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824A -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824A
KR20190038824A KR1020197003515A KR20197003515A KR20190038824A KR 20190038824 A KR20190038824 A KR 20190038824A KR 1020197003515 A KR1020197003515 A KR 1020197003515A KR 20197003515 A KR20197003515 A KR 20197003515A KR 20190038824 A KR20190038824 A KR 20190038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ch
fdma symbol
fdma
lb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269B1 (ko
Inventor
도모끼 요시무라
와따루 오우찌
쇼이찌 스즈끼
리칭 류
기미히꼬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04L27/2678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using cyclostationarities, e.g. cyclic prefix or postf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04L5/0083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symbol-by-symb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6Assessment of spectral gaps suitable for allo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e.g. for carrier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PUSCH에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본 발명은,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8월 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6-156243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셀룰러 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이하, 「Long Term Evolution(LTE: 등록상표)」, 또는「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라고 칭함)가,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있어서 검토되고 있다. LTE에서는, 기지국 장치를 eNodeB(evolved NodeB), 단말 장치를 UE(User Equipment)라고도 칭한다. LTE는,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 형상으로 복수 배치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단일의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셀을 관리해도 된다.
LTE 릴리스 13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복수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동시에 송신, 및/또는 수신을 행하는 기술인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사양화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2, 3). LTE 릴리스 14에 있어서, 라이선스 보조 액세스(LAA: Licensed Assisted Access)의 기능 확장, 및 언라이선스 밴드(unlicensed band)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사용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검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4). 비특허문헌 5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에 의한 트리거에 기초하여, 언라이선스 밴드(unlicensed band)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한 HARQ-ACK 피드백을, PUSCH에서 송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6에 있어서, LBT에 의해, PUSCH의 일부(예를 들어, PUSCH의 선두의 심볼)가 송신되지 않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3GPP TS 36.211 V 13.1.0(2016-03)", 29th March, 2016. "3GPP TS 36.212 V 13.1.0(2016-03)", 29th March, 2016. "3GPP TS 36.213 V 13.1.1(2016-03)", 31th March, 2016. "New Work Item on enhanced LAA for LTE", RP-152272, Ericsson, Huawei, 3GPP TSG RAN Meeting#70, Sitges, Spain, 7th-10th December 2015. "UCI transmission on LAA carrier", R1-164994, Sharp, 3GPP TSG RAN1 Meeting#85, Nanjing, China, 23rd-27th May 2016. "Discussion on PUSCH transmission starting within symbol #0", R1-164828, Huawei, HiSilicon, 3GPP TSG RAN WG1 Meeting#85, Nanjing, China, 23rd-27th May 2016.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효율적으로 상향 링크 송신을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해당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 해당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 효율적으로 상향 링크 송신의 수신을 행할 수 있는 기지국 장치, 해당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 및 해당 기지국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를 제공한다.
(1)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단말 장치로서, PUSCH에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2)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기지국 장치로서, PUSCH에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3)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PUSCH에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며,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4)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PUSCH에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며,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는 효율적으로 상향 링크 송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는 효율적으로 상향 링크 송신의 수신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프레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슬롯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기저 대역부(13)의 처리(송신 프로세스(30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데이터(ax), CQI/PMI(ox), RI(ax), 및 HARQ-ACK(ax)의 부호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호화 비트의 다중·인터리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 초기 송신, 및 이니셜 PDCCH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 초기 송신, 및 이니셜 PDCCH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 초기 송신, 및 이니셜 PDCCH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LBT 기간이, SC-FDMA 심볼 #0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는 기간에 포함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SC-FDMA 심볼이 송신된다고 함은,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됨을 의미해도 된다. 또한, SC-FDMA 심볼이 송신된다고 함은,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됨을 의미해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1A 내지 1C), 및 기지국 장치(3)를 구비한다. 이하, 단말 장치(1A 내지 1C)를 단말 장치(1)라고 한다.
이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1)는, 복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다. 단말 장치(1)가 복수의 서빙 셀을 통해 통신하는 기술을 셀 애그리게이션, 또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고 칭한다. 단말 장치(1)에 대해서 설정되는 복수의 서빙 셀의 각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일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그룹의 각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그룹의 일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형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복수의 서빙 셀은,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을 포함한다. 복수의 서빙 셀은, 1개,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을 포함해도 된다. 복수의 서빙 셀은, 1개 또는, 복수의 LAA(Licensed Assisted Access) 셀을 포함해도 된다. LAA 셀을, LAA 세컨더리 셀이라고도 칭한다.
프라이머리 셀은, 초기 커넥션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수순이 행해진 서빙 셀, 커넥션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수순을 개시한 서빙 셀 또는, 핸드 오버 수순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이라고 지시된 셀이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이 확립된 시점 또는 후에, 세컨더리 셀, 및/또는 LAA 셀이 설정되어도 된다. 프라이머리 셀은, 라이선스 밴드(licensed band)에 포함되어도 된다. LAA 셀은, 언라이선스 밴드(unlicensed band)에 포함되어도 된다. 세컨더리 셀은, 라이선스 밴드, 및 언라이선스 밴드 중 어떤 것에 포함되어도 된다. LAA 셀을, LAA 세컨더리 셀이라고 칭해도 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및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총칭하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단말 장치(1)는, 복수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동시에 복수의 물리 채널에서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행할 수 있다. 1개의 물리 채널은, 복수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 중 1개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송신된다.
본 실시 형태의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기지국 장치(3)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Transport block, Uplink-Shared Channel: UL-SCH), 하향 링크의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및/또는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CSI, 및 HARQ-ACK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이다.
CSI는, 채널 품질 지표(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RI(Rank Indicator), 및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를 포함한다. CQI는, PDSCH에서 송신되는 단일의 트랜스포트 블록에 대한, 변조 방식과 부호화율의 조합을 표현한다. RI는, 단말 장치(1)에 의해 결정되는 유효한 레이어의 수를 나타낸다. PMI는, 단말 장치(1)에 의해 결정되는 코드북을 나타낸다. 해당 코드북은, PDSCH의 프리코딩에 관련된다.
HARQ-ACK는, 하향 링크 데이터(Transport bloc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MAC PDU, Downlink-Shared Channel: DL-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에 대응한다. HARQ-ACK는,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acknowledgement)를 나타낸다. HARQ-ACK를, ACK/NACK, HARQ 피드백, HARQ 응답, HARQ 정보, 또는 HARQ 제어 정보라고도 칭한다.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에 있어서,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이 사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시그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해 사용된다.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는, PUSCH의 송신에 관련된다. DMRS는, PUSCH와 시간 다중된다. 기지국 장치(3)는, PUSCH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해서 DMRS를 사용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이 사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DCI 포맷이라고도 칭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 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포함한다. 상향 링크 그랜트는, 단일의 셀 내의 단일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어도 된다. 상향 링크 그랜트는, 단일의 셀 내의 연속하는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의 복수의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어도 된다. 상향 링크 그랜트는, 해당 상향 링크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 프레임보다 4개 이상 뒤의 서브 프레임 내의 단일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PUSCH(또는, 서브 프레임)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는,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송신이 개시되는 SC-FDMA 심볼(Starting symbol)을 지시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송신 종료 심볼(Ending symbol)을 지시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의 일부에 있어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해당 더미 신호는,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의 다음의 SC-FDMA 심볼의 확장된 CP(Cyclic Prefix), 또는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의 다음의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1개의 PUSCH(1개의 서브 프레임)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는, DCI format 0A, 또는 DCI format 4A라고도 칭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PUSCH(복수의 서브 프레임)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는, DCI format 0B, 또는 DCI format 4B라고도 칭해진다. DCI format 0B, 및 DCI format 4B는, 총칭하여 DCI 타입 B라고도 칭해진다.
DCI 타입 B는, 연속하는 복수의 PUSCH의 스케줄링에 사용되어도 된다. DCI타입 B가 복수의 PUSCH를 스케줄링하는 경우, 해당 DCI에 포함되는,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이 송신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복수의 해당 PUSCH의 일부에만 적용되어도 된다.
