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155A -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155A
KR20190035155A KR1020170124051A KR20170124051A KR20190035155A KR 20190035155 A KR20190035155 A KR 20190035155A KR 1020170124051 A KR1020170124051 A KR 1020170124051A KR 20170124051 A KR20170124051 A KR 20170124051A KR 20190035155 A KR20190035155 A KR 20190035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alesperson
vehicle management
app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표
Original Assignee
(주)앱젯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앱젯 filed Critical (주)앱젯
Priority to KR102017012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155A/ko
Publication of KR20190035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8Military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은 차량관제 앱을 다운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관제 앱에서 영업사원으로부터 입력된 출근, 퇴근, 차량운행 및 차량운행 정지 중 하나의 영업활동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업활동 정보로 법인 리스 차량, 법인 렌트 차량, 쏘카 차량 중 하나의 대상차량에 탑승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보고받아 관리하는 차량관제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salesperson based on Applic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업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기기없이 영업사원이 스마트폰의 차량관리 앱에서 영업활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실시간 보고받을 수 있어 영업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관제 시스템은 차량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차량용 단말기로부터 차량데이터를 획득하여 수집하고, 이 차량데이터로 차량을 관리하고 통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5429호(특허문헌 1)에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으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정보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 상기 영상정보에서 인식된 상기 차량번호에 상응하는 차량이 이동체가 아닌 경우 상기 차량을 주정차 차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정차 차량의 불법 주정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정차 단속모듈; 및 상기 영상정보에서 인식된 상기 차량번호에 상응하는 차량이 이동체인 경우 상기 차량을 주행차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수단 중 특정 영상획득 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정보에서 기준시간 내에 상기 주행차량의 차량번호가 기준횟수 이상 인식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차량이 의심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주행차량 감시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통합관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차량 통합관제 시스템은 불법 주정차 단속 및 주행차량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주정차 단속 및 주행차량 감시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1547호(특허문헌 2)에는 차량 운행에 필요한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하기 통합 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말기와, OB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주행정보를 수집하여 단거리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OBD 전송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별로 저장하고 각 차량의 운행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제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통합관제 시스템은 인터넷 접속된 단말기에 웹사이트를 통해 요청 차량의 위치, 주행정보, 주행일지, 지역 날씨 계절을 포함하는 차량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된 주행일지 정보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주행일지 처리부와, 상기 단말기 및 지역 날씨 계절의 데이터 백업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단말기 및 OBD 전송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처리하는 제 3 외부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웹사이트 처리부는 시간대별로, 지역별로, 위치별로 주행정보, 촬영영상, 대기시간 및 위치 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지도보기를 통해 지도와 결합된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주행위치를 추적하고, 1일간의 전체차량 운행기록 및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은 OBD-II 모듈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차량운행 정보 수집장치를 동작시켜 차량 운행정보, 차량단말 및 차량 운행이력을 수집하고 외부 서버에서 수집된 차량 운행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의 차량관제 단말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영업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차량관제 시스템이 전무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영업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모든 힘을 기울였다.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5429호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15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영업활동을 실시간 보고받을 수 있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은, 차량관제 앱을 다운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관제 앱에서 영업사원으로부터 입력된 출근, 퇴근, 차량운행 및 차량운행 정지 중 하나의 영업활동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업활동 정보로 법인 리스 차량, 법인 렌트 차량, 쏘카 차량 중 하나의 대상차량에 탑승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보고받아 관리하는 차량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관리 앱에 영업사원이 영업을 위한 미팅 전,후 간단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보고서 작성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차량관리 앱은 상기 스마트폰의 GPS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 상기 차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차량관리 앱에 주유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주유금액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차량관리 앱에 주유영수증, 식대영수증, 물품 구매영수증 중 하나의 영수증의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할 수 있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차량관제서버로부터 차량관리 앱이 설치된 후, 상기 차량관리 앱의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에서 촬영된 상기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의 이미지가 상기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차량관제서버가 전송된 상기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며,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가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관제서버는 상기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아 영업사원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a) 영업사원의 스마트폰에 차량관리 앱이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차량관리 앱의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에서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의 차량관리 앱은 촬영된 상기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의 이미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차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차량관제서버는 전송된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단계;
e)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가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관제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아 영업사원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대상차량은 영업사원이 영업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회사로부터 배정받은 법인 리스 차량, 법인 렌트 차량, 쏘카 차량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업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기기없이 영업사원이 스마트폰의 차량관리 앱에서 영업활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고, 이를 기록으로 저장함으로써 영업관리에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관리효율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가의 차량관제 단말장치가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영업사원의 측면에서는 간단히 앱만 구동시켜 영업활동을 보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차량관리 앱의 보고서 작성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과 차량관제서버 간의 통신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된 정보로 차량관제서버가 기록한 영업사원의 영업활동 리스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구동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부연해 두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구성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바, 하기 실시예는 청구범위에 있는 구성을 구현하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것임을 밝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차량관리 앱의 보고서 작성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과 차량관제서버 간의 통신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은 스마트폰(110,111,112) 및 차량관제서버(12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10,111,112)에는 차량관리 앱이 설치된다. 차량관리 앱은 법인 리스 차량, 법인 렌트 차량, 쏘카 차량 중 하나의 대상차량에 탑승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영업사원들의 스마트폰(110,111,112)에 설치된다.
