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328A - 휴대용 모발 관리 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모발 관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328A
KR20190037328A KR1020197007180A KR20197007180A KR20190037328A KR 20190037328 A KR20190037328 A KR 20190037328A KR 1020197007180 A KR1020197007180 A KR 1020197007180A KR 20197007180 A KR20197007180 A KR 20197007180A KR 20190037328 A KR20190037328 A KR 20190037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slot
actuator
coll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115B1 (ko
Inventor
다니엘 존 톰슨
로런 엘리스 페어홀름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1397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373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2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 A45D2/2457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with sli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2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 A45D2/30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with slide as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Enhancing with he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Hair brush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Hair Curl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Brush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휴대용 기구가 개시되고, 이 기구는 본체 및 부착물을 가지며, 본체는 슬롯과 액츄에이터를 갖는 부착 기구를 포함하며, 부착물은 슬롯과 결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를 가지며, 돌출부가 슬롯과 결합함에 따라,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쪽으로 움직인다. 제 1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롯을 보이지 않게 한다. 액츄에이터는, 돌출부가 슬롯과 결합할 때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표면은 제 2 위치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돌출부가 슬롯 내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을 때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 쪽으로 되돌아간다.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 쪽으로 편향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모발 관리 기구
본 발명은 휴대용 기구, 특히 고온 스타일링 장치와 같은 모발 관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온 스타일링 기구에서, 공기는 팬 유닛에 의해 입구 안으로 흡인되고 출구에 의해 모발 쪽으로 보내진다. 종종, 한 기구에는 서로 다른 부착물이 제공되는데, 각 부착물은 다른 출구 및 다른 기능, 예컨대 건조, 말림 또는 볼륨화를 갖는다. 원하는 스타일에 따라, 공기는 가열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부착물은 강모(bristle)를 포함할 수 있고, 모발이 스타일링을 위해 이 강모 상에 감겨 유지된다.
기구와 부착물에는 연결 기구가 제공되며, 이 연결 기구는, 부착물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구가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터로크를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한 문제는, 모발이 필요시 쉽게 제거 가능한 부착물로 인장을 받을 때를 위해 부착물과 기구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구를 제공하고, 이 기구는 본체 및 부착물을 가지며, 상기 본체는 슬롯과 액츄에이터를 갖는 부착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물은 상기 슬롯과 결합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롯과 결합함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슬롯을 보이지 않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돌출부가 슬롯과 결합할 때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면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상기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슬롯 내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 쪽으로 되돌아간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위치 쪽으로 편향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액츄에이터는 상기 부착물을 본체에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 본체는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슬롯은 상기 본체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또한 본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돌출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결합하는 제 1 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면은 액츄에이터의 상기 표면과 결합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체는 외면과 내면을 갖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내면에 형성된 폐쇄된 채널이고, 채널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된 단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오목부는 상기 슬롯의 벽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롯의 벽과 결합하는 제 2 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2 면은 만곡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돌출부가 오목부와 결합할 때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 기구는 상기 제 2 단부에 인접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체는 외면과 내면을 갖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에서 상기 벽은 상기 내면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모따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외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모따기부는 벽의 내면으로부터 제 2 단부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단부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벽은 본체의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각도를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부착물은 부착물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그 칼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부착물은 유체 출구 및 칼라를 포함하며, 유체 출구와 칼라 사이에 플랜지가 제공되어 있고, 이 플랜지는 유체 출구와 칼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물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제 1 단부에 인접해 있고 상기 칼라는 추가 모따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모따기부는 칼라와 플랜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모따기부는 상기 부착물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칼라의 원위 단부에 있다.
바람직하게, 추가 모따기부는 상기 칼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부착물의 제 2 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부착물이 본체에 부착될 때, 상기 본체에 있는 모따기부 및 상기 부착물에 있는 추가 모따기부가 서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휴대용 기구를 제공하고, 이 기구는 본체 및 부착물을 가지며, 상기 본체는 부착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 기구는 상기 제 2 단부에 인접해 있고, 본체는 외면과 내면을 갖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에서 상기 벽은 상기 내면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모따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모따기부는 벽의 내면으로부터 외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부착물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칼라가 상기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부착물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칼라는 추가 모따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부착물의 유체 출구와 칼라 사이에 플랜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칼라와 플랜지 사이에 모따기부가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추가 모따기부는 상기 부착물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칼라의 원위 단부에 있다.
바람직하게, 추가 모따기부는 상기 칼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부착물의 제 2 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부착물이 본체에 부착될 때, 상기 본체에 있는 모따기부 및 상기 부착물에 있는 추가 모따기부가 서로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휴대용 기구는 액츄에이터와 결합하는 사용자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움직여 상기 본체로부터 부착물의 제거를 쉽게 해준다.
