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094B1 -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094B1
KR102005094B1 KR1020177033048A KR20177033048A KR102005094B1 KR 102005094 B1 KR102005094 B1 KR 102005094B1 KR 1020177033048 A KR1020177033048 A KR 1020177033048A KR 20177033048 A KR20177033048 A KR 20177033048A KR 102005094 B1 KR102005094 B1 KR 102005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s module
camera lens
photograph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159A (ko
Inventor
이선구
이충구
Original Assignee
이선구
이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구, 이충구 filed Critical 이선구
Publication of KR20180004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6Means for transporting or storing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이 형성되며, 제1 입사면 중앙에 제1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일면에 제2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이 형성되며, 제2 반사면 중앙에 제2 출사면이 형성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출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되어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을 포함한 촬상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오브젝트를 감지하여 이를 피드백하여 표시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위 이미지를 촬영하는 렌즈 모듈을 구비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이란 용어가 생겨나면서 다양한 전자 제품들 간에 정보를 송수신하고 각각을 제어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영상 처리 기술 및 광학 기술 등의 발달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든 영상을 저장하거나 이를 전송하여 추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었으며 이는 블랙박스로 현재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 관련 기능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장치에 적용하는 다양한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별도로 블랙박스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장치가 아닌 주변 외부 기기에 장착하거나, 시야각이 전방에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위 이미지를 촬영하고 긴급 상황 발생 시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외부기기로 전송하여 긴급 상황을 알리고 이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는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이 형성되며, 제1 입사면 중앙에 제1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일면에 제2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이 형성되며, 제2 반사면 중앙에 제2 출사면이 형성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출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되어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을 포함한 촬상부; 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오브젝트를 감지하여 이를 피드백하여 표시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는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이 형성되며, 제1 입사면 중앙에 제1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일면에 제2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이 형성되며, 제2 반사면 중앙에 제2 출사면이 형성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출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되어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을 포함한 촬상부;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사운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광원부 및 스피커부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되는 배면 개구부와 상기 머리의 안면부가 노출되는 안면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와 결합하여 상기 안면부를 커버 또는 노출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안면 마스크;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배치된 내피; 및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용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내피를 누르면서 형성되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부,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전방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촬상부, 저장부 및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시스템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을 센싱하면 전원이 출력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을 센싱하면 무선 충전을 중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안면 개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안면 마스크가 이동하여 상기 안면 개구부를 커버 또는 노출 시 상기 안면 마스크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보드는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감지하는 마스크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의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의 감지에 따라 출력 사운드가 조절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의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의 감지에 따라 유입되는 사운드의 노이즈 제거 여부가 조절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중 분 단위의 프레임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회전각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감지된 회전각을 패턴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감지된 충격이 기 설정치 이상이 되고, 감지되는 회전각이 충격 신호의 감지 전까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회전각 패턴과 비교해 기 설정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분 단위의 프레임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광원부와 외부로부터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전방위 이미지, 상기 외부 사운드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 설정된 등급 별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등급에 따라 상기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와 상기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에 관한 기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렌즈 모듈은,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이 형성되며, 제1 입사면 중앙에 제1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일면에 제2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이 형성되며, 제2 반사면 중앙에 제2 출사면이 형성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출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제1 입사면의 곡률 반경은 21mm 내지 23mm로, 상기 제2 반사면의 곡률 반경은 10mm 내지 12mm로,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 반경은 29mm 내지 31mm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접합면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지지체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상기 촬상부는 복수의 렌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 각각은 상기 지지체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에 위치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는 전방위 이미지를 촬영하면서 사용자에게 위협이 될만한 소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촬영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위급 상황에서 이를 외부 서버로 알려 위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c는 광원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시스템 보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및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전방위 렌즈 모듈에 입사하는 광선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시스템보드의 구성도이다.
도 9b는 압력센서부와 전원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9c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압력이 가해지는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b는 무선충전부와 전원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1b는 마스크 개폐 감지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2b는 압력센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구비한 안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c는 광원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되는 배면 개구부(100c)와 상기 머리의 안면부가 노출되는 안면 개구부(100d)를 포함하는 지지체(100b)와 상기 지지체(100b)의 결합되고,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안면 마스크(100e)와 상기 지지체(100b)에 설치된 렌즈모듈(110a)과 상기 지지체(100b)의 하단 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100b)에 내장된 시스템보드(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 마스크(100e)는 상기 지지체(100b)와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를 커버 또는 노출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다.
