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684A -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 Google Patents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684A
KR20190036684A KR1020170125862A KR20170125862A KR20190036684A KR 20190036684 A KR20190036684 A KR 20190036684A KR 1020170125862 A KR1020170125862 A KR 1020170125862A KR 20170125862 A KR20170125862 A KR 20170125862A KR 20190036684 A KR20190036684 A KR 2019003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ail
cam
ar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028B1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to KR102017012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0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목의 상부에 설치 고정된 기본 레일; 선로 전환기가 선로전환으로 이동되는 가동레일; 상기 선로전환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일쇄정 동작간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는 쇄정캠; 상측부에 상기 가동레일이 체결되고, 상기 쇄정캠이 상기 쇄정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조립 결합된 쇄정암; 상기 쇄정캠을 가이드하여 양 끝단의 라운드 형태를 따라 회전하도록 측면 중앙에 가이드바를 형성하고 레일쇄정 브라켓의 측면에 부착되는 쇄정가이드; 쇄정암이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며, 쇄정캠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상기 쇄정 가이드가 결합되는 레일쇄정 브라켓; 상기 쇄정암에서 연장 결합되어 상기 쇄정캠이 수평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쇄정캠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쇄정암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가동레일이 쇄정 동작하도록 하는 보조쇄정암; 상기 레일쇄정 브라켓이 양측에서 결합되어 절연체 역할을 하며 지지하는 절연지지부; 상기 가동레일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어 레일쇄정동작간의 길이를 변경하는 너클조인트;를 포함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Clamp Locking Point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목의 상부에 설치 고정된 기본 레일; 선로 전환기가 선로전환으로 이동되는 가동레일; 상기 선로전환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일쇄정 동작간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는 쇄정캠; 상측부에 상기 가동레일이 체결되고, 상기 쇄정캠이 상기 쇄정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조립 결합된 쇄정암; 상기 쇄정캠을 가이드하여 양 끝단의 라운드 형태를 따라 회전하도록 측면 중앙에 가이드바를 형성하고 레일쇄정 브라켓의 측면에 부착되는 쇄정가이드; 쇄정암이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며, 쇄정캠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상기 쇄정 가이드가 결합되는 레일쇄정 브라켓; 상기 쇄정암에서 연장 결합되어 상기 쇄정캠이 수평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쇄정캠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쇄정암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가동레일이 쇄정 동작하도록 하는 보조쇄정암; 상기 레일쇄정 브라켓이 양측에서 결합되어 절연체 역할을 하며 지지하는 절연지지부; 상기 가동레일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어 레일쇄정동작간의 길이를 변경하는 너클조인트;를 포함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전환시스템은 철로의 기본레일을 주행하는 철도 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그 진로를 변경하여주는 장치로서, 이러한 선로전환시스템은 철로의 외측에 구비된 수동식 또는 기계식의 선로전환기를 이용하여 기본레일의 내측에 설치된 가동레일을 전후로 이동시켜 한 쌍의 기본 레일 중 어느 쪽으로 가동 레일을 밀착시킴으로써 철도차량의 진로가 변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가동레일의 위치 이송전환을 이용한 기본적인 선로 전환수단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에서는 철도차량의 운행 방향을 선로 상에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 선로전환용 분기기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선로전환용 분기기는 철도 차량의 운행 선로의 근간을 구성하는 기본레일에 대하여 인력 또는 동력(전기모터, 유압등)에 의하여 가동레일을 이송 가변할 수 있도록 가동시킴으로써 철도 차량의 운행 선로를 변환하고 있다.
