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269A -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269A
KR20190034269A KR1020197005538A KR20197005538A KR20190034269A KR 20190034269 A KR20190034269 A KR 20190034269A KR 1020197005538 A KR1020197005538 A KR 1020197005538A KR 20197005538 A KR20197005538 A KR 20197005538A KR 20190034269 A KR20190034269 A KR 2019003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access base
source access
r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178B1 (ko
Inventor
하이양 ?
찬드리카 쿠무디네 워렐
리 천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03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8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different R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Abstract

본 개시는,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은,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본 출원은 2016년 7월 29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610620971.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응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the 5th Generation (5G)mobile communication systems)의 수요 및 목표에 있어서,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과 5G 시스템의 밀결합 연동(tight interworking)을 지원해야 하고, 5G 시스템의 연구에는, 신규 상태/서브 상태, 즉, 비활성 상태를 도입하게 된다. 당해 상태와 아이들 상태의 차이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측에 사용자 기기의 컨텍스트 정보(User Equipment(UE) context)를 보류한다는 것에 있고; 통상의 접속 상태와의 차이점은, 단말기에 할당되는 전용 자원이 없고, 이동성 또한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는 사전 구성된 범위 내에서 셀이 제선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성을 제어 가능하다는 것에 있다. 네트워크 배치에 5G 시스템과 LTE 시스템이 동시에 존재하고, 상호간에 밀결합된 상황하에서, 두 시스템의 기지국이 모두 동일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상황이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이러한 상황하에서,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해야 하거나,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사용자가 다른 시스템으로 이동하여 작업해야 할 때, 어떻게 접속 상태와 비활성 상태의 전환 및 단말기 경로의 전이를 실현할 것인가는 하는 것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하여, 두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단말기 상태 전환 및 경로 전이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와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것이다.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통해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한다.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상기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복구하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 및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재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에 할당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동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1 획득 모듈;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및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는,
RRC 메시지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접속 요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 이전의 듀얼 접속 상태에 있을 때,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다.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모두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이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복구하고, 복구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복구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는,
만약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유지할 것을 통지하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RAT 타입이 동일한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에 할당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동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제3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3 획득 모듈;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4 획득 모듈;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접속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제3 획득 모듈은, RRC 메시지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링크 접속 요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 이전의 듀얼 접속 상태에 있을 때,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수신했을 때,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결정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결정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한 기지국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5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5 획득 모듈; 및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도록 제어하는 제1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6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6 획득 모듈;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한 기지국은, 제7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도록 제어하는 제1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및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기술 방안에 있어서,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함으로써,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하고,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며, 일부 코어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출원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들에 기초하여 기타 도면들을 얻을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하기 도면들은 실제 치수 등 축척대로 축소하여 제작된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요지를 나타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의 일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의 다른 일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의 또 다른 일 방법의 인터렉션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의 일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인터렉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의 다른 일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인터렉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의 또 다른 일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인터렉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단말기 경로 전이의 또 다른 일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인터렉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일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의 또 다른 일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일 구조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의 일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또 다른 일 구조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일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또 다른 일 구조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또 다른 일 구조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다른 일 구조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이점을 더욱 뚜렷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을 명확하고도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전부의 실시예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본 개시에서의 실시예를 토대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얻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하여, 두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할 때, 어떻게 단말기 상태의 전환 및 경로 전이를 실현할 것인가 하는 과제를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프라이머리 기지국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세컨더리 기지국이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5G 기지국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이볼브드 노드 B(eNB, 기지국)일 수 있고; 또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eNB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5G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동시에 당해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기의 일부 서비스가 완료되고, 단말기에 데이터 전송이 그다지 많지 않을 때,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리고,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102: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단말기는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다.