상기 시스템보드(1000)는 상기 렌즈모듈(110a)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110), 마이크부(190), 저장부(120), 광원부(130), 스피커부(140), 프로세서(150) 및 전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는 렌즈모듈(110a)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착용가능한 모자를 포함하며, 오토바이용 헬멧, 야구 경기시 사용되는 헬멧, 산업 현장에서 착용하는 안전 헬멧, 일반적인 모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촬상부(110)는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110a)로부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위 이미지는 렌즈 모듈(110a)을 중심으로 360도 전방위에서 촬영 가능한 모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110a)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마이크부(190)는 외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사운드는 사용자의 음성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부(190)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헬멧의 턱받침부에 내장된 형태로 장착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마이크부(190)를 통해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20)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연도별, 날짜별 및 시간별로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검색 태그를 삽입하여 추후 검색 시 검색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단위로 한 프레임씩 따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3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31)과 전원부(300)로부터 입력된 직류 신호의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광원(131)에 직류 신호를 인가하는 컨버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부(132)는 직류 직류 컨버터가 될 수 있고, 프로세서(150)로부터의 광원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300)로부터 입력된 직류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광원(13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광원(131)은 LED(light-emitting diode)가 될 수 있고, 복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LED는 서로 다른 컬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140)는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렌즈 모듈(110a)에서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반경 3 미터 이내에 시속 10Km 이상으로 자동차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자동차가 반경 3 미터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반경 3 미터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가 자동차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오브젝트는 자동차 이외에 사람, 동물, 물건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모든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LED부(130) 및 스피커부(140)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판단하면 LED부(130)를 통해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레드 컬러의 LED를 구동시킬 수 있고,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고 있음을 판단하면 LED부(130)를 통해 안전한 상황임을 알리는 그린 컬러의 LED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LED의 컬러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험한 상황에 처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동시에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이 현재 위험한 상황에 처했음을 알릴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판단하면 스피커부(140)를 통해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렌즈 모듈(110a)을 중심으로 360도 전방위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촬영된 이미지를 참조하면, 현재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횡단 보도를 건너고 있는 중임을 알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사용자가 착용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에 포함된 렌즈 모듈(110a)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1) 내에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기 설정된 범위(1) 내에 자동차(2)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판단하게 되면, 프로세서(150)는 자동차(2)가 기 설정된 범위(1)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범위(1)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자동차(2)가 기 설정된 범위(1) 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판단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130) 및 스피커부(140)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위험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150)는 자동차(2)가 기 설정된 범위(1) 내에 진입하지 않거나, 설령 자동차(2)가 기 설정된 범위(1) 내에 진입하였다고 하더라도 자동차(2)의 진입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위험한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부(120)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의 크기,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된 오브젝트의 크기,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 설정된 등급 별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판단된 등급에 따라 시각 절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시간 별로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방위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의 크기,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방향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이렇게 판단된 오브젝트의 크기,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방향 등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와의 충돌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오브젝트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와의 충돌 여부를 기 설정된 등급 예를 들어, 상, 중, 하 등급 중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여부가 상 등급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50)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레드 컬러의 LED를 구동하며,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충돌 여부가 중 등급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50)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주의 경계 해야하는 상황임을 알리는 옐로우 컬러의 LED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충돌 여부가 하 등급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50)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부(120)에 저장하지 않고, 안전한 상황임을 나타내는 그린 컬러의 LED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시스템 보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시스템 보드(1000)는 촬상부(110), 저장부(120), 광원부(130), 스피커부(140), 프로세서(150) 및 전원부(300) 이외에 통신부(16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170) 및 입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6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신부(160)는 무선 통신 방식 및 유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GPS부(170)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PS부(170)는 GPS부(170)에 내장된 GPS 센서에 의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출 과정은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인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전방위 이미지, 외부 사운드 및 GPS부(170)에 의해 산출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위 이미지 및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외부 기기는 전방위 이미지가 촬영된 시간, 촬영된 시간에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위치 정보,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년도별, 날짜별, 시간별,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단위로 한 프레임씩 따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한 외부 기기의 경우, 외부 기기는 수신된 전방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한 외부 기기의 경우, 외부 기기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촬상부(110)를 통해 촬영된 프리뷰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촬상부(1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60)를 통해 촬상부(10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 예를 들면, 전방위 이미지 촬영, 외부 사운드 수신, 기 설정된 시간 내의 촬영된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 저장, 모니터링 기능, 경고 메시지 디스플레이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80)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 입력부(180)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촬영 이미지와 원하는 시간 구간 내의 외부 사운드를 원하는 시간 대에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와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에 관한 기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 레드 컬러의 불꽃과 연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화재 및 연기에 관한 기 저장된 이미지와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화재 및 연기에 관한 기 저장된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현재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화재 및 연기가 나는 상황이 있음을 판단하고,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b는 전방위 렌즈 모듈에 입사하는 광선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이다.도 4를 참조하면, 렌즈 모듈은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11)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13)이 형성되며, 제1 입사면(11) 중앙에 제1 반사면(15)이 형성되는 제1 렌즈(10) 및 일면에 제2 입사면(21)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23)이 형성되며, 제2 반사면(23) 중앙에 제2 출사면(25)이 형성되는 제2 렌즈(20)를 포함하며,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1 출사면(13)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사면(21)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1 출사면(13) 및 제2 입사면(21)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된다.
