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641A -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641A
KR20190034641A KR1020197006289A KR20197006289A KR20190034641A KR 20190034641 A KR20190034641 A KR 20190034641A KR 1020197006289 A KR1020197006289 A KR 1020197006289A KR 20197006289 A KR20197006289 A KR 20197006289A KR 20190034641 A KR20190034641 A KR 20190034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plug member
socket
plug
retain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268B1 (ko
Inventor
롤란트 클라인
오이겐 하인리히
Original Assignee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6009168.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6009168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6015682.1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6015682A1/d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filed Critical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3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소켓 부재(3)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2)를 포함하는 터미널 커넥터(connector)(1)를 위한 유지 요소(holding element)(4)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부재(2)는 상기 소켓 부재(3)의 소켓부(socket portion)(31) 내부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유지 요소(4)는 상기 플러그 부재(2)를 상기 소켓 부재(3) 내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부재(2) 상에 끼워지거나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유지 요소(4)는 유지 요소 몸체(44), 상기 유지 요소(4)에 대하여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latching lugs)(41)을 가진 유지 아암들(holding arms)(43), 상기 유지 요소(4)에 대하여 외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을 가진 유지 아암들, 및 축방향으로 양측 단부에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인 에지(47)를 가진다. 상기 유지 아암들(43) 각각은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 단부(free end)와, 상기 유지 요소 몸체에 고정된 반대쪽 단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소켓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를 위한 유지 요소(holding element)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의 소켓부 내부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유지 요소는 플러그 부재를 소켓 부재 내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부재 상에 끼워지거나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유지 요소는 유지 요소 몸체와, 유지 요소에 대하여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latching lugs)을 가진 유지 아암들과, 유지 요소에 대하여 외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을 가진 유지 아암들과, 축방향으로 양측 단부들에서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인 에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소켓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는, 특히 호스 라인들 및/또는 파이프라인들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의 소켓부 내부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가 플러그 부재를 소켓 부재 내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종래 기술에서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를 가진 매우 다양한 커넥터들이 알려져 있다. 플러그 부재를 소켓 부재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이러한 목적의 유지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지 요소들의 매우 다양한 형태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EP 0 999 398 B1에 따르면, 호스 라인들 및/또는 파이프라인들을 위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소켓 부재와 플러그 부재로 구성되며,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의 수용 개구 내부로 삽입되는 플러그 샤프트를 가진다. 삽입된 플러그 부재는 주변 밀봉재(peripheral seal)에 의해 소켓 부재에 대하여 밀봉되며, 잠금 장치에 의해 빠져나오지 않도록 잠긴다. 소켓 부재의 내부에는 삽입된 플러그 샤프트 내부에 축방향으로 맞물리는 중공-실린더형 플러그-인 핀이 배치된다. 잠금 장치는 플러그 부재의 적어도 두 개의 정반대쪽의 걸림 아암들(latching arms)로 구성되며, 이들은 플러그 축에 대략 평행한 해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축방향으로 탄성적이며, 걸림 아암들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 소켓 부재의 수용 개구에 형성된 언더컷 표면 뒤에 인터로킹(interlocking) 방식으로 맞물린다. 잠금 장치는 플러그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DE 86 04 217 U1으로부터, 압력-매체 라인을 위한, 특히 연결 브레이크 라인들을 브레이크 밸브 몸체(brake valve body)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 커넥터가 알려져 있으며, 이 플러그-인 커넥터는 하우징과 플러그로 구성되고, 플러그는 관통-개구를 가지며 하우징의 연결 구멍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샤프트를 가진다. 플러그는 유지 요소에 의해 이동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유지되며, 플러그 샤프트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주변 밀봉재에 의해 밀봉된다. 플러그는 인터로킹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에 의해 하우징에 대한 회전에 대하여 고정된다. 인터로킹 연결은 플러그 샤프트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그곳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의 걸림 요소들로 구성되며, 걸림 요소들은, 플러그의 삽입 상태에서, 하우징 내의 개구 내부에 걸리며, 걸림 요소들은 걸림 설형부들(latching tongues)로 구성된다. 유지 요소는 총검식 장착부(bayonet catch)로 구성되며, 이는 플러그 샤프트에 배치된 잠금 슬리브와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EP 2 224 156 A2는 매체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를 개시하며, 이는 커넥터 상대-부재의 수용 개구 내부로 밀봉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샤프트를 가지며 빠져나오지 않도록 걸림 방식으로 커넥터 상대-부품(counter-part)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잠길 수 있는 플러그 부재를 포함한다. 걸림 수단(latching means)은 플러그 부재의 적어도 두 개의 걸림 아암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삽입 축에 대략 평행한 해제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아암들 각각은 인터로킹 또는 마찰-기반 방식으로 커넥터 상대-부품의 수용 개구 내부의 걸림 단차(latching step) 뒤에 맞물린다. 플러그 부재는 걸림 아암들과 통합된 단일체 형상의 부재의 형태이다. 또한, 걸림 수단은 삽입 및 해제 방향으로 상이한 힘들이 극복되도록 구성된다. 분해는, 커넥터 상대-부품으로부터 돌출되고 플러그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된 걸림 아암들의 단부들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EP 1 106 896 B1은 압력-매체 라인용 플러그-인 커넥터를 개시하며, 이는 하우징 부재와 플러그 부재로 구성된다. 플러그 부재는 그 플러그 샤프트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하우징 부재의 수용 개구 내부로 삽입되며,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유지 수단을 가진 별도의 유지 요소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차단된다. 이는 유지 요소는, 차단 위치에서, 유지 수단에 의해 수용 개구 내의 내측 환형 단차(inner annular step)와 플러그 샤프트의 외측 환형 단차 사이에 안착되며, 유지 수단이 고정 위치에서 반경 방향 해제 움직임에 대하여 차단되고 해제 위치에서 반경 방향 해제 움직임을 위해 해제되도록, 유지 요소는 고정 위치와 해제 위치(freeing position)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플러그 샤프트 상에 안착된다. 해제 또는 리프팅 공구를 유지 요소에 맞물리게 하여 축방향 리프팅(lifting) 이동시킴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축방향으로 일어난다. 유지 요소 외에, 스프링 요소의 제공은 원하는 차단을 허용하는데 필요하다.
WO 2015/058857 A2로부터, 소켓 부재와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며,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의 수용 개구 내로 삽입되고, 소켓 부재 내의 플러그 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요소가 제공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유지 요소와 플러그 부재는 2-부품의 형태이며, 유지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고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에 계류되어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유지 요소는 외측 표면에 돌출형 유지 러그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을 가지며, 유지 아암은 플러그 부재의 삽입 축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유지 러그를 소켓 부재의 걸림 표면에 걸거나 또는 해제하기 위해 플러그 부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유지 요소를 가진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유지 요소에 해제 공구의 안내된 맞물림을 위해, 안내 표면들 또는 안내 부분들이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여 유지 요소 몸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유지 요소와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커넥터를, 특히 압력 매체가 커넥터를 통해 지나갈 때 이러한 커넥터를 더욱 신뢰성 있도록 만들기 위해, 커넥터의 소켓 부재와 플러그 부재의 걸림 상태가 더 양호하게 확보될 수 있는 방식으로 더욱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유지 아암들이 각각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 단부와 유지 요소 몸체에 고정된 반대쪽 단부를 가진다는 점에서,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유지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8항의 특징들을 가진 커넥터에서 추가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선은 종속항들 내에 정의된다.