U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에서 사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고 칭한다. MAC층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 TB) 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라고도 칭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프레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축이다.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 길이이다. 또한,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 프레임의 각각은 1㎳ 길이이며, 2개의 연속하는 슬롯에 의해 정의된다. 슬롯의 각각은 0.5㎳ 길이이다. 무선 프레임 내의 i번째의 서브 프레임은, (2×i)번째의 슬롯과 (2×i+1)번째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즉, 10㎳ 간격의 각각에 있어서, 10개의 서브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슬롯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슬롯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1개의 셀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슬롯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축이며, 종축은 주파수축이다. 도 3에 있어서, l은 SC-FDMA 심볼 번호/인덱스이며, k는 서브 캐리어 번호/인덱스이다.
슬롯의 각각에 있어서 송신되는 물리 시그널 또는 물리 채널은, 리소스 그리드에 의해 표현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리소스 그리드는 복수의 서브 캐리어와 복수의 SC-FDMA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리소스 그리드 내의 엘리먼트의 각각을 리소스 엘리먼트라고 칭한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서브 캐리어 번호/인덱스 k, 및 SC-FDMA 심볼 번호/인덱스 l에 의해 표현된다.
상향 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SC-FDMA 심볼 l(l=0, 1, …, NUL symb)을 포함한다. NUL symb는, 1개의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를 나타낸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노멀 CP(normal Cyclic Prefix)에 대해서, NUL symb는 7이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확장 CP(extended CP)에 대해서, NUL symb는 6이다.
단말 장치(1)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CP 길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UL-CyclicPrefixLength를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다. 기지국 장치(3)는, 셀에 대응하는 해당 파라미터 UL-CyclicPrefixLength를 포함하는 시스템 인포메이션을, 해당 셀에 있어서 통지해도 된다.
상향 링크 슬롯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캐리어 k(k=0, 1, …, NUL RB×NRB sc)를 포함한다. NUL RB는, NRB sc의 배수에 의해 표현되는, 서빙 셀에 대한 상향 링크 대역폭 설정이다. NRB sc는, 서브 캐리어의 수에 의해 표현되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물리)리소스 블록 사이즈이다. 서브 캐리어 간격 Δf는 15㎑이며, NRB sc는 12여도 된다. 즉, NRB sc는 180㎑이어도 된다.
리소스 블록(RB)은, 물리 채널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대한 매핑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리소스 블록은, 가상 리소스 블록(VRB)과 물리 리소스 블록(PRB)이 정의된다. 물리 채널은, 우선 가상 리소스 블록에 맵된다. 그 후, 가상 리소스 블록은, 물리 리소스 블록에 맵된다.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NUL symb의 연속하는 SC-FDMA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NRB sc의 연속하는 서브 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NUL symb×NRB sc)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1개의 물리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1개의 슬롯에 대응한다. 물리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주파수가 낮은 쪽부터 순서대로 번호 nPRB(0, 1,…, NUL RB-1)가 부여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의 슬롯은,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의 슬롯의 구성은, 리소스 그리드가 복수의 서브 캐리어와 복수의 OFDM 심볼에 의해 정의되는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하향 링크의 슬롯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는, 무선 송수신부(10), 및 상위층 처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안테나부(11), RF(Radio Frequency)부(12), 및 기저 대역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 및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0)를 송신부, 수신부, 또는 물리층 처리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해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무선 송수신부(10)로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4)가 구비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수순의 제어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4)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자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상위층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즉,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PUSCH에 배치되는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RRC 메시지, MAC CE(Control Element) 등을 생성하고, 무선 송수신부(30)로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의 물리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4)로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데이터를 변조, 부호화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RF부(12)는, 안테나부(11)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직교 복조에 의해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다운 컨버트: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RF부(12)는, 처리를 한 아날로그 신호를 기저 대역부로 출력한다.
기저 대역부(13)는, RF부(1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Cyclic Prefix)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해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고,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데이터를 역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CP를 포함하는 SC-FDMA 심볼의 시간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RF부(12)로 출력한다.
도 5는, 기저 대역부(13)의 처리(송신 프로세스(30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송신 프로세스(Transmission process)(3000)는, 부호화 처리부(coding)(3001), 스크램블 처리부(Scrambling)(3002), 변조 맵 처리부(Modulation mapper)(3003), 레이어 맵 처리부(Layer mapper)(3004), 변환 프리코드 처리부(Transform precoder)(3005), 프리코드 처리부(Precoder)(3006), 리소스 엘리먼트 맵 처리부(Resource element mapper)(3007), 기저 대역 신호 생성 처리부(OFDM baseband signal generation)(300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구성이다.
부호화 처리부(3001)는,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터보 부호화 처리, TBCC 부호화 처리(Tail Biting Convolutional Code), 또는 반복 부호 등)에 의해, 트랜스포트 블록, 또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고, 부호화 비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생성되는 부호화 비트는, 스크램블 처리부(3002)에 입력된다.
스크램블 처리부(3002)는, 스크램블 처리에 의해 부호화 비트를 스크램블 비트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스크램블 비트는, 변조 맵 처리부(3003)에 입력된다.
변조 맵 처리부(3003)는, 변조 맵 처리에 의해 스크램블 비트를 변조 비트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변조 비트는, 스크램블 비트에 대해서, QPSK(Quade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e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256QAM 등의 변조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얻어진다. 여기서, 변조 비트는, 변조 심볼이라고도 칭해진다. 변조 비트는, 레이어 맵 처리부(3004)에 입력된다.
레이어 맵 처리부(3004)는, 변조 심볼을 각 레이어에 매핑하는(레이어 매핑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레이어(layer)는, 공간 영역에 있어서의 물리층 신호의 다중도에 관한 지표이다. 즉, 예를 들어 레이어수가 1인 경우, 공간 다중이 행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레이어수가 2인 경우, 2종류의 물리층 신호가 공간 다중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레이어 매핑된 변조 심볼(이하에서는, 레이어 매핑된 변조 심볼은, 변조 심볼이라고도 칭해짐)은, 변환 프리코드 처리부(3005)에 입력된다.
변환 프리코드 처리부(3005)는, 변조 심볼, 및/또는 NULL 신호에 기초하여 복소 심볼을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변환 프리코드 처리부(3005)에 있어서의, 변조 심볼, 및/또는 NULL 신호에 기초하여 복소 심볼을 생성하는 기능은, 이하의 수식 1에 의해 부여된다.
<수식 1>
Figure pct00001
수식 1에 있어서, λ는 레이어의 인덱스이며, MPUSCH sc는, 스케줄링된 PUSCH의 대역폭에 있어서의 서브 캐리어수이며, x(λ)는, 레이어 인덱스 λ에 있어서의 변조 심볼이며, i는 변조 심볼의 인덱스이며, j는 허수 단위이며, Mlayer PUSCH는, 레이어당 변조 심볼의 수이며, π는 원주율이다.
x(λ)의 일부는, NULL이어도 된다. 여기서, x(λ)의 일부가 NULL이면, x(λ)의 일부에 제로(복소수값 또는 실수값)가 삽입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레이어 맵 처리부(3004), 또는 변조 맵 처리부(3003)에 의해 생성되는 변조 심볼이 x(λ) 0인 경우, x(λ)=[Om, x(λ) 0]이어도 된다. 여기서, Om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제로에 의해 구성되는 계열이어도 된다. 여기서, [A, B]는, 계열 A 및 계열 B가 결합된 계열을 출력하는 조작이다. 복소 심볼은 프리코드 처리부(3006)에 입력된다.
프리코드 처리부(3006)는, 복소 심볼에 대해서 프리코더를 승산함으로써 송신 안테나마다의 송신 심볼을 생성한다. 송신 심볼은, 리소스 엘리먼트 맵 처리부(3007)에 입력된다.
리소스 엘리먼트 맵 처리부(3007)는, 송신 안테나 포트마다의 송신 심볼을, 각각 리소스 엘리먼트에 맵한다.