여기서,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는 광선의 반사와 굴절을 이용한 반사 굴절식 렌즈로서,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를 통해 360도 전방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면(15) 및 제2 반사면(23)에 가시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등의 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적절하며, 제1 반사면(15) 및 제2 출사면(25)은 도 4에서 각각 오목하고 볼록하게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제1 반사면(15) 및 제2 출사면(25)이 모두 평평하게 구현될 수도 있고, 제1 반사면(15) 및 제2 출사면(25)이 각각 볼록하고 오목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렌즈(10)는 외부의 광선이 입사하는 렌즈로서, 일면에 제1 입사면(11)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1 입사면(11)을 통해 외부의 광선이 입사한다. 그리고, 제1 렌즈(10)의 타면에는 제1 출사면(13)이 형성되어 제1 입사면(11)으로 입사한 광선이 제1 출사면(13)으로 출사한다. 또한, 제1 입사면(11)의 중앙에 제1 반사면(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렌즈(20)는 제1 렌즈(10)와 접합하는 렌즈로서, 구체적으로 제2 렌즈(20)의 일면에 제2 입사면(21)이 형성되고, 제2 입사면(21)이 제1 출사면(13)과 접합한다. 제2 렌즈(20)의 타면에는 볼록한 제2 반사면(23)이 형성되고, 제2 반사면(23)의 중앙에 제1 입사면(11)을 통해 입사한 광선이 출사할 수 있는 제2 출사면(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입사면(11)의 곡률 반경은 21mm 내지 23mm로, 제2 반사면(23)의 곡률 반경은 10mm 내지 12mm로, 제1 출사면(13) 및 제2 입사면(21)의 곡률 반경은 29mm 내지 31mm로 형성되어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접합면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촬상부(110)에 장착되는 렌즈 모듈의 경우, 제1 출사면(13) 및 제2 입사면(21)의 곡률반경은 30mm인 것이 적절하나, 제작상의 공차(±1mm)에 의해 29mm ~ 31mm의 곡률반경까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사면(13) 및 제2 입사면(21)의 곡률반경이 31mm보다 크게 형성되면 제2 렌즈(20)의 크기가 커지고, 29mm보다 작게 형성되면 볼록(오목)한 정도가 심해져 렌즈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제1 입사면(11)의 곡률반경은 21 ~ 23mm인 것이 적절하다. 제1 입사면(11)의 곡률반경이 21 ~ 23mm로 형성됨으로써 화각(Field of View)을 상하 40°~ 85°의 범위에서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사면(11)의 곡률반경이 21 ~ 23mm를 벗어나면 제2 출사면(25)에서 차폐가 발생되어 제대로 된 화각을 확보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입사면(11)으로 입사하는 광선이 파장에 따라 굴절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1 입사면(11)의 곡률반경이 위 곡률반경을 벗어나면 일부 파장의 광선이 제2 출사면(25)으로 출사하지 못하여 의도된 화각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작상의 공차(±1mm)를 감안하여 제1 입사면(11)의 곡률반경을 22mm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한편, 제2 반사면(23)의 곡률반경은 10 ~ 12mm인 것이 적절하다. 제2 반사면(23)의 곡률반경이 10 ~ 12mm로 형성되지 않으면 제1 반사면(15)에서 차폐가 발생하여 제대로 된 화각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제작상의 공차(±1mm)를 감안하여 제2 반사면(23)의 곡률반경을 11mm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또한,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면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에서 굴절이 일어나지 않는다.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를 접합할 때 UV 본드를 사용하는데, UV 본드란 UV(Ultraviolet Ray: 자외선)를 쪼이면 굳게 되는 본드를 말한다. UV 본드는 굴절률이 1.5 정도로 유리(glass)의 굴절률과 유사하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 특성이 좋아 가시광선 영역(파장이 400nm ~ 700nm인 영역)의 광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UV 본드의 대표적인 예로 발삼(Balsam)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를 접합하면 제1 렌즈(10)로 입사한 광선은 제1 렌즈(10) 또는 제2 렌즈(20)의 내부에서 초점을 한번 맺는다. 그리고, 이러한 초점이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의 접합면에서 형성되면 산란이 일어나 이미지 센서에 맺히는 상의 선명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가 상술한 바와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면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의 접합면에서 초점이 형성되지 않아 광의 산란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광학분야에서 렌즈의 소재는 크게 저굴절 고분산의 크라운(Crown) 계열과 고굴절 저분산의 플린트(Flint) 계열로 나누어진다. 아베수(Abbe's number)는 분산의 역수이고, 아베수 50 이상을 크라운 계열, 아베수 50 이하를 플린트 계열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파장이 400nm ~ 700nm인 가시광선 영역을 다루고 있어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크라운 계열과 플린트 계열의 렌즈를 조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렌즈 모듈은 제1 렌즈(10) 및 제2 렌즈(20) 외에도 제2 출사면(25)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렌즈(이하 '릴레이 렌즈부'라 한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 렌즈부의 복수 개의 렌즈는 동일한 광축을 이루면서 일렬로 배치되며,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색수차 보정을 위해 크라운 계열과 플린트 계열의 렌즈를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크라운 계열은 NBK7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린트 계열은 NSF15, NSF8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의 소재를 3종류로 한정하면 소재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양산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렌즈부를 제3 렌즈(30) 내지 제9 렌즈(90)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에서 C는 크라운 계열 소재의 렌즈를 의미하고, F는 플린트 계열의 소재를 의미한다.