즉, 영업사원들이 영업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차량을 회사로부터 배정받은 경우 영업사원은 차량관제서버(120)로부터 차량관리 앱을 다운받아 자신의 스마트폰(110,111,112)에 탑재시킨다.
대상차량을 가지고 영업활동을 하는 영업사원은 출근, 퇴근, 차량운행 및 차량운행 정지 중 하나의 영업활동 정보를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된 영업활동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되고, 차량관제서버(120)는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된 영업활동 정보를 전송받아 대상차량에 가지고 영업활동을 하는 영업사원으로부터 영업활동을 보고받고 이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된 출근, 퇴근의 영업활동 정보로는 영업사원의 근무시간을 관리할 수 있고,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된 차량운행 및 차량운행 정지의 영업활동 정보로는 대상차량의 차량 이용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은 영업사원이 대상차량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외근업무를 정확히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영업사원이 다수이면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는 스마트폰도 다수가 된다.
그리고, 차량관리 앱은 도 2와 같이, 보고서 작성창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보고서 작성창은 영업사원이 영업을 위한 미팅 전,후 간단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된 보고서는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되어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에 대한 보고를 실시간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차량관리 앱은 스마트폰의 GPS를 통하여 현재 위치(경도, 위도, 고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 위치를 실시간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됨으로써, 차량관제서버에서는 영업사원의 현재 위치 및 영업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관리 앱은 카카오맵, T맵과 같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네비게이션 어플과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차량관리 앱이 동작중에 네비게이션 어플 접속을 쉽게하고, 네비게이션 어플이 활성화되더라도 차량관리 앱의 동작이 오프(OFF)되지 않도록, 차량관리 앱에 '카카오맵'의 접속단자, 'T맵'의 접속단자를 마련하여, 영업사원이 네비게이션 어플이 필요한 경우 차량관리 앱에 쉽게 클릭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차량관리 앱에는 주유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주유금액 입력창이 마련될 수 있고, 영업사원이 대상차량에 주유를 한 후, 차량관리 앱의 주유금액 입력창에서 주유금액을 입력하면, 입력된 주유금액은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되어, 차량관제서버에서는 주유금액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차량관리 앱에는 주유영수증, 식대영수증, 물품 구매영수증 등 각종 영수증의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할 수 있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차량관리 앱에 '영수증 촬영'이란 버튼을 마련하고, 이 '영수증 촬영' 버튼을 영업사원이 클릭하면, 스마트폰의 카메라로 영수증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드가 된다.
이때, 영업사원이 영수증을 촬영하면, 영수증의 문자와 숫자가 데이터로 변환되어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됨으로, 영업사원은 영수증을 보관할 필요없고, 차량관제서버는 실시간으로 영업사원의 영수증을 받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차량관리 앱은 인증 기능을 구비될 수 있다.
즉, 영업사원들에게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법인 리스 차량, 법인 렌트 차량, 쏘카 차량 중 하나의 대상차량이 할당된 후, 영업사원은 자신의 스마트폰에 차량관리 앱을 설치한다.