종래의 선로전환용 분기기는 기본레일 내측에 평행하게 가동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동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평행면으로 밀착 및 분리시킴으로써 기본 레일의 내측 궤도면과 밀착하는 철도차량의 차륜이 가동레일을 따라 유도 이동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운행 진로가 선로의 변환에 의해 변경된다. 따라서 선로전환 분기기내의 양단 가동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철도 차량의 선로를 변경하기 위한 가동수단으로서 양단 가동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밀착 및 분리시키기 위하여 양단 가동레일을 동시에 가동시키도록 동작간을 사용하고, 이 동작간을 레버 등의 인력에 의한 수동조작이나 동력에 의한 자동조작으로 선로의 변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선로전환용 분기기는 철도 차량의 선로 변환의 목적으로 가동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가동하여 밀착 또는 분리시켜야 하나 만일 어떤 원인으로 양단 가동레일을 이송 구동하는 동작간이 파손되거나 오동작을 발생할 경우, 선로변경 방향을 위하여 밀착되어 있어야할 가동레일이 기본레일에 대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가동레일과 기본레일의 허용 밀착간격을 초과하게 되면 표준 차륜간 거리이상으로 벌어져서 차량이 탈선하여 철도 차량이 대파되는 큰 위험을 유발시키게 된다.
현재 운행 중에 있는 일반 철도에는 선로변경을 위하여 기본레일에 대하여 밀착한 가동레일의 작동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선로전환 분기기용 레일자체의 쇄정수단이 마련되지 못하여, 계속된 위험 속에서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본레일과 가동레일간의 밀착간격의 허용초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은 고속으로 운행하고 있는 고속철도의 경우 더 더욱 중요한 안정성 보호관점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고속철도에서는 선로변경에 따른 기본레일과 가동레일간의 밀착쇄정(Locking) 수단으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며, 현재 유럽 방식의 것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가동레일의 기본레일에 대한 쇄정의 수단 방법은 훅 등의 수단으로서 양단 가동레일을 독립적으로 쇄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장치 수단의 복잡성과 크기가 크고 설치비 또한 상당한 것이었다. 또한 쇄정작동을 위한 행정이 길어 설치부위의 노출부위가 많고 반복되는 진행과 주행충격으로 고장이 유발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더욱 중요한 문제점은 잠금장치의 대부분이 철로 상에 노출되므로 부식 및 파손의 우려가 크며 이러한 충격 등에 의한 연결간의 파손이 유발되면 쇄정상태가 해제되어 주행 중인 철도차량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고 대부분이 수입품으로서 고가인 점이 부담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쇄정캠과 보조쇄정암으로, 양방향쇄정이 가능하여 쇄정력이 우수한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246565호 한국등록특허 제0738591호 한국등록특허 제0752541호 한국등록특허 제09183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도 차량의 선로전환시 분기기 내 속도향상에 따른 기본레일과 가동레일의 접속능력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가동레일의 기본레일 완전밀착을 위한 양방향쇄정 수단을 포함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목의 상부에 설치 고정된 기본 레일; 선로 전환기가 선로전환으로 이동되는 가동레일; 상기 선로전환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일쇄정 동작간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는 쇄정캠; 상측부에 상기 가동레일이 체결되고, 상기 쇄정캠이 쇄정가이드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조립 결합된 쇄정암; 상기 쇄정캠을 가이드하여 양 끝단의 라운드 형태를 따라 회전하도록 측면 중앙에 가이드바를 형성하고 레일쇄정 브라켓의 측면에 부착되는 쇄정 가이드; 쇄정암이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며, 쇄정캠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상기 쇄정 가이드가 결합되는 레일쇄정 브라켓; 상기 쇄정암에서 연장 결합되어 상기 쇄정캠이 수평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쇄정캠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쇄정암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가동레일이 쇄정 동작하도록 하는 보조 쇄정암; 상기 레일쇄정 브라켓이 양측에서 결합되어 절연체 역할을 하며 지지하는 절연지지부; 상기 가동레일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어 레일쇄정동작간의 길이를 변경하는 너클조인트;를 포함한다.
상기 쇄정캠이 쇄정가이드를 타고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쇄정가이드의 끝단에서 쇄정암을 중심으로 걸쇠 형태의 회전 운동을 하여, 반달 모양의 쇄정캠의 일부와 직선형 쇄정가이드의 끝단이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쇄정캠의 일부가 직각홈을 갖고, 쇄정캠 양측의 직각홈 사이에는 반원형의 쇄정암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반원형홈이 형성된다.
