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781A - 모듈 조립형 내시경 - Google Patents

모듈 조립형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781A
KR20190036781A KR1020170126091A KR20170126091A KR20190036781A KR 20190036781 A KR20190036781 A KR 20190036781A KR 1020170126091 A KR1020170126091 A KR 1020170126091A KR 20170126091 A KR20170126091 A KR 20170126091A KR 20190036781 A KR20190036781 A KR 2019003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endoscope
photographing
gui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459B1 (ko
Inventor
김윤재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7012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4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부, 겸자부, 유로부 및 조명부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묶을 수 있는 시스 와 이 중 선택된 일부의 선단을 수렴하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선단에 렌즈가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부(101); 선단에 광원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부(104);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를 묶는 밴딩부(110); 및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의 선단을 수렴하는 가이드링(120);을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모듈 조립형 내시경{An assemble module type endoscope}
본 발명은 모듈 조립형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부, 겸자부, 유로부 및 조명부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묶을 수 있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내시경의 종류는 관찰 및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 다양하다.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선단부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부, 내시경으로 조직검사나 기타 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겸자공(biopsy channel), 공기 또는 물을 분사 또는 흡입할 수 있는 유로부, 및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촬영부 등을 포함한다.
다수의 시술 또는 수술로 인해 내시경의 광원부, 겸자공, 유로부 또는 촬영부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부 같은 경우 에어 또는 물의 노즐이 빠지는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내시경 표면의 경우 긁힘이 발생하여 이물부착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촬영부와 조명부의 경우 바깥 부분이 파손되어 시야를 밝힐 수 없거나, 내시경 영상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게 되기도 한다.
또한, 작업자가 내시경을 사용할 경우 검사 대상자의 치아에 의해 내시경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했는데, 내시경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경우 이 틈을 통해 물 또는 검사 대상자의 체액이 내시경기구로 침투될 수 있었다.
특히, 광원부 및 촬영부의 경우, 겸자부 및 유로부에 비해 고가이며 물에 취약하여 방수 실패 시 고장날 확률이 높고 교체가 어려워 내시경 전체를 새로 구매해야 했다.
위와 같이, 내시경 모듈부의 구성 부품인 광원부, 겸자공, 유로부 및 촬영부 중 하나 이상의 구성 부품에 문제가 생기면, 종래의 내시경의 모듈부(10)는 하나의 시스(11)내에 다양한 작업부가 일체로 있기에, 단일 수리가 어려워, 전체를 새로 구매해야 했기에 경제적이지 못했다(도 1 참조).
또한, 단일 병변마다 적용되는 내시경이 각각 상이했기에 다양한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선 다수의 내시경 장치가 필요해져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085653호인 내시경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내시경 시스템은 내시경 선단에 설치되는 내시경용 모듈을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단의 모듈을 교체하기 위한 구성일 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진 못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3811291호인 내시경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내시경 시스템은 처치 수단을 구비한 복수 종류의 내시경용 모듈과 이 내시경용 모듈을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 가능한 복수 종류의 내시경 모듈을 가지는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또한, 선단의 모듈을 교체하기 위한 구성일 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진 못했다.
