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533A -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 Google Patents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533A
KR20190037533A KR1020170126984A KR20170126984A KR20190037533A KR 20190037533 A KR20190037533 A KR 20190037533A KR 1020170126984 A KR1020170126984 A KR 1020170126984A KR 20170126984 A KR20170126984 A KR 20170126984A KR 20190037533 A KR20190037533 A KR 2019003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ptical
tensile
power
opt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703B1 (ko
Inventor
김현웅
서주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7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2Flo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5Power cables including optical transmissio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수단으로서의 발포층을 분산시켜 유연성이 향상되고, 충분한 인장력을 제공하면서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Buoyant Optical-Power Composite Cable}
본 발명은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수단으로서의 발포층을 분산시켜 유연성이 향상되고, 충분한 인장력을 제공하면서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특수 목적을 가지고 수중 작업을 위한 로봇들이 소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던 작업을 로봇을 사용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중 작업 로봇의 사용은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수중 작업 로봇들은 일반적으로 제어신호 또는 센서신호의 통신을 위한 통신라인과 작업 수행에 필요한 전력라인을 함께 구비해야 하므로, 이러한 수중작업을 위한 로봇은 선박 등과 통신과 전력공급을 위한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중 작업 로봇과 선박 등을 연결하는 케이블은 기본적으로 부력을 구비해야 한다.
만일 수중 작업 로봇과 연결된 케이블이 부력이 없으면, 케이블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로봇과 연결된 모선의 방향타 또는 스크류 등과 엉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수중에서 작업하는 로봇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부력이 없는 경우 로봇의 위치와 무관하게 가라앉으면 케이블 단선, 케이블 꼬임 또는 스크류 걸림 등의 문제가 발생되므로, 수중 작업 로봇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은 자체적으로 부력을 구비함을 요한다.
도 2는 수중에서 로봇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소개된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케이블은 2개의 통신유닛과 4개의 전력유닛(10')이 중심인장선(20') 둘레에 배치된 상태에서 내부 자켓(50b)으로 피복된 후 부력 발생수단으로 발포층(60)이 구비되고, 상기 발포층(60) 외측에는 다시 외부 자켓(50a) 등이 구비되어 부력을 구비하는 통신 및 전력 복합 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케이블의 경우, 부력 제공을 위하여 발포층을 구비하나, 수심에 따라 쉽게 압축되고, 발포층(60)이 케이블의 특정 층을 꽉채워 유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포층을 특정 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발포 품질이 불안정하여 케이블의 원형 형상 형성이 쉽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케이블은 수중 작업 로봇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밴딩이 가능해야 하고 그와 동시에 제한된 직경을 가지면서도 수중에 가라앉지 않을 정도의 부력이 요구되며, 더 나아가 거친 해양 등의 수중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유연성, 부력 및 강성이 요구되어도 케이블의 직경을 충분히 키우는 경우 로봇의 작업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크기도 합리적인 수준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수단으로서의 발포층을 분산시켜 유연성이 향상되고, 충분한 인장력을 제공하면서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되는 도체부, 상기 도체부를 감싸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외측에 구비되는 발포층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전력유닛,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통신부 및 상기 광통신부 외측에 구비되는 발포층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 인장재 및 이를 감싸는 발포층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보강유닛 및 상기 전력유닛, 상기 광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구비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장보강유닛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력유닛과 상기 광유닛이 상기 인장보강유닛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은 1개가 구비되고, 상기 전력유닛은 5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보강유닛,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광유닛을 제외한 상기 외부자켓 내부의 공간은 빈공간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유닛,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광유닛은 인접한 전력유닛 또는 광유닛과 외접함과 동시에 상기 인장보강유닛과 외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전력유닛은 각각 외부자켓의 내면에 내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유닛의 도체부는 1.5 밀리미터 내지 2.