이에 따라, 유지 요소(holding element)와 커넥터(connector)가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는 서로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부재는 상기 소켓 부재의, 수용 개구를 가진, 소켓부(socket portion)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는 상기 플러그 부재와 통합되거나 또는 상기 플러그 부재에 연결되며, 특히 플러그 부재 상에 끼워진다.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 상에 억류 방식(captive manner)으로 장착된다. 상기 유지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고, 외측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걸림 러그(latching lug)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holding arm)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은 자유 단부(free end)와, 유지 요소 몸체, 즉 상기 유지 요소의 몸체에 고정된 단부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 부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지 아암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 러그를 상기 소켓 부재의 걸림 표면 또는 걸림 개구(latching opening)에 걸거나 또는 걸림 위치로부터 다시 해제할 수 있다. 해제를 위해 추가적인 공구가 요구되지 않으며, 대신에, 유지 아암 상의 작동 요소를 작동시킴으로써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부재는 한편으로는 단일체형 플러그 부재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유지 아암들은 상기 플러그 부재의 몸체 상에 직접 배치되고, 특히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분리된 유지 요소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 상에 축방향으로 장착하거나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상기 플러그 부재와 유지 요소는 다수-부품이다.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유지 요소에 대하여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을 가진 유지 아암들과 외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을 가진 유지 아암들을 가진다. 상기 유지 요소 상의 외측 및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의 조합과 작용은 분실-방지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유지 요소를 한편으로는 플러그 부재 상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소켓 부재 상에 잠그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은 외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과 동일한 힘을 흡수한다.
상기 플러그 부재와 유지 요소의 2-부품 구성의 경우에, 조립 상태에서 작동 중에 플러그 부재와 유지 요소가 의도하지 않게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방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상기 플러그 부재는 이러한 회전-방지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한 부분에서 외측면이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소켓 부재가 플러그 부재에 대해 원하는 방향 및 위치로 플러그 부재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오직 소켓 부재만 또는 소켓 부재도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 수단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소켓 부재는 회전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및/또는 성형부(shaping)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플러그 부재 및/또는 플러그 부재에 장착되거나 플러그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유지 요소는 대응되는 상대-표면(counter-surface)을 가짐으로써, 소켓 부재와 플러그 부재, 또는 유지 요소의 접촉된 표면들은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플러그 부재 또는 유지 요소 상의, 플러그 부재 상의 또는 플러그 부재의 상보적인 요소, 또는 홈, 절개부 또는 리세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소켓 부재 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요소와 인터록(interlock)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 부재에 대한 소켓 부재의 회전-방지 수단 및/또는 위치결정 보조부(positioning aid)를 형성한다. 더욱이, 소켓 부재는 홈, 절개부(cut-out) 또는 리세스 또는 대응되는 언더컷(undercut)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내부에 플러그 부재 또는 유지 요소의 대응되게 돌출된 요소가 맞물려 회전-방지 수단 및/또는 위치결정 보조부를 형성한다.
플러그 부재, 특히 유지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는, 커넥터 내부에 압력이 있을 때, 유지 요소와 협력하여 유지 요소가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잠금(pressure locking)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압력 잠금장치가 제공된 때,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소켓 부재를 가지며,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의 소켓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가 플러그 부재를 소켓 부재 내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고, 플러그 부재는 유지 요를 구비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압력 잠금장치는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 특히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융기부(elevation)를 포함한다. 유지 요소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유리하게는 유지 요소의 유지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커넥터를 통과하는 압력 매체의 흐름으로 인해 커넥터 내부에 압력이 있을 때,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가 서로 확실하게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플러그 부재와 유지 요소가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부품들의 형태일 때, 압력 잠금장치, 특히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 상의 하나 이상의 돌출된 요소들을 통해, 커넥터 내부에 매체 압력이 있을 때, 유지 요소를 잠그고 고정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플러그 부재에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유지 요소와 플러그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움직임이 초래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부재는 축방향으로 역-삽입 방향으로, 다시 말해서 삽입 방향의 반대로 움직이며, 유지 요소는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는 방식으로 소켓 부재 내에 고정된다. 압력 잠금을 위해, 플러그 부재에 대한 유지 요소의 축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돌출된 요소는 유리하게는 유지 요소 내의 개구 외부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유지 아암 또는 유지 아암들의 반경 방향 움직임은 차단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 상에서 유지 요소의 축방향 유격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요소가 개구 외부에 있을 때 유지 아암들이 해제 위치에 있지 않도록, 유지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요소가 삽입되는 개구로부터 적어도 충분한 거리에 있는 정도이다. 플러그 부재와 유지 요소 사이의 축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돌출된 요소들은 개구(들)의 영역 밖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유지 아암들을 반경 방향으로 차단한다.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는 에지들을 가질 수 있으며 및/또는 다각형 형태일 수 있고 및/또는 플러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된 요소들, 예컨대 로드들(rods)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요소들은 한편으로는 유지 요소의 대응되게 상보적인 표면들 또는 부분들과 인터록(interlock)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유지 요소가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소켓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대안으로서, 소켓 부재는 기계 가공된 부품의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고, 유지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 러그의 걸림(latching)을 위한 걸림 표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때, 유리하게는 측면에 걸림 개구를 가지며, 걸림 개구 내부에, 플러그 부재에 배치되었거나 배치된 유지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 러그가 걸릴 수 있다. 대안으로서, 소켓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의 기계 가공된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소켓 부재는 유리하게는 걸림 표면을 가지고, 이는 특히 언더컷 표면일 수 있으며, 걸림 표면 상에, 플러그 부재에 배치되었거나 배치된 유지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 러그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의 소켓 부재와 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금속의 소켓 부재와도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부재도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소켓 부재는 직선 플러그 부재 또는 직각 플러그 부재의 형태이거나 굽혀진 형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지 요소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금속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지 요소가 수용되거나 안착되는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가 다각형 형태, 예를 들어, 특히 사각형 형태일 때, 유지 요소의 위치는 플러그 부재 상에서 또는 플러그 부재의 주변부 둘레로 90° 단계들로 변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커넥터가 접근할 수 없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차량 내에, 특히 매우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었거나 배치될 때, 유리하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서술될 것이다.
