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557A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557A
KR20190038557A KR1020197003721A KR20197003721A KR20190038557A KR 20190038557 A KR20190038557 A KR 20190038557A KR 1020197003721 A KR1020197003721 A KR 1020197003721A KR 20197003721 A KR20197003721 A KR 20197003721A KR 20190038557 A KR20190038557 A KR 20190038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outlet
central portion
broom chamber
extra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356B1 (ko
Inventor
마얀 콜니레스
클라스 코히컬
유닛 말힉에이트 할리크 오힉
피절 랴이스컴
야르노 빅-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3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artridge, e.g. having grooves or protrusions to separat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adjust the brewing chamber volume to accommodate different quantities of brew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2081/00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제조 시스템(1001)이 제1 출구 면(1113A)을 가진 제1 교환가능 캡슐(1004A) 및 제2 출구 면(1113A)을 가진 제2 교환가능 캡슐(1004B)을 포함하고, 제2 출구 면은 제1 출구 면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시스템은, 제1 및 제2 출구 면들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복수의 양각 요소(1130)를 갖는 추출 판(1030), 및 일정량의 가압 유체를 교환가능 캡슐들 중 선택된 교환가능 캡슐에 공급하기 위한 유체 분배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출구 면을 개방하기 위해 교환가능 캡슐의 출구 면을 양각 요소 상으로 가압시키는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출 판 및 제2 출구 면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캡슐(capsule)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캡슐-기반 음료 제조 시스템은 이들 시스템의 사용의 용이성으로 인해서뿐만 아니라, 그것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의 크게 증가된 품질로 인해 요즘에 매우 인기 있다.
많은 다양한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넓은 범위의 음료가 그러한 음료의 성분 조성 및/또는 강도(intensity) 및/또는 양 등에 관하여 이용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시스템의 하나의 동일한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매우 넓은 범위의 음료를 제공하고, 이때 모든 상기 매우 넓은 범위 전반에 걸쳐 음료 품질이 높은, 캡슐-기반 음료 제조 시스템에 대한 명백하고 지속적인 전반적인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에 따라 넓은 범위들의 음료들이 캡슐-기반 음료 제조 시스템의 하나의 동일한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넓은 범위들 전반에 걸쳐 음료 품질이 높은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첨부된 독립항 제1항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종속항 제2항 내지 제37항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출구 면(exit face)을 가진 선택적인 제1 교환가능 캡슐(exchangeable capsule) 및 제2 출구 면을 가진 제2 교환가능 캡슐로서, 제2 출구 면은 제1 출구 면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선택적인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제2 교환가능 캡슐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제1 및 제2 출구 면들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복수의 양각 요소(relief element)들을 갖는 추출 판(extraction plate), 및 일정량의 가압 유체, 예컨대 물을 교환가능 캡슐들 중 선택된 교환가능 캡슐에 공급하기 위한 유체 분배 디바이스(fluid dispensing device)를 포함하여, 출구 면을 개방하기 위해 교환가능 캡슐의 출구 면을 양각 요소들 상으로 가압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음료들이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 또는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로부터 선택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장치를 갖는다. 제1 및 제2 캡슐들이 적어도 각각 그들의 제1 및 제2 출구 면들의 직경 크기들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장치가 상이한 크기의 캡슐들을 처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는 단지 실질적으로 하나의 크기의 캡슐들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와 비교하여, 그러한 음료의 성분 조성 및/또는 강도 및/또는 양 등에 관하여 보다 넓은 범위들의 음료들을 제조하도록 배열된다.
일 태양에 따르면, 장치는 제1 및 제2 교환가능 캡슐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공동(cavity)을 갖는 제1 브루 챔버 부분(brew chamber part), 및 제1 또는 제2 캡슐 주위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2 브루 챔버 부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공동은 제1 또는 제2 캡슐을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사전결정된 공동이다. 공동은 제1 또는 제2 캡슐을 유지시키기 위해 불변 형상(invariable shape)을 가질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구성을 변화시킴이 없이 제1 또는 제2 캡슐을 유지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제1 또는 제2 출구 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추출 판을 갖고, 추출 판은 중심 부분 및 주연부 부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중심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 이동 방향인 이동 방향으로 주연부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추출 판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 및 제2 유형의 하나 이상의 양각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중심 부분 상에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중심 부분 상에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을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중심 부분 상에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영역 내에 배열된다.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중심 부분 상에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영역 외부에, 예컨대 실질적으로 원형-세그먼트(circle-segment) 형상의 영역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보다 예리한 에지(edge)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유형의 양각 요소의 에지의 곡률 반경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의 에지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보다 예리한 에지를 갖고,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을 둘러싸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유형 둘 모두의 양각 요소들은 중심 부분 상에 배열되는데, 예컨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영역 내에 배열된다. 이는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이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만큼 예리하거나 그보다 무딘(blunt) 에지들을 갖도록 배열될 때보다, 제1 및/또는 제2 캡슐의 출구 영역의 더욱 균일한 천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영역 외부의 양각 요소들이 제1 및/또는 제2 캡슐의 출구 영역을 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출구 영역의 천공이 출구 영역을 양각 요소들에 대해 가압하는 캡슐 내부의 유체 압력의 영향 하에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양각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중심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양각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주연부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모든 양각 요소들이 중심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외측 양각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중심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중심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형의 모든 양각 요소들이 중심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중심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모든 양각 요소들이 중심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주연부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2 유형의 모든 양각 요소들이 주연부 부분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주연부 부분에는 양각 요소들이 없다.
선택적으로, 추출 판 및 제2 출구 면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각각 제1 캡슐과 제2 캡슐 사이의 상대적인 용어로 말하면, 이는 제1 캡슐의 제1 출구 면은 제1 출구 면이 개방된 때의 "보다 높은 유동 저항"과 조합되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한편, 제2 캡슐의 제2 출구 면은 제2 출구 면이 개방된 때의 "보다 낮은 유동 저항"과 조합되는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제2 캡슐의 개방된 보다 큰 직경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제1 캡슐의 개방된 보다 작은 직경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을 상황과 비교하여, 제1 캡슐들뿐만 아니라 제2 캡슐들로부터 제조가능한 다양한 가능한 음료들의 개선된 품질들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제1 및 제2 캡슐들로부터 제조되도록 고려되는 참조 음료 "X"에 대해, 그의 보다 큰 직경에 의한 제2 캡슐의 보다 큰 직경의 제2 출구 면 자체가 이미, 제1 캡슐의 보다 작은 직경의 제1 출구 면과 비교하여, 개방된 제2 출구 면의 말하자면 "본질적으로" 감소된 유동 저항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그의 보다 작은 직경의 제1 출구 면을 가진 제1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추출이 참조 음료 X의 원하는 품질에 관해 최적화되었을 것으로 가정하면, 보다 큰 직경의 제2 출구 면으로 인해 상기 본질적으로 증가된 유동 저항을 보상하기 위해, 또한 참조 음료 X의 원하는 품질에 관해 보다 큰 직경의 제2 출구 면을 가진 제2 캡슐을 사용하는 음료 추출을 최적화하기 위해, 개방된 보다 큰 직경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은 감소될 필요가 있다.
일 태양에 따르면, 추출 판 및 제2 출구 면은 제2 출구 면이 제1 출구 면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추출 판에 걸려 인열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제2 출구 면이 제1 출구 면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추출 판에 걸려 인열되는 것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은,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특징의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복잡하지 않은 구현예를 제공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추출 판 및 제2 출구 면은 제2 출구 면이 제1 출구 면보다 많은 위치들에서 추출 판에 걸려 인열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제2 출구 면이 제1 출구 면보다 많은 위치들에서 추출 판에 걸려 인열되는 것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은,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특징의 추가의, 즉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복잡하지 않은 구현예를 제공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외측 양각 요소들이 제1 및 제2 출구 면 둘 모두를 인열시키도록 설계되고, 제2 출구 면은 제1 출구 면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외측 양각 요소들에 걸려 인열된다. 이들 외측 양각 요소들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은,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특징의 추가의, 즉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복잡하지 않은 구현예를 제공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추출 판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 및 제2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양각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은 제1 출구 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열되고, 제2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양각 요소는 제2 출구 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그리고 제1 출구 면에 대응하는 영역 외부에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유형의 하나 이상의 양각 요소들이 제1 출구 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열된다. 이들 제1 및 제2 유형들의 양각 요소들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은,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특징의 추가의, 즉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복잡하지 않은 구현예를 제공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는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보다 예리한 에지를 갖는다. 이러한 보다 예리한 에지로 인해, 제2 출구 면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에 걸리는 것보다 먼저 제2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양각 요소에 걸려 인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출구 면은 그의 내측 범위들에서보다 그의 외측 범위들에서 먼저 인열될 수 있다. 이는 제조되는 음료의 품질에 유리한, 제2 캡슐의 전체 내측 공간 전반에 걸쳐 가능한 한 균일하게 분포되는 추출 과정을 얻는 목표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제2 출구 면은 약화된 구역(weakened zone)을 포함한다. 이들 약화된 구역들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은,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특징의 추가의, 즉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복잡하지 않은 구현예를 제공한다. 그러한 약화된 구역들은 많은 다양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된(lasered) 또는 달리 가공된) 사전-커팅(pre-cut) 구역들, 스트립 라미네이션(strip lamination), 엠보싱(embossing), 다이 커팅(die cutting), (2개의 엠보싱 롤들 사이의) 널링(knurling), 얇은 알루미늄 기부 상의 강성 구역들의 인쇄, 직조 웨브(woven web) 상의 얇은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의 적용, 박리 시일(peel seal)들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 태양에 따르면, 약화된 구역은 제2 출구 면의 주연부 영역 내에 위치된다. 약화된 구역들을 제2 출구 면의 주연부 영역 내에 위치시키는 것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은,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특징의 추가의, 즉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효과적이고 신뢰성 있으며 복잡하지 않은 구현예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제2 출구 면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밀봉 표면(sealing surface)이 주연부 부분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제1 출구 면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밀봉 표면이 중심 부분에 제공된다.