릴레이 렌즈부의 복수 개의 렌즈를 배치할 때 서로 다른 종류의 렌즈를 연속하여 두 번 접합할 때 렌즈의 광축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운 계열의 볼록한 제5 렌즈(50), 플린트 계열의 오목한 제6 렌즈(60), 크라운 계열의 볼록한 제7 렌즈(70)를 연속하여 접합하는 경우, 제5 렌즈(50)와 제6 렌즈(60)의 접합면, 제6 렌즈(60)와 제7 렌즈(70)의 접합면을 서로 대응시켜 완전히 접합하려면 편심의 측정이 힘들어 렌즈 간의 광축을 맞추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렌즈(60) 와 제6 렌즈(60)를 곡률반경을 서로 다르게 하고, 렌즈의 가장자리만 접하는 에지 콘택트(Edge contact) 방식으로 제5 렌즈(50)와 제6 렌즈(60)의 가장자리만 접합함으로써 편심의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렌즈 간의 광축을 편하게 맞출 수 있다.
제5 렌즈(50)와 제6 렌즈(60)를 에지 콘택트 방식으로 접합할 때, 제5 렌즈(50)와 제6 렌즈(60)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의 간격이 너무 크게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되면 이미지 센서에 맺히는 상이 어긋나 제대로된 화각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5 렌즈(50)의 곡률반경과 제6 렌즈(60)의 곡률반경이 적절하게 선택되어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릴레이 렌즈부는 셔터(Shutter) 방식의 적외선 필터(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100)를 닫아 적외선을 차단시키고, 적외선 필터(100)를 열어 적외선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적외선 필터(1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렌즈부의 가장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릴레이 렌즈부의 복수 개의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보다 제조상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상부(110)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후방 영역에 위치한다. 여기서, 촬상부(110)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지지체(100b)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이유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를 구성하는 안면 마스크(100e)가 이동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만, 촬상부(110)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경우, 촬상부(110)는 반드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후방 영역에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상단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안면 마스크(100e)를 위로 올릴 때는 촬상부(110)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면 마스크(110e)와 지지체(100b)의 이음부(100f)에는 스피커부(140)가 구비될 수 있고, 미리 설명한바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스피커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음을 울릴 수 있다.
또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하단에 구비된 입력부(180)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외 사용자 조작에 매칭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도 6과 달리 촬상부(110)는 복수의 렌즈 모듈을 포함하며, 복수의 렌즈 모듈 각각(110a, 110b, 110c)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서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우측면에 렌즈 모듈이 위치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렌즈 모듈(110c)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우측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복수의 렌즈 모듈(110a, 110b, 110c)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각 면에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전방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어, 좀더 입체적이고 정밀하며 화각이 넓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하단에 구비된 입력부(180)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외 사용자 조작에 매칭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저장부(120)에 해당하는 메모리 카드 슬롯, GPS부(170)에 해당하는 GPS 센서, LED부(130)에 해당되는 복수의 LED, 통신부(160)에 해당하는 안테나 등도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복수의 렌즈 모듈(110a, 110b, 110c)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전면, 후면, 우측면 및 좌측면 모두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면 및 후면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우측면 및 좌측면에만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렌즈 모듈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 및 외부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방위 이미지를 촬영한다(S810).
그리고,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진입하는 것을 판단한다(S820).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한다(S830).
