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649B1 -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649B1
KR102011649B1 KR1020180087820A KR20180087820A KR102011649B1 KR 102011649 B1 KR102011649 B1 KR 102011649B1 KR 1020180087820 A KR1020180087820 A KR 1020180087820A KR 20180087820 A KR20180087820 A KR 20180087820A KR 102011649 B1 KR102011649 B1 KR 10201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skin layer
gyro sensor
driv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주)티피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피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티피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08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07Headwear
    • B29L2031/4814Hats
    • B29L2031/4821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분석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며, 헬멧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회전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에 따라 상기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헬멧; 상기 자이로센서가 수집한 위치 정보와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행수단으로부터 일어선 상태인지 판단하며, 일어선 상태이면 앉은 상태에 비해 가중치를 부과하여 운동량을 산출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Helmet, Driver monitoring system including helmet}
본 발명은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분석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전거는 건강을 위한 여가활동 또는 친환경 교통수단 등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 라이딩을 즐기는 인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와 각 지방자치단체도 이에 발맞추어 자전거의 이동 편의를 위한 자전거 전용 도로를 확충 및 정비하는 등 자전거 관련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년 자전거 사용자의 이용률이 늘어감에 따라 자전거 사고도 함께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자전거의 특성상 도로를 달리는 비율이 높고, 자전거 전용 도로의 사정이 좋지 않아 초보자 또는 초행길을 달리는 사용자에게 유독 많이 일어나고 있다.
자전거 주행 중 운전자의 집중력 저하 및 지속적인 스트레스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신체 능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자전거 주행 중 낙차 사고 및 탈진이 발생하여 본인도 모르게 자전거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시작 또는 중간에 충분한 휴식을 통해 신체 능력을 회복한 후 자전거를 타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규칙을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본인의 신체 밸런스를 스스로 인지하기 쉽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0,581호(등록일자: 2016.01.26.)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406호(공개일자: 2017.04.19.)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전거를 라이딩(운전)하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헬멧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통신이 가능한 헬멧을 제안하며, 특히 주행 중인 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 헬멧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주행 도로에 대한 정보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도로의 위험 상황을 통보받는 것이 가능한 헬멧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플랙시블 헬멧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며, 헬멧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회전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에 따라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헬멧; 상기 자이로센서가 수집한 위치 정보와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행수단으로부터 일어선 상태인지 판단하며, 일어선 상태이면 앉은 상태에 비해 가중치를 부과하여 운동량을 산출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헬멧은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며, 헬멧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회전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이로센서; 및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고분자 화학소재의 필름지로 구성되는 몰드; 및 상기 몰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제1 스킨층, 발포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며, 제2 스킨층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2 스킨층의 두께는 제1 스킨층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은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헬멧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공기 배출 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 사이에 격벽을 구비함으로써 공기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일정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두부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사고 정보가 포함된 사고 신호를 주변의 헬멧 착용자에게 송신함으로써 자전거의 운전자를 신속하게 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자이로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상태 및 운동량을 확인함으로써 사고 발생시 미리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송하거나 상대적으로 안전한 도로로 라이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헬멧을 제안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가 내장된 헬멧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헬멧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킨층과 발포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헬멧(스마트 헬멧)이 포함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운전자의 운동량 및 운행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가 내장된 헬멧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a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가 내장된 헬멧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헬멧은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가 내장되며, 생체센서로부터 수집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분석한다. 헬멧은 운전자의 생체 능력을 초과하는 주행 도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해당 도로를 이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로 상태 및 상황이 비정상적인 지역, 사고 다발지역 등 자전거 운전자에게 사고 위험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공받은 사고 위험이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어 지도에 표시하여 자전거 운전자는 해당 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운전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운전자가 자주 주행하는 도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a에 의하면, 헬멧은 생체센서, 자이로센서, LED 발광부, 음성 출력부, 전원부, 메모리부, 발광 리셋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헬멧에 포함될 수 있다.
생체센서(110)는 헬멧(100)에 장착되며,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한다. 생체센서(110)는 맥파(PPG) 데이터 또는 뇌파(EEG) 데이터 등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생체센서(110)는 헬멧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맥파 데이터와 뇌파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한다.
