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909A - 밀봉 요소가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 상기 앵커리지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및 시스된 신장 요소를 인장 및 설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 요소가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 상기 앵커리지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및 시스된 신장 요소를 인장 및 설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909A
KR20190035909A KR1020197007527A KR20197007527A KR20190035909A KR 20190035909 A KR20190035909 A KR 20190035909A KR 1020197007527 A KR1020197007527 A KR 1020197007527A KR 20197007527 A KR20197007527 A KR 20197007527A KR 20190035909 A KR20190035909 A KR 20190035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aling element
sheath
anchorag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380B1 (ko
Inventor
라시드 아난
아드리안 그네기
모랄 자비에르 마르티네즈
Original Assignee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엘티디 filed Critical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35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2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parts being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 부분(5a) 및 비-피복 부분(5b)가 있는 신장 요소(5)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의 채널을 포함하는 케이블 앵커리지에 관한 것으로, 채널은 신장 요소의 가동부 근위의 제1 채널 단부(3) 및 고정 장치가 장착되는 제2 채널 단부(1) 사이에 있으며, 케이블 앵커리지는 또한 채널(6) 내에 밀봉 요소(26), 숄더(9a)를 정의하는 밀봉 요소(26)를 향하는 단부를 구비하며, 밀봉 요소(26) 및 정지 요소(9)를 수용하는 영역들(11a, 27)은 채널(6)에서 서로 세로방향으로 인접하여, 신장 요소(5)의 축방향의 이동 동안에, 밀봉 요소(26)가 숄더(9a)에 접하면서, 밀봉 요소(26)가 성지 요소(9)와 접하는 세로방향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정지 요소(9)에 대하여 신장 요소(5)의 축방향 이동은 숄더(9a)에 대항하여 신장 요소(5)의 피복 부분(5a)의 단부의 접합까지 가능하여, 축방향의 채널(6)에서 신장 요소(5)의 접합 위치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봉 요소가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 상기 앵커리지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및 시스된 신장 요소를 인장 및 설치하는 방법.
본 발명은 예컨대, 와이어, 줄, 스트랜드(strand), 텐돈(tendon), 지주(stay) 또는 케이블과 같은 인장되도록 설계된 종방향 구조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앵커리지 내의 개별 케이블 스트랜드를 위한 개별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해서, (외부) 포스트-인장 (또는 PT) 케이블을 사용하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을 가하는 적용 예가 참조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적용 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원리는 교량, 건물, 지붕, 마스트, 탑 또는 유사한 구조물에서 인장력을 전단하는데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 스트랜드, 및 텐돈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인장 케이블 또는 유사한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의 가능한 적용 예로서, 신장 요소는 외부 포스트-인장(또는 PT) 케이블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건물 및 주차 구조물용 교량 거더, 슬래브 및 보에 사용된다. 각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부식 방지 그리스 또는 왁스로 코팅되고 압출된 플라스틱 보호 시스에 넣어진 7개의 와이어 스트랜드로 구성되는 모노스트랜드 텐돈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는 예컨대 교량 데크를 지지하는데 특히 사용되는 지주 케이블에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교량의 타워에 설치된 상부 앵커리지 및 교량 데크에 설치된 하부 앵커리지 사에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케이블은 수십 또는 복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트랜드는 복수의 (예컨대, 7개의) 스틸 와이어를 포함한다. 각 스트랜드는 일반적으로 각 앵커리지에 개별적으로 유지되며, 예컨대 앵커 블록에 원뿔형 구멍에 안착된 경사진 원추형 웨지를 사용하여 스트랜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스트랜드의 인장은 유압 잭을 사용하여 케이블의 단부 중 하나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각 스트랜드의 상태는 부식 또는 기계적 열화를 감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사된다. 특정 스트랜드에서 상기 열화가 발견되면, 케이블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케이블로 교체되고, 새로운 케이블을 인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교체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새로운 스트랜드가 습기의 침투에 대항하여 다시 봉인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인장 케이블을 사용하는 외부 포스트-인장 시스템(PT system)의 다른 비-제한적 적용 예는 인장된 지주 케이블이 수직 또는 약간 기울어진 콘크리트 윈드 타워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일단 구조체가 콘크리트로 제조되면 케이블이 설치되고, 수직 프리스트레싱 힘을 텐돈의 최하단에 잇는 타워 기초에 전달할 수 있다.
동일한 출원인의 특허 출원 WO2014191568에서, 각각의 스트랜드를 위한 개별 밀봉 배열들이 개시되며, 상응하는 개별 밀봉 요소는 교체도리 수 있으며 다른 스트랜들의 밀봉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시-밀봉될 수 있따. 개시된 앵커리지는 개별 밀봉 요소를 사용하며, 각각은 스트랜드를 수용하는 채널의 리세스 영역에 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리세스 영역은 스트랜드 채널을 따라 정확한 위치에 밀봉 요소가 머무르는 것을 보장한다. 이 앵커리지를 통해 스트랜드를 교체할 때는 오래된 스트랜드를 제거하고 새로운 스트랜드를 삽입할 때 새로운 스트랜드가 그 스트랜드의 비-피복 부분이 아닌 피복 부분에서 밀봉 요소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해야 한다. 장력을 가한 후, 케이블의 노출된 단부는 앵커리지 안으로 스트랜드의 비-피복 부분을 둘러싸는 공동으로 그리스, 왁시, 또는 젤을 주입하여 보호할 수 있따. 이러한 선행 기술에서, 스트랜드는 새로운 스트랜드의 상당히 정확한 길이를 따라 시스 부분을 사전에 정확하게 제거하지 않고는 쉽게 교체될 수 없으며, 이는 설치 및 설치 후 제어 동안의 특정 단계에 함축된다. 또한, 이러한 케이블 앵커리지는 앵커리지 내에서 스트랜드 단부를 잠그기에 충분항 앵커리지 길이를 필요로 하며, 스트랜드의 피복 부분은 모든 설치 공차, 열 효과, 및 크리프를 고려한 경우에도 응력 작용이 끝날 때 그리고 스트랜드의 전체 수명 동안 밀봉 요소를 넘어서 튀어 나와있다. 일반적인 작동 온도 범위(즉, 약-20℃ 내지 +40℃)를 고려할 때, 표준 A35-037-1 단서 3.2.2 (타입 SC)에 따른 접착 보호 및 피복 스트랜드의 사용은 스트랜드의 강선 및 스트랜드의 플라스틱 시스 사이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열 효과 또는 크리프로 인한 와이어와 시스 사이의 잔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지만, 술치 중 케이블 길이의 공차에 대해 상당한 공차가 있어야 한다. 일부 배열에서 필요한 최소 길이는 구조체에서 쉽게 수용할 수 있는 앵커리지보다 크고 무거워지면 설치 고정을 더 어렵게 만든다.