이후,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S84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저장된 전방위 이미지, 외부 사운드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단하는 단계(S820)는, 오브젝트의 크기,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 설정된 등급 별로 판단하고, 제공하는 단계(S840)는, 판단된 등급에 따라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하는 단계(S830)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고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와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에 관한 기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은,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이 형성되며, 제1 입사면 중앙에 제1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일면에 제2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이 형성되며, 제2 반사면 중앙에 제2 출사면이 형성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1 출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입사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1 출사면 및 제2 입사면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사면의 곡률 반경은 21mm 내지 23mm로, 제2 반사면의 곡률 반경은 10mm 내지 12mm로,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 반경은 29mm 내지 31mm로 형성되어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접합면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시스템보드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9b는 압력센서부와 전원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9c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압력이 가해지는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의 시스템보드(1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시스템보드에서 압력센서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전원부(300)를 제외한 제1 실시예의 모든 구성이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센서부(200)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 사용자가 상기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부(200)는 시스템보드(1000) 상의 압력센서부(200)의 브릿지회로(202)와 연결되고, 지지체(100b)의 상단부 영역에 배치된 게이지(201) 및 시스템보드(10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지(201)와 연결된 브릿지회로(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지(201)는 외력의 압력을 받는 금속선 스트레인 게이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회로(202)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한 저항의 변화를 검출하여 저항의 변화에 따라 상이한 출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셀에 외력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면 수감부가 압축되어 변형 게이지의 전기 저항값이 외력에 의한 압력에 비례하여 변화할 수 있다. 이 저항값의 변화를 브릿지회로(202)에서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부(300)는 배터리 관리부(301) 및 배터리(30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302)는 외부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301)는 외부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배터리(302)로 입력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302)에 충전된 전력을 출력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부(301)는 상기 브릿지회로(20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의 값을 읽어드려, 상기 브릿지회로(202)의 출력 전압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302)의 충전된 전력의 출력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한 압력이 형성된 경우, 이를 브릿지회로(202)의 출력 전압으로 감지하여, 배터리(302)로부터 충전 전력이 출력되도록 하고, 외력에 의한 압력이 없는 경우, 이를 브릿지회로(202)의 출력 전압으로 감지하여, 배터리(302)로부터 충전 전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c를 참조하면, 도 9c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를 착용하면, 상기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의 지지체(100b)의 내측에 배치된 내피(100a)에 사용자의 머리에 의한 압력이 화살표 방향으로 가해지면서 내피(100a)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면서 내피(100a)와 지지체(100b) 사이에 배치된 게이지(201)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를 착용하면, 상기 게이지(210)에 압력이 가해지고,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를 벗으면 상기 게이지(2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의 착용여부에 따라서 전원부(300)로부터 전력의 출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의 착용 전에는 전원부(300)의 배터리(302)에 충전된 전력은 압력센서부(200)의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전력만을 사용하고,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의 착용 후에는 전원부(300)의 배터리(302)에 충전된 전력이 압력센서부(200) 외의 다른 모든 구성을 동작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302)의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의 착용 여부를 금속선 스트레인 게이지의 동작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구성이든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따르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의 시스템보드(1000)는 광원부(130), 스피커부(140), GPS부(170) 및 마이크부(190) 전부 또는 일부를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포함하는 경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0b는 무선충전부와 전원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3)의 시스템보드(100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에서 무선충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전원부(300)를 제외한 제2 실시예의 모든 구성이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3)의 시스템보드(100)는 무선충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400)는 무선충전수신기로써,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전원부(300)의 배터리(302)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무선충전부(400)는 무선전력을 생성하는 외부의 송신기(401)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충전부(400)는 상기 송신기(401)로부터 전송되는 교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400)는 코일부(410) 및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부(420), 상기 매칭부(420)로부터 입력된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제1 전력변환부(430), 상기 제1 전력변환부(430)로부터 입력된 직류 신호의 레벨을 변경하여 직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제2 전력변환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력변환부(430)를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는 정류부로 지칭할 수 있다.