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유닛의 도체부와 발포층 사이에 절연층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층은 XLPE (Cross-linked polyethylene)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0.5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두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은 1개의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가 구비된 루즈튜브 또는 타이트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유닛의 외경은 2.6 밀리미터 내지 3.2 밀리미터의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보강유닛의 인장재는 인장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재 및 상기 발포층 사이에 상기 인장재를 감싸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재질의 보강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유닛, 상기 광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의 발포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구성되며, 그 두께는 1.5 밀리미터 내지 2.5 밀리미터의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자켓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의 외경은 24 밀리미터 내지 28 밀리미터의 크기이며, 상기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의 최소 곡률반경은 외경의 4배 내지 6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인장선, 상기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되는 도체부 및 상기 도체부를 감싸는 절연층을 구비하는 5개의 전력유닛, 상기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통신부를 구비하는 하나의 광유닛, 복수 개로 분산되어 구비되는 부력부재 및,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광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중심인장선,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광유닛의 최외곽층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의 발포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되는 도체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전력유닛;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통신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 인장재를 구비하는 인장보강유닛; 및, 상기 전력유닛, 상기 광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유닛, 상기 광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은 외측에 발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의 전체적인 비중은 1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 발생수단으로서의 발포층을 분산시켜 유연성이 향상되고, 충분한 인장력을 제공하면서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되는 도체부(11), 상기 도체부(11)를 감싸는 절연층(13) 및 상기 절연층(13) 외측에 구비되는 발포층(15)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전력유닛(10),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31)를 포함하는 광통신부(35) 및 상기 광통신부(35) 외측에 구비되는 발포층(39)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30), 인장재(21)를 구비하는 인장보강유닛(20) 및 상기 전력유닛(10), 상기 광유닛(30)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20)을 감싸는 외부자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수중 작업 로봇과 로봇을 제어하고 전력을 공급하는 선박을 연결하며, 돌발 상황에서 로봇의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자체가 로봇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인장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인장보강유닛(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로봇의 하중 지지 또는 장력 지지가 가장 용이한 케이블의 중심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인장보강유닛(20)은 로프 또는 얀 등의 인장재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 개의 전력유닛(10)과 통신을 위한 광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수중 작업을 위한 로봇의 경우, 지속적인 로봇의 구동을 위하여 전력유닛(10)이 구비될 수 있고, 로봇의 제어신호의 통신 또는 센서나 카메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광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통신을 위하여 금속도체를 사용하는 통신유닛이 적용되면, 실시간 영상 전송을 위한 통신 속도를 제공하기 어렵고 케이블의 직경이 커지며, 더 나아가 수중 작업 로봇과 연결을 위한 유연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통신유닛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31)가 구비된 광유닛(3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상기 인장보강유닛(20)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력유닛(10)과 상기 광유닛(30)이 상기 인장보강유닛(20)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장보강유닛(20), 상기 전력유닛(10)과 및 상기 광유닛(30)을 제외한 상기 외부자켓(50) 내부의 공간은 빈공간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인장보강유닛(20), 상기 전력유닛(10)과 및 상기 광유닛(30)의 외측에 각각 부력부재로서의 발포층을 구비하지만, 케이블의 원형유지와 강성이 유지된다면 부력 발생을 위하여 공기층이 발포층보다 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상기 인장보강유닛(20), 상기 전력유닛(10)과 및 상기 광유닛(30)에 각각 발포층을 구비함과 동시에 내부에 빈공간을 확보하여 충분한 부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유연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복합 케이블의 경우 부력 발생을 위한 발포층을 외부자켓(50a) 내부에 구비하나, 빈공간의 양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보다 작아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인장보강유닛(20), 상기 전력유닛(10)과 및 상기 