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990A - 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 - Google Patents

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990A
KR20190033990A KR1020170122812A KR20170122812A KR20190033990A KR 20190033990 A KR20190033990 A KR 20190033990A KR 1020170122812 A KR1020170122812 A KR 1020170122812A KR 20170122812 A KR20170122812 A KR 20170122812A KR 20190033990 A KR20190033990 A KR 2019003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lide
hinge
bracke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3986B1 (en
Inventor
장용철
구상용
박보근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986B1/en
Publication of KR2019003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54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 device for a vehicle seat to enable a seat back recliner to rotate forwards and a cushion to tip up and slide by one movement for a passenger to comfortably gets in a vehicle by enabling the seat back recliner to rotate forwards and the cushion to tip up and slide by one movement. A back frame (1) forming a backrest, a cushion frame sub-assy (19), and a latch (31) installed in four edges under a cushion frame and installed on a rail are formed for a cushion to tip up and slide by operating a walk-in means (100), a tip-up means (200), and a slide means (300) at the same time by one movement of a passenger.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 device for a 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백 리클라이너 회전력에 의해 슬라이드 및 쿠션 팁업이 동시에 해제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시트백 리클라이너 전방회전과 쿠션 팁업 및 슬라이드를 하나의 동작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에게 편안한 탑승을 제공하도록 한 한 번의 동작으로 시트백 리클라이너 전방회전과 쿠션 팁업 및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which is a workpiece of a vehicle seat in which a slide and a cushion tip-up are simultaneously released by a seat back recliner turning for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seat back recliner forward rotation, a cushion tip up, and a slide to be performed in one operation, thereby enabling a seat back reclining forward rotation, a cushion tip 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in-seat apparatus.

일반적으로 승합차를 비롯하여 RV(Recreational Vehicle) 차량 또는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 등에는 2열 이상의 시트가 장착되고 있다.Generally, two or more seats are mounted on a VVR (Recreational Vehicle) vehicle or an SUV (Sports Utility Vehicle) vehicle.

대개, 프론트 도어를 이용하여 1열 시트에 대한 승하차가 이루어지고, 리어도어(승합차의 경우,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2열 시트에 대한 승하차가 이루어진다.Usually, a front door is used to get in and out of the first-row seat, and a second-row seat is loaded and unloaded using a rear door (in the case of a van, a sliding door).

또한, 3열 시트에 대한 승하차는 상기 리어도어를 통하여 이루어지지만, 2열 시트가 3열 시트쪽 출입통로를 가리고 있기 때문에 상기 2열 시트의 시트백 및 시트쿠션을 폴딩시키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3열 시트쪽 출입통로를 만들어주고 있다.Since the two-row seat covers the entrance and exit passage on the third row seat, the seatback and the seat cushion of the two-row seat are folded, It is creating a passage for the heat sheet.

이에, 3열 시트쪽으로 승객의 승하차 통로를 만들어줄 수 있는 워크인 장치는 대부분 2열 시트에 설치된다.Therefore, most of the work-in devices capable of making passengers' passageways to the three-row seat are installed on the two-row seat.

즉, 상기 1열 시트와 2열 시트는 프론트 도어(front door) 및 리어 도어(rear door)를 통하여 자유롭게 승차 및 하차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row seat and the second row seat can freely board and get off through a front door and a rear door.

그러나 3열 시트의 경우에는 승차 및 하차를 위한 별도의 도어가 없기 때문에 리어도어를 통하여 승차 및 하차를 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hree-row seat, there is no separate door for riding and getting off, so the rider will get on and off through the rear door.

따라서 리어도어로 사용하기 위해 2열 시트에는 시트백을 폴딩하고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이송하는 워크인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Therefore, the second row seat is used as a rear door for folding the seat back and transporting the seat cushion forward.

상기와 같은 워크인 장치는 시트백을 리클라이닝하는 레버와 시트백을 폴딩하는 레버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such a walk-in apparatus, the lever for reclining the seat back and the lever for folding the seat back are generally installed separately.