코일부(41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을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수신 방식에 따라서 유도 코일 또는 공진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부(410)는 지지체(100b)와 내피(100a) 사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매칭부(420)는 송신기(401)와 무선충전부(400)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
상기 제1 전력변환부(430)는 코일부(410)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력변환부(440)는 제1 전력 변환부(430)에서 출력되는 직류 신호의 레벨을 배터리(302)의 용량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관리부(301)는 상기 배터리(302)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302)로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송신기(401)로부터 웨이크-업 전력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고, 상기 송신기(401)의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충전부(400)를 이루는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충전부(400)의 제어부(450)는 압력센서부(200)의 브릿지회로(202)의 출력 전압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3)를 착용하여 출력 전압이 변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5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송신기(401)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을 중단 또는 무선전력 수신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3)를 착용한 경우, 무선전력충전에 따른 자기장이 사용자의 머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0a에 따르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3)의 시스템보드(1000)는 광원부(130), 스피커부(140), GPS부(170) 및 마이크부(190) 전부 또는 일부를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포함하는 경우,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멧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1b는 마스크 개폐 감지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1)에서 마스크개폐감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의 프로세서(150)는 마스크개폐감지부(500)를 통해 안면 마스크의 닫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를 통해 안면 마스크가 닫힌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피커부(14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를 줄여서 상기 스피커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를 통해 안면 마스크가 열린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피커부(140)를 통해 출력된 사운드를 증폭시켜 상기 스피커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를 착용한 사용자가 안면 마스크를 연 상태로 오토바이 등을 주행하는 경우, 외부 소음이 유입되어, 스피커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인지 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마스크개폐감지부(500)를 통해 안면 마스크의 개폐 여부에 따라서 스피커부(140)의 출력 사운드를 자동으로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청각적 피드백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는 압력센서부(200)에 의해 외력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안면 마스크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는 압력센서부(200)의 브릿지회로(202)의 출력 전압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을 착용하여 출력 전압이 변동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는 마스크개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를 통해 안면 마스크가 열린 것으로 판단한 경우, 마이크부(19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의 잡음 신호를 제거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를 착용한 사용자가 안면 마스크를 연 상태로 오토바이 등을 주행하는 경우, 외부 소음이 크게 유입되기 때문에, 마이크부(19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에 포함된 잡음 신호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역통과필터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대역통과필터는 음성 신호와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외부 소음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는 압력센서부(200)에 의해 외력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안면 마스크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는 압력센서부(200)의 브릿지회로(202)의 출력 전압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을 착용하여 출력 전압이 변동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는 마스크개폐 감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부(190)는 두 개의 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마이크부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부의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프로세서(150)는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를 통해 안면 마스크가 열린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의 내측에 배치된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의 잡음 신호를 제거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개폐감지부(500)를 통해 안면 마스크가 열린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마이크부(190)를 통해 유입된 사운드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노이즈 제거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 불 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의 지지체(100b)는 사람의 머리가 들어갈 수 있는 배면 개구부(100c)와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안면 개구부(100d)를 포함하고,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의 안면 마스크(100e)가 지지체(100b)의 이음부(100f)에 결합하여 상기 안면 개구부(100d)를 커버할 수 있고, 양 방향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하다. 사용자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를 착용하고, 안면 마스크(100e)를 이동시켜 안면개구부(100d)를 커버할 때, 안면 마스크(100e)가 지지체(100b)의 안면 개구부(100d) 상에 배치된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510)를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눌러줌으로써,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510)가 턴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500)는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510)의 스위치가 턴온되는 것을 감지하여 안면 마스크(100e)가 닫힌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510)의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것을 감지하여 안면 마스크(100e)가 열린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의 시스템보드(1000)는 광원부(130), GPS부(170) 전부 또는 일부를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포함하는 경우,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의 시스템보드(1000)는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무선충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2b는 압력센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5)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4)에서 충격감지부(230) 및 자이로센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부(230)는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여 이를 프로세서(150)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감지부(230)는 마이크로폰(231)을 통해 유입된 충격 신호를 증폭기(232)로 증폭하고, 로우패스필터(233)를 통해 잡음을 제거한 후 정류기(234)를 통해 정류하여 비교기(235)를 통해 기준신호와 비교함으로써 비교결과에 따른 충격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50)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충격감지부(230)는 공지의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져 두 개의 전극들 사이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충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이로센서(240)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5)의 관성력을 전기신호로 검출할 수 있고,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상기 자리로센서(240)로부터 감지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5)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회전각의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5)를 착용한 사용자가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 자동차를 주행할 때, 정상적인 주행에 있어서 감지되는 회전각을 패턴화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위급 상황에 따른 프로세서(15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의 위급 상황이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05)을 착용한 사용자가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 자동차를 주행하다가 외부 물체와 충돌한 경우를 말한다.
