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334A - 수건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건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334A
KR20190038334A KR1020180110540A KR20180110540A KR20190038334A KR 20190038334 A KR20190038334 A KR 20190038334A KR 1020180110540 A KR1020180110540 A KR 1020180110540A KR 20180110540 A KR20180110540 A KR 20180110540A KR 20190038334 A KR20190038334 A KR 2019003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plate
towel
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432B1 (ko
Inventor
김종석
박대윤
양인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277,51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93366B2/en
Priority to PCT/KR2018/011458 priority patent/WO2019066508A1/ko
Priority to KR1020180139448A priority patent/KR102532923B1/ko
Priority to KR1020180139447A priority patent/KR1026044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10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cabinets, walls, do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03Small self-contained devices, e.g. portable

Abstract

본 발명은 수건을 수납 보관하며, 수납 보관된 수건을 가열 건조하는 수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가열된 공기가 열전달 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체류공간에서 유동하며, 열전달 플레이트를 가열함으로써 열전달 플레이트에 접촉된 수건 등의 섬유 제품이 열전도를 통해서 가열될 수 있도록 하고, 열전달 플레이트의 소통공을 통해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수건 등의 섬유제품을 통과하며 배출되거나, 수건 등의 섬유 제품의 주변을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건조 대상 제품에 대류를 통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건조 대상물 전체를 신속하게 가열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수건 관리 장치{TOWEL WARMER}
본 발명은 욕실에서 사용되는 수건이나 가운 등의 섬유 제품을 수납 보관하고, 수납 보관된 섬유 제품에 열을 공급하여 보관된 섬유 제품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수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스탠드형 타월 워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US 공개특허 2013/0153560호에 개시된 스탠드형 타월 워머(40)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열 섬유(22)와, 가열 섬유를 덮는 방수 재질의 커버(36)와, 컨트롤러부(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수건은 커버(36)위에 거치하면, 내부의 가열 섬유(22)에서 발생된 열이 커버(36)를 통하여 수건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커버(36)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게되는 수건의 안쪽면은 충분히 가열될 수 있으나,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충분한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거치되는 수건이 커버(36)를 덮고 있기 때문에 수건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건조와 가열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US 공개특허 2013/0153560 (공개일자 2013년 6월 2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 보관되는 수건을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수납 보관된 수건을 건조하고 가열할 수 있는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건 관리 장치에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욕실 공간의 난방 또는 욕실 바닥의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건의 가열을 위한 열의 전달이 대류와 전도의 두 가지 열전달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가열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가 연속적인 상승 흐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공급 경로에서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 보관되는 수건이 격리된 공간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수납 보관되는 수건이 외부 환경의 습기에 의한 영향 및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을 감소시킨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건을 건조하기 위한 가열된 공기가 원활한 흐름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건의 건조시에 발생하는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건의 건조에 소비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건을 수납 보관하기 편리하고, 수납 보관된 수건을 인출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건 관리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상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건 관리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건 관리 장치의 가열된 열전달 플레이트에 의하여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한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건 관리 장치를 욕실 가구에 서랍형으로 내장하여 욕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건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욕실 가구에 서랍형으로 내장된 수건 관리 장치의 슬라이딩 몸체를 분할된 부품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슬라이딩 몸체의 부품을 공용화함으로써 수건 관리 장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랍형으로 내장된 수건 관리 장치의 슬라이딩 몸체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인입출되며, 슬라이딩 몸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유동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수건 등의 건조 대상물을 수납 보관하며, 수납 보관되는 건조 대상물을 가열 건조시키는 것으로, 가열된 공기를 열전달 플레이트에 구비된 체류공간으로 공급하여, 열전달 플레이트를 가열시킴으로써 열전달 플레이트에 거치된 건조 대상물이 열전달 플레이트로부터 열전도를 통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하고, 열전달 플레이트의 체류공간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거치된 건조대상물을 통과하거나 주변을 유동하며 공기의 대류를 통해서도 열이 건조 대상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열전달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커버 몸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커버 몸체 내부에 열전달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공간이 열전달 플레이트에서 토출된 가열 공기가 건조 대상물의 주변에서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체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열전달 플레이트에 거치된 건조 대상물이 전체적으로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커버 몸체에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를 힌지 타입 또는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커버 몸체의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용이하게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열전달 플레이트가 커버 몸체로부터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러한 서랍식 인출구조는 수건 관리 장치는 욕실 가구에 빌트인 타입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열전달 플레이트의 온도를 감지하여, 열전달 플레이트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안전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열전달 플레이트의 인출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열전달 플레이트의 표면에 직접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불쾌감이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열전달 플레이트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수건으로 공급되는 구조를 제공하되, 열전달 경로가 열전달 플레이트와 접촉된 부분에서의 열전도와, 열전달 플레이트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대류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건을 신속하게 가열하고 건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가열된 공기를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 또는 수건 관리 장치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욕실의 실내 공기를 가열하거나 욕실 바닥을 건조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송풍기와 열전달 플레이트를 배치함에 있어서 열전달 플레이트를 송풍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송풍기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가 연속적으로 상승하는 흐름을 가지며 열전달 플레이트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상승기류를 통해서도 공기가 열전달 플레이트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유동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저감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열전달 플레이트에 거치된 수건을 수용하며, 수용된 수건의 주변에 열전달 플레이트에서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체류할 수 있는 제2체류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몸체를 더 포함하여, 수납 보관되는 수건이 욕실 내부의 수증기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수건이 커버 몸체의 내부에 수납되므로 먼지 등의 오염으로부터 수건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커버 몸체에 개폐 도어와 투시 창을 구비함으로써, 커버 몸체의 내부에 수건이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개폐 도어를 개방하여 손쉽게 수건을 거치하거나 꺼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수건을 거치하는 열전달 플레이트가 베이스 몸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수건의 거치와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가열된 열전달 플레이트에 사용자의 피부가 접촉하여 발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불쾌감이나 부상을 저감하기 위하여, 열전달 플레이트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인출을 저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일정 조건에서 열전달 플레이트의 인출을 저지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여, 가열된 열전달 플레이트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안전 장치가 동작하여 열전달 플레이트의 인출이 저지된 상태에서 가열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며 열전달 플레이트가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이나 불편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열전달 플레이트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송풍기를 이용하여 가열되지 않은 상온의 공기가 열전달 플레이트의 내부 체류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건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슬라이딩 몸체를 구성하는 상부 몸체의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욕실 가구에 서랍식으로 내장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욕실 공간에서 사용의 편의성과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슬라이딩 몸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몸체와 열전달 플레이트의 유동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형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가 구비된 욕실 가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장치가 욕실 가구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를 욕실 가구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다른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좌우 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열풍이 열전달 플레이트으로 유입되는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열전달 플레이트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배기구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공기의 유입과 배출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가 멈춤 장치에 의하여 인출이 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열전달 플레이트의 인출을 저지하는 멈춤장치가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기의 멈춤장치의 동작이 해제되어 열전달 플레이트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냉기유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뒷막이판이 없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뒷막이판이 구비된 상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유입구와 냉기유입구에 개폐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열전달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슬라이딩 몸체와 열전달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슬라이딩 몸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뒷막이 판과 마찰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 가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 가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에 적용되는 베이스 몸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및 도 38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베이스 몸체와 열풍 공급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베이스 몸체와 열풍 공급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건 또는 가운과 같은 섬유 제품을 수납 보관하고, 수납 보관된 수건 또는 가운과 같은 섬유 제품을 가열 건조하는 수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수건 또는 가운과 같은 건조 대상물을 수건으로 통칭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100-1)는 베이스 몸체(110)와, 상기 베이스 몸체(110)에 장착된 열전달 플레이트(120)와,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30)와, 상기 송풍기(130)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41 또는 142)를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10)는 수건 관리 장치(100-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에는 송풍기(130)가 배치되며, 송풍기(130)로 흡입되는 공기가 소통하는 흡기구(112)가 구비된다. 흡기구(1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몸체(110)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흡기구(112)가 베이스 몸체(110)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경우, 베이스 몸체(110)의 바닥면은 설치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몸체(110)의 바닥면에는 베이스 몸체(110)의 바닥면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받침다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열전달 플레이트(120)는 외관이 소정의 두께를 판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 몸체(110)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열전달 플레이트(120)는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체류하는 체류공간(125)이 형성된다.