단계 103: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서로 다른 RAT에 대하여 서로 다른 단말기 식별 정보를 갖는다.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하고, 이동 과정에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변경이 발생했을 때, 상응하는 RAT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당해 링크 접속 요청은, 구체적으로는, 상응하는 링크 복구 요청 또는 페이징 수신 요청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은,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함으로써,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하고,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며, 일부 코어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기 상태 전환 방법을 더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프라이머리 기지국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세컨더리 기지국이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이다. 예컨대, 구체적으로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5G 기지국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eNB일 수 있고; 또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eNB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5G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동시에 당해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기의 일부 서비스가 완료되고, 단말기에 데이터 전송이 그다지 많지 않을 때,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리고,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202: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것이다.
여기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린 후, 상기 단말기를 위해 구성한 링크 정보이고,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제1 RAT하에서 사용하는 식별 정보이다.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린 후,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는, 단말기가 제2 RAT하에서 사용하는 식별 정보이다.
단계 203: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단말기는, 상기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 후,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다.
단계 204: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구체적으로는, RRC 메시지를 통해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또는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상응하는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고, 나아가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단말기 및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확립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가 사전 구성된 활성 영역(상기한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에서 이동하고, RAT이 변경될 때, 상응하는 RAT의 링크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페이징 수신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응하는 링크 복구 과정을 진행한다. 단말기가 사전 구성된 활성 영역(상기한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상기한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을 때, 상응하는 RAT의 링크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링크 복구를 진행한다.
진일보하여, 상기한 단계 204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상기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에서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 이동했을 때, 즉,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에서 이동하나, RAT에 변경이 발생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단말기가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에는, 절환 과정을 통해 위치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
진일보하여, 상기한 단계 204에 있어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접속 요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접속된 소스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하여,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RAT 타입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정확하게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접속된 소스 액세스 기지국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복구하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렸을 때,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거나 일시 중지하도록 통지한다. 단말기의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일 때,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가 리포팅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접속된 소스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접속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을 확정하고,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당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링크 복구 조작을 수행하고,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당해 UE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느 결정을 내렸을 때, 당해 단말기의 완전한 컨텍스트 정보를 제 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저장하고, 제 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거나 또는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한다. 단말기의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일 때,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가 리포팅한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당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링크 복구 조작을 수행하고,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당해 UE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상기한 단계 204에 있어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 및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당해 링크 접속 요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접속된 소스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 정보를 더 포함하여,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RAT 타입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정확하게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기 전에 접속된 소스 액세스 기지국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여기서, 만약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 및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모두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고; 또는,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만약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진일보하여,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상태 전환 방법은,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재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에 할당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동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의 재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구성에 따라 후속의 상응하는 행위를 진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은, 단말기가 두 시스템 듀얼 접속상태에 있는 상황하에서,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해야 한다고 판단했을 때, 단말기에 비활성 상태로 진입할 것을 통지하고, 서로 다른 RAT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를 구성하고, 각각의 RAT에 대응되는 링크 구성 정보는, 하나의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기가 당해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에서 이동할 때, 절환 과정을 통해 위치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사전 구성된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액세스 또는 구성 복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고, 코어 네트워크의 일부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 도 3을 결부시켜, 단말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 및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사이의 인터렉션 플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제1 RAT를 통해 단말기와 통신 접속을 진행하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제2 RAT를 통해 단말기와 통신 접속을 진행하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접속된다.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인터렉션 플로는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린다.
단계 302: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고,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확정한다.
여기서,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은,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구성한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구성한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구성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구성한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선택 가능하게, 제1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303: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고, 상기한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304: 단말기는,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다른 시스템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에 진입한다.
도면에서는,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을 상기한 다른 시스템 기지국으로 하고 있다.
단계 305: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RRC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306: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UE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한다.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307: 제2 기지국은,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이로써,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단말기의 경로 전이를 완료한다. 시스템간 전이 시, 일부 코어 네트워크의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
이하, 예로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의 몇몇 구체적인 응용 상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eNB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5G 기지국이고, eNB가 프라이머리 기지국이고, 5G 기지국이 세컨더리 기지국이며, 두 기지국이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도 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01: eNB는,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린다.
단계 402: eNB는, 5G 기지국으로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403: 5G 기지국은, eNB로 5G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릴리스한다.