프로세서(150)는 충격감지부(230)로부터 감지된 충격이 기 설정치 이상이 되고, 자이로센서(240)로부터 감지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5)의 회전각이 충격 신호의 감지 전까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회전각 패턴과 비교해 기 설정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위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충격감지부(230)를 통해 충격이 감지되는 것을 전제로 자이로센서(240)로부터 감지되는 회전각의 이상적인 변위가 검출되는 경우 위급 상황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단지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5)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고와 무관한 돌발 행동에 따른 자이로센서(240)로부터 감지되는 회전각의 이상적인 변위에 대해서는 프로세서(150)가 무시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 상황의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분단위 프레임 영상을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서버는 응급 상황에 따른 처리를 관할하는 관공서 등의 서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을 분단위 프레임 영상, 즉 영상 파일의 용량을 최소화 함으로써, 위급 상황에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5) 사용자에 대한 위치 정보의 전송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충격 감지 이후 회전각 패턴 비교를 통해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5)를 착용한 사용자의 사고 여부를 정밀하게 감지하고, 분단위 프레임 영상을 외부 서버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분 단위 프레임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빠르게 추적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가 위급 사항으로 판단한 경우, 광원부(130)를 통해 기 설정된 컬러로 광을 출사하여, 외부로부터 위급 사항이 인지될 수 있도록 하고, 스피커부(140)를 통해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음성을 재생함으로써, 위급 사항의 사용자가 의식을 잃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6)는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 101, 103, 104, 105)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800)는 프레임 저장부(810) 및 프레임 비교기(8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저장부(810)는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프레임 비교기(820)는 상기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현재 프레임 영상과 상기 프레임 저장부(810)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프로세서(15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800)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 영상들 간의 계조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영상처리부(800)로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복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프레임들 간의 계조 차이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기 설정치 이상의 계조 차이가 나는 경우, 후술할 웨어러블 장치(700)나 광원부(130), 스피커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700)를 통해 적색의 디스플레이 영상을 표시하거나, 특정 경고 음향 신호나 진동 효과가 일어나도록 하거나, 상기 광원부(130)를 통해 특정 컬러의 광을 출사하거나 상기 스피커부(140)를 통해 미리 정해진 경고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6)를 공사 현장이나, 화재 진압, 건물 붕괴의 위험이 있는 장소 등과 같이 지지기반이나 벽 그리고 각종 자연 그리고 인공 구조물이 파괴 등으로 프레임 영상들 간의 계조 차이가 급격히 변할 수 있는 곳에서 사용자가 실시예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방위 카메라는 360도 촬영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시야로 인지하기 어려운 사각 지대에서 일어나고 있는 위험 상황을 사용자게 신속히 피드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이용한 안전시스템(600)은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0, 101, 103, 104, 105)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7)와 웨어러블 장치(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700)는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뚝에 착용 가능한 밴드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700)는 출력부(710)와 입력부(7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71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부(710)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진동 장치 그리고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72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패널장치 및 입력버튼을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버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치(700)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7)의 촬상부(110)에서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7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700)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7)의 광원(131)이 구동하여 광을 출사하는 경우, 출력부(710)를 통해 동일한 컬러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출력부(7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배경 화면을 상기 광원(131)의 컬러와 동일한 컬러로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깜빡이는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치(700)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7)의 스피커부(140)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710)를 통해 동일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스피커부(140) 및 상기 출력부(710)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710)는 전술한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7: 이하 제1 안전장치)의 통신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8: 이하 제2 안전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안전장치(107)를 착용한 제1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은 상기 제2 안전장치(108)를 착용한 제2 사용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의 제1 안전장치(107)는 제2 사용자의 제2 안전장치(108)가 촬영한 전방위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7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7)를 착용한 사용자가 복수일 때, 사용자들 각각이 구비한 안전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안전장치(108)의 GPS부(170)를 통하여 사용자들 간의 위치 센싱하고, 웨어러블 장치(700)를 통해 맵(Map) 형태로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재난 구조자들인 경우, 재난 상황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들 간의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동료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구조자들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사고가 발생 한 경우, 전방위 이미지와 위치 센싱에 따른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고자의 위치와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여 사고자를 위험 상황에서 조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구비한 안전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107)를 이용한 안전시스템(600)은 생체신호 센싱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900)는 각종 생체인식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인식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감지센서, 웨어러블 장치(70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감지센서, 안면 마스크(100e)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홍채나 망막을 인식하는 홍채망막인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상기 센싱부(900)를 통해 센싱된 결과는 웨어러블 장치(70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상기 센싱된 결과는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700)로 전송될 수 도 있다. 특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맥박감지센서로부터 맥박이 감지되지 않거나, 급격한 변동이 있는 경우, 홍채망막인식센서로부터 이상 신호가 센싱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복수의 재난 상황을 처리하는 사용자들 간의 협업이나, 돌발 상황을 신속히 파악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방위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진입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써의 모든 착용가능한 모자를 포함하며, 오토바이용 헬멧, 야구 경기시 사용되는 헬멧, 산업 현장에서 착용하는 안전 헬멧, 일반적인 모자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이 형성되며, 제1 입사면 중앙에 제1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일면에 제2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이 형성되며, 제2 반사면 중앙에 제2 출사면이 형성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출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되어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을 포함한 촬상부;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사운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광원부 및 스피커부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3.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되는 배면 개구부와 상기 머리의 안면부가 노출되는 안면 개구부를 포함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와 결합하여 상기 안면부를 커버 또는 노출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안면 마스크;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배치된 내피; 및