또한,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외면은 거치되는 수건(50)의 표면에 접촉한다. 열전달 플레이트(120)는 체류공간(125)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소통공(122)을 구비한다.
열전달 플레이트(12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체류공간(125)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120) 자체가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열전달 플레이트(120)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두개의 측면과, 두개의 측면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되는 수건(50)의 내면이 수건(50)의 자중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되며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전달 플레이트(120)와 수건의 내면 사이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두개의 측면과 상부면의 모서가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면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양 측면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부로 갈수록 양 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양 측면을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다시말해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하면,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되는 수건의 아래 부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100-1)는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체류공간(125)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체류공간(125) 내부에 유동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120)가 가열되고,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구비된 소통공(122)을 통하여 제1체류공간(125) 내부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가 제1체류공간(125)의 외부로 배출되며 수건(50)을 통과하게 된다.
가열된 공기가 수건(50)을 통과하면서 수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100-1)는 송풍기(130)를 열전달 플레이트(12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공기의 흐름이 연속적인 상승 흐름을 가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연속적인 상승 흐름이라는 의미는 공기가 상하로 오르락 내리락 하지 않고, 상승하거나 적어도 수평한 흐름을 가지는 흐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가열된 공기가 연속적인 상승 흐름 경로를 가지게 되면 자연 대류에 의하여 상승하는 흐름으로 유속이 더욱 증가되므로 유동 손실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는 베이스 몸체(110)의 측면을 통해서 흡입된 후 송풍팬(132)을 거쳐 연속적으로 상승하여 열전달 플레이트(120) 내부의 체류 공간에서 체류한 후 배출되며 수건(50)을 가열하고 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된 수건(50)은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표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열전달 플레이트(120)가 가열되면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열이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접촉된 수건(50)으로 전도를 통하여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소통공(122)을 통하여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수건(50)을 통과하며 확산되는 대류를 통해서도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종래의 타월 워머의 경우 커버부재와의 접촉된 수건에 전도를 통하여 주로 열을 전달하고 있어서, 커버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수건의 외면으로 열이 잘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커버부재와 접촉된 면에서도 수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어서 건조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본원발명은 열전달 플레이트(120)와의 접촉된 면적은 전도를 통해서 열이 전달되고, 열전달 플레이트(120)에서 토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수건을 통과하거나 수건의 주변을 유동하며 흐를 때 공기의 대류에 의해서도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수건(50)에 전체적으로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100-1)에 수납 보관되는 수건(50)은,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직접 접촉되는 수건의 내면이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고,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직접 접촉되지 못하는 수건의 다른 면들(외부로 노출된 면과 접혀진 수건의 내부에 중첩되어 있는 면들)도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소통공(122)을 통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수건이 전체적으로 효과적으로 가열 건조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송풍팬(132)과 송풍팬(13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4)와, 상기 송풍팬(132)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체류공간(125) 내부로 안내하는 유로케이스(136)를 포함한다.
송풍기(130)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4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케이스(13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는 히터(142)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달 플레이트(120) 내부에 형성되는 체류공간(125)에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히터를 복수개 구비하여, 유로케이스(136)의 내부와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체류공간(125) 내부에 모두 배치할 수도 있다.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내부에 히터(142)를 배치하면 히터의 열이 전도, 대류, 복사를 통해 열전달 플레이트(120)로 전달될 수 있어서,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100-2)는 벽면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100-2)는 벽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몸체(110)와, 상기 베이스 몸체(110)에 장착된 열전달 플레이트(120)와,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30)와, 상기 송풍기(130)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41 또는142)를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10)가 벽면에 고정되는 경우 베이스 몸체(110)의 바닥면을 통해 송풍기(130)로 공기가 흡기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말해 흡기구(114)를 베이스 몸체(110)의 측면이 아닌 바닥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베이스 몸체(110)의 측면에 흡기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베이스 몸체(1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에 유리하다. 설사 베이스 몸체(1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물이 자유 낙하에 의하여 베이스 몸체(11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송풍기(130)의 흡기구(114)를 베이스 몸체(110)의 바닥면에서 벽멱 측에 근접하게 배치하면, 흡기구(114)를 통한 수분의 침투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열전달 플레이트(120), 히터(141,142)의 구성과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공기의 흐름은 흡기구(114)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흐름을 가진 후, 다시 상승하여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경로를 가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100-3)는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소통공(122)을 통해서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된 수건의 외부에서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체류공간(158)을 제공하는 커버 몸체(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 몸체(150)는 열전달 플레이트(120)와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된 수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수용 공간이 열전달 플레이트(120)의 소통공(122)을 통해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된 수건의 주변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2체류공간(158)이 된다.
커버 몸체(150)는 커버 몸체(150) 내부의 제2체류공간(158)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15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몸체(150)에 배출구(152)가 구비되지 않으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 저항이 증가하여 송풍기를 통해 열전달 플레이트(120) 내부의 체류공간으로 송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기 저항이 과다하면 공기의 흐름이 저하되어 히터 부분에서 과열이 발생하거나 송풍기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배출구(152)는 커버 몸체(1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된 공기가 커버 몸체(150)의 제2체류공간(158)의 상부로 상승하게 되므로, 배출구(152)를 하부에 배치하면 가열된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 길이가 증가하게 되어, 커버 몸체(150)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와 수건 사이의 열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배출구(152)를 커버 몸체(150)에 배치하였으나, 제2체류공간의 하부인 베이스 몸체(110)의 상면에 배출구(15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커버 몸체(150)는 내부에 수용된 수건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개폐도어(154)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도어(1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몸체(150)의 상부면과 측면이 연결된 형태로 힌지로 회동으로 개폐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커버 몸체(150)의 개폐도어(154)는 측면만 단독으로 개폐되거나 상면만 단독으로 개폐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몸체(150)는 커버 몸체(15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투시창(156)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커버 몸체(150)의 내부에 수건이 수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개폐도어(154)를 개방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커버 몸체(150)의 전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커버 몸체(150) 전체가 투시창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100-4)는 커버 몸체(150)에 슬라이딩 타입의 개폐도어(15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과 상부면이 슬라이딩되는 개폐도어(157)를 구비하여, 개폐도어(157)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방한 후, 수건을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하거나, 열전달 플레이트(120)에 거치된 수건을 꺼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딩 되는 개폐도어(157)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나, 개폐 도어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200)는 베이스 몸체(210)와, 베이스 몸체(210)에서 슬라이딩 인출되는 슬라이딩 몸체(220)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220)에 장착되는 열전달 플레이트(230)와,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230)와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230)에 거치된 수건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인 제2체류공간(258)을 제공하는 커버 몸체(25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커버 몸체(250)는 베이스 몸체(210)에 고정되는 고정몸체(252)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220)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몸체(220)와 함께 인출되는 개폐 도어(25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200)는 베이스 몸체(210)에서 슬라이딩 인출되는 슬라이딩 몸체(220)에 열전달 플레이트(230)와 개폐 도어(254)가 장착되어, 슬라이딩 몸체(220)를 인출하여 열전달 플레이트(230)를 커버 몸체(25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서랍식 인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열전달 플레이트(230)를 커버 몸체(250)의 외부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수건을 열전달 플레이트(230)에 거치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가 구비된 욕실 가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장치가 욕실 가구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수건 관리 장치를 욕실에 배치되는 수납 가구에 빌트인 형태로 내장하여, 수건 관리 장치의 열전달 플레이트가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가구(10)는 구조적인 강도를 제공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욕실 가구 몸체(11)와, 수전(14)을 포함하는 세면대(12)와, 수건을 보관하며 관리하는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와, 헤어드라이어 등의 소형 가전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형 콘솔(18)을 포함할 수 있다.
