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945A -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945A
KR20190037945A KR1020170127803A KR20170127803A KR20190037945A KR 20190037945 A KR20190037945 A KR 20190037945A KR 1020170127803 A KR1020170127803 A KR 1020170127803A KR 20170127803 A KR20170127803 A KR 20170127803A KR 20190037945 A KR20190037945 A KR 20190037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 durability
resin
resin composition
molecular weight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4390B1 (ko
Inventor
박성현
이현섭
박종상
김중수
유영석
홍대식
이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2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390B1/ko
Priority to US16/647,751 priority patent/US11697699B2/en
Priority to CN201880057741.XA priority patent/CN111133013B/zh
Priority to PCT/KR2018/011478 priority patent/WO2019066516A1/ko
Priority to EP18860648.7A priority patent/EP3674334A4/en
Priority to JP2020513310A priority patent/JP6942245B2/ja
Publication of KR2019003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rubber; leather
    • G01N33/442Resins,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배관용 수지의 장기 내구성 평가 방법으로서, 장시간이 소요되는 종래 FNCT 평가 방법과 달리, 타이 몰레큘(Tie molecule)의 함량, 엉킴 분자량(Entanglement molecular weight, Me) 및 초고분자량 성분의 함량을 이용한 간단한 수식 계산에 의해 배관용 수지의 장기 내구성을 단시간 내에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Prediction method of dur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for piping}
본 출원은 배관용 수지 또는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방관 등에 사용되는 배관용 파이프는 건물 내부에 시공되기 때문에, 크랙에 의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장기 내구성이 우수해야 한다. 널리 알려진 배관용 파이프의 장기 내구성 평가 방법으로는 ISO 9080과 ISO 16770 등이 있다. ISO 9080은, 파이프를 통과하는 물의 온도와 압력에 따른 크랙 발생 시간을 1년 이상 측정하고, 이를 외삽하여 50년 경과 시 크랙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압력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ISO 9080으로 장기 내구성을 인정받은 제품은, 4.0 MPa 응력 및 80℃ 온도에서 ISO 16770에 따른 풀 노치 크립 테스트(Full Notch Creep Test, FNCT)로 측정된 환경 응력 균열 저항성이 약 2,000 시간 이상이다. 즉, 해당 제품은 상기 방법에 의할 때, 2,000 시간 이상이 경과하여야 시료가 파단되는 정도의 내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두 가지 방법의 수행에는 최소 3개월에서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품 개발 단계의 다양한 시료 중 장기 내구성을 실측할 시료를 선정하여 제품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장기 내구성을 속성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출원의 일 목적은, 단시간 내에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배관용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장기 내구성을 비교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 응력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난방관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관한 일례예서, 본 출원은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을 예측 또는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예측 또는 평가 대상인 시료는 수지이거나, 그 외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배관용 수지(조성물)라 함은, 유체 등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관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고, 주로 난방관용 수지(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본 출원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은, 장기 내구성을 예측하는 인자로서, 타이 몰레큘(Tie molecule), 엉킴 분자량(Entanglement molecular weight, Me) 및 질량 평균 분자량(Mw)을 사용한다.
본 출원에서, 장기 내구성 예측에 사용되는 인자 중 하나인 타이 몰레큘(Tie molecule)은 비결정성 고분자 수지의 결정 사이를 연결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비결정성 고분자에서는 결정화 온도 이하에서 체인 폴딩(Chain folding)에 의해 라멜라(Lamellar) 구조의 결정이 형성된다. 이때, 결정 구조에 결함을 만들 수 있는 고분자 구조, 예를 들어, α-올레핀이나 LCB(Long chain branch)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분은 결정을 형성하지 못하고, 비결정성으로 남게 된다. 한편, α-올레핀이나 LCB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라멜라(Lamellar)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고분자 사슬이 결정-비결정-결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비결정 부분이 결정과 결정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고, 이를 타이 몰레큘이라고 지칭한다. 고분자의 분자량이 높아 고분자 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타이 몰레큘이 생성될 확률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타이 몰레큘의 함량이 높을수록 결정 구조 사이의 연결이 강해지기 때문에, 크랙(crack)의 발생과 전파가 어려워진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에서는, 타이 몰레큘의 함량이 장기 내구성 예측의 일 인자로서 사용된다. 