기저 대역 신호 생성 처리부(3008)는, 리소스 엘리먼트에 맵된 변조 심볼을 기저 대역 신호(시간 연속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기저 대역 신호 생성 처리부(3008)는,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예를 들어, 변조 심볼)에 기초하여, 시간 연속 신호를 수식 2에 의해 생성한다.
<수식 2>
Figure pct00002
여기서, s(p) l은, 안테나 포트 p에 있어서의, SC-FDMA 심볼 lsecond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SC-FDMA 심볼 l의 시간 t에 있어서의 시간 연속 신호이다. 또한, NUL RB는, 상향 링크 대역의 리소스 블록수이며, NRB sc는, 리소스 블록의 서브 캐리어수이며, ceil()는, 천장 함수이며, floor()는 바닥 함수이며, a(p) k (-),l은, 안테나 포트 p에 있어서의, 리소스 엘리먼트(k, l)의 콘텐츠이며, lsecond는 SC-FDMA 심볼의 인덱스이다. 또한, Δf=15㎑이다. 또한, NCP,l은, SC-FDMA 심볼 l의 CP 길이이다. 또한, Ts=1/(15000*2048)이다. 또한, 시간 t는, Tl,0과 (NCP,l+N)*Ts 사이의 범위의 값을 구비한다. 여기서, Tl,0은, SC-FDMA 심볼의 송신이 개시되는 시각이다. 예를 들어, Tl,0=0이어도 된다. 또한, NX CP,l은,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 생성의 파라미터이며, 예를 들어 NX CP,l=NCP,l이어도 된다.
NCP,l은, 노멀 CP에 있어서 l=0인 경우에 160이어도 된다. NCP,l은, 노멀 CP에 있어서 l=1 내지 6인 경우에 144여도 된다. NCP,l은, 확장 CP에 있어서 l=0 내지 5인 경우에 512여도 된다.
RF부(12)는, 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기저 대역부(13)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로 업 컨버트(up convert)하고, 안테나부(11)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RF부(12)는 전력을 증폭한다. 또한, RF부(12)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RF부(12)를 송신 전력 제어부라고도 칭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3)는, 무선 송수신부(30), 및 상위층 처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30)는, 안테나부(31), RF부(32), 및 기저 대역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35), 및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30)를 송신부, 수신부, 또는 물리층 처리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4)가 구비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35)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4)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PDSCH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 메시지, MAC CE(Control Element) 등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하고, 무선 송수신부(30)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단말 장치(1) 각각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상위층의 신호를 통해 단말 장치(1) 각각에 대해서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해도 된다. 즉,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통지한다.
무선 송수신부(30)의 기능은, 무선 송수신부(10)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 장치(1)가 구비하는 부호 10 내지 부호 16이 부여된 부의 각각은, 회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가 구비하는 부호 30 내지 부호 36이 부여된 부의 각각은, 회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LAA 셀의 그룹을 UCI 셀 그룹이라고 칭한다. UCI 셀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LAA 셀에 대한 HARQ-ACK는, UCI 셀 그룹 내의 1개 또는 복수의 LAA 셀에 있어서의 PU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프라이머리 셀은, 항상 UCI 셀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3)는, LAA 셀이 UCI 셀 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LAA 셀이 UCI 그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상위층 파라미터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UCI 셀 그룹에 포함되는 LAA 셀에 대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는, CSI 리퀘스트, 및 HARQ-ACK 리퀘스트가 포함되어도 된다. CSI 리퀘스트의 비트에 맵되는 필드를, CSI 리퀘스트 필드라고도 칭한다. HARQ-ACK 리퀘스트의 비트에 맵되는 필드를, HARQ-ACK 리퀘스트 필드라고도 칭한다.
UCI 셀 그룹에 포함되는 LAA 셀에 대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HARQ-ACK 리퀘스트 필드가 HARQ-ACK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세트되어 있는 경우, 단말 장치(1)는, 당해 LAA 셀에 있어서의 PUSCH를 사용해서 HARQ-ACK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1비트의 HARQ-ACK 리퀘스트 필드가 '0'으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 HARQ-ACK의 송신이 트리거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1비트의 HARQ-ACK 리퀘스트 필드가 '1'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 HARQ-ACK의 송신이 트리거되어도 된다.
UCI 셀 그룹에 포함되는 LAA 셀에 대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CSI 리퀘스트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하도록 세트되어 있는 경우, 단말 장치(1)는, 당해 LAA 셀에 있어서의 PUSCH를 사용하여 CSI 보고를 행한다. 예를 들어, 2비트의 CSI 리퀘스트 필드가 '00'으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 CSI 보고가 트리거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2비트의 CSI 리퀘스트 필드가 '00' 이외의 값으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 CSI 보고가 트리거되어도 된다.
이하, PUSCH를 사용해서 송신되는, 상향 링크 데이터(ax), CQI/PMI(ox), RI(bx), 및 HARQ-ACK(cx)의 부호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데이터(ax), CQI/PMI(ox), RI(bx), 및 HARQ-ACK(cx)의 부호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600 내지 603에 있어서, PUSCH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상향 링크 데이터, CQI/PMI, RI, 및 HARQ-ACK는 개별로 부호화된다. 도 7의 604에 있어서, 상향 링크 데이터의 부호화 비트(fx), CQI/PMI의 부호화 비트(qx), RI의 부호화 비트(gx), 및 HARQ-ACK의 부호화 비트(hx)는 다중 및 인터리브된다. 도 7의 605에 있어서, 604에 있어서 다중, 및 인터리브된 부호화 비트로부터, 기저 대역 신호(PUSCH의 신호)를 생성한다.
부호화 비트의 다중·인터리브에는, 행렬(matrix)이 사용되어도 된다. 행렬의 열은 SC-FDMA 심볼에 대응하고 있다. 행렬의 1개의 엘리먼트는, 1개의 부호화 변조 심볼에 대응하고 있다. 부호화 변조 심볼은 X개의 부호화 비트의 그룹이다. X는, PUSCH(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Qm)이다. 1개의 부호화 변조 심볼로부터, 1개의 복소수값 심볼이 생성된다. 1개의 열에 맵되는 복수의 부호화 변조 심볼로부터 생성되는 복수의 복소수값 심볼은, DFT 프리코딩의 후에, PUSCH를 위해서 할당되어 서브 캐리어에 맵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호화 비트의 다중·인터리브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USCH를 사용하여, HARQ-ACK 및 RI가 송신되는 경우, HARQ-ACK의 부호화 변조 심볼은 인덱스{2, 3, 8, 9}의 열에 맵되고, 게다가, RI의 부호화 변조 심볼은 인덱스{1, 4, 7, 10}의 열에 맵된다.
인덱스{2, 3, 8, 9}의 열은, PUSCH 송신에 관련된 DMRS가 송신되는 SC-FDMA 심볼의 옆의 SC-FDMA 심볼에 대응한다. 인덱스 2의 열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 및 인덱스 3의 열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 사이의 SC-FDMA 심볼에 있어서 DMRS가 송신된다. 인덱스 8의 열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 및 인덱스 9의 열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 사이의 SC-FDMA 심볼에 있어서 DMRS가 송신된다. 인덱스{1, 4, 7, 10}의 열은, PUSCH 송신에 관련된 DMRS가 송신되는 SC-FDMA 심볼의 2개 옆의 SC-FDMA 심볼에 대응한다.
이하,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G), 및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H)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G), 및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H)는, 이하의 수식 3, 및 수식 4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CQI/PMI에 대해서 적용되어도 된다.
<수식 3>
Figure pct00003
<수식 4>
Figure pct00004
min()는, 입력된 복수의 값 중 최소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ceil()는, 입력된 값보다 큰,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O는 RI의 비트수, 또는 HARQ-ACK의 비트수이다. L은 RI 또는 HARQ-ACK에 부가되는 CRC 패리티 비트의 수이다. C는 코드 블록의 수이다. Kr은 코드 블록 r의 사이즈이다. 1개의 트랜스포트 블록을 분할함으로써, 복수의 코드 블록이 부여된다.