욕실 가구(10)는 욕실 공간의 바닥면에 거치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수전(14)을 포함하는 세면대(12)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진다.
욕실 가구(10)는 욕실 가구 몸체(11)와, 세면대(12)와,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와 서랍형 콘솔(18)을 포함한다.
욕실 가구 몸체(11)는 구조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부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패널과, 프레임에 부착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부패널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세면대(12)는 세면대 몸체(13)와, 수전(14)과, 세면대 몸체(13)의 하부에 배치되는 팝업 밸브(15)를 포함한다.
세면대 몸체(13)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면대 몸체(13)를 투광성 재질로 제조하는 경우 세면대 몸체(13)의 하부(또는 내부)에 세면대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면대(12)의 수전(14)은 급수관에 연결되고, 팝업 밸브(15)는 배수관에 연결된다. 수전(14)이 연결되는 급수관은 냉수관과 온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수전(14)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출수되는 수량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전(14)을 제어하는 밸브를 전자식으로 구비하여, 수전(14)을 통해서 공급되는 급수 온도와 급수량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통합 조작 스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감지 센서 등을 통한 감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욕실 가구(10)의 좌측에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가 배치되고, 우측에 서랍형 콘솔(18)이 배치된 구성이나, 이들의 좌우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욕실 가구(10)의 좌우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 또는 서랍형 콘솔(18)이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수납 공간만을 제공하는 서랍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는 보관되는 수건을 가열하거나 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는 욕실 가구 몸체(11)에 연결되어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슬라이딩 몸체(310)와, 수건이 거치되는 거치대 역할을 수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내부에 제1체류공간을 형성하는 '∩'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전달 플레이트(320) 내부의 제1체류공간으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어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수건과 마주하는 면에 복수의 소통공(3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통공(322)을 통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 내부로 유입된 가열 공기가 수건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히터와 송풍팬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 때, 히터와 송풍팬은 욕실 가구 몸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열풍공급기라 할 수 있다.
또한, 히터와 송풍팬은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 이외에 다른 부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부분이라 함은 욕실 가구(10) 내부의 다른 수납 공간이 될 수 있고, 욕실의 실내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열된 공기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가열된 공기를 욕실 가구(10)의 하부로 공급하여, 욕실의 바닥면 또는 욕실 바닥면에 놓여진 러그(rug)를 건조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가열된 공기를 욕실 가구(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공급하여, 욕실 가구 앞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가구는 사용자의 신체의 접근 또는 세면대 내부에서의 사용자의 손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가구(10)는 통합 조작 스위치(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전의 출수량을 조절하는 경우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출수량이 증가하는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수전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온도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을 돌려 조절 대상을 선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통합 조작 스위치(16)를 이용하여 수건 관리 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건 관리 장치(300)의 풍량 또는 작동시간(타이머)을 다이얼을 돌려 조작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를 욕실 가구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다른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좌우 방향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300)는 서랍형으로 욕실 가구(10)에서 인입출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300)는 욕실 가구에 내장되는 커버 몸체(350)와, 상기 커버 몸체(350)의 하부에 연결된 베이스 몸체(351)와, 상기 베이스 몸체(351)에 인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몸체(310)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310)에 결합되는 열전달 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들의 베이스 몸체(351)가 커버 몸체(35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몸체(310)는 상부로 개구된 'ㄷ'자 모양을 가진다. 'ㄷ'자 모양의 각부분을 각각 외판(312), 바닥판(314), 뒷막이판(316)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310)의 외판(312)과 뒷막이판(316)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몸체(310)의 바닥판(314)과도 결합된다.
슬라이딩 몸체(310)는 전후 방향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경우에도 전후 방향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몸체(310)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몸체(310)의 전후, 좌우 대칭 형상은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미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제조 원가 절감의 측면에서는 슬라이딩 몸체(310)를 동일한 두 개의 부품을 서로 조립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슬라이딩 몸체(310)는 합성수지 재질 사출품이 적용될 수 있는데, 사출품의 경우 크기가 커지며 사출을 위한 금형의 크기가 커지고, 제조시에도 공정이 까다로워 진다. 본 실시에는 슬라이딩 몸체(310)를 대칭되는 두개의 부품이 조립되는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슬라이딩 몸체(310)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커버 몸체(350)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된 면을 차폐하는 개폐도어(352)는 슬라이딩 몸체(310)에 고정된다. 슬라이딩 몸체(310)가 커버 몸체(350)에 수납된 상태에서 커버 몸체(350)의 내부 공간이 가열된 공기가 수건의 주변에서 체류하는 제2체류공간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수건 관리 장치(300)가 욕실 가구(10)에 빌트인 형태로 내장되는 경우, 상기 커버 몸체(350)는 욕실 가구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몸체(350)의 바닥면에 구비된 베이스 몸체(351)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데, 상기 베이스 몸체(351)는 욕실 가구의 바닥 프레임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300)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수건 또는 가운 등이 거치된 상태로 커버 몸체(35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몸체(350)의 내부 공간에서 열이 전도와 대류를 통해 수건으로 전달되어 수건이 가열되며 건조된다.
가열된 공기는 욕실 가구(10)에 구비된 히터와 송풍기를 포함하는 열풍공급기(600)를 통해서 공급된다. 열풍공급기(600)는 외기를 흡기하여 송풍하도록 동작하며, 가열을 위한 히터를 포함한다.
열풍공급기(600)에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는 공급유로(630)를 통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 제1체류공간(321a)로 공급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제1체류공간(321a)으로 공급된 공기는 열전달 플레이트(320)를 가열하며,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구비된 소통공을 통하여 제2체류공간(321b)으로 토출된다. 공급유로(63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상승하는 흐름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공급의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누설되는 공기의 양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공급유로(630)와 연결유로(313) 사이에 불가피하게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이 부분에서의 기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른 것이 좋으며, 가열된 공기가 자연대류에 의하여 상승하는 흐름도 공기의 상승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
소통공(322)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전후에 상하 방향의 슬롯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수건이나 의류가 거치된 상태에서 소통공(322)을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열전달 플레이트(320)에서 소통공(322)을 통해서 배출된 공기는 여전히 커버 몸체(350)의 내부공간인 제2체류공간(321b)에서 체류하게 된다. 커버 몸체의 내부 제2체류공간(321b)에서 순환하다가 다시 슬라이딩 몸체(310)의 바닥판에 구비된 배기구(314a)를 통해서 욕실 가구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구(314a)를 통해서는 건조 대상 제품에서 낙하하는 물이 배출될 수도 있다. 수건 관리 장치에 젖은 수건 또는 젖은 가운이 보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젖은 수건에서 물이 낙하하여 떨어질 수 있다. 이 때 낙하하는 물은 배기구(314a)를 거쳐 베이스 몸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기구(314a) 이후의 배출 경로는 바닥면을 향하는 하향 경사진 유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배수를 고려하면 물이 낙하하는 경로 상에 송풍기가 센서 등의 전장품이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열 전도를 통하여 거치된 수건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거치되는 수건 등의 섬유 제품은 물에 젖은 상태이기 때문에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내식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또는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금속 판재를 프레스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열풍이 열전달 플레이트로 유입되는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열전달 플레이트 내부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배기구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300)는 욕실 가구(10)에 구비된 열풍공급기(600)으로부터 가열된 공기(열풍)를 공급받는다. 열풍공급기(600)는 송풍기(610)와 히터(620)와 공급유로(630)를 포함한다.
