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859A -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 Google Patents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859A
KR20190036859A KR1020170126277A KR20170126277A KR20190036859A KR 20190036859 A KR20190036859 A KR 20190036859A KR 1020170126277 A KR1020170126277 A KR 1020170126277A KR 20170126277 A KR20170126277 A KR 20170126277A KR 20190036859 A KR20190036859 A KR 2019003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ttery case
pouch
metal barrier
barri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222B1 (ko
Inventor
한형석
유형균
팽기훈
문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2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2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28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01M2/027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로서,
외부 수지층, 금속차단층 및 내부 밀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수지층과 금속차단층 사이, 및 상기 금속차단층과 내부 밀봉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착층이 더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차단층의 적어도 한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Pouch-Type Battery Case Comprising Metal Layer Having Concavo-convex Structure Surface}
본 발명은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라미네이트 시트를 구성하는 금속차단층의 양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그 에너지원인 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기에 부응할 수 있는 많은 형태의 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해지고 있다.
전지의 형상 면에서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라미네이트 시트는 크게 외부 피복층, 금속차단층 및 내부 밀봉층으로 구성된다. 전극조립체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를 라미네이트 시트에 성형하는 경우, 금속차단층의 외측면이 내측면 보다 더 크게 연신되면서 스트레스가 집중되고 크랙(crack)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정 깊이 이상의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전지케이스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전해액이 누액되어 전지셀의 사이클 특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안전성면에서 다양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 시트의 금속차단층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금속차단층을 둘러싸고 있는 고분자층에 의해 열전도성이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전지셀의 비정상적인 사용에 따른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거나, 전지셀의 폭발 내지 발화가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에는 알루미늄박층의 실란트층 측의 표면 거칠기를 나타내는 산술 평균 높이(Sa)가 4.6㎛ 이상 내지 10.0㎛ 이하인 알루미늄박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전지용 외장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표면에 조면화 처리하여 표면에서 두께 방향으로 해면상 공극이 형성된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외장재용 알루미늄박적층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발명에서 사용된 전지용 외장재는 알루미늄박층의 일측면에 일정한 크기의 표면 거칠기를 갖도록 처리함으로써 실란트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켰고, 특허문헌 2는 알루미늄박의 표면에 형성된 해면상 공극에 변성 폴리올레핀층의 수지가 침입하는 구조로서 알루미늄박층과 변성 폴리올레핀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전지케이스의 성형성 내지 전지셀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용 라미네이트 시트에 포함되는 금속차단층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전지셀 내부의 열을 배출하는 성능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7-126490 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12-21650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구성하는 금속차단층의 양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금속차단층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한 성형과정에서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코너부의 연장에 의해 스트레스가 밀집되는 것을 넓어진 표면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차단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넓어진 금속차단층의 표면적에 의해 열전도성이 향상되는 바, 전지셀 내부의 높아진 온도를 빠르게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로서,
외부 수지층, 금속차단층 및 내부 밀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수지층과 금속차단층 사이, 및 상기 금속차단층과 내부 밀봉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착층이 더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차단층의 양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양면에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하는 바, 금속차단층의 열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차단층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사용함에도 전지케이스의 절연성 및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차단층을 둘러싸고 있는 고분자층의 존재로 인하여 낮은 열전도성을 갖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차단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전체적인 전지케이스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전지셀의 부피 대비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금속차단층의 양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금속차단층의 표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단위 크기당 열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차단층의 양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지케이스의 성형 단계에서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깊이를 깊게 하더라도 코너부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전지케이스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지케이스의 성형성이 향상되며, 깊은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용량의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크랙 발생에 따라 전해액의 누액, 외부 물질의 유입 및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금속차단층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의 형태는 표면적이 증가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금속차단층의 표면에는 오목부 내지 볼록부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엠보싱 구조의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금속차단층의 평면 상에 반구 형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볼록부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밀집 배열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을 고려할 때, 상기 요철 구조는, 금속차단층의 양면 전체 부분에서 균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상기 반구 형태의 볼록부 서로 간에 이격 공간이 없도록 밀집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의 수직 단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반원형, 반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전지케이스용 라미네이트 시트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성형성이 더욱 우수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포함된 금속차단층의 두께는 일반적인 라미네이트 시트에 포함된 금속차단층의 두께에 비하여 더 넓은 범위로 선택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금속차단층의 두께는 2 ㎛ 내지 40 ㎛이다. 