MPUSCH - initial sc는, PUSCH 초기 송신을 위해서 스케줄된 대역폭이며, 또한,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을 위한 이니셜 PDCCH로부터 얻어진다. MPUSCH - initial sc는, 서브 캐리어의 수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NPUSCH - initial symbol는,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을 위한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의 수이다. 여기서, 당해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은, UCI와 함께 PUSCH에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이다.
βRI offset는, 이하의 요소 (1) 내지 (5)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요소 (1): PUSCH가 송신되는 서빙 셀이 UCI 셀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
요소 (2): PUSCH를 사용하여 HARQ-ACK 송신이 행해지는지 여부
요소 (3): HARQ-ACK 리퀘스트 필드의 값
요소 (4): PUSCH를 위한 SC-FDMA 심볼의 수
요소 (5): RI의 부호화 변조 심볼이 맵되는 열(RI가 송신되는 SC-FDMA 심볼)
βRI offset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파라미터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는, 상기의 요소 (1) 내지 (5)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파라미터에 의해 부여되는 복수의 βRI offset 중에서 1개를 선택해도 된다.
βHARQ - ACK offset는, 요소 (1) 내지 (5)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βHARQ - ACK offset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파라미터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βHARQ-ACK offset는, 상기의 요소 (1)과는 관계없이 부여되어도 된다.
CQI/PMI 비트의 수의 산출에 있어서, βCQI offset는, 요소 (1) 내지 (5)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βCQI offset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파라미터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이하, 서빙 셀 c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 i에 있어서의 PUSCH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의 세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 전력 PPUSCH,c(i)는, 이하의 수식 5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수식 5>
Figure pct00005
PCMAX,c(i)는, 서빙 셀 c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 i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에 설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MPUSCH,c(i)는, 서빙 셀 c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 i에 있어서의 PUSCH 리소스 할당의 대역폭이다. 당해 PUSCH 리소스 할당 대역폭은, 리소스 블록의 수에 의해 표현된다. PO _ PUSCH,c(j)는, 상위층에 의해 제공되는 2개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부여된다. αc는, 상위층에 의해 제공되는 파라미터에 의해 부여된다. PLc는, 단말 장치(1)에 의해 계산되는, 서빙 셀 c를 위한 하향 링크 패스로스 추정값이다. fc(i)는, TPC 커맨드로부터 도출된다. TPC 커맨드는 서빙 셀 c를 위한 DCI 포맷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수식 5에 있어서의 ΔTF,c는, 이하의 수식 6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수식 6>
Figure pct00006
Ks는, 상위층에 의해 제공되는 파라미터에 의해 부여된다. 트랜스포트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PUSCH를 통해 UCI가 송신되는 경우, βPUSCH offset는 βCQI offset에 의해 부여된다. βCQI offset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파라미터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βCQI offset는, 상기의 요소 (1)과는 관계없이 부여되어도 된다. PUSCH를 통해 적어도 트랜스포트 블록이 송신되는 경우, βPUSCH offset는 1이다. 수식 6에 있어서의 BPRE는, 이하의 수식 7에 의해 부여된다.
<수식 7>
Figure pct00007
OCQI는, CRC 패리티 비트를 포함하는 CQI/PMI의 비트수이다. NRE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이다. NRE는, MPUSCH - initial sc, 및 NPUSCH - initial symbol의 곱이다. 즉, PUSCH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는, MPUSCH - initial sc, 및 NPUSCH - initial symbol에 기초하여 부여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 초기 송신, 및 이니셜 PDCCH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장치(1)는, 초기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800)를 수신한다. PDCCH(800)는, 이니셜 PDCCH(800)라고도 칭해진다. 단말 장치(1)는, PDCCH(800)의 검출에 기초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x를 포함하는 PUSCH(802)를 송신한다. PUSCH(802)는, 초기 송신 PUSCH라고도 칭해진다. 단말 장치(1)는, 재송신을 지시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804)를 수신한다. 여기서, PDCCH(804)의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CSI 리퀘스트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하도록 세트되어 있어도 된다. PDCCH(804)의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HARQ-ACK 리퀘스트 필드가 HARQ-ACK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세트되어 있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PDCCH(804)의 검출에 기초하여, UCI(CQI/PMI, RI, 및/또는 HARQ-ACK) 및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 x를 포함하는 PUSCH(806)를 송신한다. PUSCH(806)는, 재송신 PUSCH(806)라고도 칭해진다. PUSCH(806)는, 초기 송신 PUSCH(802)의 재송신에 대응한다. 여기서, PDCCH(800, 804), 및 PUSCH(802, 806)는,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 PUSCH(806)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는, PUSCH(802)를 위해서 스케줄된 대역폭이며, 또한, PDCCH(800)로부터 얻어지는 MPUSCH -initial sc, 및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 x를 위한 PUSCH(802)를 위한 SC-FDMA 심볼의 수 NPUSCH-initial symbol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 초기 송신, 및 이니셜 PDCCH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3)는, 초기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900)를 송신한다. 그러나, 단말 장치(1)는 PDCCH(900)의 검출에 실패함으로써, PDCCH(900)에 대응하는 PUSCH(902)를 송신하지 않는다. PDCCH(900)는, 이니셜 PDCCH(900)라고도 칭해진다. 단말 장치(1)는,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904)를 수신한다. 단말 장치(1)는, PDCCH(904)의 검출에 기초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x를 포함하는 PUSCH(906)를 송신한다. PUSCH(906)는, 재송신 PUSCH(906)라고도 칭해진다. PUSCH(906)는, PUSCH(902)의 재송신에 대응한다. 단말 장치(1)는,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908)를 수신한다. 여기서, PDCCH(908)의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CSI 리퀘스트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하도록 세트되어 있어도 된다. PDCCH(908)의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HARQ-ACK 리퀘스트 필드가 HARQ-ACK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세트되어 있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PDCCH(908)의 검출에 기초하여, UCI(CQI/PMI, RI, 및/또는 HARQ-ACK) 및 트랜스포트 블록 x를 포함하는 PUSCH(910)를 송신한다. PUSCH(910)는, 재송신 PUSCH(910)라고도 칭해진다. PUSCH(910)는, PUSCH(902), 및/또는 PUSCH(906)의 재송신에 대응한다. 여기서, PDCCH(900, 904, 908), 및 PUSCH(902, 906, 910)는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PDCCH(900)에 기초하는 PUSCH(902)가 송신되지 않은 경우,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 PUSCH(910)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는, PUSCH(906)를 위해서 스케줄된 대역폭이며, 또한 이니셜 PDCCH(904)로부터 얻어지는 MPUSCH - initial sc, 및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 x를 위한 PUSCH(906)를 위한 SC-FDMA 심볼의 수 NPUSCH - initial symbol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된다.
도 10에 있어서, PDCCH(900)에 기초하는 PUSCH(902)가 행해진 경우,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 PUSCH(910)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는, PUSCH(902)를 위해서 스케줄된 대역폭이며, 또한 PDCCH(900)로부터 얻어지는 MPUSCH - initial sc, 및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 x를 위한 PUSCH(902)를 위한 SC-FDMA 심볼의 수 NPUSCH - initial symbol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 초기 송신, 및 이니셜 PDCCH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장치(1)는, 초기 송신을 지시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1000)를 수신한다. PDCCH(1000)는, 이니셜 PDCCH(1000)라고도 칭해진다. 그러나, 단말 장치(1)는, PDCCH(1000)에 대응하는 PUSCH(1002)를 송신하지 않는다. 여기서, PUSCH(1002)는, 초기 송신 PUSCH(1002)라고도 칭해진다.
예를 들어, 어떤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PUSCH(1002)를 포함하는 복수의 PUSCH가 할당되고, 복수의 PUSCH 송신의, 추정되는 송신 전력의 합계가 설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 장치(1)는 PUSCH(1002)를 위한 송신 전력을 0으로 세트해도 되거나, 또는 PUSCH(1002)를 드롭해도 된다. 예를 들어, PUSCH(1002)에 대응하는 LBT(Listen Before Talk)의 결과가 비지 상태인 경우, 단말 장치(1)는, PUSCH(1002)를 드롭해도 된다.