JP 2013-085653 A JP 3811291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다양한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선 병변 부위에 상응되는 다수의 내시경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수에 취약한 촬영부 및 조명부의 고장으로 인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내시경의 큰 몸체와 영상 출력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하는데 느낄 수 밖에 없었던 불편감을 해소하기 위한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나의 내시경 장치로 다양한 병변을 치료하기 어려웠는데 이 점을 해결한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단에 렌즈가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부(101); 선단에 광원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부(104);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를 묶는 밴딩부(110); 및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의 선단을 수렴하는 가이드링(120);을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밴딩부(110)는 시스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부(110)는 외기와 접하도록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딩부(110)는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의 전체의 길이에 걸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부(101)는 무선 촬영부(101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104)는 무선 조명부(104A)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선단에서 겸자가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겸자부(102); 및 선단에서 유체를 공급 또는 흡입하는 하나 이상의 유로부(10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겸자부(102) 및 상기 유로부(10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밴딩부(110)에 의해 함께 묶이고, 상기 겸자부(102) 및 상기 유로부(10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선단이 상기 가이드링(120)에 의해 함께 수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링(120)은,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의 선단과, 상기 겸자부(102) 및 상기 유로부(10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선단 각각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홀(121)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홀(121)은 각각 그 내주면에 탄성재(121a)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선단들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링(120)은 다수의 가이드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선택되지 않은 가이드링이 수납되는 수납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와 같이 얇은 시스를 사용한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하여 각 모듈의 구성 부품을 손쉽게 묶을 수 있어 내시경의 제조 및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원하는 모듈의 구성 부품만을 분리하여 각각 수리 가능한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하여 내시경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 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병변에 알맞게 원하는 구성만 선택적으로 시스로 묶을 수 있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제공하여, 다양한 병변의 시술 또는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개시된 내시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모듈부 및 밴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모듈부, 밴딩부 및 가이드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가이드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가이드링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가이드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제 1 실시예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모듈부, 밴딩부(110), 가이드링(120), 조작부(200) 및 영상 출력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모듈부는 내시경 구성 중 검사 대상자의 신체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부분으로, 촬영부(101), 겸자부(102), 유로부(103) 및 조명부(104)를 포함한다.
모듈부는 이 외에도 내시경 시술에 필요한 어떠한 다른 구성 부품을 더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초음파 프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01)는 선단에 검사 대상자의 병변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렌즈가 위치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영상 출력 시스템(300)에 촬영한 사진 또는 영상을 전송한다.
겸자부(102)는 선단에서 시술 및 외과적 처치 시에 사용되는 겸자가 인출될 수 있는 기구 연결 채널(tool connection chanel)이다.
겸자부(102)는 하나 이상으로, 그 개수는 제조자 또는 검사자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겸자부(102)의 개수에 따라 겸자 또한 그에 상응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겸자부(102)에서 인출되는 겸자는 다양한 사이즈의 처치용 클립, 절개용 겸자, 포셉, 갈고리, 올가미, 풍선, 브러쉬 등을 포함하며, 이 외에도 외과적 처치에 필요한 겸자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겸자부(102)는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로부(103)는 선단에서 체내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흡입하는 송기부 및 송수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공급기구(feeding instrument)를 포함한다.
송기부는 체내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체내의 공기를 흡입하며, 조작부(2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된다. 또한, 공기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자 또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기체의 주입 및 흡입도 가능하다.
송수부는 체내로 물을 주입하거나 체내의 물을 흡입하는 구성으로, 조작부(2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된다. 또한, 물에 한정되지 않고, 제조자 또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약물과 같은 다른 액체의 주입 및 흡입도 가능하다.
조명부(104)는 광원소자를 포함하여, 병변 또는 내시경의 진행 방향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소자 외에도 병변 또는 내시경의 진행 방향을 비출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조명부(104)는 촬영부(101)와 어느정도 이격되게 위치하여, 촬영부(101)의 렌즈가 촬영할 진로를 비출 수 있다.
또한, 조명부(104)에는 사용자의 설계나 선택에 따라, 치료용 레이저 광원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밴딩부(110)를 설명한다.
밴딩부(110)는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를 묶을 수 있으며,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더 묶을 수 있다.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와,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선택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묶는데 사용하지 않은 다른 일부는 후술할 트레이(410)에 보관될 수 있다.
밴딩부(110)는 검사 대상자의 신체 내로 삽입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묶는 것으로 시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밴딩부(110)는 종이와 같이 얇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시경의 각 구성들을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밴딩부(110)의 다른 일부는 테이프와 같이 말려 보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밴딩부(110)에 의해 필요 시 마다 각 내시경의 구성들을 선택적으로 묶을 수 있다.
