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324A - 쿨링 히터 - Google Patents

쿨링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324A
KR20190036324A KR1020170125420A KR20170125420A KR20190036324A KR 20190036324 A KR20190036324 A KR 20190036324A KR 1020170125420 A KR1020170125420 A KR 1020170125420A KR 20170125420 A KR20170125420 A KR 20170125420A KR 20190036324 A KR20190036324 A KR 20190036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fluid
tube
pip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820B1 (ko
Inventor
강명철
Original Assignee
한창열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열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창열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82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8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쿨링 히터를 제공한다. 외부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쿨링 히터는 프레임, 온도가 조절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온도가 조절된 유체를 유입받아 외부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온도 조절관, 그리고 상기 온도 조절관으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온도 조절관은 길이 방향이 제1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온도 조절관의 외측면에는 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실내 공간을 냉방 시 온도 조절관의 외측 표면에 맺힌 이슬이 가이드 슬릿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흘러 내리므로 온도 조절관 외측면에 맺힌 이슬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쿨링 히터{Cooling heater}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쿨링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을 난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온도 조절관을 가지며, 온도 조절관 내에는 온도 조절된 유체가 흐른다. 유체로는 주로 물이 사용되며, 물은 실온보다 높게 제공되어 실내 공간을 난방한다.
종래의 라디에이터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경우, 온도 조절관의 표면 온도도 크게 상승하므로 사용자가 온도 조절관의 표면에 접촉되는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라디에이터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난방하는 경우, 실내의 공기가 건조해지므로 쾌적한 환경을 위해서 별도의 가습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온도 조절관은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으로 제공되고, 복수의 온도 조절관이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이와 같은 온도 조절관들의 형상 및 배치는 난방 효율을 떨어뜨린다.
한국 공개 특허 번호 2015-0137374
본 발명은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 시 습도 조절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 시 표면에 맺힌 이슬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쿨링 히터를 제공한다. 외부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쿨링 히터는 프레임, 온도가 조절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온도가 조절된 유체를 유입받아 외부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온도 조절관, 그리고 상기 온도 조절관으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온도 조절관은 길이 방향이 제1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온도 조절관의 외측면에는 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온도 조절관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은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관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히터는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온도 조절관들에 순차 공급되도록 인접하는 상기 온도 조절관들을 연결시키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라인은 서로 인접한 2 이상의 온도 조절관들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 및 서로 인접한 2 이상의 온도 조절관들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링 히터는 상기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유닛은 상기 온도 조절관들이 삽입되는 삽입홀들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는 액 분배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유닛은 상기 액 분배통으로 액을 공급하는 습도 조절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조절관은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히터는 상기 실내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 부재, 상기 습도 조절관을 개폐하는 밸브, 그리고 상기 측정 부재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링 히터는 상기 온도 조절관의 아래에서 위치되며, 상기 온도 조절관의 외측면을 따라 낙하되는 액을 수용하는 액 받이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관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제1축 방향으로 제1폭을 가지고, 상기 제1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제2폭을 가지되, 상기 제2폭은 상기 제1폭보다 긴 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축 방향과 상기 제2방향 간의 사이각은 0도 보다 크고 90도보다 작거나,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관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관은 상기 타원의 장축 방향과 상기 제2방향 간의 사이각이 0도 보다 크고 90도보다 작거나,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상기 온도 조절관들 간의 사이각은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관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내측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관의 양측에는 각각 