LBT의 수순은, 단말 장치(1)가 서빙 셀에 있어서의 송신의 앞에 CCA(Clear Channel Assessment) 체크를 적용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정의된다. 단말 장치(1)는, 서빙 셀이 아이들 상태인지 비지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서, 당해 서빙 셀에 있어서 다른 신호의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전력 검출 또는 신호 검출을 행한다. CCA는 캐리어 센스라고도 칭해진다. 단말 장치(1)가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 채널, 매체, 주파수)을 사용해서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당해 서빙 셀에 있어서의 간섭 전력(간섭 신호, 수신 전력, 수신 신호, 잡음 전력, 잡음 신호) 등을 측정(검출)한다. 단말 장치(1)는, 당해 측정(검출)에 기초하여, 당해 서빙 셀이 아이들 상태, 및 비지 상태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검출, 상정, 결정)한다. 단말 장치(1)가 당해 측정(검출)에 기초하여 당해 서빙 셀은 아이들 상태라고 식별한 경우, 무선 송수신 장치는 당해 서빙 셀에 있어서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1)에 기초하여 당해 서빙 셀은 비지 상태라고 식별한 경우, 무선 송수신 장치는 당해 서빙 셀에 있어서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LBT의 수순에 있어서, 서빙 셀이 비지 상태이면, 해당 서빙 셀의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 검출되는 간섭 전력(또는, 간섭 전력의 평균값, 간섭 전력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에 있어서의 평균값)이, LBT의 임계값(또는, 캐리어 센스의 임계값, CCA의 임계값, 에너지 검출의 임계값)을 초과하는(또는, 이상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서빙 셀이 아이들 상태이면, 해당 서빙 셀의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있어서 검출되는 간섭 전력이, LBT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또는, 이하인)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소정의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시간 및 소정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은 4마이크로초여도 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25마이크로초여도 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36마이크로초여도 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45마이크로초여도 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수신 전력의 측정에 사용되는 최소의 기간으로서 규정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및/또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카운터(또는, 백 오프 카운터)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카운터의 최댓값은, 최대 컨텐션 윈도(CWmax)에 의해 부여된다. 또한, 카운터의 최솟값은, 최소 컨텐션 윈도(CWmin)에 의해 부여된다. 또한, 소정의 주파수는, 서빙 셀의 대역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주파수는, 서빙 셀의 대역의 일부로서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주파수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이하,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의 구체적인 산출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은, 해당 PUSCH의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의 생성에 사용되는 해당 SC-FDMA 심볼의 수여도 된다.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는, LBT의 수순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는, LBT를 위한 소정의 기간(LBT를 위한 소정의 기간은, LBT 기간이라고도 칭해짐)의 설정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해당 PUSCH를 위한 LBT 기간은, 해당 PUSCH의 송신 기간에 포함되어도 된다. 여기서, LBT 기간이 PUSCH의 송신 기간에 포함된다 함은, 해당 PUSCH에 설정되는 기간(1㎳의 기간)에 LBT 기간 또는, LBT 기간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해당 PUSCH의 송신 기간은, 해당 PUSCH의 송신이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는, 해당 PUSCH를 위한 LBT 기간의 설정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는,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 수식 8에 기초하여 부여된다.
<수식 8>
Figure pct00008
여기서, NUL symb는, 1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이다. 또한, NSRS는, PUSCH의 송신이 설정되는 1 서브 프레임에 포함되는 SRS(Sounding Reference Symbol)에 사용되는 SC-FDMA 심볼의 수여도 된다. 여기서, 단말 장치(1)는, 주기적으로, 또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파라미터에 의해, SRS의 송신이 트리거되어도 된다. SRS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전반로의 추정 등에 사용된다. NSRS는, 주기적으로, 또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파라미터에 의해, 트리거되는 SRS에 사용되는 심볼수여도 된다. SRS의 송신이 트리거된 경우, NSRS=1이며, SRS의 송신이 트리거되지 않는 경우, NSRS=0이어도 된다. NSRS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정보/파라미터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NSRS는, PUSCH(또는, 서브 프레임)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DCI에 포함되는 송신 종료 심볼(Ending symbol)을 지시하는 정보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는,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수식 9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수식 9>
Figure pct00009
여기서, NLBT는, 시간 연속 신호의 생성에 사용되지 않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의 수여도 된다. 또한, NLBT는, LBT 기간이 설정됨으로써, 시간 연속 신호의 생성에 사용되지 않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의 수여도 된다.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NLBT=1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고, 시간 연속 신호의 생성에 사용되지 않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의 수가 1인 경우에, NLBT=1이어도 된다.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PUSCH의 SC-FDMA 심볼의 수는 수식 9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 NLBT=0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지 않고, 시간 연속 신호의 생성에 사용되지 않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의 수가 0인 경우에, NLBT=0이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고, 시간 연속 신호의 생성에 사용되지 않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SC-FDMA 심볼의 수가 X인 경우에, NLBT=X여도 된다. 여기서, X는 상수이다.
도 12는, LBT 기간이, SC-FDMA 심볼 #0(격자 패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는 기간(수식 2에 있어서의 시간 t의 범위에 기초하여 부여되는 기간)에 포함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BT 기간은, SC-FDMA 심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는 기간의 길이와 동등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일례에서는, LBT 기간 후의 기간 A를 거쳐, SC-FDMA 심볼 #1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LBT 기간과 기간 A의 합이 SC-FDMA 심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는 기간의 길이와 동등해도 된다. 여기서, 기간 A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신호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해당 기간 A의 후의 채널은 해당 단말 장치(1)가 아닌 단말 장치에 의해 확보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단말 장치에 의해 채널이 확보되는 것은, 전송 특성 열화의 요인으로 될 수 있다(LBT, 또는 CCA에 의해 복수의 단말 장치가 채널을 확보하고, 송신이 행해지는 것은 충돌이라고도 칭해짐). 여기서, 기간 A는, LBT의 갭(LBT gap), CCA의 갭(CCA gap) 등이라고도 칭해진다.
그래서, 도 12의 기간 A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신호(PUSCH 또는, PUSCH 이외의 신호)의 송신이 행해지는 것이 적합하다(채널 예약(Channel reservation) 등이라도 칭해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기간 A의 제1 동작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채널 예약을 위한 신호로서, 더미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더미 신호의 생성 방법은, 사양서의 기재 등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더미 신호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에 의해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것은, 소정의 전력을 초과한 전력이 해당 단말 장치(1)의 밖으로 방사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도 12의 기간 A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의 송신 기간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한편, 단말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더미 신호는, PUSCH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 부호화율(또는, BPRE(Bit Per Resource Element))의 산출에 사용되지 않는다. 즉, 더미 신호는,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또는 PUSCH의 송신 전력의 산출에 있어서 고려되지 않는 것이 적합하다. 그래서, 도 12의 기간 A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더미 신호가 송신되어 있는 경우, NLBT=1이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로부터 X개의 SC-FDMA 심볼에 있어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어 있는 경우, NLBT=X여도 된다.
즉, LBT 기간이 설정되고, 제1 SC-FDMA 심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더미 신호가 해당 LBT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송신 되는 경우, NLBT=1이어도 된다. 또한, LBT 기간이 설정됨으로써 제1 SC-FDMA 심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더미 신호가 해당 LBT 기간에 있어서 송신되지 않는 경우, NLBT=0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1 SC-FDMA 심볼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SC-FDMA 심볼이어도 된다. 즉, 제1 SC-FDMA 심볼이 X개의 SC-FDMA 심볼에 대응하고, 더미 신호가 해당 LBT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송신되는 경우, NLBT=X여도 된다. 또한, 제1 SC-FDMA 심볼이 X개의 SC-FDMA 심볼에 대응하고, 더미 신호가 해당 LBT 기간에 있어서 송신되지 않는 경우, NLBT=0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도 12의 기간 A의 제1 동작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SC-FDMA 심볼 #1의 CP가 확장된(Extension of cyclic prefix of the next SC-FDMA symbol) 신호(SC- FDMA 심볼의 밖으로 확장된 CP, 또는 확장된 CP)를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확장된 CP는, PUSCH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의 송신 부호화율의 산출에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CP가 무선 전반 환경에 특유의 멀티패스 페이딩에 의한 간섭 제거에 사용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즉, SC-FDMA 심볼 #1의 CP가 확장된 신호의 송신 전력은,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또는 PUSCH를 위한 송신 전력의 산출에 있어서 고려되지 않는 것이 적합하다. 그래서, 도 12의 기간 A에 있어서, 단말 장치(1)로부터 확장된 CP가 송신되어 있는 경우, NLBT=1이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로부터 X개의 SC-FDMA 심볼에 있어서 확장된 CP가 송신되어 있는 경우, NLBT=X여도 된다.