밴딩부(110)의 탄성 계수는 바람직하게, 종이의 탄성 계수인 4.4 x 106 kgf/m2 이하일 수 있는데, 이는 종이와 같은 재질을 사용해도 될 정도로, 재질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종래의 시스(11)의 경우, 탄성 계수가 적고 경도가 어느정도 기준에 맞춘 재질을 사용하여 각 구성부품과 일체화 되는데, 본 발명의 밴딩부(110)의 경우는 일체화되어 있지 않기에 내시경 구성을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도 1 참조). 즉, 밴딩부(110)는 내시경 구성을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외기와 접하게 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밴딩부(110)가 외기와 접해있기에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사용하는 작업자가 간단히 구성을 바꿀 수 있게 됨으로써 병변 별 맞춤 내시경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밴딩부(110)는 한정되지 않기에 선택의 폭이 넓어 제작 비용은 물론 수리 비용 또한 적다.
밴딩부(110)가 선택된 모듈부를 묶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밴딩부(110)의 일부로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와,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일부를 묶는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링(120)에 의해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의 선단과,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선단이 수렴되고, 가이드링(120)에 의해 수렴된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와,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밴딩부(110)의 일부가 각 구성의 전체 길이에 걸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묶을 수 있다.
밴딩부(110)에 묶일 수 있는 각 구성들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각각 구성들이 2개 이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촬영부(101)를 제외한 조명부(104),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하나 이상의 구성들을 일회용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촬영부(101)를 중심에 두고 주위에 일회용 조명부(104),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들을 위치시킨 후 밴딩부(110)로 감싸 묶어 사용할 수 있다. 일회용 장치를 사용하기에 사용자의 신체 내부로 유입되었을 때 하나의 내시경 장치로 재활용하는 종래의 내시경 대비 위생적으로 뛰어나며, 위생 문제로 인한 질병 발생 등의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또한, 방수 기능이 필수적이며 상대적으로 고가인 촬영부(101)는 일회용 장치들의 내측에 위치하기에 크랙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되어 수명 또한 연장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여 가이드링(120)을 설명한다.
가이드링(120)은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와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선단을 수렴하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이드링(120)이며, 다수의 삽입홀(121)을 포함한다.
가이드링(120)에 위치와 크기가 상이한 다수 개의 삽입홀(121)이 구비되며, 밴딩부(110)에 의해 묶이는 구성이 상이해짐에 따라 이를 수렴하는 가이드링(120) 또한 이에 상응하는 삽입홀(121)을 포함하도록 상이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삽입홀(121)은 촬영부(101), 겸자부(102), 유로부(103) 및 조명부(104) 중 선택된 하나 이상들의 선단에 각각 대응되어 각각 선단들을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된 홀로, 그 내주면에 탄성재(121a)를 더 포함한다.
삽입홀(121)의 내주면에 탄성재(121a)가 더 포함된다. 이로 인해, 각 수용된 구성들의 선단들을 단단히 고정하여 가이드 할 수 있다.
조작부(200)는 모듈부와 연결되며, 각 모듈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구성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모듈에 맞춰 촬영 제어부, 겸자 제어부, 유로 제어부 및 조명 제어부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구성되는 모듈의 종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구성들도 상이해진다.
도 7을 더 참조하여 영상 출력 시스템(300) 및 수납부(400)를 설명한다.
영상 출력 시스템(300)은 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 시스템(300)은 촬영부(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검사 대상자의 체내로 삽입된 모듈부의 촬영부(101)가 촬영한 정보를 수신 받아 출력한다.
수납부(400)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에 조립되어 사용되지 않는 구성들,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구성들을 묶는데 사용되지 않은 밴딩부(110)의 다른 일부 및 별도로 구비되거나,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 이상의 가이드링을 수납한다.
수납부(400)가 영상 출력 시스템(300)의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납부(400)의 위치는 어디든 위치 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수납부(400)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수납된 구성들, 밴딩부(110)의 다른 일부 및 가이드링들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수납부(400)는 트레이(410) 및 모듈 수납부(4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트레이(410)에는 구성들을 묶는데 사용되지 않은 밴딩부(110)의 다른 일부가 수납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밴딩부(110)가 경도와 탄성 계수에 구애받지 않기 때문에 그 선택의 폭이 커져서 가능해진 것으로, 테이프형이나, 매듭형 등으로 트레이(410)에 수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트레이(410)에는 별도로 구비되거나, 다수의 가이드링 중 선택되지 않은 다수의 가이드링이 추가로 수납될 수 있다.
