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384A - 베인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베인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384A
KR20190038384A KR1020180114725A KR20180114725A KR20190038384A KR 20190038384 A KR20190038384 A KR 20190038384A KR 1020180114725 A KR1020180114725 A KR 1020180114725A KR 20180114725 A KR20180114725 A KR 20180114725A KR 20190038384 A KR20190038384 A KR 20190038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window
compression chamber
rotor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799B1 (ko
Inventor
도시유키 고바야시
신이치 사토
노리카즈 데토
마사히로 이나가키
츠요시 세키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9003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04C18/344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more than one line o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과제) 흡입 행정에 대응하여 적절한 양의 냉매를 압축실에 흡입 가능한 베인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통로가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3a, 27a) 은, 로터의 회전 방향 (R) 에 대하여, 개구를 시작하는 시단부 (23c, 27c) 와 개구를 끝내는 종단부 (23d, 27d) 를 갖고, 연장되어 있고, 종단부 (23d, 27d) 를, 종단부 (23d, 27d) 를 포함하여 종단부 (23d, 27d) 와 시단부 (23c, 27c) 의 사이에, 시단부의 소정의 폭 (W1, W3) 보다 긴 축 방향 폭 (W2, W4) 을 갖는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베인형 압축기 {VANE COMPRESSOR}
본 발명은 베인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베인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173795호 (특허문헌 1) 에는, 실린더의 양 단면 (端面) 의 흡기 포트로부터 냉매가 실린더 내로 흡입되고, 실린더 내에서 실린더실의 용적 변동에 의해 압축되어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173795호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회전하는 로터와 실린더의 사이에 압축실이 규정된다. 압축실로의 냉매의 흡입 개시시에는, 로터와 실린더의 틈이 작고, 압축실의 용적이 작다. 로터의 회전에 따라서, 압축실의 용적이 점차 커져 간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실린더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흡기 포트의 개구의 회전축 방향의 폭이 회전 방향에서 일정하고, 개구 면적은 회전에 수반하여 일정 비율로 증가한다. 압축실의 용적이 급격하게 변화해도, 개구 면적의 증가 비율이 바뀌지 않아, 압축실로의 냉매의 흡입량을 변화시키는 것에 대한 제약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행정에 대응하여 적절한 양의 냉매를 압축실에 흡입 가능하게 하는, 베인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내주면을 갖는 통형상의 실린더부와, 실린더부의 내부에 실린더실을 구획하는 구획벽과, 실린더실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연결되고, 외주에 복수의 베인 홈이 형성된 로터와, 복수의 베인 홈의 각각에 출몰 가능하게 장착된 베인과, 실린더실 내에, 구획벽, 로터, 및 베인에 의해 구획되는 압축실과,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 통로는, 실린더부의 내주면에 개구하는 흡입창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창은, 로터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개구를 시작하는 시단부 (始端部) 와 개구를 끝내는 종단부를 갖고 연장되어 있다. 시단부를, 로터의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으로 한다. 종단부를, 종단부를 포함하여 종단부와 시단부의 사이에, 시단부의 소정의 폭보다 긴 축 방향 폭을 갖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축실의 용적이 큰 흡입 행정의 후반에서, 흡입창의 회전축 방향 폭이 증가하고, 개구 면적이 증가한 흡입창을 경유하여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할 수 있다. 압축실의 용적 변화에 대응하여 냉매의 흡입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흡입 행정에 대응하여 적절한 양의 냉매를 압축실에 흡입할 수 있다.
상기의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창은, 단차부에 의해, 종단부측에서 긴 축 방향 폭을 가져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차부보다 종단부측의 흡입창의 축 방향 폭을, 단차부보다 시단부측의 흡입창의 축 방향 폭보다, 확실하게 길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베인형 압축기는, 흡입 통로에 연통함과 함께, 외부로부터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를 구비하고, 흡입창은, 종단부측에 있어서, 흡입 포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부풀어 있어도 된다. 또는, 흡입창은, 로터의 축 방향으로 이간하여 1 쌍 형성되어 있고, 1 쌍의 흡입창 중, 흡입 포트에 먼 측의 흡입창의 개구 면적이 보다 커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로터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포트로부터 떨어지는 측에 있어서, 흡입 포트에 가까운 측보다, 흡입창의 축 방향 폭이 크게 된다. 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입 포트에 가까운 측과 흡입 포트로부터 떨어지는 측에서, 압축실에 유입하는 냉매의 유량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압축실에 보다 효율적으로 냉매를 흡입할 수 있고, 또 압축실에 흡입되는 냉매의 밀도의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창은, 회전 방향의 시단부측으로부터 종단부측을 향하여 축 방향 폭이 점차 증대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축실로의 냉매의 흡입량을, 압축실의 용적 변화에 대응시켜 보다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흡입창의,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베인 홈간의 거리보다 작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확실하게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 의하면, 흡입 행정에 대응하여 적절한 양의 냉매를 압축실에 흡입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따르는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II-II 선을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III-III 선을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IV-IV 선을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V-V 선을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2 ∼ 5 에 나타내는 VI-VI 선을 따른 실린더부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회전 위상과 압축실 용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 2 에 따르는 실린더부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실시형태 3 에 따르는 실린더부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 4 에 따르는 실린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 5 에 따르는 실린더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축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압축기의 각 구성의 배치는, 설명의 편의상, 각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여 도시하고 있다.