미국특허 제8,065,845호는 텐돈의 비가 열부와 맞물리는 한 쌍의 웨지를 갖는 또 다른 앵커리지 구조에 관한 것이고, 반면에 외장 잠금 장치는 외장 주위에 한 쌍의 웨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외장 잠금 장치의 내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일부 잠금 리브가 시스와 결합하여 텐돈을 고정시킨다. 텐돈의 피복 부분 주위에 배치된 밀봉부는 앵커 부재에 형성된 공동의 단부 (트럼펫)를 유밀 방식으로 폐쇄하고 앵커리지 구조를 포함한다. 이 밀봉은 외장 잠금 장치의 선단을 수용하는 제 1 단부와 유밀 밀봉을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단부를 갖는 특별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은 텐돈과 밀봉의 설치 또는 교체를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앵커리지의 상술한 단점 및/또는 다른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랜드의 시수 부분 주위의 밀봉의 안전한 위치설정, 및 안전한 밀봉 효과를 얻기 위해서 쉽게 설치 및/또는 조립될 수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앵커리지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는 앵커리지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들은 청구항 1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응력을 가하는 동안, 즉 채널 내에서 스트랜드를 당기는 동안, 시스 단부의 단부 위치는 정지 요소의 숄더에 대항하는 시스 단부에 접합시킴으로써 정확하게 알려진다. 이는 스트랜드의 장착 및 스트리핑 동안에 스트랜드의 비-피복 부분의 길이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과는 별개로 안정하고 신속하며 신뢰성이 있는 인장 동작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트랜드는 시스 스트랜드의 의미에서 모노 스트랜드이다(일반적으로, 시스는 플라스틱 시스, 특히 PE 시스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코어 및 시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신장 요소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신장 요소는 시스에 배치된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텐돈(tendon)이다.
바람직하게는, 접합 위치에서 피복 부분의 시스 단부가 변형된 시스 단부에 의해서 방사상 외측으로 압축되어서 밀봉 요소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방사상 외측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변형되도록, 리세스 영역의 부피가 결정되며, 상기 변형된 시스 단부는 축방향의 채널에서 리세스 영역 내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정지 요소는 시스 단부가 인접하는 숄더 위치에서 강성 단부를 제공하며, 추가로 스트랜드가 인장될 때 시스의 단부 부분의 주름을 가능하게 한다. 시스 부분의 시스 단부의 상기 변형은 밀봉 특성을 향상시키는 팽창부를 형성한다. 놀라운 효과로서, 시스의 단부 부분의 외측으로의 팽창 변형은 크게 압축된 밀봉 요소 및 크게 압축된 시스 부분의 조합을 통하여 앵커리지의 리세스 영역 및 시스의 변형된 단부 부분 사이에서 주요 고정 또는 잠금 기능을 창조한다.
또한, 이러한 잠금 기능은 리세스 영역에 고정되는 시스 단부와 고정 장치에 고정되는 와이어 사이의 열적 상대 이동을 크게 제한한다. 이러한 상황은 성행 기술의 앵커리지와 비교할 때 앵커리지의 길이를 단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용 절감 외에도, 앵커리지의 길이 가 짧기 때문에 케이블 말단에서 사용 가능한 공간이 협소한 일부 구조에도 케이블 앵커리지를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정의되는, 피복 가동부, 제1 비-피복 단부, 및 제2 비-피복 단부가 있는 피복 신장 요소(5)를 인장 및 설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피복 신장 요소는 제1 비-피복 단부에 인접한 제1 피복 단부 및 제2 비-피복 단부에 인접한 제2 피복 단부를 가진 시스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신장 요소의 가동부 근위의 제1 채널 단부 및 제2 채널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축방향의 채널을 제2 비-피복 단부을 위해서 적어도 구비하는 단계, 여기서 축방향의 채널은 밀봉 요소 및 제2 채널 단부 사이에 위치된 정지 요소 및 밀봉 요소와 장착되며, 밀봉 요소 및 정지 요소는 신장 요소를 위한 통로를 정의하며, 정지 요소의 내부 직경은 비압축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의 외부 직경보다 작으며;
적어도 제2 비-피복 단부를 위해서, 제1 채널 단부에 비-피복 단부의 말단을 도입하고, 제2 채널 단부(1)까지 비-피복 단부의 말단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케이블 앵커리지에 대하여 제1 비-피복 단부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단계;
축방향의 채널에서 신장 요소의 접합 위치를 만들도록, 시스 단부의 제2 시스가 인장된 신장 요소를 얻기 위해서 정지 요소의 숄더에 인접할 때까지 제2 채널 단부로부터 제2 비-피복 단부의 말달을 당기는 단계; 및
제2 채널 단부에 대하여 인장된 신정 요소의 제2 비-피복 단부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지 요소의 숄더에 접합함으로써 상기 시스 단부 부분의 제2 시스 단부는 자동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있게 된다. 제2 채널 단부로부터 제2 비-피복 단부의 말단을 더 당김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기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케이블 앵커리지에 고정된 케이블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케이블 앵커리지의 정면 단부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제1 스트레싱(stressing) 단계 후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의 예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스트레싱 전에 도 3의 부분(V)의 확대한 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제1 스트레싱 단계 후 도 3의 부분(V)의 확대한 부분을 도시한다.
도 6은 제2 스트레싱 단계 후 도 3의 부분(V)의 확대한 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밀봉 요소의 예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지 요소의 예시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대안의 실시 예에서 도 4와 같은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도 4와 같은 도면을 도시한다.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된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특정 원리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보호하고자 하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 경우, 이들은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숫자의 사용이 반드시 이들이 참조하는 특징 간의 어떤 특정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내부 직경” 및 “외부 직경”은 대응요소의 방사상 치수에 관한 표현이며, “방사상” 방향은 축 방향 또는 주 방향에 직교한다. 이 요소가 원형이 아닌 경우에도, “내부 직경” 및 “외부 직경”이 또한 적용되며 해당 요소의 가장 큰 가로 치수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동작 중인 케이블 앵커리지의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복수의 스트랜드(5)는 앵커 블록(11)에 축방향 채널(6)을 통해, 고정 장치, 예컨대 원뿔형 웨지(wedge)(12)에 의해서 제 위치에 고정된다. 앵커 블록(11)은 케이블에 의해서 지지 또는 인장되는 구조체(4)(예컨대, 교량 데크의 일부 또는 윈드 타워의 기초)에 고정된다. 케이블의 다양한 스트랜드(5)는 칼라 요소(13)에 의해서 함께 모여지는 것으로 도시되며, 이들은 케이블의 주요 가동부(8)로 나아간다. 도면부호 7은 앵커리지 및 케이블의 주요 세로축(7)을 가리킨다. 도면부호 3은 가동부(8)에 인접한 앵커리지의 출구 단부로서 제1 단부를 가리키는 반면, 도면부호 1은 케이블의 가동부(8)로부터 떨어진 앵커리지의 제2 단부를 가리킨다. 채널들(6)은 제1 채널 단부(3) 및 제2 채널 단부(1) 사이에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채널(6)은 케이블 앵커리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도 2는 근위 단부(3)에서 바라본, 스트랜드(5)를 생략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앵커리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특히 앵커리지가 동작할 때 스트랜드(5)가 통과하는 채널(6)의 어레이 배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서, 43개의 스트랜드 채널(6)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배열 및 다른 수의 채널(6) 및 스트랜드(5)가 사용될 수 있다. 스트랜드(5)는 앵커리지의 길이를 통해 연정하는 원통형 채널(6)에 수용되며, 케이블 및 앵커리지의 주요 세로축(7)으로부터 각 스트랜드(5)의 편차의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앵커리지에서 서로 가능한 가깝게 유지시킨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장착된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 또는 능동 단부 앵커리지의 예를 도시한다.