여기서, 스마트폰에 차량관제서버로부터 차량관리 앱이 설치된 후, 영업사원은 차량관리 앱의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에서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한다.
이와 같이, 촬영된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의 이미지는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되고, 차량관제서버는 전송된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번호가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한다.
검출된 차량번호가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 경우,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가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관제서버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아 영업사원을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최초 설치된 차량관리 앱의 대부분의 기능을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하고,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만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만 활성화되고 모든 기능이 비활성되는 차량관리 앱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에 차량관제서버로부터 차량관리 앱이 설치된 후, 영업사원은 차량관리 앱의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에서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한 경우, 촬영된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의 이미지를 차량관제서버로 전송하고, 차량관제서버는 전송된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번호가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한다.
검출된 차량번호가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 경우,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가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마트폰으로 차량관리 앱의 대부분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키를 전송하여 차량관리 앱의 대부분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로써, 모든 기능이 활성화된 차량관리 앱에서 영업사원은 자신의 영업활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차량관리 앱은 입력된 정보를 차량관제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폰으로부터 촬영된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의 이미지가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되면, 차량관제서버는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를 식별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전화번호가 차량관제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영업사원의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검출된 전화번호가 차량관제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영업사원의 전화번호인 경우에만, 전술된 차량관제서버는 전송된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번호가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관리 앱은 영업사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회사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것이므로, 이 회사들의 로고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은 영업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기기없이 영업사원이 스마트폰의 차량관리 앱에서 영업활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고, 이를 기록으로 저장함으로써 영업관리에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고 관리효율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업사원의 측면에서는 간단히 앱만 구동시켜 영업활동을 보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된 정보로 차량관제서버가 기록한 영업사원의 영업활동 리스트이다.
본 발명의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은 영업사원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에서 활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에서는 영업사원들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을 통하여 영업활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 정보가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되고, 차량관제서버는 전송된 정보로 영업사원을 관리한다.
이때, 영업사원 A,B,C,D에 배정된 영업차량과 차량번호 및 영업사원 A,B,C,D의 전화번호는 차량관제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영업활동 리스트로 기록되어 있다.
차량관제서버는 스마트폰의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된 출근, 퇴근, 차량운행 및 차량운행 정지 중 하나의 영업활동 정보를 전송받는다.
차량관리 앱에는 출근, 퇴근, 차량운행 및 차량운행 정지에 해당하는 버튼이 마련되어 있고, 이 버튼을 영업사원이 클릭하여 자신의 영업활동 정보를 입력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근 및 퇴근은 버튼이 클릭된 시간이 차량관제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영업활동 리스트에 기록되고, 차량운행 및 차량운행 정지가 클릭되었을 때, 영업활동 리스트에 'ON'이라 기록된다.
그리고, 간단한 보고 내용이 영업활동 리스트의 보고서에 기록되고, 스마트폰의 GPS를 통하여 검출된 영업사원의 현재 위치가 기록되며, 또, 영업사원이 차량관리 앱에서 입력한 주유금액도 영업활동 리스트의 보고서에 기록된다.
또한, OCR 기능에 의한 영수증도 영업활동 리스트의 보고서에 기록되어지나, 주유영수증, 식대영수증, 물품 구매영수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영수증의 타이틀이 기록되고, 그 타이틀을 클릭하면 세부적인 영수증의 내역이 OCR 기능에 의한 문자 및 숫자로 기록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영업사원을 관리하기 위한 영업활동 리스트를 관리자가 모바일(스마트폰)에서 보고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차량관리 앱에 관리자 모드가 부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구동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먼저, 영업사원의 스마트폰에 차량관리 앱이 설치(S100)하고, 상기 차량관리 앱의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에서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한다(S110).
그후, 상기 스마트폰의 차량관리 앱은 촬영된 상기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의 이미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차량관제서버로 전송하고(S120), 상기 차량관제서버는 전송된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한다(S130).
이어서,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한다(S140).
여기서,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라는 것은 영업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회사로부터 배정받은 법인 리스 차량, 법인 렌트 차량, 쏘카 차량 중 하나의 대상차량의 차량번호이다.
