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703A - 스마트 지팡이 - Google Patents

스마트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703A
KR20190036703A KR1020170125916A KR20170125916A KR20190036703A KR 20190036703 A KR20190036703 A KR 20190036703A KR 1020170125916 A KR1020170125916 A KR 1020170125916A KR 20170125916 A KR20170125916 A KR 20170125916A KR 20190036703 A KR20190036703 A KR 20190036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unit
sensing
white cane
gui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832B1 (ko
Inventor
한성현
이다은
이혜원
임지윤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8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는 화이트 케인(white cane)에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해당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화이트 케인의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지팡이{SMART CAN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보행을 가이드하는 스마트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은 시각적인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맹인견이나 지팡이에 의지하여 바닥면에 설치된 점자블럭을 인식함으로써, 실외로 외출을 행하게 된다.
즉, 시각장애인들은 다수의 점자블럭으로 이루어진 점자블럭 유도라인을 따라 보행함에 있어서, 각 점자블럭의 에지성분을 지팡이로 여러번 접촉시키거나 또는 발바닥 느낌을 통해 인식함으로써 보행하게 된다.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이 지팡이나 발바닥을 통한 자신의 감각만으로 점자블럭을 인지하여 보행을 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점자블럭이 파손되는 등의 이유로 이동상황 판단에 따른 스트레스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시각장애인의 주변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점자블럭에 대응되는 보행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해 주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정보 안내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바닥면에 형성된 점자블럭을 근거로 보행방향만을 음성으로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주변에 고정되거나 또는 근접하게 이동하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자유롭게 보행하기에 다소 위험성이 있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46503호에는 스테레오 비젼을 이용해서 주변 장애물에 대한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주위 정보 안내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이 외출시 필수적으로 소지하는 지팡이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46503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보행을 가이드하고, 위험 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 지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는 화이트 케인(white cane)에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해당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화이트 케인의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에 따르면, 보행자가 사용하는 화이트 케인(white cane)에 착탈되는 착탈부가 제공될 수 있다.
착탈부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 중인 화이트 케인에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 모듈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된 가이드 모듈이 착탈부에 장착되면, 특정 사용자만을 위한 최적의 화이트 케인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에 따르면,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의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지팡이의 각종 정보가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보호자는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은 각종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안위를 확인하거나 적절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수용부가 개방된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가이드 모듈이 설치된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가이드 모듈이 설치된 스마트 지팡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위치 측정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감지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촬영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배터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수용부(190)가 개방된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가이드 모듈이 설치된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가이드 모듈이 설치된 스마트 지팡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는 화이트 케인에 추가로 장착되는 스마트 모듈을 지칭하거나, 스마트 모듈이 장착된 화이트 케인을 지칭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스마트 지팡이(100)는 착탈부(110), 수용부(190), 가이드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110)는 화이트 케인(white cane)(10)에 착탈되게 형성될 수 있다. 화이트 케인은 접이식 또는 접철식으로 접을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90)는 착탈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수용부(190)에는 화이트 케인의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모듈은 사용자의 보행을 가이드하거나, 사용자의 안전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소방소 등의 안전 관리인, 사용자, 사용자의 보호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탈부(110)는 기존의 화이트 케인에 용이하게 착탈되고, 화이트 케인에 장착되었을 때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부(190)를 사이를 두고 착탈부(110)의 일면과 타면에는 화이트 케인이 관통 설치되는 통공(17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미 뚫려 있는 통공(170)에 화이트 케인을 끼우는 방식에 따르면, 착탈부(110)가 화이트 케인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흘러내릴 수 있다. 왜냐하면, 화이트 케인이 손잡이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화이트 케인에 장착시 착탈부(110)가 화이트 케인에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착탈부(110)는 제1 착탈 부재(111), 제2 착탈 부재(112), 힌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탈 부재(111)와 제2 착탈 부재(112)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입체 구조물의 가운데를 절단해서 나뉘어진 각 부재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제1 착탈 부재(111)에는 통공(170)의 일부가 형성되고, 제2 착탈 부재(112)에는 통공(170)의 나머지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113)는 제1 착탈 부재(111)와 제2 착탈 부재(11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힌지(113)로 인해, 제1 착탈 부재(111)의 일측과 제2 착탈 부재(112)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고, 각 착탈 부재의 타측은 힌지(113)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서로 결합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화이트 케인을 사이에 두고 제1 착탈 부재(111)와 제2 착탈 부재(112)가 결합되면, 화이트 케인이 통공(170)에 고정될 수 있다.