이러한 경우, 시트백을 폴딩하는 경우에는 시트백을 먼저 리클라이닝한 다음, 시트백을 폴딩하여야 하므로 폴딩 작업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버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되며, 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eat back is folded, the seat back is firstly reclined and then the seat back is folded,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is not smooth. In addition, since the lever needs to be used separately,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the lever occupies a large spac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 번의 레버 작동에 의해 캠을 작동시켜 시트백의 리클라이닝과 폴딩을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차량용 리클 라이너가 개시된 바 있으나, 캠을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메카니즘이 매우 복잡하고 부품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has been disclosed a recliner for a vehicle in which a cam is operated by one lever operation to simultaneously operate reclining and folding of a seatback. However, the operating mechanism for driving the cam is very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49403호(2013.05.14 공개)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49403 (published May 31, 2014)

1. 일본국 공개특허 2009-4241224(2009.01.09 공개)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4241224 (Released on January 1, 2009)

1. 유럽특허 특허 EP 02875990 (2016.09.07 공고) 1. European Patent Patent EP 02875990 (Announced 2016.09.07)

1. 한국 특허공보 제10-0813700호 (2008.03.07 공고)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813700 (published on Mar. 7, 2008)

본 발명은 3열에 탑승시 2열 시트에 의해 탑승 동선이 길어지는 것을 한 번의 동작으로 워크인과 팁업 및 슬라이드 동작이 동시에 가능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eat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walk-in operation, a tipping-up operation, and a slide operation in a single operation in which a boarding line is elongated by a two-row seat when boarding three rows.

본 발명은 등받이를 구성하는 백프레임(1)과,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및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 하부 네모서리에 설치되며, 레일 상에 설치되는 렛치(31)가 탑승자의 한 번의 동작으로 워크인수단(100)과, 팁업수단(200), 슬라이드수단(300)을 동시에 작동시켜 쿠션 팁업 및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frame (1) constituting the backrest,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are provided at the edges, and the legs (31) Up means 100, the tip-up means 200, and the slide means 300 are simultaneously operated to cushion tip-up and slidable.

상기 워크인수단(100)은 백프레임(1) 측면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링크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 및The walk-in means (100) comprises a link link recliner lever (6) installed at a midway point of a side surface of the back frame (1); And

상기 링크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와 연동되게 설치되며, 이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의 작동에 의해 제1힌지(20)를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는 캠 리클 라이너 레버(4); 및A cam recliner lever 4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link link recliner lever 6 and rotated with the first hinge 20 as a fulcrum by operation of the link recliner lever 6; And

상기 캠 리클 라이너 레버(4)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A link recliner lever (3) operated by rotation of the cam recliner lever (4);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백프레임(1)의 양측면에 연장설치된 라이너 코어 브래킷(2); 및A liner core bracket 2 rotated by the link recliner lever 3 and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And

상기 코어 브래킷(2)이 제2 힌지(24) 축을 지지점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백프레임(1)의 타 측면에 설치된 제2 스토퍼(21'); 및A second stopper (21 ')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ck frame (1) while the core bracket (2) rotates with a support point of the second hinge (24) axis; And

상기 제 2스토퍼(21')와 접속되어 회전되는 회전 토크전달 레버(13); 및 상기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의 회전력에 의해 당겨지는 케이블 앗세이(14)와, A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21 'and rotated; And a cable assy 14 pull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상기 케이블 앗세이(14)와 연결되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 부터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한 구속해제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브래킷(2)이 제2 힌지(24) 축을 지지점으로 회전하여 리클 라이너가 해제되어 백프레임(1)이 접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는 백프레임(1)에 설치된 제1 스프링(S1)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connected to the cable assy (14) for releasing restraint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from the back frame (1), wherein the core bracket The link recliner lever 6 is rotated by a first spring S1 provided on the back frame 1 so that the recliner is released and the back frame 1 is folded An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상기 팁업수단(200)은;The tip-up means (200) comprises:

백프레임(1) 좌측면 중간지점에 일단이 스트랩레버(7)가 설치되며 타측은 캠핀(27)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설치된 스트랩브래킷 힌지(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랩브래킷(5); 및A strap lever 7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ft side of the back frame 1 and a strap bracket 7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back frame 1 so as to allow the cam pin 27 to move and to be rotatable by a strap bracket hinge 26 (5); And

일측은 상기 스트랩브래킷 힌지(26)가 삽입 설치되는 가이드구멍(4a)이 형성되며 타측은 힌지(20)에 의 고정되어 회동되는 캠 리클 라이너 레버(4); 및 A cam recliner lever 4 on one side of which is formed a guide hole 4a into which the strap bracket hinge 26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rotated on the hinge 20; And