(실시형태 1)
[압축기 (10) 의 구성]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따르는 압축기 (10) 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II-II 선을 따른 압축기 (10) 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있어서의 III-III 선을 따른 압축기 (10) 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있어서의 IV-IV 선을 따른 압축기 (10) 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있어서의 V-V 선을 따른 압축기 (10) 의 단면도이다. 압축기 (10) 는, 베인형 압축기이다. 압축기 (10) 는, 차량에 탑재되고, 차량의 공조 장치에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에 나타내는 압축기 (10) 의 도면 중 좌방향을 전방이라고 칭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압축기 (10) 의 도면 중 우방향을 후방이라고 칭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축 방향,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이란, 회전체인 회전축 (16) 및 로터 (18) 의 축 방향,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 (10) 의 하우징 (11) 은,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리어 하우징 (12) (쉘) 과, 리어 하우징 (12) 의 전단면 (前端面) 에 결합된 프론트 하우징 (13) 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12) 은, 둘레벽 (12a) 을 가지고 있다 (도 2 ∼ 도 5 도 참조). 프론트 하우징 (13) 은, 통형상의 실린더부 (14) 와, 실린더부 (14) 의 내부 공간을 폐색하는 저벽부 (13a) 를 가지고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은, 바닥이 있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 (14) 는, 리어 하우징 (1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저벽부 (13a) 와 실린더부 (14) 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12) 및 프론트 하우징 (13) 의 재질은, 예를 들어 금속이다.
실린더부 (14) 는, 저벽부 (13a) 와 반대측에, 개방된 단부 (端部) 인 개방 단부 (14e) 를 가지고 있다.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에 대향하여,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가 배치되어 있다.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는,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에, 도시되지 않은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 (13) 및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는, 회전축 (16)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회전축 (16) 은, 실린더부 (14) 내를 관통하고 있다. 회전축 (16) 과 프론트 하우징 (13) 의 사이에는, 회전축 (16) 의 둘레면을 따른 냉매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축봉 장치 (17a) 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의 실린더부 (14), 저벽부 (13a) 및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에 의해, 실린더실 (14d) 이 구획되어 있다. 실린더실 (14d) 에는, 원통상의 형상을 갖는 로터 (18) 가 형성되어 있다. 로터 (18) 는, 회전축 (16) 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터 (18) 의 전단면은,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과 대향하고 있다. 로터 (18) 의 후단면은,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의 전방면 (15s) 에 대향하고 있다.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은, 타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실 (14d) 에, 로터 (18) 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터 (18) 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베인 홈 (18a) 이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베인 홈 (18a) 의 각각에는, 베인 (19) 이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복수의 베인 홈 (18a) 의 각각에는, 후술하는 토출 영역 (35) 내의 윤활유가 공급된다.
로터 (18) 의 외주면과,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과,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 개의 베인 (19) 과,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과,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의 전방면 (15s) 에 의해, 압축실 (21) 이 구획된다. 도 2 ∼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실 (14d) 내에 복수의 압축실 (21) 이 형성된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 (12) 에는, 둘레벽 (12a) 을 관통하는 흡입 포트 (22)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 (22) 의 외주 부분에는, 조인트부 (24) 가 연접되어 있다. 조인트부 (24) 에는, 압축기 (10) 의 외부 (예를 들어 외부 냉매 회로의 이배퍼레이터) 를 향해서 연장되는 흡입 배관 (25) 이 접속되어 있다. 흡입 포트 (22) 내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역지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 (14) 의 외주면에는, 실린더부 (14)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부 (14a)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14a) 및 리어 하우징 (12) 의 내주면에 의해, 흡입 공간 (20) 이 구획되어 있다. 흡입 공간 (20) 은, 회전축 (16)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실린더부 (14) 와 리어 하우징 (12) 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공간 (20) 은, 흡입 포트 (22) 에 연통되어 있다.
도 2,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공간 (20) 은, 실린더부 (14) 와 리어 하우징 (12) 의 사이에 환상 (環狀) 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부 (14) 에는, 흡입 공간 (20) 에 연통하는 1 쌍의 흡입공 (23) (도 2, 3), 1 쌍의 흡입공 (27), 및 흡입공 (23, 27) 을 연통하는 연통로 (26)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공 (23) 은, 실린더부 (14) 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흡입 공간 (20) 에 개구하고 있음과 함께,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고 있다. 흡입공 (23) 은,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에 이어지는 실린더부 (14) 의 전단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공 (23) 은,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흡입공 (23) 은,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3a) 을 가지고 있다. 흡입창 (23a) 은, 압축실 (21) 에 개구하고 있다.
