장 방향이 변환되므로, 케이스(1)에 대해서 케이블(3)이 비교적 강고하게 고정된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중계 공간(133)은 적절히 생략되어도 좋다.
제 6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5 형태에 있어서, 케이블(3)의 단면 형상은 편평한 형상이며, 중계 공간(133)의 입구(135)에 있어서의 케이블(3)의 두께 방향과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에 있어서의 케이블(3)의 두께 방향은 서로 교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중계 공간(133)에 있어서의 입구(135)와 출구(136)의 사이에서, 케이블(3)이 꼬인 상태에서 지지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케이스(1)에 대해서 케이블(3)이 보다 강고하게 고정된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케이블(3)의 단면 형상은 편평한 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제 7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제 1 ~ 제 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 로프 구멍(102)으로부터 케이스(1)의 외부로 인출되고, 케이스(1)의 외부에 있어서 서스펜드 구조체(9)에 고정되는 로프(4)와, 릴(5)을 더 구비한다. 릴(5)은 케이스(1) 내에 수납되어, 로프(4)를 감는다. 로프(4)는 케이스(1)의 외부에 있어서 컬부(33)의 중심축(Z1) 상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서스펜드 구조체(9)에 대해서 케이스(1)를 매단 상태에서 케이스(1)를 지지하는 로프(4)가 컬부(33)의 중심축(Z1) 상에 위치하므로, 연직 방향에 대한 케이스(1)의 기울기가 보다 억제된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로프(4) 및 릴(5)은 적절히 생략되어도 좋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7-193995호)에 기재된 (천정) 서스펜드형 콘센트는 로프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케이스(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기구는 회전함으로써 로프를 감는 릴(권취 릴), 릴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스토퍼 스프링), 스토퍼에 의한 릴의 규제를 해제해서 케이스를 상승시키기 위한 캠축 등을 구비하고 있다. 릴은 권취 스프링(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이 가해진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스펜드형 콘센트에서는, 릴의 하부 드럼의 외주에 복수의 오목 개소(계지 오목 개소)가 대략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가 오목 개소를 포함한 하부 드럼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릴이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오목 개소에 스토퍼가 계지되지 않고, 릴이 회전한다. 한편, 릴이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오목 개소 내에 스토퍼 선단이 감입되어, 릴의 회전을 규제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스펜드형 콘센트에 있어서는, 케이스에 매달리는 물체(콘센트 본체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의 플러그 및 코드)의 중량은, 릴에 대해서,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 릴을 회전시키는 힘을 준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서스펜드형 콘센트에서는, 권취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 릴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권취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지탱할 수 있는 중량을 넘는 물체가 케이스에 매달리면, 릴이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해 버려, 의도한 위치보다 아래쪽까지 케이스가 강하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사유로 인해, 의도하지 않는 케이스의 강하를 억제하는 것이 과제로 된다. 이러한 과제는 제 8 ~ 제 15 형태에 의해 해결된다.