계속,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가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관제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아 영업사원을 관리한다(S15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10,111,112: 스마트폰 120: 차량관제 서버

Claims (8)

  1. 차량관제 앱을 다운받아 저장하고 상기 차량관제 앱에서 영업사원으로부터 입력된 출근, 퇴근, 차량운행 및 차량운행 정지 중 하나의 영업활동 정보를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업활동 정보로 법인 리스 차량, 법인 렌트 차량, 쏘카 차량 중 하나의 대상차량에 탑승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보고받아 관리하는 차량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앱에 영업사원이 영업을 위한 미팅 전,후 간단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는 보고서 작성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앱은 상기 스마트폰의 GPS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현재 위치를 실시간 상기 차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앱에 주유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주유금액 입력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앱에 주유영수증, 식대영수증, 물품 구매영수증 중 하나의 영수증의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할 수 있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상기 차량관제서버로부터 차량관리 앱이 설치된 후, 상기 차량관리 앱의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에서 촬영된 상기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의 이미지가 상기 차량관제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차량관제서버가 전송된 상기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며,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가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관제서버는 상기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아 영업사원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7. a) 영업사원의 스마트폰에 차량관리 앱이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차량관리 앱의 차량번호판 촬영 모드에서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의 차량관리 앱은 촬영된 상기 대상차량의 차량번호판의 이미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차량관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차량관제서버는 전송된 차량번호판의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단계;
    e)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검출된 상기 차량번호가 차량관제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번호 중 하나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가 적법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관제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관리 앱에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아 영업사원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구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차량은 영업사원이 영업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회사로부터 배정받은 법인 리스 차량, 법인 렌트 차량, 쏘카 차량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70124051A 2017-09-26 2017-09-26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90035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51A KR20190035155A (ko) 2017-09-26 2017-09-26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51A KR20190035155A (ko) 2017-09-26 2017-09-26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55A true KR20190035155A (ko) 2019-04-03

Family

ID=6616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051A KR20190035155A (ko) 2017-09-26 2017-09-26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1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348B1 (ko) * 2019-10-14 2020-06-01 주식회사 뮤엠소프트 렌트카 직원 스케줄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429B1 (ko) 2012-11-29 2013-11-29 우승한 차량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11547B1 (ko) 2013-12-13 2016-04-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429B1 (ko) 2012-11-29 2013-11-29 우승한 차량 통합관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11547B1 (ko) 2013-12-13 2016-04-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348B1 (ko) * 2019-10-14 2020-06-01 주식회사 뮤엠소프트 렌트카 직원 스케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4585A1 (en) Automatic Claim Generation
US10225688B2 (en) Geospatial asset tracking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anipulating and presenting telematic metadata
US7761062B2 (en) Automatically managing rental vehicles
US8928483B2 (en) Automated attendance tracking and event notification
US20130218931A1 (en) Virtual badge, device and method
US20130048720A1 (en) Virtual badge, device and method
US20060208087A1 (en) Moveable object accountability system
US20150221140A1 (en) Parking and tollgate payment processing based on vehicle remote identification
US10535021B2 (en) Application-based commercial groun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CN107113546A (zh) 基于检测到的用户的车辆使用和性能限制
CA3020431A1 (en) Vehicle parking authorization assurance system
CN101657697A (zh) 对点地址产生参考地理编码的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CA2681069A1 (en) A method for location determination and a mobile device
WO2013188762A1 (en) Gps pathfinder cell phone and method
CN105139639A (zh) 出租车智慧终端
KR20190035155A (ko) 앱기반 영업사원 관리용 차량관제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205671B1 (ko) 지능형 골프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106743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tracking and monitoring within a secured area
KR102593775B1 (ko)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AU2019203767B2 (en) Security system
KR102272489B1 (ko) 입력창 커서 깜박임 분석을 통한 운전중 스마트폰 감시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그를 포함하는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증거 수집 시스템
CN106530793A (zh) 一种寻车方法和寻车系统
WO2020095150A1 (en) Payment notification and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in particular for fines in violation of the rules of the road
Phillips Locational surveillance: embracing the patterns of our lives
KR20160026625A (ko) 대중교통 안전이용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