이때, 타이 몰레큘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전체 고분자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타이 몰레큘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비율, 즉 중량%를 의미한다. 타이 몰레큘(Tie molecule)의 함량은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본 출원 방법에 사용되는 인자 중 다른 하나인 엉킴 분자량(Entanglement molecular weight, Me)은, 하나의 고분자 사슬이 주변의 고분자 또는 자기 자신과 엉켜서 물리적 가교(Physical crosslink)로 기능하는 엉킴점을 형성하고 있을 때, 이러한 엉킴점 사이의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고분자의 분자량이 높아 고분자 사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엉킴점이 생성될 확률이 증가하므로, 엉킴 분자량은 감소하게 된다. 엉킴 분자량이 작을수록 고분자의 엉킴 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저항이 증가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에서는, 엉킴 분자량이 장기 내구성 예측의 인자 중 하나로 사용된다. 엉킴 분자량은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본 출원 장기 내구성 예측에 사용되는 인자 중 또 다른 하나는 초고분자량의 성분의 함량이다. 이때 초고분자량이란 질량 평균 분자량(Mw)이 100만 이상인 경우를 의미하고, 초고분자량 성분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전체 고분자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의 %비율, 즉 중량%를 의미한다. 초고분자량 성분의 함량이 많을 수록 고분자 사슬의 길이가 긴 고분자의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고분자 사슬의 엉킴이나 타이 몰레큘의 함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에서는 초고분자량 성분의 함량이 장기 내구성 예측의 일 인자로 사용된다. 초고분자량 성분의 함량은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인자를 시료인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측정에 사용하는 본 출원에 따르면, 소량의 시료를 사용하더라도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이 단시간에 예측 또는 평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은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시료인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을 예측 또는 평가할 수 있다.
[수학식]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값 = a x (X)b x (Y)c x (Z)d
상기 수학식에서, a=386,600이고, b=4.166이고, c=-1.831이고, d=1.769이다. 또한, X, Y, 및 Z 각각은 시료인 수지 조성물에서 측정될 수 있는 분자 특성에 관한 값이다. 구체적으로, X는 타이 몰레큘(tie molecule)의 함량(wt%)을, Y는 엉킴 분자량(g/mol)을, Z는 질량 평균 분자량(Mw)이 100만 이상인 성분의 함량(wt%)을 의미한다. 이때, X, Y, 및 Z는 단위를 제외한 무차원 상수로서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기 수학식에 따라 산출된 장기 내구성에 관한 예측값이, 실제 4.0 MPa 및 80℃에서 ISO 16770에 따른 풀 노치 크립 테스트(FNCT)로 측정된 환경 응력 균열 저항성 평가 결과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라 시료인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값을 계산한다면, ISO 9080이나 ISO 16770과 같이 장시간에 걸친 내구성 평가를 수행하지 않고도, 간단한 계산만으로 단시간 내에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을 예측 또는 평가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장기 내구성의 예측값 계산은 복수의 시료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장 큰 계산값을 갖는 시료의 장기 내구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장기 내구성에 대한 예측 또는 평가 대상인 시료, 즉 수지 조성물은, 한 종류의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호모폴리머(homopolymer) 및/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단량체 성분으로부터 형성된 코폴리머(co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1 종 이상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시료인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부틸렌, 프로필렌, 및/또는 α-올레핀계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중합체일 수 있다. α-올레핀계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또는 1-에이코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례에 따르면, 소량의 시료를 사용하여, 단시간 내에 배관용 수지의 장기 내구성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르면, 단시간 내에 배관용 수지의 장기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장기 내구성을 갖는 고분자 구조를 유용하게 설계할 수 있고, 실제 장기 내구성을 실측할 가치가 있는 시료를 단시간에 선정할 수 있어 제품 개발 단계의 효율성을 높이고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제조예에 사용된 수지에 대한 FNCT 실측값과, 상기 제조예에 대응하는 본 출원 각 실시예 수지에 대하여 산출된 FNCT 예측값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험례에서 측정되는 관련 물성 등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측정방법>
* FNCT (Full Notch Creep Test) 실측값: 하기 제조된 제조예 1 내지 15의 수지에 대하여, 4.0 MPa 응력 및 80℃ 온도에서 ISO 16770에 따라 풀 노치 크립 테스트(Full Notch Creep Test)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FNCT를 수행하기 위한 시편은 10 X 10 X 100 mm 크기의 직육면체로서, 두께 15 mm인 판재를 밀링 가공하여 얻었다. 이후 시편의 네 측면에 깊이 1.5 mm의 노치를 형성하고, 80℃ Igepal 10% 용액 중에서 시편에 4.0 MPa의 응력을 가한 뒤 시편에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시간을 기초로 하여,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수지의 특성을 정성적으로 분류하였다.