자이로센서(120)는 위치 정보와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며, 헬멧(100)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회전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자이로센서(120)는 움직임 발생 시 전원 공급이 시작되어 회전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자이로센서(120)는 운전자의 머리가 기준 변화값에 대응되도록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두부 기울기에 대응하는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의 전류값을 출력한다.
전원부(130)는 자이로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에 따라 LED 발광부(140)에 선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30)는 LED 발광부(140)에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하기 위해 자이로센서(120)의 각 운동값에 따라 변환된 전류값을 수신한다.
메모리부(150)는 자이로센서(120)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저장한다. 메모리부(150)는 발광 리셋부(160)의 작동 시 종전 운전자의 설정정보를 지우고, 새로운 운전자의 동작신호에 따른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저장한다.
발광 리셋부(16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다른 운전자에 맞게 재설정한다. 발광 리셋부(160)는 LED 발광부(140) 일 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발광 리셋부(160)는 LED 발광부(140)와 같은 부위인 상부 외피의 외주부 좌측면부과 우측면부, 후면부에 각각 마련되거나, 각각에 위치한 LED 발광부(140)와 연결되어 3개 버튼으로 이루어져 상부 외피의 임의의 한 지점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것이 발광 리셋부(160)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이로센서(120)와 발광체 리셋부(160)는 수신호 대신 다른 운전자에 신호 알리는 발광체 동작 범위를 각각의 운전자에 맞게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헬멧은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적용한 플랙시블 헬멧이다.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헬멧은 금형에 인몰드(인서트) 가이드를 넣은 상태에서 금형 내부로 폴리우레탄 폼을 주입한다. 이후 주입한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헬멧은 헬멧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헬멧 하우징은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감싸는 몰드로 1차 충격을 완화하며, 2차 충격은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 완화한다.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이 내구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몰드 가이드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1차 충격을 완화하는 몰드는 PC(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고분자 화학소재의 필름지를 이용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금형 내측에 몰드를 진공 흡착하여 형태를 유지한 후, 인서트를 삽입한다. 이후 금형을 닫은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폼을 주입한 후 발포시킨다.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연질폼과 경질폼의 사이의 압축강도 및 경도를 가지며, 150 내지 1000㎏/㎡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반경질 폴리우레탄 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은 딱딱한 경질의 스킨층으로 구성되며, 내부는 쿠션감을 부여하는 발포층으로 구성된다.
도 1b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헬멧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b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헬멧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특히 도 2는 헬멧 하우징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S100단계에서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의 금형에 폴리우레탄 폼의 외부를 감싸는 몰드를 진공 흡착한다. 몰드는 하나 또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몰드가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각 몰드를 순차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몰드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몰드가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경우, 각 몰드를 끈 등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금형 내측에 진공 흡착한다.
S105단계에서 몰드를 금형 내측에 진공 흡착한 상태에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닫는다.
S110단계에서 닫힌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내부로 폴리우레탄 폼을 주입한다. 폴리우레탄 폼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 몰드에 밀착된다.
S115단계에서 닫힌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열어 주입된 폴리우레탄 폼을 발포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포 과정에서 폴리우레탄 폼은 딱딱한 경질의 스킨층으로 구성되며, 내부는 쿠션감을 부여하는 발포층으로 구현된다.
몰드가 상부 금형의 내측에 진공 흡착되는 경우, 폴리우레탄 폼은 몰드에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스킨층, 하부 금형에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2 스킨층 및 제1 스킨층과 제2 스킨층 사이에 발포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헬멧은 몰드와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며, 폴리우레탄 폼은 제1 스킨층, 발포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제2 스킨층의 형상(표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c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2 스킨층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1c를 살펴보면, 제2 스킨층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 제2 스킨층에 다수 돌기부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제2 스킨층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제2 스킨층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즉, 하부 금형의 표면이 평탄하거나, 동일한 곡률에 의해 휘어진 경우)에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제2 스킨층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발포 과정에서 금형 내부로 주입된 금형은 하부 금형에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며, 이로 인해 형성되는 제2 스킨층 역시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된다. 또한 형성되는 제2 스킨층의 두께 역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헬멧 하우징에서 제2 스킨층이 특정 곡률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헬멧 착용시 제2 스킨층은 사용자의 머리에서 모든 부분에 밀착된다. 스킨층이 사용자의 머리에서 모든 부분에서 밀착되는 경우, 외부에서 헬멧에 비스듬하게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는 헬멧과 같이 꺾여지는(회전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의 머리는 헬멧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부 금형의 형상에 내측에 파인 일정 깊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물론 원기둥 이외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사각 기둥을 포함한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단은 라운드 처리할 수 있다.
