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23A -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23A
KR20190035223A KR1020170124207A KR20170124207A KR20190035223A KR 20190035223 A KR20190035223 A KR 20190035223A KR 1020170124207 A KR1020170124207 A KR 1020170124207A KR 20170124207 A KR20170124207 A KR 20170124207A KR 20190035223 A KR20190035223 A KR 2019003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thentication
key
locking devi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192B1 (ko
Inventor
박경한
Original Assignee
박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한 filed Critical 박경한
Priority to KR102017012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1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7Tumbler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G07C9/0016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2009/0093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key cabi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서랍이나 금고와 같은 물품 보관함을 잠금하는 잠금 장치에 삽입되는 스마트 키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키에 대한 전기적인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스마트 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잠금 장치를 통한 물리적 인증을 수행하여 이중 인증 성공시에만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은 스마트 키에 저장된 디지털 기반 인증 정보에 따른 전자적 인증과 더불어 해당 스마트 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물리적 인증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 장치에 대한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Locking system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서랍이나 금고와 같은 물품 보관함을 잠금하는 잠금 장치에 삽입되는 스마트 키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키에 대한 전기적인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스마트 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잠금 장치를 통한 물리적 인증을 수행하여 이중 인증 성공시에만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서관, 사우나, 스포츠 센터 등과 같은 다양한 시설에서 사용자의 시설 이용 시간 동안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락커가 구비되어 있으며, 시설 운영자는 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락커 이용시 락커를 구성하는 임의의 물품 보관함에 대한 락커키를 지급하여 시설 이용 시간 동안 안전하게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락커는 락커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만 의존하여 잠금을 해제하므로, 락커 키의 복제만으로 락커의 잠금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락커의 보안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2775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고나 서랍과 같은 물품 보관함을 잠금하는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물리적 키가 구성되고 전기적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 키를 제공하여, 해당 스마트 키가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해 잠금 장치에 삽입시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한 전기적인 인증과 더불어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된 스마트 키의 키 구조물을 통한 물리적인 인증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이중 인증 성공시에만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잠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함에 구성된 잠금 장치와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되어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은,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를 구비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되는 물리적인 키 구조물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와, 상기 스마트 키의 키 구조물이 삽입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실린더가 구비된 키 뭉치부와,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키의 제 1 근거리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물을 통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마트 키의 근거리 통신부는 제 1 권선부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권선부와 인접시 상기 제 1 권선부와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상기 제 1 권선부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제 2 권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 모듈은 상기 제 1 권선부로부터 유도 전류를 제공받아 동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부를 통해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제 2 권선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도 전류를 축전하며, 상기 인증 모듈로 전원을 제공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뭉치부에 인접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 로드에 걸려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인증 정보의 확인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통해 상기 스토퍼 로드를 동작시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스토퍼 로드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키 구조물에 의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키 구조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와 같이 회전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센싱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은 스마트 키에 저장된 디지털 기반 인증 정보에 따른 전자적 인증과 더불어 해당 스마트 키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물리적 인증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 장치에 대한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품 보관함의 미 사용시에는 상기 물품 보관함에 구성된 잠금 장치에 상기 스마트 키가 항상 삽입된 상용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스마트 키의 축전부가 충분히 충전되어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잠금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 및 분실 방지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키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기반 인증 정보가 저장된 인증 모듈 및 물리적인 키 구조물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Smart Key)(2)와, 락커(Locker)(1000)를 구성하는 금고나 서랍 등과 같은 물품 보관함(10)에 마련되어 상기 물품 보관함을 선택적으로 잠금하는 잠금 장치(1) 및 상기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 장치(1)는 상기 물품 보관함(10)에서 개폐 가능한 개폐 구조물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 구조물의 일례로 상기 금고의 경우 도어(door)일 수 있으며, 상기 서랍의 경우 서랍 바디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스마트 키(2)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키(2)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키(2)의 전기적 인증 정보를 통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시에만 상기 물리적인 키 구조물을 통해 상기 잠금 장치(1)를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장치(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적 인증과 물리적 인증을 통한 이중 인증을 통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상기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키(2)는 디지털 기반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 모듈(22)과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21)가 내부에 구성되는 하우징부(20) 및 상기 하우징부(20)의 일측에 구성되어 고유 패턴을 가지는 물리적인 키 구조물(K)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장치(1)는 상기 스마트 키(2)의 제 1 근거리 통신부(21)와 상호 근거리 통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와, 상기 키 구조물(K)이 삽입되며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실린더(120)가 구비된(구성된) 키 