광유닛(30)이 각각 발포층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충분한 빈공간이 형성되어 밴딩 저항을 최소화하여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지속적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이 발생되고, 내부의 빈공간이 존재하므로 부력발생에는 유리하지만 케이블의 원형이 유지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광유닛(30)은 1개 구비되고, 상기 전력유닛(10)은 5개가 구비되어, 인장보강유닛(20) 둘레에 6개의 유닛이 상호 외접함과 동시에 인장보강유닛(20)과 외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유닛(30), 상기 전력유닛(10)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20)은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개의 유닛들이 각각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중심부에 인장보강유닛(20)을 배치한 상태에서 6개의 광유닛(30)과 전력유닛(10)을 그 둘레에 배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전력유닛(10) 및 상기 광유닛(30)은 인접한 전력유닛(10) 또는 광유닛(30)과 외접함과 동시에 상기 인장보강유닛(20)과 외접하고, 더 나아가 상기 광유닛(30) 및 복수 개의 상기 전력유닛(10)은 각각 외부자켓(50)의 내면에 내접하도록 구성되어 케이블의 밴딩시 각각의 유닛들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외경은 24 밀리미터(mm) 내지 28 밀리미터(mm)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고, 최소 곡률 반경은 상기 케이블의 외경의 4배 내지 6배 정도의 유연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케이블의 전체적인 비중은 해수 비중보다 작은 1 이하로 구성되어 항상 양성 부력 또는 적어도 중성 부력은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해수의 표준 비중은 1.025 정도(4℃ 물의 밀도 1 g / cm3 기준)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1.0 이하를 갖게 하여 해수 등의 수중에서 수면 근방에 배치되거나 가라앉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각각의 유닛 등의 치수 또는 재질은 아래의 조건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은 중심부에 중심인장선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장보강유닛(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장보강유닛(20)의 인장재(21)는 인장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재(21) 및 상기 발포층 사이에 상기 인장재(21)를 감싸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DPM) 재질의 보강층(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23)이 인장재(21) 위에 구비됨으로써 발포층(25)의 압출시 인장섬유로 이루어진 인장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압출 가공성을 높일 수 있다.
최근 수중 작업에 투입되는 로봇들은 전동 방식의 구동장치로 구동되고, 특수 작업 예를 들면 수중 탐사, 수중 조사, 수중 표본 채취, 선박 수리 또는 선박 청소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모선에 실려 운반되고 수중에 투입되는 상황이며, 이와 같은 수중 작업 로봇이 해류 등에 쓸려가거나, 스스로의 하중에 의하여 가라앉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400 kgf 내지 600 kgf의 인장강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장강도는 상기 인장보강유닛(20)의 인장재(21)에 의하여 제공되고, 인장재(21) 자체의 인장강도는 300kgf 정도일 수 있으나, 각각의 유닛 또는 자켓 등의 인장강도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 전체 인장강도는 400 kgf 내지 600 kgf 정도까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전력유닛(10)의 중심부의 도체부(11)는 주석도금(Tinned annealed stranded) 구리재질의 소선 도체를 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직경은 1.5 밀리미터(mm) 내지 2.0 밀리미터(mm)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유닛(10)의 도체부(11)와 발포층 사이에 절연층(13)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층(13)은 절연성 및 내충격성 특성을 갖는 XLPE (Cross-linked polyethylene)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0.5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30)은 1개의 광섬유(31) 및 상기 광섬유(31)를 수용하는 루즈튜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유닛(30)의 외경은 2.6 밀리미터(mm) 내지 3.2 밀리미터(mm)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유닛(30)의 루즈튜브(33) 내에 수용되는 광섬유(31)의 개수는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유닛(30)의 광통신부는 광섬유가 수용된 루즈튜브로 제한되지 않고 광섬유가 내부에 포함된 타이트버퍼 방식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인장보강선 외측에 1개의 광유닛(30)과 5개의 전력선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나 광유닛(30)의 개수를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하고 전력유닛(10)을 4개 또는 그 이하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원형 유지를 위하여 각각 외접하게 1+6 구조로 배치되는 상기 전력유닛(10), 상기 광유닛(30)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20)은 부력 생성을 위하여 거의 동일한 두께의 발포층(15, 25, 39)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발포층(15, 25, 39)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구성되며, 그 두께는 1.5 밀리미터(mm) 내지 2.5 밀리미터(mm)의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질기고 화학약품에 잘 견디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기절연체, 구조재, 기포단열재, 기포쿠션, 탄성섬유 등에 사용되며, 신축성이 좋아서 고무의 대체물질로도 사용되는 물질로 거품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탄성이 있고 견고하며 가벼운 특성을 지지므로, 이를 발포시켜 발포층을 형성하는 경우 부력 생성이 유리하다.