착탈부(110)가 의도하지 않게 화이트 케인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화이트 케인에는 통공(17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가 특정 위치에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힌지(1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착탈 부재(111)와 제2 착탈 부재(112)에 따르면, 제1 착탈 부재(111)와 제2 착탈 부재(112)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190)에 용이하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된 수용부(190)에 가이드 모듈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부(190)에 대면되는 제1 착탈 부재(111)의 내면과 수용부(190)에 대면되는 제2 착탈 부재(112)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종류의 가이드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착탈 부재(111) 또는 제2 착탈 부재(112)에는 가이드 모듈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가이드 구멍(151, 152, 153, 15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구멍에 가이드 모듈이 정렬되게 설치되면, 제1 착탈 부재(111)와 제2 착탈 부재(112)의 결합에 따라 수용부(190)가 폐쇄되더라도, 외부에서 가이드 모듈을 조작할 수 있다.
각 착탈 부재에는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 모듈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되어 하나 이상 설치되도록, 가이드 구멍은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가이드 구멍에 대면한 위치에 서로 다른 종류의 가이드 모듈이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모듈(210, 220, 230, 300, 400, 500)은 모듈화되는 것이 좋다.
이때, 가이드 모듈을 덮는 케이스(219, 229, 239)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113) 등에 의해 착탈부(110)는 수용부(190)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는 개방된 수용부(190)를 통해 착탈부(110)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착탈부(110)의 내면에는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케이스에는 제1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의 크기 및 형상은 가이드 모듈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때, 케이스에 형성된 제2 결합부의 위치 및 크기는 제1 결합부에 매칭되게 규격화될 수 있다. 규격화된 제2 결합부를 갖는 케이스로 인해 가이드 모듈은 착탈부(11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게 모듈화될 수 있다.
케이스로 인해 외부로부터 폐쇄된 가이드 모듈이 다른 가이드 모듈과 통신할 수 있도록, 케이스에는 구동 전력 및 신호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 커넥터(217, 227, 237)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모듈은 생성부(210, 220, 230), 입력부(311, 313, 330), 출력부(400), 통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90)에는 가이드 모듈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600)가 가이드 모듈과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착탈부(110)에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안드로이드 5핀 커넥터 등의 충전 커넥터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생성부는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정보를 생성하거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각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생성부는 착탈부(11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 수단(210), 착탈부(110) 주변 물체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수단(220), 착탈부(110) 주변의 동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수단(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생성부를 온오프(on-off)시키는 제1 버튼(311, 313), 비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버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 및 제2 버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점자가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는 생성부와 별도로 형성되거나, 생성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출력부는 위치 정보 또는 감지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 위치 정보 또는 감지 정보를 이용해서 착탈부(110)를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설정된 서버 또는 단말기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생성부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착탈부(110)의 가운데를 관통하는 화이트 케인을 기준으로 무게 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화이트 케인의 사용성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부(110)를 관통한 화이트 케인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가이드 모듈이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도 5와 같이, 생성부가 화이트 케인을 사이에 두고 제1 착탈 부재(111) 측에 설치된 경우, 출력부, 통신부, 배터리는 화이트 케인을 사이에 두고 제2 착탈 부재(112)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이트 케인과 동축 상에 무게 중심이 형성되므로, 회이트 케인이 의도하지 않게 돌아가는 등의 불편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6은 위치 측정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위치 측정 수단(21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은 위치 측정용 케이스(219)에 의해 외부로부터 폐쇄될 수 있다. 위치 측정용 케이스(219)의 외면에는 내부의 GPS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위치 측정용 모듈 커넥터(217)가 마련될 수 있다.
위치 측정용 케이스(219)에는 GPS 모듈을 온오프하는 위치 측정용 제1 버튼(311)이 마련될 수 있다.
위치 측정용 케이스(219)에는 비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버튼(330)이 마련될 수 있다.
위치 측정용 제1 버튼과 제2 버튼은 착탈부(110)에 형성된 위치 측정용 가이드 구멍(151)에 대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90)가 폐쇄되더라도, 사용자는 위치 측정용 가이드 구멍(151)을 통해 위치 측정용 제1 버튼(311)과 제2 버튼(330)을 조작할 수 있다.