뭉치부(100)와, 상기 키 뭉치부(100)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또는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200) 및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여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에 따른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에 대한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 장치(1)에는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에 따라 개폐 구조물을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 수단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20)는 실린더 구조물과 하나 이상의 다른 구조물로 구성되는 실린더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는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실린더(120)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로드(221)가 일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 로드(221)는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대한 전류 인가 여부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상기 솔레노이드부(200) 또는 상기 키 뭉치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어) 직선 이동(또는 전진 및 후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는 상기 제어 모듈(30)과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 및 제 2 근거리 통신부(11)는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는 상기 잠금 장치(1)에 구성되나 상기 제어 모듈(30)의 구성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는 걸림부(320)가 상기 센서부(300)의 일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320)의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대한 걸림에 따라 상기 센서부(300)와 연결된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실린더(1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키 구조물(K)로 상기 키 뭉치부(100) 또는 잠금 장치(1)를 잠금 해제할 수 있음에도 상기 걸림부(320) 및 스토퍼 로드(221)의 상호 걸림 상태에 의해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실린더(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가 잠금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대한 전류 인가시 스토퍼 로드(221)가 후방으로 이동(후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의한 상기 걸림부(320)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센서부(300)와 연결된 키 뭉치부(100)의 실린더(120)가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물리적인 잠금 해제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 위치에 따라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잠금 상태 관련 센싱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300)는 상기 키 뭉치부(100)의 일부에 구성되어 상기 키 구조물(K)의 삽입 여부에 따른 센싱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30)로 상기 키 구조물(K)의 삽입 여부와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대한 전류 미인가시 상기 스토퍼 로드(221)가 전방으로 이동(전진)되어 상기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장치(1)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31)와,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이용을 위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2)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33)와,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 보관함(10) 또는 잠금 장치(1)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 및 인증정보가 저장된 저장부(34)와, 상기 제어 모듈(3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36) 및 상기 제어 모듈(3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33) 및 표시부(32)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저장부(34)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모듈(3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36)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34)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4)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3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물품 보관함(10) 또는 잠금 장치(1)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를 상기 저장부(34)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3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대응되는 특정 잠금 장치(1)를 식별한 후 상기 전원부(35)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해당 특정 잠금 장치(1)의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하여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잠금 장치(1)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31)는 상기 제어부(36)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잠금 장치(1)별로 구성된 제 2 근거리 통신부(11)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유선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키(2)의 제 1 근거리 통신부(21)와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제 2 근거리 통신부(11)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모듈(22)과 통신하여 상기 인증 모듈(22)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를 상기 저장부(34) 또는 상기 제어부(36)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인증 모듈(22)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34)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특정 잠금 장치(1)를 식별하고, 식별된 해당 특정 잠금 장치(1)에 구성되는 솔레노이드부(200)에 상기 전원부(35)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전류를 인가하여 해당 솔레노이드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류가 인가된 솔레노이드부(200)의 스토퍼 로드(22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센서부(300)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이후(상기 특정 잠금 장치(1)가 잠금 해제에서 잠금으로 전환시) 미리 설정된 조건 만족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부(200)를 원래 상태로 복구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 따른 잠금 장치(1)의 구성에 대한 일례를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장치(1)는 물품 보관함인 서랍의 서랍 바디(10)에 마련되는 키뭉치부(100)와, 키뭉치부(100)에 결합 되는 솔레노이드부(200)와, 키뭉치부(100)에 마련되며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의 회전에 의해 키뭉치부(100)의 실린더(120)와 같이 회전되며 솔레노이드부(200)의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는 걸림부(320)를 구비한 센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키뭉치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의 삽입 장소로 제공되며 센서부(300)의 걸림부(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 키뭉치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뭉치(110)와, 키뭉치(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키뭉치(110)에 마련되는 실린더(120)와, 실린더(120)에 연결되어 실린더(120)와 같이 회전되며 일측부에 센서 바디(310)가 결합 되는 커넥터 회전체(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키 구조물(K)이 삽입되어 회전 및 잠금 되는 키뭉치(110)와 실린더(120)의 구조는 공지된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는 커넥터 회전체(130)의 결합을 위해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로드가 더 마련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실린더(120)에 마련되는 돌출된 로드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고, 커넥터 회전체(130)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끼워 맞춤 결합 되거나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 회전체(130) 및 상기 돌출된 로드는 상기 실린더(12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실린더(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에 의해 서랍 바디(10)에 결합 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예는 너트를 풀어 키뭉치(110)를 외부에서 교체할 수 있다.