즉, 제 8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제 1 ~ 제 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로프(4)와, 릴(5)과, 권취 스프링(62)과, 스토퍼(7)와, 해제 버튼(61)을 구비하고 있다. 로프(4)는 케이스(1)에 형성된 로프 구멍(102)을 통해 케이스(1)의 외부로 인출된다. 로프(4)는, 케이스(1)의 외부에 있어서 서스펜드 구조체(9)에 고정된다. 릴(5)은 로프(4)를 감도록 구성된다. 릴(5)은 로프(4)를 감는 방향 및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1) 내에 수납된다. 권취 스프링(62)은 릴(5)에 로프(4)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준다. 스토퍼(7)는 케이스(1) 내에 수납된다. 스토퍼(7)는 릴(5)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릴(5)의 회전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해제 버튼(61)은 스토퍼(7)를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변위시킨다. 릴(5)은 릴(5)의 둘레부에 직경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 개소(541)를 적어도 하나 갖는다. 스토퍼(7)는, 규제 위치에 있어 릴(5)의 오목 개소(541) 내에 위치하는 제 1 규제편(731)과 제 2 규제편(732)을 갖는다. 제 1 규제편(731)은 규제 위치에 있어, 릴(5)의 로프(4)를 감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2 규제편(732)은 규제 위치에 있어, 릴(5)의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 및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의 릴(5)의 회전력을 받아 제 2 규제편(732)을 오목 개소(541) 외부로 변위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스토퍼(7)에 제 2 규제편(732)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릴(5)이 로프(4)로부터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을 넘는 힘을 받았다고 해도,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의 릴(5)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권취 스프링(62)의 복원력을 넘는 하중의 물체가 케이스(1)에 매달린 경우에도, 스토퍼(7)에 의해, 로프(4)를 푸는 방향으로의 릴(5)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의도하지 않는 케이스(1)의 강하를 억제할 수 있는 서스펜드형 콘센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8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제 1 ~ 제 7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필수의 구성으로 하지 않는다. 즉, 제 8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있어서는, 케이블(3)은 전원과 콘센트 본체(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면 좋고, 케이블(3)이 컬부(33), 제 1 접속단(31), 및 제 2 접속단(32)을 갖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또, 케이블(3)이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고, 케이스(1) 내에 있어서 제 2 접속단(32)이 콘센트 본체(2)에 접속되어 있는 것도, 제 8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또한, 케이스(1)가 컬 수납 공간(131)을 갖는 것도, 제 8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는 필수의 구성이 아니다.
제 9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8 형태에 있어서, 스토퍼(7)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토퍼(7)는 판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72) 및 고정부(71)를 더 가지고 있고, 고정부(71)는 탄성부(72)를 통해서 제 1 규제편(731) 및 제 2 규제편(732)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1)는 규제 위치에 있어서, 스토퍼(7)의 제 1 규제편(731) 및 제 2 규제편(732)이 릴(5)의 오목 개소(541)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부(71)를 지지하는 지지부(8)를 갖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의도하지 않는 케이스의 강하를 억제할 수 있는 서스펜드형 콘센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스토퍼(7)는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제 10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9 형태에 있어서, 고정부(71)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부(71)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오목부(714)가 마련되고, 케이스(1)의 내면에는, 오목부(714)에 끼워넣어지는 돌기부(8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고정부(71)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오목부(714) 및 돌기부(82)는 적절히 생략되어도 좋다.
제 11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10 형태에 있어서, 스토퍼(7)는 오목부(714)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고정부(71)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해서 돌기부(82)에 접촉하는 접촉편(715)을 더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스토퍼(7)의 오목부(714)의 끝 가장자리의 부분으로부터 돌기부(82)에 걸리는 힘을 접촉편(715)에 의해 분산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접촉편(715)은 적절히 생략되어도 좋다.
제 12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9 ~ 제 11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고정부(71)는 평판 형상의 평판부(711)와 평판부(711)에 있어서의 스토퍼(7)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한쪽 측으로 돌출하는 제 1 각편(712) 및 제 2 각편(713)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지지부(8)는 고정부(71)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81)을 갖는다. 이 경우, 지지 프레임(81)은 평판부(711)에 있어서의 스토퍼(7)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대향하는 제 1 접촉부(831) 및 제 2 접촉부(832)를 갖는다. 이 경우, 제 1 접촉부(831)와 제 2 접촉부(832) 사이의 간격은, 제 1 각편(712)과 제 2 각편(713) 사이의 간격보다 좁고, 제 1 접촉부(831) 및 제 2 접촉부(832)는 평판부(711)에 면접촉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고정부(71)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고정부(71) 및 지지부(8)는 상기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이어도 좋다.
제 13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제 12 형태에 있어서, 제 1 각편(712)의 선단 및 제 2 각편(713)의 선단 중 적어도 한쪽이 챔퍼링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81)에 있어서의 각편(712, 713)의 선단에 접촉하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제 1 각편(712), 제 2 각편(713)의 선단은 챔퍼링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 14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12 또는 제 13 형태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81)은 제 1 각편(712)의 선단과 접촉하는 부분 및 제 2 각편(713)의 선단과 접촉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의 외주부에, 보강 리브(814, 8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81)에 있어서의 각편(712, 713)의 선단에 접촉하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보강 리브(814, 815)는 적절히 생략되어도 좋다.