송풍기(610)와 히터(620)에 의하여 공급되는 열풍은 공급유로(630)를 통해 공급유로(630)로 공급된다. 공급유로(630)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제1체류공간(321a)의 내부로 열풍을 안내한다. 공급유로(630)는 출구측이 L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급유로(630)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위쪽으로 상승하는 흐름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공급유로의 출구측은 베이스 몸체에 구비되는 제1연결유로(313) 또는 제2연결유로(315)와 연통된다.
열풍공급기(600)는 베이스 몸체(351)에 장착된다. 베이스 몸체(351)는 욕실 가구 몸체(도 12의 11)의 프레임에 일체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살펴보면,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로 유입된 열풍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전후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소통공(322)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에서 비교적 긴 이동경로를 가지며 이동한 후 양측의 소통공(322)으로 토출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열풍은 전도와 대류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를 가열하게 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외면에는 수건이 거치되어 있으므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가열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에 거치된 수건이 가열된다.
또한,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미세홀(324)을 통해서 가열된 공기가 일부 배출되며, 열전달 플레이트(320)와 접촉하고 있는 수건의 표면에 가열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다시말해, 수건 관리 장치에 보관되는 수건의 양면 중에서 열전달 플레이트(320)와 접촉하는 아래면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와의 전도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와 접촉하지 않는 윗면은 공기의 대류에 의하여 가열되는 구조이다.
열풍을 통한 가열이 효율은 열풍의 이동 경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열풍의 열이 수건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풍의 경로가 길어야 하고, 긴 경로를 통해 열풍의 열기가 수건으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열풍이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에서도 비교적 긴 이동경로(path way)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커버 몸체(350)의 내부에서도 열풍이 수건과 충분히 접촉할 수 있는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체류할 수 있는 제1체류공간(321a)을 형성하는 중공을 형상을 가지며, 윗면이 막혀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바닥면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열풍은 제1체류공간(321a)에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위쪽까지 상승했다가 되돌아오며 양측에 형성된 소통공(322)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공기는 제1체류공간(321a)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연속적으로 상승하는 경로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에서 열풍이 충분히 긴 이동경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열풍이 이동하며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양측면에는 미세홀(324)이 구비되어 미세홀(324)을 통해서도 열풍이 일부 배출된다. 그러나 미세홀(324)의 경우 수건이 거치되면 수건에 의하여 막혀지기 때문에 수건을 통해서 배출되는 경로의 유동 저항이 커서 열풍이 미세홀(324)을 통해서 배출되는 유량은 미미하다.
물론, 수건에 의하여 덮히지 않고 노출된 미세홀(324)을 통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이 열풍이 배출될 수 있다.
열풍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를 이동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를 가열한 후,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외부이며 커버 몸체의 내부 공간을 순환한 후, 커버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가진다.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통공(322)이 구비되어, 이 소통공을 통해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로 공급되었던 열풍이 배출된다. 소통공(322)을 통해서 배출된 열풍은 커버 몸체의 내부 공간을 순환한 후, 배기구(314a)를 통해서 커버 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구(314a)는 슬라이딩 몸체(31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뜨거운 공기는 상승하는 흐름을 가지기 때문에, 배기구(314a)를 바닥 부분에 배치하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가 밀려나며 배출되게 되므로, 열풍의 열전달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배기구(314a)를 통해서 배출되는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배기유로(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기유로(650)는 욕실 가구(10)가 설치된 장소의 바닥을 향하여 열풍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기유로(650)는 베이스 몸체에 배치된다.
이는 욕실 가구(10)가 설치된 욕실 공간의 바닥면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욕실 공간이 습식 공간인 경우 바닥면 타일의 물기와 습기를 건조하게 되며, 욕실 공간이 건식 공간인 경우 욕실 바닥면의 러그를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는 커버 몸체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가열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열풍이 공급되는 도중에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가 가열된 열전달 플레이트과 접촉하여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하여, 커버 몸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여, 커버 몸체의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슬라이딩 몸체가 커버 몸체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공기의 유입과 배출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몸체에는 공급유로(630)와 배기유로(650)가 구비되고, 슬라이딩 몸체에는 제1연결유로(313)와 제2연결유로(315)가 구비된다.
슬라이딩 몸체가 베이스 몸체와 중첩된 상태, 다시말해 슬라이딩 몸체가 커버 몸체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는 제1연결유로(313)가 공급유로(630)와 연통되고, 제2연결유로(315)가 배기유로(650)와 연통된다.
열풍공급기(600)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하부에 연결된 슬라이딩 몸체(310)에 형성된 제1연결유로(313)를 통해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의 제1체류공간(321a)을 공급되고, 제1체류공간(321a) 공간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2체류공간(321b)에서 상기 슬라이딩 몸체(310)에 형성된 배기구(314a)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몸체(351)에 형성된 배기유로(650)를 통과하여 욕실 가구의 외부로 배출된다.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면,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가 욕실 가구(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만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인출된 상태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면 수건을 가열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수건의 주변에서 체류하지 못하고 실내 공간으로 확산되므로, 수건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없다.
슬라이딩 몸체(310)에 구비된 제1연결유로(313)와 베이스 몸체에 구비된 공급유로(630)는 슬라이딩 몸체(310)가 욕실 가구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1연결유로(313)와 공급유로(630)가 연통된다.