도 2에 도시된 케이블의 부력 발생을 위한 발포층은 단층으로 구비되어 빈공간의 크기가 아주 작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경우 각각의 유닛을 발포층(15, 25, 39)으로 감싸고 각각의 유닛을 빈틈없이 1+6 배치구조로 구성하여, 발포층을 분산시키고 더 나아가 빈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부력 발생과 유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빈공간의 존재로 인해 부력이 쉽게 발생되고, 케이블의 전체적인 유연성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전력유닛(10) 및 상기 광유닛(30) 외측에는 외부 자켓(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자켓(5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구성되어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자켓(50)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역시 질기고 반응성이 낮아 해수 등의 수중 환경에서 쉽게 오염 또는 변질되지 않아 장기간 본 발명에 따른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력유닛(10), 상기 인장보강유닛(20) 및 상기 광유닛(30)이 각각의 발포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일부 유닛은 발포 층이 구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력의 보강을 위하여 인장보강유닛을 인장재로만 구성하는 경우 또는 공급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부 전력 유닛의 도체부 직경을 크게 형성할 때 전력유닛 전체의 직경을 증대하지 않기 위하여 특정 전력유닛에서 발포층을 생략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경우, 수중에서 사용을 전제하므로 전술한 범위의 비중을 만족하도록 하여 수중에서 가라앉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중에서 가라앉지 않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각각의 유닛에 모두 발포층을 구비하지 않고 일부의 유닛에만 발포층을 구비하는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광전복합 케이블
10 : 전력유닛
20 : 인장보강유닛
30 : 광유닛

Claims (17)

  1.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되는 도체부, 상기 도체부를 감싸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외측에 구비되는 발포층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전력유닛;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통신부 및 상기 광통신부 외측에 구비되는 발포층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
    인장재 및 인장재를 둘러싸는 발포층을 구비하는 인장보강유닛; 및,
    상기 전력유닛, 상기 광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구비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보강유닛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력유닛과 상기 광유닛이 상기 인장보강유닛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보강유닛,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광유닛을 제외한 상기 외부자켓 내부의 공간은 빈공간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1개가 구비되고, 상기 전력유닛은 5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광유닛은 인접한 전력유닛 또는 광유닛과 외접함과 동시에 상기 인장보강유닛과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전력유닛은 각각 외부자켓의 내면에 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의 도체부는 1.5 밀리미터 내지 2.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의 도체부와 발포층 사이에 절연층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층은 XLPE (Cross-linked polyethylene)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0.5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1개의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가 구비된 루즈튜브 또는 타이트버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유닛의 외경은 2.6 밀리미터 내지 3.2 밀리미터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보강유닛의 인장재는 인장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재 및 상기 발포층 사이에 상기 인장재를 감싸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재질의 보강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 상기 광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의 발포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구성되며, 그 두께는 1.5 밀리미터 내지 2.5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켓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의 외경은 24 밀리미터 내지 28 밀리미터의 크기이며, 상기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의 최소 곡률반경은 외경의 4배 내지 6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14. 중심인장선;
    상기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되는 도체부 및 상기 도체부를 감싸는 절연층을 구비하는 5개의 전력유닛;
    상기 중심인장선 둘레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통신부를 구비하는 하나의 광유닛;
    복수 개로 분산되어 구비되는 부력부재; 및,