바람직하게, 휴대용 기구는 제 2 돌출부와 제 2 슬롯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 2 돌출부와 제 2 슬롯은 상기 돌출부와 슬롯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돌출부는 상기 슬롯이 아닌 제 2 슬롯과 상호 작용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 3 돌출부와 제 4 돌출부 및 제 3 슬롯과 제 4 슬롯이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 4 돌출부는 상기 슬롯 또는 제 3 슬롯이 아닌 상기 제 2 슬롯 또는 제 4 슬롯과 상호 작용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돌출부, 제 2 돌출부, 제 3 돌출부 및 제 4 돌출부 각각은 상기 부착물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슬롯, 제 2 슬롯, 제 3 슬롯 및 제 4 슬롯 각각은 상기 본체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4개의 돌출부와 4개의 슬롯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4개의 돌출부와 4개의 슬롯은 각각 부착물의 칼라와 본체의 부착 칼라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있다. 바람직하게, 한쌍의 돌출부와 한쌍의 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치수에 있어서 다른 쌍의 돌출부 및 한쌍의 슬롯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한쌍의 돌출부 또는 한쌍의 슬롯은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한쌍의 돌출부는 다른 쌍의 돌출부 보다 더 작은 거리로 칼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 쌍의 슬롯은 다른 쌍의 슬롯 보다 작은 거리로 본체의 벽의 내면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는, 더 작은 쌍의 슬롯과 돌출부가 정렬될 때 부착물은 2개의 배향으로만 본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휴대용 기구는 모발 관리 기구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모발 관리 기구는 고온 스타일링 기구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기구의 액츄에이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 기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부착물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부착물에 사용되는 돌출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기구의 다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6a는 슬롯 내부에 있는 돌출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슬롯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7은 기구에 부착되어 있을 때 부착물의 측면도를 통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부착물의 확대된 일부분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기구가 이용될 수 있는 기구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부착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의 부착 기구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기구를 나타낸다.
도 9는 고온 공기 스타일링 장치(10)의 일 예를 부착물(20)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다른 스타일을 만들 수 있게 하고 또한 기구에 다기능성을 주기 위해, 부착물(20)은 제거될 수 있고 다른 부착물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부착물(20)은, 기구가 사용되지 않을 때 기구를 더 쉽게 보관할 수 있도록 제거될 수 있다. 고온 공기 스타일링 장치(10)는 외벽을 갖는 본체(210)를 포함하고, 이 본체는 손잡이로서 기능하고 제 1 단부(210a)에서 유체 입구(230)를 가지며, 그래서 유체가 본체(210)를 관류하여 부착물(20) 안으로 들어가 부착물(20)의 유체 출구(26)로 가게 된다. 손잡이의 유체 입구(230)에는, 일련의 구멍(232)이 손잡이(220) 주위에서 또한 그 손잡이를 부분적으로 따라 연장되어 있다. 내부(나타나 있지 않음)에는, 팬과 모터를 포함하는 팬 유닛이 있다. 사용시, 모터는 팬을 구동시키고 공기가 유체 입구(230)의 구멍(232)을 통해 흡인되어, 본체(210) 내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유체 유동 경로를 따르게 된다. 유체는 유체 출구(26)에서 고온 공기 스타일링 장치를 나가기 전에 가열기(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열된다. 기구(10)는 파워 케이블을 통해 전원에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본체(210) 내부에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유체 출구(26)는, 부착물(20)을 따라 또한 반경 방향으로 그 부착물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한다. 본체(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를 포함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온-오프 버튼, 온도 및/또는 유동 제어 설정부 및 본체(210)로부터 부착물(20)을 분리하기 위한 버튼(60)을 포함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90) 및 버튼(60)은 본체(210)에서 대략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다.
도 1a 내지 5를 참조하면, 휴대용 기구(10)의 일부분이 나타나 있다. 기구(10)는 벽(220)을 갖는 본체(210)를 갖는다. 이 본체(210)는 손잡이로서의 기능도 한다. 본체(210)는 부착 칼라(230)를 가지며, 이 부착 칼라(230)는 부착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 즉 부착물(20)에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0)와 결합하기 위해 부착 칼라(230)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232)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4개의 슬롯과 4개의 돌출부가 있다. 부착물은 유체 출구(26) 및 칼라(22)를 포함하고, 이 칼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0)가 연장되어 있다. 유체 출구(26)와 칼라(22) 사이에는 플랜지(234)가 있고, 이 플랜지(234)는 유체 출구(26)와 칼라(22) 모두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착물(20)은 벽(24)을 포함하고, 이 벽은 반경 방향 내측 표면(24a) 및 반경 방향 외측 표면(24b)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외측 표면(24b)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착물(20)을 본체(210)에 고정하기 위해, 부착물(20)이 부착 칼라(230)에 주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0)가 적어도 하나의 슬롯(232)과 정렬될 때까지 회전된다.