도 1c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2 스킨층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2 스킨층은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돌기부에 형성되는 제2 스킨층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다. 제2 스킨층이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부여하여 설명하면, 돌출된 제2 스킨층으로 인해 사용자의 머리는 모든 부분에서 헬멧 하우징과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된 제2 스킨층에서만 밀착된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헬멧은 회전하더라도 머리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머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헬멧만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된 부분에서 제2 스킨층이 두껍게 형성되므로, 내부의 발포층을 보호할 수 있으며, 제2 스킨층이 얇게 형성되는 경우, 폴리우레탄 폼은 외부의 충격을 흡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금형에 내측으로 파인 다수의 홈부를 형성하며, 하부 금형에 형성된 다수의 홈부에 위해 제2 스킨층 역시 돌출부가 형성되며, 돌출부에 형성된 제2 스킨층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헬멧이 포함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헬멧이 포함된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헬멧, 사용자 단말 및 외부 서버로 구성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생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헬멧(100)을 상술한 바와 같이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가 내장되며, 생체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한다. 자이로센서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특히 운전자의 회전 여부나 속도, 가속도 등 다양한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헬멧(100)에서 수집된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다. 헬멧(100)은 일정 시간간격 또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수집한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헬멧(100)은 수집한 생체정보와 위치정보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헬멧(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헬멧(100)으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 물론 사용자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대신 별도의 분석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표시하거나, 외부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헬멧(100)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며, 회전이 인식되는 경우에는 해당 방향에 위치한 LED 발광부를 발광하도록 헬멧에 요청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헬멧(100)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한 LED 발광부를 발광하도록 지시하며, 우측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한 LED 발광부를 발광하도록 지시한다. 이를 위해 헬멧(100)은 적어도 2개의 LED 발광부를 형성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헬멧(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직접 분석하는 대신 외부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헬멧(100)으로부터 제공받은 생체정보를 직접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표시부를 포함하며, 현재 도로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은 지도 데이터를 미리 다운로드받아 저장하며, 현재 주행 중인 위치 정보를 지도에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분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주행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 1범위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힘든 코스를 제안하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상대적으로 우수하지 않은 제2 범위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편안한 코스를 제안한다. 상대적으로 힘든 코스는 주로 오르막길로 구성된 코스이며, 상대적으로 편안한 코스는 평지 또는 내리막길로 구성된 코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주행 코스를 제안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은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집중력 저하상태인 경우에는 이를 통보한다. 물론 헬멧(100)은 상술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한다. 외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또는 외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일차 분석한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는다.
외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외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체 상태를 분석한다. 외부 서버(300)는 분석한 사용자의 생체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주행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생체 상태가 상대적으로 우수하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주행 경로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생체 상태가 상대적으로 낮으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주행 경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상태에 따라 난이도가 다른 주행 경로를 제공한다.