위치 측정용 제1 버튼이 조작되어 위치 측정 수단이 온되면, 위치 측정 수단은 현재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위치 정보는 모듈 커넥터를 통해 통신부로 전달되고, 통신부에 의해 소방소 등의 안전 서버 또는 보호자의 단말기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위치 정보가 위험 지역인 경우, 예를 들어 물가 인근인 경우 위치 측정 수단은 경고 신호를 생성한 후 모듈 커넥터를 통해 출력부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는 경고 신호를 음성 출력 수단 또는 진동 수단을 통해 출력해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제2 버튼이 설정 시간 이상 눌려지면, 위치 측정 수단은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소방소, 병원, 경찰서 등의 안전 서버 또는 보호자의 단말기로 위치 정보와 함께 긴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위치 측정 수단에 따르면, 사용자는 위급 상황시 제2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구조 요청과 함께 자신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도 7은 감지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감지 수단(220)은 레이더 센서 모듈, 적외선 센서 모듈, 거리 측정 센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감지용 케이스(229)에 의해 덮여져 보호될 수 있다.
감지용 케이스(229)의 외면에는 감지용 모듈 커넥터(227)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빛 또는 전파를 송출하는 제1 부재(221), 주변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 또는 전파를 수신하는 제2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이용해서, 주변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정보는 감지용 모듈 커넥터(227)를 거쳐 출력부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센서 모듈은 센서 모듈과 주변 물체 간의 거리가 설정 거리를 만족하면, 경고 신호가 포함된 감지 정보를 출력부로 전달할 수 있다. 경고 신호가 수신된 출력부는 경고음 또는 경고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방향에 위치하는 주변 물체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 수단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 감지 수단은 서로 다른 방향에 존재하는 주변 물체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각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 감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착탈부(110)에는 제1 부재(221) 및 제2 부재에 대면되는 위치에 감지용 가이드 구멍(1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개가 한 개의 조를 이루는 감지용 가이드 구멍(152)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착탈부(110)에는 정면용 감지 수단에 대면되는 감지용 가이드 구멍(152), 우측용 감지 수단에 대면되는 감지용 가이드 구멍(152), 좌측용 감지 수단에 대면되는 감지용 가이드 구멍(15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정면용 감지 수단, 우측용 가지 수단, 좌측용 감지 수단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는 각 감지 수단을 구별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정면용 감지 수단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는 출력부를 통해 착탈부(110)를 연속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반면, 우측용 감지 수단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는 출력부를 통해 착탈부(110)를 두번 진동시킨 후 잠시 쉬었다 다시 두번 진동시킬 수 있다. 좌측용 감지 수단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는 출력부를 통해 착탈부(110)를 주기적으로 1회씩 진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착탈부(110)의 서로 다른 진동을 통해 어느 방향에 주변 물체가 근접해 있는지 쉽게 분별할 수 있다.
복수로 마련된 감지 수단을 각각 온오프시키는 것이 불편하므로, 감지용 제1 버튼은 1개로 통합될 수 있다. 이때, 1개로 통합된 감지용 제1 버튼은 착탈부(110)의 감지용 버튼 가이드 구멍(154)을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8은 촬영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촬영 수단(230)은 착탈부(110)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 블랙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수단은 카메라를 덮어서 보호하는 촬영용 케이스(239)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용 케이스(239)의 외면에는 촬영용 모듈 커넥터(237)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촬영용 케이스의 외면에는 촬영용 제1 버튼(313), 렌즈 경통(231)이 마련될 수 있다.
착탈부(110)에는 제1 버튼(313)과 렌즈 경통(231)에 대면되는 촬영용 가이드 구멍(153)이 마련될 수 있다.
촬영 수단(230)에서 생성된 동영상은 모듈 커넥터 및 통신부를 순서대로 거쳐, 안전 서버 또는 보호자의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촬영 수단(23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촬영 수단(230)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 박스와 유사하게 사고 발생시의 상황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동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원거리에 위치한 보호자는 동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안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배터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배터리(600)는 생성부, 입력부, 출력부, 통신부 등의 가이드 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600)는 배터리 케이스(609)에 의해 보호되며, 배터리 모듈 커넥터(607) 및 해당 모듈 커넥터에 연결된 전선 등을 통해 각 가이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600)는 착탈부(110)에 형성된 충전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외부 전원의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지팡이는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의 사고 발생률을 낮추고, 보호자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다. 사고 발생시, 촬영 수단의 동영상을 이용해 사용자는 억울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스마트 지팡이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촬영 수단(230)에 마련된 렌즈의 광축은 방향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고 발생시 렌즈의 광축이 사고 현장과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면, 촬영 수단(230)에도 불구하고 사고 현장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기 어렵다.