도 1은 플러그 부재가 아직 소켓 부재 내부로 삽입되지 않은 인도 상태(delivery state)에서, 유지 요소를 가진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플러그 부재 상에서 유지 요소의 유지 아암들이 차단된,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의 완전하지 않은 예비-조립 또는 예비-삽입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플러그 부재 상에서 유지 요소의 유지 아암들이 자유로운,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의 완전한 삽입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3a는 플러그 부재 상에서 유지 요소의 유지 아암들이 자유로운,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의 완전한 삽입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의 추가 단면도이며,
도 4는 소켓 부재가 기계 기공된 부품의 형태이며,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2 실시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5는 플러그 부재에 장착된 유지 요소와 협력하여 압력 잠금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유지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내의 외측 표면에 돌출된 요소들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각 플러그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도 5에 따른 직각 플러그 부재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6은 플러그 부재에 장착된 유지 요소를 위한 회전-방지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유지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다각형의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직각 플러그 부재의 추가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도 6에 따른 직각 플러그 부재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7은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에 장착된 유지 요소와 함께 압력 잠금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돌출된 요소들 가진 직선 플러그 부재 형태의 플러그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a는 도 7에 따른 플러그 부재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8은 플러그 부재에 장착된 유지 요소를 위한 회전-방지 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다각형 수용부를 가진 직선 플러그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a는 도 8에 따른 플러그 부재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에 따른 커넥터의 소켓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a는 도 9에 따른 소켓 부재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4에 따른 커넥터의 소켓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s는 도 10에 따른 소켓 부재를 관통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11a 내지 11e는 커넥터의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요소의 다양한 사시도들이며,
도 11f는 도 11a 내지 11e에 따른 유지 요소의 상면도이며,
도 11g는 도 11a 내지 11e에 따른 유지 요소의 제1 측면도이며,
도 11h는 도 11a 내지 11e에 따른 유지 요소의, 도 11g의 도면에 대해 90° 회전된 측면도이며,
도 11i는 도 11a 내지 11e에 따른 유지 요소의, 도 11h의 도면에 대해 180° 회전된 측면도이며,
도 11j는 도 11a 내지 11e에 따른 유지 요소의 저면도이며,
도 11k는 도 11j의 D-D 선을 따라 절단된, 도 11a 내지 11e에 따른 유지 요소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11l은 도 11j의 E-E 선을 따라 절단된, 도 11a 내지 11e에 따른 유지 요소의 길이 방향 추가 단면도이며,
도 12a는 밀봉 링으로서 O-링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직선 플러그 부재와 본 발명에 따른 직각 플러그 부재, 각개의 플러그 부재의 각개의 수용부에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요소, 및 플러그 부재들과 결합하기 위한 세 개의 상이한 소켓 부재들의 모듈형 장치를 보여주며,
도 12b는 도 12a에 따른, 두 개의 플러그 부재들과, 세 개의 소켓 부재들과, 유지 요소의 모듈형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2c는 도 12a에 따른, 두 개의 플러그 부재들과, 세 개의 소켓 부재들과, 유지 요소의 모듈형 장치의 추가 사시도이며,
도 12d는 두 개의 플러그 부재들과 세 개의 소켓 부재들과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도 12a에 따른 모듈형 장치의 추가 사시도이며,
도 13a는 해제된 압력 잠금 위치에 있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길이 방향 단면도로서, 압력 잠금장치의 해제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유지 요소의 유지 아암들의 영역 내의 상세도가 확대된 축척으로 도시되며,
도 13b는 도 13a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로서, 압력 잠금장치의 해제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유지 요소의 유지 아암의 영역 내의 상세도가 확대된 축척으로 도시되며,
도 14a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길이 방향 단면도로서, 차단된 압력 잠금장치의 영역 내의 확대된 상세도가 추가적으로 도시되며,
도 14b는 도 14a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로서, 차단된 압력 잠금장치의 영역 내의 확대된 상세도가 추가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플러그 부재(2), 소켓 부재(3), 상기 플러그 부재(2)에 장착된 유지 요소(holding element)(4), 및 반경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잠금 요소(5)의 형태인 잠금 장치(locking device)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1)를 보여준다. 상기 커넥터(1)는 도 1 내지 1f에서 소위 인도 상태(delivery state), 즉 예비조립 상태(preassembly state)로 도시된다. 상기 플러그 부재(2)와 소켓 부재(3)는 아직 서로 삽입되지 않았지만, 상기 유지 요소(4)는 플러그 부재(2)의 수용부(receiving portion)(20) 상에 끼워져 있다. 상기 플러그 부재(2)는 상기 수용부(20) 외에도 맨드렐부(mandrel portion)(21)를 포함하며, 상기 맨드렐부를 통해 특히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라인 또는 호스 라인과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라인 또는 호스 라인은 그 단부에서 상기 맨드렐부(21) 상에 끼워지며, 즉 확장됨으로써 상기 맨드렐부에 설치된다. 상기 소켓 부재(3)도 대응되는 맨드렐부(30)를 가지며, 특히 파이프라인 또는 호스 라인은 확장됨으로써 상기 맨드렐부에 고정된다.
상기 소켓 부재(3)는, 상기 플러그 부재(2)를 수용하며 단부에 부분(33)과 부분(34)을 갖춘 소켓부(socket portion)(31)를 더 가지며, 상기 부분(33)은 소켓 부재(3)의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소켓 부재(3)의 소켓부(31)의 상부 에지(32) 위로 돌출되며, 상기 부분(34)은 축방향으로 돌출된 부분(33)과 대략 반대쪽의 소켓부(31)의 상부 에지(3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소켓 부재(3)의 소켓부(31)는, 상기 두 개의 부분들(33, 34)에 대해 대략 90°로 오프셋(offset)된, 두 개의 상호 대향하는 윈도우 개구들(35, 36)을 가지며, 이들은 상기 유지 요소(4) 상의 걸림 러그들(latching lugs)(40, 41)을 위한 걸림 개구들(latching openings)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 러그들(40, 4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상기 유지 요소(4)가 상세하게 도시된 도 11a 내지 11l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 요소(4)의 유지 아암들(holding arms)(42, 43) 상에 외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유지 요소(4) 또는 유지 요소 몸체(44)는, 두 개의 서로 반대쪽 단부에 말단의 연속된 원주 방향의 에지를 가지며, 즉 일단부에는 연속된 에지(continuous edge)(148)를 가지고, 상기 유지 요소(4) 또는 유지 요소 몸체(44)의 반대쪽의 타단부에는 비드-모양의(bead-like) 돌출된 말단 에지(terminal edge)(47)를 가진다. 상기 유지 아암들(42, 43, 140, 141)은 하나의 에지(148)와 다른 에지(47)에 번갈아 고정된다. 즉, 상기 유지 아암(42)은 에지(148)에 고정되고, 유지 아암(140)은 에지(47)에 고정되며, 유지 아암(43)은 에지(148)에 고정되고, 유지 아암(141)은 에지(47)에 고정된다. 상기 유지 아암들(42, 43) 각각은, 상기 에지(148) 또는 유지 요소 몸체(44)에 고정되는 단부(242, 243) 외에도, (유지 요소(4) 또는 유지 요소 몸체(44)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반대쪽의 자유 단부(142, 143)를 가진다. 상기 걸림 러그들(40, 41)은 두 개의 유지 아암들(42, 43)에 배치되되, 유지 아암들(42, 43)의 단부가 아니라 그 길이 방향의 연장부를 따라서, 특히 유지 아암들(42, 43)의 자유 단부(142 또는 143)와 고정 단부(242, 243) 사이의 대략 중간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유지 아암들(140, 141) 각각은, 상기 에지(148)에 고정된 단부(244, 245) 외에도, 마찬가지로 (유지 요소(4) 또는 유지 요소 몸체(44)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반대쪽의 자유 단부(240, 241)를 가진다.