능동 단부 앵커리지는 앵커 블록(11)을 통하여 형성된 채널들(6)을 포함하며, 예컨대 이는 경질 스틸 또는 예컨대 케이블에서 큰 축방향의 인장력을 견디기에 접합한 다른 재료일 수 있다. 스트랜드(5)는 앵커 블록(11)에 상응하는 원뿔형 웨지(12)와 같은 고정 장치에 의해서 채널(6)의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 3은 채널(6)이 앵커리지의 스트레싱 단부를 통하여 어떻게 연장하는지를 도시하며, 스트레싱 단부는 케이블의 스트랜드가 인장되는 케이블의 단부, 즉 앵커리지의 근위 단부(1)이다.
베어링 플레이트 또는 분할 심(10)은 앵커리지가 케이블에 의해서 지지 및/또는 인장되는, 교량 데크와 같은, 구조체(4)의 베어링 표면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단부 플레이트(20)는 후술되는 리세스 영역(27)을 쉽게 정의하기 위해서 앵커 블록(11) 및 베어링 플레이트(1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미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단부 플레이트(20)가 없다.
단부 플레이트(20)의 두께는 변할 수 있으며, 강한 재료를 통과하는, 채널(6)에 의해서 차지된(및 채널(6)의 내벽에 의해서 정의된) 부피를 제외하고,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트(grout)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충분히 강성인 재료로 채워진 강성 전이 파이트와 같은 연장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예시에서, 채널(6)은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도시되며, 케이블의 주요 세로 방향 (또는 축 방향) 및 채널들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인장 케이블 스트랜드(5)는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PE)과 같은 보호된 폴리머 재료로 피복되며, 시스(5c)는 스트랜드가 고정되는 스트랜드의 영역(비-피복 부분(5b))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3 내지 5에서, 스트랜드(5)의 피복 부분(5a)은 임의의 크로스-해칭(cross-hatching) 또는 필링(filling)이 없는 비-피복 부분(5b)과 구별되며, 비-피복 부분(5b)은 벗겨진 와이어(5d)를 보여주도록 벗겨진다. D1은 피복 부분(5a)의 외부 직경이며, D2는 비-피복 부분(5b)(벗겨진 스트랜드(5))의 외부 직경이다.
앵커리지에 고정되어진 스트랜드(5)는 스트랜드(5)가 앵커리지 채널(6)에 삽입되기 전에 스트랜드(5)의 단부 영역에 이들의 폴리머 시스(5c)를 벗겨낸다. 이로 인해, 웨지(12)가 시스(5c) 대신에 스트랜드(5)의 비-피복 부분(5a)의 벗겨진 스틸 상에서 직접적으로 파지한다. 시스(5c)는 각 스트랜드(5)로부터 충분히 벗겨져서, 스트랜드(5)가 앵커 블록의 채널(6)을 통하여 당겨지고 충분히 인장되며, 시스(5c)의 단부가 베어링 플레이트(10) 및 매설 지점(앵커 웨지(12)가 스트랜드를 파지하는 지점) 사이의 기결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시스(5c)는 후술되는 밀봉 요소(26)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다 명확하게, 앵커 블록(11)은 채널(6)의 부분을 형성하는 각각의 구멍의 확대된 부분(11a)을 정의한다: 구멍의 확대된 부분(11a)은 단부 플레이트(20)와 접합하고 쪽으로 뒤집어진 앵커 블록(11)의 일 면에서 리세스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확대된 부분(11a)에는 강성 부싱(bushing)에 의해 형성된 정지 요소(9)가 삽입된다. 도 8에 도시되었듯이, 이러한 강성 부싱(9)은 외부 직경(DT1) 및 내부 직경(DT2)를 가진 환형 부분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정지 요소(9)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6) 내에 배치된 부싱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숄더(9a)는 채널 및 밀봉 요소(26)를 향하는 부싱의 단부 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부싱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옥시메틸렌(POM)과 같은 강성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부싱이다.
부싱, 즉 앵커 블록(11)으로부터 분리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정지 요소(9)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다른 변형은 앵커 블록(11)에서 채널(6) 또는 구멍의 단부(9`)의 감소된 직경 내에 있어야 하며, 채널(6)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채널(6)의 국부적인 협소부로 인해, 앵커 블록(11)과 별개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정지 요소가 없다: 여기서, (밀봉 요소(26)를 마주하는 앵커 블록(11)의 측면에서 도 9에 위치된) 채널(6)의 협소부는 그 차제로 정지 요소(9)를 형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부싱에 의해서 형성된 정지 요소(9)의 사용에 대한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정지 요소(9)는 튜브(9``)에 의해서 형성되며, 이는 또한 상기 채널(6) 내에 배치된 앵커 블록(11)과 별개의 부분이며, 상기 튜브(9``)는 고정 장치(원뿔형 웨지(12)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숄더(9a)는 채널(6) 및 밀봉 요소(26)를 향하는 튜브(9``)의 단부 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 정지 요소(9)는 리세스 영역(27)을 향하는 숄더(9a)를 정의한다. 이 숄더(9a)는 시스(5c)를 뒤로 고정하기 위한 정지부를 형성하며, (튜브의 전방 측면에서 또는 채널(6)의 협소화 부분에서) 부싱(9)의 전방 측면에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트랜드(5)가 앵커 블록(11)의 채널을 통하여 당겨지고 완전히 인장되며, 시스(5c)의 단부는 숄더에 대항하여, 즉 정지 요소(9) 및 밀봉 요소(26)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정지 요소(9)는 압축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26)의 외부 직경(DS1)보다 작은 내부 직경(DT2)을 구비하여, 밀봉 요소(26)는 정지 요소(9) 내로 밀릴 수 없다. 밀봉 요소(26) 및 정지 요소(9)는 정지 요소(9)의 내부 직경(DT2)보다 작은 밀봉 요소(26)의 내부 직경(DS2)을 가진 것으로 선택될 수 있지만, 어떠한 경우에서 밀봉 요소(26)의 내부 직경(DS2) 및 정지 요소(9)의 내부 직경은 비-피복 부분(5b)(벗겨진 스트랜드(5))의 외부 직경(D2) 보다 크다. 스트랜드의 섹션의 외부 형상이 완벽하게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D2는 와이어 패턴, 즉 벗겨진 스트랜드의 원형 엔빌로프(envelop)로 정의된다.