일 태양에 따르면, 중심 부분은 제2 교환가능 캡슐을 유지시키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중심 부분과 주연부 부분 사이의, 예컨대 자가-보강(self-reinforcing) 유체 밀봉 맞물림(fluid sealing engagement)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제1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주연부 부분은 제2 교환가능 캡슐을 유지시키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주연부 부분과 제1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예컨대 자가-보강 유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제2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밀봉 부재는 제1 교환가능 캡슐을 유지시키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중심 부분과 제1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예컨대 자가-보강 유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제1 밀봉 부재는 제1 출구 면에 맞대어져 밀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밀봉 부재는 제2 출구 면에 맞대어져 밀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밀봉 부재는 제1 출구 면에 맞대어져 밀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장치가 제공된다.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캡슐, 및 제1 및 제2 캡슐의 세트가 제공된다.
시스템을 고려하여 기술된 실시예, 태양, 특징 및 선택 사양 중 임의의 것이 장치, 캡슐 및 방법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위의 실시예, 태양, 특징 및 선택 사양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조합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은 도면에 표현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주어진다. 도면이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지 개략적인 표현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된 독립항 제1항 및 첨부된 종속항 제2항 내지 제8항에 따른 본 발명의 원리는 도면 중 도 9a 내지 도 9d, 도 10a 내지 도 10d, 도 11a 내지 도 11d에 의해 가장 잘 예시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된 종속항 제9항 내지 제32항에 따른 본 발명의 원리는 도면 중 도 1a 및 도 1b, 도 2a 및 도 2b, 도 3a 및 도 3b, 도 4a 및 도 4b,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 도 8a 및 도 8b에 의해 가장 잘 예시된다.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반-폐쇄(half-closed) 및 완전 폐쇄(fully closed) 상태에 있는, 도 1a 및 도 1b로부터의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공동이 제1 캡슐을 유지시킬 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공동이 제2 캡슐을 유지시킬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로킹 메커니즘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공동이 제1 캡슐을 유지시킬 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구속 링(arresting ring)의 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추출 중에 브루 챔버 내에 있는 제1 캡슐 및 추출 중에 브루 챔버 내에 있는 제2 캡슐을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공동으로부터, 각각 사용된 제1 및 제2 캡슐의 방출을 위해 하향으로 회전된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브루 챔버 내에 삽입된, 각각 제1 캡슐 및 제2 캡슐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일례(이하 "제1 시스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기서 도 9a는 단면도로 제1 시스템의 추출 판 및 제2 캡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제2 캡슐의 제2 출구 면이 추출 판에 의해 개방된 후의 상태에 있는 제2 캡슐의 제2 출구 면 상으로의 수직도이고, 도 9c는 단면도로 제1 시스템의 추출 판 및 제1 캡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d는 제1 캡슐의 제1 출구 면이 추출 판에 의해 개방된 후의 상태에 있는 제1 캡슐의 제1 출구 면 상으로의 수직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일례(이하 "제2 시스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기서 도 10a는 단면도로 제2 시스템의 추출 판 및 제2 캡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제2 캡슐의 제2 출구 면이 추출 판에 의해 개방된 후의 상태에 있는 제2 캡슐의 제2 출구 면 상으로의 수직도이고, 도 10c는 단면도로 제2 시스템의 추출 판 및 제1 캡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d는 제1 캡슐의 제1 출구 면이 추출 판에 의해 개방된 후의 상태에 있는 제1 캡슐의 제1 출구 면 상으로의 수직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일례(이하 "제3 시스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기서 도 11a는 단면도로 제3 시스템의 추출 판 및 제2 캡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제2 캡슐의 제2 출구 면이 추출 판에 의해 개방된 후의 상태에 있는 제2 캡슐의 제2 출구 면 상으로의 수직도이고, 도 11c는 단면도로 제3 시스템의 추출 판 및 제1 캡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d는 제1 캡슐의 제1 출구 면이 추출 판에 의해 개방된 후의 상태에 있는 제1 캡슐의 제1 출구 면 상으로의 수직도.
도 12는 추출 판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첨부된 독립항 제1항 및 첨부된 종속항 제2항 내지 제8항에 따른 본 발명의 원리는 도면 중 도 9a 내지 도 9d, 도 10a 내지 도 10d, 도 11a 내지 도 11d에 의해 가장 잘 예시된다. 이들 도면은 이러한 상세한 설명에서 이후에 추가로 논의될 것이다.
또한,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첨부된 종속항 제9항 내지 제32항에 따른 본 발명의 원리는 도면 중 도 1a 및 도 1b, 도 2a 및 도 2b, 도 3a 및 도 3b, 도 4a 및 도 4b,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 도 8a 및 도 8b에 의해 가장 잘 예시된다. 이들 도면이 이제 이러한 상세한 설명에서 먼저 논의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시스템은 장치(2) 및 교환가능 캡슐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스템(1)은 제1 캡슐(4A) 및 제2 캡슐(4B)과 협동하도록 배열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장치(2)는 하나의 동일한 장치이다. 장치(2)는 제1 캡슐(4A)(도 1a 참조) 또는 제2 캡슐(4B)(도 1b 참조)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협동하도록 배열된다. 시스템(1)이 장치(2), 제1 캡슐(4A) 및 제2 캡슐(4B)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1 및 제2 캡슐(4A, 4B)은 상이한 유형의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캡슐(4B)이 제1 캡슐(4A)보다 크다. 제2 캡슐(4B)의 축방향 길이 LB가 제1 캡슐(4A)의 축방향 길이 LA보다 크다. 제2 캡슐(4B)의 직경 DB가 제1 캡슐(4A)의 직경 DA보다 크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예에서 제1 및 제2 캡슐(4A, 4B)은 유사한 시각적 인상을 주도록 설계된다. 제1 및 제2 캡슐(4A, 4B)은 패밀리 룩(family look) 및 느낌을 갖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제1 캡슐(4A)의 축방향 길이와 직경의 비 LA/DA가 제2 캡슐(4B)의 축방향 길이와 직경의 비 LB/D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캡슐의 길이 대 직경 비는 20%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에서 동일하며, 예컨대 동일하다.
이러한 유사성을 고려하여, 두 캡슐(4A, 4B)이 이제 동시에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캡슐(4A, 4B) 둘 모두는 컵(cup)-형상의 본체(6A, 6B)를 포함한다. 여기서, 컵-형상의 본체(6A, 6B)는 저부(8A, 8B) 및 원주방향 벽(10A, 10B)을 포함한다. 저부(8A, 8B) 및 원주방향 벽(10A, 10B)은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캡슐(4A, 4B) 둘 모두는 리드(lid)(12A, 12B)를 포함한다. 리드(12A, 12B)는 컵-형상의 본체(6A, 6B)의 개방 단부를 폐쇄시킨다. 리드(12A, 12B)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료가 그것을 통해 캡슐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출구 영역(13A, 13B)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리드(12A, 12B)는 캡슐(4A, 4B)의 플랜지-유사 림(flange-like rim)(14A, 14B)에 연결된다. 여기서, 림(14A, 14B)은 외향으로 연장되는 림이다. 저부(8A, 8B), 원주방향 벽(10A, 10B) 및 림(14A, 14B)은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출구 영역(13A, 13B)은 음료가 그것을 통해 잠재적으로 캡슐(4A, 4B)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리드(12A, 12B)의 영역을 한정한다. 따라서, 림(14A, 14B)에 밀봉되는 리드(12A, 12B)의 영역이 출구 영역(13A, 13B)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이러한 예에서, 캡슐(4A, 4B)은 저부(8A, 8B)로부터 리드(12A, 12B)까지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이다. 컵-형상의 본체(6A, 6B) 및 리드(12A, 12B)는 캡슐의 내측 공간(16A, 16B)을 에워싼다. 내측 공간(16A, 16B)은 일정량의 음료 성분, 예컨대 추출가능 또는 가용성 물질을 포함한다. 음료 성분은 예컨대 로스팅 및 분쇄 커피(roast and ground coffee), 차(tea) 등일 수 있다. 음료 성분은 분말 커피(powdered coffee)일 수 있다. 음료 성분은 액체일 수 있다. 캡슐(4A, 4B)의 크기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2 캡슐(4B)이 제1 캡슐(4A)보다 많은 양의 음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캡슐(4B)의 내측 공간(16B)은 제1 캡슐(4A)의 내측 공간(16A)의 약 2배이다. 예를 들어, 제1 캡슐(4A)은 4 내지 8 그램, 예컨대 약 6 그램의 분쇄 커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캡슐(4B)은 8 내지 16 그램, 예컨대 약 12 그램의 분쇄 커피를 포함할 수 있다.