키뭉치부(100)의 커넥터 회전체(130)는 일측부가 도 5에 도시된 실린더(120)의 돌출된 로드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넥터 회전체(130)의 타측부 외벽에는 나사산이 마련되고, 이 나사산에는 센서 바디(3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0)와 근접되게 커넥터 회전체(130)에 결합되어 센서부(3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막아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을 이중으로 잠그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솔레노이드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20)에 결합 되는 솔레노이드 바디(210)와, 상기 솔레노이드 바디(210)에 마련되며 직선 이동되는 스토퍼 로드(221)를 갖는 솔레노이드 부재(220)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부(200)의 솔레노이드 바디(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20)의 외벽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솔레노이드 바디(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있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바디(210)의 내벽에는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부(200)의 솔레노이드 부재(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바디(210)에 용접 또는 브래킷으로 결합 될 수 있고, 상측부에는 센서부(300)의 걸림부(320)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스토퍼 로드(221)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로드(221)는 스마트 키(2)에 구성된 키 구조물(K)의 회전에 의해 센서 바디(310)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센서부(30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부(320)를 홀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 로드(221)는 상기 제어 모듈(30)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부재(220)에 가해지는 전류에 의해 걸림부(320)의 방향으로 전후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센서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회전체(130)에 마련 되어 커넥터 회전체(130)와 같이 회전됨과 아울러 회전된 각도를 감지하며, 작동되는 스토퍼 로드(221)에 걸려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어 키뭉치부(100)와는 별도로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센서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회전체(130)에 결합 되어 실린더(120)와 같이 회전되는 센서 바디(310)와, 센서 바디(310)에 마련되어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는 걸림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320)는 스토퍼 바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300)의 센서 바디(310)는, 커넥터 회전체(130)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센서 바디(310)는 커넥터 회전체(13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센서 바디(310)는 커넥터 회전체(130)에 연결되어 있고, 커넥터 회전체(130)는 실린더(120)에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120)는 스마트 키(2)의 키 구조물(K)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당 키 구조물(K)을 회전시키면 센서 바디(310)도 같이 회전된다.
이러한 키 구조물(K)의 회전은 센서 바디(310)에서 감지되고, 센서 바디(310)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솔레노이드 부재(220)는 스토퍼 로드(221)를 전진시켜 일정 방향으로 회전된 걸림부(3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홀딩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센서 바디(310)는 리미트 스위치,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센서부(300)는 센서 바디(310) 자체의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 모듈(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의 이중 인증 방식을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키(2)가 상기 잠금 장치(1)의 키 뭉치부(100)에 삽입되거나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제 2 근거리 통신부(11)의 근거리 통신 범위 내에 접근시 상기 잠금 장치(1)에 구성된 제 2 근거리 통신부(11)와 상기 스마트 키(2)의 제 1 근거리 통신부(21)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모듈(22)은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와 연동하여(연결되어)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 및 제 2 근거리 통신부(11)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30)로 상기 인증 모듈(22)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스마트 키(2)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와 상기 스마트 키(2)에 대응되는 물품 보관함(10) 또는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30)에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물품 보관함(10) 또는 잠금 장치(1)와 각각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정보가 상기 제어 모듈(3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정보 및 인증정보는 하나의 인증 테이블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테이블이 상기 제어 모듈(30)의 제어부(36) 또는 저장부(34)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서랍으로 구성된 서랍함의 경우 상기 물품 보관함(10)에 해당되는 상기 개별 서랍마다 상기 잠금 장치(1)가 구성될 수 있으며, 개별 서랍마다 매칭되는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 및 스마트 키(2)의 인증정보가 상기 인증 테이블에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30)의 제어부(36)는 제 2 근거리 통신부(11)를 통해 상기 인증 모듈(22)로부터 인증 정보 수신시 상기 인증 테이블과 비교하여, 상기 인증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물품 보관함(10) 또는 특정 잠금 장치(1)의 식별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인증 테이블의 인증정보와 상기 인증 모듈(22)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인증 성공시 해당 인증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상기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구성되는 특정 잠금 장치(1)의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솔레노이드부(200)에 구성된 스토퍼 로드(2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를 통해 상기 특정 잠금 장치(1)는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센서부(300)에 구성된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지 않는 걸림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키(2)의 키 