빈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관들은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온도 조절관들 중 가장 일측 끝단에 위치된 제1그룹의 온도 조절관으로부터 시작하여 타측 끝단에 위치한 제n그룹의 온도 조절관까지 순차적으로 공급되되, 인접하는 온도 조절관의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온도 조절관의 그룹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다른 하나의 온도 조절관의 그룹으로 공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 공간을 냉방 시 온도 조절관의 외측 표면에 맺힌 이슬이 가이드 슬릿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흘러 내리므로 온도 조절관 외측면에 맺힌 이슬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 조절관의 외측 표면에 공급된 액에 의해 난방시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온도 조절관에 공급되는 유체의 일부를 온도 조절관의 외측 표면으로 공급하므로 구조가 단순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 조절관은 타원 형상으로 제공되고, 타원의 장축 방향이 온도 조절관들이 배열되는 방향과 상이하게 제공되며,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관의 양측은 빈 공간으로 제공된다. 이로 인해 냉방 또는 난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온도 조절관에 접촉시 사용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도 조절관 및 연결 라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쿨링 히터를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온도 조절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온도 조절관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온도 조절관의 일부를 확대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쿨링 히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온도 조절관이 액 분배통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온도 조절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일반적인 쿨링 히터의 온도 조절관의 형상 및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된 것이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쿨링 히터(10)는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쿨링 히터(10)는 프레임(100), 유체 공급관(300), 유체 배출관(400), 그리고 온도 조절관들(5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배관들을 지지한다. 여기서 배관들은 유체 공급관(300), 유체 배출관(400), 그리고 온도 조절관(5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사각의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프레임(100)은 상하 방향이 이와 수직한 방향보다 긴 직사각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온도 조절관(500)은 쿨링 히터(10)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한다. 온도 조절관(500)은 유체 공급관(300)으로부터 온도 조절을 위한 유체를 공급받고, 실내 공간의 온도 조절에 사용된 유체는 유체 배출관(400)을 통해 배출된다. 유체 공급관(300)은 외부로부터 온도 조절된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유체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유체 공급관(300)과 유체 배출관(400)은 프레임(1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유체 공급관(300)은 프레임(100)의 상단의 일측에 위치되고, 유체 배출관(400)은 프레임(100)의 상단 중 그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온도 조절관 및 연결 라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 조절관(500)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각각의 온도 조절관(500)은 그 길이방향이 제1방향(12)으로 제공된다. 제1방향(12)은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온도 조절관들(500)은 제1방향(12)과 수직한 제2방향(14)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가장 일측에 위치되는 온도 조절관(500)에는 유체 공급관(300)이 연결되고, 가장 타측에 위치되는 온도 조절관(500)는 유체 배출관(400)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라인(200)은 유체 공급관(300)으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온도 조절관들(500)에 순차 공급되도록 복수 개의 온도 조절관들(500)을 연결한다. 연결 라인(200)은 인접한 온도 조절관들(500)을 연결한다. 연결 라인(200)은 복수의 상부 연결관(220) 및 복수의 하부 연결관(240)을 포함한다. 상부 연결관(220)은 서로 인접한 온도 조절관들(50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고, 하부 연결관(240)은 서로 인접한 온도 조절관들(500)의 하단을 서로 연결한다. 제2방향(14)을 따라서 볼 때 처음 2 이상의 온도 조절관들(500)은 상부 연결관(220)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그 다음 2 이상의 온도 조절관들(500)은 하부 연결관(240)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와 같은 연결 구조가 순차적으로 계속 반복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유체 공급관(300)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온도 조절관들(500) 중 가장 일측에 위치된 온도 조절관들(500)의 그룹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장 타측에 위치한 온도 조절관들(500)의 그룹까지 순차적으로 공급되고, 이후에 유체 배출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온도 조절관(500)의 유체의 흐름 구조는 일 예를 설명한 것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쿨링 히터를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온도 조절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온도 조절관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온도 조절관의 일부를 확대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온도 조절관(500)은 하우징(520) 및 내측관(540)을 포함한다. 하우징(520)은 그 길이 방향이 제1방향(12)으로 제공된다.
하우징(520)에서 제1방향(12)에 수직한 단면은 제1축 및 이에 수직한 제2축을 가진다. 하우징(520)은 제1축 방향(16)으로 제1폭의 길이를 가지고, 제2축 방향(18)으로 제2폭의 길이를 가진다. 제2폭은 제1폭보다 긴 거리로 제공된다. 일 예에 의하면, 하우징(520)에서 제1방향(12)에 수직한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타원의 단축은 제1축으로 제공되고, 타원의 장축은 제2축으로 제공된다.