특히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각 슬롯(232)은 부착 칼라(230)의 끝면(242)에서 개구(236)을 갖는다. 개구(236)는 편리하게 원추형이고, 끝면(242)에서 필요한 것 보다 큰 구멍을 가지고 있어 돌출부가 슬롯 안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게 해준다. 슬롯(232)은 항상 부착 칼라(230) 주위에서 만곡되어 있으며, 따라서, 돌출부(30)는 슬롯(232) 안으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 슬롯(232)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비틀리게 된다. 슬롯(232)은 반경 방향으로 본체(210) 주위에서 또한 축방향으로 본체(210)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슬롯(232a)은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하고, 이 액츄에이터는, 사용자가 부착물을 변경하고자 하거나 보관을 위해 부착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까지 부착물(20)을 본체(210)에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액츄에이터(50)는, 돌출부(30)를 슬롯(232a) 내에 물리적으로 유지시키는 제 1 부분(52) 및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부분(54)을 갖는다. 본체(210)는 길이 방향 축선(X-X)을 가지며, 액츄에이터(50)는 이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은 슬롯(232a)과 결합하고 이 슬롯(232a)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은, 돌출부(30)가 슬롯(232a)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액츄에이터(50)를 움직일 때까지 돌출부(30)를 슬롯(232a)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체(210)는, 부착 칼라(230)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구멍(110), 및 벽(220)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 2 구멍(212)을 포함한다. 제 1 구멍(110)은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제 1 구멍(212)은 액츄에이터(50)의 제 2 부분(54)과 스프링(214)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스프링(214)은 부착 칼라(230)로부터의 제 2 부분(54)의 원위 단부(54a)와 부착 칼라(230)로부터의 제 2 구멍(212)의 원위 단부(212a)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액츄에이터(50)와 제 2 구멍(212)에 유지 피프(pip)(216)가 제공되어 있고, 이 유지 피프에는 스프링(214)의 각각의 단부가 배치된다(도 3에는 스프링이 나타나 있지 않음). 스프링(214)은 액츄에이터(50)를 부착 칼라(232) 쪽으로 편향시킨다.
이 실시 형태에서, 액츄에이터(50)의 제 2 부분(54)은 직사각형이고 발부(56)를 가지며, 이 발부는 제 1 구멍(212)의 두 가장자리를 따라 제공되어 있는 레지(ledge)(218)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액츄에이터(50)가 제 1 구멍(212)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때 그 액츄에이터를 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편향은 사용자가 스프링(214)의 힘에 대항하여 액츄에이터(50)를 슬라이딩시켜 극복된다.
사용자가 액츄에이터(50)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버튼(60)이 제공된다. 버튼(60)은 액츄에이터(50)의 제 2 부분(54) 내에 있는 오목부(58)와 결합하는 돌출부(62)를 갖는다. 본체(210)는 벽(220)을 가지며, 이 벽에는 액츄에이터(50)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구멍(212)이 위치되어 있다. 본체(210)는 또한 외부 관(222)을 가지며, 이 관은 반경 방향으로 벽(220)의 외주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잡는 것은 외부 관(222)이다. 이 외부 관(222)은 다른 구멍(224)을 포함하며, 버튼(60)이 그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버튼(60)은 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50)에 부착되어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액츄에이터(50)를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제 2 버튼(54)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이다. 제 1 부분(52)은 복수의 다른 영역을 갖는다. 제 1 부분(52)은 제 2 부분(54) 보다 단면이 작고, 첫째, 제 1 부분이 슬롯(232) 내에서 움직임에 따라, 제 1 부분(52)이 슬롯(232)의 크기 및 이 슬롯(232)과 결합하는 돌출부(30)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둘째, 제 2 부분(54)은 버튼(60)을 위한 또한 사용자가 결합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그래서 더 넓은 부분이 더 안정적이다.
제 1 부분(52)은, 제 1 부분(5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본체(210)의 길이 방향 축선(X-X)과 정렬되는 제 1 측면(52a)을 가진다. 제 1 부분(52)은, 제 2 부분(54)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대체로 직사각형이며 제 2 부분(54) 보다 좁은 제 1 영역(150)을 갖는다.
제 2 영역(152)이 제 1 영역(15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일 측면(152a)을 가지며, 이 측면은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있어, 제 1 부분(52)은 이 제 2 영역(152)에서 좁게 되어 있어 쐐기형을 나타낸다. 일 측면(152a)은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8 내지 59°의 각도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20 내지 57°의 각도를 이루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33.3°의 각도를 이룬다.