당해 5G 링크 구성 정보는, 5G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일부 서비스가 완료되고, 단말기에 데이터 전송이 그다지 많지 않을 때, eNB는,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inactive)에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린다. 이 경우, 먼저 5G 기지국과 협상을 진행하여, UE가 5G 기지국상에서 링크 복구를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허용하면, 5G 기지국은 당기 RAT하에서 UE가 사용하는 비활성 상태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inactive UE ID) 및 관련 활성 영역 등 정보를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릴리스해야 한다.
단계 404: eNB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LTE 링크 구성 정보 및 5G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한다.
LTE 링크 구성 정보는, LTE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표시를 통해 단말기에 inactive 상태에 진입할 것을 통지하고, 멀티 RAT의 inactive UE ID 및 그 활성 영역을 제공한다.
단계 405: 단말기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고,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5G 커버리지 범위에 진입하여, 5G 기지국으로 5G 단말기 식별자 및 LTE 단말기 식별자를 캐리하는 RRC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단말기가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후, inactive 상태에 진입하고, 관련 구성 정보를 보류한다.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에서 이동하여 다른 한 RAT의 활성 영역에 진입했을 때, 단말기는, 상응하는 RAT의 관련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페이징 수신 또는 업링크 복구를 진행한다.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하여 다른 한 RAT에 진입했을 때, 상응하는 RAT상의 RRC 접속 확립 요청 또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접속 복구 요청 메시지 등을 개시할 수 있는데,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당해 RAT가 사용하는 inactive UE ID를 캐리하고, 또는, 소스 RAT의 inactive UE ID와 RAT 타입 정보를 동시에 리포팅할 수도 있다.
단계 406: 5G 기지국은, LTE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eNB로부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5G 기지국은,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제공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원래 접속된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 다음, 당해 기지국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UE context를 획득하는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여기서, 5G 기지국은, 반드시 단말기가 원래 액세스한 5G 기지국이라는 것은 아니다.
단계 407: 5G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으로 경로 전이 요청을 송신한다.
5G 기지국은, 상기한 소스 액세스 기지국의 응답을 수신한 후, 획득한 UE context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로의 경로 전이를 진행하여, 경로를 당해 5G 기지국으로 전이시킨다.
단계 408: 코어 네트워크는, eNB에 당해 단말기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한다.
단계 409: 코어 네트워크는, 5G 기지국으로 경로 전이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410: 5G 기지국은,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당해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당해 단말기를 위해 재구성을 진행한 후, 만약 5G 기지국에 아직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으면, 단말기가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만약 5G 기지국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없으면, 단말기가 inactive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신규 inactive UE ID를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5G 기지국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eNB이고, 5G 기지국이 프라이머리 기지국이고, eNB가 세컨더리 기지국이며, 두 기지국이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01: 5G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린다.
단계 502: 5G 기지국은, eNB로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고,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503: eNB는, 5G 기지국으로 eNB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릴리스한다.
당해 LTE 링크 구성 정보는, LTE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일부 서비스가 완료되고, 단말기에 데이터 전송이 그다지 많지 않을 때, 5G 기지국은, 단말기가 inactive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리고, eNB는 시스템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당해 RAT하에서 UE가 사용하는 inactive UE ID 및 관련된 활성 영역 등 정보를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릴리스한다.
단계 504: eNB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LTE 링크 구성 정보 및 5G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한다.
5G 링크 구성 정보는 5G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표시를 통해 단말기에 inactive 상태에 진입할 것을 통지하고, 멀티 RAT의 inactive UE ID 및 그 활성 영역을 제공한다.
단계 505: 단말기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고,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eNB 커버리지 범위에 진입하여, eNB로 5G 단말기 식별자 및 LTE 단말기 식별자를 캐리하는 RRC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단말기가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후, inactive 상태에 진입하고, 관련 구성 정보를 보류한다.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에서 이동하여 다른 한 RAT의 활성 영역에 진입했을 때, 단말기는, 상응하는 RAT의 관련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페이징 수신 또는 업링크 복구를 진행한다.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하여 다른 한 RAT에 진입했을 때, 상응하는 RAT상의 RRC 접속 확립 요청 또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접속 복구 요청 메시지 등을 개시할 수 있는데,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당해 RAT가 사용하는 inactive UE ID를 캐리하고, 또는, 소스 RAT의 inactive UE ID와 RAT 타입 정보를 동시에 리포팅할 수도 있다.