즉, LBT 기간이 설정됨으로써 제1 SC-FDMA 심볼이 송신되지 않고, 해당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의 확장된 CP가, 도 12의 기간 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송신되는 경우, NLBT=1이어도 된다. 또한, LBT 기간이 설정됨으로써 제1 SC-FDMA 심볼이 송신되지 않고, 해당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의 확장된 CP가, 도 12의 기간 A에 있어서 송신되지 않는 경우, NLBT=0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1 SC-FDMA 심볼은 복수 개의 SC-FDMA 심볼이어도 된다. 즉, 제1 SC-FDMA 심볼이 X개의 SC-FDMA 심볼에 대응하고, 해당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의 확장된 CP가, 도 12의 기간 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송신되는 경우, NLBT=X여도 된다. 또한, 제1 SC-FDMA 심볼이 X개의 SC-FDMA 심볼에 대응하고, 해당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의 확장된 CP가, 도 12의 기간 A에 있어서 송신되지 않는 경우, NLBT=0이어도 된다.
제1 SC-FDMA 심볼이 SC-FDMA 심볼 l이며, 제2 SC-FDMA 심볼이 SC-FDMA 심볼 lsecond인 경우를 예로 들고, 해당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해당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는, 확장된 CP라고도 칭해진다. 해당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의 확장된 CP는, NCP,l=144 또는 NCP,l=160에 대응하는 노멀 CP, 또는 NCP,l=512에 대응하는 확장 CP를 확장함으로써 부여되어도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lsecond=l+1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는, 수식 2에 기초하여 생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를 위해서 사용되는 NX CP,l은, l=0의 경우에 160 이외의 값(예를 들어, 320)이어도 된다. 또한,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를 위해서 사용되는 NX CP,l은, l=1 내지 6의 경우에 144 이외의 값(예를 들어, 288)이어도 된다. 또한,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를 위해서 사용되는 NX CP,l은, l=0 내지 6의 경우에 512 이외의 값(예를 들어, 1024)이어도 된다. 또한,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를 위해서 사용되는, 해당 제1 SC-FDMA 심볼 l의 송신이 개시되는 시각 Tl,0은, LBT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SC-FDMA 심볼 l을 포함하는 PUSCH를 위한 LBT가 시각 TLBT에 종료되는 경우, 해당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를 위해서 사용되는, 해당 제1 SC-FDMA 심볼 l의 송신이 개시되는 시각 Tl,0은, Tl,0=TLBT+Ts+Tn이어도 된다. 즉, 제1 SC-FDMA 심볼 l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 lsecond의 확장된 CP의 송신이 설정되는 경우, 제1 SC-FDMA 심볼 l의 시간 연속 신호는, 해당 제2 SC-FDMA 심볼 lsecond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제1 SC-FDMA 심볼 l의 연속 시간 신호가, 해당 제1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NLBT가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SC-FDMA 심볼 l의 시간 연속 신호가, 해당 제1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에, NLBT=1이어도 된다. 또한, 제1 SC-FDMA 심볼 l의 시간 연속 신호가, 제2 SC-FDMA 심볼 lsecond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에, NLBT=1이어도 된다. 또한, X개의 제1 SC-FDMA 심볼 l의 시간 연속 신호가, 해당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에, NLBT=X여도 된다.
NLBT는, 수식 1에 있어서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Om)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NLBT는, 수식 1에 있어서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의 수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NLBT는, 수식 1에 있어서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의 수가 NNULL인 경우, NLBT=NNULL/Nsc여도 된다. 여기서, Nsc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서브 캐리어수이다. 또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고,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Y개의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변조 심볼에 있어서, 해당 변조 심볼에 NNULL개의 NULL이 삽입되는 경우, NLBT=NNULL/Nsc여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고,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X개의 SC-FDMA 심볼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또한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Y개의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변조 심볼에 있어서, 해당 변조 심볼에 NNULL개의 NULL이 삽입되는 경우, NLBT=X+NNULL/(Nsc*Y)여도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X=0이며, Y=1이어도 된다. 즉, 기지국 장치(3)로부터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에 있어서, LBT 기간과 해당 PUSCH의 송신이 동일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고, 해당 PUSCH에 포함되는 Y개의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변조 심볼에 있어서, 해당 변조 심볼에 NNULL개의 NULL이 삽입되는 경우, NLBT=NNULL/(Nsc*Y)여도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Y=1이어도 된다.
NLBT는,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의 길이와, 해당 시간 연속 신호의 실제 송신 기간은 상이해도 된다. 여기서, NLBT는 해당 송신 기간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여기서, 해당 송신 기간 Ttx는, Ttx=(NCP,l+N)*Ts-Tl,0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여기서, 해당 시간 연속 신호는, Tl,0과 (NCP,l+N)*Ts의 사이의 범위를 구비해도 된다. 즉, 해당 시간 연속 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Tl,0이어도 된다. 또한, 해당 송신 기간 Ttx는, 생성되는 해당 시간 신호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NLBT는, NLBT=Ttx/Tsymbol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여기서, Tsymbol은, 생성되는 해당 시간 연속 신호의 길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Tsymbol은, Tsymbol=(2048+NCP,l)*Ts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의 길이와, 해당 시간 연속 신호의 실제 송신 기간이 상이한 경우, 해당 시간 연속 신호의 송신 타이밍 Tl,0은 Tl,0=Tinitial+Tn에 의해 부여되어도 된다. 여기서, Tinitial은, 생성되는 해당 시간 연속 신호의 선두(또는, 선두의 샘플링 포인트)를 나타내는 시각이어도 된다. 또한, Tn은, 송신 타이밍의 정 또는 부의 오차 값을 나타내는 값이다. 송신 타이밍의 오차는, 동기 에러, 송수신의 천이 시간, 클럭 에러 등, 단말 장치(1), 및/또는 기지국 장치(3)에 포함되는 장치의 일부에 의해 초래되는 오차이다.
NLBT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및/또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X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및/또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Y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및/또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의 수 NNULL은,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및/또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및/또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정보는, PUSCH에 포함되는 일부의 SC-FDMA 심볼이 송신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정보여도 된다.
단말 장치(1)로부터 심볼이 송신되는 것은, 단말 장치(1)가 소정의 전력(또는, 평균 전력, 전력 밀도, 전력 강도, 전계 강도, 전파 강도, 전계 밀도, 전파 밀도 등)을 초과하는(또는, 이상의) 전력을, 해당 PUSCH에 대응하는 소정의 시간 및 소정의 주파수에 있어서, 단말 장치(1)의 외부로 방사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즉, 단말 장치(1)로부터 심볼이 송신되는 것은, 해당 심볼을 위한 무선 리소스에 대한 소정의 시간 및 소정의 주파수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이외, 및/또는 소정의 주파수 이외에 방사되는 전력보다도 큰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소정의 전력은, -39dBm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전력은, -30dBm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전력은, -72dBm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소정의 전력은 한정되지는 않는다.
PUSCH(1002)의 드롭 처리는, 무선 송수신부(10)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무선 송수신부(10)에 의해 PUSCH(1002)의 송신이 드롭되는 경우, 상위층 처리부(14)는 PUSCH(1002)의 송신이 실행되었다고 간주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위층 처리부(14)는, PUSCH(1002)의 송신을 위해 트랜스포트 블록 x를 생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PDCCH(1000)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유지하고, 당해 유지되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 기초하는 트랜스포트 블록 x의 재송신을 무선 송수신부(10)에 지시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재송신을 지시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1004)를 수신한다. 단말 장치(1)는, PDCCH(1004)의 검출에 기초하여, 트랜스포트 블록 x를 포함하는 PUSCH(1006)를 행한다. PUSCH(1006)는, 재송신 PUSCH(1006)라고도 칭해진다. PUSCH(1006)는, PUSCH(1002)의 재송신에 대응한다.