흡입공 (23), 흡입 공간 (20) 및 흡입 포트 (22) 는, 압축실 (21) 에 대하여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공 (23), 흡입 공간 (20) 및 흡입 포트 (22) 는, 회전축 (16)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과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의 전방면 (15s) 의 사이의 영역 내에 존재하고 있다. 흡입 공간 (20) 및 흡입 포트 (22) 는, 압축실 (21) 의, 회전축 (16)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 (14) 에는 또한, 흡입 공간 (20) 에 연통하는 1 쌍의 연통로 (26) 와, 각각의 연통로 (26) 에 연통하는 1 쌍의 흡입공 (27)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5).
연통로 (26) 는, 실린더부 (14) 내를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흡입 공간 (20) 에 개구하고 있다. 흡입공 (23) 과 흡입공 (27) 은, 연통로 (26) 를 통해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흡입공 (27) 은,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실린더부 (14) 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흡입공 (27) 은, 연통로 (26) 에 개구하고 있음과 함께,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및 내주면 (14c) 에 개구하고 있다. 흡입공 (27) 은,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에 절결을 형성하고, 이 절결에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의 전방면 (15s) 을 대향시켜 절결의 후방측을 폐색하여 형성되어 있다. 흡입공 (27) 은,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에 형성된 절결과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흡입공 (27) 은,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7a) 을 가지고 있다. 흡입창 (27a) 은, 압축실 (21) 에 개구하고 있다.
연통로 (26) 와 흡입공 (27) 은, 압축실 (21) 에 대하여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부 (14) 의 외주면에는, 1 쌍의 오목부 (14b) 가 오목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참조). 1 쌍의 오목부 (14b) 는, 회전축 (16) 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오목부 (14b) 는, 실린더부 (14) 의 외주면으로부터 회전축 (16) 을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형성면 (141b) 과, 연장 형성면 (141b) 에 대하여 교차하고, 실린더부 (14) 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장착면 (142b) 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 형성면 (141b), 장착면 (142b) 및 리어 하우징 (12) 의 내주면에 의해, 1 쌍의 토출실 (30) 이 구획되어 있다. 토출실 (30) 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실린더부 (14) 와 리어 하우징 (12)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도 참조). 실린더부 (14) 에는, 장착면 (142b) 에 개구하여 압축실 (21) 과 토출실 (30) 을 연통하는 토출구 (31)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 (31) 는, 장착면 (142b) 에 장착된 토출 밸브 (32) 에 의해 개폐한다. 압축실 (21) 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는, 토출 밸브 (32) 를 밀어 내고, 토출구 (31) 를 경유하여 토출실 (30) 로 토출된다.
토출실 (30) 은, 흡입 공간 (20) 보다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도 4,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 (31) 는,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의 근방의 단면 (斷面) 에서는, 토출구 (31) 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4 에 나타내는,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로부터 떨어진 단면에 있어서, 토출구 (31) 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 (12) 의 둘레벽 (12a) 에는, 토출 포트 (34)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포트 (34) 에는, 조인트부 (38) 가 연결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부 (38) 에는, 압축기 (10) 의 외부 (예를 들어 외부 냉매 회로의 콘덴서) 를 향해서 연장되는 토출 배관 (39) 이 접속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 (12) 의 후측에는,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에 의해, 토출 영역 (35) 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토출 영역 (35) 내에는, 유분리기 (36)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유분리기 (36) 는, 냉매 가스 중에 포함되는 윤활유를 분리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유분리기 (36) 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케이스 (36a) 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 (36a) 의 개구측에는, 원통상의 유분리통 (36b) 이 끼워 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36a) 의 하부에는, 기름 통로 (36c) 가 형성되어 있다. 기름 통로 (36c) 는, 케이스 (36a) 내와 토출 영역 (35) 의 저부측을 연통하고 있다.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및 케이스 (36a) 에는, 토출 통로 (37)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5 도 참조). 토출 통로 (37) 는, 토출실 (30) 과 케이스 (36a) 내를 연통하고 있다.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에는, 기름 공급 통로 (15d) 가 형성되어 있다. 기름 공급 통로 (15d) 는, 토출 영역 (35) 의 저부측에 저류된 윤활유를 베인 홈 (18a) 으로 유도한다.
도 6 은, 도 2 ∼ 5 에 나타내는 VI-VI 선을 따른 실린더부 (14) 의 단면도이다. 도 6 에는,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이 이루는 타원의 장경을 따른, 실린더부 (14) 및 저벽부 (13a) 의 일부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중의 좌우 방향이 회전축 (16) 및 로터 (18) 의 축 방향이다. 도 6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전 방향 (R) 은, 도 2, 3 중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16) 및 로터 (18) 의 회전 방향이다. 도 6 중의 하방이 회전 방향 (R) 의 선행측이고, 도 6 중의 상방이 회전 방향 (R) 의 후행측이다. 또한, 회전 방향 (R) 의 선행측이란, 선행하여 흡입창과 연통하는 측을 가리키고, 회전 방향 (R) 의 후행측이란, 뒤로부터 흡입창과 연통하는 측을 가리킨다.