제 3 영역(154)이 제 2 영역(15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본체(210)의 길이 방향 축선(X-X)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일 측면(154a)을 가지고 있다. 제 2 부분(54)으로부터의 제 1 부분(52)의 원위 단부에는 표면(156)이 제공되어 있다. 이 표면(156)은 액츄에이터의 끝면이고, 제 1 측면(52a)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데, 이에 대해서는 특히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액츄에이터(50)는 액츄에이터(50)의 두께에 있어 불균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50)의 제 2 부분(54)은 버튼(60)의 돌출부(62)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58)에서 떨어져서 공칭 두께(t1)를 갖는다. 제 1 부분(52)은 처음에 제 2 부분(54) 보다 얇은 t2 이고, 그리고 액츄에이터의 표면(156) 쪽에서 t3 로 두꺼워진다. 얇은 중심 부분(80)은 부착 칼라(230)에 제공되어 있는 제 1 구멍(110)을 통해 움직인다. 그 중심 부분은 얇아서 제 1 구멍(110)은 작을 수 있고 그래서 부착 칼라(230)의 구조적 무결성이 훼손되지 않는다. 2개의 두꺼운 부분은 액츄에이터(50)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스탑부를 제공한다. 제 1 부분(52)과 제 2 부분(54) 사이에서 액츄에이터(50)의 두께 감소로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과 제 2 부분(54)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액츄에이터(50)의 제 2 부분(54)의 끝벽(64)은 액츄에이터(50)의 제 2 부분(54)을 제 2 구멍(212) 내부에 유지시킨다.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의 표면(156) 쪽에서 액츄에이터는 두꺼워진다(66). 이 예에서, 이러한 두께 증가는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의 내면(52a)에 있다. 이리하여, 사용자가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을 제 1 구멍(110) 밖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부착 칼라(230)에 있는 제 1 구멍(110)은 안내 채널이고, 이 안내 채널은, 스탑부(끝벽(64) 및 국부적인 두꺼운 부분(66))와 함께, 부착 칼라(230), 제 2 구멍(212) 및 외부 관(222)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에 액츄에이터를 유지한다.
도 1a는 본체(210)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물(20)을 보여준다. 도 1b는 부착물(20)이 본체(210)에 부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보여준다. 스프링(214)의 작용으로, 액츄에이터는 도 1a에 나타나 있는 제 1 위치로 편향되고, 이 위치에서, 액츄에이터(50)의 제 2 부분(54)의 끝벽(64)은 부착 칼라(230)에 인접하고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은 슬롯(232a)을 보이지 않게 한다.
액츄에이터(50)의 표면(156)은 본체(210)의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슬롯(232a)의 만곡을 닮아 있다. 따라서, 돌출부(30)가 슬롯(232a) 안으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 액츄에이터(50)는 본체(210)의 길이 방향 축선(X-X)을 따라 제 2 위치(도 1b) 쪽으로 밀린다. 이리하여, 슬롯(232a)이 열리고 돌출부(30)가 슬롯(232a)에 들어갈 수 있다. 돌출부(30)가 액츄에이터(50)의 표면(156)을 지나가면,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 쪽으로 되돌아간다.
각 슬롯(232, 232a)은 벽(220)의 내면(220a) 내부에 있는 폐쇄된 채널이고, 부착 칼라(230) 내부에 위치된다. 슬롯(232a)은 돌출부(3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36)를 가지며, 이 개구는 부착 칼라(230)의 원주를 따라 또한 부분적으로 그 원주 주위로 채널의 단부(238)까지 만곡되어 있다. 채널의 단부(238)는 돌출부(30)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오목부(240)를 제공한다. 오목부(240)는 슬롯(232a)의 벽(130)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위치에서, 액츄에이터(50)는, 액츄에이터(50)의 제 2 영역(152), 특히 각져 있는 측면(152a)이 돌출부(30)를 단부(238) 쪽으로 오목부(240) 안으로 밀어넣을 때 돌출부(30)가 슬롯(232a)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착물(20)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버튼(60)을 부착 칼라(230)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시킨다. 이러면, 슬롯(232a)이 액츄에이터(50)에 의해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까지 액츄에이터(50)가 스프링(214)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제 2 구멍(212) 내부에서 움직이고 또한 슬롯(232a)에 대해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을 움직이게 되고, 또한 돌출부(30)가 슬롯(232a)을 따라 슬롯 개구(236)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돌출부는 제 1 면(32)을 가지며, 액츄에이터(50)가 슬롯(232a)에 주어질 때 그 제 1 면은 액츄에이터(50)와 결합하게 된다. 돌출부는, 오목부(240) 내부에 끼워지도록 헤주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 2 만곡 면(34)을 갖는다. 이 예에서, 돌출부(30)는 눈물 방울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부착물(20)은, 부착물이 본체에 부착되면 본체(210)의 길이 방향 축선(X-X)에 평행한 길이 방향 축선(Y-Y)을 갖는다. 돌출부(30)의 제 1 면(32)은 부착물(20)의 길이 방향 축선(Y-Y)에 평행하다.
만곡된 슬롯(232, 232a)이 있다는 것은, 전통적인 베이요넷 끼워맞춤에 대해 유리한 것이다. 베이요넷 끼워맞춤은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2개의 부분을 가지며, 사용자는 제 1 축선을 따라 밀고 제 2 축선 주위로 비틀어 부착을 일으키게 된다. 이 결과, 비교적 큰 부착 기구가 얻어지는데, 이 부착 기구는 부착을 유지하는 피팅 내부에서의 경로 길이와 방향 변화에 의존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만곡된 슬롯 및 액츄에이터에 의해, 사용자는, 돌출부(30)의 제 1 면(32)이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액츄에이터(50)의 측면(152a)을 우회할 때까지만 제 1 축선을 따라 밀 수 있다. 이 후에, 스프링(214)의 편향 작용에 의해,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이 슬롯 개구(236) 쪽으로 움직이고 돌출부(30)를 슬롯(232a)에 형성된 오목부(240) 안으로 밀어 넣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교적 짧은 양만큼 부착물(20)을 본체(210) 상으로 밀기만 하면 되고 그런 다음에 액츄에이터(50)의 운동이 완료된다. 스프링(214)의 작용에 의해,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은 돌출부(30)를 오목부(240) 쪽으로 밀게 된다.