내측관(540)은 그 길이 방향이 제1방향(12)으로 제공된다. 내측관(540)의 내부에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542)가 형성된다. 일 예에 의하면, 내측관(540)은 제1방향(12)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520) 내에서 제2폭 방향을 따른 내측관(540)의 양측에는 각각 빈 공간(522)이 제공된다.
각각의 온도 조절관(500)은 제2축 방향(18)이 제2방향(14)과 상이하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된다. 일 예에 의하면, 제2축 방향(18)과 제2방향(14) 간의 사이각(α)은 0℃ 보다 크고 90℃보다 작거나,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축 방향(18)과 제2방향(14)의 사이각은 30℃ 내지 60℃, 또는 120℃ 내지 150℃ 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인접하는 온도 조절관들(500)은 제2방향(14)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인접하는 온도 조절관들(500) 간의 사이각(β)은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온도 조절관(500)의 구조 및 배치로 인해, 각각의 온도 조절관(500)에서 빈 공간은 내측관(540)에 비해 쿨링 히터(1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돌출되게 위치된다. 내측관(540) 내부는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반면 그 양측부는는 비어 있는 상태이므로, 실내 공간으로 돌출된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 공간의 난방 동안에 쿨링 히터(10)에 접촉하는 경우에 화상과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과 같은 온도 조절관(500)의 형상, 구조, 그리고 배치를 가지는 경우,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제3방향으로 열 교환이 이루어지며, 온도 조절관(500)이 도 9와 같은 형상 및 배치를 가지는 경우에 비해 열 효율이 우수하다.
온도 조절관(500)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슬릿(560)이 형성된다. 가이드 슬릿(560)은 쿨링 히터(10)로 실내 공간을 냉방하는 경우, 온도 조절관(500)의 외측면에 맺힌 이슬을 제거한다. 가이드 슬릿(560)은 그 길이 방향이 제1방향(12)으로 제공된다. 가이드 슬릿(560)은 온도 조절관(5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온도 조절관(500)의 외측면에 맺힌 이슬은 가이드 슬릿(560)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린다.
온도 조절관(500)의 아래에는 액 받이통(600)이 배치된다. 액 받이통(600)은 그 길이 방향이 제2방향(14)을 따라 제공된다. 액 받이통(600)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온도 조절관(500)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가이드 슬릿(560)에 의해 아래로 유도된 이슬은 액 받이통(600) 내에 수용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쿨링 히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온도 조절관이 액 분배통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쿨링 히터는 도 1의 쿨링 히터(10)와 대체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습도 조절 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습도 조절 유닛(700)은 실내 공간을 난방시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한다. 습도 조절 유닛(700)은 실내 공간이, 기설정된 습도를 유지하도록 습도를 조절한다. 습도 조절 유닛(700)은 측정 부재(710), 습도 조절관(720), 밸브(730), 액 분배통(740), 그리고 제어기(750)를 포함한다.