상기 금속차단층의 두께가 2 ㎛보다 작은 경우에는 수분 차단 등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40 ㎛보다 큰 경우에는 수분 차단 등의 효과가 더 증가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전지케이스의 두께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차단층의 두께는 20 ㎛ 내지 30 ㎛인 바, 일반적으로 금속차단층의 두께가 40 ㎛인 점을 고려할 때, 더 얇은 두께의 금속 차단층을 사용함에도, 상기 요철 구조로 인하여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바, 전지케이스의 두께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내부 밀봉층은 제 1 내부 밀봉층 및 제 2 내부 밀봉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내부 밀봉층은 금속차단층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층으로서 산성화 표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Acidified-Polypropylene, PPa)로 이루어지고, 제 2 내부 밀봉층은 상기 제 1 내부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하는 층으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성화 표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은 표면에 산성 작용기가 부착되도록 표면 개질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과 비교할 때 상기 금속차단층과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산성화 표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제 1 내부 밀봉층이 상기 금속차단층과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수지층은 제 1 외부 수지층 및 제 2 외부 수지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외부 수지층은 최외측에 위치하는 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외부 수지층은 상기 제 1 외부 수지층과 상기 금속차단층 사이에 위치하는 층으로서 연신 나일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차단층은 표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표면적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상기 요철 구조는 전지케이스의 성형단계에서 코너부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차단층의 외측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증가된 표면적에 골고루 분산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는 요철이 형성된 롤러를 이용한 롤 프레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롤러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과 간격에 대응되는 형상 및 간격의 요철 구조가 상기 금속차단층의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차단층의 표면에는 균일한 크기 및 간격을 갖는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전체 부분에서 균일한 성형성을 갖는 전지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접착층에는 열전도성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금속차단층의 외면과 접하는 접착층에 열전도성 물질이 추가됨으로써 열전도층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의 전지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열전도성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양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된 금속차단층을 2개 이상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금속차단층은 외부 수지층과 내부 밀봉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금속차단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더 포함되어 상기 금속차단층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차단층이 2개 이상의 복수개로 포함되는 경우, 전지케이스의 성형성 및 방열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전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예로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양면에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사용하여 금속차단층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바, 전지케이스의 성형시 연신되는 부분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성형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차단층의 표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전지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전지셀 내부에 생성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으며, 전지셀이 저온 환경에 있는 경우 전지케이스 외부에 발열장치를 부착하는 경우 전지셀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전지케이스에 포함되는 금속차단층의 수직 단면도의 다양한 예시이다.
도 4는 도 3의 금속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금속차단층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0)는 외부 수지층(101), 금속차단층(102) 및 내부 밀봉층(10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외부 수지층(101)과 금속차단층(102) 사이에는 접착층(104)이 더 포함되어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착층(104)은 금속차단층(102)과 내부 밀봉층(103)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외부 수지층(101)과 금속차단층(102) 사이 및 금속차단층(102)과 내부 밀봉층(103) 사이에 모두 위치할 수 있다.
금속차단층(102)의 양면에는 엠보싱 구조의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바, 금속차단층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도 2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00)는 제 1 외부 수지층(211), 제 2 외부 수지층(212), 금속차단층(221), 제 1 내부 밀봉층(231) 및 제 2 내부 밀봉층(23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 2 외부 수지층(212)과 금속차단층(221) 사이에는 접착층(213)이 위치한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접착층(213)은 금속차단층(221)과 제 1 내부 밀봉층(231) 사이에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제 2 외부 수지층(212)과 금속차단층(221) 사이 및 제 1 내부 밀봉층(231)과 금속차단층(221) 사이에 모두 위치할 수 있다.
금속차단층(221)의 양면에는 엠보싱 구조의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바, 금속차단층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포함되는 다양한 금속차단층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나의 금속차단층의 사시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속차단층(221, 222, 223)의 상면 및 하면에는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바, 요철(251)의 단면은 반타원형이고, 요철(252)의 단면은 반원형이며, 요철(253)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요철(251)과 요철(252)은 각각의 요철들 사이에 이격 공간이 없이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요철(253)은 요철들 사이에 이격 공간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철(251) 및 요철(252)과 같이 수직 단면의 형상이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요철인 경우에도 요철들 사이에 이격 공간이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3의 금속차단층을 제조하는 과정을 모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차단층(222)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오목부(311)가 형성된 롤러(310)가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롤링되면서 금속차단층(222)에 압력을 인가한다. 롤러(310)가 이동된 금속차단층(222)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롤러(310)의 오목부(3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 구조(252)가 형성되고, 가압된 금속차단층(222)의 두께도 얇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특정한 형상의 오목부(311)가 형성된 롤러(310)를 이용하여 금속차단층(222)을 제조하기 때문에, 금속차단층(222) 상에 형성되는 돌기 구조(252)의 크기 및 간격은 일정한 크기 및 간격으로 형성되는 바, 전지케이스의 전체 부분에서 균일한 열전도도 및 성형성을 갖는 전지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미리 요철 구조가 형성된 금속판을 이용하여 압착함으로써, 금속차단층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200 :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101 : 외부 수지층