열풍공급기(600)에서 가열된 공기는 공급유로(630)를 따라 공급유로(630)와 연통되는 제1연결유로(313)를 통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 내부의 제1체류공간(321a)을 공급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로 제1체류공간(321a)을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가열되며, 제1체류공간(321a)의 공기는 소통공(322)을 통하여 배출되며 제2체류공간(321b)으로 유동한다. 제2체류공간(321b)의 공기는 슬라이딩 몸체(310)에 구비된 배기구(314a)를 통과한 후, 배기유로(650)를 통해 욕실 가구(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가 욕실 가구(10)에 인입되어 가열된 후, 사용자가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거치된 수건을 인출하면, 가열된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노출된다. 이 때 사용자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불쾌감을 느끼거나 가벼운 저온 화상을 입게 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가 인출된 상황에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온도를 감지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이를 급속하게 냉각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인 경우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가 인출되지 않도록 저지하고,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온도가 50도 미만인 경우에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가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는 온도 센서와, 멈춤장치(500)와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를 전달받아 상기 멈춤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멈춤장치(500)는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의 슬라이딩 몸체(310)의 인출을 저지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수건이 치된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건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건 감지센서는 근접센서 또는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수건이 거치되는 영역의 두께 변화 또는 빛의 차단 등을 감지하여 수건이 거치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수건의 감지 여부는 제어부로 전달되어, 수건 관리 장치에 수건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풍이 불필요하게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가 멈춤 장치에 의하여 인출이 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열전달 플레이트의 인출을 저지하는 멈춤장치가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기의 멈춤장치의 동작이 해제되어 열전달 플레이트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300)의 멈춤장치(500)는 커버 몸체(350)의 내부로 돌출되어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측에 연결된 뒷막이판(316)의 이동에 간섭되는 후크부(520)와, 상기 후크부(520)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520)가 돌출되도록 액츄에이터(510)가 동작하면, 후크부(520)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측단부에 연결된 뒷막이판(316)의 이동을 간섭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멈춤장치(500)가 커버 몸체(350)의 상면에 배치된 것이나, 멈춤장치(500)가 커버 몸체(35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멈춤장치(500)의 후크부(520)가 슬라이딩 몸체(310)의 뒷막이판(316)에 간섭하는 구조이나, 뒷막이판이 아닌 다른 부분에 간섭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장치(500)는 액츄에이터(510)의 회전축에 후크부(520)의 일측이 편심되게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액츄에이터(510)의 회동에 따라 후크부(520)의 돌출량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는 회전방식의 액츄에이터(510)를 적용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나,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직선운동하는 액츄에이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510)는 온도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온도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동작이 조절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안전 온도 이상인 경우 멈춤장치(500)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인출을 저지할 수 있도록 동작하고, 반대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안전 온도 미만인 경우 멈춤장치(500)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인출을 저지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이 때, 멈춤장치(500)는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전혀 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일정거리 인출된 후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일정거리만 인출되도록 하면, 인출된 부분을 통해서 제2체류공간(321b)의 가열된 공기가 신속하게 배출되며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표면 온도가 신속하게 낮아질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제2연결유로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연결유로(315)는 열전달 플레이트(320) 내부의 제1체류공간(321a)과 연통되도록 슬라이딩 몸체(310)에 구비된다. 제2연결유로(315)는 제1연결유로(31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몸체의 전방측에 제1연결유로(313)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몸체의 후방측에 제2연결유로(3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유로(313)와 제2연결유로(315)는 슬라이딩 몸체의 운동 방향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슬라이딩 몸체의 위치에 따라서 공급유로(630)와 제1연결유로(313) 또는 제2연결유로(315)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온도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안전 온도 이상인 경우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인출이 저지되는데, 인출이 저지된 위치에서 제2연결유로(315)를 통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로 상온의 공기(히터에 의하여 가열되지 않은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열전달 플레이트(320)를 신속하게 냉각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열전달 플레이트(320)를 인출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거치된 수건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연결유로(315)는 멈춤장치(500)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정지한 위치에서, 베이스 몸체(351)에 구비된 공급유로(630)와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뒷막이판이 없는 경우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뒷막이판이 구비된 상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막이판(316)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소통공(322)을 통해서 배출된 공기가 커버 몸체(350) 내부 공간으로 상당량 유출되므로, 커버 몸체(350)의 내부 공간에서 공기가 정체될 수 있다.
반면에,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막이판(316)이 구비되는 경우, 소통공(322)을 통해 배출된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수건 관리 장치의 제1연결유로와 제2연결유로에 구비되는 개폐댐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연결유로(313)와 제2연결유로(315)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인출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공급유로(630)와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그런데, 제1연결유로(313)와 제2연결유로(315)는 모두 열전달 플레이트(320) 내부의 제1체류공간(321a)과는 연통되는 위치이므로, 제1연결유로(313)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공급된는 경우 가열된 공기가 제1연결유로(313)에 인접한 제2연결유로(315)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제2연결유로(315)로 가열되지 않은 상온의 공기가 열전달 플레이트(320) 내부의 제1체류공간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상온의 공기가 제1연결유로(313)를 통해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1연결유로(313)와 제2연결유로(315)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개폐댐퍼(313a,315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급유로(630)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개폐댐퍼(313a,315a)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제1연결유로(313)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 제2연결유로(315)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연결유로(315)를 통해 상온의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공급되는 상온의 공기가 제1연결유로(313)를 통해서 배출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개폐댐퍼(313a,315a)는 유입구 및 제2연결유로(315)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풍압에 의하여 상승하며 개방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유로(313)가 공급유로(630)와 연통된 상태에서는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제1연결유로(313)의 제1개폐댐퍼(313a)는 개방되고, 제2연결유로(315)의 제2개폐댐퍼(315a)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유로(315)가 공급유로(630)와 연통된 상태에서는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제2연결유로(315)의 제2개폐댐퍼(315a)는 개방되고, 제1연결유로(313)의 제1개폐댐퍼(313a)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열전달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0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슬라이딩 몸체와 열전달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300)는 수건을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거치한 상태에서, 수건이 커버 몸체의 내부로 수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 때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거치된 수건의 표면은 열전달 플레이트(320)로부터 전도를 통해서 열을 전달받게 되고, 수납 공간의 내부로 노출된 표면은 열풍의 대류에 의하여 열을 전달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300)로 공급되는 열풍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를 이동하며, 열전달 플레이트(320)를 가열한 후, 열전달 플레이트(320)에서 배출되어 커버 몸체(350)의 내부 공간을 순환한 후, 욕실 가구(10)의 외부로 배출되는 이동 경로를 가진다.
열풍의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유동 경로가 길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유동 경로가 길어질수록 열풍과 접촉하여 열교환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열교환할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거치된 수건(또는 가운)과 접촉하는 면을 전도에 의하여 가열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 판재를 프레스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수건을 거치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면 충분하므로, 고강도가 요구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그 내부를 이동하는 열풍에 의하여 가열되어야 하므로,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박판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리(또는 구리 합금), 알루미늄(또는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젖어 있는 수건을 거치하므로, 수분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판재가 상부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하 방향의 단면 형상이 '∩'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내부가 비어 있으면서 간격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또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전후 방향의 양단부에 상부 몸체와 결합되는 플랜지부(329)가 구비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가 상부 몸체의 중앙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부(329)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몸체(310a, 310b)와 체결된다.
한편 상부 몸체(310a, 310b)는 동일한 부품 2개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310a, 310b)는 종방향으로 2등분된 형상을 가지는 2개의 부품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310a, 310b)는 외판(312)과, 바닥판(314)과 뒷막이판(316)이 일체로 연결된 모양을 가진다.
도면에서, 뒤쪽의 상부 몸체(310b)는 뒷막이판(316)이 좌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앞쪽의 상부 몸체(310a)에 결합된다.
외판(312)과 뒷막이판(316)의 뒤쪽으로는 각각 결합 돌기(312a, 312b)와 결합 홈(316a, 316b)가 배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외판의 배면으로 결합 돌기(312a, 312b)가 구비되며, 뒷막이판(316)의 뒤쪽으로는 상기 결합 돌기(312a, 312b)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 홈(316a, 316b)이 구비된다.
바닥판(314)의 내부로는 하부몸체(39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몸체(390)에는 제1연결유로(313)와, 제2연결유로(315)와 배출유로(317)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유로(317)를 배기구를 통해 바닥판(314)으로 유입된 공기가 욕실 가구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슬라이딩 몸체(310)와 결합되는데, 이 때,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전후 방향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차단막대(325)로 차폐되도록 한다.
차단막대(325)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박스부(325b)와, 상기 삽입박스부(325b)의 양측으로 절곡되어 후술하는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플랜지부(323)와 결합되는 절곡판(325a)을 포함한다.
열전달 플레이트(320)는 전후 방향 양측 단부에 슬라이딩 몸체(310)와 면접촉하도록 절곡된 플랜지부(323)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부(323)와 절곡판(325a)을 슬라이딩 몸체(310)에 체결함으로써, 열전달 플레이트(320)와 차단막대(325)와 슬라이딩 몸체(310)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열풍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아래쪽에 배치된 공급유로(630)를 통해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유입된 열풍이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양측 개구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개구부는 차단막대(325)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공급유로(630)를 통해서 유입된 열풍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내부 공간을 이동하여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양측에 형성된 소통공(322)으로 토출된다.