    상기 전력유닛 및 상기 광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중심인장선, 상기 전력유닛 또는 상기 광유닛의 최외곽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의 발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16. 복수 개의 소선으로 구성되는 도체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전력유닛;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통신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
    인장재를 구비하는 인장보강유닛; 및,
    상기 전력유닛, 상기 광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구비하고,
    상기 전력유닛, 상기 광유닛 및 상기 인장보강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은 외측에 발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의 전체적인 비중은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KR1020170126984A 2017-09-29 2017-09-29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KR10248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84A KR102489703B1 (ko) 2017-09-29 2017-09-29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84A KR102489703B1 (ko) 2017-09-29 2017-09-29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33A true KR20190037533A (ko) 2019-04-08
KR102489703B1 KR102489703B1 (ko) 2023-01-17

Family

ID=6616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84A KR102489703B1 (ko) 2017-09-29 2017-09-29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7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7032A (zh) * 2020-08-06 2020-12-22 江苏亨通海洋光网系统有限公司 一种柔性零浮力光电复合拖曳缆
CN113327707A (zh) * 2021-06-11 2021-08-31 青岛大学 一种轻量化、高强度光电脐带缆
WO2021212857A1 (zh) * 2020-04-23 2021-10-28 苏州专创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外两用通信光缆及电缆
CN114420351A (zh) * 2022-01-21 2022-04-29 富通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水下的光电复合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5768A (en) * 1961-08-14 1964-11-03 Boston Insulated Wire & Cable Buoyant cable
DE3005615A1 (de) * 1980-02-15 1981-08-20 U.I. Lapp Kg, 7000 Stuttgart Elektrisches, flexibles kabel mit besonderer schwimmfaehigkeit
JPH02236910A (ja) * 1989-03-10 1990-09-19 Sumitomo Electric Ind Ltd 中性浮力ケーブル
KR20120006740A (ko) * 2010-07-13 2012-01-19 대한전선 주식회사 이동이 용이한 광전 복합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5768A (en) * 1961-08-14 1964-11-03 Boston Insulated Wire & Cable Buoyant cable
DE3005615A1 (de) * 1980-02-15 1981-08-20 U.I. Lapp Kg, 7000 Stuttgart Elektrisches, flexibles kabel mit besonderer schwimmfaehigkeit
JPH02236910A (ja) * 1989-03-10 1990-09-19 Sumitomo Electric Ind Ltd 中性浮力ケーブル
KR20120006740A (ko) * 2010-07-13 2012-01-19 대한전선 주식회사 이동이 용이한 광전 복합케이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2857A1 (zh) * 2020-04-23 2021-10-28 苏州专创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外两用通信光缆及电缆
CN113711320A (zh) * 2020-04-23 2021-11-26 苏州专创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外两用通信光缆及电缆
CN113711320B (zh) * 2020-04-23 2023-06-23 湖南力通恒裕电缆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外两用通信光缆及电缆
CN112117032A (zh) * 2020-08-06 2020-12-22 江苏亨通海洋光网系统有限公司 一种柔性零浮力光电复合拖曳缆
CN113327707A (zh) * 2021-06-11 2021-08-31 青岛大学 一种轻量化、高强度光电脐带缆
CN114420351A (zh) * 2022-01-21 2022-04-29 富通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水下的光电复合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703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703B1 (ko)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EP1691378B1 (en) Deep water signal cable
CN202855430U (zh) 一种海洋工程水下承荷初级脐带电缆
KR102278052B1 (ko) 복합 하네스
KR102531841B1 (ko) 부력 광전복합 케이블
CN102930926A (zh) 一种海洋脐带电缆
GB1594702A (en) Armoured cables
CN113386903B (zh) 弹性系泊缆及海洋观测系统
JP6398089B2 (ja) 電気ケーブル
CN114400107A (zh) 一种系留光电复合电缆及其制备方法
CN212181953U (zh) 一种光电复合柔性拖令电缆
CN215118367U (zh) 纵向水密水下机器人零浮力漂浮电缆
SE502801C2 (sv) Elektrisk kabel av flerskiktstyp
CN212365567U (zh) 一种舰船用高强度耐低温耐老化电缆
CN218384598U (zh) 一种新型复合脐带电缆
JP2019179593A (ja) 3芯海底電力ケーブル
CN217690542U (zh) 水下机器人用纵向水密零浮力漂浮电缆
JPH11213779A (ja) 移動体に連結される光複合電力ケーブルとその使用方 法
CN210956210U (zh) 海洋资源探测电缆
CN210575154U (zh) 一种水下机器人连接电缆
CN210777911U (zh) 一种水下中性浮力电缆
CN218384576U (zh) 一种高强度抗拉网电复合水密电缆
CN217788039U (zh) 一种乙丙橡胶绝缘氯化聚乙烯护套耐腐蚀橡套软电缆
CN213123920U (zh) 一种防水与防老化的一体式电力电缆
CN111564250B (zh) 光电复合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