측정 부재(710)는 실내 공간의 습도를 측정한다. 측정 부재(710)에 의해 측정된 실내 공간의 습도 정보는 제어기(750)로 전달된다. 측정 부재(710)는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습도 조절관(720)은 액 분배통(740)의 내부 공간으로 액을 공급한다. 습도 조절관(720)은 유체 공급관(300)으로부터 분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습도 조절관(720)에는 밸브(730)가 설치되며, 밸브(730)는 습도 조절관(720)을 개폐한다. 습도 조절관(720)의 개폐에 의해 유체는 유체 공급관(300)으로부터 온도 조절관(500)의 외측면으로 공급되거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액 분배통(740)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진다. 일 예에 의하면, 액 분배통(740)은 그 길이 방향이 제2방향(14)으로 제공된다. 액 분배통(740)은 상부가 개방된 분배 공간(742)을 가진다. 분배 공간(742)은 습도 조절관(720)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제공된다. 액 분배통(740)의 저면에는 복수의 삽입홀(744)들이 형성된다. 삽입홀(744)들은 제2방향(14)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삽입홀(744)들 각각에는 온도 조절관(500)이 삽입된다. 삽입홀(744)은 온도 조절관(5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예컨대, 삽입홀(744)은 타원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조절관(500)이 삽입홀(744)에 삽입되면 온도 조절관(500)과 삽입홀(744) 사이에는 가이드 슬릿(560)에 의해 틈이 형성된다. 분배 공간(742)에 수용된 액은 틈을 통해 온도 조절관(500)의 외측면으로 공급된다. 온도 조절관(500)의 외측면을 타고 아래로 흐르는 유체는 액 받이통(6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어기(750)는 밸브(730)를 제어한다. 제어기(750)는 측정 부재(710)로부터 측정된 습도값에 따라 밸브(730)를 제어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유체 공급관(300)을 흐르는 액의 일부가 습도 조절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습도 조절을 위해 공급되는 액은 유체 공급관(300)을 흐르는 액이 아닌 별도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쿨링 히터(10)의 열 교환은 도 8과 같이, 제1축 방향(16)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쿨링 히터(10)는 제1방향(12)과 제2방향(14)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9의 쿨링 히터(10)는 원통 형상의 온도 조절관(500)을 가지며, 열 교환이 방사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쿨링 히터(10)는 도 9의 쿨링 히터(10)보다 높은 실내 공간의 열 전달 효율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쿨링 히터(10)는 무동력 장치로 제공되는 반면, 에어컨과 같은 쿨링 장치는 팬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쿨링 히터는 이와 다른 쿨링 장치에 비해 실내 온도를 쿨링 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10: 쿨링 히터 100: 프레임
300: 유체 공급관 400: 유체 배출관
500: 온도 조절관 700: 습도 조절 유닛

Claims (15)

  1. 외부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쿨링 히터에 있어서,
    프레임과;
    온도가 조절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온도가 조절된 유체를 유입받아 외부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온도 조절관과;
    상기 온도 조절관으로부터 유출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 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온도 조절관은 길이 방향이 제1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온도 조절관의 외측면에는 액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형성되는 쿨링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온도 조절관의 외측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은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공되는 쿨링 히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관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배열되는 쿨링 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히터는,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온도 조절관들에 순차 공급되도록 인접하는 상기 온도 조절관들을 연결시키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라인은,
    서로 인접한 2 이상의 온도 조절관들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관과;
    서로 인접한 2 이상의 온도 조절관들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연결관을 포함하는 쿨링 히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히터는,
    상기 실내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쿨링 히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조절 유닛은
    상기 온도 조절관들이 삽입되는 삽입홀들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는 액 분배통을 더 포함하는 쿨링 히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조절 유닛은 상기 액 분배통으로 액을 공급하는 습도 조절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조절관은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쿨링 히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히터는,
    상기 실내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 부재와;
    상기 습도 조절관을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측정 부재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쿨링 히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온도 조절관의 아래에서 위치되며, 상기 온도 조절관의 외측면을 따라 낙하되는 액을 수용하는 액 받이통을 더 포함하는 쿨링 히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관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제1축 방향으로 제1폭을 가지고, 상기 제1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제2폭을 가지되, 상기 제2폭은 상기 제1폭보다 긴 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축 방향과 상기 제2방향 간의 사이각은 0도 보다 크고 90도보다 작거나,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게 제공되는 쿨링 히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관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타원형으로 제공되는 쿨링 히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관은 상기 타원의 장축 방향과 상기 제2방향 간의 사이각이 0도 보다 크고 90도보다 작거나,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도록 배치되는 쿨링 히터.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 개의 상기 온도 조절관들 간의 사이각은 서로 동일하게 제공되는 쿨링 히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관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내측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관의 양측에는 각각 빈 공간이 제공되는 쿨링 히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관들은 상기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상기 온도 조절관들 중 가장 일측 끝단에 위치된 제1그룹의 온도 조절관으로부터 시작하여 타측 끝단에 위치한 제n그룹의 온도 조절관까지 순차적으로 공급되되, 인접하는 온도 조절관의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의 온도 조절관의 그룹으로부터 배출된 유체는 다른 하나의 온도 조절관의 그룹으로 공급되도록 제공되는 쿨링 히터.