외부 서버(300)는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주행 중인 주행 경로에 대한 혼잡도를 측정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공받은 위치 정보에 대한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주행 경로에 대한 혼잡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며, 제공받은 위치 정보에 대한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주행 경로에 대한 혼잡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외부 서버(3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주행 경로에 대한 혼잡도를 분석하며, 판단된 혼잡도를 기반으로 경로별 혼잡도를 분석한다. 외부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며, 주행 경로에 대한 혼잡도 및 사고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사용자 단말(200)은 타 사용자 단말이 제공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한 주행 경로별 혼잡도에 대한 주행하고자 하는 경로에 대한 혼잡도를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지도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의하면, 지도 데이터 주행 경로별 혼잡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헬멧은 다수의 헬멧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호회 활동 시 헬멧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헬멧을 착용한 사용자의 사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헬멧의 위치가 설정된 시간 이내에 설정된 높이에서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인접)하게 되면, 헬멧은 사용자가 넘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헬멧의 사용자에게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헬멧의 통신모듈은 이에 대한 정보를 주변으로 전송한다. 주변의 헬멧의 통신모듈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한 인접 헬멧 역시 이에 대한 정보를 주변으로 전송하여 사고가 발생한 것을 전파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동작을 무한 반복할 경우, 사고가 발생한 사고가 발생한 헬멧의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헬멧 역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경우 해당 헬멧은 불필요하게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고 정보는 이전에 수신한 헬멧의 고유 정보뿐만 아니라 자신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헬멧을 구성하는 제어모듈은 사고 정보에 포함된 헬멧의 고유 정보가 설정된 개수 이하이면, 자신의 고유 정보가 포함된 사고 정보를 송신한다. 하지만, 제어모듈은 사고 정보에 포함된 헬멧의 고유 정보가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사고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고 정보는 사고 지점으로부터 설정된 반경 이내에 위치한 헬멧으로만 재전송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헬멧에 설정된 수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헬멧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구급 메시지를 전송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헬멧에 설정된 수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헬멧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이동하게 되면, 헬멧 사용자는 헬멧에 가해진 충격을 극복한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헬멧에 설정된 수지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헬멧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헬멧 사용자는 헬멧에 가해진 충격을 극복하지 못한 상태라 판단하며, 따라서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구급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운전자의 운동량 및 운행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1. 자전거를 운전할 때 힐 클라임(hill climb)이나 스프린트 도중에 자전거 위에서 선호하는 자세를 자이로센서의 데이터 값으로 인식한다. 즉, 자이로센서는 머리의 위치에 따라 3축 가속도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운동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자세 변경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라이딩 도중 힐 클라임 자세를 얼마나 유지하였으며, 이 때 자세의 유지하는 상태를 분석하여 GPS 변화량에 대한 운동량을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해당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의 머리 높이와 사용자의 머리 높이를 비교한다. 해당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의 머리 높이와 사용자의 머리 높이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사용자는 자전거에 앉은 상태로 라이딩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자는 일어선 상태로 라이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는 자전거에 앉아서 라이딩하는 것에 비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운동량을 산출한다. 즉, 자전거에 앉아서 라이딩하는 경우의 운동량을 100이라고 하면, 자전거에서 일어선 상태로 라이딩하는 경우의 운동량을 120으로 판단한다.
2. 또한, 자전거 운행 중 집중력 저하 및 과도한 피로로 인하여 전방 주시를 무의식적으로 못하는 경우에 대하여 자이로센서이 가속도 값과 위치값의 변화를 인식한다. 인식하는 방법은 헬멧을 착용하여 올바른 자세를 취했을 때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각각의 사용자의 저장된 데이터 값과의 변화량을 인식하여 부저를 통해 알람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피로도가 높은 경우, 사용자는 머리를 들고 자전거를 라이딩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를 숙인 상태로 라이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헬멧의 각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헬멧의 각도가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사용자의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며, 측정된 헬멧의 각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자의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며 경고음을 전송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타 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다.
3. 이외에도 본 발명은 헬멧의 좌우 변화폭을 인식하여 좌측과 우측에 페달 스트로크 비대칭을 확인할 수 있다. 좌우측 비대칭이 주는 문제점은 조기에 피로를 느끼게 되거나,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 낙차의 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불균형을 초기에 인지함으로써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면, 좌측 페달과 우측 페달에 가해지는 스트로크가 달라지게 된다. 이는 헬멧에 장착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좌측 페달과 우측 페달에 가해지는 스트로크를 측정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헬멧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거리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좌측 페달에 가해지는 스트로크와 우측 페달에 가해지는 스트로크의 차이가 설정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좌측 페달에 가해지는 스트로크와 우측 페달에 가해지는 스트로크의 차이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사용자의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며 경고음을 전송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타 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헬멧에 장착된 자이로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며,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경고음을 송출하거나 인접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송출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헬멧 110: 생체센서
120: 자이로센서 130: 전원부
140: LED 발광부 150: 메모리부
160: 발광 리셋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외부 서버

Claims (6)