상기 쇄정암의 상측과 하측에는 보조쇄정암이 결합되며, 쇄정암과 쇄정캠이 쇄정가이드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된다.
상기 레일쇄정 동작간의 일측단에 결합되는 쇄정캠을 관통하여 쇄정캠 샤프트와 동작간 오일리스 부싱이 결합되어 일정 결합 강도를 유지한다.
상기 너클조인트와 결합되는 절연 연결간의 상측과 하측에 절연체가 동작간 연결 플레이트와 함께 결합되거나 코팅되어 강도를 추가 보강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선로전환기 동작간에 결합되어 선로전환기 동작간의 수평 운동에 따라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결합된 쇄정캠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선로전환시 분기기 내 속도향상에 따른 기본레일과 가동레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가동레일의 기본레일 완전밀착을 위한 쇄정수단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기본레일의 표준 차륜간 거리를 강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륜의 이탈 방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의 양방향 쇄정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쇄정암과 쇄정캠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종래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레일(10)은 침목(40)의 상부에 고정되고, 가동레일(20)은 선로 전환기(100)가 선로전환으로 전후 이동시 선로 쇄정 동작을 한다.
쇄정캠(212)은 상기 선로전환기(10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일쇄정 동작간(320)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는 장치로서, 쇄정캠(212)이 쇄정가이드(122)를 타고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에서 쇄정암(310)을 중심으로 걸쇠 형태의 회전 운동을 하여, 반달 모양의 쇄정캠(212)의 일부와 직선형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이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쇄정캠(212)의 일부가 직각홈을 갖고, 쇄정캠(212) 양측의 직선홈 양측에는 반원형의 쇄정암(31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반원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쇄정암(310)은 상측부에 가동레일브라켓(311)에 의해 상기 가동레일(20)이 체결되고, 상기 쇄정캠(212)이 상기 쇄정가이드(122)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조립 결합된 부품으로서, 일단이 레일쇄정동작간(3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쇄정암(310)과 결합된다.
쇄정가이드(122)는 레일쇄정 브라켓(121)에 장공으로 형성된 취부홀을 통하여 부착되며, 상기 쇄정캠(212)을 가이드하여 양 끝단의 라운드 형태를 따라 회전하도록 측면 중앙에 가이드바를 형성한다.
레일쇄정 브라켓(121)은 측면에 장공으로 형성된 취부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쇄정암(310), 쇄정캠(212)이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쇄정암(310)이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쇄정가이드(122)를 고정한다.
상기 레일쇄정 브라켓(121)에는 쇄정캠(212)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쇄정 가이드(122)가 측면에 형성되며, 한쌍의 레일쇄정 브라켓(121)이 절연지지부(220)의 양측에 결합된다.
선로전환기 동작간(352)은 연결플레이트(351)에 결합되어 선로전환기 동작간(352)의 수평 또는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연결플레이트(351)에 결합된 레일쇄정 동작간(320)을 이동시키고, 이는 레일쇄정 동작간(320)과 연결된 쇄정암(310)과 쇄정캠(212)이 쇄정가이드(122)를 타고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하고,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에서 반달 모양의 쇄정캠(212)의 일부와 직선형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이 완전히 결합하여 기계적 쇄정을 한다.
상기 쇄정암(310)은 상기 쇄정캠(212)이 수평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쇄정캠(212)의 중심부의 반원형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며, 레일쇄정동작간(320)이 이동함에 따라 동시에 쇄정암(310)이 수평 이동되어 상기 쇄정암(310)에 연결된 가동레일브라켓(311)에 의하여 기본 레일(10)과 가동레일(20)의 밀착력을 유지시킨다.
이 때 쇄정캠(212)이 레일쇄정 동작간(320)에 의해 쇄정가이드(122)를 타고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에서 쇄정암(310)을 중심으로, 반달 모양의 쇄정캠(212)의 일부와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이 완전히 결합된다.