단말 장치(1)는, 재송신을 지시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1008)를 수신한다. 여기서, PDCCH(1008)의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CSI 리퀘스트 필드가 CSI 보고를 트리거하도록 세트되어 있어도 된다. PDCCH(1008)의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HARQ-ACK 리퀘스트 필드가 HARQ-ACK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세트되어 있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PDCCH(1008)의 검출에 기초하여, UCI(CQI/PMI, RI, 및/또는 HARQ-ACK) 및 트랜스포트 블록 x를 포함하는 PUSCH(1010)를 송신한다. PUSCH(1010)는, 재송신 PUSCH(1010)라고도 칭해진다. PUSCH(1010)는, PUSCH(1002), 및/또는 PUSCH(1006)의 재송신에 대응한다. 여기서, PDCCH(1000, 1004, 1008), 및 PUSCH(1002), PUSCH(1006, 1010)는,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 PUSCH(1010)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는, PUSCH(1002)를 위해서 스케줄된 대역폭이며, 또한, PDCCH(1000)로부터 얻어지는 MPUSCH-initial sc, 및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 x를 위한 PUSCH(1002)를 위한 SC-FDMA 심볼의 수 NPUSCH - initial symbol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그러나, 기지국 장치(3)는, PUSCH(1002)가 행해지지 않은 이유가, (ⅰ) 단말 장치(1)가 이니셜 PDCCH(1000)의 검출에 실패했기 때문인지, (ⅱ) LBT의 결과가 비지 상태이기 때문인지, 및 (ⅲ) PUSCH(1002)를 포함하는 복수의 PUSCH 송신의 추정되는 송신 전력의 합계가 설정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였기 때문인지 중 어느 것인지를 알 수는 없다. 따라서, PUSCH(1002)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은 이유에 의해,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 PUSCH(1006)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가 변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도 11에 있어서, PDCCH(1000)의 검출이 성공리에 완료되어 있었다고 해도, PDCCH(1000)에 기초하는 PUSCH(1002)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 PUSCH(1010)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는, PUSCH(1006)를 위해서 스케줄된 대역폭이며, 또한 PDCCH(1004)로부터 얻어지는 MPUSCH - initial sc, 및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 x를 위한 PUSCH(1006)를 위한 SC-FDMA 심볼의 수 NPUSCH - initial symbol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에 의해 PUSCH(1002)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은 이유를 알지 못해도, PUSCH(1006)(UCI, 및 트랜스포트 블록)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PUSCH(1002)가 행해지지 않은 이유가, (ⅱ) LBT의 결과가 비지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PUSCH(1006)는, PUSCH 초기 송신이라고도 칭해진다. 즉, PUSCH(1002)가 행해지지 않은 이유가, (ⅱ) LBT의 결과가 비지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PDCCH(1004)는, 이니셜 PDCCH여도 된다.
도 11에 있어서, PDCCH(1000)에 기초하는 PUSCH(1002)의 송신이 행해진 경우,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및 PUSCH(1010)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는, PUSCH(1002)를 위해서 스케줄된 대역폭이며, 또한, PDCCH(1000)로부터 얻어지는 MPUSCH - initial sc, 및 동일한 트랜스포트 블록 x를 위한 PUSCH(1002)를 위한 SC-FDMA 심볼의 수 NPUSCH - initial symbol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이하의 요소 A 내지 요소 I의 일부 또는 전부는,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요소 A 내지 요소 I의 일부 또는 전부는,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의 생성 방법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요소 A 내지 요소 I의 일부 또는 전부는, PUSCH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생성에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의 수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요소 A 내지 요소 I의 일부 또는 전부는,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시간 연속 신호의 길이와, 해당 시간 연속 신호의 실제 송신 기간이 상이한 경우, 해당 송신 기간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요소 A: PUSCH에서 송신되는 CQI/PMI의 부호화 비트의 수 Q
요소 B: PUSCH에서 송신되는 RI의 부호화 비트의 수 G
요소 C: PUSCH에서 송신되는 HARQ-ACK의 부호화 비트의 수 H
요소 D: PUSCH(802)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
요소 E: PUSCH(806)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
요소 F: PUSCH(906)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
요소 G: PUSCH(910)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
요소 H: PUSCH(1006)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
요소 I: PUSCH(1010)를 위한 송신 전력 PPUSCH,c(i)
여기서, PUSCH의 SC-FDMA 심볼의 수는, LBT 기간의 설정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PUSCH의 SC-FDMA 심볼의 수는, 해당 PUSCH의 송신과 LBT 기간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PUSCH의 SC-FDMA 심볼의 수는, LBT 기간이 설정됨으로써 송신되지 않는 해당 PUSCH의 SC-FDMA 심볼의 수 NLBT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LBT 기간이 설정됨으로써 송신되지 않는 PUSCH의 SC-FDMA 심볼의 수 NLBT는, 해당 PUSCH의 송신과 해당 LBT 기간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1이어도 된다. 또한, LBT 기간이 설정됨으로써 송신되지 않은 PUSCH의 SC-FDMA 심볼의 수 NLBT는, 해당 PUSCH의 송신과 해당 LBT 기간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 0이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 및 기지국 장치(3)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단말 장치(1)로서, 소정의 기간의 LBT에 기초하여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의 송신을 행하는 송신부와,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수를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수는, 제1 요소와 제2 요소와 제3 요소와 제4 요소와 제5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요소는,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이며, 상기 제2 요소는, 상기 SC-FDMA 심볼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지 여부이며, 상기 제3 요소는,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의 수이며, 상기 제4 요소는, 상기 시간 연속 신호의 송신 기간이며, 상기 제5 요소는,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의 송신과 상기 소정의 기간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는지 여부이다.
(2)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기지국 장치(3)로서,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수를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와, 상기 물리층 처리부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수에 기초하여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수는, 제1 요소와 제2 요소와 제3 요소와 제4 요소와 제5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요소는,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이며, 상기 제2 요소는, 상기 SC-FDMA 심볼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지 여부이며, 상기 제3 요소는,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의 수이며, 상기 제4 요소는, 상기 시간 연속 신호의 송신 기간이며, 상기 제5 요소는,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의 송신과 상기 소정의 기간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는지 여부이다.
(3)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단말 장치(1)로서, 소정의 기간의 LBT에 기초하여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의 송신을 행하는 송신부와,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의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 전력은, 제1 요소와 제2 요소와 제3 요소와 제4 요소와 제5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요소는,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이며, 상기 제2 요소는, 상기 SC-FDMA 심볼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지 여부이며, 상기 제3 요소는,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의 수이며, 상기 제4 요소는, 상기 시간 연속 신호의 송신 기간이며, 상기 제5 요소는,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의 송신과 상기 소정의 기간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는지 여부이다.
(4)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기지국 장치(3)로서,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의 송신 전력을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와, 상기 물리층 처리부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전력은, 제1 요소와 제2 요소와 제3 요소와 제4 요소와 제5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요소는,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의 수이며, 상기 제2 요소는, 상기 SC-FDMA 심볼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지 여부이며, 상기 제3 요소는,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변조 심볼에 삽입되는 NULL의 수이며, 상기 제4 요소는, 상기 시간 연속 신호의 송신 기간이며, 상기 제5 요소는, 상기 PUSCH(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의 송신과 상기 소정의 기간이 동일한 서브 프레임으로 설정되는지 여부이다.
(5) 본 실시 형태의 제1 내지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는,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2 SC-FDMA 심볼의 확장된 CP이다.
(1A)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말 장치로서, PUSCH에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2A)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기지국 장치로서, PUSCH에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3A)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PUSCH에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4A)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기지국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PUSCH에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이다.