또한, 도 4 내지 6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단부 플레이트(20)는, 밀봉 요소(26)를 수용 및 보유하기 위한, 채널(6)과 가로 방향으로 동축으로, 환형 또는 원통형의 리세스 영역(27)을 정의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밀봉 요소(26)는 습기가 앵커리지의 (제1) 근위 단부(3)로부터 앵커리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채널(6)로 도입된 임의의 충전물이 앵커리지의 밖으로 앵커리지의 원위 단부(1)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밀봉 요소(26)는 외부 직경(DS1), 내부 직경(DS2), 비압축 상태에서 길이(LS)를 가진 환형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26)를 수용하는 리세스 영역(27)의 외부 직경(DR)은 부싱(9)의 외부 직경(DT1)과 거의 동일하거나 작다. 리세스(27)의 길이, 즉 축방향으로 연장부는 LR 이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26)를 수용하는 리세스 영역(27)의 부피는 접합 위치까지 신장 요소(5)의 축방향 이동 동안에 이동된 시스(5c)의 부피와 비압축 밀봉 요소(26)의 부피를 더 한 것에 3배 이하이다. 즉, 다음의 식이 적용된다: P/4 X (LR) X ((DR)2 -(D2) 2) = 3 X ( P/4 X (A1 X ((D1)2 -(D2) 2) + LS X ((DS1)2 -(DS2) 2)).
또한, 바람직하게는, 밀봉 요소(26)를 수용하는 상기 리세스 영역(27)의 부피는 접합 위치까지 신장 요소(5)의 축방향 이동 동안에 이동된 시스(5c)의 부피와 비압축 밀봉 요소(26)의 부피를 더 한 것에 1.5배 이하이다. 즉, 다음의 식이 적용된다: P/4 X (LR) X ((DR)2 -(D2) 2) = 1.5 X ( P/4 X (A1 X ((D1)2 -(D2) 2) + LS X ((DS1)2 -(DS2) 2)).
도 4 내지 6에서 볼 수 있듯이, 밀봉 요소(26)를 수용하는 리세스 영역(27) 및 정지 요소(9)를 수용하는 영역(11a)은 채널(6) 내에서 세로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앵커리지의 원위 단부(1) 쪽으로 채널(6) 내에서 신장 요소(5)의 축방향 이동 동안에(도 5 및 6의 상부에서 큰 화살표를 참조), 밀봉 요소(26)는 정지 요소(9)에 인접한 세로방향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것처럼 밀봉 요소(26)의 세로방향의 위치는, 밀봉 요소(26)가 숄더(9a)에 인접한 상태에서, 밀봉의 기결정된 축방향 위치에 일치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의 배열을 통해 쉽게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요소(26)는 숄더(9a)와 동축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리세스 영역(27)의 부피는, 숄더(9a)에 대항하여 시스의 접합 위치에서(도 6 참조), 피복 부분(5a)의 단부가 변형된 시스 단부(5e)에 의해서 방사상 외측으로 압축되도록 밀봉 요소(26)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방사상 외측 돌출부(5e)를 형성하기 위해서 변형되며, 상기 변형된 시스 단부(5e)는 축방향 채널(6)에서 리세스 영역(27) 내부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즉, 밀봉 요소(26)는 부싱(9)의 바로 앞에 배열된다: 시스(5)의 단부 위치는 부싱에 대한 그 접합에 의해 정의된다.
도 10에 도시된 변형 예에서, 단부 플레이트(20)는 없다: 이런 상황에서, 앵커 블록(11)은 앵커리지의 제1 단부(3)(도 10의 바닥 부분)로 축 방향을 따라 더 연장하고 리세스 영역(27)을 정의한다. 이러한 변형은 또한 도 4 내지 6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앵커 블록(11)은 도 4-6 및 9에 도시된 단부 플레이트와 단일 부품을 형성한다. 단부 플레이트(20)가 없는 이러한 변형이 도 4-6의 실시 예에 적용될 때는, 이는 구멍의 확대된 부분(11a)이 밀봉 요소(26) 및 정지 요소(9)를 수용하는 앵커 블록에서 리세스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 예에서, 튜브(9``)를 갖는 도 10의 실시 예 또한 앵커 블록(11)으로부터 별개 부품을 형성하는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단부 플레이트는 숄더(9a)의 축방향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도 10의 앵커 블록(11)의 바닥 부분에 해당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텐돈(tendon)은 시스(5c)에 위치된 벗겨진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5c)는 -20℃ 내지 +40℃의 통상적인 사용 온도 범위에서 열 영햐으로 시스(5c) 및 벗겨진 스트랜드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L/2000 미만으로 제한하도록 벗겨진 스트랜드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며, 여기서 L은 피복 스트랜드 부분(5a)의 길이이다. 예컨대, 시스(5c)는 벗겨진 스트랜드의 외부 표면에 기하학적 맞물림에 의해 부착된다. 즉, 이는 표준 XP A35-037-3:2003의 7.5.3.4에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지정된 최소 힘까지 상대 운동을 배제하게 스트랜드와 시스(5c)의 접착이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스(5c)는 표준 XP A35-037-1 단서 D3 (타입 SC)에 따라 300mm 긴 시스 샘플에서 결정될 때 1000N의 스트랜드(5) 상에서 미끄러짐에 대한 최소 마찰 저항을 갖는다.
이러한 3개의 정의는 부착한 보호 및 피복 스트랜드(5)로 명명되는 피복 시트랜드의 종류에 해당하며, 또한 “단단하게 압출된 모노스트랜드(tightly extruded monostrand)”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피복 스트랜드는 예컨대 벗겨진 스트랜드 주위에 직접 시스를 압출함으로써 얻어지며, 이러한 종류의 피복 스트랜드에서 이동이 없으며, 더 자세하게는 벗겨진 스트랜드 및 시스(5c) 사이의 자유 이동이 없으며, 벗겨진 스트랜드 및 시스(5c)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한 이동은 예컨대 18/2000, ℃당 15.10-5의 PE 시스의 열 계수에 근거한 피복 스트랜드 부분의 2000°mm 길이에서 18mm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열로, 스트랜드의 자유 단부가 케이블의 원위 단부로부터 당겨질 때, 시스 단부는 밀봉 요소(26)로 진입하고 그 후 리세스 영역(27LR)의 길이 이상의 케이블의 제1 당김 길이(A1)에 대응하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제1 단계에서 숄더(9a)에 인접한다. 제1 당김 길이(A1)는 또한 시스 단부 및 숄더(9a) 사이의 초기 거리(도 4 참조)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5의 상황은 시스(5c)의 단부의 변형 또는 팽창이 없는 채널(6)에서의 스트랜드(5)의 접합 위치를 나타낸다.