모듈 수납부(420)에는 선택하여 조립된 구성들 외에, 별도로 구비되거나, 선택될 수 있는 구성들이 수납된다.
즉, 모듈 수납부(420)에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에 사용되지 않은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부 또는 이 외 별도로 구비된 모듈부가 수납된다.
사용자는 시술 또는 수술이 필요한 병변의 종류에 따라 트레이(410)와 모듈 수납부(420)에 구비된 밴딩부(110)의 다른 일부와, 다수의 가이드링과, 다수의 모듈부를 어느 하나 이상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간단히 조립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
도 5 및 도 8을 더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모듈 조립형 내시경에 포함되는 촬영부(101)가 무선 촬영부(101A)인 경우이다.
가이드링(120)에 무선 촬영부(101A)의 선단이 수렴되어있기 때문에,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조명부(104)만을 밴딩부(110)로 묶어 사용한다.
즉, 무선 촬영부(101A)가 가이드링(120)에 이미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무선 촬영부(101A)를 묶어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무선 촬영부(101A)의 일부도 밴딩부(110)에 의해 함께 묶일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촬영부(101A)가 무선으로 짧게 포함되기 때문에, 다른 모듈부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차지하며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검사 대상자의 치아에 의해 발생하는 내시경 튜브 표면의 크랙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다른 모듈부에 의해 적어진다.
이에 따라, 가이드링(102) 또한 촬영부(101)를 제외한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조명부(104)의 선단만을 수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제 3 실시예
도 6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모듈 조립형 내시경에 포함되는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가 무선 촬영부(101A) 및 무선 조명부(104A)인 경우이다.
즉,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무선인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를 포함하는 것이다.
가이드링(120)에 무선 촬영부(101A) 및 무선 조명부(104A)가 수렴되어있기 때문에, 겸자부(102) 및 유로부(10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밴딩부(110)로 묶어 사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무선 촬영부(101A) 및 무선 조명부(104A)의 일부도 밴딩부(110)에 의해 함께 묶일 수 있다.
강조하자면, 무선 촬영부(101A) 및 무선 조명부(104A)가 가이드링(120)에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별도로 구비된 촬영부(101) 및 조명부(104)를 함께 묶어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 경우, 촬영부(101A)와 조명부(104A)가 다른 모듈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차지하며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검사 대상자의 치아에 의해 발생하는 내시경 튜브 표면의 크랙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적다.
또한, 이 경우의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영상 출력 시스템(300)과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휴대성이 증대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영상 출력 시스템(300)과의 연결이 필요한 촬영부(101)와 조명부(104)가 각각 무선 촬영부(101A) 및 무선 조명부(104A)로 가이드링(120)에 수렴되기에, 모듈 조립형 내시경이 영상 출력 시스템(300)과 연결될 필요가 없다.
강조하자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보다 휴대성이 더 뛰어나다.
이에 따라, 수납부(400)가 별도의 충전거치부(430)를 더 포함하여, 무선형 모듈 조립형 내시경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거치부(430)는 수납부(400)에 위치되는데, 무선 촬영부(101A) 및 무선 조명부(10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모듈 조립형 내시경의 가이드링(120)이 충전거치부(430)에 거치될 경우, 거치된 가이드링(120)의 무선 촬영부(101A) 및 무선 조명부(104A)가 충전거치부(430)의 충전단자와의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촬영부
101A: 무선 촬영부
102: 겸자부
103: 유로부
104: 조명부
104A: 무선 조명부
110: 밴딩부
120: 가이드링
121: 삽입홀
121a: 탄성재
200: 조작부
300: 영상 출력 시스템
400: 수납부
410: 트레이
420: 모듈 수납부
430: 충전거치부

Claims (8)

  1. 선단에 렌즈가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촬영부(101);
    선단에 광원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부(104);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를 묶는 밴딩부(110); 및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의 선단을 수렴하는 가이드링(120);을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110)는 시스를 포함하며,
    상기 밴딩부(110)는 외기와 접하도록 노출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110)는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의 전체의 길이에 걸쳐 위치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01)는 무선 촬영부(101A)인,
    모듈 조립형 내시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04)는 무선 조명부(104A)인,
    모듈 조립형 내시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선단에서 겸자가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겸자부(102); 및
    선단에서 유체를 공급 또는 흡입하는 하나 이상의 유로부(10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겸자부(102) 및 상기 유로부(10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밴딩부(110)에 의해 함께 묶이고.