구조물(K)이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키 뭉치부(100)에 삽입되어 상기 키 뭉치부(100)에 구성된 실린더 내부의 패턴과 상기 키 구조물(K)의 패턴이 일치하여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해 상기 키 뭉치부(100)의 실린더(12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300)의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지 않고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가 잠금에서 잠금 해제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은 스마트 키(2)에 저장된 디지털 기반 인증 정보에 따른 전자적 인증과 더불어 해당 스마트 키(2)의 물리적인 키 구조에 따른 물리적 인증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수행하여 잠금 장치(1)에 대한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키(2)의 하우징부(20)에 구성되는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는 코일 기반의 권선으로 구성되는 제 1 권선부(2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장치(1)의 키 뭉치부(100)와 인접하여 코일 기반의 권선으로 구성되는 제 2 권선부(11)가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11)로서 상기 잠금 장치(1)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30)의 제어부(36)는 상기 제 2 권선부(11)로 상기 제어 모듈(30)의 전원부(35)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전류를 인가하며, 상기 스마트 키(2)가 상기 잠금 장치(1)의 키 뭉치부(100)에 삽입시 전류가 인가된 상기 제 2 권선부(11)와 제 1 권선부(21) 사이의 전자기 유도에 따라 상기 제 1 권선부(21)는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모듈(22)로 동작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잠금 장치(1)의 센서부(3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스마트 키(2)가 상기 잠금 장치(1)에 삽입시 상기 잠금 장치(1)의 제 2 권선부(11)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상기 센서부(30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모듈(22)은 상기 동작 전류를 기반으로 동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부의 전자기 유도에 따른 제 1 권선부(21) 및 제 2 권선부 사이의 비접촉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30)로 상기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권선부(11)와 전자기 유도에 따른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 1 권선부(2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유도 전류를 축전하고, 축전된 축전 전류를 상기 인증 모듈(22)에 동작 전류로 제공하는 축전부(25)가 상기 스마트 키(2)의 하우징부(20)에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증 모듈(22)은 상기 축전부(25)를 통해 제공되는 동작 전류(또는 축전 전류)를 기초로 동작하여 상기 스마트 키(2)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를 통해 상호 근거리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키(2)는 상기 하우징부(20)에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24)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두절시 상기 출력부(24)를 통해 미리 설정된 경고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키(2)는 상기 잠금 장치(1)에 체결된(삽입된) 상태인 경우 상기 축전부(25)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키(2)가 상기 잠금 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축전부(25)에 축전된 축전 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키(2)의 분실 방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미 사용시에는 상기 물품 보관함(10)에 구성된 잠금 장치(1)에 상기 스마트 키(2)가 항상 삽입된 상용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스마트 키(2)의 축전부(25)가 충분히 충전되어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잠금 장치(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및 분실 방지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키의 분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 모듈(30)은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이용을 위한 요금을 수령하여 이용 요금의 수령(수납)시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사용을 허가하는 키오스크(KIOSK)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 모듈(30)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을 인식하여 결제 수단 정보를 생성하는 결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각 잠금 장치(1)의 상기 스토퍼 로드(22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의해 걸려 상기 각 잠금 장치(1)의 실린더(120)가 모두 스마트 키(2)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이용을 위해 상기 결제 수단이 상기 결제부를 통해 투입되어 상기 결제부로부터 수신되는 결제 수단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물품 보관함(10)의 이용 요금이 수령(수납)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물품 보관함(10)에 대응되는 특정 잠금 장치(1)를 식별한 후 상기 전원부(35)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해당 특정 잠금 장치(1)의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하여 동작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키 구조물(K)에 의한 잠금 장치(1)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특정 잠금 장치(1)에 삽입된 스마트 키(2)를 회전시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로 전환하고, 물품 보관함(10)의 개폐 구조물을 개방한 후 물품을 넣어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센서부(30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잠금 장치(1)가 잠금 해제된 이후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다시 잠금 상태가 잠금으로 전환된 전환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또는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모듈(22)과의 근거리 통신(비접촉 통신)이 두절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의 스토퍼 로드(221)가 전방으로 직진 이동하여 상기 걸림부(320)가 상기 스토퍼 로드(221)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사용자가 물품 보관함의 사용을 종료하기 위해 스마트 키(2)를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에 삽입하여 상기 스마트 키(2)의 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스토퍼 로드(221)가 후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 성공시 사용자에 의한 물품 보관함의 사용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따른 인증 성공 이후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특정 잠금 장치(1)의 잠금 상태가 잠금으로 전환된 경우 상기 결제부를 통한 결제 완료 여부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20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1: 잠금 장치 2: 스마트 키