추가로, 만곡된 슬롯 및 액츄에이터가 있음으로해서, 전통적인 베이요넷 피팅에 비해 비교적 짧은 경로 길이가 얻어지고, 그래서 부착 칼라(232)는 아마도 한 팩터 또는 2배 또는 3배 더 짧게 상당히 더 작을 수 있다.
각져 있는 측면(152a)을 갖는 액츄에이터(50)의 사용은 본체(210)에서의 부착물(20)의 안정성에 도움이 된다. 액츄에이터(50) 및 특히 측면(152a)은 돌출부(30)를 슬롯(232a)의 끝에 있는 오목부(240) 안으로 밀어 넣고, 돌출부(50), 슬롯(232a)와 액츄에이터(50)의 크기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이 이들 차이에 따라 슬롯(232a)에 대해 약간 다른 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부착물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다른 특징을 특히 도 4b,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부착물(20) 및 본체(210) 상의 부착 칼라(230)는 각각의 짝지움 면(120a, 120b)을 갖는다. 부착물(20)의 짝지움 면(120a)은 부착물의 길이방향 축선(Y-Y)에 대해 각도를 이룬다. 부착 칼라(230)의 짝지움 면(120b)은 기구의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각도를 이룬다. 양 짝지움 면(120a, 120b)은 반경 방향으로 부착물(20) 또는 부착 칼라(230) 주위로 연장되어 있는 모따기부(26, 222)로서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짝지움 면(120a, 120b)은 부착물의 길이 방향 축선(Y-Y) 또는 기구의 길이 방향 축선(X-X)에 대해 동일하지만 반대되는 경사각을 갖는다.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각도는 반대이어야 하며, 그래서 각도는 일치하지만 정확히 동일한 각도일 필요는 없다. 각도는 1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40°일 수 있다. 부착물(20)이 본체(210)에 주어질 때, 돌출부(30)가 먼저 슬롯(232, 232a)과 정렬된다. 돌출부(30)는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의 제 3 영역(154)을 지나 밀리면, 액츄에이터(50)의 제 1 부분(52)의 제 2 영역(152)에 의해 채널의 단부(238)에 형성된 오목부(240) 쪽으로 자동으로 밀리게 된다.
본체(210)는 제 1 단부(210a) 및 제 2 단부(210b)를 가지며, 부착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부착 칼라(230)가 제 2 단부(210b)에 인접해 있다. 본체는 외면(220b)과 내면(220a)을 갖는 벽(220)을 가지며, 제 2 단부(210b)에서 벽 (220)은 내면(220a)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모따기부(222)를 포함한다. 모따기부(222)는 내면(220a)으로부터 외면(220b) 쪽으로 또한 제 2 단부(210b)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착물(20)은 본체(210)에 부착되는 제 1 단부(20a) 및 본체(210)에서 멀리 있는 제 2 단부(20b)를 갖는다. 제 1 단부(20a)에서, 칼라(22)가 부착물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30)는 칼라(22)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부착물의 벽(24)의 외면(24b)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칼라(22)와 유체 출구(26) 사이에는 플랜지(234)가 제공되어 있다. 플랜지(234)는 부착물(20)의 외면(24b)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칼라(22)는 플랜지(234)와 칼라(22)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추가 모따기부(26)를 포함한다. 추가 모따기부(26)는 칼라(2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부착물(20)의 제 2 단부(20b)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추가 모따기부(26)는 짝지움 면(120a, 120b)이 생기도록 모따기부(222)에 대해 반대로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부착물(20)이 본체(210)에 부착되면, 본체(210)에 있는 모따기부(222) 및 부착물(20)에 있는 추가 모따기부(26)가 서로 결합된다.