가이드 모듈 중 화이트 케인(10)에 대해 여러 각도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 모듈을 위해, 착탈부(110)는 고정 부재(116)와 이동 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16)는 착탈 수단(260)에 의해 화이트 케인(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착탈 수단(260)은 고정 부재(116)의 일면에 형성되고, 착탈 수단(260)에는 화이트 케인(10)이 관통 설치되는 통공(270)이 마련될 수 있다.
통공(270)에 화이트 케인을 통과시킨 후 볼트 등의 체결 수단(261)을 조이면, 화이트 케인은 통공(270) 내에서 구속될 수 있다. 착탈 수단(260)에 형성된 통공(270)의 직경은 은 체결 수단(261)의 조임에 의해 줄어들면서 화이트 케인(10)을 꽉 물 수 있다. 따라서, 착탈 수단(260)과 체결 수단(261)에 따르면, 화이트 케인(10)의 다양한 위치에 착탈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15)는 고정 부재(116)를 기준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회전 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부재(115)는 힌지(113)에 의해 고정 부재(116)에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6)에는 특별한 방향성을 갖지 않는 위치 측정 수단(210)이나 폭넓은 방향을 커버하는 감지 수단(22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위치 측정 수단(210)에 설치된 위치 측정용 제1 버튼(311) 또는 제2 버튼(330)이 고정 부재(116)에 설치되어 있다.
감지 수단(22)의 제1 부재(221) 및 제2 부재(223) 역시 고정 부재(116)에 설치되고 있다.
이동 부재(115)에는 특정 방향을 향할 필요가 있는 촬영 수단(23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화이트 케인(10)은 지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화이트 케인(10)에 고정된 고정 부재(116)는 화이트 케인(10)과 함께 지면에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16)에 촬영 수단(230)이 설치되면, 해당 촬영 수단(230)의 렌즈 광축은 하늘을 향하게 되므로 하늘을 촬영한 영상만 획득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수단(230)은 고정 부재(116)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 부재(115)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116)에 대해 이동 부재(115)를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촬영 수단(230)의 광축이 지면에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화이트 케인(10)이 기울어지더라도, 촬영 수단(230)은 전방의 영상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화이트 케인 110...착탈부
111...제1 착탈 부재 112...제2 착탈 부재
113...힌지 115...이동 부재
116...고정 부재 151...위치 측정용 가이드 구멍
152...감지용 가이드 구멍 153...촬영용 가이드 구멍
154...감지용 버튼 가이드 구멍 170...통공
190...수용부 210...위치 측정 수단
217...위치 측정용 모듈 커넥터
219...위치 측정용 케이스 220...감지 수단
221,,,제1 부재 223...제2 부재
227...감지용 모듈 커넥터 229...감지용 케이스
230...촬영 수단 231...렌즈 경통
237...촬영용 모듈 커넥터 239...촬영용 케이스
260...착탈 수단 261...체결 수단
311...위치 측정용 제1 버튼 313...촬영용 제1 버튼
330...제2 버튼 400...출력부
500...통신부 600...배터리
607...배터리 모듈 커넥터 609...배터리 케이스

Claims (9)

  1. 화이트 케인(white cane)에 착탈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 해당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화이트 케인의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모듈이 설치되는 스마트 지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착탈부의 일면과 타면에는 상기 화이트 케인이 관통 설치되는 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통공의 일부가 형성된 제1 착탈 부재와 상기 통공의 나머지가 형성된 제2 착탈 부재, 상기 제1 착탈 부재와 상기 제2 착탈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화이트 케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착탈 부재와 상기 제2 착탈 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화이트 케인이 상기 통공에 고정되는 스마트 지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착탈 부재와 제2 착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대면되는 상기 제1 착탈 부재의 내면과 상기 수용부에 대면되는 상기 제2 착탈 부재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종류의 상기 가이드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스마트 지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수용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모듈을 덮는 케이스가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는 개방된 상기 수용부를 통해 상기 착탈부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모듈은 케이스에 의해 모듈화된 스마트 지팡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구동 전력 및 신호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 커넥터가 마련된 스마트 지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모듈은 생성부, 입력부, 출력부,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착탈부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 수단, 상기 착탈부 주변 물체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수단, 상기 착탈부 주변의 동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생성부를 온오프(on-off)시키는 제1 버튼, 비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감지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 상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감지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착탈부를 진동시키는 진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를 기설정된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마트 지팡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모듈은 상기 착탈부 주변 물체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의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각 감지 수단은 서로 다른 방향에 존재하는 주변 물체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각 방향을 구별할 수 있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지팡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가이드 모듈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상기 가이드 모듈과 함께 설치되며,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커넥터가 마련된 스마트 지팡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화이트 케인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부재에 설치된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착탈부 주변의 동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착탈부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측정 수단, 상기 착탈부 주변 물체의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스마트 지팡이.