절연지지부(220)는 상기 레일쇄정 브라켓(121)이 양측에서 결합되어 절연체 역할을 하며 지지하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너클조인트(350)는 상기 가동레일(20)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어 레일쇄정동작간(320)의 길이를 변경하는 부품으로서, 외관이 요형 또는 철형으로 이루어지며 연결플레이트(351)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단계에서 레일쇄정 브라켓(121)의 측면에 결합된 쇄정가이드(122)를 따라 쇄정캠(212)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b) 단계에서 쇄정캠(212)은 선로전환기(10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일쇄정 동작간(320)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된다.
(c), (d) 단계에서 쇄정캠(212)이 쇄정가이드(122)의 양쪽 끝단 라운드형태를 따라 회전하고 동작을 멈춘다.
이 때 상기 쇄정캠(212) 등은 가동레일(20)에 물리적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절대로 움직여서는 안 되고, 오직 선로전환기 동작간(352) 연결구조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정캠(212)은 레일쇄정 동작간(320)에 의해 쇄정가이드(122)를 타고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에서 쇄정암(310)을 중심으로 걸쇠 형태의 회전 운동을 하여, 반달 모양의 쇄정캠(212)의 일부와 직선형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이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쇄정캠(212)은 쇄정가이드(1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쇄정가이드(122)의 라운드 형태를 따라 회전하면서 쇄정하게 되는 데, 좌, 우측 쇄정캠(212)과 쇄정암(310)의 끝단의 형태가 대응되게 제조되어 양방향쇄정이 가능하여 쇄정력이 매우 우수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정암(310)의 상측과 하측에는 보조쇄정암(214)이 결합되며, 쇄정암(310)과 쇄정캠(212)이 쇄정가이드(122)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된다.
또한 레일쇄정 동작간(320)의 일측단에 결합되는 쇄정캠(212)을 관통하여 쇄정캠 샤프트(2121)와 동작간 오일리스 부싱(2122)이 결합되어 일정 결합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너클조인트(350)와 결합되는 절연 연결간(3501)의 상측과 하측에 절연체(3502)가 동작간 연결 플레이트(351)와 함께 결합되어 강도를 추가 보강하고 절연 효과를 높이며 외력 충격에서 충분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은 선로전환기(100)를 구성하는 회동구동암(630) 하부에 전방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동작간조절링크(620)가 회동구동암(630)의 회동 길이만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작간조절링크(620)의 전방에 후방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쇄정중간동작간(340) 하부 사이에 고정된 가동레일동작간(610)이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쇄정 중간동작간핀(350)으로써 연결된다.
이에 따라 쇄정중간동작간(340) 상부에 전후방 길이 방향으로 각각 고정된 쇄정동작간(330)이 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쇄정동작간(330)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축설된 쇄정링크(3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쇄정링크(320)에 연결된 쇄정동작롤러(360)가 쇄정동작몸체(310)의 접속공(322)의 안쪽벽으로 접속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쇄정링크(320)가 삽입 고정되고, 가동레일(20)에 가동레일고정몸체(510)로써 고정된 부분에 쇄정부고정볼트(311)가 가동레일고정너트(520)로 고정되는 쇄정동작몸체(31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동레일(2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선로가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는 상기 종래 발명의 구성 보다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변경한 것으로서, 종래 발명은 쇄정롤러(370) 등과 같은 롤러 가이드를 음각형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며, 좌, 우측의 형태가 달라 한쪽 방향만 쇄정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스틱형 가이드로 양각형 가이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였으며, 좌, 우측 형태가 동일하여 양방향쇄정이 가능하여 쇄정력이 우수하다.