본체(210)에 대한 부착물(20)의 이러한 추가의 자동적인 비틀림이 일어날 때, 부착물(20)의 짝지움 면(120a, 120b) 및 부착 칼라(230)가 부착물(20) 및 부착 칼라(230)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결합하여, 부착물(20)을 본체(210)에 더 고정시킨다. 짝지움 면(120a, 120b)과 함께 돌출부(30)의 상이한 면(32, 34)과 결합하는 상이한 표면(156, 154a, 152a)을 갖는 액츄에이터의 사용은, 부착물(20)과 본체(210) 사이의 자기 조임 조인트를 제공하여, 부착물과 본체가 서로 결합될 때 이들 사이의 흔들림을 줄여준다. 이는, 부착물(20)과 본체(210)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에 접선 방향 힘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 중에 모발이 부착물 주위에 감기는 실시 형태에 특히 유용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 부착물(20)은 어떤 배향으로도 본체(210)에 부착될 수 있다. 어떤 실시 형태의 경우, 부착물은 더 적은 수의 배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제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부착물(70)은 단일 유체 출구(72)에서 나가는 지향성 유동을 갖는다. 더 적은 수의 배향을 얻는 일 방법은, 찍지워진 쌍으로서 돌출부(140, 142)와 슬롯(144, 146)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쌍의 돌출부(140)가 제 2 쌍의 돌출부(142) 보다 칼라(22)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24b)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쌍의 돌출부(140)는 제 2 쌍의 돌출부(142) 보다 더 돌출해 있다. 제 1 쌍의 슬롯(144)이, 제 2 쌍의 슬롯(146) 보다 벽(220)의 내면(220a) 안으로 반경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되어 있는 채널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쌍의 슬롯(144)은 제 2 쌍의 슬롯(146) 보다 더 큰 깊이를 갖는다. 제 2 쌍의 돌출부(142)가 제 1 쌍의 슬롯(144) 및 제 2 쌍의 슬롯(146) 안으로 끼워질 것이지만, 제 1 쌍의 돌출부(140)는 제 1 쌍의 슬롯(144) 안으로만 끼워질 것이다. 이리하여, 본체(210)에 대한 부착물(20)의 배향의 수가 2로 제한된다. 따라서, 배향은 버튼(6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0)와 정렬되는 단일 유체 출구(72)에 제한될 수 있어, 사용자가 그립을 변경함이 없이 버튼(6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90)에 접근할 수 있으면서 기구를 잡는 편안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8에 나타나 있는 부착물의 경우, 플랜지(234)는, 부착물(20)이 본체(210)에 부착될 때 보일 수 있는 외부 부분이다. 도 9 및 11에서, 플랜지는 외벽의 두께 내부에 오목하게 되어 있는 내부 부분이다. 양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고온 스타일링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유체를 흡인하여 그 유체를 기구로부터 유출시키는 어떤 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가열기와 함께 또는 가열기 없이 사용될 수 있고, 고속으로 일어나는 유체의 유출 유동의 작용은 건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기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일반적으로 공기이지만, 가스의 다른 조합물 또는 가스일 수 있고, 기구의 성능 또는 출력물이 보내지는 대상물(예컨대, 모발) 및 그 모발의 스타일링에 기구가 주는 영향을 개선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주어진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 변화가 명백할 것이다.

Claims (40)

  1. 휴대용 기구로서, 본체 및 부착물을 가지며, 상기 본체는 슬롯과 액츄에이터를 갖는 부착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물은 상기 슬롯과 결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롯과 결합함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쪽으로 움직이는, 휴대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액츄에이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슬롯을 보이지 않게 하는, 휴대용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돌출부가 슬롯과 결합할 때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상기 제 2 위치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상기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휴대용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슬롯 내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 1 위치 쪽으로 되돌아가는, 휴대용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위치 쪽으로 편향되는, 휴대용 기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부착물을 본체에 유지시키는, 휴대용 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슬롯은 상기 본체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또한 본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결합하는 제 1 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은 액츄에이터의 상기 표면과 결합하는, 휴대용 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면과 내면을 갖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내면에 형성된 폐쇄된 채널이고, 채널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된 단부를 갖는, 휴대용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슬롯의 벽에 의해 형성되는, 휴대용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슬롯의 벽과 결합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은 만곡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돌출부가 오목부와 결합할 때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표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 기구는 상기 제 2 단부에 인접해 있는, 휴대용 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면과 내면을 갖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에서 상기 벽은 상기 내면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외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부착물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그 칼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는 상기 제 1 단부에 인접해 있고 상기 칼라는 추가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부착물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칼라의 원위 단부에 있는, 휴대용 기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모따기부는 상기 칼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부착물의 제 2 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23.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을 인용할 때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이 본체에 부착될 때, 상기 본체에 있는 모따기부 및 상기 부착물에 있는 추가 모따기부가 서로 결합하는, 휴대용 기구.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와 결합하는 사용자 조작 버튼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움직여 상기 본체로부터 부착물의 제거를 쉽게 해주는, 휴대용 기구.
  26. 휴대용 기구로서, 본체 및 부착물을 가지며, 상기 본체는 부착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 기구는 상기 제 2 단부에 인접해 있고, 본체는 외면과 내면을 갖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에서 상기 벽은 상기 내면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부는 제 2 단부 쪽으로 상기 내면으로부터 외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칼라가 상기 제 1 단부에 인접하여 부착물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칼라는 추가 모따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모따기부는 상기 부착물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칼라의 원위 단부에 있는, 휴대용 기구.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모따기부는 상기 칼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부착물의 제 2 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31. 제 28 항 또는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이 본체에 부착될 때, 상기 본체에 있는 모따기부 및 상기 부착물에 있는 추가 모따기부가 서로 결합하는, 휴대용 기구.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돌출부와 제 2 슬롯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구.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와 제 2 슬롯은 상기 돌출부와 슬롯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슬롯이 아닌 제 2 슬롯과 상호 작용하는, 휴대용 기구.