컵-형상의 본체(6A, 6B)는 금속 포일(metal foil), 예컨대 알루미늄 포일,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컵-형상의 본체(6A, 6B)는 프레싱(pressing), 딥-드로잉(deep-drawing), 진공 성형,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리드는 금속 포일, 예컨대 알루미늄 포일,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캡슐(4A, 4B)은 이른바 폐쇄형 캡슐이다. 이는 장치 내로의 삽입 전에 밀폐식으로 폐쇄된 캡슐을 나타낸다. 폐쇄형 캡슐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장치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밀봉 또는 재충전가능 캡슐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장치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18, 20)은 서로에 대해 폐쇄되어 브루 챔버(22A, 22B)(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공동(24)을 포함한다. 공동(24)은 제1 또는 제2 캡슐(4A, 4B)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공동(24)은 제1 또는 제2 캡슐(4A, 4B)을 유지시키도록 배열되는 사전결정된 공동(24)이다. 여기서, 공동(24)은 제1 또는 제2 캡슐(4A, 4B)을 유지시키기 위해 불변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구성을 변화시킴이 없이 제1 또는 제2 캡슐(4A, 4B)을 유지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일체형 부분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제1 인접 표면(abutment surface)(26)을 포함한다. 제1 인접 표면은 공동(24) 내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1 인접 표면(26)은 대체로 환형(annular)의 제1 인접 표면이다. 대체로 환형의 제1 인접 표면(26)은 연속적으로 환형일 수 있거나, 그것은 단속적으로 환형일 수 있으며, 예컨대 환체(annulus)를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접 표면(26)은 예를 들어 공동(22) 내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예컨대 아치형 리지(arched ridge)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접 표면(26)은 공동(22)에 계단형 형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제2 인접 표면(28)을 포함한다. 제2 인접 표면은 공동(24)의 개방 단부 부근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2 인접 표면(28)은 대체로 환형의 제2 인접 표면이다. 대체로 환형의 제2 인접 표면(28)은 연속적으로 환형일 수 있거나, 그것은 단속적으로 환형일 수 있으며, 예컨대 환체를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접 표면(28)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예컨대 아치형 리지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제1 인접 표면(26)과 제2 인접 표면(28)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축방향으로 상호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1 인접 표면(26)과 제2 인접 표면은 고정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제1 인접 표면(26)과 제2 인접 표면은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이젝터(ejector)(38)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이젝터(38)는 원추형 링(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탄성 요소(42), 여기서 나선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캡슐의 저부를 천공하기 위한 천공 수단(piercing means)(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천공 수단은 복수의 나이프(knife), 예컨대 3개의 나이프를 포함한다.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은 추출 판(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추출 판(30)은 중심 부분(32) 및 주연부 부분(34)을 포함한다. 중심 부분(32)은 주연부 부분(34)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중심 부분(32)은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지금까지 기술된 바와 같은 시스템(1)은 하기와 같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시스템(1)의 추가의 특징이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의 예에서, 장치(2)는 캡슐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캡슐(4A, 4B)은 방금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공동 내로 삽입되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경사진 위치에 있다. 공동(24)의 개방 단부는 상향으로 향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슐(4A)이 중력의 영향 하에서 공동(24) 내로 낙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캡슐(4A)의 림(14A)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내측 표면(36)에 의해 안내된다. 제1 캡슐(4A)의 저부(8A)는 그것이 이젝터(38)에 대해 인접할 때까지 공동(24) 내로 하강한다. 여기서, 제1 캡슐(4A)의 저부(8A)는 이젝터(38) 상에 중심설정된다. 제1 캡슐(4A)의 림(14A)이 제1 인접 표면(26)과 제2 인접 표면(28)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캡슐(4A)의 저부(8A)는 아직 천공되지 않는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캡슐(4B)이 또한 중력의 영향 하에서 공동(24) 내로 낙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캡슐(4B)의 원주방향 벽(10B)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내측 표면(46)에 의해 안내된다. 제2 캡슐(4B)의 저부(8B)는 그것이 이젝터(38)에 대해 인접할 때까지 공동(24) 내로 하강한다. 여기서, 제2 캡슐(4B)의 저부(8B)는 이젝터(38) 상에 중심설정된다. 제2 캡슐(4B)의 림(14B)이 천공 수단(44)으로부터 볼 때 제2 인접 표면(28)을 지나 위치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캡슐(4B)의 저부(8B)는 아직 천공되지 않는다.
일단 캡슐(4A, 4B)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24) 내로 삽입되면, 캡슐(4A, 4B) 주위에서 브루 챔버를 폐쇄시키기 위해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장치의 프레임(frame)(48) 내에서 안내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스(boss)(50) 및 제2 보스(52)를 포함한다. 제1 보스(50)는 프레임(48)의 제1 홈(54) 내에서 안내된다. 제2 보스(52)는 프레임(48)의 제2 홈(56) 내에서 안내된다. 보스(50, 52) 및 홈(54, 56)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이 따를 경로를 결정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여기서, 제1 홈(54) 및 제2 홈(56)은 프레임(48)의 측벽(57) 내에 제공된다. 제1 홈(54)은 측벽(57) 내로 제1 깊이로 연장된다. 제2 홈(56)은 측벽 내로 제2 깊이로 연장된다. 제2 깊이는 제1 깊이보다 크다. 제1 보스(50)는 제2 보스(52)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1 홈(54)은 제2 홈(56)보다 큰 폭을 갖는다. 제1 홈(54)의 폭은 제1 보스(50)의 직경에 대응한다. 제2 홈(56)의 폭은 제2 보스(52)의 폭에 대응한다. 제1 홈(54)이 제2 홈(56)과 상이한 궤적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홈의 상이한 폭 및 깊이는 제1 및 제2 보스(50, 52)가 상이한 궤적을 따르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1 및 제2 보스(50, 52)를 안내하기 위한 매우 소형의 구성을 허용한다.
장치(2)는 레버(58)를 포함한다. 레버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레버는 레버 축(60)을 중심으로 프레임(48)에 선회식으로 연결된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니 조인트(knee joint)(62)를 통해 프레임(48)에 연결된다. 니 조인트(62)는 푸시 로드(push rod)(64) 및 크랭크(crank)(66)를 포함한다. 푸시 로드(64)는 니 축(knee axis)(68)에서 크랭크(66)에 선회식으로 연결된다. 크랭크(66)는 크랭크 축(70)에서 프레임(48)에 선회식으로 연결된다. 레버(58)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을 움직이도록 작동시키기 위해 니 조인트(62)에 연결된다. 여기서, 레버(58)는 레버 링크(lever link)(74)를 통해 니 조인트(62)에 연결된다. 레버 링크(74)는 레버 링크 축(76)에서 레버(58)에 선회식으로 연결된다. 레버 링크(74)는 니 링크 축(78)에서 푸시 로드(74)에 선회식으로 연결된다.
구속 링(80)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을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구속 링(80)은 제1 브루 챔버 부분(18)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구속 링(80)은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외부 표면에 의해 안내된다. 구속 링은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82), 여기서 나선형 스프링을 통해 제1 브루 챔버 부분에 연결된다. 푸시 로드는 푸시 로드 축(72)에서 구속 링(80)에 선회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여기서 니 조인트(62)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에 간접적으로, 즉 구속 링(80) 및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82)를 통해 연결된다. 구속 링의 기능이 후술될 것이다.
레버(58)가 하향 방향으로 이동될 때, 니 조인트(62)가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을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밀어낼 것이다. 동시에, 제1 및 제2 홈(54, 56)의 형상으로 인해,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이 상향으로 경사진 배향으로부터,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축방향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의 축방향과 정렬되는 정렬된 배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장치(2)는 제1 캡슐(4A) 또는 제2 캡슐(4B)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협동하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시스템(1)은 제1 캡슐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제2 캡슐이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브루 챔버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제1 또는 제2 캡슐의 적절한 취급을 선택하는 데 사용자 입력이 요구되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실수의 위험이 크게 감소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은 중심 부분(32) 및 주연부 부분(34)을 가진 추출 판(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심 부분(32)은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중심 부분(32)은 이러한 예에서 프레임(48)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샤프트(shaft)(32')를 포함한다. 중심 부분(32)은 탄성 부재(84), 여기서 나선형 스프링을 통해 프레임(48)에 연결된다. 탄성 부재(84)는 중심 부분을 도 1a 및 도 1b의 준비 위치(ready position)로 편향시킨다. 준비 위치는 이러한 예에서 연장된 위치이다. 중심 부분(32)은 제1 캡슐(4A)과 협동하기 위해 제1 브루잉 위치(brewing position)에 위치될 수 있다. 중심 부분은 제2 캡슐(4B)과 협동하기 위해 제2 브루잉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시스템(1)은 공동(24)이 제1 캡슐(4A)을 유지시킬 때 중심 부분(32)을 제1 브루잉 위치에 또는 그 부근에 로킹시키도록 배열되는 로킹 메커니즘(86)을 포함한다.