제 15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서는, 제 8 ~ 제 1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케이블(3)은 컬부(33), 제 1 접속단(31) 및 제 2 접속단(32)을 갖는다. 컬부(33)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직선을 중심축(Z1)으로 하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단(31)은 컬부(3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속단(32)은 컬부(3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콘센트 본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 케이블(3)은 케이스(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101)로부터 케이스(1) 내에 도입되고, 케이스(1) 내에 있어서 제 2 접속단(32)이 콘센트 본체(2)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케이블(3)이 컬부(33)로 신축함으로써, 케이스(1)와 서스펜드 구조체(9) 사이의 거리가 변화했을 때에, 케이블(3)의 느슨함 등이 방지된다. 다만, 이 구성은 서스펜드형 콘센트(10)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케이블(3)은 컬부(33)를 가지지 않아도 좋다.
(4)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실시 형태 이외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옥내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건물의 외부에서 사용되는 옥외용의 콘센트(Outlet)이어도 좋다. 또, 서스펜드형 콘센트(10)는 예를 들면, 콘센트뿐만 아니라, 통전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 인간 감지 센서, 및 타이머, 및, 통전 상태의 표시 기능, 및 과전류 차단 기능 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서스펜드형 콘센트(10)의 콘센트 본체(2)는 플러그를 고정하는 락 기구를 갖지 않아도 좋다. 또, 콘센트 본체(2)는 접지극 부착에 한정하지 않고 접지극 없음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교류 200V용 또는 직류용의 콘센트이어도 좋다. 콘센트 본체(2)는 2구 타입의 콘센트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1구 타입 또는 3구 타입의 콘센트이어도 좋다. 콘센트 본체(2)는 A 타입의 콘센트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B 타입, C 타입과 같이, 핀 형상의 플러그 블레이드를 갖는 플러그를 접속 가능한 콘센트이어도 좋다.
또, 서스펜드형 콘센트(10)가 매달리는 서스펜드 구조체(9)는 건물의 천정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건물의 빔 등의 구조체이어도 좋고, 천정에 고정되는 배선 덕트 등의 구조체이어도 좋다.
또, 케이블(3)은 비닐 평행 코드(VFF) 등의 평형 케이블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환형 케이블 등이어도 좋고, 복수개의 심선(한 쌍의 전원선 및 접지선)이 1개의 절연 피복으로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케이블(3)은 심선이 1개의 도체로 이루어지는 단선이어도 좋다.
또, 중계 공간(133)의 출구(136)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케이블(3)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케이블(3)이 출구(136)를 통과하는 방향은 상하 방향에 대해서, 다소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출구 보스(115)의 대향 방향은 좌우 방향에 대해서 평행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중계 공간(133)의 입구(135)는 상하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케이블(3)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한 쌍의 입구 보스(114)의 대향 방향은 상하 방향에 대해서 평행이어도 좋다.
1 : 케이스 2 : 콘센트 본체
3 : 케이블 4 : 로프
5 : 릴 7 : 스토퍼
8 : 지지부 9 : 서스펜드 구조체
10 : 서스펜드형 콘센트 11 : 바디
12 : 커버 13 : 내부 공간
21 : 하우징 23 : 접속면
31 : 제 1 접속단 32 : 제 2 접속단
33 : 컬부 61 : 해제 버튼
62 : 권취 스프링 71 : 고정부
72 : 탄성부 82 : 돌기부
101 : 도입구 102 : 로프 구멍
103 : 개구부 106 : 클램프부
131 : 컬 수납 공간 132 : 콘센트 수납 공간
133 : 중계 공간 135 : (중계 공간의) 입구
136 : (중계 공간의) 출구 231 : 삽입 구멍
331 : (컬부의) 하단부 541 : 오목 개소
711 : 평판부 712 : 제 1 각편
713 : 제 2 각편 714 : 오목부
715 : 접촉편 731 : 제 1 규제편
732 : 제 2 규제편 831 : 제 1 접촉부
832 : 제 2 접촉부 814 : 보강 리브(제 4 보강 리브)
815 : 보강 리브(제 5 보강 리브) P1 : 도입로
Z1 : 중심축

Claims (14)

  1. 서스펜드 구조체에 매달리는 케이스와,
    플러그 블레이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접속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상기 접속면을 노출시키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콘센트 본체와,
    연직 방향을 따르는 직선을 중심축으로 하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컬부(curl portion), 상기 컬부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단, 및 상기 컬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콘센트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단을 갖는 케이블