흡입공 (23) 과 흡입공 (27) 은, 축 방향으로 늘어서 형성되어 있다. 흡입공 (23) 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에 이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흡입공 (27) 에 대하여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공 (27) 은, 축 방향에 있어서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에 이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흡입공 (23) 에 대하여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 (31) 는,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으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2,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공 (23) 이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3a) 은, 회전 방향 (R) 에 대하여, 개구를 시작하는 시단부 (23c) 와 개구를 끝내는 종단부 (23d) 를 갖고 연장되어 있다. 시단부 (23c) 는,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을 가지고 있다. 흡입창 (23a) 은, 시단부 (23c) 측보다 종단부 (23d) 측에 있어서, 회전축 (16) 의 축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종단부 (23d) 의 축 방향 폭 (W2) 은, 시단부 (23c) 의 축 방향 폭 (W1) 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의 흡입창 (23a) 은, 회전축 (16) 의 축 방향 폭이 급격하게 커지는 단차부 (23b) 를 가지고 있다. 단차부 (23b) 보다 시단부 (23c) 측에서는 흡입창 (23a) 의 축 방향 폭이 상대적으로 작고, 단차부 (23b) 보다 종단부 (23d) 측에서는 흡입창 (23a) 의 축 방향 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흡입창 (23a) 은, 단차부 (23b) 에 대하여 시단부 (23c) 측보다, 단차부 (23b) 에 대하여 종단부 (23d) 측에 있어서, 보다 크게 개구하고 있다.
흡입창 (23a) 은, 시단부 (23c) 보다 종단부 (23d) 에 있어서, 보다 크게 개구하고 있다. 흡입창 (23a) 의 회전 방향 (R) 의 길이를 이등분 한 경우, 이등분선보다 후행측의 부분은, 이등분선보다 선행측의 부분보다, 큰 개구 면적을 가지고 있다. 흡입창 (23a) 의, 회전 방향 (R) 에 있어서의 종단부 (23d) 를 포함하여 회전 방향 (R) 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는 범위의 개구 면적은, 회전 방향 (R) 에 있어서의 시단부 (23c) 를 포함하여 회전 방향 (R) 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는 범위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6 및 도 4,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공 (27) 이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7a) 은, 회전 방향 (R) 에 대하여, 개구를 시작하는 시단부 (27c) 와 개구를 끝내는 종단부 (27d) 를 갖고 연장되어 있다. 시단부 (27c) 는,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을 가지고 있다. 흡입창 (27a) 은, 시단부 (27c) 측보다 종단부 (27d) 측에 있어서, 회전축 (16) 의 축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종단부 (27d) 의 축 방향 폭 (W4) 은, 시단부 (27c) 의 축 방향 폭 (W3) 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의 흡입창 (27a) 은, 회전축 (16) 의 축 방향 폭이 급격하게 커지는 단차부 (27b) 를 가지고 있다. 단차부 (27b) 보다 시단부 (27c) 측에서는 흡입창 (27a) 의 축 방향 폭이 상대적으로 작고, 단차부 (27b) 보다 종단부 (27d) 측에서는 흡입창 (27a) 의 축 방향 폭이 상대적으로 크다. 흡입창 (27a) 은, 단차부 (27b) 에 대하여 시단부 (27c) 측보다, 단차부 (27b) 에 대하여 종단부 (27d) 측에 있어서, 보다 크게 개구하고 있다.
흡입창 (27a) 은, 시단부 (27c) 보다 종단부 (27d) 에 있어서, 보다 크게 개구하고 있다. 흡입창 (27a) 의 회전 방향 (R) 의 길이를 이등분 한 경우, 이등분선보다 후행측의 부분은, 이등분선보다 선행측의 부분보다, 큰 개구 면적을 가지고 있다. 흡입창 (27a) 의, 회전 방향 (R) 에 있어서의 종단부 (27d) 를 포함하여 회전 방향 (R) 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는 범위의 개구 면적은, 회전 방향 (R) 에 있어서의 시단부 (27c) 를 포함하여 회전 방향 (R) 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는 범위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7 은, 회전 위상과 압축실 용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가로축은, 회전체인 회전축 (16) 및 로터 (18) 의 회전 위상을 나타낸다. 로터 (18) 의 외주면이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과 접하는 위치를, 회전 위상 0° 로 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그래프의 세로축은, 압축실 (21) 의 용적을 나타낸다.
회전 위상이 0° 일 때, 로터 (18) 의 외주면과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의 틈이 제로이므로, 압축실 용적은 제로이다. 회전 위상이 0° 로부터 커짐에 따라서, 압축실 용적도 점차 커진다. 도 7 중의 양 화살표로 나타내는, 소정의 회전 위상 이하의 범위에서는, 회전 위상의 증대에 대하여 압축실 용적이 증대하는 비율은 비교적 작다. 소정의 회전 위상을 초과하면, 회전 위상의 증대에 대한 압축실 용적의 증대의 비율이, 급격하게 커진다.