로킹 메커니즘(86)은 로커(locker)(88)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커(88)는 선회 축(90)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선회가능 핑거(pivotable finger)로서 설계된다. 로커(88)는 샤프트(32')로부터 멀어지게 선회된 위치로 편향된다. 로커는 또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로 편향될 수 있다. 로킹 메커니즘(86)은 푸셔(pusher)(92)를 추가로 포함한다. 푸셔는 제2 브루 부분(20)의 본체(94)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안내된다. 푸셔(92)는 탄성 부재(96), 여기서 나선형 스프링을 통해 본체(94)에 연결된다. 탄성 부재(96)는 푸셔를 연장된 위치로 편향시킨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액추에이터(actuator)(98)를 포함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전방 표면(frontal surface)에 의해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는 공동(24)이 제1 캡슐(4A)을 유지시킬 때 로킹 메커니즘(86)의 기능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여기서 리드(12A), 출구 영역(13A) 및/또는 림(14A)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캡슐(4A)의 최외측 부분이 액추에이터(98)에 대해 후방에, 즉 더욱 천공 수단(44)을 향해 위치된다. 그 결과, 제1 캡슐(4A)을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전진시킬 때, 제1 캡슐(4A)의 최외측 부분이 중심 부분(32)과 접촉하기 전에 액추에이터(98)가 푸셔(92)와 접촉할 것이다. 푸셔는 탄성 부재(96)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밀린다. 푸셔(92)의 립(lip)(100)이 로커(88)의 경사 표면(102)을 따라 활주하여, 로커(88)가 샤프트(32')를 향해 선회하게 할 것이다. 그 결과, 로커(88)의 섬(thumb)(104)이 중심 부분(32)의 부분(106)의 이동 경로 내에 배치된다(도 3b 참조). 제1 캡슐(4A)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추가로 전진될 때, 제1 캡슐(4A)이 중심 부분(32)에 대해 인접할 것이다. 이는 중심 부분이 탄성 부재(84)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밀리게 할 수 있다. 선회된 로커(88)는 부분(106)이 섬(104)에 대해 인접한 위치를 넘어서는 중심 부분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1 브루잉 위치로 정의된다. 따라서, 제1 캡슐(4A)은 중심 부분(32)을 준비 위치로부터 제1 브루잉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제1 캡슐(4A)은 브루잉하는 동안에 제1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들(18, 20) 사이에 유지되며, 이 경우에 중심 부분(32)은 제1 브루잉 위치에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공동(24)이 제2 캡슐(4B)을 유지시킬 때 로킹 메커니즘(86)의 기능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여기서 리드(12B), 출구 영역(13B) 및/또는 림(14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캡슐(4B)의 최외측 부분이 액추에이터(98)에 대해 전방에, 즉 더욱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위치된다. 그 결과, 제2 캡슐(4B)을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전진시킬 때, 액추에이터(98)가 푸셔(92)와 접촉하기 전에 제2 캡슐(4B)의 최외측 부분이 중심 부분(32)에 대해 인접할 것이다. 중심 부분(32)은 로커(88)가 여전히 샤프트(32')로부터 멀어지게 선회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84)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밀린다. 그 결과, 부분(106)이 섬(104) 아래로 통과하였다. 단지 부분(106)이 섬(104)을 통과한 후에만, 푸셔가 액추에이터(98)에 의해 탄성 부재(96)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밀린다. 푸셔(92)의 립(100)이 여전히 로커(88)의 경사 표면(102)을 따라 활주하여, 로커(88)가 샤프트(32')를 향해 선회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이때 부분(106)이 이미 섬(104)을 통과하였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캡슐(4B)은 중심 부분(32)을 본체(94)와 인접하도록 밀어낸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2 브루잉 위치로 정의된다. 따라서, 제2 캡슐(4B)은 중심 부분(32)을 준비 위치로부터 제2 브루잉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제2 캡슐(4B)은 브루잉하는 동안에 제1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들(18, 20) 사이에 유지되며, 이 경우에 중심 부분(32)은 제2 브루잉 위치에 있다.
따라서, 로킹 메커니즘(86)은 공동(24)이 제1 캡슐(4A)을 유지시킬 때 중심 부분(32)을 제1 추출 위치(extraction position)에 로킹시키도록 배열된다. 로킹이 편측식(single-sided)일 수 있는 것, 즉 로킹 메커니즘이 공동(24)이 제1 캡슐(4A)을 유지시킬 때 중심 부분(32)이 제1 추출 위치를 지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1 추출 위치로부터 준비 위치로의 중심 부분(32)의 이동이 방지되지 않을 수 있다. 로킹 유닛(86)은 제2 캡슐(4B)이 브루 챔버 내에 포함될 때 중심 부분(32)이 제1 브루잉 위치에 또는 그 부근에 로킹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로킹 유닛(86)은 제2 캡슐이 브루 챔버 내에 포함될 때 중심 부분(32)이 제2 브루잉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배열된다.
도 3a와 도 4a를 비교할 때,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을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전진시키는 동안에, 제1 캡슐(4A)이 제2 캡슐(4B)보다 더 제1 브루 챔버 부분 내로 매입되는(recessed)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면, 제1 리드(12A), 출구 영역(13A) 및/또는 림(14B)이 제2 리드(12B), 출구 영역(13B) 및/또는 림(14B)보다 더 제1 브루 챔버 부분(18) 내로 매입된다.
도 3b와 도 4b를 비교할 때, 브루 챔버가 제1 캡슐(4A)을 유지시킬 때, 중심 부분(32)이 공동(24) 내로 연장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중심 부분(32)은, 제2 캡슐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 내에 포함되었다면 제2 캡슐(4B)의 리드(12B), 출구 영역(13B) 및/또는 림(14B)이 있을 위치를 지나 제1 브루 챔버 부분(18) 내로 연장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니 조인트(62)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에 간접적으로, 즉 구속 링(80) 및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82)를 통해 연결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구속 링(80)의 기능을 보여준다.
도 5a에서, 제1 캡슐(4A)은 중심 부분이 제1 브루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중심 부분(32)에 대해 인접한다. 구속 링(80)은 여전히 후방 위치에 있다. 레버(58)가 아직 그의 종단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을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돌출부(108)를 포함한다. 여기서, 돌출부(108)는 실질적으로 환형 돌출부이다. 돌출부(108)는 외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돌출부(108)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최외측 에지를 형성한다.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은 리테이너(retainer)(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테이너(110)는 리테이너 립의 원주방향 링으로서 설계된다. 리테이너(110)는 본체(94)에 선회식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리테이너(110)는 본체(94)에 탄성적으로 선회식으로 연결된다. 리테이너(110)는 치형부(tooth)(112)를 포함한다. 치형부는 여기서 제1 경사진 표면(114) 및 제2 경사진 표면(116)을 갖는다.
레버(58)를 하강시킬 때, 구속 링(80)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전진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82)가, 제1 브루 챔버 부분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에 대해, 예컨대 캡슐(4A, 4B)이 그 사이에 클램핑된(clamped) 상태로 인접할 때까지, 구속 링(80)보다 앞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을 밀어낼 것이다. 이러한 이동 중에, 돌출부(108)가 제1 경사진 표면(114)에 맞대어져 전진할 것이다. 이는 리테이너(110)가 외향으로 선회되게 한다(도 5a 참조). 추가의 전진은 돌출부(108)가 제2 경사진 표면(116)을 지나 통과하게 하여, 리테이너(110)가 내향으로 선회하게 한다(도 5b 참조). 제1 브루 챔버 부분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에 대해 인접하도록 레버(58)를 추가로 하강시키는 것은 하나 이상의 탄성 요소(82)가 압축되게 할 것이다. 그 결과, 구속 링(80)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향해 전진할 것이다. 레버(58)를 완전히 하강시키는 것은 구속 링(80)이 리테이너(110)와 로킹 링(118) 사이에 개재되게 할 것이다(도 5c 참조). 리테이너(110)를 둘러싸는 구속 링(80)은 리테이너(110)가 외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 브루 챔버 부분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에 대해 로킹된다.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상에 로킹된다.
장치는 유체, 예컨대 가압 온수(hot water under pressure)와 같은 액체를 제1 브루 챔버 부분(18)에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브루 챔버가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유체로 가압될 때, 제1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18, 20)이 유체 압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게 밀릴 것이다. 리테이너(110) 및 구속 링(80)과 선택적으로 로킹 링(118)이 유체 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탱할 것이다. 리테이너(110)와 로킹 링(118) 사이에 개재되는 구속 링(80)은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구속 링(80)은 리테이너(110)에 의해 그것 상에 가해지는 모든 힘을 지탱할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구속 링이 로킹 링(118)에 대해 인접하고 힘의 적어도 일부를 로킹 링(118)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로킹 링(118)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용이하게 보강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상에 로킹되기 때문에, 프레임(48) 및 작동 메커니즘, 예컨대 니 조인트가 이러한 힘, 또는 적어도 그것의 보다 작은 부분을 지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프레임 및/또는 작동 메커니즘이 보다 약하게 그리고/또는 보다 저렴하게 설계될 수 있다.
구속 링(80)의 기능이 제1 캡슐(4A)에 관하여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었지만, 구속 링(80)이 제2 캡슐(4B)에 관하여 동일하게 기능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6a는 추출 중에 브루 챔버 내에 있는 제1 캡슐(4A)을 도시한다. 도 6b는 추출 중에 브루 챔버 내에 있는 제2 캡슐(4B)을 도시한다.