<FNCT 실측값에 대한 정성적 분류>
- 2,000 시간 이상: 우수
- 1,500 시간 내지 2,000 시간 미만: 다소 우수
- 1,000 시간 내지 1,500 시간 미만: 보통
- 400 시간 내지 1,000 시간 미만: 다소 나쁨
- 400 시간 미만: 나쁨
* 타이 몰레큘(tie molecule)의 함량: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자량 분포, 융점(Tm) 및 질량 분율 결정화도를 산출하고, 이들 값으로부터 타이 몰레큘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 분자량 분포: Agilent社의 PL-SP260을 이용하여 BHT 0.0125%가 포함된 1,2,4-Trichlorobenzene에 측정할 시료 10 mg을 160℃에서 10시간 녹여 전처리하고, 고온용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인 PL-GPC220을 이용하여 GPC 커브를 얻었다.
- 융점 및 질량 분율 결정화도: 측정할 시료 5 mg을 Al Pan에 올리고 Al Lid로 덮은 뒤 Punch해 밀봉하고, TA社의 DSC Q20을 이용하여 50 ℃ 에서 190 ℃ 까지 10 ℃/min으로 가열하고(Cycle 1), 190 ℃에서 5분 isothermal 후 50 ℃까지 10℃/min으로 냉각한 뒤, 50 ℃에서 5분 isothermal 후 190 ℃까지 10℃/min으로 다시 가열하였다(Cycle 2). 융점과 질량 분율 결정화도는 Cycle 2에서 60℃ 내지 140℃ 범위에서 DSC 곡선 피크(peak)의 온도(Tm)와 면적(ΔH)으로부터 계산하였다.
Tm: DSC 곡선 피크(peak)의 온도
질량 분율 결정화도: ΔH/293.6 X 100 (293.6: 100% Crystal 일 때 ΔH)
- 타이 몰레큘의 함량 계산: 타이 몰레큘의 함량은, x축이 분자량 M이고, y축이 n·P·dM으로 표현되는 타이 몰레큘 분포 그래프의 면적으로부터 계산하였다. 해당 그래프는 GPC 커브와 DSC 측정 결과로부터 계산한다. y축과 관련하여, 상기 n은 분자량이 M인 고분자의 개수로, x축이 logMw이고 y축이 dw/dlogMw인 GPC 커브의 데이터에서 (dw/dlogMw)/M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는 분자량이 M인 고분자가 타이 몰레큘을 형성할 확률로서, 아래 식 1 내지 식 3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으며, dM은 GPC 커브의 x축(분자량 M) 데이터 사이의 간격이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 1에서, r은 랜덤 코일의 양 말단 간 거리(end to end distance of a random coil)이고, b2 은 3/2r2이고, lc 는 결정층 두께(crystal thickness)로서 하기 식 2로부터 구하고, la 는 비결정층 두께(amorphous thickness)로서 하기 식 3으로부터 구한다.
[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식 2에서, To m 는 415K, σe 는 60.9 x 10-3 J/m2, Δhm 는 2.88 x 103 J/m3 이다.
[식 3]
Figure pat00003
상기 식 3에서, ρc는 결정밀도(density of crystalline)로서, 1,000 kg/m3 이고, ρa는 비결정상 밀도(density of amorphous phase)로서 852 kg/m3 이고, ωc는 질량 분율 결정화도(weight fraction crystallinity)로서 DSC 결과로부터 확인된다.
* 엉킴 분자량(M e )의 계산: 회전형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150 ℃ 내지 230 ℃ 온도, 0.05 내지 500 rad/s 각 주파수(Angular Frequency), 0.5% 스트레인(Strain) 조건에서 각 시료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탄성률을 측정하고, 여기서 구한 고원 탄성률(GN 0)로부터 하기 이론식에 따라 엉킴 분자량을 계산하였다. 단, 하기 이론식에서, ρ는 밀도(kg/m3)를, R은 기체상수(8.314 Pa·m3/mol·K)를, T는 절대 온도(K)를 의미한다.
[이론식]
Me = (ρRT) / GN 0
* 초고분자량 성분의 함량 측정 및 계산: 시료의 분자량 분포 분석 결과에서, 전체 면적 대비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부분의 면적 비율(%)을 계산하였다.
* 장기 내구성 예측값 : 상기로부터 구해진 값들을, 하기 수학식에 대입하여 장기 내구성 예측값을 산출하였다.
[수학식]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값 = a x (X)b x (Y)c x (Z)d
단, 상기 수학식에서, a = 386,600이고, b = 4.166이고, c = - 1.831이고, d = 1.769이고, X, Y, 및 Z 각각은 시료인 수지 조성물에서 타이몰레큘의 함량(wt%), 엉킴 분자량(g/mol), 및 질량 평균 분자량(Mw)이 100만 이상인 성분의 함량(wt%)을 의미한다. 단, 상기 수학식에서 X, Y, 및 Z는 단위를 제외한 무차원 상수로서 사용된다.