흡입창 (23a, 27a) 은, 도 7 중의 양 화살표로 나타내는 소정의 회전 위상 이하의 범위에서, 개구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향 (R) 으로 있어서 단차부 (23b, 27b) 가 형성되는 위치를, 도 7 중에 나타내는 양 화살표의 우단에 대응하는 회전 위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부 (23b, 27b) 보다 회전 방향 (R) 의 후행측에 있어서의 흡입창 (23a, 27a) 을, 도 7 에 나타내는 압축실 용적의 증가에 대응하여 축 방향 폭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 (10) 의 동작]
압축기 (10) 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모터 또는 엔진 등의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축 (16) 이 회전하면, 로터 (18) 가 도 2, 3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전 방향 (R) 으로 회전한다. 로터 (18) 의 회전에 수반하여, 복수의 베인 (19) 중 몇 개가 베인 홈 (18a) 의 외부에 밀려 나온다. 베인 (19) 의 선단면이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접촉하면, 실린더실 (14d) 내에 복수의 압축실 (21) 이 구획된다. 로터 (18) 의 회전에 수반하여, 압축실 (21) 내의 용적이 확대와 축소를 반복한다. 로터 (18) 의 회전 방향에 관해서, 압축실 (21) 이 용적을 확대하는 행정이 흡입 행정이 되고, 압축실 (21) 이 용적을 감소하는 행정이 압축 행정이 된다.
흡입 행정에서는, 흡입 배관 (25) 으로부터 흡입 포트 (22) 를 경유하여 흡입 공간 (20) 에 냉매 가스가 흡입된다. 흡입 행정시, 압축실 (21) 과 흡입 공간 (20) 은, 흡입공 (23) 을 통해서 연통함과 함께, 연통로 (26) 및 흡입공 (27) 을 통해서 연통한다. 흡입공 (23, 27) 및 연통로 (26)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축실 (21) 에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흡입 공간 (20) 에 흡입된 냉매 가스는, 흡입공 (23) 을 경유하여 흡입창 (23a) 으로부터, 또는 연통로 (26), 흡입공 (27) 을 순서로 경유하여 흡입창 (27a) 으로부터, 각 압축실 (21) 에 흡입된다.
압축 행정에서는, 각 압축실 (21) 에 흡입된 냉매 가스가, 로터 (18) 의 회전에 수반하는 압축실 (21) 의 용적 감소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된 냉매 가스는, 각 압축실 (21) 로부터 토출구 (31) 를 경유하여 각 토출실 (30) 에 토출된다.
각 토출실 (30) 내의 냉매 가스는, 토출 통로 (37) 를 통해서 케이스 (36a) 내에 유출하여, 유분리통 (36b) 의 외주면에 내뿜어짐과 함께, 유분리통 (36b) 의 외주면을 선회하면서 케이스 (36a) 내의 하방으로 유도된다. 이 때, 원심 분리에 의해, 냉매 가스로부터 윤활유가 분리된다. 냉매 가스로부터 분리된 윤활유는 케이스 (36a) 의 저부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기름 통로 (36c) 를 통해서 토출 영역 (35) 의 저부에 저류된다.
토출 영역 (35) 의 저부에 저류된 윤활유는, 기름 공급 통로 (15d) 로부터 베인 홈 (18a) 으로 유도되고, 배압으로서 베인 (19) 을 외주측으로 밀어낸다. 외주측으로 밀려나온 베인 (19) 에 의해, 압축실 (21) 이 구획된다. 한편, 유분리기 (36) 에 있어서, 윤활유가 분리된 냉매 가스는, 유분리통 (36b) 의 내부를 상방으로 이동하고, 토출 포트 (34) 를 통해서 토출 배관 (39) 으로 토출된다.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압축기 (10) 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 행정의 전반에서는, 압축실 (21) 의 용적은 작고, 또 압축실 (21) 의 용적의 증대도 작다. 흡입 행정의 도중에 압축실 (21) 의 용적의 증대가 갑자기 커지고, 그 결과 흡입 행정의 후반에서는, 압축실 (21) 의 용적이 커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 (10) 에서는, 도 2 ∼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공 (23, 27) 이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3a, 27a) 은, 시단부 (23c, 27c) 보다 종단부 (23d, 27d) 에 있어서, 축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흡입창 (23a, 27a) 은, 시단부 (23c, 27c) 측으로부터 종단부 (23d, 27d) 측을 향하여, 축 방향 폭이 단조 증가하고 있다.
압축실 (21) 의 용적이 작은 흡입 행정의 전반에서는, 압축실 (21) 로의 흡입량은 적어도 되고, 흡입되지 않은 냉매를, 회전축 (16) 을 사이에 둔 반대측의 흡입창에 배분할 수 있고,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실 (21) 의 용적이 큰 흡입 행정의 후반에서, 축 방향 폭이 증가한 개구 면적이 큰 흡입창 (23a, 27a) 을 경유하여 압축실 (21) 에 냉매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실 (21) 로의 냉매의 흡입량을 증대할 수 있다. 압축실 (21) 의 용적 변화에 대응하여 냉매의 흡입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흡입 행정에 대응하여 적절한 양의 냉매를 압축실 (21) 에 흡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매의 흡입 압손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동력 악화를 저감할 수 있다.