천공 부재(44)는 캡슐(4A, 4B)의 저부(8A, 8B)를 천공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 천공 부재(44)는 캡슐(4A, 4B)의 리드(12A, 12B)가 제1 또는 제2 브루잉 위치에서 중심 부분(32)에 대해 인접할 때까지 저부(8A, 8B)를 천공하지 않는다. 더욱이, 탄성 요소(42) 및 탄성 부재(84)의 강성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탄성 요소(42)의 강성은 탄성 부재(84)의 강성보다 크게 선택된다. 그러나, 탄성 요소(42)의 강성이 탄성 부재(84)의 강성과 동일하거나 탄성 요소(42)의 강성이 탄성 부재(84)의 강성보다 작은 것이 또한 가능한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일단 캡슐(4A, 4B)이 브루 챔버 내에 포함되고, 저부(8A, 8B)가 천공되었으면, 유체, 이러한 예에서 가압 온수가 브루 챔버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브루 챔버가 누출 방지형(leak tight)인 것이 요구된다. 더욱이, 중심 부분(32)에는 제1 밀봉 부재(120)가 제공된다. 주연부 부분(34)에는 제2 밀봉 부재(122)가 제공된다. 음료 제조 장치(2)는 제1 캡슐(4A) 또는 제2 캡슐(4B)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양은 사전결정된 양일 수 있다. 이러한 양은 또한 사용자 선택가능, 사용자 설정가능, 또는 사용자 프로그램가능 양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제1 캡슐(4A)을 고려한 밀봉이 기술된다. 제1 밀봉 부재(120)는 제1 캡슐(4A)을 유지시키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중심 부분(32)과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사이의 유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밀봉 부재(120)는 제1 캡슐(4A)이 브루 챔버 내에 포함될 때 제1 브루 챔버 부분(18)에 대해 인접한다. 이는 캡슐(4A) 외부에서 공동(24) 내에 존재하는 물을 위한 시일(seal)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루 챔버(22A) 내로 주입된 브루잉 유체가 캡슐(4A)의 외부 주위로 우회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b의 예에서, 제1 밀봉 부재(120)는 탄성 립(121)을 포함한다. 탄성 립(121)은 브루 챔버 내의 유체 압력의 영향 하에서 중심 부분(32)과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사이의 자가-보강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밀봉 부재(120)는 제1 캡슐(4A)의 림(14A)에 대해 인접한다. 림(14A)은 제1 인접 표면(26)에 의해 제1 밀봉 부재(120)에 대해 가압된다. 이는 음료가 출구 영역(13A)을 통해 캡슐(4A)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중심 부분(32)과 캡슐(4A) 사이의 밀봉 맞물림을 제공한다. 여기서 컵-형상의 본체(6A)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림(14A)의 면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에 맞대어져 밀봉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컵-형상의 본체(6A)를 향하는 림(14A)의 면은 제1 브루 챔버 부분(18)에 맞대어져 밀봉될 수 있다. 더욱이, 추가의 시일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상에, 예컨대 제1 인접 표면(26) 상에, 그리고/또는 캡슐(4A) 상에, 예컨대 림(14A)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캡슐 상의 시일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과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시일에 추가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는 제1 밀봉 부재(120)에 의한 밀봉 작용(sealing effort)을 줄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제2 캡슐(4B)을 고려한 밀봉이 기술된다. 제2 밀봉 부재(122)는 제2 캡슐(4B)을 유지시키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주연부 부분(34)과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사이의 유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2 밀봉 부재(122)는 제2 캡슐(4B)이 브루 챔버 내에 포함될 때 제1 브루 챔버 부분(18)에 대해 인접한다. 이는 캡슐(4B) 외부에서 공동(24) 내에 존재하는 물을 위한 시일을 제공한다. 도 4b의 예에서, 제2 밀봉 부재(122)는 탄성 립(123)을 포함한다. 탄성 립(123)은 브루 챔버 내의 유체 압력의 영향 하에서 주연부 부분(34)과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사이의 자가-보강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2 밀봉 부재(122)는 제2 캡슐(4B)의 림(14B)에 대해 인접한다. 림(14B)은 제2 인접 표면(28)에 의해 제2 밀봉 부재(122)에 대해 가압된다. 이는 음료가 출구 영역(13B)을 통해 캡슐(4B)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주연부 부분(34)과 캡슐(4B) 사이의 밀봉 맞물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b에서, 제1 밀봉 부재(120)는 제2 캡슐(4B)을 유지시키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중심 부분(32)과 주연부 부분(34) 사이의 밀봉 맞물림을 제공한다. 중심 부분(32)과 주연부 부분(34) 사이의 이러한 밀봉 맞물림은 자가-보강형일 수 있다. 더욱이, 주연부 부분(34)과 제2 캡슐(4B) 사이의 밀봉 맞물림은 브루잉 유체가 제1 밀봉 부재(120)로 통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밀봉 부재(120)는 음료가 출구 영역(13B)을 통해 캡슐(4B)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중심 부분(32)과 캡슐(4B) 사이의 밀봉 맞물림을 제공한다. 여기서 컵-형상의 본체(6B)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림(14B)의 면이 - 이러한 림은 리드에 의해, 예를 들어 포일에 의해 덮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음 - 제2 브루 챔버 부분(20)에 맞대어져 밀봉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컵-형상의 본체(6B)를 향하는 림(14B)의 면은 제1 브루 챔버 부분(18)에 맞대어져 밀봉될 수 있다. 더욱이, 추가의 시일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상에, 예컨대 제2 인접 표면(28) 상에, 그리고/또는 캡슐(4B) 상에, 예컨대 림(14B)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캡슐 상의 시일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과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시일에 추가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는 제2 밀봉 부재(122)에 의한 밀봉 작용을 줄일 수 있다.
가압 유체가 브루 챔버 내의 캡슐(4A, 4B)에 공급될 때, 출구 영역(13A, 13B)이 추출 판(30)에 맞대어져 개방될 수 있다. 추출 판(30)은 이러한 예에서 복수의 양각 요소(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양각 요소(124)는 절단된 피라미드(truncated pyramid)이다. 캡슐(4A, 4B) 내부의 압력의 상승이 출구 영역(13A, 13B)이 양각 요소에 맞대어져 인열되게 하여 음료가 캡슐(4A, 4B)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음료는 추출 판 내의 개구를 통해 추출 판(30)을 통과할 수 있다. 이어서, 음료는 출구(126)로 유동할 수 있다. 출구(126)로부터, 음료는 컵과 같은 리셉터클(receptacle)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일단 음료가 브루잉되었으면, 레버(58)가 상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구속 링(80)이 리테이너(1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게 한다. 이어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이 후방으로 이동될 것이다. 리테이너(110)의 제2 경사진 표면(116)은 리테이너가 돌출부(108)를 통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것이다. 중심 부분(32)이 준비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보스(50, 52) 및 홈(54, 56)은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이 따를 경로를 결정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루 챔버 부분이 하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이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공동(24)으로부터 사용된 캡슐(4A, 4B)의 방출을 촉진시킨다. 이젝터(38)는 캡슐(4A, 4B)을 천공 부재(44)로부터 떨어뜨려 그리고 공동(24) 외부로 밀어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사용된 캡슐(4A, 4B)은 장치(2)의 휴지통(waste basket) 내로 낙하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및 제2 캡슐(4A, 4B)은 유사한 시각적 인상을 주도록 설계된다. 도 8a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20)에 의해 형성되는 브루 챔버(22A) 내에 삽입된 제1 캡슐(4A)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원주방향 벽(10A)이 공동(24)보다 좁은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 결과, 제1 캡슐(4A)을 둘러싸는 제1 용적부(volume)(126)가 공동(24) 내부에 있다. 도 8b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20)에 의해 형성되는 브루 챔버(22B) 내에 삽입된 제2 캡슐(4B)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원주방향 벽(10B)의 일부(128)가 공동(24)보다 좁은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부분(128)은 제1 인접 표면(26)을 지나 연장되는 원주방향 벽(10B)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 제2 캡슐(4B)을 둘러싸는 제2 용적부(130)가 공동(24) 내부에 있다.
제1 용적부(126)는 브루 챔버가 제1 캡슐(4A)을 유지시킬 때 제1 캡슐(4A)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1 용적부(126)는 브루 챔버가 제2 캡슐(4B)을 유지시킬 때 제2 캡슐(4B)의 일부에 의해 점유된다. 제2 용적부(130)는 브루 챔버가 제2 캡슐(4B)을 유지시킬 때 제2 캡슐(4B)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용적부(130)는 브루 챔버가 제1 캡슐(4A)을 유지시킬 때 추출 판(30)의 중심 부분(32)을 수용한다.
제1 캡슐(4A)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할 때, 제1 용적부(126)가 물과 같은 유체로 충전될 것이며, 이러한 유체는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체는 브루잉 후에 휴지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캡슐(4B)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할 때, 제2 용적부(130)가 물과 같은 유체로 충전될 것이며, 이러한 유체는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유체는 브루잉 후에 용기, 예컨대 휴지통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1 용적부(126)는 제2 용적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휴지통으로 지향되는 유체의 체적은 제1 캡슐(4A)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할 때 그리고 제2 캡슐(4B)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일례로서 "제1" 시스템(1001)을 도시한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한다.