작동 요소(actuating element)(45, 46)는 상기 유지 아암들(42, 43)의 자유 단부들(142, 143) 각각의 단부에서 대략 반경 방향 외측으로, 즉 상기 유지 요소(4)의 유지 요소 몸체(44)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된다. 플러그 부재를 플러그 부재에 장착된 유지 요소와 함께 소켓 부재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다시 말해서 걸림 러그들(40, 41)을 걸림 개구들 또는 윈도우 개구들(35, 36) 밖으로 이동시켜 플러그 부재(2)가 소켓부(3)로부터 축방향으로 제거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또는 반대로, 소켓 부재(3)가 플러그 부재(2)로부터 축방향으로 제거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걸림 러그들(40, 41)은, 상기 유지 요소(4)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힘의 적용에 의해, 걸림 위치(latching position)로부터 걸림 해제 위치(unlatched position)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도 11a 내지 11l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지 요소(4)는 각개의 작동 요소(45, 46)에 인접하지만 이들로부터 이격된 비드-모양의 말단 에지(47)를 가진다. 상기 유지 요소(4)는 반대쪽 단부에 연속 에지(148)를 가진다. 상기 작동 요소(45)의 영역 내에, 부분(48)이 비드-모양의 말단 에지(47)로부터 유지 요소(4)의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부분(48)에 대해 대략 90°로 오프셋되어, 다시 말해서 작동 요소들(45, 46) 사이에 또는 대응되는 유지 아암들(42, 43) 사이에, 다시 말해서 유지 아암(140)의 위치에, 유지 아암(140)의 고정 단부(244)에 인접하여, 반경 방향 부분(radial portion)(49)이 비드-모양의 말단 에지(47)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반경 방향 부분은 상기 반경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잠금 요소(5)와 인터로킹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상기 반경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잠금 요소(5)는 상기 반경 방향 부분(49)이 내부에 맞물리는 대응되는 홈 또는 절개부(cut-out)(50)(도 12d 참조)를 가진다. 상기 유지 요소 몸체(44)에 상기 반경 방향 부분(49)에 인접하여 두 개의 축방향 웹들(axial webs)(149, 249)이 배치된다. 특히, 도 1, 11a 및 11b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경 방향 부분(49) 반대쪽의 유지 요소 몸체(44)의 측부에서, 두 개의 대응되는 축방향 웹들(150, 250)이 비드-모양의 말단 에지(47)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두 개의 축방향 웹들(150, 250)의 서로로부터의 간격(spacing)은 특히 상기 소켓 부재(3)의 소켓부(31)의 상부 에지(32)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부분(33)이 상기 간격 내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유지 요소(4)를 갖춘 플러그 부재(2)에 대한 소켓 부재(3)의 위치결정 보조부(positioning aid)와 회전 방지 수단(anti-rotation means)을 제공한다.
상기 축방향 웹들(149, 249 및 150, 250)의 영역 내에서, 상기 유지 요소 몸체(44)는 혀-형상(tongue-shaped)이며 이미 언급한 자유 단부(240 또는 241)를 갖춘 유지 아암(140 또는 141)으로서 유지 요소 몸체(44)의 길이 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두 개의 유지 아암들(140, 141)도 각각 걸림 러그(146, 147)을 가지며, 상기 걸림 러그들은 상기 플러그 부재(2)의 수용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향한다(특히, 도 11l 참조). 상기 걸림 러그들(146, 147)은 유지 아암들(140, 141)의 단부들에 배치되며, 다시 말해서 두 개의 유지 아암들(140, 141)의 자유 단부들(240, 241)에 배치된다. 상기 유지 아암들(140, 141)은, 상기 플러그 부재의 걸림 표면(latching surface) 또는 걸림 어깨부(latching shoulder) 또는 걸림 요소에 걸리기 위해, 자유 단부들(240, 241)의 영역 내의 단부들에서 유지 요소(4)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편향 가능하다. 상기 유지 아암들(140, 141)은, 상기 걸림 러그들(146, 147)에 의해, 상기 플러그 부재(2)의 수용부(20)의 외측의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 어깨부, 또는 어깨부, 또는 걸림 요소, 또는 요소에서 유지되고 함께 맞물리게 된다(예를 들어, 도 3a 참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유지 아암들(140, 141)의 걸림 러그들(146, 147)은, 대응되는 플러그 부재(2)의 수용부(20)의 주변부 상의 홈들 또는 평평한 부분들에 맞물리며, 수용부(20)의 내부에서 상기 수용부(20)를 한정하는 플러그 부재(2)의 각개의 어깨부(26, 27) 또는 플러그 부재(200)(도 5, 5a, 6, 6a 참조)의 각개의 어깨부(206, 207)에 있는 표면상에 상기 플러그 부재(2)로부터 소켓 부재(3)의 제거 방향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 플러그 부재(2) 또는 수용부(20)에 대한 유지 요소(4)의 어느 정도의 축방향 기동성 또는 가동성은 계속 유지된다.
상기 플러그 부재(2) 또는 그 수용부(20) 상에 유지되기 위해 내측으로 향하는 걸림 러그들(146, 147)을 가진 상기 두 개의 유지 아암들(140, 141)과, 소켓 부재(3) 상에서 유지되기 위해 외측으로 향하는 걸림 러그들(40, 41)을 가진 상기 두 개의 유지 아암들(42, 43)은 상기 유지 요소(4)의 주변부 전체에 걸쳐 번갈아 배치되며, 각각의 경우에 서로에 대하여 90°로 오프셋된다. 서로 반대쪽의 유지 아암들(140, 141)은 상기 에지(47)에 고정되고, 두 개의 서로 반대쪽의 유지 아암들(42, 43)은 상기 에지(148)에 고정된다. 상기 두 개의 유지 아암들(140, 141)의 자유 단부들(240, 241)은 거의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유지 아암들(42, 43)의 두 개의 고정 단부들(242, 243) 사이에 배치된 에지(148)까지 연장되고 이 에지(148)로부터 거리를 두고 끝난다. 상기 두 개의 유지 아암들(42, 43)의 자유 단부들(142, 143)은, 특히 도 11k와 11l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유지 아암들(140, 141)의 두 개의 고정 단부들(244, 245) 사이에 배치된 에지(47)까지 연장되고 이 에지(47)로부터 거리를 두고 끝난다.
적어도 상기 유지 아암(140)은 두 개의 축방향 웹들(149, 249) 사이의 영역 내에 작은 윈도우 형태인 관통-개구(144)를 가진다. 상기 반경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잠금 요소(5)의 차단 요소(blocking element)(51)는 이 관통-개구(144) 내부에 맞물려 관통-개구(144)를 경계 짓는 에지에 걸릴 수 있거나 또는 예비조립 위치에서 관통-개구(144) 바로 옆의 유지 아암(140)의 외측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 요소(51)는 단부에 걸림 러그(52)를 가진다(도 12c 참조).
상기 소켓 부재(3)가 그 소켓부(31)에 의해 그 수용부(20) 상에 유지 요소(4)를 갖춘 상기 플러그 부재(2) 상에 끼워질 때, 상기 두 개의 서로 반대쪽의 유지 아암들(42, 43)은 상기 플러그 부재(2)의 수용부(20) 쪽으로 반경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는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소켓부(31)가 걸림 러그들(40, 41)을 가로지름에 따라, 상기 소켓부(31)는 걸림 러그들(40, 41)이 배치된 유지 아암들(42, 43)을 상기 플러그 부재(2)의 수용부(20)를 향한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작동 요소들(45, 46)도 상기 플러그 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물러남으로써, 상기 유지 요소 몸체(44)의 외부 범위를 넘어서 도 1에 도시된 예비조립 위치에서보다 더 적게 돌출된다. 이는 특히 도 2와 1을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부재(2)와 소켓 부재(3)의 불완전한 삽입 동작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접촉에 의한 촉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부재(2)와 소켓 부재(3)의 불완전한 삽입 위치에서, 소켓 부재(3)의 소켓부(31) 내부로 먼저 삽입되어 깊이 삽입되는 플러그 부재(2)의 말단부 상의 주변 홈(peripheral groove) 내의 밀봉 링 또는 O-링(22)은 그 영역에서 소켓 부재(31)의 내측 표면상에 밀봉 방식으로 얹혀지며, 이는 특히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 걸림 러그들(40, 41)이 아직 소켓 부재(3)의 소켓부(31)의 걸림 개구들(35, 36) 내부에 걸릴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부재(2)는 아직 소켓 부재(3)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부재(2)와 소켓 부재(3)의 완전히 삽입된 위치는 도 3과 3a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특히 유지 요소(4)의 표면 위로 반경 방향으로 멀리 돌출된 유지 요소(4)의 작동 요소들(45, 46)로부터 시각적으로 그리고 촉각에 의해 이미 인식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러그들(40, 41)은 상기 소켓 부재(3)의 소켓부(31) 내의 두 개의 걸림 개구들(35, 36) 내에 걸린 위치에 있다. 상기 걸림 러그들(40, 41)은 걸림 개구들(35, 36) 내에 지지되며 이에 따라 유지 요소(4) 및 소켓 부재(3)와의 플러그 부재의 상정된 걸림 위치를 잠근다. 상기 소켓부(31)가 걸림 러그들(40, 41)과 유지 아암들(42, 43)을 더 이상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작 위치 또는 예비조립 위치로 스프링 백(spring back)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 아암들(45, 46)은 다시 작동 요소들(45, 46)에 인접하게 배치된 유지 요소 몸체(44)의 표면 위로 멀리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는 특히 도3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소켓 부재(3)의 소켓부(31)의 걸림 개구들(35, 36) 내에 걸림 러그들(40, 41)의 걸림 연결은, 화살표 P1과 P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2)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러그들(40, 41)이 소켓 부재(3)의 걸림 개구들(35, 36) 내부에 끼워져 걸린 후에, 상기 플러그 부재(2) 상에 끼워진 상기 유지 요소(4)는 플러그 부재(2) 상에 억류되어 유지되며, 상기 플러그 부재(2)의 삽입 위치는 상기 유지 요소(4) 및 소켓 부재(3)와 함께 고정되고 차단된다.