흡입창 (23a) 이 단차부 (23b) 를 갖고, 흡입창 (27a) 이 단차부 (27b) 를 갖고 있음으로써, 단차부 (23b, 27b) 보다 종단부 (23d, 27d) 측의 흡입창 (23a, 27a) 의 축 방향 폭을, 단차부 (23b, 27b) 보다 시단부 (23c, 27c) 측의 흡입창 (23a, 27a) 의 축 방향 폭보다, 확실하게 길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8 은, 실시형태 2 에 따르는 실린더부 (14) 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 의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3a, 27a) 은,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시단부 (23c, 27c) 보다 종단부 (23d, 27d) 에 있어서, 축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흡입창 (23a) 의 종단부 (23d) 의 축 방향 폭 (W2) 은, 시단부 (23c) 의 축 방향 폭 (W1) 보다 크다. 흡입창 (27a) 의 종단부 (27d) 의 축 방향 폭 (W4) 은, 시단부 (27c) 의 축 방향 폭 (W3) 보다 크다.
실시형태 1 의 흡입창 (23a, 27a) 은, 회전 방향 (R) 의 도중에 축 방향 폭이 급확대하는 단차부 (23b, 27b) 를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실시형태 2 의 흡입창 (23a, 27a) 은, 단차부를 갖고 있지 않다.
실시형태 2 의 흡입창 (23a, 27a) 은, 시단부 (23c, 27c) 측으로부터 종단부 (23d, 27d) 측을 향하여, 로터 (18) 의 축 방향 폭이 점증하고 있다. 흡입창 (23a) 은, 시단부 (23c) 측으로부터 종단부 (23d) 측을 향함에 따라서,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으로부터 보다 후방으로 떨어지는 위치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흡입창 (27a) 은, 시단부 (27c) 측으로부터 종단부 (27d) 측을 향함에 따라서,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로부터 보다 전방으로 떨어지는 위치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시형태 2 의 흡입창 (23a, 27a) 은, 시단부 (23c, 27c) 측으로부터 종단부 (23d, 27d) 측을 향하여, 축 방향 폭이 점차 확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흡입창 (23a, 27a) 이 형성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압축기 (10) 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압축실 (21) 의 용적이 큰 흡입 행정의 후반에서, 개구 면적이 큰 흡입창 (23a, 27a) 을 경유하여 압축실 (21) 에 냉매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실 (21) 로의 냉매의 흡입량을 증대할 수 있다. 흡입창 (23a, 27a) 의 축 방향 폭이 급확대하지 않고 점차 확대함으로써, 압축실 (21) 로의 냉매의 흡입량을, 압축실 (21) 의 용적 변화에 대응시켜 보다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9 는, 실시형태 3 에 따르는 실린더부 (14) 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3 의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3a, 27a) 은,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시단부 (23c, 27c) 보다 종단부 (23d, 27d) 에 있어서, 축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흡입창 (23a) 의 종단부 (23d) 의 축 방향 폭 (W2) 은, 시단부 (23c) 의 축 방향 폭 (W1) 보다 크다. 흡입창 (27a) 의 종단부 (27d) 의 축 방향 폭 (W4) 은, 시단부 (27c) 의 축 방향 폭 (W3) 보다 크다.
실시형태 1, 2 에서는, 1 쌍의 흡입창 (23a, 27a) 이, 로터 (18) 의 축 방향 (도 6, 8 중의 좌우 방향) 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실시형태 3 에서는, 흡입창 (23a) 과 흡입창 (27a) 은, 축 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전방에 형성된 흡입창 (23a) 은, 실시형태 1 의 흡입창 (23a) 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축 방향에 있어서 후방에 형성된 흡입창 (27a) 은, 단차부 (27b) 보다 종단부 (27d) 측에 있어서, 실시형태 1 의 흡입창 (27a) 보다 크게 개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3 의 흡입창 (27a) 은, 흡입창 (23a) 보다 큰 개구 면적을 가지고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공 (23, 27) 에 유입하는 냉매가 통과하는 흡입 공간 (20) 및 흡입 포트 (22) 는, 회전축 (16)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3 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 흡입 공간 (20) 및 흡입 포트 (22)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흡입창 (27a) 이,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흡입창 (23a) 보다, 축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흡입창 (27a) 의 종단부 (27d) 의 축 방향 폭 (W4) 은, 흡입창 (23a) 의 종단부 (23d) 의 축 방향 폭 (W2) 보다 크다.