도 9a는 제2 캡슐(1004B)의 중심 축을 포함하는 직선 단면 평면으로 제1 시스템(1001)의 추출 판(1030) 및 제2 캡슐(1004B)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캡슐(1004B)은 상기 중심 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9a에서, 추출 판(1030)의 평면은 상기 중심 축에 수직하다. 명료함을 위해, 도 9a는 제2 캡슐(1004B)의 제2 출구 면(1113B)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있는 추출 판(1030)을 도시한다. 추출 판(1030)의 양각 요소는 도면 부호 1130에 의해 표시된다. 도 9a의 도시된 단면에서, 7개의 양각 요소(1130)가 보인다. 도면 부호 1230은 추출 판(1030)을 통한 다수의 음료 출구 통로를 표시한다. 도면 부호 1013B 및 1113B는 제2 캡슐(1004B)의 각각 제2 출구 영역 및 제2 출구 면을 표시한다. 제2 출구 영역(1013B)은 음료가 그것을 통해 잠재적으로 제2 캡슐(1004B)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제2 출구 면(1113B)의 영역을 한정한다. 따라서, 제2 캡슐(1004B)의 플랜지-유사 림(1014B)에 부착되는 제2 출구 면(1113B)의 영역이 제2 출구 영역(1013B)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도 9b는 제2 캡슐(1004B)의 제2 출구 면(1113B)이 추출 판(1030)의 양각 요소(1130)에 걸려 인열됨으로써 개방된 후의 상태에 있는 제2 캡슐(1004B)의 제2 출구 면(1113B) 상으로의 수직도이다. 도면 부호 1213B는 제2 출구 면(1113B)의 제2 출구 영역(1013B) 내의 다수의 인열 개방부를 표시한다. 이들 인열 개방부(1213B)는 제2 출구 면(1113B)이 추출 판(1030)의 양각 요소(1130)에 걸려 인열된 것의 결과이다. 인열 개방부가 실제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한 정사각형 대신에 실질적으로 U-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L-형상일 수 있는 것에 유의한다.
도 9c 및 도 9d는, 도 9c 및 도 9d가 제1 시스템(1001)의 제2 캡슐(1004B) 대신에 제1 시스템(1001)의 제1 캡슐(1004A)을 도시하는 조건으로, 각각 도 9a 및 도 9b와 매우 유사하고 비슷하다. 따라서, 도 9c 및 도 9d에서, 도 9a 및 도 9b에서와 동일하지만 접미사 "B" 대신 "A"를 가진 도면 부호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제1 및 제2 캡슐(1004A, 1004B)의 유사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관한 것이다. 도 9c는 도 9a와 동일한 추출 판(1030)을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의 상황을 도 9c 및 도 9d의 상황과 비교함으로써, 제2 출구 면(1113B)이 제1 출구 면(1113A)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추출 판(1030)에 걸려 인열되는 것이 관찰된다. 또한, 제2 출구 면(1113B)이 제1 출구 면(1113A)보다 많은 위치에서 추출 판(1030)에 걸려 인열되는 것이 관찰된다. 또한, 양각 요소들(1130) 중 외측 양각 요소가 제1 출구 면(1113A) 및 제2 출구 면(1113B) 둘 모두를 인열시키도록 설계되며, 이 경우에 제2 출구 면(1113B)이 제1 출구 면(1113A)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양각 요소들(1130) 중 상기 외측 양각 요소에 걸려 인열되는 것이 관찰된다. 이는 도 9d에서, 도 9d의 인열 개방부 패턴의 4개의 모서리에 있는 보다 작은 인열 개방부(1213A)가 양각 요소들(1130) 중 4개의 특정 양각 요소에 걸려 단지 부분적으로만 인열된 것의 결과임이 명확하게 관찰된다. 명확하게, 도 9a 및 도 9c 각각의 최좌측에 도시된 양각 요소(1130) 및 도 9a 및 도 9c 각각의 최우측에 도시된 양각 요소(1130)를 포함하여 다수의 양각 요소(1130)가 제1 캡슐(1004A)의 제1 출구 면(1113A) 내의 대응하는 인열 개방부(1213A)를 전혀 생성하지 못하는데, 왜냐하면 작동 시에 이들 특정 양각 요소(1130)는 제1 출구 면(1113A)의 제1 출구 영역(1013A)과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제1 캡슐(1004A)의 플랜지-유사 림(1014A)에 부착되는 제1 출구 면(1113A)의 영역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모든 이들 관찰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면(1113B)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면(1113A)의 유동 저항보다 작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특징의, 도 9a 내지 도 9d의 제1 시스템(1001)으로 구현되는 특정 구현예의 유효성, 신뢰성 및 비-복잡성을 예시한다. 모든 이들 관찰은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도입부에서 전술된 것을 추가로 예시한다. 여기서, 제1 캡슐(1004A)의 제1 출구 면(1113A)이 개방될 때의 보다 높은 유동 저항과 조합되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한편, 제2 캡슐(1004B)의 제2 출구 면(1113B)이 개방될 때의 보다 낮은 유동 저항과 조합되는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제2 캡슐의 개방된 보다 큰 직경의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제1 캡슐의 개방된 보다 작은 직경의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을 상황과 비교하여, 제1 캡슐뿐만 아니라 제2 캡슐로부터 제조가능한 다양한 가능한 음료의 개선된 품질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이미 설명되었다. 추가의 설명을 위해, 역시 본 명세서의 위의 전반적인 도입부를 다시 참조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일례로서 "제2" 시스템(2001)을 도시한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각각 도 9a 내지 도 9d와 매우 유사하고 비슷하다. 도 10a 내지 도 10d의 제2 시스템(2001)은 도 9a 내지 도 9d의 제1 시스템(1001)의 각각 제1 및 제2 캡슐(1004A, 1004B)과 동일한 제1 및 제2 캡슐(2004A, 2004B)을 갖는다. 도 10a 내지 도 10d에서, 도 9a 내지 도 9d에서와 동일하지만 1000만큼 증가된 그러한 도면 부호의 정수 값을 가진 도면 부호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제1 및 제2 시스템(1001, 2001)의 유사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관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기본적으로, 제1 시스템(1001)과 제2 시스템(2001) 사이에는 단지 한 가지 차이가 있다. 즉, 도 10a 내지 도 10d의 제2 시스템(2001)은 추출 판(2030)을 갖는데, 이는 도 10a, 도 10c를 참조하면, 추출 판(2030)이 제1 유형의 제1 양각 요소(2130) 및 제2 유형의 제2 양각 요소(2131)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a 내지 도 9d의 제1 시스템(1001)의 추출 판(1030)과 상이하다. 제1 양각 요소(2130)는 제1 출구 면(2113A)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열되고, 제2 양각 요소(2131)는 제2 출구 면(2113B)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그리고 제1 출구 면(2113A)에 대응하는 영역 외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도 10b에서, 도면 부호 2313B는 제2 출구 면(2113B)의 제2 출구 영역(2013B) 내의 다수의 인열 개방부를 표시한다. 이들 인열 개방부(2313B)는 제2 출구 면(2113B)이 추출 판(2030)의 제2 양각 요소(2131)에 걸려 인열된 것의 결과이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시스템(2001)의 추출 판(2030)의 제1 양각 요소들(2130) 각각은 제1 시스템(1001)의 추출 판(1030)의 양각 요소(1130)의 유형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2 양각 요소(2131)는 제1 양각 요소(2130)보다 예리한 에지를 갖는다. 이러한 보다 예리한 에지로 인해, 제2 출구 면(2113B)은 제1 양각 요소(2130)에 걸리는 것보다 먼저 제2 양각 요소(2131)에 걸려 인열될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출구 면(2113B)은 그의 내측 범위에서보다 그의 외측 범위에서 먼저 인열될 것이다. 이는 제조되는 음료의 품질에 유리한, 제2 캡슐(2004B)의 전체 내측 공간 전반에 걸쳐 가능한 한 균일하게 분포되는 추출 과정을 얻는 목표에 실질적으로 기여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일례로서 "제3" 시스템(3001)을 도시한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한다.
도 10a 내지 도 10d와 마찬가지로, 또한 도 11a 내지 도 11d는 각각 도 9a 내지 도 9d와 매우 유사하고 비슷하다. 도 11a 내지 도 11d의 제3 시스템(3001)은 도 9a 내지 도 9d의 제1 시스템(1001)의 제1 캡슐(1004A)과 동일한 제1 캡슐(3004A)을 갖는다. 도 11a 내지 도 11d에서, 도 9a 내지 도 9d에서와 동일하지만 2000만큼 증가된 그러한 도면 부호의 정수 값을 가진 도면 부호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 대응하는 도면 부호는 제1 및 제3 시스템(1001, 3001)의 유사한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관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기본적으로, 제1 시스템(1001)과 제3 시스템(3001) 사이에는 2가지 차이가 있다.