단계 506: eNB는, LTE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로 경로 전이 요청을 송신한다.
eNB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자체에 저장된 UE context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의 경로 전이를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여기서, eNB는, 반드시 단말기가 원래 액세스한 eNB라는 것은 아니다.
단계 507: 코어 네트워크는, 5G 기지국에 당해 단말기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한다.
단계 508: 코어 네트워크는, eNB로 경로 전이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509: eNB는,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당해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당해 단말기를 위해 재구성을 진행한 후, 만약 eNB에 아직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으면, 단말기가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만약 eNB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없으면, 단말기가 inactive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신규 inactive UE ID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시나리오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단말기가 원래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이출하여 액세스한 기지국은 반드시 원래 세컨더리 기지국으로서 역할을 하던 기지국이라는 것은 아니고, 도 4 및 도 5에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한 시스템의 기지국임을 나타낸다. 만약 액세스한 기지국이 원래의 세컨더리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이면, 액세스한 당해 기지국은, 단말기기 컨텍스트 정보 페칭(UE context fetch)과정을 이용하여 오리지널 프라이머리 기지국 또는 세컨더리 기지국을 통해 당해 UE의 context를 획득하고, 그 접속을 복구해야 한다.
또 다른 일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상기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시나리오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용 시나리오 2에서의 세컨더리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릴리스하지 않고, 당해 접속을 일시 중지한다. 단말기가 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해야 할 때, 다시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일시 중지된 접속을 복구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경로 전이를 진행할 필요 없이, 원래의 프라이머리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로를 일시 중지하고, 현재 RAT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로를 복구한다.
상기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5G 기지국이고,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eNB이고, 5G 기지국이 프라이머리 기지국이고, eNB가 세컨더리 기지국이며, 두 기지국이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601: 5G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린다.
단계 602: 5G 기지국은, eNB로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고,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603: eNB는, 5G 기지국으로 eNB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일시 중지한다.
당해 LTE 링크 구성 정보는, LTE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단말기의 일부 서비스가 완료되고, 단말기에 데이터 전송이 그다지 많지 않을 때, 5G 기지국은, 단말기가 inactive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리고, eNB는 시스템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당해 RAT하에서 UE가 사용하는 inactive UE ID 및 관련된 활성 영역 등 정보를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릴리스한다.
단계 604: eNB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LTE 링크 구성 정보 및 5G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한다.
5G 링크 구성 정보는, 5G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표시를 통해 단말기에 inactive 상태에 진입할 것을 통지하고, 멀티 RAT의 inactive UE ID 및 그 활성 영역을 제공한다.
단계 605: 단말기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고,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eNB 커버리지 범위에 진입하여, eNB로 5G 단말기 식별자 및 LTE 단말기 식별자를 캐리하는 RRC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단말기가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 후, inactive 상태에 진입하고, 관련 구성 정보를 보류한다.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에서 이동하여 다른 한 RAT의 활성 영역에 진입했을 때, 단말기는, 상응하는 RAT의 관련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페이징 수신 또는 업링크 복구를 진행한다.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하여 다른 한 RAT에 진입했을 때, 상응하는 RAT상의 RRC 접속 확립 요청 또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접속 복구 요청 메시지 등을 개시할 수 있는데,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당해 RAT가 사용하는 inactive UE ID를 캐리하고, 또는, 소스 RAT의 inactive UE ID와 RAT 타입 정보를 동시에 리포팅할 수도 있다.
단계 606: eNB는, LTE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로 경로 전이 요청을 송신한다.
eNB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자체에 저장된 UE context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의 경로 전이를 진행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여기서, eNB는, 반드시 단말기가 원래 액세스한 eNB라는 것은 아니다.