소통공(322)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소통공(322)을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에 수건을 거치할 때 소통공(322)을 통해서 열풍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소통공(322)은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수건이 거치 되었을 때 거치된 수건의 가장자리 부분에 소통공이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소통공(322)을 통해서 열풍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소통공(322)을 통해서 배출된 열풍은 커버 몸체의 내부를 순환한 후, 커버 몸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 때 열풍의 이동 경로가 길어 질수록 열풍이 커버 몸체 내부에 수납된 수건에 보다 많은 열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공기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피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자연적인 대류 현상에서는 상대적으로 뜨거운 공기가 위쪽으로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아래쪽으로 하강하는 흐름을 가진다.
커버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은 상술한 열전달 플레이트(320)의 소통공(322)에서 토출되고, 슬라이딩 몸체(310)의 바닥판에 구비된 배기구(314a)를 통해서 배출된다.
배기구(314a)의 아래쪽 공간에는 커버 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유로(317)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열풍이 커버 몸체 내부에서 보다 긴 경로를 가지며 이동한 후 배출 유로(370)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슬라이딩 몸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뒷막이 판과 마찰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몸체(35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슬라이딩 몸체가 배치되어 인입출 된다. 슬라이딩 몸체는 커버 몸체(35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뒷막이판(316)을 구비한다. 상기 뒷막이판(316)은 그 안쪽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뒷막이판(316)은 거치되는 수건이 슬라이딩 몸체가 인출된 안쪽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뒷막이판(316)은 커버 몸체의 내면과 소정의 가동 유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뒷막이판(316)은 커버 몸체(350)의 내부에서 인입 인출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뒷막이판(316)이 직접 커버 몸체의 내면과 마찰하지 않도록 유격을 두는 것이다.
커버 몸체(350)의 내부 공간은 가열된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되는 공간이므로, 가동 유격은 열팽창 수축에 의하여 뒷막이판(316)과 커버 몸체의 내면이 직접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수밀리미터 정도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몸체(350)와 슬라이딩 몸체는 한 쌍의 레일(820)로 결합된다. 슬라이딩 몸체는 레일(820)에 의하여 커버 몸체(35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레일(820)이 커버 몸체(350)의 내부 수용 공간 바닥면에 배치된 형태이나, 내부 수용 공간 내부의 양측면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건 관리 장치는 열전달 플레이트에 수건을 거치하여 커버 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커버 몸체(350)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의 모양은 가로의 폭보다 세로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를 가진다.
수용 공간의 가로의 폭과 세로 높이의 비는 1:2 내지 1: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공간의 가로의 폭과 세로 높이의 비가 1:2 보다 작으면 열전달 플레이트에 수건이 거치될 수 있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므로 수건을 여러 겹으로 겹쳐서 수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수용 공간의 가로의 폭과 세로의 높이의 비가 1:5 보다 크면 열전달 플레이트와 슬라이딩 몸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커버 몸체(35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딩 몸체는 가로의 폭에 비하여 세로의 높이가 높은 형태가 되는데, 이 경우 슬라이딩 몸체의 인입 인출 동작시에 슬라이딩 몸체 자체와 슬라이딩 몸체에 고정된 열전달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의 유동을 억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열전달 플레이트 또는 슬라이딩 몸체의 좌우 유동에 의하여 열전달 플레이트 또는 슬라이딩 몸체가 커버 몸체의 내벽과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몸체에 뒷막이판(316)을 구비하고, 뒷막이판(316)이 커버 몸체(350)의 수용 공간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찰 가이드(850,870)를 배치한 것이다.
한편, 슬라이딩 몸체가 커버 몸체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몸체의 뒷막이판(316)은 적어도 일부가 커버 몸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라이딩 몸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뒷막이판(316)이 마찰 가이드(850,87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마찰 가이드는 뒷막이판(316)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유동 방지 가이드(850)와, 뒷막이판(316)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홀딩 가이드(87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몸체가 인출되면 슬라이딩 몸체 자체의 자중과 슬라이딩 몸체에 결합된 열전달 플레이트, 그리고 열전달 플레이트에 거치된 수건의 중량이 모두 슬라이딩 몸체에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뒷막이판(316)은 위로 들어올려지는 형태가 된다. 홀딩 가이드(870)는 뒷막이판(316)의 상면이 커버 몸체의 수용 공간의 내부 상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며, 뒷막이판(316)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인출된 슬라이딩 몸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홀딩 가이드(870)는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 가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방지 가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슬라이딩 몸체가 커버 몸체에서 인출되는 초기에서 뒷막이판(316)의 큰 마찰 없이 슬라이딩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딩 몸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수건을 거치하거나 거치된 수건을 수거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슬라이딩 몸체가 어느 정도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슬라이딩 몸체는 구조적으로 레일을 배치할 수 있는 부분이 바닥면 또는 바닥면에 인접한 하부로 제한되며, 세로 방향의 높이가 가로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형태를 가지므로 좌우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뒷막이판(316)이 커버 몸체(350)의 내부에 잔류하며 커버 몸체(350)의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가 되면, 열전달 플레이트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이딩 몸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뒷막이판이 유동 방지 가이드(85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뒷막이판(316)이 슬라이딩하는 구간과 뒷막이판(316)이 고정되는 구간에서 유동방지 가이드(850)의 구조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뒷막이판(316)이 슬라이딩해야 하는 구간에서는 뒷막이판(316)과 유동방지 가이드(85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뒷막이판(316)이 고정되어야 하는 구간에서는 뒷막이판(316)과 유동방지 가이드(850)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뒷막이판(316)과 유동방지 가이드(85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뒷막이판(316)이 유동방지 가이드(850)와 마찰을 적게 받으며 슬라이딩 할 수 있고, 뒷막이판(316)과 유동방지 가이드(850)가 밀착된 부분에서는 뒷막이판(316)이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 가이드(850)는 깊이 방향을 따라 멈춤부(852), 과도부(854) 및 이동부(856)로 구비되되, 한 쌍의 유동방지 가이드(850)에 의해 형성되는 멈춤부(852) 사이의 이격거리는 이동부(856)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멈춤부(852)와 이동부(856)는 서랍공간(1120) 내부에서 돌출된 정도가 상이하므로 뒷막이판(316)이 이동부(856)에서 슬라이딩하다가 이동부(856)와 멈춤부(852)의 경계부분에서 걸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동방지 가이드(850)에 의해 형성되는 과도부(854) 사이의 이격거리가 깊이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점점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도부(854)는 멈춤부(852)와 이동부(856)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동부(856)에서 슬라이딩 하는 뒷막이판(316)이 멈춤부(852)까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베이스 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베이스 몸체(110-1,110-2)는 바닥면에 지지되며, 수건 관리 장치를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베이스 몸체 (110-1,110-2)는 수건 관리 장치의 폭(W1,W2)과 깊이(D)에 맞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 35의 베이스 몸체(110-1)는 중앙 플레이트(113)와, 측면 플레이트(115-1)와, 지지 레그(117)를 포함한다. 도 36의 베이스 몸체(110-2)는 중앙 플레이트(113)와, 측면 플레이트(115-2)와, 지지 레그(117)를 포함한다.
도 31에 도시한 베이스 몸체(110-1)와 도 32에 도시한 베이스 몸체(110-2)는 측면 플레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을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중앙의 중앙 플레이트(113)는 후술하는 열풍공급기(600)의 규격에 대응하는 것으로 송풍팬과 함께 공용으로 적용된다.