KR1020170125916A 2017-09-28 2017-09-28 스마트 지팡이 KR10202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16A KR102025832B1 (ko) 2017-09-28 2017-09-28 스마트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916A KR102025832B1 (ko) 2017-09-28 2017-09-28 스마트 지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03A true KR20190036703A (ko) 2019-04-05
KR102025832B1 KR102025832B1 (ko) 2019-09-26

Family

ID=6610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916A KR102025832B1 (ko) 2017-09-28 2017-09-28 스마트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8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5169A (zh) * 2019-04-08 2019-06-25 浙江师范大学 一种新型的智能导盲佩戴系统
KR20210043847A (ko) * 2019-10-14 2021-04-2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90B1 (ko) 2019-10-14 2024-03-0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US11684537B2 (en) 2021-01-25 2023-06-27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Human-interface device and a guiding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including such human-interface device
KR102637180B1 (ko) * 2022-05-18 2024-0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8472A (ja) * 2009-01-09 2010-07-22 Akita Prefectural Univ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及び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システム
CN204758999U (zh) * 2015-06-26 2015-11-11 衢州市大器创业服务中心 登山拐杖相机杆
KR101575776B1 (ko) * 2015-05-20 2015-12-08 명도시스템(주) 시각장애인용 사물인식 지팡이
KR101646503B1 (ko) 2014-12-17 2016-08-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3차원 장애물 안내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위 정보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4193A (ko) * 2015-06-08 2016-12-16 주식회사 아이온 시각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지능형 보행 보조 장치
KR101708144B1 (ko) * 2016-01-12 2017-02-1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 패턴 인식 시스템이 구비된 지팡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8472A (ja) * 2009-01-09 2010-07-22 Akita Prefectural Univ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及び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システム
KR101646503B1 (ko) 2014-12-17 2016-08-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3차원 장애물 안내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위 정보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5776B1 (ko) * 2015-05-20 2015-12-08 명도시스템(주) 시각장애인용 사물인식 지팡이
KR20160144193A (ko) * 2015-06-08 2016-12-16 주식회사 아이온 시각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지능형 보행 보조 장치
CN204758999U (zh) * 2015-06-26 2015-11-11 衢州市大器创业服务中心 登山拐杖相机杆
KR101708144B1 (ko) * 2016-01-12 2017-02-1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록 패턴 인식 시스템이 구비된 지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5169A (zh) * 2019-04-08 2019-06-25 浙江师范大学 一种新型的智能导盲佩戴系统
KR20210043847A (ko) * 2019-10-14 2021-04-2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보행 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832B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832B1 (ko) 스마트 지팡이
US20080251110A1 (en) Walking Aid for a Visually Disabled Person
KR101646503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3차원 장애물 안내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위 정보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104804A1 (zh) 一种集成智能头戴式设备
KR101941904B1 (ko) 다기능 스마트 헬멧
KR101571262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헬멧
EP3141234A1 (en) Spectacles for blind person
US11497673B2 (en) Motion-liberating smart walking stick
KR100613471B1 (ko) 차량용 안전 시스템
US11432989B2 (en) Information processor
KR20160043806A (ko) 다기능 헬멧
KR20150106091A (ko) 레이저 hud 스마트 헬멧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KR20170116895A (ko) 고글 또는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8320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물인식 및 보행안내 장치
KR20130031423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움직임센서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로 변환되는 시스템
KR20190107906A (ko) 자전거 도난방지 구조
KR20190004490A (ko) 보행 안내 시스템
EP3724028B1 (fr) Dispositif de signalisation avec accelerometre integre porte sur le dos d'un utilisateur d'un engin de locomotion
KR101442572B1 (ko) 스마트 헬멧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영상 처리 시스템
US20190347495A1 (en) Vehicle Mounted Imaging Assembly
US11792315B2 (en) Advanced eyesight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KR102534948B1 (ko) 소방용 스마트 글라스
KR20160106298A (ko) 착용형 후방감시 및 경고장치
KR102005094B1 (ko)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