단계 607: eNB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복구한다.
단계 608: 코어 네트워크는, 5G 기지국에 당해 단말기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한다.
단계 609: eNB는,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당해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당해 단말기를 위해 재구성을 진행한 후, 만약 eNB에 아직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으면, 단말기가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만약 eNB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없으면, 단말기가 inactive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신규 inactive UE ID를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기지국이, 단말기가 inactive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렸을 때, 단말기에 멀티 RAT 관련 구성 정보를 제공한다. 프라이머리 기지국 및 세컨더리 기지국은 모두 당해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기는 수시로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내의 임의의 RAT에서 데이터 송신 또는 페이징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했을 때, 임의의 RAT상에서 액세스하고, 링크 재구성을 진행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단말기는 양 RAT의 UE ID 정보를 제공한다.
제1 RAT 프라이머리 기지국과 제2 RAT 세컨더리 기지국이 동시에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도 7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인터렉션 플로는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701: 제1 RAT 소스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린다.
단계 702: 제1 RAT 프라이머리 기지국은, 제2 RAT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고,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703: 제2 RAT 세컨더리 기지국은, 제1 RAT 프라이머리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당해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RAT에 대응되는 제2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단계 704: 제1 RAT 프라이머리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한다.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RAT에 대응되는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두 기지국 모두에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단말기를 위해 상응하는 시스템에서의 자원을 신속하게 복구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단축시킨다.
단계 705: 단말기는,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고,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RRC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706: 액세스 기지국은,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제1 RAT 프라이머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또는,
단계 707: 액세스 기지국은,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제2 RAT 세컨더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708: 액세스 기지국은, 획득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로 경로 전이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709: 코어 네트워크는, 액세스 기지국과 RAT 타입이 동일한 제1 RAT 프라이머리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한다. 또는,
단계 710: 코어 네트워크는, 액세스 기지국과 RAT 타입이 동일한 제2 RAT 세컨더리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한다.
단계 711: 코어 네트워크는, 액세스 기지국으로 경로 전이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712: 액세스 기지국은,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한 각각의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만약 단말기가 한개의 RAT상에서 액세스하고, 네트워크측이, 단말기가 접속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결정을 내렸을 경우, 다른 기지국이 당해 사용자 관련 접속을 릴리스하거나 관련 UE context를 릴리스하도록 지시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은,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함으로써,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하고,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며, 일부 코어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기(800)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800)는,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80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1 획득 모듈(801);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802); 및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처리 모듈(803);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804);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803)은, RRC 메시지를 통해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803)은,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상기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고;
상기 처리 모듈(803)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서브 모듈(8031);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복구하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복구 서브 모듈(8032)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 및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고;
상기 처리 모듈(803)은,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서브 모듈(8033);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접속 서브 모듈(8034);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재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8 획득 모듈(805);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에 할당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동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당해 단말기는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는 단말기이고, 상기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당해 단말기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함으로써,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하고,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며, 일부 코어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9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타깃 액세스 기지국에 적용되며,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901: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는, RRC 메시지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한다.
상기 링크 접속 요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 이전의 듀얼 접속 상태에 있을 때,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다.
상기한 링크 접속 요청은, 구체적으로는, RRC 접속 확립 요청 또는 위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접속 복구 요청 메시지 등일 수 있고, 당해 링크 접속 요청은, 구체적으로는,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하거나 또는 RAT에 변화가 발생했을 때 송신한 것일 수 있다.
단계 902: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모두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903: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킨다.
여기서,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이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킨다.
진일보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만약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복구하고, 복구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킨다.
진일보하여, 복구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만약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유지할 것을 통지하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킨다.