이때, 종래 발명에 따른 기본레일(10)과 가동레일(20) 사이의 이송접속방법과 쇄정방법은 다음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쇄정동작간(330)과 연결된 가동레일동작간(610)에 의해 가동레일(20)을 선로전환시키기 위해 쇄정링크(320)의 내측에 연결된 쇄정동작롤러(360)가 쇄정동작몸체(310)의 접속공(322) 내측면을 밀게 되고, 가동레일(20)에 체결되며, 가동레일고정몸체(510)에 연결된 쇄정동작몸체(310)가 밀리면서 쇄정롤러(370)로 지지된 쇄정몸체(210) 측단에 형성된 쇄정동작가이드홀(212)을 따라 동작하게 되고, 가동레일(20)이 거의 기본레일(10)과 접속되었을 때, 쇄정롤러(370)가 쇄정곡률홀(211) 내부로 유입, 정지하게 되면서 쇄정과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쇄정능력은 본 발명과 달리 가동레일(20)이 기본레일(10)과 접속상태에서 인위적으로 가동레일(20)을 이탈시키려할 때, 쇄정롤러(370)가 쇄정곡률홀(211)의 측면에 완전히 구속되지 못하면 가동레일(20)에서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공한다.
10 : 기본 레일
20 : 가동레일
30 : 침목
100 : 선로 전환기
121 : 레일쇄정 브라켓
122 : 쇄정가이드
210 : 레일쇄정브라켓
212 : 쇄정캠
213 : 기본레일고정브라켓
214 : 보조쇄정암
220 : 절연지지부
310 : 쇄정암
311 : 가동레일브라켓
320 : 레일쇄정동작간
350 : 너클조인트
351 : 연결플레이트
352 : 선로전환기 동작간
2121 : 쇄정캠 샤프트
2122 : 동작간 오일리스 부싱
2124 : 쇄정캠 고정샤프트 오일리스 부싱
2123 : 쇄정캠 고정 샤프트
3501 : 절연 연결간
3502 : 절연체

Claims (6)

  1. 침목(40)의 상부에 설치 고정된 기본 레일(10);
    선로 전환기(100)가 선로전환으로 이동되는 가동레일(20);
    상기 선로전환기(10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레일쇄정 동작간(320)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는 쇄정캠(212);
    상측부에 상기 가동레일(20)이 체결되고, 상기 쇄정캠(212)이 쇄정가이드(122)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조립 결합된 쇄정암(310);
    상기 쇄정캠(212)을 가이드하여 양 끝단의 라운드 형태를 따라 회전하도록 측면 중앙에 가이드바를 형성하고 레일쇄정 브라켓(121)의 측면에 부착되는 쇄정 가이드(122);
    쇄정암(310)이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며, 쇄정캠(212)의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상기 쇄정 가이드(122)가 결합되는 레일쇄정 브라켓(121);
    상기 쇄정암(310)에서 연장 결합되어 상기 쇄정캠(212)이 수평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쇄정캠(212)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쇄정암(310)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가동레일(20)이 쇄정 동작하도록 하는 보조 쇄정암(214);
    상기 레일쇄정 브라켓(121)이 양측에서 결합되어 절연체 역할을 하며 지지하는 절연지지부(220);
    상기 가동레일(20)의 간격에 따라 조절되어 레일쇄정동작간(320)의 길이를 변경하는 너클조인트(350);를 포함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캠(212)이 쇄정가이드(122)를 타고 수평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에서 쇄정암(310)을 중심으로 걸쇠 형태의 회전 운동을 하여, 반달 모양의 쇄정캠(212)의 일부와 직선형 쇄정가이드(122)의 끝단이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쇄정캠(212)의 일부가 직각홈을 갖고, 쇄정캠(212) 양측의 직각홈 사이에는 반원형의 쇄정암(31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반원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암(310)의 상측과 하측에는 보조쇄정암(214)이 결합되며, 쇄정암(310)과 쇄정캠(212)이 쇄정가이드(122)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쇄정 동작간(320)의 일측단에 결합되는 쇄정캠(212)을 관통하여 쇄정캠 샤프트(2121)와 동작간 오일리스 부싱(2122)이 결합되어 일정 결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클조인트(350)와 결합되는 절연 연결간(3501)의 상측과 하측에 절연체(3502)가 동작간 연결 플레이트(351)와 함께 결합되거나 코팅되어 강도를 추가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레이트(351)는 선로전환기 동작간(352)에 결합되어 선로전환기 동작간(352)의 수평 운동에 따라 상기 연결플레이트(351)에 결합된 쇄정캠(212)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KR1020170125862A 2017-09-28 2017-09-28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KR10200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862A KR102003028B1 (ko) 2017-09-28 2017-09-28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862A KR102003028B1 (ko) 2017-09-28 2017-09-28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684A true KR20190036684A (ko) 2019-04-05
KR102003028B1 KR102003028B1 (ko) 2019-07-24

Family