그 후, 당김 작업의 제2 단계 동안에, 전체 당김 길이는 A2(도 6참조)이며, 시스(5c)는 와이어(5d) 주위로 접혀서 평균 외부 직경(D1`)을 갖는 방사상 외측 돌출부를 갖는 변형된 시스 단부(5e)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2 비-피복 부분(5b)의 말단을 당기는 단계는 제2 피복 단부의 접힘 이후에 중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시스 단부의 말단은 숄더(9a)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비-피복 부분의 말단의 당김 단계가 제2 시스 단부의 접힘 이후에 중지되고, 이에 의해 제2 시스 단부의 방사상 확대부는 밀봉 요소(26)의 방사상 외측 연장부(5e) 및 리세스 영역(27)의 위치에서 밀봉 요소(26) 상에 채널(6)의 내벽(29)의 내측 방사상 압력을 만든다.
이러한 방사상 외측 돌출부는 밀봉 요소에 대항하여 압축되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된 밀봉 요소(26`)를 형성한다. 이러한 압축된 밀봉 요소(26`)는 외부 직경(DR), 초기 내부 직경(DS2)보다 큰 (변형된 시스 단부(26`)의 평균 외부 직경(D1`)에 상응하는) 내부 직경(D1`), 및 길이(LS`)를 갖는다. 이러한 상황은 밀봉 요소(26)의 추가 압축을 가능하게 하여, 앵커리지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시스가 압축 및 팽창되며, 이는 재료 크리프(creep)로 인한 또는 온도 변화로 채널에서 시스의 임의의 잔류 이동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짧은 앵커리지에서도 밀봉 영역으로 시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케이블 앵커리지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축방향 채널(6)을 포함하며, 각 채널은 피복 부분(5a) 및 비-피복 부분(5b)가 있는 케이블의 스트랜드(5)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며, 이는 또한 각 축방향 채널(6)을 위해서, 밀봉 요소(26), 밀봉 요소(26)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 또는 원통형 리스세 영역(27), 및 정지 요소(9)를 포함한다.
스트레싱 단부 앵커리지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더 접근하기 쉬운 단부에 위치하며, 스트랜드가 요구되는 장력까지 개별적으로 응력이 가해질 때까지, 예컨대 유압 잭에 의해, 앵커리지를 통해 당겨질 수 있다.
피복 부분(5a)이 앵커리지의 최종 구성에서 밀봉 요소(26) 통로 내로 돌출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초기 비-피복 부분(5b)이 앵커리지의 후면(제2 단부(1)), 즉 앵커 블록의 자유 단부 및 숄더(9a) 사이의 거리 및 유압 잭에 의해서 스트랜드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앵커 블록(11)의 자유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스트랜드의 임의의 요구되는 초과길이를 더한 길이보다 짧은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응력을 가하는 동안 스트랜드(5)의 추가 당김은 숄더(9a)에 대항하여 접할 때 시스(5c)의 접힘을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 배열에 있으서, 능동 단부 엥커리지의 전형적인 길이는 크게 감소된다. 예컨대, 종래 기술의 능동 단부 앵커리지의 전형적인 길이는 밀봉 요소(26)로부터 앵커리지의 제2 단부(1)까지, 즉 앵커 블록(11)의 자유 단부까지 500mm 내지 1000mm인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능동 단부 앵커리지는 통상적으로 50mm 내지 300mm의 길이를 가진다.
일단 피복 스트랜드(5)가 능동 단부 앵커리지에 끼워지면, 대기 중 습기의 부식 효과에 대항하여 스트랜드(5)의 벗겨진 부분(5b)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러 이유로, 밀봉 요소는 채널의 내부 표면 및 스트랜드의 시스(5c)의 외부 표면 사이의 감소된 공간(27`)에서, 탄성 압축 하에서, 끼워진다. 이 감소된 공간(27`)은, 변형된 시스 단부(5e)의 더 큰 방사상 연장부로 인해,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즉 감소된 내부 직경을 가지는 시스(5c) 주변의 리세스 영역(27)의 환형 부분에 해당한다.
보호 왁스, 그리스, 폴리머, 또는 필러 재료를 형성하는 다른 보호 물질이 또한 주입될 수 있으며, 또는 정지 요소(9)(9` 또는 9``)(즉, 도 3, 4-6, 9, 10의 상부에 도시됨)까지 앵커 블록(11)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정의되고 채널(6)의 벽 및 스트랜드(5) 사이에 방사상으로 정의된 공간(51)으로 주입된다. 이러한 충전 재료는 상기 공간(51)의 전체 축방향의 연장부를 따라 또는 상기 공간(51)의 축방향의 연장부를 따라 한정된 부분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재료는 상기 공간(51)에서 정지 요소(9)(9` 또는 9``)까지 존재한다. 이러한 중전 재료로, 밀봉 요소(26)는 충전 재료를 공동(미도시) 내에 유지하면서 공동(51) 내로 습기의 침투에 대한 장벽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는, “데드 단부(dead end)” 앵커리지로 알려진, “수동 단부” 앵커리지에 또한 사용된다. 이러한 수동 단부 앵커리지는, 스트랜드의 단부들이 인장되었을 때, 또한 이들이 케이블의 다른 단부, 즉 스트레싱 단부로부터 인장되는 동안, 스트랜드의 단부를 단순히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선행 기술의 이러한 수동 단부 앵커리지는 앵커리지가 능동 단부 앵커리지보다 상당히 짧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왜냐하면, 능동 단부 앵커리지와 같이 스트랜드가 인장될 때 스트랜드의 축방향의 이동을 수용할 필요가 없으며, 스트랜드가 인장될 때 앵커리지를 통항 스트랜드 수치의 관련된 허용오차가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시스가 정지 요소의 숄더(9a)에 인접할 때까지 앵커리지로 단순히 밀려진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당김 단계의 단부에 대응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배열된 앵커리지로, 능동 단부 앵커리지의 케이블 앵커리지의 길이는 감소되고 종래 기술의 수동 단부 앵커리지와 동일한 범위 내에 놓이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는 케이블의 수동 단부 앵커리지에만 사용되고, 동일한 케이블의 능동 단부 앵커리지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는 케이블의 능동 단부 엥커리지에만 사용되고, 동일한 케이블의 수동 당부 앵커리지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는 케이블의 양 단부, 즉 능동 단부 앵커리지 및 수동 단부 앵커리지에 사용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신장 요소(5)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돈 및 상기 텐돈의 양 단부의 장력하에 고정하기 위한 2 개의 케이블 앵커리지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텐돈은 양 단부에 비-피복 부분(5b)을 가지며, 상기 2개의 케이블 앵커리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이다. 두 개의 케이블 앵커리지 중 다른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케이블 앵커리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닥부 및 상부, 및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이 상기 상부 및 바닥부 사이에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윈드 타워(즉, 윈드 터빈의 지지 마스트)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윈드 타워의 수직 케이블의 경우, 타워 내의 덥거나 뜨거운 환경은 부식 방지 스트랜드 필러 물질이 더 액체화되고, 필러 물질이 특히 케이블의 동적 운동으로 인해 누유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리지의 향상된 밀봉 특성으로, 윈드 타워의 바닥부에서 부식 방지 제품의 누유를 더 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앵커리지는 벗겨진 스트랜드와 시스 사이에 그리고 밀봉 요소가 장착된 채널 부분 및 스트랜드 사이에 더 좋은 기계적 고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요소(26)는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이는 밀봉 요소(26) 및 제2 채널 단부(1) 사이의 채널(6)의 내벽(29)의 모든 직경들 이하인 방사상 외부 치수를 가지며, 밀봉 요소(26)는 리세스 영역(27)에서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는 스트랜드 및 밀봉 요소 모두가 신뢰성 있는 당대 위치로 간단항 방법으로 교체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유지 보수 또는 작동 중에 해당 스트랜드가 재설치되거나 검사될 수 있게 한다. 밀봉 요소(26)와 같이, 선택적 충전 재료는 밀봉 요소(26)의 교체 후 원위 단부(1)로부터 주입에 의해서 공간(51)에서 쉽게 교체될 수 있다.