첫 번째 차이는 추출 판에 관한 것이다. 즉, 도 11a 내지 도 11d의 제3 시스템(3001)은 추출 판(3030)을 갖는데, 이는 추출 판의 양각 요소의 개수에서 도 9a 내지 도 9d의 제1 시스템(1001)의 추출 판(1030)과 상이하다. 실제로, 제3 시스템(3001)의 양각 요소들(3130) 각각은 제1 시스템(1001)의 양각 요소 유형(1130)과 동일하지만, 제1 시스템(1001)의 양각 요소(1130)의 패턴과 비교하여, 제3 시스템(3001)의 양각 요소(3130)의 패턴에는 양각 요소들 중 다수의 외측 주연부 양각 요소가 없다. 예를 들어, 도 9a 및 도 9c 각각의 최좌측에 도시된 양각 요소(1130) 및 도 9a 및 도 9c 각각의 최우측에 도시된 양각 요소(1130)는 도 11a 및 도 11c 각각의 양각 요소(3130)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두 번째 차이는 제2 캡슐에 관한 것이다. 즉, 도 11a 내지 도 11d의 제3 시스템(3001)은 제2 캡슐(3004B)을 갖는데, 이는 제2 캡슐(3004B)의 제2 출구 면(3113B)이, 도 11a에서 지그재그 선(zigzag line)에 의해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시된 약화된 구역(3413B)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a 내지 도 9d의 제1 시스템(1001)의 제2 캡슐(1004B)과 상이하다. 약화된 구역(3413B)은 제2 출구 면(3113B)의 주연부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도 11b에서, 도면 부호 3313B는 제2 출구 면(3113B)의 제2 출구 영역(3013B) 내의 다수의 인열 개방부를 표시한다. 이들 인열 개방부(3313B)는 제2 출구 면(3113B)이 (도 11a에 표시된) 약화된 구역(3413B)에서 인열된 것의 결과이다.
도 12는 추출 판(30)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추출 판(30)은 중심 부분(32) 및 주연부 부분(34)을 갖는다. 이러한 예에서, 추출 판(30)은 복수의 양각 요소(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심 부분(32)은 제1 유형의 복수의 양각 요소(124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유형의 양각 요소(124A)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기부를 갖는 절단된 피라미드이다. 이러한 예에서, 중심 부분은 25개의 제1 유형의 양각 요소(124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유형의 양각 요소(124A)는 횡렬(row) 및 종렬(column)로, 여기서 5개의 횡렬 및 5개의 종렬로 배열된다. 따라서, 제1 유형의 양각 요소(124A)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영역(124B)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예에서, 중심 부분(32)은 제2 유형의 복수의 양각 요소(124C)를 포함한다. 제2 유형의 양각 요소(124C)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영역(124B) 외부에, 실질적으로 원형-세그먼트 형상의 영역(124D)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유형의 양각 요소(124C)는 경사진 상부 표면(124E)을 갖는다. 이러한 예에서, 주연부 부분(34)은 양각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례에서, 제2 유형의 양각 요소(124C)는 제1 유형의 양각 요소(124A)보다 예리한 에지를 갖도록 배열된다. 이는 제2 유형의 양각 요소(124C)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124A)만큼 예리한 에지를 갖도록 배열될 때보다, 캡슐(4A, 4B)의 출구 영역(13A, 13B)의 더욱 균일한 천공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영역(124B) 외부의 양각 요소가 출구 영역(13A, 13B)을 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출구 영역(13A, 13B)의 천공이 출구 영역(13A, 13B)을 양각 요소(124A, 124C)에 대해 가압하는 캡슐(4A, 4B) 내부의 유체 압력의 영향 하에서 얻어지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정 예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그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명료함 및 간결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징들이 동일한 또는 별개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이들 별개의 실시예에 기술되는 특징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갖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또한 예상된다.
이들 예에서, 추출 판의 중심 부분은 복수의 양각 요소를 포함한다. 주연부 부분은 양각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연부 부분이 또한 양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추출 판 및 제2 출구 영역은 개방될 때의 제2 출구 영역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제1 출구 영역의 유동 저항보다 작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추출 판 및 제2 출구 영역은 제2 출구 영역이 제1 출구 영역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추출 판에 걸려 인열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추출 판 및 제2 출구 영역은 제2 출구 영역이 제1 출구 영역보다 많은 위치에서 추출 판에 걸려 인열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외측 양각 요소가 제1 및 제2 출구 영역 둘 모두를 인열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2 출구 영역이 제1 출구 영역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외측 양각 요소에 걸려 인열된다. 추출 판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 및 제2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양각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는 제1 출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열되고, 제2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양각 요소는 제2 출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그리고 제1 출구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외부에 배열된다. 제2 유형의 양각 요소는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보다 예리한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제2 출구 영역은 약화된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약화된 구역은 제2 출구 영역의 주연부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제1 및 제2 캡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3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3 캡슐은 예컨대 중심 부분이 제1 추출 위치에 있을 때 브루 챔버를 실질적으로 충전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4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4 캡슐은 예컨대 중심 부분이 제2 추출 위치에 있을 때 브루 챔버를 실질적으로 충전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제1 캡슐은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유사 림을 갖는다. 제1 캡슐이 외향으로 연장되는 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능한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들 예에서, 제2 캡슐은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유사 림을 갖는다. 제2 캡슐이 외향으로 연장되는 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가능한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들 예에서, 캡슐 본체 및 리드는 본체에 대한 리드의 용이한 용접을 허용하도록 알루미늄 포일,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코팅된 알루미늄 포일로 제조된다. 캡슐 본체 및/또는 리드가 압출, 공-압출, 사출 성형, 취입 성형(blow molding) 등과 같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시트(sheet), 필름(film) 또는 포일로 처리될 수 있는 그리고 당업자에 의해 적합한 것으로 고려되는 매우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캡슐 본체 및/또는 리드에 적합한 재료는 플라스틱 재료, 특히 열가소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PVC,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테레프탈레이트(PET); 금속 포일, 예컨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금속 합금 등; 또는 종이,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직조 또는 부직 또는 달리 처리된 섬유질 재료의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 예컨대 다층(multilayer)을 이에 제한됨이 없이 포함한다. 캡슐을 위한 재료는 생분해성 중합체 또는 다른 생분해성 재료일 수 있다. 당업자는 음식 재료와의 예상된 사용 및 캡슐의 사용 중의 임의의 다른 관련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시트 또는 포일의 두께는 형태 안정적 캡슐이 제공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시트 또는 포일의 두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캡슐은 폐쇄형 캡슐이다. 시스템에 개방형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개방형 캡슐은 장치 내로의 삽입 전에 개방된다. 개방형 캡슐은 사전-천공될 수 있다. 개방형 캡슐은 개방형 캡슐을 장치 내에 삽입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하는 밀폐식으로 밀봉된 패키지 내에 패키징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캡슐은 천공 수단에 의해 천공된다. 시스템에 천공 수단에 의해 천공되지 않는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한 캡슐은 예컨대 입구 필터(entrance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캡슐은 추출 판에 맞대어져 개방된다. 시스템에 추출 판에 맞대어져 개방되지 않는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한 캡슐은 예컨대 출구 필터(exi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캡슐 자체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밀봉 부재, 예컨대 탄성 밀봉 부재를 가진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인식될 것이다. 밀봉 부재는 예컨대 림 상에, 예컨대 컵-형상의 본체를 향하는 면 상에 또는 컵-형상의 본체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밀봉 부재가 원주방향 벽 상에 그리고/또는 저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구속 링 및 리테이너는 제1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실질적으로 전체 주변부를 따라 연장된다. 이는 2개의 브루 챔버 부분의 서로 상에의 특히 우수한 로킹을 제공한다. 그러나, 구속 링 및 리테이너가 주변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별개의 위치에서, 예컨대 2개, 3개, 4개, 6개 또는 8개의 위치에서 구속 수단 및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1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하도록 배열되지만 제2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할 수 없는 제1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한 제1 장치는 도면에 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및 제1 캡슐 및 선택적으로 제2 캡슐을 가진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하도록 배열되지만 제1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할 수 없는 제2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한 제2 장치는 도면에 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 및 제2 캡슐 및 선택적으로 제1 캡슐을 가진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수정, 변형, 및 대안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명세서, 도면 및 예는 제한적인 의미로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고려되어야 한다.
명료함 및 간결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징들이 동일한 또는 별개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본 발명의 범주는 기술되는 특징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사이에 배치되는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단어 '포함하는'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 이외의 다른 특징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단어 '하나'('a' 및 'an')는 '오직 하나'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도록 사용되고,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소정 수단이 서로 상이한 청구범위에 열거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수단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Claims (45)

  1.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출구 면(exit face)을 가진 선택적인 제1 교환가능 캡슐(exchangeable capsule) 및 제2 출구 면을 가진 제2 교환가능 캡슐로서, 상기 제2 출구 면은 상기 제1 출구 면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기 선택적인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 및
    상기 제1 및 제2 출구 면들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복수의 양각 요소(relief element)들을 갖는 추출 판(extraction plate), 및 일정량의 가압 유체, 예컨대 물을 상기 교환가능 캡슐들 중 선택된 교환가능 캡슐에 공급하기 위한 유체 분배 디바이스(fluid dispensing device)를 포함하여, 상기 출구 면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교환가능 캡슐의 출구 면을 상기 양각 요소들 상으로 가압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교환가능 캡슐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공동(cavity)을 갖는 제1 브루 챔버 부분(brew chamber part),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 주위에서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2 브루 챔버 부분을 포함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제1 또는 제2 출구 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상기 추출 판을 갖고, 상기 추출 판은 중심 부분 및 주연부 부분을 포함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 이동 방향인 이동 방향으로 상기 주연부 부분에 대해 이동가능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을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에 맞대어져 폐쇄되도록, 그리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을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에 맞대어져 폐쇄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판은 제1 유형의 양각 요소들 및 제2 유형의 하나 이상의 양각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상기 양각 요소들은 상기 중심 부분 상에 배열되는,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의 상기 양각 요소들은 상기 중심 부분 상에 배열되는, 시스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의 상기 양각 요소들은 상기 제1 유형의 상기 양각 요소들을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상기 양각 요소들은 상기 제1 출구 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유형의 상기 하나 이상의 양각 요소들은 상기 제2 출구 면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 그리고 상기 제1 출구 면에 대응하는 영역 외부에 배열되는, 시스템.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의 상기 양각 요소들은 상기 제1 유형의 상기 양각 요소들보다 예리한 에지(edge)를 갖는,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판 및 상기 제2 출구 면은 개방될 때의 상기 제2 출구 면의 유동 저항이 개방될 때의 상기 제1 출구 면의 유동 저항보다 작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는,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판 및 상기 제2 출구 면은 상기 제2 출구 면이 상기 제1 출구 면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상기 추출 판에 걸려 인열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는,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판 및 상기 제2 출구 면은 상기 제2 출구 면이 상기 제1 출구 면보다 많은 위치들에서 상기 추출 판에 걸려 인열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는,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양각 요소들이 상기 제1 및 제2 출구 면 둘 모두를 인열시키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2 출구 면은 상기 제1 출구 면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상기 외측 양각 요소들에 걸려 인열되는,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구 면은 약화된 구역(weakened zone)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8항에 있어서, 약화된 구역은 상기 제2 출구 면의 주연부 영역 내에 위치되는, 시스템.