    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형성된 도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 내에 도입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단이 상기 콘센트 본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도입구에서 상기 케이스의 외부 공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컬부의 상기 하단부를 수납하는 컬 수납 공간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는 상기 컬 수납 공간과 상기 케이스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도입로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입로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컬부의 상기 중심축의 주위를 선회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컬 수납 공간에 있어서 상기 컬부의 상기 하단부의 일부를 끼움으로써, 상기 컬부의 상기 하단부를 지지하는 클램프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부 중 상기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서스펜드 구조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컬부의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콘센트 본체가 수납되는 콘센트 수납 공간, 및 상기 컬 수납 공간과 상기 콘센트 수납 공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계 공간을 더 갖고,
    상기 중계 공간은 상기 컬 수납 공간에 연결되는 입구와 상기 콘센트 수납 공간에 연결되는 출구를 갖고,
    상기 중계 공간의 상기 입구는 상기 연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계 공간의 상기 출구는 상기 연직 방향을 따라서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면 형상은 편평한 형상이며,
    상기 중계 공간의 상기 입구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블의 두께 방향과 상기 중계 공간의 상기 출구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블의 두께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로프 구멍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케이스 외부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드 구조체에 고정되는 로프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되고, 상기 로프를 감는 릴
    을 더 구비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 있어서 상기 컬부의 상기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로프 구멍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케이스 외부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드 구조체에 고정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를 감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프를 감는 방향 및 상기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릴과,
    상기 릴에 상기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주는 권취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되고, 상기 릴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상기 릴의 회전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규제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해제 버튼
    을 더 구비하고,
    상기 릴은 상기 릴의 둘레부에 직경 방향으로 오목진 오목 개소를 적어도 하나 갖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규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릴의 상기 오목 개소 내에 위치하는 제 1 규제편(片)과 제 2 규제편을 갖고,
    상기 제 1 규제편은 상기 규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릴의 상기 로프를 감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제 2 규제편은 상기 규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릴의 상기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능, 및 상기 로프를 푸는 방향으로의 상기 릴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제 2 규제편을 상기 오목 개소 외부로 변위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판 스프링 형상의 탄성부 및 고정부를 더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부를 통해서 상기 제 1 규제편 및 상기 제 2 규제편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규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기 제 1 규제편 및 상기 제 2 규제편이 상기 릴의 상기 오목 개소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 넣어지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오목부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해서 상기 돌기부에 접촉하는 접촉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평판 형상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스토퍼의 길이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한쪽 측으로 돌출하는 제 1 각편(脚片) 및 제 2 각편을 가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을 갖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스토퍼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대향하는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각편과 상기 제 2 각편 사이의 간격보다 좁고,
    상기 제 1 접촉부 및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평판부에 면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편의 선단 및 상기 제 2 각편의 선단 중 적어도 한쪽이 챔퍼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 1 각편의 선단과 접촉하는 부분 및 상기 제 2 각편의 선단과 접촉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의 외주부에 보강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드형 콘센트.