1 (가동부로부터 먼) 앵커리지의 제2 (원위) 단부 / Second (remote) end of the anchorage (remote from running part)
2 앵커리지의 몸체 / Body of the anchorage
3 앵커리지의 제1 (근위) 단부 (가동부의 출구 단부) / First (proximal) end of the anchorage (exit end for running part)
4 구조체 / Structure
5 스트랜드 / Strand
5a 스트랜드의 피복 부분 / Sheathed portion of the strand
5b 스트랜드의 비-피복 부분 / Unsheathed portion of the strand
5c 시스 / Sheath
5d 와이어 / Wires
5e 방사상 외측 돌출부가 있는 변형된 시스 단부 / Deformed sheath end with outwardly radially protrusion
D1 피복 부분(5a)의 외부 직경 / Outer diameter of the sheathed portion 5a (sheathed strand 5)
D2 비-피복 부분(5b)의 외부 직경 / Outer diameter of the unsheathed portion 5b (bare strand 5)
6 앵커리지 채널 / Anchorage channels
7 케이블의 주요 세로축 / Principal longitudinal axis of the cable
8 케이블의 주요 가동부 / Main running part of the cable
9 정지 요소(부싱) / Stop element (bushing)
9' 정지 요소(채널(6)의 협소부) / Stop element (narrowing of the channel 6)
9'' 정지 요소(튜브) / Stop element (tube)
9a 숄더 / Shoulder
DT1 정지 요소의 외부 직경 / Outer diameter of the stop element
DT2 정지 요소의 내부 직경 / Inner diameter of the stop element
9a 숄더 / Shoulder
10 조절 링 또는 분할 심 / Adjustment ring or split shim
11 앵커 블록 / Anchor block
11a 구멍의 확대된 부분 / Enlarged portion of the hole
12 원뿔형 웨지 / Conical wedges
13 칼라 요소 / Collar element
20 단부 플레이트 / End plate
26 밀봉 요소 / Seal element
DS1 비압축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의 외부 직경 / Outer diameter of the seal element in its uncompressed state
DS2 비압축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의 내부 직경 / Inner diameter of the seal element in its uncompressed state
LS 비압축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의 길이 / Length of seal element its uncompressed state
LS' 압축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의 길이 / Length of seal element its compressed state
26' 압축된 밀봉 요소 / Compressed seal element
D1' 압축된 밀봉 요소의 평균 외부 직경 / Mean outer diameter D1' of the compressed seal element
27 리세스 영역 / Recessed region
27' 감소된 공간 / Reduced space
LR 감소된 영역의 길이 / Length of recessed region
DR 감소된 영역의 외부 직경 / Outer diameter of said recessed region
29 내벽 / Inner wall
A1 접합까지 당김 길이(제1 당김 길이) / Pulling length up to abutment (first pulling length)
A2 피복 단부(5e)의 변형까지 당김 길이(제2 당김 길이) / Pulling length up to deformation of the sheathed end 5e (second pulling length)
51 공간 / Space

Claims (15)

  1. 피복 부분(5a) 및 비-피복 부분(5b)을 가진 신장 요소(5)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의 채널(6); 및
    신장 요소(5)가 채널(6)에 있을 때, 신장 요소(5) 및 채널(6)의 내벽(29)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서 채널(6)의 내벽(29)을 따라 위치될 수 있는 밀봉 요소(26);를 포함하는 케이블 앵커리지로서,
    채널(6)은 신장 요소의 가동부 근위의 제1 채널 단부(3) 및 고정 장치(12)가 장착된 제2 채널 단부(1)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밀봉 요소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며,
    채널(6)의 내벽(29)은 채널(6)에서 신장 요소(5)의 축방향의 이동 동안에 리세스 영역(27) 내에서 밀봉 요소(26)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밀봉 요소(26)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 또는 원통형 리세스 영역(27)을 포함하며,
    정지 요소(9)는 상기 제2 채널 단부(1) 및 밀봉 요소(26) 사이의 세로방향의 위치에서 채널(6) 내에 영역(11a)에 위치되며, 정지 요소(9)는 채널의 내벽의 부분을 형성하는 방사상 내면을 가지며, 정지 요소(9)의 내부 직경(DT2)은 비압축 상태에서 밀봉 요소(26)의 외부 직경(DS1)보다 작으며,
    정지 요소(9)는 숄더(9a)를 정의하는 밀봉 요소(26)를 향하는 일 단부를 가지며,
    밀봉 요소(26) 및 정지 요소(9)를 수용하는 영역들(11a, 27)은 채널(6)에서 서로 세로방향으로 인접하여, 신장 요소(5)의 축방향의 이동 동안에, 밀봉 요소(26)가 숄더(9a)에 접하면서, 밀봉 요소(26)가 정지 요소(9)와 접하는 세로방향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정지 요소(9)에 대하여 신장 요소(5)의 축방향 이동은 숄더(9a)에 대항하여 신장 요소(5)의 피복 부분(5a)의 단부의 접합까지 가능하여, 축방향의 채널(6)에서 신장 요소(5)의 접합 위치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케이블 앵커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접합 위치에서 피복 부분(5a)의 시스 단부가 변형된 시스 단부(5e)에 의해서 방사상 외측으로 압축되어 밀봉 요소(26)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방사상 외측 돌출부(5e)를 형성하기 위해서 변형되도록, 리세스 영역(27)의 부피가 결정되며,
    상기 변형된 시스 단부(5e)는 축방향의 채널(6)에서 리세스 영역(27) 내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케이블 앵커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P/4 X (LR) X ((DR)2 -(D2) 2) = 3 X ( P/4 X (A1 X ((D1)2 -(D2) 2) + LS X ((DS1)2 -(DS2) 2))이 적용되어,