특히, 도 3a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부재(2), 다시 말해서 소켓부(31)의 내부에 대하여 O-링(22)에 의해 밀봉된 플러그 부재의 부분의 전면(front side)과 상기 소켓부(31) 내의 어깨부(shoulder)(37) 사이에 거리가 계속 유지되며, 이 거리는 도 3a에 a1으로 표시된다. 다른 한편, 도 2에서, 소켓부(31)의 내측면으로부터 플러그 부재(2)의 전면의 거리는 a로 표시되며, 이는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해서 단지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의 불완전하게 삽입된 위치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도 1 내지 3a에 따른 실시예와 달리, 도 4에 따른 소켓 부재(300)는 기계 가공된 부품의 형태이며, 특히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단부에 맨드렐부를 가지지 않는다. 제자리에서, 상기 소켓 부재(300)는 예를 들어 파이프라인과의 연결을 위한 작은 체결부(301)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라인 또는 유닛으로의 연결은 상기 체결부(301)를 통해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301)는 특히 도 4에서 단면으로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라인, 유닛, 기계, 등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1)의 다양한 형태의 연결들, 예를 들어 소켓 부재 또는 소켓부, 맨드렐부, 나사부, 등이 제공된다. 또한, 커넥터 또는 소켓 부재 및/또는 플러그 부재 또는 상기 커넥터가 연결될 기계의 연결부의 두 개의 측부들/단부들에 두 개의 커플링 부품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소켓 부재(3)와 마찬가지로, 상기 소켓 부재(300)도 소켓부(302)를 가지지만, 상기 소켓 부재(3)의 소켓부(31)의 걸림 개구들(35, 36) 대신에, 상기 소켓 부재(300)는 걸림 표면(304)을 가진 내부 걸림 홈(latching groove)(303)을 가진다. 이는 마찬가지로 도 4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부재(2) 상에 배치된 상기 유지 요소(4)의 유지 아암들(42, 43)의 걸림 러그들(40, 41)은 상기 걸림 홈(latching groove)(303) 내부에 맞물리며, 이에 의해 상기 걸림 표면(304)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작동 요소들(45, 46)은 소켓부(302)의 표면을 넘어서 또는 상기 플러그 부재(2) 상의 유지 요소(4)의 비드-모양의 돌출된 말단 에지(47)를 넘어서 다시 돌출된다. 상기 소켓 부재(300)는, 예를 들어, 특히 알루미늄, 황동, 강철 또는 합금,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기 맨드렐부(30)를 갖춘 소켓 부재(3)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 부재는, 두 개의 실시예들에서,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부재(2)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를 위한 재료의 선택은 특정 적용예에 의해 지배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특히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는 동일한 재료들 또는 상이한 재료들, 특히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지 요소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지 요소(4)가 장착된 플러그 부재(2)와 소켓 부재(300)의 걸림의 최종 위치(latched end position)에서, 적어도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4와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 상의 O-링(22)이 소켓부(302)의 내측 표면에 대하여 플러그 부재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플러그 부재(2)의 전면(front side)과 상기 소켓 부재(300) 내의 어깨부(shoulder)(306) 사이의 거리(a2)가 유지된다.
앞에서 설명된 도면들 각각에는, 직선의 플러그 부재들과 직선의 소켓 부재들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도 5, 5q 및 6, 6a는 직각(right-angle) 플러그 부재들(200)을 보여준다. 도 7, 7a 및 8, 8a 각각에는, 직선의 플러그 부재들(2)이 도시되어 있다. 모든 플러그 부재들(2, 200)에서, 플러그 부재에 장착된 유지 요소(4)를 위한 회전-방지 수단(anti-rotation means)을 제공하기 위해 수용부(20 또는 201)는 각각의 경우에 다각형이다. 그러나, 플러그 부재(2 또는 200)를 수용부(20 또는 201)의 영역에서 둥근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특히, 회전-방지 수단의 제공이 요구되지 않거나 또는 상이한 유형의 회전-방지 수단이 제공된 때에는, 상기 플러그 부재는 전체적으로 둥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주변 표면 특히 플러그 부재(2 또는 200)의 수용부(20 또는 201)의 주변 표면을 따라서 둥근 단면과 평평한 부분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부분이 혼합된 형태도 가능하다.
도 5에 따른 플러그 부재(200)와 도 7에 따른 플러그 부재(2)에서, 각개의 다각형 수용부(20, 201)의 네 개의 표면들 각각에 돌출된 핀 요소들(23 및 202)이 제공된다. 상기 돌출된 핀 요소들(23, 202)은, 플러그 부재(2, 200) 내부에 압력이 있을 때, 다시 말해서 플러그 부재를 통해 압력 매체가 흐를 때, 압력 잠금장치(pressure lock)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 잠금을 위해, 유지 요소(4)의 축방향으로 플러그 부재(2)에 대한 유지 요소(4)의 이동의 결과로서, 상기 돌출된 핀 요소들(23, 202)은 유지 아암들(42, 43) 내의 각개의 개구(145) 외부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 14a와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아암들(42, 43)의 반경 방향 움직임은 차단된다. 플러그 부재(2)의 수용부(20) 상의 유지 요소(4)의 축방향 유격(play)은, 유지 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핀 요소(23, 202)가 삽입되는 개구(145)로부터 적어도 충분하게 멀리 떨어짐으로써, 돌출된 핀 요소(23, 202)가 개구(145) 외부에 위치한 때 유지 아암들(42, 43)이 해제 위치에 있지 않도록, 제공된다. 상기 커넥터(1) 내부에 압력이 있을 때 발생하는 플러그 부재(2)와 유지 요소(4) 사이의 축방향 변위의 결과로서, 상기 핀 요소들(23, 202)은 개구들(145)과 정렬된 영역 밖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유지 아암들(42, 43)을 반경 방향으로 차단한다. 걸림 러그들(40, 41)을 소켓 부재(3) 내의 걸림 개구들(35, 36) 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그 위치에서 유지 아암들(42, 43)을 작동시키는 것은 방지된다. 오직 유지 요소(4)와 플러그 부재(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은 위치일 때에만, 돌출된 핀 요소들(23, 202)은 개구들(145)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직 상기 커넥터(1) 내부에 매체 압력이 없을 때에만 유지 아암들(42, 43)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두 개의 유지 아암들(42, 43) 내의 개구들(145)은 특히 도 11e, 11h, 11i 및 11l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해제된 압력 잠금장치는 도 13a와 13b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a와 14b는 돌출된 핀 요소들(23, 202)이 두 개의 유지 아암들(42, 43) 내의 각개의 개구(145) 내부로 삽입될 수 없는 차단된 압력 잠금장치를 보여준다. 따라서, 압력 잠금장치를 위해, 플러그 부재에 대한 유지 요소의 축방향 가동성이 제공된다. 상기 커넥터 내부에 매체 압력이 없을 때에는, 플러그 부재를 소켓 부재로부터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동으로 플러그 부재(2)를 정지할 때까지, 다시 말해서 소켓 부재 내부로 가능한 한 가장 먼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걸림 개구들(35, 36) 내에 걸림으로부터 유지 아암들(42, 43)의 걸림 러그들(40, 41)의 수동 잠금 해제가 일어날 수 있다.