KR1020170125420A 2017-09-27 2017-09-27 쿨링 히터 KR10202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20A KR102021820B1 (ko) 2017-09-27 2017-09-27 쿨링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420A KR102021820B1 (ko) 2017-09-27 2017-09-27 쿨링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324A true KR20190036324A (ko) 2019-04-04
KR102021820B1 KR102021820B1 (ko) 2019-09-17

Family

ID=6610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420A KR102021820B1 (ko) 2017-09-27 2017-09-27 쿨링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8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580A (ja) * 1992-07-30 1994-02-22 Osaka Gas Co Ltd 加湿機能付き暖房機
JP2002147804A (ja) * 2000-11-07 2002-05-22 Mayekawa Mfg Co Ltd マイナスイオン発生方法及び装置
JP2012072977A (ja) * 2010-09-29 2012-04-12 Aoki Jutaku Kizai Hanbai Kk 天井輻射システム
JP2013088007A (ja) * 2011-10-17 2013-05-13 Inaba Denki Sangyo Co Ltd 空調装置
KR20150137374A (ko) 2014-05-29 2015-12-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 및 제습이 가능한 라디에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580A (ja) * 1992-07-30 1994-02-22 Osaka Gas Co Ltd 加湿機能付き暖房機
JP2002147804A (ja) * 2000-11-07 2002-05-22 Mayekawa Mfg Co Ltd マイナスイオン発生方法及び装置
JP2012072977A (ja) * 2010-09-29 2012-04-12 Aoki Jutaku Kizai Hanbai Kk 天井輻射システム
JP2013088007A (ja) * 2011-10-17 2013-05-13 Inaba Denki Sangyo Co Ltd 空調装置
KR20150137374A (ko) 2014-05-29 2015-12-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 및 제습이 가능한 라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820B1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608B2 (en) Heating and cooling unit, and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JP3588600B2 (ja) 蒸気噴射式シンブル管加湿器
JP5198620B2 (ja) ワンスパン空調システム
JP2011145026A (ja) 空気式誘引放射ユニット
JP2011021808A (ja) 空気式輻射層流ユニット
JP2005090950A (ja) 熱交換器
JP2008545113A (ja) 空気の流れを加湿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CN104729182B (zh) 半导体制冷冰箱
KR20190036324A (ko) 쿨링 히터
KR20050090031A (ko) 중형 전기보일러
KR101863622B1 (ko) 가습형 온풍기
KR102395555B1 (ko) 유체의 연속 가열 장치
JP4200523B2 (ja) 局所空間を精密に温度制御するための空調システム
CN111346239A (zh) 一种消毒柜
FI119612B (fi) Laitteisto tilan jäähdyttämiseksi
JP2009198141A (ja) 熱交換装置
JP4784230B2 (ja) サウナ装置
KR101831074B1 (ko) 과열방지가 가능한 축사용 온열장치
JP2008292071A (ja) 熱媒体拡散部材及び冷暖房システム
EP1500896A2 (en) A coupling element for a heat exchanger
JP2002333154A (ja) 温水暖房装置の放熱器
KR102169709B1 (ko) 유도가열기 및 이를 이용한 히터
KR10209539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200001256A (ko) 열교환기 및 그를 가지는 가온장치
JP5167174B2 (ja) 熱交換器及び温度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