상기 수학식으로부터 산출된 예측값을 기초로, 하기와 같은 기준으로 수지의 특성을 정성적으로 분류하였다.
<예측값에 대한 정성적 분류>
- 2,000 이상: 우수
- 1,500 내지 2,000 미만: 다소 우수
- 1,000 내지 1,500 미만: 보통
- 400 내지 1,000 미만: 다소 나쁨
- 400 미만: 나쁨
제조예
장기 내구성의 측정 대상인 수지를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FNCT(Full Notch Creep Test)에 따라 시간을 실측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제조예 1: hexane slurry CSTR 공정에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소정의 투입속도로 에틸렌, 수소, 및 1-부텐을 공급하면서 수지를 중합하였다. 제조된 수지는 ASTM D 1505에 따라 측정된 밀도가 0.9396 g/cm3 이고, ASTM D 1238에 따라 190℃ 및 2.16kg/10min 조건 하에서 측정된 MI(용융지수)가 0.26이었다.
제조예 2: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92 g/cm3 이고, MI는 0.34이었다.
제조예 3: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58 g/cm3 이고, MI는 0.75이었다.
제조예 4: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59 g/cm3 이고, MI는 0.47이었다.
제조예 5: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63 g/cm3 이고, MI는 0.27이었다.
제조예 6: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96 g/cm3 이고, MI는 0.32이었다.
제조예 7: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65 g/cm3 이고, MI는 0.60이었다.
제조예 8: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3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67 g/cm3 이고, MI는 0.47이었다.
제조예 9: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69 g/cm3 이고, MI는 0.38이었다.
제조예 10: 원료의 투입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밀도는 0.9364 g/cm3 이고, MI는 0.48이었다.
제조예 11: 밀도가 0.9362 g/cm3 이고, 동일 조건에서 측정된 MI가 0.43인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밀도가 0.9363 g/cm3 이고, 동일 조건에서 측정된 MI가 0.26인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밀도가 0.9362 g/cm3 이고, 동일 조건에서 측정된 MI가 0.44인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밀도가 0.9357 g/cm3 이고, 동일 조건에서 측정된 MI가 0.25인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밀도가 0.9363 g/cm3 이고, 동일 조건에서 측정된 MI가 0.39인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시료에 대하여, 상기 방법에 따라 타이 몰레큘의 함량, 엉킴 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본 출원에 따른 수학식에 대입하여 장기 내구성 관련 예측값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내지 15
실시예 2 내지 15 각각이, 순서대로 제조예 2 내지 15에 따라 제조된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타이 몰레큘의 함량, 엉킴 분자량, 및 초고분자량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내구성 관련 예측 값을 계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4
[표 2]
Figure pat00005
표 1의 FNCT 실측값과 표 2의 무차원 계산값을 비교해보면, 그 수치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정성적인 분류상으로도 실측값과 계산값이 매우 유사하게 평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도 1에서도 X축과 Y축이 강한 선형관계를 갖는다는 점이 확인된다. 즉, 본 출원의 내구성 예측 방법은, 기존의 FNCT 실측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은, 수개월 이상의 테스트 기간을 거치지 않더라도 분자량 등에 관한 측정만으로도 단기간 내에 배관용 수지(조성물)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다.