직각 형상 외에는, 도 5, 5a, 6, 6a, 7, 7a 및 8, 8a에 따른 플러그 부재(2, 200)는 모두 특히 파이프라인들 또는 호스 라인들의 확장 결합(expansion fitting)을 위해 설계되었고 이에 따라 각각 맨드렐부(21, 203)을 가지기 때문에 서로 상이하지 않다.
도 5 내지 8a의 플러그 부재들(2, 200)과 앞에서 이미 설명된 도면들의 다른 플러그 부재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플러그 부재들은 각각 밀봉 링 또는 O-링(2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24 또는 204)과, 수용부(20, 201)와 각개의 맨드렐부(21, 203) 사이에 각개의 맞물림 개구(engagement opening) 또는 두 개의 서로 반대쪽의 맞물림 개구들(25, 205)을 가진다. 이러한 맞물림 개구들은,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1)의 자동 조립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 아암에 의해 맞물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맞물림 개구들(25, 205) 대신에, 한편으로는 각개의 플러그 부재(2 또는 200)에 각개의 유지 요소(4)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플러그 부재(4)에 유지 요소(4)의 정확한 조립과 후속하여 유지 요소(4)에 반경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잠금 요소(5)의 정확한 조립을 허용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유지 요소와 반경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잠금 요소를 가진 플러그 부재에 각개의 소켓 부재(3 또는 300)의 정확한 조립을 허용하기 위해, 로봇들에 의해 파지될 수 있거나 또는 자동 조립 중에 맞물리는 다른 맞물림 표면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 9a 및 10, 10a는 소켓 부재(3)와 소켓 부재(300)를 보여준다. 소켓 부재(300)에서, 단부에 배치된 체결부(fastening piece)(301)와 소켓부(302)의 내부에 제공된 걸림 홈(303)이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걸림 홈(303)은 각개의 플러그 부재(2 또는 200)에 장착된 유지 요소(4)의 유지 아암들(42, 43)의 각개의 걸림 러그(40 또는 41)의 맞물림을 위한 걸림 표면(304)을 가진다. 소켓 부재(3)와 소켓 부재(300)를 비교할 때, 소켓 부재(300)가 금속으로 만들어진 기계 가공된 부품의 형태인 경우에, 그 부분들은 상부 에지(305)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대응되는 홈들 또는 웹들(webs), 예컨대 축방향 웹들(150, 250)이 제공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특히 걸림 러그들(40, 41)의 걸림을 시행하기 위해 걸림 러그들(40, 41)이 가능한 한 정확하게 맞물려야 하는 윈도우 개구들(35, 36)의 형태인 걸림 개구들이 없는 대신에 걸린 홈(303)이 제공된다는 것이며, 상기 걸림 홈(303)은 소켓부(302)의 내측의 전 둘레에 제공됨으로써, 주변 크기에 기초하여, 걸림 홈(303)을 따른 걸림 러그들(40, 41)의 특정 위치가 임의적이다(random). 그 상황은, 이미 앞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윈도우 개구들 또는 걸림 개구들(35, 36)을 갖춘 소켓 부재(3)와는 상이하며, 이 소켓 부재(3)에서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부분(33)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34) 둘 다 유지 요소(4)가 장착된 플러그 부재(2) 또는 플러그 부재(200) 상에 소켓 부재(3)의 정확한 배치를 보장한다.
도 12a 내지 12d는, 모듈형 시스템의 방식으로, 원하는 대로 서로 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플러그 부재들과 소켓 부재들을 보여준다.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를 걸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상기 유지 요소(4)가 제공되며, 유지 요소를 가진 플러그 부재와 소켓 부재의 걸림 위치의 추가적인 차단을 위해, 상기 반경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잠금 요소(5)가 유지 요소(4)에 제공된다. 플러그 부재(2 또는 200)를 각개의 소켓 부재 내에 밀봉하기 위해, 밀봉 링 또는 O-링(22)이 도시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맨드렐부(30)를 가진 소켓 부재(3)와 기계 가공된 부품의 형태인 소켓 부재(300) 대신에, 도 12a 내지 12d는 6각형 부분(401)을 가진 소켓 부재(400)의 변형을 추가적으로 보여주며, 상기 소켓 부재(400)는 파이프라인 또는 유닛과 나사 연결되도록 의도되었고, 따라서 소켓 부재(400)의 나사 체결 중에 맞물림과 유지는 육각형 부분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파이프라인에 연결을 위해, 상기 소켓 부재(400)는 연결부(402)를 가진다. 유지 요소(4)가 장착된 플러그 부재(2, 200)와의 연결은 소켓부(403)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소켓부(403)는 소켓 부재(300)의 소켓부(302)에 대응되며, 마찬가지로 유지 요소(4)의 유지 아암들(42, 43)의 걸림 러그들(40, 41)이 걸리기 위한 걸림 표면(405)을 가진 걸림 홈(404)을 가진다.
따라서, 소켓 부재들(3, 300, 400)의 세 개의 변형들은, 예를 들어, 플러그 부재들(2, 200)의 변형들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d에서, 플러그 부재들(2, 200)은 각각 돌출된 핀 요소들(23, 202)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압력 잠금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각개의 수용부들(20, 201)에 돌출된 핀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호스 라인 및/또는 파이프라인들을 위해 의도된, 앞에서 설명되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보여준 커넥터들과 이를 위한 유지 요소들의 변형들에 추가하여,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소켓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가 제공된 각개의 커넥터들과 유지 요소들의 전술한 특징들의 임의의 바람직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많은 추가적인 변형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부재는 소켓 부재의 소켓부 내부로 삽입될 수 있거나 삽입되며, 플러그 부재를 소켓 부재 내에 해제 가능하게 잠그기 위한 유지 요소가 제공되고, 유지 요소는 플러그 부재의 수용부에 억류되도록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되며, 유지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지고, 외측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걸림 러그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을 포함하며, 유지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걸림 러그를 소켓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 표면 또는 걸림 개구에 걸고 다시 걸림 위치로부터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러그 부재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를 위한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플러그 부재를 상기 소켓 부재 내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부재 상에 끼워져 있거나 끼워지고, 유지 요소 몸체, 유지 아암들(holding arms), 및 축방향으로 양측 단부들에서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인 에지를 가지며, 유지 아암들은 상기 유지 요소에 대하여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latching lugs)을 가지고,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은 상기 플러그 부재에 고정되는 역할을 하며, 유지 아암들은 상기 유지 요소에 대해 외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을 가지고, 외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은 상기 소켓 부재에 연결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지 아암들은 각각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 단부와 상기 유지 요소 몸체에 고정된 반대쪽 단부를 가지고, 상기 유지 아암들의 고정된 단부들은 각각 상기 유지 요소의 두 개의 연속된 말단 에지들에 번갈아 체결되거나 또는 고정되며, 인접한 유지 아암들은 그들의 고정 단부들에서 동일한 연속적인 말단 에지에 체결되지 않고, 하나의 유지 아암은 하나의 연속적인 말단 에지에 체결되거나 고정되며 다른 유지 아암은 반대쪽의 다른 연속적인 말단 에지에 체결되거나 고정된다.