진일보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RAT 타입이 동일한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에 할당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동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고;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킴으로써,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며, 일부 코어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100)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제3 획득 모듈(1001)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3 획득 모듈(1001);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4 획득 모듈(1002);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접속 모듈(1003);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제3 획득 모듈(1001)은, RRC 메시지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링크 접속 요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 이전의 듀얼 접속 상태에 있을 때,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제4 획득 모듈(1002)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제4 획득 모듈(1002)은,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모두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만약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듈(1003)은,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이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 모듈(1004);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듈은, 만약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복구하고, 복구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한 통지 모듈(1004)은 또한,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듈은, 만약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유지할 것을 통지하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모듈(1004)은 또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RAT 타입이 동일한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 모듈(1005);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에 할당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동 가능 영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고;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킴으로써,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며, 일부 코어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11: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다.
당해 단계 111 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수신했을 때,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단계 112: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두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을 실현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200)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1200)은,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결정 모듈(120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결정 모듈(1201);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12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1203);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5 획득 모듈(1204)에 있어서,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5 획득 모듈(1204); 및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1205)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송신 모듈(1205);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수신했을 때,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하기 위한 제5 송신 모듈(1206);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컨텍스트 획득 모듈(1207);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6 송신 모듈(1208);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두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을 실현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31: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다.
단계 132: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도록 제어하는 제1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고;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두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을 실현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1400)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1400)은,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6 획득 모듈(1401)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6 획득 모듈(1401);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1402)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송신 모듈(14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제7 획득 모듈(14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획득 모듈(1403)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도록 제어하는 제1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고;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두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을 실현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목적을 더 바람직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도 1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당해 단말기는, 프로세서(1500);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500)와 접속되는 메모리(1520);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1500)와 접속되는 송수신기(1510); 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1510)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프로세서(1500)가 상기 메모리(15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할 때, 하기 기능 모듈들을 구현한다: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1 획득 모듈;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및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처리 모듈.
프로세서(1500)는, 메모리(1520)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1510)를 통해,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상기 송수신기(1510)를 통해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1510)는, 프로세서(15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에 있어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5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5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서로 연결시킨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510)는 복수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유저 인터페이스(1530)는 또한,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필요 기기를 외부 연결 및 내부 연결가능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5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520)는 프로세서(15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세서(1500)는,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고; 비활성 상태에 있는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실현하고,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며, 일부 코어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목적을 더 바람직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도 1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당해 기지국은, 프로세서(1600);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600)와 접속되는 메모리(1620);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1600)와 접속되는 송수신기(1610); 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1610)를 통해 데이터 정보 또는 파일럿을 송신하고, 또한 상기 송수신기(1610)를 통해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프로세서(1600)가 상기 메모리(16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할 때, 하기 기능 모듈들을 구현한다: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제3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3 획득 모듈;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4 획득 모듈;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접속 모듈.
상기 프로세서(1600)는, 메모리(16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1610)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송수신기(1610)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1610)는, 프로세서 (1600)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6에 있어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6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6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서로 연결시킨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610)는 복수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620)는 프로세서(16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620)는 프로세서(16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1600)는,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고;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비활성 상태하에서의 경로 전이를 실현하며, 일부 코어 네트워크 인증 프로세스를 스킵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네트워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목적을 더 바람직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당해 기지국은,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메모리;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송수신기; 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데이터 정보 또는 파일럿을 송신하고, 또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할 때, 하기 기능 모듈들을 구현한다: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결정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결정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및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서로 연결시킨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복수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이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두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을 실현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목적을 더 바람직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당해 기지국은,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메모리;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송수신기; 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데이터 정보 또는 파일럿을 송신하고, 또한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다.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할 때, 하기 기능 모듈들을 구현한다: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6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6 획득 모듈;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송신 모듈.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기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서로 연결시킨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는 복수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고;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두 통신 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을 실현한다.
상기의 설명은 단지 본 개시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일 뿐,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이뤄지는 임의의 수정, 균등 치환, 개량 등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6)

  1.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와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RRC 메시지를 통해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RRC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에서 상기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상기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복구하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 및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이외의 기지국이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의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재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에 할당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동 가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8.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1 획득 모듈;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및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에 있어서,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는,
    RRC 메시지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접속 요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 이전의 듀얼 접속 상태에 있을 때,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 모두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과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의 RAT 타입이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는,
    만약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하고,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복구하고, 복구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복구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는,
    만약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유지할 것을 통지하면,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확립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과 RAT 타입이 동일한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코어 네트워크와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할 것을 통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는,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당해 단말기에 할당한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이동 가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경로 전이 방법.