중앙 플레이트(113)는 양측면에 동일한 측면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다시 말해 중앙 플레이트(113)의 양측은 측면 플레이트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몸체의 폭이 달라짐에 따라 측면 플레이트(115-1.115-2)만 달라지게 되며, 나머지 부품들은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 플레이트(113)의 깊이 방향 길이는 측면 플레이트의 깊이 방향 길이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측면 플레이트의 깊이 방향 길이는 동일하게, 폭방향의 길이만 달라진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115-1,115-2)의 경우에도 좌측과 우측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측면 플레이트(115-1,115-2)는 전후 방향으로 대칭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 레그(117)의 경우 4개가 구비되는데 동일한 부품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지지 레그(117)는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이 되어야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레그(117) 평면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측면 플레이트(115-1.115-2)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결합돌기(117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117a)는 측면 플레이트(115-1.115-2)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앞뒤의 지지 레그(117)를 연결하는 지지막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막대(118)의 양단에 지지 레그(117)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하면, 지지 레그(117)의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에서 미설명한 도면부호 660은 유로를 절환하기 위한 전환 베인을 나타낸 것이다. 전환 베인에 관해서는 도 33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7 및 도 3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유로 절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기가 필수 구성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열풍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수건 관리 장치가 설치되는 욕실 바닥의 건조 또는 욕실 실내 공기의 가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건 관리 장치의 베이스 몸체에 송풍기(610)와 히터(620)를 포함하는 열풍공급기(600)를 구비할 수 있다.
열풍공급기(600)의 토출구 부분은 분기유로(670)로 감싸져 있다. 분기유로(670)의 내부에는 전환 베인(660)이 배치된다. 또한 분기유로(670)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한다.
열풍공급기(600)는 욕실의 실내 공간(또는 바닥면)을 건조하도록 수건 관리 장치 외부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7의 경우 열풍이 수건 관리 장치의 전방 바닥면을 향햐여 토출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8은 열풍이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를 향하여 토출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송풍 방향의 전환은 전환 베인(660)의 위치에 의하여 조절된다. 전환 베인(660)은 스텝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눕거나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전환 베인(660)과 전환 베인(660)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유로전환수단이라 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베인(660)에 세로 방향으로 세워지면, 열풍이 전환 베인(660)에 의하여 차단되어 위쪽으로 상승하여 앞서 설명한 연결 유로와 연통된다. 이 때의 유로를 제1송풍유로라 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베인(660)이 가로 방향으로 눕게될 경우 가열된 공기가 전환 베인(66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방 하부로 배출된다. 이 때의 공기의 흐름을 제2송풍유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열풍공급기(600)에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를 욕실 공간으로 공급하거나, 욕실 공간의 바닥으로 공급함으로써 욕실 공기의 가열 또는 욕실 바닥의 건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열풍공급기(6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에서 검출된 온도 및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열풍공급기(600)와 유로전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수건 관리 장치의 유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건 관리 장치의 베이스 몸체에 송풍기(610)와 히터(620)를 포함하는 열풍공급기(600)를 구비할 수 있다.
열풍공급기(600)의 토출구 부분은 분기유로(672)로 감싸져 있다. 분기유로(672)의 내부에는 전환 베인(660)이 배치된다. 또한 분기유로(672)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한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분기유로가 상하로 구분되는 토출구를 구비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분기유로가 측면 토출구를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열풍공급기(600)는 욕실의 실내 공간(또는 바닥면)을 건조하도록 수건 관리 장치 외부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측면)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열풍공급기(600)의 욕실의 실내 공간을 건조하는 방향을 주 토출구로 칭하고, 다른 방향의 토출구를 보조 토출구로 칭한다.
도 39의 경우 열풍이 수건 관리 장치의 전방 바닥면을 향하는 주토출구로 토출되는 제2송풍유로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0은 열풍이 수건 관리 장치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의 보조 토출구로 토출되는 제1송풍유로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송풍 방향(유로)의 전환은 전환 베인(660)의 위치에 의하여 조절된다. 전환 베인(660)은 스텝 모터와 같은 엑츄에이터에 연결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분기유로는 주토출구와 보조 토출구를 구비하는 데, 보조 토출구는 주토출구에서 분기되는 형태가 된다. 전환 베인을 보조 토출구가 분기된 이후 지점에 배치하면, 전환 베인(660)을 세워 주토출구를 폐쇄하면 보조 토출구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베인(660)이 가로 방향으로 눕게될 경우 가열된 공기가 전환 베인(66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방 하부로 배출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베인(660)에 세로 방향으로 세워지면, 열풍이 전환 베인(660)에 의하여 차단되어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도 37 및 도 38의 제7실시예와, 도 39 및 도 40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유로의 전환 방향이 상이함에 따라 분기유로(670,672)는 서로 다른 부품을 사용하게 되나, 분기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 베인(660)은 공용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욕실 가구 11: 욕실 가구 몸체
12: 세면대 13: 세면대 몸체
14: 수전 15: 팝업 밸브
18: 서랍형 콘솔 20: 컨트롤러부
50: 수건(건조 대상물)
100-1, 100-2, 100-3, 100-4: 수건 관리 장치
110: 베이스 몸체 112,114: 흡기구
114: 흡기구 120: 열전달 플레이트
122: 소통공 125: 체류공간
130: 송풍기 132: 송풍팬
134: 구동모터 136: 유로케이스
141.142: 히터 150: 커버 몸체
152: 배출구 154,157: 개폐도어
156: 투시창 158: 제2체류공간
200: 수건 관리 장치 210: 베이스 몸체
220: 슬라이딩 몸체 230: 열전달 플레이트
250: 커버 몸체 252: 고정몸체
254: 개폐도어 258: 제2체류공간
300: 수건 관리 장치 310: 슬라이딩 몸체
310a,310b : 상부 몸체 312: 외판
312a, 312b: 결합 돌기
313: 유입구 313a: 제1개폐댐퍼
314: 바닥판 314a: 배기구
315: 냉기유입구 315a: 제2개폐댐퍼
316: 뒷막이판 316a, 316b: 결합 홈
320: 열전달 플레이트
321a: 제1체류공간 321b: 제2체류공간
322: 소통공 323: 플랜지부
324: 미세홀 325b: 삽입박스부
325a: 절곡판 325: 차단막대
329: 플랜지부 350: 커버 몸체
351: 베이스 몸체 352: 개폐도어
390: 하부몸체 500: 멈춤장치
510: 액츄에이터 520: 후크부
600: 열풍공급기 610: 송풍기
620: 히터 630: 공급유로
650: 배기유로

Claims (15)

  1. 바닥면이나 벽멱에 설치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섬유 제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역할을 수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체류공간;
    상기 체류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체류공간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소통공;을 구비하는 수건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경로를 안내하는 유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건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체류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건 관리 장치.
  4. 바닥면이나 벽멱에 거치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섬유 제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역할을 수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체류공간;
    상기 제1체류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제1체류공간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제1체류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소통공; 및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와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에 거치되는 섬유 제품이 수용되고, 상기 제1체류공간에서 배출된 공기가 체류하는 제2체류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몸체;를 포함하는 수건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는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수건 관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는 상기 제2체류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기구를 구비하는 수건 관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수건 관리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 몸체에서 상기 커버 몸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을 구비하는 수건 관리 장치.
  9. 바닥면이나 벽멱에 거치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에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몸체;
    상기 슬라이딩 몸체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섬유 제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역할을 수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체류공간;
    상기 제1체류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제1체류공간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제1체류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소통공; 및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와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에 거치되는 섬유 제품이 수용되고, 상기 제1체류공간에서 배출된 공기가 체류하는 제2체류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몸체;를 포함하는 수건 관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 몸체와 함께 이동하는 개폐 도어를 구비하는 수건 관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는 또는 상기 슬라이딩 몸체는 상기 제2체류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비구를 구비하는 수건 관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경로를 안내하는 유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건 관리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1체류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건 관리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는 두개의 측면과, 상기 두개의 측면을 연결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 그 내부에 제1체류공간을 형성한 수건 관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는 하부로 갈수록 두 개의 측면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수건 관리 장치.