    상기 리세스 영역(27)의 부피는 접합 위치까지 신장 요소(5)의 축방향의 이동 동안에 이동된 시스(5c)의 부피와 비압축된 밀봉 요소(26)의 부피를 더 한 것에 3배 이하인 케이블 앵커리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영역(27)은 채널(6)과 세로방향으로 동축인 케이블 앵커리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숄더는 정지 요소(9)의 위치에서 채널(6)의 협소부(9`)에 의해서 형성되는 케이블 앵커리지.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9)는 채널(6) 내에 위치된 부싱(bushing)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숄더(9a)는 채널(6) 및 밀봉 요소(26)를 향하응 부싱의 단부 면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 앵커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26)를 수용하는 리세스 영역(27)의 외부 직경(DR)은 부싱(9)의 외부 직경(DT1)과 거의 동일한 케이블 앵커리지.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요소(9)는 채널(6) 내에 위치된 튜브(9``)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튜브(9```)는 고정 장치(12)까지 연장하며,
    상기 숄더(9a)는 채널(6) 및 밀봉 요소(26)를 향하는 튜브(9``)의 단부 면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 앵커리지.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26)는 압축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압축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는 제2 채널 단부(1) 및 밀봉 요소(26) 사이에 채널의 내벽(29)의 모든 직경들 이하의 외부 직경을 가지며,
    밀봉 요소(26)는 리세스 영역(27)에 분리 가능한 방법으로 배열되는 케이블 앵커리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앵커리지는 복수의 축방향의 채널(6)을 포함하며, 각 채널은 피복 부분(5a) 및 비-피복 부분(5b)이 있는 케이블의 스트랜드(5)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며,
    각 채널(6)을 위한, 밀봉 요소(26), 밀봉 요소(26)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 또는 원통형 리세스 영역(27), 및 정지 요소(9)를 포함하는 케이블 앵커리지.
  11. 신장 요소(5)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텐돈, 및 텐돈의 양 단부를 인장 하에서 고정하기 위한 두 개의 케이블 앵커리지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으로서,
    상기 텐돈은 양 단부에 비-피복 부분(5b)을 가지며,
    두 개의 케이블 앵커리지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블 앵커리지인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텐돈은 시스(5c)에 위치된 벗겨진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5c)는 -20℃ 내지 +40℃의 통상적인 사용 온도 범위에서 열 영향으로 시스(5c) 및 벗겨진 스트랜드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L/2000 미만으로 제한하도록 벗겨진 스트랜드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며,
    L은 피복 스트랜드 부분(5a)의 길이인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텐돈은 시스(5c)에 위치된 벗겨진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시스(5c)는 표준 XP A35-037-1 단서 D3 (타입 SC)에 따라 300mm 긴 시스 샘플에서 결정될 때 1000N의 벗겨진 스트랜드 상에서 미끄러짐에 대한 최소 마찰 저항을 가지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14. 바닥부 및 상부를 포함하는 윈드 타워로서,
    상기 바닥부 및 상부 사이에 제 12 항 또는 13 항에 따른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윈드 타워.
  15. 피복 가동부(5a), 제1 비-피복 단부(5b), 및 제2 비-피복 단부(5b)가 있는 피복 신장 요소(5)를 인장 및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복 신장 요소(5)는 제1 비-피복 단부에 인접한 제1 피복 단부 및 제2 비-피복 단부에 인접한 제2 피복 단부를 가진 시스(5c)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신장 요소의 가동부 근위의 제1 채널 단부(3) 및 제2 채널 단부(1) 사이에서 연장하는 축방향의 채널(6)을 제2 비-피복 단부(5b)을 위해서 적어도 구비하는 단계;
    - 적어도 제2 비-피복 단부(5b)를 위해서, 제1 채널 단부(3)에 비-피복 단부(5b)의 말단을 도입하고, 제2 채널 단부(1)까지 비-피복 단부(5b)의 말단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케이블 앵커리지에 대하여 제1 비-피복 단부(5b)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단계;
    - 축방향의 채널(6)에서 신장 요소(5)의 접합 위치를 만들도록, 시스 단부의 제2 시스가 인장된 신장 요소(5)를 얻기 위해서 정지 요소(9)의 숄더(9a)에 인접할 때까지 제2 채널 단부(1)로부터 제2 비-피복 단부(5b)의 말달을 당기는 단계; 및
    - 제2 채널 단부(1)에 대하여 인장된 신정 요소(5)의 제2 비-피복 단부(5b)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축방향(6)의 채널은 밀봉 요소(26) 및 제2 채널 단부(1) 사이에 위치된 정지 요소(9) 및 밀봉 요소(26)와 장착되며, 밀봉 요소(26) 및 정지 요소(9)는 신장 요소를 위한 통로를 정의하며, 정지 요소(9)의 내부 직경(DT2)은 비압축된 상태에서 밀봉 요소(26)의 외부 직경(DS1)보다 작으며,
    숄더는 밀봉 요소(26)를 향하는 정지 요소(9)의 단부에서 정의되며, 밀봉 요소(26) 및 정지 요소(9)를 수용하는 영역들(11a, 27)은 채널(6)에서 서로 세로방향으로 인접하여, 신장 요소(5)의 축방향의 이동 동안에, 밀봉 요소(26)가 숄더(9a)에 접하면서, 밀봉 요소(26)가 성지 요소(9)와 접하는 세로방향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방법.