102, 221, 222, 223 : 금속차단층
103 : 내무 밀봉층
104, 213 : 접착층
211 :제 1 외부 수지층
212 : 제 2 외부 수지층
231 : 제 1 내부 밀봉층
232 : 제 2 내부 밀봉층
251, 252, 253 : 요철 구조
310 : 롤러
311 : 오목부

Claims (13)

  1.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로서,
    외부 수지층, 금속차단층 및 내부 밀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수지층과 금속차단층 사이, 및 상기 금속차단층과 내부 밀봉층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접착층이 더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차단층의 적어도 일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단층의 표면은 엠보싱 구조의 요철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금속차단층의 양면 전체 부분에서 균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의 수직 단면은 반원형, 반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층은 제 1 내부 밀봉층 및 제 2 내부 밀봉층으로 구성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밀봉층은 금속차단층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층으로서 산성화 표면 개질된 폴리프로필렌(Acidified-Polypropylene, PPa)로 이루어지고, 제 2 내부 밀봉층은 상기 제 1 내부 밀봉층의 외측에 위치하는 층으로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지층은 제 1 외부 수지층 및 제 2 외부 수지층으로 구성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수지층은 최외측에 위치하는 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외부 수지층은 상기 제 1 외부 수지층과 상기 금속차단층 사이에 위치하는 층으로서 연신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전지케이스의 성형단계에서 코너부의 크랙(Crack)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차단층의 외측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켜주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요철이 형성된 롤러를 이용한 롤 프레싱에 의해 형성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는 열전도성 물질이 추가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차단층을 2개 이상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0170126277A 2017-09-28 2017-09-28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KR102322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277A KR102322222B1 (ko) 2017-09-28 2017-09-28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277A KR102322222B1 (ko) 2017-09-28 2017-09-28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859A true KR20190036859A (ko) 2019-04-05
KR102322222B1 KR102322222B1 (ko) 2021-11-05

Family

ID=6610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277A KR102322222B1 (ko) 2017-09-28 2017-09-28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2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148A (ko) * 2009-10-22 2011-04-28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표면 형상 전사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JP2012216509A (ja) 2011-03-29 2012-11-08 Toray Advanced Film Co Ltd 二次電池外装材用アルミニウム箔積層シートおよび二次電池外装材
WO2016182586A1 (en) * 2015-05-14 2016-11-17 Trillion Science, Inc. Improved fixed array acfs with multi-tier partially embedded particle morphology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KR20170058061A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강도가 향상된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2017126490A (ja) 2016-01-14 2017-07-20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KR20170100134A (ko) *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열층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JP2017154321A (ja) * 2016-02-29 2017-09-07 藤森工業株式会社 樹脂被覆金属積層体、電池外装体及び電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148A (ko) * 2009-10-22 2011-04-28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표면 형상 전사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JP2012216509A (ja) 2011-03-29 2012-11-08 Toray Advanced Film Co Ltd 二次電池外装材用アルミニウム箔積層シートおよび二次電池外装材
WO2016182586A1 (en) * 2015-05-14 2016-11-17 Trillion Science, Inc. Improved fixed array acfs with multi-tier partially embedded particle morphology and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KR20170058061A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강도가 향상된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2017126490A (ja) 2016-01-14 2017-07-20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KR20170100134A (ko) * 2016-02-25 2017-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열층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JP2017154321A (ja) * 2016-02-29 2017-09-07 藤森工業株式会社 樹脂被覆金属積層体、電池外装体及び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222B1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2597B2 (en) Battery cell having outer edge sealed portion with sealed lines and battery cell sealing apparatus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717801B1 (ko) 이차 전지
JP5299621B2 (ja) 高分子フィルムに対するタブの接合性を向上させた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334019B1 (ko) 다종 금속 차단층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101245282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8194B1 (ko) 배터리 모듈
JP2012138315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モジュール
KR102073950B1 (ko) 엣지 냉각 방식의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JP7041796B2 (ja) 放熱層を含むパウチ形電池ケース
US9048463B2 (en) Pouch-cell battery arrangement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and use
KR20190054300A (ko) 배터리
KR20170045800A (ko) 고분자 수지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집전체
KR20160050960A (ko) 주름 방지용 부재가 부가되어 있는 전지셀
KR20140004835A (ko) 전지팩
KR102129775B1 (ko) 절곡 만입부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KR102169373B1 (ko) 클래드 구조의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US11114712B2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20130130935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50049616A (ko) 엠보싱이 형성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780857B (zh) 具有包含收容部和电极引线槽的电池壳的电池单元
KR20190036859A (ko) 요철 구조 표면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KR102261182B1 (ko) 셀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38308B1 (ko) 서로 다른 열전도성의 케이스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JP6716102B1 (ja) 蓄電デバイス、蓄電デバイス集合体及び電動自動車
KR102455141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