KR1020180110540A 2017-09-29 2018-09-14 수건 관리 장치 KR10259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77,510 US11793366B2 (en) 2017-09-29 2018-09-27 Towel maintenance device
PCT/KR2018/011458 WO2019066508A1 (ko) 2017-09-29 2018-09-27 수건 관리 장치
KR1020180139448A KR102532923B1 (ko) 2017-09-29 2018-11-13 수건 관리 장치
KR1020180139447A KR102604464B1 (ko) 2017-09-29 2018-11-13 수건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277 2017-09-29
KR20170128277 2017-09-29
KR20170144282 2017-10-31
KR1020170144282 2017-10-31
KR1020170144967 2017-11-01
KR20170144967 2017-11-01
KR20170153363 2017-11-16
KR1020170153363 2017-11-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448A Division KR102532923B1 (ko) 2017-09-29 2018-11-13 수건 관리 장치
KR1020180139447A Division KR102604464B1 (ko) 2017-09-29 2018-11-13 수건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34A true KR20190038334A (ko) 2019-04-08
KR102593432B1 KR102593432B1 (ko) 2023-10-24

Family

ID=661643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41A KR102492643B1 (ko) 2017-09-29 2018-09-14 수건 관리 장치
KR1020180110540A KR102593432B1 (ko) 2017-09-29 2018-09-14 수건 관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41A KR102492643B1 (ko) 2017-09-29 2018-09-14 수건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47873B2 (ko)
KR (2) KR102492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12A (ko) 2020-08-20 2022-03-02 강신국 수건 살균 건조기
WO2023107605A1 (en) * 2021-12-10 2023-06-15 Vistarock Holdings Llc Towel r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08A1 (ko) * 2017-09-29 2019-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건 관리 장치
KR102492643B1 (ko) * 2017-09-29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건 관리 장치
CN213335274U (zh) * 2020-09-25 2021-06-01 深圳市安拓浦科技有限公司 毛巾烘干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88Y1 (ko) * 2001-12-17 2002-03-27 김순일 열풍식 수건살균건조대
KR20030094161A (ko) * 2003-11-11 2003-12-11 이강오 주방용품 살균소독 건조기
KR20110064928A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한텍 살균건조기
US20130153560A1 (en) 2011-12-20 2013-06-20 Sidus Technologies, Inc. Towel warmer
KR20150053382A (ko) * 2013-11-08 2015-05-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가능한 수건걸이
KR20160073207A (ko) * 2014-12-16 2016-06-24 김춘구 수건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9622A (en) 1972-12-26 1974-10-01 K Mastin Electric, forced air towel warming cabinet
CN2253951Y (zh) * 1995-07-11 1997-05-14 洪基全 半封闭电热烘干架
US5755040A (en) * 1997-05-09 1998-05-26 Ou; Chan-Chou Household drying center
US5806203A (en) 1997-05-27 1998-09-15 Robinson; Joe M. Combination drying unit
US6046436A (en) 1998-11-30 2000-04-04 Hunts; Barney Towel warmer
US6153862A (en) 1999-02-26 2000-11-28 Job; Donald D. Fabric dryer/warmer
JP3489823B2 (ja) 2001-08-07 2004-01-26 株式会社埼玉富士 タオル乾燥機
KR200298030Y1 (ko) 2002-08-22 2002-12-12 주식회사 파세코 냉기차단막을 갖는 서랍식 김치냉장고
KR200340758Y1 (ko) 2003-10-23 2004-02-05 주식회사 은성산업 주방용 살균소독기
US7039304B2 (en) * 2004-09-09 2006-05-02 Engineered Glass Product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loth heater
US7171761B1 (en) 2005-08-02 2007-02-06 Barney Dean Hunts Large plush towel warmer and dehumidifier
US8058588B2 (en) 2005-08-31 2011-11-15 Western Industries,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warmer drawer
CN101240497B (zh) * 2007-02-09 2011-04-06 胡杰波 具有安全盘的棚式干衣机
KR20070000496U (ko) * 2007-04-10 2007-04-30 유영찬 발건조용 욕실문지방.
DE112011103033B4 (de) * 2010-09-10 2023-02-09 Durr Systems, Inc. (n.d.Ges. d. Staates Delaware) Luftbalkenanordnung zum Trocknen von Tissue-Papier auf einem Band
KR101160247B1 (ko) 2010-09-17 2012-06-26 주식회사 건강한사람들 살균소독고
KR200480835Y1 (ko) 2015-02-27 2016-07-12 노병욱 도마 살균기
KR20180013146A (ko) 2016-07-28 2018-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컵 홀더
KR102653163B1 (ko) * 2016-12-09 202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WO2019066508A1 (ko) * 2017-09-29 2019-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건 관리 장치
KR102492643B1 (ko) * 2017-09-29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건 관리 장치
WO2019066509A1 (ko) 2017-09-29 2019-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건 관리 장치
EP3705007A4 (en) 2017-11-01 2021-10-13 LG Electronics Inc. WASHBASIN CABINET
KR20210136296A (ko) * 2020-05-07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964063B2 (en) * 2020-09-25 2024-04-23 Shenzhen Antop Technology Co., Ltd Towel disinfection dryer
US11471008B2 (en) * 2020-09-25 2022-10-18 Shenzhen Antop Technology Co., Ltd Reinforced towel dry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788Y1 (ko) * 2001-12-17 2002-03-27 김순일 열풍식 수건살균건조대
KR20030094161A (ko) * 2003-11-11 2003-12-11 이강오 주방용품 살균소독 건조기
KR20110064928A (ko) * 2009-12-09 2011-06-15 주식회사 한텍 살균건조기
US20130153560A1 (en) 2011-12-20 2013-06-20 Sidus Technologies, Inc. Towel warmer
KR20150053382A (ko) * 2013-11-08 2015-05-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조가능한 수건걸이
KR20160073207A (ko) * 2014-12-16 2016-06-24 김춘구 수건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12A (ko) 2020-08-20 2022-03-02 강신국 수건 살균 건조기
WO2023107605A1 (en) * 2021-12-10 2023-06-15 Vistarock Holdings Llc Towel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643B1 (ko) 2023-01-27
US11647873B2 (en) 2023-05-16
US20210345839A1 (en) 2021-11-11
KR20190038335A (ko) 2019-04-08
KR102593432B1 (ko)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334A (ko) 수건 관리 장치
KR20190038466A (ko) 수건 관리 장치
CN111271969B (zh) 床用烘干机
US6005227A (en) Towel warmer console cabinet
EP3695747A1 (en) Mirror cabinet apparatus
KR20190038467A (ko) 수건 관리 장치
US20180259204A1 (en) Refrigeration module and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EP3940299A1 (en) Cooking appliance
JP2010085016A (ja) 建物
KR20190107486A (ko) 냉장고
KR20130011490A (ko) 스팀 용수 배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KR101179234B1 (ko) 스팀타월 보관용 온장고
JP5111420B2 (ja) 厨房装置
CN209090983U (zh) 一种恒温恒湿保温柜
JP6315749B2 (ja) カート収容型配膳車
WO2016113712A1 (en) A clothes drying device for use with wall mounted radiators
JP2008036224A (ja) 収納装置
KR20220096601A (ko) 온열장치
US20240044508A1 (en) Appliance
KR20150006311A (ko) 열기 순환구조를 갖는 반신욕기
US20240044502A1 (en) Appliance
CN104704159A (zh) 包括空气冷却的冷凝器的洗衣及干燥机
CN218605741U (zh) 一种智能镜柜
JP7209251B2 (ja) 調理台
KR200434595Y1 (ko) 다림질 기구가 구비된 가구 서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