1 커넥터
2 플러그 부재
3 소켓 부재
4 유지 요소
5 반경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잠금 요소
20 수용부
21 멘드렐부(mandrel portion)
22 밀봉 링/O-링
23 돌출된 핀 요소
24 수용 홈
25 맞물림 개구
26 어깨부
27 어깨부
30 맨드렐부
31 소켓부
32 상부 에지
33 축방향으로 돌출된 부분
34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
35 윈도우 개구/걸림 개구
36 윈도우 개구/걸림 개구
37 어깨부
40 걸림 러그
41 걸림 러그
42 유지 아암
43 유지 아암
44 유지 요소 몸체
45 작동 요소
46 작동 요소
47 비드-모양의 돌출된 말단 에지
48 돌출된 부분
49 반경 방향 부분
50 홈/절개부
51 차단 요소
52 걸림 러그
53 다리
55 횡단부
140 유지 아암
141 유지 아암
142 자유 단부
143 자유 단부
144 관통-개구
145 개구
146 140 상의 걸림 러그
147 141 상의 걸림 러그
148 연속된 에지
149 축방향 웹
150 축방향 웹
156 분실-방지부
157 분실-방지부
158 안내 웹
159 안내 웹
200 직각 플러그 부재
201 수용부
202 돌출된 핀 요소
203 맨드렐부
204 수용 홈
205 맞물림 개구
206 어깨부
207 어깨부
240 자유 단부
241 자유 단부
242 고정 단부
243 고정 단부
244 고정 단부
245 고정 단부
249 축방향 웹
250 축방향 웹
300 소켓 부재
301 체결부
302 소켓 부재
303 걸림 홈
304 걸림 표면
305 상부 에지
306 소켓 부재 내의 어깨부
400 소켓 부재
401 육각형 부분
402 연결부
403 소켓부
404 걸림 홈
405 걸림 표면
a 걸림 해제된 위치에서 플러그 부재(2)의 전면과 소켓 부재(3) 내의 어깨부(37) 사이의 거리
a1 최종 위치에서 플러그 부재(2)의 전면과 소켓 부재(3) 내의 어깨부(37) 사이의 거리
a2 최종 위치에서 플러그 부재(2)의 전면과 소켓 부재(300) 내의 어깨부(306) 사이의 거리
P1 압력
P2 압력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소켓 부재(3, 300, 400)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2, 200)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1)를 위한 유지 요소(holding element)(4)로서,
    상기 플러그 부재(2, 200)는 상기 소켓 부재(3, 300, 400)의 소켓부(socket portion)(31, 302, 403) 내부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유지 요소(4)는 상기 플러그 부재(2, 200)를 상기 소켓 부재(3, 300, 400) 내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부재(2, 200) 상에 끼워지거나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유지 요소(4)는 유지 요소 몸체(44), 상기 유지 요소(4)에 대하여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latching lugs)(146, 147)을 가진 유지 아암들(holding arms)(140, 141), 상기 유지 요소(4)에 대하여 외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40, 41)을 가진 유지 아암들(42, 43), 및 축방향으로 양측 단부에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인 에지(47, 148)를 가지며,
    상기 유지 아암들(42, 43, 140, 141) 각각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자유 단부(free end)와 상기 유지 요소 몸체(44)에 고정된 반대쪽 단부(opposite end)를 가지는, 유지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러그들(40, 41)은 상기 유지 아암들(42, 43)의 길이 방향의 범위를 따라서 상기 유지 아암들(42, 43) 상에, 특히 상기 유지 아암들(42, 43)의 자유 단부(142, 143)와 고정 단부(242, 243) 사이의 중간 영역 내에 배치되는, 유지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 요소(actuating element)(45, 46)가 상기 유지 아암들(42, 43)의 말단 자유 단부들(142, 143)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유지 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인 말단 에지(47)는 각개의 작동 요소로부터 거리를 두고 각개의 작동 요소(45, 46)에 인접한 비드(bead)의 방식으로 돌출되는, 유지 요소.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작동 요소(45)의 영역 내에서, 부분(48)이 비드-모양의(bead-like) 돌출된 말단 에지(47)로부터 상기 유지 요소(4)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지 요소.
  6.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1)의, 상기 유지 요소(4)를 갖춘, 플러그 부재(2)에 대한 커넥터(1)의 소켓 부재(3)의 위치결정 보조(positioning aid) 및 회전-방지 수단으로서 두 개의 축방향 웹들(axial webs)(150, 250)이 비드-모양의(bead-like) 돌출된 말단 에지(47)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소켓 부재(3)의 상부 에지(32)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부분(33)이 상기 두 개의 축방향 웹들 사이에 맞물릴 수 있는, 유지 요소.
  7.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4)는 상기 유지 요소의 유지 아암들(42, 43)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상기 플러그 부재(2, 200)의 수용부(receiving portion)(20, 201)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23, 202)와 협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opening)(145)를 포함하는, 유지 요소.
  8.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으로 지향된 걸림 러그들(146, 147)을 가진 두 개의 유지 아암들(140, 141)과 외측으로 향하는 걸림 러그들(40, 41)을 가진 두 개의 유지 아암들(42, 43)은 상기 유지 요소(4)의 주변에 걸쳐서 번갈아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유지 요소.
  9. 적어도 하나의 소켓 부재(3, 300, 400)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부재(2, 300)를 포함하는, 특히 호스 라인들 및/또는 파이프라인들을 위한 커넥터(connector)(1)로서,
    상기 플러그 부재(2, 200)는 상기 소켓 부재(3, 300, 400)의 소켓부(31, 302, 403) 내부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으며,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holding element)(4)는 상기 플러그 부재(2, 200)를 상기 소켓 부재(3, 300, 400) 내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부재(2, 200)는 상기 유지 요소(4)를 구비하거나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지 요소(4)는 외측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걸림 러그(protruding latching lug)(40, 41)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holding arm)(42, 43)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아암(42, 43)은 자유 단부(142, 143)와 유지 요소 몸체(44)에 고정된 단부(242, 243)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러그(40, 41)를 상기 소켓 부재(3, 300, 400)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 표면(latching surface)(304, 405) 또는 걸림 개구(latching opening)(35, 36)에 걸고 이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부재(2, 200)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2, 200), 특히 상기 플러그 부재(2, 200) 상의 수용부(receiving portion)(20, 201)는 압력 잠금(pressure locking)을 위해 상기 유지 요소(4)와 협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23, 202)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커넥터(1) 내부에 매체 압력이 있을 때 상기 유지 요소(4)가 잠금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압력 잠금 장치는 상기 플러그 부재(2, 200)의 수용부(20, 201)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요소(23, 202), 특히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융기부(elevation)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요소(4)는 유지 아암들(42, 43)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145)를 포함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압력 잠금을 위해, 상기 유지 요소(4)가 상기 플러그 부재(2, 200)에 대하여 상기 유지 요소(4)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돌출된 요소(23, 202)는 상기 유지 요소(4) 내의 개구(145)의 외부에 위치하며, 이에 의해 상기 유지 아암(42, 43) 또는 유지 아암들(42, 43)의 반경 방향 움직임을 차단하는, 커넥터.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2, 200)와 유지 요소(4)는 2-부품 형태(two-part form)이며, 상기 플러그 부재와 유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방지 수단을 구비하고, 특히 상기 플러그 부재(2, 200)는 에지들을 가지며 및/또는 적어도 한 부분(20, 201)에서 외측면이 다각형의 형태이고, 및/또는 상기 플러그 부재(2, 200)의 수용부(20, 201)는 상기 플러그 부재(2, 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요소들, 특히 로드들(rods)을 가지며, 상기 돌출 요소들은 상기 유지 요소(4)의 대응되게 상보적인 표면들 또는 부분들과 인터록(interlock)되며 상기 유지 요소(4)가 상기 플러그 부재(2, 200)의 수용부(20, 201) 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수단을 제공하는, 커넥터.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부재(3, 300, 400)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 수단(33, 34) 및/또는 위치결정 보조부(positioning aid), 특히 회전 또는 부정확한 위치결정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33, 3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또는 성형부(shaping)를 가지는, 커넥터.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부재(3)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개구(latching opening)(35, 36)를 구비하거나, 또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4)의 유지 아암(42, 43)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 러그(latching lug)(40, 41)가 걸리기 위한 걸림 표면(latching surface)(304, 405)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undercut) 표면을 구비하는 기계 가공된 부재(300, 400)의 형태인, 커넥터.