ID=6610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862A KR102003028B1 (ko) 2017-09-28 2017-09-28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0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15B1 (ko) 2019-09-26 2021-03-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콘크리트 매립형 궤도의 선로전환기 블록 쇄정장치
KR102293080B1 (ko) * 2020-06-11 2021-08-25 주식회사 세화 수평 방향 쇄정형 선로 전환기의 쇄정 검지기
CN113668297A (zh) * 2021-08-16 2021-11-19 燕山大学 一种道岔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91B1 (ko) 2006-10-18 2007-07-11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잠금장치
KR100752541B1 (ko) 2006-12-22 2007-08-29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텅레일 밀착유지장치
KR100900907B1 (ko) * 2008-12-22 2009-06-03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KR100918371B1 (ko) 2009-03-19 2009-09-21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 구동시스템
KR101007301B1 (ko) * 2010-09-06 2011-01-13 (주)이시스이엔지 선로전환장치용 턴버클
KR101246565B1 (ko) 2012-09-19 2013-03-26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기의 밀착쇄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91B1 (ko) 2006-10-18 2007-07-11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잠금장치
KR100752541B1 (ko) 2006-12-22 2007-08-29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텅레일 밀착유지장치
KR100900907B1 (ko) * 2008-12-22 2009-06-03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KR100918371B1 (ko) 2009-03-19 2009-09-21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 구동시스템
KR101007301B1 (ko) * 2010-09-06 2011-01-13 (주)이시스이엔지 선로전환장치용 턴버클
KR101246565B1 (ko) 2012-09-19 2013-03-26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기의 밀착쇄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15B1 (ko) 2019-09-26 2021-03-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콘크리트 매립형 궤도의 선로전환기 블록 쇄정장치
KR102293080B1 (ko) * 2020-06-11 2021-08-25 주식회사 세화 수평 방향 쇄정형 선로 전환기의 쇄정 검지기
CN113668297A (zh) * 2021-08-16 2021-11-19 燕山大学 一种道岔系统
CN113668297B (zh) * 2021-08-16 2022-05-24 燕山大学 一种道岔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028B1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028B1 (ko)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KR100900907B1 (ko)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EP2362046B1 (en) Sliding plug door mechanism
KR20110100199A (ko) 레일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유닛
US8398031B2 (en) Rail system, particularly for an electric pallet track
US4819564A (en) Linear motor driven conveying installation and braking device therefor
US6616105B2 (en) Rail switch lock for points tongues
CN109070904B (zh) 缆索运输装备
SE538949C2 (sv) Beslag för skjutbara dörrar eller fönster samt system och dörr respektive fönster innefattande ett sådant beslag
JP2001510270A (ja) 案内チャネル構造
CN107792085B (zh) 一种吊厢式滑车轨道变轨机构及索道网系统
KR100826968B1 (ko) 선로전환장치
KR102166327B1 (ko)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CN112301809B (zh) 单轨道岔和具有其的单轨轨道及轨道交通系统
US3762334A (en) Switching mechanism for monorail conveyors
KR102293080B1 (ko) 수평 방향 쇄정형 선로 전환기의 쇄정 검지기
JPH04262929A (ja) 走行体用集電線の連結装置
EP1960244B1 (en) A system for a greaseless switch assembly
KR101038199B1 (ko) 선로전환기용 브레이크
DE3770801D1 (de) Weiche fuer das stationsgleissystem einer seilfoerderanlage.
RU2771705C1 (ru) Внешний замыкатель стрелочного перевода
US4479037A (en) Trolley bridge
CN220181900U (zh) 一种空中自行小车输送线上的道岔机构
CA2365784A1 (en) Guideway transfer switch
EP0881171A1 (en) Suspended material conveyor system with running cable and double-clamp carr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