(5A)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지 않는 경우, NLBT의 값은 0이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1)는 효율적으로 상향 링크 송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효율적으로 상향 링크 송신의 수신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 및 단말 장치(1)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상기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장치에서 취급되는 정보는, 그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에 축적되고, 그 후, Flash ROM(Read Only Memory) 등의 각종 ROM이나 HDD(Hard Disk Drive)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서 CPU에 의해 판독하고, 수정·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일부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고,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단말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3)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OS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형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로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며,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집합체(장치 그룹)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장치 그룹을 구성하는 장치의 각각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3)의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해도 된다. 장치 그룹으로서, 기지국 장치(3)의 필요한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1)는, 집합체로서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eNodeB에 대한 상위 노드의 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해도 되고, 칩 세트로서 실현해도 된다.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각 기능 블록은 개별로 칩화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집적하여 칩화해도 된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LSI로 한정되지 않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할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 단말 장치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세탁기기, 공조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판매기, 기타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통신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LAN 장치, 혹은 센서 디바이스), 집적 회로(예를 들어, 통신 칩), 또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1A, 1B, 1C): 단말 장치
3: 기지국 장치
10: 무선 송수신부
11: 안테나부
12: RF부
13: 기저 대역부
14: 상위층 처리부
15: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
16: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
30: 무선 송수신부
31: 안테나부
32: RF부
33: 기저 대역부
34: 상위층 처리부
35: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
36: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
3000: 송신 프로세스
3001: 부호화 처리부
3002: 스크램블 처리부
3003: 변조 맵 처리부
3004: 레이어 맵 처리부
3005: 변환 프리코드 처리부
3006: 프리코드 처리부
3007: 리소스 엘리먼트 맵 처리부
3008: 기저 대역 신호 생성 처리부
800, 804, 900, 904, 908, 1000, 1004, 1008: PDCCH
802, 806, 902, 906, 9010, 1002, 1006, 1010: PUSCH

Claims (6)

  1. PUSCH에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인,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지 않는 경우, NLBT의 값은 0인, 단말 장치.
  3. PUSCH에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물리층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인, 기지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지 않는 경우, NLBT의 값은 0인, 기지국 장치.
  5. 단말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PUSCH에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인, 통신 방법.
  6. 기지국 장치에 사용되는 통신 방법으로서,
    PUSCH에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PUSCH의 송신 전력을, 상기 트랜스포트 블록의 PUSCH 초기 송신을 위한 SC-FDMA 심볼수 NPUSCH-initial symb에 적어도 기초하여 산출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SC-FDMA 심볼수 NPUSCH - initial symb는, 적어도 NLBT와 상향 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SC-FDMA 심볼수 NUL symb에 기초하여 제공되고,
    상기 PUSCH에 포함되는 제1 SC-FDMA 심볼의 시간 연속 신호가 상기 제1 SC-FDMA 심볼의 다음의 제2 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경우, NLBT의 값은 1인, 통신 방법.
KR1020197003515A 2016-08-09 2017-08-09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408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6243A JP2019169748A (ja) 2016-08-09 2016-08-09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JP-P-2016-156243 2016-08-09
PCT/JP2017/029006 WO2018030492A1 (ja) 2016-08-09 2017-08-09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824A true KR20190038824A (ko) 2019-04-09
KR102408269B1 KR102408269B1 (ko) 2022-06-10

Family

ID=6116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515A KR102408269B1 (ko) 2016-08-09 2017-08-09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05955B2 (ko)
EP (1) EP3499829B1 (ko)
JP (1) JP2019169748A (ko)
KR (1) KR102408269B1 (ko)
CN (1) CN109845209B (ko)
AU (1) AU2017310778B2 (ko)
RU (1) RU2738888C2 (ko)
WO (1) WO2018030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9830B1 (en) * 2016-08-09 2021-10-06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17460055A (zh) 2017-08-10 2024-01-26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蜂窝通信系统中传输上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设备
KR20190017612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1247761B (zh) * 2017-08-11 2022-08-1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上行链路控制信息的自主传输
US10772091B2 (en) * 2018-03-28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coordination with acknowledgement of scheduling grant
US11196512B2 (en) * 2018-06-29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Resolving decodability for subsequent transmissions whose throughput exceeds a threshold
US11032812B2 (en) 2019-03-26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Starting offset for new radio-unlicensed (NR-U) uplink transmission
US11711787B2 (en) * 2020-04-09 2023-07-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figuration and signaling
WO2021208031A1 (en) * 2020-04-16 2021-10-21 Qualcomm Incorporated Cyclic prefix (cp) extension in channel occupancy time (cot) shar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
CN111786764B (zh) * 2020-06-30 2022-08-2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主载波选择方法、系统、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60241C2 (ru) * 2007-01-09 2012-08-27 Нтт Досомо, Инк.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JP5127588B2 (ja) * 2008-06-23 2013-01-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SG171738A1 (en) * 2008-11-14 2011-07-28 Panasonic Corp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and cluster constellation setting method
CN101448308A (zh) * 2008-12-30 2009-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上行共享信道发送功率控制方法
JP2011142437A (ja) * 2010-01-06 2011-07-21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049729B1 (ko) * 2011-01-05 2019-11-28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단말 장치, 통신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집적 회로
CN103037489B (zh) * 2011-09-29 2017-1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信号功率控制方法及装置
TWI695604B (zh) * 2012-01-24 2020-06-0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無線傳輸/接收單元、在無線傳輸/接收單元中實施的方法以及網路節點
JP6422129B2 (ja) * 2013-07-19 2018-11-1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750391B2 (en) * 2016-01-29 2020-08-18 Ofinno, Llc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469209B2 (en) * 2016-02-01 2019-11-05 Ofinno, Llc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JP2019054314A (ja) * 2016-02-02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CN107371226A (zh) * 2016-05-13 2017-11-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传输上行信息的方法及设备
US11153880B2 (en) * 2016-08-09 2021-10-1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allocation across multiple carriers using shared and dedicated radio frequency spectrum

Non-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211 V 13.1.0(2016-03)", 29th March, 2016.
"3GPP TS 36.212 V 13.1.0(2016-03)", 29th March, 2016.
"3GPP TS 36.213 V 13.1.1(2016-03)", 31th March, 2016.
"Discussion on PUSCH transmission starting within symbol #0", R1-164828, Huawei, HiSilicon, 3GPP TSG RAN WG1 Meeting#85, Nanjing, China, 23rd-27th May 2016.
"New Work Item on enhanced LAA for LTE", RP-152272, Ericsson, Huawei, 3GPP TSG RAN Meeting#70, Sitges, Spain, 7th-10th December 2015.
"UCI transmission on LAA carrier", R1-164994, Sharp, 3GPP TSG RAN1 Meeting#85, Nanjing, China, 23rd-27th May 2016.
3GPP R1-162920 *
3GPP R1-164576 *
3GPP R1-164603* *
3GPP R1-164751* *
3GPP R1-164815 *
3GPP R1-164918 *
3GPP TS36.213 v13.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38888C2 (ru) 2020-12-18
AU2017310778B2 (en) 2021-11-11
US10805955B2 (en) 2020-10-13
KR102408269B1 (ko) 2022-06-10
JP2019169748A (ja) 2019-10-03
AU2017310778A1 (en) 2019-02-28
EP3499829A1 (en) 2019-06-19
RU2019103679A3 (ko) 2020-10-20
US20190174540A1 (en) 2019-06-06
WO2018030492A1 (ja) 2018-02-15
RU2019103679A (ru) 2020-09-17
EP3499829B1 (en) 2021-04-28
CN109845209A (zh) 2019-06-04
CN109845209B (zh) 2022-02-15
EP3499829A4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9623B2 (en) Method of access and link adaptation for coverage enhanced wireless transmissions
CN110178438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及集成电路
KR102408269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N110115056B (zh) 终端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CN109479315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JP679294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TWI504295B (zh)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637656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800981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1201244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 이동국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WO2017187697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7099835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362114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6163186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集積回路、および、通信方法
KR20180137476A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WO2017217397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7209164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7208768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7217400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