    전방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내피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용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내피를 누르면서 형성되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부, 상기 촬상부로부터의 전방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촬상부, 저장부 및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시스템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을 센싱하면 전원이 출력되고
    상기 시스템보드는 외부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압력센서부를 통해 압력을 센싱하면 무선 충전을 중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개구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안면 마스크가 이동하여 상기 안면 개구부를 커버 또는 노출 시 상기 안면 마스크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보드는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감지하는 마스크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의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의 감지에 따라 출력 사운드가 조절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상기 마스크개폐감지부의 상기 마스크개폐감지스위치의 턴온 또는 턴오프의 감지에 따라 유입되는 사운드의 노이즈 제거 여부가 조절되는 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중 분 단위의 프레임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회전각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감지된 회전각을 패턴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감지된 충격이 기 설정치 이상이 되고, 감지되는 회전각이 충격 신호의 감지 전까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회전각 패턴과 비교해 기 설정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분 단위의 프레임 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광원부와 외부로부터 사운드를 수신하는 마이크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상기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진입한 시점부터 상기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시점까지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전방위 이미지, 상기 외부 사운드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 설정된 등급 별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등급에 따라 상기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을 상이하게 제공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보드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및 수신된 외부 사운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 내에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전방위 이미지와 상기 화재, 연기, 자연 재해, 차량 사고 및 인명 사고에 관한 기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이 형성되며, 제1 입사면 중앙에 제1 반사면이 형성되는 제1 렌즈 및
    일면에 제2 입사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이 형성되며, 제2 반사면 중앙에 제2 출사면이 형성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출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반경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면의 곡률 반경은 21mm 내지 23mm로, 상기 제2 반사면의 곡률 반경은 10mm 내지 12mm로, 상기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곡률 반경은 29mm 내지 31mm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접합면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1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지지체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2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복수의 렌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 모듈 각각은 상기 지지체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에 위치하는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KR1020177033048A 2015-07-07 2016-02-13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5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6450 2015-07-07
KR1020150096450 2015-07-07
PCT/KR2016/001461 WO2017007105A1 (ko) 2015-07-07 2016-02-13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159A KR20180004159A (ko) 2018-01-10
KR102005094B1 true KR102005094B1 (ko) 2019-07-29

Family

ID=5768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048A KR102005094B1 (ko) 2015-07-07 2016-02-13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5094B1 (ko)
WO (1) WO2017007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49B1 (ko) * 2018-07-27 2019-08-19 (주)티피엘테크놀로지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20Y1 (ko) * 2013-06-19 2014-08-18 (주)넥스트로닉스 헬멧 안전장치
KR101439411B1 (ko) * 2014-01-23 2014-09-11 이선구 전방위 렌즈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428B1 (ko) * 2008-11-06 2011-06-16 (주)유알엔디 헬멧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101323616B1 (ko) * 2012-02-07 2013-11-0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토바이의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헬멧 장치
KR101670033B1 (ko) * 2013-11-21 2016-10-27 백승환 스마트 블랙박스 헬멧을 이용한 스마트 블랙박스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20Y1 (ko) * 2013-06-19 2014-08-18 (주)넥스트로닉스 헬멧 안전장치
KR101439411B1 (ko) * 2014-01-23 2014-09-11 이선구 전방위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159A (ko) 2018-01-10
WO2017007105A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1419B (zh) 管理信息显示
US10345103B2 (en) Cellular phone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age monitoring system
JP5040061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N104903818A (zh) 眼睛跟踪佩戴式设备和使用方法
JP2016186786A (ja) 画像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に基づいた危険の検出及び警告用のウェアラブルスマート装置
KR101941904B1 (ko) 다기능 스마트 헬멧
KR101629175B1 (ko) 다기능 헬멧
KR102047988B1 (ko)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시력 보조장치와 원격관리장치 및 시력 보조방법
US11526590B2 (en) Automatic low radiation mode for a wearable device
JP2019109850A (ja) 透過型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13160520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智能眼镜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KR20200103929A (ko)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사용한 3차원 얼굴과 공간 정보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N207220273U (zh) 可视化海警巡防头盔
KR102344435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JP6528263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102005094B1 (ko)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1668A (ko) 졸음운전 경보 장치 및 그 방법
JP2017146726A (ja) 移動支援装置、及び、移動支援方法
JP6120444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TWI668596B (zh) 監視系統及具有該監視系統的可穿戴裝置
US11156856B2 (en) Eyewear with wearing status detector
JP6321848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KR20210033731A (ko) 전방위 촬영 및 줌 기능을 제공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2325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