Claims (6)

  1.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이 갖는 타이 몰레큘(Tie molecule)의 함량, 엉킴 분자량(Entanglement molecular weight, Me) 및 질량 평균 분자량(Mw)을 이용하는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는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수학식]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값 = a x (X)b x (Y)c x (Z)d
    단, 상기 수학식에서, a = 386,600이고, b = 4.166이고, c = - 1.831이고, d = 1.769이고, X, Y, 및 Z 각각은 시료인 수지 조성물에서 타이몰레큘의 함량(wt%), 엉킴 분자량(g/mol), 및 질량 평균 분자량(Mw)이 100만 이상인 성분의 함량(wt%)을 의미한다. 단, 상기 수학식에서 X, Y, 및 Z는 단위를 제외한 무차원 상수로서 사용된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을 통해 계산된 장기 내구성 예측값이 클수록 평가 대상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는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에 따라 장기 내구성 예측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비교하는 배관용 수지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배관용 수지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 부틸렌, 프로필렌 또는 α-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체인 배관용 수지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KR1020170127803A 2017-09-29 2017-09-29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KR102184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03A KR102184390B1 (ko) 2017-09-29 2017-09-29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US16/647,751 US11697699B2 (en) 2017-09-29 2018-09-28 Method for predicting long-term durability of resin composition for piping and olefinic polymer used for resin for piping
CN201880057741.XA CN111133013B (zh) 2017-09-29 2018-09-28 预测管道用树脂组合物的长期耐久性的方法以及用于管道用树脂的烯烃聚合物
PCT/KR2018/011478 WO2019066516A1 (ko) 2017-09-29 2018-09-28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및 배관용 수지에 사용되는 올레핀계 고분자
EP18860648.7A EP3674334A4 (en) 2017-09-29 2018-09-28 METHOD OF PREDICTING THE LONG-TERM DURABILITY OF A PIPE RESIN AND OLEFIN-BASED POLYMER COMPOSITION USED FOR PIPE RESIN
JP2020513310A JP6942245B2 (ja) 2017-09-29 2018-09-28 配管用樹脂組成物の長期耐久性予測方法及び配管用樹脂に用いられるオレフィン系高分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03A KR102184390B1 (ko) 2017-09-29 2017-09-29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45A true KR20190037945A (ko) 2019-04-08
KR102184390B1 KR102184390B1 (ko) 2020-11-30

Family

ID=6616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803A KR102184390B1 (ko) 2017-09-29 2017-09-29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944A (ko) * 2020-08-13 2022-02-23 주식회사 삼양사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211A (ja) * 1994-07-19 1996-01-30 Tonen Corp 耐環境応力亀裂性ポリエチレン
WO1999011684A1 (fr) * 1997-08-29 1999-03-11 Chisso Corporation Composition de copolymere de propylene/propylene-ethylen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EP0892979B1 (en) * 1996-04-10 2003-05-21 The Dow Chemical Company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for cable applications
US20130011716A1 (en) * 2010-03-24 2013-01-10 Teijin Limited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211A (ja) * 1994-07-19 1996-01-30 Tonen Corp 耐環境応力亀裂性ポリエチレン
EP0892979B1 (en) * 1996-04-10 2003-05-21 The Dow Chemical Company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for cable applications
WO1999011684A1 (fr) * 1997-08-29 1999-03-11 Chisso Corporation Composition de copolymere de propylene/propylene-ethylen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20130011716A1 (en) * 2010-03-24 2013-01-10 Teijin Limited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RDASHTI, A., A thesi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University of Waterloo, 2014, 페이지 1-21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944A (ko) * 2020-08-13 2022-02-23 주식회사 삼양사 블로우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구성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390B1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7988B2 (ja) パイプ用ポリマー組成物
RU2430288C2 (ru) Труба, содержащая полиэтилен с повышенной устойчивостью к медленному росту трещин
JP6685544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の物性評価方法
US10634605B2 (en) Method for predicting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s
BRPI0615454B1 (pt) Composição polimérica, bem como seu processo de preparação
RU2731377C2 (ru) Этиленовая со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AU2014334200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pipe applications
JP5848462B2 (ja) 改善された低温耐圧性を備えたポリエチレン組成物
KR20140063846A (ko) 빠른 균열전파 내성과 압력 내성이 높은 폴리에틸렌 조성물
CN107001730A (zh) 多峰聚乙烯
JP6942245B2 (ja) 配管用樹脂組成物の長期耐久性予測方法及び配管用樹脂に用いられるオレフィン系高分子
CN105683279B (zh) 适用于注射模塑应用的聚乙烯组合物
CN108351338B (zh) 预测聚合物物理性质的方法
KR20190037945A (ko) 배관용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구성 예측 방법
Bazgir et al. Clarifying effect of multimodal polymerization on thermal,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DPE pipe resin
JP2020532736A5 (ko)
KR102486846B1 (ko) 올레핀계 고분자
CN102954980B (zh) 一种快速检测聚乙烯管材专用料等级的方法
Yoo et al. Effects of long chain branching on melt fractures in capillary extrusion of metallocene‐catalyzed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elts
CN112839991A (zh) 用于耐高应力开裂性和良好的可加工性的聚烯烃树脂共混物
US11360011B2 (en) Processes for predicting small scale steady state (S4) critical temperatures
KR20220022716A (ko) 폴리에틸렌 수지의 물성 평가 방법
Sardashti et al. Operational maps between molecular properties and environmental stress cracking resistance (ESCR)
Bazgir et al. Influence of trimodal polymerization on melt rheology,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DPE resin
US20120227852A1 (en) Layer for Pipes Made of Multimodal Polyethylen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