흡입공 (23) 은 흡입 공간 (20) 에 직접 연통하고 있고, 한편, 흡입공 (27) 은 연통로 (26) 를 통해서 흡입 공간 (20) 에 연통하고 있다. 흡입창 (27a) 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로는, 흡입창 (23a) 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로보다 길다. 흡입창 (23a) 과 흡입창 (27a) 이 대칭인 형상이면, 흡입창 (23a, 27a) 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로의 압력 손실차 때문에, 흡입창 (27a) 으로부터 압축실 (21) 에 흡입되는 냉매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3 에서는, 흡입 공간 (20) 및 흡입 포트 (22) 로부터 보다 먼 흡입창 (27a) 이 흡입창 (23a) 보다 큰 개구 면적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흡입창 (27a) 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 손실과, 흡입창 (23a) 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로에 있어서의 냉매의 압력 손실의 차가 작아지고, 흡입창 (23a, 27a) 의 쌍방으로부터 압축실 (21) 에 유입하는 냉매의 유량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압축실 (21) 에 보다 효율적으로 냉매를 흡입할 수 있고, 또 압축실 (21) 에 흡입되는 냉매의 밀도의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0 은, 실시형태 4 에 따르는 실린더부 (14) 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4 의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3a) 은,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시단부 (23c) 보다 종단부 (23d) 에 있어서, 축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흡입창 (23a) 의 종단부 (23d) 의 축 방향 폭 (W2) 은, 시단부 (23c) 의 축 방향 폭 (W1) 보다 크다.
실시형태 1 의 구성에서는, 흡입창 (23a) 과 흡입창 (27a) 이 로터 (18) 의 축 방향으로 늘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실시형태 4 에서는, 흡입창 (27a) 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로터 (18) 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으로부터 이간하고, 또한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1 개의 흡입창 (23a) 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창 (23a) 은, 저벽부 (13a) 의 후방면 (13s) 보다 후방, 실린더부 (14) 의 개방 단부 (14e) 보다 전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창 (23a) 은, 축 방향 폭이 급확대하는 단차부 (23b) 를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흡입창 (23a) 이 형성된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압축기 (10) 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압축실 (21) 의 용적이 큰 흡입 행정의 후반에서, 개구 면적이 큰 흡입창 (23a) 을 경유하여 압축실 (21) 에 냉매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실 (21) 로의 냉매의 흡입량을 증대할 수 있다. 저벽부 (13a) 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1 개의 흡입공 (23) 을 형성하는 구성이므로, 흡입공 (23) 의 가공이 보다 용이해진다.
(실시형태 5)
도 11 은, 실시형태 5 에 따르는 실린더부 (14) 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5 의 실린더부 (14) 의 내주면 (14c) 에 개구하는 흡입창 (23a) 은, 실시형태 4 와 마찬가지로, 시단부 (23c) 보다 종단부 (23d) 에 있어서, 축 방향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흡입창 (23a) 의 종단부 (23d) 의 축 방향 폭 (W2) 은, 시단부 (23c) 의 축 방향 폭 (W1) 보다 크다.
실시형태 4 에서는, 흡입창 (23a) 이, 로터 (18) 의 축 방향 (도 10 중의 좌우 방향) 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실시형태 5 에서는, 흡입창 (23a) 은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단차부 (23b) 보다 종단부 (23d) 측에 있어서, 흡입창 (23a) 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흡입창 (23a) 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 쪽이, 크게 되어 있다. 흡입창 (23a) 은, 종단부 (23d) 측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부풀어 있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5 의 흡입창 (23a) 은, 로터 (18) 의 축 방향의 후방측에 있어서, 축 방향의 전방측보다 큰 개구 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시형태 3 과 마찬가지로, 로터 (18) 의 축 방향의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압축실 (21) 에 유입하는 냉매의 유량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압축실 (21) 에 보다 효율적으로 냉매를 흡입할 수 있고, 또 압축실 (21) 에 흡입되는 냉매의 밀도의 맥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저벽부 (13a) 와 실린더부 (1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 예 대신에,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와 실린더부 (14) 를 일체로 형성하고, 실린더부 (14) 의 전방측의 단부에 저벽부 (13a) 가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는, 실린더부 (14) 와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 와 프론트 사이드 플레이트를 모두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해도 된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의 개시 내용은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 : 압축기
11 : 하우징
12 : 리어 하우징
13 : 프론트 하우징
13a : 저벽부
13s : 후방면
14 : 실린더부
14a, 14b : 오목부
14c : 내주면
14d : 실린더실
14e : 개방 단부
15 : 리어 사이드 플레이트
15s : 전방면
16 : 회전축
18 : 로터
18a : 베인 홈
19 : 베인
20 : 흡입 공간
21 : 압축실
22 : 흡입 포트
23, 27 : 흡입공
23a, 27a : 흡입창
23b, 27b : 단차부
23c, 27c : 시단부
23d, 27d : 종단부
26 : 연통로
30 : 토출실
31 : 토출구
32 : 토출 밸브
34 : 토출 포트
35 : 토출 영역
36 : 유분리기
37 : 토출 통로