KR1020197006289A 2016-07-29 2017-07-27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KR102199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09168.1 2016-07-29
DE102016009168.1A DE102016009168A1 (de) 2016-07-29 2016-07-29 Anschlussverbinder
DE102016015682.1 2016-07-29
DE102016015682.1A DE102016015682A1 (de) 2016-07-29 2016-07-29 Halteelement und Anschlussverbinder mit einem solchen
PCT/EP2017/000908 WO2018019422A1 (de) 2016-07-29 2017-07-27 Halteelement und anschlussverbinder mit einem sol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641A true KR20190034641A (ko) 2019-04-02
KR102199268B1 KR102199268B1 (ko) 2021-01-06

Family

ID=5964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289A KR102199268B1 (ko) 2016-07-29 2017-07-27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32828B2 (ko)
EP (1) EP3491282A1 (ko)
KR (1) KR102199268B1 (ko)
CN (1) CN109496254B (ko)
WO (1) WO2018019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1610A1 (de) * 2016-02-12 2017-08-17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Einsteckkupplung
EP3315843B1 (en) * 2016-11-01 2022-01-05 Samsung SDI Co., Ltd. A male connector for a cooling pipe and a connection system
US10612707B2 (en) * 2017-11-28 2020-04-0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 assembly and method
BR112021013244A8 (pt) * 2019-01-03 2022-10-18 Impel Neuropharma Inc Dispositivo de entrega de fármaco nasal
DE102020108073A1 (de) * 2020-03-24 2021-09-30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mit Vormontagesicherung
KR102486096B1 (ko) * 2021-02-01 2023-01-09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퀵커넥터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5055A1 (en) * 2004-11-05 2009-02-05 Veritas Ag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and vehicle with a coupling device of this type
WO2015180875A1 (de) * 2014-05-30 2015-12-03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fluidleitungen mit innenliegender adapterhüls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0866A (en) * 1944-04-21 1947-05-20 Eureka Williams Corp Coupling for suction cleaners
DE8604217U1 (ko) 1986-02-18 1988-06-01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Gmbh + Co, 5272 Wipperfuerth, De
US4915421A (en) 1988-03-30 1990-04-10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assembly
DE3924173A1 (de) 1989-07-21 1991-01-24 Schaefer Stettiner Schrauben Anschlussarmatur fuer rohre
US5219188A (en) * 1991-01-09 1993-06-15 Sanoh Kogyo Kabushiki Kaish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incomplete connection of pipes
DE19619026A1 (de) * 1996-05-10 1997-11-13 Trinova Gmbh Schnellkupplung
US5897142A (en) * 1996-12-19 1999-04-27 Itt Automotive, Inc. Push-to-release quick connector
DE19735491C1 (de) * 1997-08-16 1998-07-1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GB9724521D0 (en) * 1997-11-20 1998-01-21 Munster Simms Engineering Limi Pipe connections
DE19850963A1 (de) 1998-11-05 2000-05-11 Voss Armaturen Steckverbinder
US6419281B1 (en) 1999-12-06 2002-07-16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Gmbh + Co. Plug-type connector for compression systems
US6688654B2 (en) 2000-12-08 2004-02-10 Newfrey Llc One piece quick connector
JP4234467B2 (ja) 2002-06-04 2009-03-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チェック機能内蔵コネクタ
DE20213806U1 (de) 2002-09-06 2004-01-15 Veritas Ag Steckkupplung
DE202004012795U1 (de) * 2004-08-16 2005-12-29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Fluid-Leitungen
DE202005015966U1 (de) 2005-10-10 2007-02-15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FR2930621B1 (fr) 2008-04-25 2010-04-23 Coutier Moulage Gen Ind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conduite de fluide
US8240716B2 (en) *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DE102009019395A1 (de) * 2009-04-29 2010-11-11 A. Raymond Et Cie Fluidleitungskupplung
DE102013017442A1 (de) 2013-10-22 2015-04-23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erbinder, Lösewerkzeug, Set aus Anschlussverbinder und Lösewerkzeug
DE102014211844A1 (de) 2014-06-20 2015-12-24 Contitech Mgw Gmbh Kupplungselement zur flexiblen Verbindung zweier Elemente zur Führung von Medi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5055A1 (en) * 2004-11-05 2009-02-05 Veritas Ag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and vehicle with a coupling device of this type
WO2015180875A1 (de) * 2014-05-30 2015-12-03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fluidleitungen mit innenliegender adapterhül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1282A1 (de) 2019-06-05
US20190242509A1 (en) 2019-08-08
US11732828B2 (en) 2023-08-22
KR102199268B1 (ko) 2021-01-06
WO2018019422A8 (de) 2018-05-11
CN109496254B (zh) 2021-07-16
WO2018019422A1 (de) 2018-02-01
CN109496254A (zh)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4641A (ko) 유지 요소 및 이러한 유지 요소를 가진 터미널 커넥터
US11530766B2 (en) Connector
US7390029B2 (en) Quick connector
KR102616821B1 (ko) 듀얼-래치 퀵커넥터
US10465827B2 (en) Plug-in connector for fluid lines with inner adapter sleeve
US6520546B2 (en) Quick connector release tool
EP2541118B1 (en) Connector
KR101798309B1 (ko) 2개의 파이프를 위한 플러그-인 연결부 및 플러그-인 연결부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US9080705B2 (en) Connector
JP2004518911A (ja) 回転可能なクイックコネクタ
US9478911B2 (en) Locking mechanism for plug-in connectors
KR20190010544A (ko) 조작봉의 연결 구조
CN104024716A (zh) 连接器
US20080231045A1 (en) Quick-Action Coupling for Pipes
JP6822971B2 (ja) 管を接続するための差込み継手アセンブリ
US10443773B2 (en) Push-in connector
WO2020135553A1 (zh) 快速连接器
US10900599B2 (en) Quick connector coupling
JP6096385B2 (ja) クイックカップリング
WO2014010234A1 (ja) コネクタ
US7111819B2 (en) Stop ring and a hydraulic/pneumatic device equipped with a stop ring
WO2011009158A1 (en) A staple for a fluid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