  21. 기지국에 있어서,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제3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3 획득 모듈;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4 획득 모듈;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기 위한 접속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획득 모듈은, RRC 메시지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링크 접속 요청은,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 이전의 듀얼 접속 상태에 있을 때,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이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에 대응되는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내의 단말기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수신했을 때,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타깃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캐리하는 컨텍스트 획득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27.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결정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결정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송신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5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5 획득 모듈; 및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9.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단계;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도록 제어하는 제1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31. 기지국에 있어서,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6 획득 모듈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제6 획득 모듈;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2. 제31항에 있어서,
    제7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도록 제어하는 제1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릴리스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2 통지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통지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의 접속 경로를 일시 중지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3.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단말기와 제1 RAT를 통해 통신하는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상기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
    비활성 상태에 있는 상기 단말기에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했을 때,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타깃 액세스 기지국으로 링크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타깃 액세스 기지국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4.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한 단말기가 송신한 링크 접속 요청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상기 링크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링크 액세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링크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와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단말기를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5.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및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6.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송신한, 단말기에 대해 비활성 상태 구성을 진행하는 통지 메시지를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송신한 것이고, 상기 듀얼 접속 상태는, 상기 단말기가 제1 RAT를 통해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제2 RAT를 통해 제2 소스 액세스 기지국과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상태인 과정;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따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으로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1 소스 액세스 기지국이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 및 사전 구성된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고, 단말기가 듀얼 접속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1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1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RAT 링크 구성 정보는, 제2 사전 설정 활성 영역 및 제2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과정; 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97005538A 2016-07-29 2017-06-21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211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620971.5A CN107666693B (zh) 2016-07-29 2016-07-29 终端路径转移、控制终端状态转换的方法、终端及基站
CN201610620971.5 2016-07-29
PCT/CN2017/089311 WO2018019057A1 (zh) 2016-07-29 2017-06-21 终端路径转移、控制终端状态转换的方法、终端及基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269A true KR20190034269A (ko) 2019-04-01
KR102211178B1 KR102211178B1 (ko) 2021-02-01

Family

ID=6101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538A KR102211178B1 (ko) 2016-07-29 2017-06-21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19540B2 (ko)
EP (1) EP3493593A4 (ko)
JP (1) JP7086048B2 (ko)
KR (1) KR102211178B1 (ko)
CN (1) CN107666693B (ko)
WO (1) WO2018019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4790A1 (zh) * 2017-10-31 2019-05-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上下文标识的指示方法、获取方法、用户设备及基站
CN111034347A (zh) * 2018-02-14 2020-04-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1277876B2 (en) * 2018-03-30 2022-03-1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vehicle-to-everything communication system
US10993199B2 (en) * 2018-04-05 2021-04-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U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468531B1 (ko) * 2018-05-07 2022-11-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Rrc 연결의 복구 방법 및 복구 장치