  18. 제2항 또는 제2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제1 또는 제2 캡슐을 유지시키기 위해 불변 형상(invariable shape)을 갖는, 시스템.
  19.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 부분은 브루잉(brewing)하는 동안에 상기 공동이 상기 제2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제2 출구 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20.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 부분은 브루잉하는 동안에 상기 공동이 상기 제1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에 대해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21.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브루잉하는 동안에 상기 공동이 상기 제2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제2 출구 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22.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브루잉하는 동안에 상기 공동이 상기 제1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제1 출구 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23.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준비 위치(ready position)로부터 제2 브루잉 위치(brewing position)로 이동가능한,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준비 위치로부터 제1 브루잉 위치로 이동가능한, 시스템.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준비 위치로 편향되는, 시스템.
  26.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복수의 양각 요소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 부분에는 양각 요소들이 없는, 시스템.
  28.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 부분은 브루잉하는 동안에 상기 공동이 상기 제2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제2 출구 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밀봉 표면(sealing surface)을 포함하는, 시스템.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이 상기 제1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제1 출구 면은 상기 공동이 상기 제2 캡슐을 유지시킬 때의 상기 제2 출구 면보다 더 상기 공동 내로 매입되는(recessed), 시스템.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이 상기 제2 캡슐 주위에서 폐쇄될 때 제2 추출 위치(extraction position)에서 상기 제2 출구 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31. 제24항 또는 제24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이 상기 제1 캡슐 주위에서 폐쇄될 때 제1 추출 위치에서 상기 제1 출구 면에 대해 인접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슐은 상기 중심 부분을 상기 준비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추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33. 제16항 또는 제24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슐은 상기 중심 부분을 상기 준비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추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을 향해 이동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제2 캡슐을 상기 중심 부분에 대항하여 밀어내는, 시스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을 향해 이동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제1 캡슐을 상기 중심 부분에 대항하여 밀어내는, 시스템.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슐의 축방향 길이가 상기 제1 캡슐의 축방향 길이보다 큰, 시스템.
  37. 제2항 또는 제2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공동 내의 실질적으로 환형(annular)의 제1 인접 표면(abutment surface)을 갖고,
    상기 제1 인접 표면은 상기 공동이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제1 캡슐의 제1 플랜지(flange)를 상기 제1 인접 표면에 대해 인접하게 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38. 제2항 또는 제2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실질적으로 환형의 제2 인접 표면을 갖고,
    상기 제2 인접 표면은 상기 공동이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제2 캡슐의 제2 플랜지를 상기 제2 인접 표면에 대해 인접하게 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환형의 제2 인접 표면은 상기 공동의 개방 단부에 배열되는, 시스템.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환형의 제1 인접 표면과 상기 실질적으로 환형의 제2 인접 표면은 서로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 시스템.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환형의 제1 인접 표면은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축방향으로 상기 실질적으로 환형의 제2 인접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시스템.
  42. 제2항 또는 제2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3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이 상기 제1 캡슐을 유지시킬 때 상기 추출 판의 상기 중심 부분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포함하는, 시스템.
  43.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4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판의 상기 중심 부분이 사전결정된 위치를 통과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배열되는 센서(sensor)를 포함하는, 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캡슐에 공급될 유체의 파라미터(parameter)를 제어하도록 배열되는 유동 제어 유닛(flow control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 제어 유닛은 상기 센서가 상기 추출 판의 상기 중심 부분이 상기 사전결정된 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결정할 때 제1 모드(mode)에서의 작동으로부터 제2 모드에서의 작동으로 전환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시스템의 장치.
KR1020197003721A 2016-08-03 2017-08-03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69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7280A NL2017280B1 (en) 2016-08-03 2016-08-03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0 2016-08-03
PCT/NL2017/050511 WO2018026271A1 (en) 2016-08-03 2017-08-03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557A true KR20190038557A (ko) 2019-04-08
KR102369356B1 KR102369356B1 (ko) 2022-03-02

Family

ID=5753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721A KR102369356B1 (ko) 2016-08-03 2017-08-03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90335939A1 (ko)
EP (1) EP3493711A1 (ko)
JP (1) JP7084912B2 (ko)
KR (1) KR102369356B1 (ko)
CN (2) CN113951728B (ko)
AU (2) AU2017307909B2 (ko)
BR (1) BR122023002140B1 (ko)
CA (1) CA3032369A1 (ko)
IL (2) IL264621B2 (ko)
MX (1) MX2019001368A (ko)
NL (1) NL2017280B1 (ko)
WO (1) WO20180262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92608A1 (en) 2018-03-14 2019-09-19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Beverage extraction unit for selectively providing orifices of different types in a capsule for extraction of the bever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205A (ko) * 2011-07-27 2013-02-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웨브의 복수지점의 두께를 측정하는 회전롤이 구비된 두께측정장치및 그 제어방법
WO2015082662A1 (en) * 2013-12-06 2015-06-11 Nestec S.A. Device guiding differently sized capsules to extrac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25842B1 (en) * 2002-01-16 2007-10-29 Nestle Sa Capsule, method for preparing various beverage in the same machine and method for improving hygiene and reducing cross-contamination in the preparation of a baverage from a capsule
DE502007004474D1 (de) * 2007-01-15 2010-09-02 Swiss Caffe Asia Ltd Kapsel, Mittel zum Penetrieren des Bodens einer Kapsel und Vorrichtung für die Zubereitung eines Getränks
EP2335529B1 (de) * 2009-12-18 2012-08-08 Delica AG Vorrichtung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und Kapsel
WO2012019903A1 (en) * 2010-08-13 2012-02-16 Sara Lee/De B.V.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from a capsule
ITTO20120279A1 (it) * 2012-03-29 2013-09-30 N&W Global Vending Spa Gruppo infusore per macchine automatich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infuse
DE102012006414A1 (de) * 2012-03-30 2013-10-02 Eugster/Frismag Ag Elektrohaushaltgeräte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EP2906092B1 (en) * 2012-10-09 2016-08-17 Nestec S.A. Extraction unit with multi-size cartridge cavity
US10070749B2 (en) * 2012-12-19 2018-09-11 Nestec S.A. Sensor for multi-size cartridge extraction unit
CN106163348B (zh) * 2014-04-08 2020-06-26 雀巢产品有限公司 利用串联致动处理多尺寸胶囊
CN104859874A (zh) * 2015-04-16 2015-08-26 天津市弘亚润滑粉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粉末灌装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205A (ko) * 2011-07-27 2013-02-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웨브의 복수지점의 두께를 측정하는 회전롤이 구비된 두께측정장치및 그 제어방법
WO2015082662A1 (en) * 2013-12-06 2015-06-11 Nestec S.A. Device guiding differently sized capsules to ext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2369A1 (en) 2018-02-08
JP2019527584A (ja) 2019-10-03
EP3493711A1 (en) 2019-06-12
BR112019001874A2 (pt) 2019-05-07
CN109561781A (zh) 2019-04-02
JP7084912B2 (ja) 2022-06-15
AU2017307909A1 (en) 2019-02-21
KR102369356B1 (ko) 2022-03-02
CN109561781B (zh) 2021-12-10
IL303974B1 (en) 2024-03-01
AU2017307909B2 (en) 2023-08-17
IL303974A (en) 2023-08-01
BR122023002140B1 (pt) 2023-12-05
WO2018026271A1 (en) 2018-02-08
CN113951728A (zh) 2022-01-21
US20190335939A1 (en) 2019-11-07
MX2019001368A (es) 2019-07-04
IL264621A (en) 2019-02-28
IL264621B2 (en) 2023-11-01
AU2023266224A1 (en) 2023-12-07
RU2019105111A3 (ko) 2020-11-11
RU2019105111A (ru) 2020-09-04
CN113951728B (zh) 2024-05-24
NL2017280B1 (en) 2018-02-14
IL264621B1 (en) 202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7587B1 (ko)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78116B1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기술분야 및 배경기술
KR102399176B1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74220B1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77592B1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KR20190037248A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90034558A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장치 및 교환가능 캡슐을 포함하는 시스템
AU2023266224A1 (en)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RU2789678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RU2778877C2 (ru)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