  35. 제 3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돌출부와 제 4 돌출부 및 제 3 슬롯과 제 4 슬롯이 제공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돌출부는 상기 슬롯 또는 제 3 슬롯이 아닌 상기 제 2 슬롯 또는 제 4 슬롯과 상호 작용하는, 휴대용 기구.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제 2 돌출부, 제 3 돌출부 및 제 4 돌출부 각각은 상기 부착물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제 2 슬롯, 제 3 슬롯 및 제 4 슬롯 각각은 상기 본체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휴대용 기구.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모발 관리 기구인, 휴대용 기구.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관리 기구는 고온 스타일링 기구인, 휴대용 기구.
KR1020197007180A 2016-09-01 2017-08-17 휴대용 모발 관리 기구 KR102158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14825.6 2016-09-01
GB1614825.6A GB2553516B (en) 2016-09-01 2016-09-01 A handheld appliance
PCT/GB2017/052427 WO2018042154A1 (en) 2016-09-01 2017-08-17 A handheld hair care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328A true KR20190037328A (ko) 2019-04-05
KR102158115B1 KR102158115B1 (ko) 2020-09-21

Family

ID=5713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180A KR102158115B1 (ko) 2016-09-01 2017-08-17 휴대용 모발 관리 기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1589660B2 (ko)
EP (2) EP4218492A3 (ko)
JP (1) JP6723961B2 (ko)
KR (1) KR102158115B1 (ko)
CN (3) CN115670101A (ko)
AU (1) AU2017318546B2 (ko)
BR (1) BR112019004005A2 (ko)
CA (1) CA3035152A1 (ko)
GB (1) GB2553516B (ko)
MX (1) MX2019002395A (ko)
RU (1) RU2703852C1 (ko)
SG (1) SG11201901303WA (ko)
TW (1) TWM564382U (ko)
WO (1) WO20180421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3737B1 (en) 2021-11-12 2023-05-23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3516B (en) * 2016-09-01 2020-01-08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KR102532472B1 (ko) * 2018-09-19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라이어
WO2022100037A1 (zh) * 2020-11-10 2022-05-19 深圳市华思旭科技有限公司 无线吹风机
USD1021238S1 (en) 2022-06-02 2024-04-02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0339A1 (en) * 1994-01-29 1995-08-03 Mark Vasey A hairstyl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0527A (en) * 1945-10-27 1948-10-05 P & V Quicklocking Co Semiautomatic coupling
US3280439A (en) 1964-04-16 1966-10-25 Norco Inc Mechanical coupling
US3253310A (en) * 1965-05-04 1966-05-31 Norco Inc Releasable two-part fastener
US3322144A (en) * 1965-06-30 1967-05-30 Sunbeam Corp Hair dryer curling attachment
US3362050A (en) * 1966-04-15 1968-01-09 Norco Inc Concentric tube releasable clasp
JPS4513287Y1 (ko) 1966-10-05 1970-06-08
US3771186A (en) * 1972-04-17 1973-11-13 Sophindar Ets Hydraulically operated hand appliance for personal hygiene
US3903904A (en) * 1973-01-16 1975-09-09 Sunbeam Corp Heated comb with mist feature
US3955064A (en) * 1974-05-23 1976-05-04 Le Salon Bruno Demetrio Ltd. Hair styling iron having interchangeable heating tips
DE2504237C3 (de) 1975-02-01 1982-01-07 Braun Ag, 6000 Frankfurt Elektrisches Haarbehandlungsgerät
US4034201A (en) 1975-04-28 1977-07-05 Clairol Incorporated Steam curling iron having interchangeable hair winding mandrels
DE2602609A1 (de) 1976-01-24 1977-07-28 Braun Ag Haarbehandlungsgeraet
DE2822989A1 (de) 1978-05-26 1980-02-21 Braun Ag Lockenstab
JPS6057326B2 (ja) * 1980-01-11 1985-12-14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
JPS59186505U (ja) 1983-05-30 1984-12-1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シリンダ
DE3620910A1 (de) 1986-06-21 1987-12-23 Braun Ag Elektrisch beheizbarer lockenstab
DE3723063A1 (de) 1987-07-11 1989-01-19 Forfex Popp A Haarpflegegeraet Haartrockner
JP2573247B2 (ja) 1987-09-14 1997-01-22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ール器のコネクタ
US4887929A (en) * 1988-04-25 1989-12-19 Electric Eel Manufacturing Co., Inc. Cable coupler
JPH06237815A (ja) 1993-02-17 1994-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ヘアーカール器
US5346394A (en) * 1993-11-15 1994-09-13 Destefanis Mario P Molten wax applicator
US5464301A (en) * 1994-06-21 1995-1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Rotary latch
US6067724A (en) * 1997-07-28 2000-05-30 Depoyian; Jacques Interchangeable brush head hair dryer
US6029307A (en) * 1997-11-14 2000-02-29 Baudoin; Thomas Quick connect brush handle and multi-brush kit
US5887600A (en) * 1997-12-23 1999-03-30 Wilk; Sue Hair curling brush and method of using same
JP3010350B2 (ja) 1998-02-19 2000-02-21 ロゼンスター株式会社 携帯用ヘアーカーラー