KR1020190039013A 2016-07-20 2019-04-03 서스펜드형 콘센트 KR102202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2838 2016-07-20
JP2016142837A JP6719083B2 (ja) 2016-07-20 2016-07-20 吊下型コンセント
JP2016142838A JP6675080B2 (ja) 2016-07-20 2016-07-20 吊下型コンセント
JPJP-P-2016-142837 2016-07-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248A Division KR20180010156A (ko) 2016-07-20 2017-07-19 서스펜드형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054A true KR20190039054A (ko) 2019-04-10
KR102202164B1 KR102202164B1 (ko) 2021-01-12

Family

ID=610709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248A KR20180010156A (ko) 2016-07-20 2017-07-19 서스펜드형 콘센트
KR1020190039013A KR102202164B1 (ko) 2016-07-20 2019-04-03 서스펜드형 콘센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248A KR20180010156A (ko) 2016-07-20 2017-07-19 서스펜드형 콘센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180010156A (ko)
CN (1) CN107645090B (ko)
TW (1) TWI655812B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3276A (en) * 1981-02-28 1982-09-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eiling suspension type power plug socket
JPS57176079U (ko) * 1981-04-30 1982-11-06
JPS6383774U (ko) * 1986-11-21 1988-06-01
US5236371A (en) * 1992-10-23 1993-08-17 Matthis Jack D Wall-mounted electrical power supply
JP2005311777A (ja) * 2004-04-22 2005-11-04 Sony Corp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JP3133339U (ja) * 2006-11-20 2007-07-12 孝志 雄川 携帯用保持具
JP2007193995A (ja) * 2006-01-17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井吊下型コンセ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4978A (en) 1990-09-21 1997-10-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eptides derived from glutamic acid decarboxylase
TWM260641U (en) * 2004-04-21 2005-04-01 Min-Ji Tzeng Linkage structure of ceiling fan
CN201057613Y (zh) * 2007-03-01 2008-05-07 王旭明 悬吊式方便插座
KR20100010118U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3국산업 가정용 자동 코드릴
KR101094166B1 (ko) * 2009-04-08 2011-12-14 주식회사 아이엔피 이미용 전기기구 수납 및 전원공급장치
KR200467233Y1 (ko) * 2012-01-27 2013-05-3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출이 가능한 콘센트
CN103633515A (zh) * 2012-08-24 2014-03-12 弥荣(成都)实业有限公司 方便收线的插线板结构
JP2014110656A (ja) * 2012-11-30 2014-06-12 Chuo Spring Co Ltd 充電装置
CN203218609U (zh) * 2013-05-14 2013-09-25 宁波瑞祥电器有限公司 悬挂式转换插座
CN203983658U (zh) * 2014-08-08 2014-12-03 代孟铎 一种用于强电设备的升降旋转型安全防护三角插座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3276A (en) * 1981-02-28 1982-09-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eiling suspension type power plug socket
JPS57176079U (ko) * 1981-04-30 1982-11-06
JPS6383774U (ko) * 1986-11-21 1988-06-01
US5236371A (en) * 1992-10-23 1993-08-17 Matthis Jack D Wall-mounted electrical power supply
JP2005311777A (ja) * 2004-04-22 2005-11-04 Sony Corp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JP2007193995A (ja) * 2006-01-17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井吊下型コンセント
JP3133339U (ja) * 2006-11-20 2007-07-12 孝志 雄川 携帯用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55812B (zh) 2019-04-01
CN107645090B (zh) 2020-07-14
CN107645090A (zh) 2018-01-30
KR20180010156A (ko) 2018-01-30
TW201804691A (zh) 2018-02-01
KR102202164B1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7109A (en) Extension socket
US20200006902A1 (en) Modular extendable outlet assembly
US5236371A (en) Wall-mounted electrical power supply
US9190824B2 (en) Cord reel
US10230200B1 (en) Cord retractor
JP2010052861A (ja)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ードセット
KR20060115251A (ko) 진공청소기
WO2001073911A1 (en) Cord rewinder device and horizontally-mounted electrical cord rewinde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JP6719083B2 (ja) 吊下型コンセント
CA2887925A1 (en) Support for a battery charger and battery charger electrical cable
JP6876963B2 (ja) 吊下型コンセントシステム
KR20190039054A (ko) 서스펜드형 콘센트
KR200484478Y1 (ko)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JP6675080B2 (ja) 吊下型コンセント
EP1367016B1 (en) Lawnmower with a cable storage device
TWI728265B (zh) 供電系統
RU2581007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тюг, комплект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утюга и воронки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проводо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утюгом
JP2010055837A (ja) プラグ受け装置
KR101477982B1 (ko) 전선의 정리가 가능한 전선 연장 장치
KR200281732Y1 (ko) 자동코드릴식 멀티콘센트
KR101502814B1 (ko) 멀티탭
JP6913878B2 (ja) 吊下型電気器具
KR20150106576A (ko) 휴대폰 거치장치
KR20100052354A (ko) 전선감개가 부착된 멀티탭
KR101042267B1 (ko) 이중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