JP7083919B2 (ja) 2018-05-07 2022-06-1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Rrc接続をサスペンドする方法および装置、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CN115190626A (zh) * 2018-05-11 2022-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链路恢复的方法和装置
CN110557847B (zh) * 2018-05-30 2024-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602750B (zh) * 2018-06-12 2023-03-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传输链路管理、建立、迁移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CN112703770B (zh) * 2019-01-11 2023-1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rrc连接重建方法及装置、网络设备
WO2020156305A1 (en) * 2019-01-31 2020-08-06 Mediatek Inc. Mobility interruption reduction in multi-rat dual-connectivity (mr-dc)
WO2020223890A1 (en) * 2019-05-07 2020-11-12 Qualcomm Incorporated Dual-connectivity power consumption mitigation
JP7399965B2 (ja) 2019-09-23 2023-12-18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システムの相互運用方法及び装置
CN110691392B (zh) * 2019-10-09 2022-02-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终端标识显示方法和终端标识显示系统
US11206604B1 (en) * 2020-02-24 2021-12-21 Sprint Spectrum L.P. Dynamic control of connections with dual-connectivity-capable devices
CN116112999A (zh) * 2021-11-10 2023-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切换方法、基站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6599A1 (en) * 2013-11-27 2015-05-28 Satish C. Jha Coordination techniques for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management in dual-connectivity archite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9815B2 (en) 2006-02-10 2010-11-23 Alcatel-Lucent Usa Inc. Triggering migration of a network access agent associated with an access terminal
KR20120085635A (ko) * 2011-01-24 2012-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EP2979489A1 (en) * 2013-03-28 2016-0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eserving core network interfaces after selective handovers in a wireless network
KR101748066B1 (ko) 2013-04-15 2017-06-15 아이디에이씨 홀딩스, 인크. 밀리미터 파장(mmw) 이중 접속을 위한 불연속적인 수신(drx) 기법들
WO2014175665A2 (en) 2013-04-23 2014-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activity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008616A1 (ja) 2013-07-19 2015-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10113792B (zh) * 2013-08-05 2021-07-09 富士通互联科技有限公司 源主基站、目标主基站和目标辅基站
WO2015018451A1 (en) * 2013-08-09 2015-02-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se of packet status report from secondary base station to master base station in wireless network
US9635621B2 (en) * 2014-01-17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ations of dual connectivity operation to UE capability
JP2015142363A (ja) 2014-01-30 2015-08-0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再接続要求方法、基地局及び再接続要求処理方法
GB2522673B (en) * 2014-01-31 2016-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ual connectivity
US10367677B2 (en) *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9967801B2 (en) * 2016-06-10 2018-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uthorization information on network slice
MY196663A (en) * 2016-07-25 2023-04-28 Ericsson Telefon Ab L M Coordination of Simultaneous Multi-Rat Camp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46599A1 (en) * 2013-11-27 2015-05-28 Satish C. Jha Coordination techniques for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management in dual-connectivity archite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66693B (zh) 2019-09-17
US20190174421A1 (en) 2019-06-06
WO2018019057A1 (zh) 2018-02-01
KR102211178B1 (ko) 2021-02-01
US11019540B2 (en) 2021-05-25
EP3493593A4 (en) 2020-02-26
JP7086048B2 (ja) 2022-06-17
JP2019522444A (ja) 2019-08-08
EP3493593A1 (en) 2019-06-05
CN107666693A (zh)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178B1 (ko)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EP3562182B1 (en)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method
RU2598585C1 (ru)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sgw, способ связи в терминале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US10512011B2 (en) Control node,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10356835B2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base station
CN107666691B (zh) 一种终端状态转换方法及装置
US10448297B2 (en) Network node,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10531446B2 (en) Radio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6482097B2 (ja) 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の制御方法
CN102870469A (zh) 移动通信系统中的移动通信终端以及方法
CN104918299A (zh) 一种支持ue接入控制的方法
CN104640165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和系统
KR20200004386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2238656A (zh)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切换方法
KR102127723B1 (ko) 방향 변경 방법 및 장치
CN106507318B (zh) 一种针对集群主呼ue的切换判决方法及装置
KR20130038846A (ko) 단말 착호 처리, 테스트 방법 및 장기 진화 시스템
WO2019084715A1 (zh) 切换方法、装置及基站
EP3928561B1 (en) Failure recovery for multi-ue device
KR20210078549A (ko) 데이터 포워딩 방법, 장치, 마스터 기지국 및 세컨더리 기지국
WO2018119567A1 (zh) 用户设备信息的配置方法、装置、基站及核心网设备
CN113163349B (zh) 用于语音业务的通信方法、装置和系统
JP2017103536A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2142875A1 (zh) 一种确定设备类型的方法、系统和设备
JP2022182165A (ja) ユーザ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