141b : 연장 형성면
142b : 장착면
R : 회전 방향
W1, W2, W3, W4 : 축 방향 폭

Claims (7)

  1. 내주면을 갖는 통형상의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실린더실을 구획하는 구획벽과,
    상기 실린더실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고, 외주에 복수의 베인 홈이 형성된 로터와,
    상기 복수의 베인 홈의 각각에 출몰 가능하게 장착된 베인과,
    상기 실린더실 내에, 상기 구획벽, 상기 로터, 및 상기 베인에 의해 구획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에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 통로는, 상기 내주면에 개구하는 흡입창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창은,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개구를 시작하는 시단부 (始端部) 와 개구를 끝내는 종단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로터의 축 방향으로 축 방향 폭을 갖고 연장되어 있고,
    상기 흡입창의 상기 축 방향 폭의 가장 긴 부분이, 상기 종단부 근처 (상기 종단부 측) 에 있는, 베인형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는, 상기 시단부의 소정의 폭보다 긴 축 방향 폭을 갖는 것으로 한, 베인형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창은, 단차부에 의해, 상기 종단부 측에서 긴 상기 축 방향 폭을 갖는, 베인형 압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에 연통함과 함께, 외부로부터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창은, 상기 종단부 측에 있어서, 상기 흡입 포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부풀어 있는, 베인형 압축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에 연통함과 함께, 외부로부터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창은, 상기 로터의 축 방향으로 이간하여 1 쌍 형성되어 있고,
    상기 1 쌍의 흡입창 중, 상기 흡입 포트에 먼 측의 흡입창의 개구 면적이 보다 큰, 베인형 압축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창은, 상기 회전 방향의 상기 종단부 측을 향하여 상기 로터의 축 방향의 폭이 점차 증대하는, 베인형 압축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창의,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베인 홈간의 거리보다 작은, 베인형 압축기.
KR1020180114725A 2017-09-29 2018-09-27 베인형 압축기 KR102058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2168A JP2019065772A (ja) 2017-09-29 2017-09-29 ベーン型圧縮機
JPJP-P-2017-192168 201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84A true KR20190038384A (ko) 2019-04-08
KR102058799B1 KR102058799B1 (ko) 2019-12-23

Family

ID=6592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25A KR102058799B1 (ko) 2017-09-29 2018-09-27 베인형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065772A (ko)
KR (1) KR102058799B1 (ko)
CN (1) CN1095782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3795U (ja) 1982-05-17 1983-11-19 豊和工業株式会社 ベ−ン型コンプレツ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86U (ja) * 1983-06-02 1985-01-14 セイコー精機株式会社 気体圧縮機
JPS63173879A (ja) * 1987-01-10 1988-07-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ベ−ン圧縮機
CA2103539C (en) * 1992-12-28 2003-12-02 James Jay Davis Vane pump
JPH10252675A (ja) * 1997-03-13 1998-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ベーンロータリ圧縮機
CN1963220A (zh) * 2005-11-10 2007-05-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备扩张吸入通道的涡旋压缩机的压缩装置
JP2008014175A (ja) * 2006-07-04 2008-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ベーンロータリ型圧縮機
CN201747606U (zh) * 2010-07-17 2011-02-16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CN205908474U (zh) * 2016-07-15 2017-01-25 南昌海立电器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的吸气孔结构
JP6770370B2 (ja) * 2016-09-01 2020-10-14 Kyb株式会社 ベーン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3795U (ja) 1982-05-17 1983-11-19 豊和工業株式会社 ベ−ン型コンプレツ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65772A (ja) 2019-04-25
KR102058799B1 (ko) 2019-12-23
CN109578280A (zh)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2072A (ja) ベーン圧縮機
JP6402648B2 (ja) ベーン型圧縮機
JP2013241851A (ja) 気体圧縮機
EP3078859B1 (en) Rotary compressor and compression unit thereof, and air conditioner
WO2007077856A1 (ja) 圧縮機
JPS6331679B2 (ko)
US10982675B2 (en) Rotary compressor with groove for supplying oil
EP3508725B1 (en) Backpressure passage rotary compressor
KR20190038384A (ko) 베인형 압축기
CN115126696A (zh) 压缩机转子、压缩机泵体、压缩机及温度调节系统
CN212055120U (zh) 叶片旋转式压缩机
JP5751215B2 (ja) タンデム式ベーン型圧縮機
CN217898186U (zh) 压缩机泵体、压缩机及温度调节系统
JP3745915B2 (ja) 気体圧縮機
CN217898187U (zh) 压缩机转子、压缩机泵体、压缩机及温度调节系统
JP4268454B2 (ja) 気体圧縮機及び該気体圧縮機の製造方法
JP4043233B2 (ja) 気体圧縮機
CN220505317U (zh) 一种曲轴结构、泵体组件及摆动转子式压缩机
JP2019100234A (ja) ベーン型圧縮機
KR101954533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1954534B1 (ko) 로터리 압축기
KR20190084514A (ko) 로터리 압축기
US5348457A (en) Vane-type compressor with at least one suction hole
JP6634933B2 (ja) ベーン型圧縮機
JP2008014174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