  1. 위치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며, 헬멧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 각운동을 감지하여 회전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이로센서;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에 대응하는 전류값에 따라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자이로센서로부터 출력된 수평축 변환값과 수직축 변환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헬멧의 내측에 위치하며, 맥파 데이터와 뇌파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헬멧; 및
    상기 자이로센서가 수집한 위치 정보와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가 운행수단으로부터 일어선 상태인지 판단하며, 일어선 상태이면 앉은 상태에 비해 가중치를 부과하여 운동량을 산출하는 외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서버는 생체 데이터를 분석한 생체 신호가 제1 범위이면 제1 코스를 제안하며, 상기 생체 신호가 제2 범위이면 제2 코스를 제안하며, 상기 제1 코스는 평지 또는 내리막길이며, 상기 제2 코스는 오르막길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헬멧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헬멧 하우징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고분자 화학소재의 필름지로 구성되는 몰드; 및
    상기 몰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제1 스킨층, 발포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며,
    제2 스킨층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2 스킨층의 두께는 제1 스킨층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헬멧이 전방을 기준으로 숙여진 각도가 설정된 각도 이상이면 음성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 경고음을 이용하여 송출하며,
    상기 헬멧이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거리의 차이가 설정치 이상이면 음성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 경고음을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5. 헬멧 하우징;
    상기 헬멧 하우징을 포함하는 헬멧을 구성하는 LED 발광부;를 포함하며,
    헬멧 하우징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고분자 화학소재의 필름지로 구성되는 몰드; 및
    상기 몰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제1 스킨층, 발포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며,
    제2 스킨층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2 스킨층의 두께는 제1 스킨층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6. 헬멧 하우징;
    상기 헬멧 하우징의 몰드에 연결되는 끈;을 포함하며,
    상기 헬멧 하우징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고분자 화학소재의 필름지로 구성되는 몰드; 및
    상기 몰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제1 스킨층, 발포층 및 제2 스킨층을 포함하며,
    제2 스킨층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2 스킨층의 두께는 제1 스킨층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KR1020180087820A 2018-07-27 2018-07-27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 KR10201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820A KR102011649B1 (ko) 2018-07-27 2018-07-27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820A KR102011649B1 (ko) 2018-07-27 2018-07-27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649B1 true KR102011649B1 (ko) 2019-08-19

Family

ID=6780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820A KR102011649B1 (ko) 2018-07-27 2018-07-27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085A (ko) * 2012-02-21 2013-08-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포츠 헬멧
KR20150075649A (ko) * 2013-12-26 2015-07-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탄헬멧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0581B1 (ko) 2013-12-26 2016-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헬멧
KR20170001406U (ko) 2015-10-09 2017-04-19 선전 치앤하이 리발 사물인터넷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마트 헬멧
KR20180004159A (ko) * 2015-07-07 2018-01-10 이선구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085A (ko) * 2012-02-21 2013-08-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포츠 헬멧
KR20150075649A (ko) * 2013-12-26 2015-07-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탄헬멧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0581B1 (ko) 2013-12-26 2016-02-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헬멧
KR20180004159A (ko) * 2015-07-07 2018-01-10 이선구 전방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1406U (ko) 2015-10-09 2017-04-19 선전 치앤하이 리발 사물인터넷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스마트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6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nd responding to fatigue during a physical activity
US10181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act prediction and proximity warning
US7987070B2 (en) Eyewear having hum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CN108369765A (zh) 用于事故检测和响应的活动监测系统和方法
US20150367176A1 (en) Cyclist monitoring and recommender system
US9275504B1 (en) Sensor and feedback assembly for a bicycle
CN109561837A (zh) 用于辅助对象的锻炼的系统和方法
US20160144915A1 (en) Interactive cyclist monitoring and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104294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pedometer
US201702275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pedometer
JP2003169822A (ja) スポーツ用ゴーグル
KR101856053B1 (ko) 위험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신발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판단 방법
US102884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vement triggering a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while inclined
US10490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atigue in an athlete
KR102011649B1 (ko) 헬멧을 포함하는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헬멧
US20170143069A1 (en) Helmet providing position feedback
US11432777B2 (en) Sports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US10486025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with swimming performance comparison capabilities
KR102045378B1 (ko) 생체센서와 자이로센서가 내장된 스마트 헬멧
FR3026638A1 (fr) Ensemble environnement et interface de stimulation tactile de guidage sur une trajectoire dans l'environnement
US105274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calibration table for a wearable device with speed and stride data
US201702275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pedometer
US11406152B2 (en) Integrated smart helmet and methods and systems of controlling smart helmet
US9679418B1 (en) Sensor and feedback assembly for a bicycle
US10376767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with magnetic swi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