30: 제어 모듈

Claims (5)

  1. 물품 보관함에 구성된 잠금 장치와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되어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정보가 저장된 인증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제 1 근거리 통신부를 구비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잠금 장치에 삽입되는 물리적인 키 구조물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
    상기 스마트 키의 키 구조물이 삽입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가변하는 실린더가 구비된 키 뭉치부와,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 및
    상기 스마트 키의 제 1 근거리 통신부와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동작시켜 상기 키 구조물을 통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의 근거리 통신부는 제 1 권선부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권선부와 인접시 상기 제 1 권선부와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상기 제 1 권선부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제 2 권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키의 인증 모듈은 상기 제 1 권선부로부터 유도 전류를 제공받아 동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부를 통해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물품 보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제 2 권선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도 전류를 축전하며, 상기 인증 모듈로 전원을 제공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솔레노이드부는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 뭉치부에 인접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 로드에 걸려 상기 키 뭉치부에 구성된 상기 실린더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인증 정보의 확인에 따른 인증 성공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통해 상기 스토퍼 로드를 동작시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스토퍼 로드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키 구조물에 의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 구조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와 같이 회전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 센싱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센서부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잠금 장치의 잠금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KR1020170124207A 2017-09-26 2017-09-26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KR102061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7A KR102061192B1 (ko) 2017-09-26 2017-09-26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7A KR102061192B1 (ko) 2017-09-26 2017-09-26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23A true KR20190035223A (ko) 2019-04-03
KR102061192B1 KR102061192B1 (ko) 2019-12-31

Family

ID=6616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07A KR102061192B1 (ko) 2017-09-26 2017-09-26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1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75Y1 (ko) 2007-04-03 2008-12-11 주식회사 아이토프 사물함용 도어락의 이중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279B1 (ko) * 2013-10-30 2014-03-20 주식회사 엔코아링크 지상 설비 외함의 전자 보안 잠금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75Y1 (ko) 2007-04-03 2008-12-11 주식회사 아이토프 사물함용 도어락의 이중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192B1 (ko)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3307B2 (ja) ロッキング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ロ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管状金庫
US8774714B2 (en)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for a lock comprising NFC-typ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ans
CN105378195A (zh) 用于与电子钥匙一起使用的商品安全装置
US20030217574A1 (en) Lock device for a do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lock device
JP2010264847A (ja) 電動車両
WO201201414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lock system
CN204590839U (zh) 非联动串联式两级防护安全锁
KR20190080145A (ko) 스마트 키를 이용한 물품 보관 시스템
US9305414B2 (en) Safe unlocking machine
CN105386679B (zh) 安全保险柜
KR101574891B1 (ko) 스마트 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101966757B1 (ko)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물품 보관 시스템
KR20190035223A (ko) 이중 인증을 지원하는 잠금 시스템
JP2016020606A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190039047A (ko)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물품 보관 시스템
KR20170119159A (ko) 전자석을 이용한 무인 사물함의 도어락 장치
KR102008976B1 (ko)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잠금 시스템
KR102340379B1 (ko)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이중 발전을 이용하는 잠금 장치
JP2020033807A (ja) 貸金庫用保護箱の施解錠装置
ITMI20070912A1 (it) Blocco per cassette di sicurezza, procedimento per il funzionamento di un blocco per cassette di sicurezza, sistema con un blocco per cassette di sicurezza e procedimento per il funzionamento del sistema.
KR20180008973A (ko) 차량용 트레이 장치
KR20200139303A (ko)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물품 보관 시스템
KR102127698B1 (ko) 이중 발전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잠금 장치
JP2008138515A (ja) 認証方法及び認証装置
KR101149303B1 (ko) 인출회전형 부스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