    상기 겸자부(102) 및 상기 유로부(10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선단이 상기 가이드링(120)에 의해 함께 수렴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120)은,
    상기 촬영부(101) 및 상기 조명부(104)의 선단과, 상기 겸자부(102) 및 상기 유로부(10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선단 각각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홀(121)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홀(121)은 각각 그 내주면에 탄성재(121a)를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선단들이 고정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120)은 다수의 가이드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모듈 조립형 내시경은 선택되지 않은 가이드링이 수납되는 수납부(400)를 더 포함하는,
    모듈 조립형 내시경.
KR1020170126091A 2017-09-28 2017-09-28 모듈 조립형 내시경 KR10210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91A KR102106459B1 (ko) 2017-09-28 2017-09-28 모듈 조립형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91A KR102106459B1 (ko) 2017-09-28 2017-09-28 모듈 조립형 내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81A true KR20190036781A (ko) 2019-04-05
KR102106459B1 KR102106459B1 (ko) 2020-05-04

Family

ID=6610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091A KR102106459B1 (ko) 2017-09-28 2017-09-28 모듈 조립형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4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1291B2 (ja) 1998-07-02 2006-08-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2007000281A (ja) * 2005-06-22 2007-01-1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装置
JP2013085653A (ja) 2011-10-17 2013-05-1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システム
KR20160056704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용 헤드캡
KR101656836B1 (ko) * 2015-01-21 2016-09-13 (의료)길의료재단 다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및 이와 연결되는 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1291B2 (ja) 1998-07-02 2006-08-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2007000281A (ja) * 2005-06-22 2007-01-1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装置
JP2013085653A (ja) 2011-10-17 2013-05-1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システム
KR20160056704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용 헤드캡
KR101656836B1 (ko) * 2015-01-21 2016-09-13 (의료)길의료재단 다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및 이와 연결되는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459B1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9158B2 (ja) 内視鏡装置
EP1870014B1 (en) Endoscope insertion portion
EP1859723B1 (en) Insertion section for endoscope
US20170020370A1 (en) Transmission mechanism, raising device, and inserting apparatus
EP1834573A1 (en) Insertion section for endoscope
EP1834571A1 (en) Endoscope-use insertion unit
US9125553B2 (en) Endoscope with electrical conductive portion
US8485965B2 (en) Endoscope main body and endoscope
JP2009254403A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07520287A (ja) フレキシブルプローブを備えた内視鏡
US11925313B2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EP2644082B1 (en) Endoscopic device
US20130204083A1 (en) Sheathless arthroscope and system
US20160198936A1 (en) Holding mechanism for endoscopic guide member, and endoscope
JP5063419B2 (ja) 内視鏡用先端フードおよびそれを備える内視鏡ユニット
WO2005063112A1 (ja) 内視鏡
KR20190036781A (ko) 모듈 조립형 내시경
JPH11276424A (ja) 斜視内視鏡用挿入部の先端構造
JP4450912B2 (ja) 内視鏡保持装置
WO2019102679A1 (ja) 内視鏡の先端部および内視鏡
JP5161750B2 (ja) 観察ユニット分離型処置内視鏡
JPH1176155A (ja) 内視鏡
WO2016157416A1 (ja) 内視鏡、内視鏡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4786803B2 (ja) 内視鏡
JPH11318803A (ja) 内視鏡用シ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