KR1020197007527A 2016-08-19 2017-08-16 밀봉 요소가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 상기 앵커리지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및 시스된 신장 요소를 인장 및 설치하는 방법. KR102336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85017.7A EP3284865B1 (en) 2016-08-19 2016-08-19 Cable anchorage with seal element and prestressing system comprising such anchorage
EP16185017.7 2016-08-19
PCT/IB2017/054975 WO2018033865A1 (en) 2016-08-19 2017-08-16 Cable anchorage with seal element, prestressing system comprising such anchorage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tensioning a sheathed elongated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909A true KR20190035909A (ko) 2019-04-03
KR102336380B1 KR102336380B1 (ko) 2021-12-08

Family

ID=5680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527A KR102336380B1 (ko) 2016-08-19 2017-08-16 밀봉 요소가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 상기 앵커리지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및 시스된 신장 요소를 인장 및 설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38422B2 (ko)
EP (1) EP3284865B1 (ko)
JP (1) JP6873230B2 (ko)
KR (1) KR102336380B1 (ko)
CN (1) CN109844226B (ko)
CL (1) CL2019000439A1 (ko)
ES (1) ES2941694T3 (ko)
MX (1) MX2019001939A (ko)
WO (1) WO2018033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8587B2 (en) * 2017-08-25 2021-06-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ncrete structure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211790B (zh) * 2019-07-10 2022-12-27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地锚装置、拉索塔架、风力发电机组以及施工方法
CN110359634A (zh) * 2019-07-25 2019-10-22 威胜利工程有限公司 张拉端锚具
CN110725547B (zh) * 2019-10-17 2023-08-11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紧凑型钢绞线拉索及其制作方法
CN111535160A (zh) * 2020-05-20 2020-08-14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隧道仰拱结合型索道桥桥台
EP3921557A1 (fr) * 2020-07-15 2021-12-15 Soletanche Freyssinet Dispositifs et systèmes de pontage et procédés de mise en uvre
CN113430934A (zh) * 2021-04-23 2021-09-24 中铁大桥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与墩身盖梁相结合的扩大式扣塔基础结构及施工方法
CN113585089A (zh) * 2021-08-30 2021-11-02 中庆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张拉锚具
CN114214936B (zh) * 2021-11-23 2023-11-24 上海浦江缆索股份有限公司 一种锚固效果好且受力均匀的碳纤维拉索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2829B2 (en) * 2000-12-04 2004-02-17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Individually protected strand,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KR100731962B1 (ko) * 2001-01-29 2007-06-25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스테이의 일단부를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장치
US8065845B1 (en) * 2008-07-18 2011-11-29 Sorkin Felix L Anchorage with tendon sheathing lock and se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002045U1 (de) * 1980-01-26 1980-04-3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uenchen Wiedergewinnbares schalungsteil fuer den verankerungsbereich eines spannglieds in einem betonbauteil
DE3437107A1 (de) * 1984-10-10 1986-04-1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ünchen Zugglied, insbesondere schraegseil fuer eine schraegseilbruecke
US5788398A (en) * 1996-07-09 1998-08-04 Sorkin; Felix L. Connector seal for an anchor and a corrosion-protection tube of a post-tension system
FR2798408B1 (fr) * 1999-09-15 2002-01-18 Freyssinet Int Stup Cable a fils paralleles pour structure d'ouvrage de construction, ancrage d'un tel cable, et procede d'ancrage
FR2798410B1 (fr) * 1999-09-15 2001-11-23 Freyssinet Int Stup Dispositif d'ancrage pour fixer un cable de structure a un element de construction
NO320706B1 (no) * 2002-01-25 2006-01-16 Aker Kvaerner Subsea As Anordning ved endeterminering av strekkstag
US7856774B1 (en) * 2007-09-25 2010-12-28 Sorkin Felix L Sheathing-retaining wedge assembly for use with a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CA2727295A1 (en) * 2008-06-12 2009-12-17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Anchoring, splicing and tensioning elongated reinforcement members
RU2556827C2 (ru) * 2009-12-23 2015-07-20 Фсл Интернациональ Аг Фрикционный демпфер троса
US8795832B2 (en) * 2010-07-30 2014-08-05 Fyfe C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 cable or cable bundle
PL2601344T3 (pl) * 2010-08-03 2016-03-31 Soletanche Freyssinet Żyła, lina konstrukcyjna i sposób wytwarzania żyły
CN102619226B (zh) * 2012-04-19 2014-11-05 杭州图强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压力分散型让压锚索
GB2514621B (en) 2013-05-31 2020-04-15 Vsl Int Ag Cable anchor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2829B2 (en) * 2000-12-04 2004-02-17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Individually protected strand,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KR100731962B1 (ko) * 2001-01-29 2007-06-25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스테이의 일단부를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장치
US8065845B1 (en) * 2008-07-18 2011-11-29 Sorkin Felix L Anchorage with tendon sheathing lock and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380B1 (ko) 2021-12-08
US10738422B2 (en) 2020-08-11
US20190194884A1 (en) 2019-06-27
MX2019001939A (es) 2019-07-01
JP2019526723A (ja) 2019-09-19
EP3284865B1 (en) 2023-01-18
CN109844226A (zh) 2019-06-04
EP3284865A1 (en) 2018-02-21
CN109844226B (zh) 2023-07-04
JP6873230B2 (ja) 2021-05-19
WO2018033865A1 (en) 2018-02-22
ES2941694T3 (es) 2023-05-24
CL2019000439A1 (es)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5909A (ko) 밀봉 요소가 있는 케이블 앵커리지, 상기 앵커리지를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싱 시스템, 및 시스된 신장 요소를 인장 및 설치하는 방법.
US5469677A (en) Stressing anchorage for at least one tension element running inside an encasing tub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tressing anchorage
EP3172387B1 (en) Apparatus with a cartridge for retaining a sheathing of a tendon within an anchor assembly
US4473915A (en) Tension memb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US9850630B2 (en) Cable anchorage with bedding material
US4848052A (en) Spacer for tension member
US20200199831A1 (en) Improved assembly comprising a structural cable and a saddle
JP2002235303A (ja) 張設された引張り部材、特にひかえケーブル橋用の斜めケーブルの組込み及び緊張のための方法並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アンカ装置
US201602084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post-tensioned concrete
EP3269894A1 (en) Encapsulated splice chuck
WO2011116828A1 (en) Sealing arrangement
US20160305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post-tensioned concrete
US20230125237A1 (en) Intermediate anchor assembly
US9315998B1 (en) Cable lock-off block for repairing a plurality of post-tensioned tendons
KR102292311B1 (ko) 이중튜브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시공방법
JPH0440506B2 (ko)
KR102319249B1 (ko) 강연선의 내부식성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특성이 향상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그라우팅 장치
KR20170090203A (ko) 케이블 정착구 및 그 설치방법
US11090885B2 (en) Apparatus for repairing a tension member
JP2001107507A (ja) Pc鋼材の定着部構造およびpc鋼材の定着部における緩衝材の注入方法
KR101582885B1 (ko) 자유장 구간이 강화된 유닛앵커
JP3602124B1 (ja) ケーブル保護および固定方法
EP3128094B1 (en) Anchoring system and method of coupling a tensioning member
JPH0472009B2 (ko)
CA3113299A1 (en) Intermediate anch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