US5992423A (en) * 1999-01-07 1999-11-30 Tevolini; Gennaro Detachable hairbrush
FR2789880B1 (fr) * 1999-02-19 2001-05-04 Seb Sa Piece complementaire pour plaque de base d'un suceur d'aspirateur
JP2001353020A (ja) * 2000-06-13 2001-12-25 Yodogawa Denki Seisakusho:Kk ブラシ付ヘアードライヤー
US6502585B1 (en) * 2000-10-26 2003-01-07 Gino Mazzei Hairstyling device having coupling and interchangeable heads
KR100446050B1 (ko) * 2001-06-14 2004-08-30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헤어드라이어
DE10239716A1 (de) 2002-08-29 2004-03-11 Braun Gmbh Schaltvorrichtung für beheizbare Geräte des persönlichen Bedarfs
TWM259504U (en) 2004-01-16 2005-03-21 Jui-Chang Wang Rotating air hairbrush
US20050284856A1 (en) 2004-06-17 2005-12-29 Helen Of Troy Limited Rechargeable hair styling appliances and charging stand
US7296580B1 (en) * 2005-09-12 2007-11-20 Donna Sbardella Hair styling apparatus
JP4577722B2 (ja) 2005-10-12 2010-11-10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セッター
US20080202545A1 (en) * 2005-11-15 2008-08-28 Purvis Jonna M Hair Brush Systems
JP4821557B2 (ja) 2006-10-23 2011-11-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ケーブル連結構造
US20080105274A1 (en) * 2006-11-02 2008-05-08 Kennedy Stacey M Hairbrush/roller combination
DE102009053966A1 (de) * 2009-11-19 2011-05-26 Maquet Gmbh & Co. Kg Anordn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Zubehörteils mit einem Operationstisch
US20120152272A1 (en) * 2010-12-03 2012-06-21 Felix Solovey Ez roller brush
US8490250B2 (en) * 2010-12-06 2013-07-23 Tcm Consulting Llc Interlocking extension poles and tool holder
US20130025106A1 (en) * 2011-07-26 2013-01-31 Hernandez-Laines Alan I Retention mechanism to retain a concentrator nozzle to a hair blow dryer air discharge outlet to prevent the concentrator nozzle from inadvertently detaching from the outlet during operation of the hair blow dryer
TW201440734A (zh) * 2012-12-11 2014-11-01 Colgate Palmolive Co 口腔保健用具
US10549060B2 (en) * 2013-06-25 2020-02-04 ResMed Pty Ltd Outlet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RU2652925C1 (ru) 2014-03-20 2018-05-03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Насадка для ручного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GB2526768B (en) 2014-03-20 2017-02-15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GB2533323B (en) 2014-12-16 2017-12-20 Dyson Technology Ltd Hand held appliance
US10143284B2 (en) * 2015-03-12 2018-12-04 Jacques Depoyian Hair dryer apparatus
GB2553516B (en) 2016-09-01 2020-01-08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0339A1 (en) * 1994-01-29 1995-08-03 Mark Vasey A hairstyling a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3737B1 (en) 2021-11-12 2023-05-23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US11832700B2 (en) 2021-11-12 2023-12-05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4005A2 (pt) 2019-06-04
US20180055182A1 (en) 2018-03-01
GB2553516A (en) 2018-03-14
JP2018033968A (ja) 2018-03-08
EP4218492A2 (en) 2023-08-02
WO2018042154A1 (en) 2018-03-08
EP3506786A1 (en) 2019-07-10
CN107788666B (zh) 2022-11-11
US11589660B2 (en) 2023-02-28
RU2703852C1 (ru) 2019-10-22
SG11201901303WA (en) 2019-03-28
EP3506786B1 (en) 2023-03-15
AU2017318546B2 (en) 2020-07-16
CN207927983U (zh) 2018-10-02
JP6723961B2 (ja) 2020-07-15
CN107788666A (zh) 2018-03-13
AU2017318546A1 (en) 2019-02-28
KR102158115B1 (ko) 2020-09-21
GB201614825D0 (en) 2016-10-19
MX2019002395A (es) 2019-07-08
TWM564382U (zh) 2018-08-01
CA3035152A1 (en) 2018-03-08
US20230165352A1 (en) 2023-06-01
EP4218492A3 (en) 2023-09-06
CN115670101A (zh) 2023-02-03
GB2553516B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328A (ko) 휴대용 모발 관리 기구
US10575617B2 (e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US11071365B2 (e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KR102007215B1 (ko) 휴대용 기구를 위한 부착물
EP2869727B1 (en) An attachment for a hairdryer
GB2503686A (en) An attachment for a hairdryer
US20150265024A1 (en) Attachment for a hand held appliance
CN105795677A (zh) 用于手持式器具的附件
JP6712577B2 (ja) 手持ち式電気器具
US20180021487A1 (en) Suction head and aspirator apparatuses and combinations
US20180193786A1 (en) Hand held appliance
GB2565698A (en) A handheld appliance
HU227015B1 (en) Plug-in vacuum cleaner hose arrangement
JP2009254510A (ja) 電気掃除機用伸縮パイプ
KR20080067439A (ko) 미용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