상기 힌지(20)가 설치된 캠 리클 라이너 레버(4)의 일단에 상기 라이너 코어 브래킷(2)에 설치된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 및A link recliner lever (3) provided on the liner core bracket (2) at one end of a cam recliner lever (4) provided with the hinge (20); And

상기 라이너 코어 브래킷(2) 상단에 설치되며 백프레임(1) 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21,21');를 포함하고, And first and second stoppers (21, 21 ')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liner core brackets (2) and integr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상기 백프레임(1) 우측면에 설치된 제2 스토퍼(21')의 회전 반경 내에 설치되는 회전 토크전달 레버(13); 및A rotation torque transmission lever 13 installed within a rotation radius of a second stopper 21 'installed on a right side surface of the back frame 1; And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설치되는 백프레임(1) 하면 중간 지점 양측에 돌출설치되는 힌지 이너브래킷(15) 및 힌지 아우터브래킷(8);A hinge inner bracket 15 and a hinge outer bracket 8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when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s installed;

상기 힌지 이너브래킷(15)은 쿠션프레임 힌지 볼트(30)에 의해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우측에는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 구속을 해제하여 팁업 상태로 한 구속해제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The hinge inner bracket 15 is fixed to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n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s rotatable by the cushion frame hinge bolt 30.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a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for releasing restraint by the back frame (19) to the tip-up state.

상기 구속해제수단(400)은;The constraint release means (400) comprises: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좌측에 설치되는 탑업 로크 핀(23)에 락킹되어 있는 탑업 로크(16); 및A top lock (16) locked to a top lock pin (23)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상기 탑업 로크(16)의 일단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이너브래킷(15)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S2); 및A second spring S2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op lock 16 and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hinge inner bracket 15; And

상기 탑업 로크(16) 중간 지점은 탑업 로크 힌지(2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와 연결설치된 케이블 앗세이(14)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ddle portion of the top lock 16 is rotatably installed by a top lock hinge 25 and a lower end of the top lock 16 is coupled to a cable assy 14 connected to the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

상기 슬라이드수단(300)은;The slide means (300) comprises:

좌측 백프레임(1) 중간 하단에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설치되 힌지 아우터브래킷(8); 및A hinge outer bracket 8 provided with a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t the middle lower end of the left back frame 1; And

상기 힌지 아우터브래킷(8) 근접위치 하단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을 지지점으로 회동되는 슬라이드 레버(9);A slide lever (9)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inge outer bracket (8) at a position close to the hinge outer bracket (8) and rotated by a supporting point of the slide lever bracket pin (28);

상기 슬라이드 레버(9)와 힌지 아우터브래킷(8)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스프링(S3); 및A third spring (S3) installed between the slide lever (9) and the hinge outer bracket (8); And

상기 슬라이드 레버(9)에 제1 핀(P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슬라이드 레버(10); 및A link slide lever (10) rotatably installed on the slide lever (9) by a first pin (P1); And

상기 링크 슬라이드 레버(10) 타측에 제2 핀(P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l1); 및A slide pin hinge link (11)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slide lever (10) by a second pin (P2); And

상기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l1)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에 연결되어있는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A slide release bracket 12 connected to a slide lever bracket pin 28 provided on the slide pin hinge link 11;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좌측에 설치되는 탑업 로크 핀(23)에 락킹되어 있는 탑업 로크(16); 및A top lock (16) locked to a top lock pin (23)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상기 탑업 로크(16)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해제수단(410)으로 구성된다.And a slide release lever releasing means 41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p lock 16.

상기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해제수단(410)은;The slide release lever releasing means 410 includes:

상기 탑업 로크(16) 하부에 긴 호형상의 제1 가이드구멍(16a);A first guide hole 16a having a long arc shape at the bottom of the top-up lock 16;

상기 탑업 로크(16)과 맞닿은 지점에 위치한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에 동일하게 형성된 제2 가이드구멍(12a);A second guide hole 12a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lide release bracket 12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top lock 16 abuts;

상기 제1 가이드구멍(16a) 및 제2 가이드구멍(12a) 사이에 설치되는 릴리즈 링크(17);A release link 17 provided between the first guide hole 16a and the second guide hole 12a;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 구속을 해제하여 팁업 상태로 한 구속해제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And a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for releasing restraint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to the back frame 1 in a tipping-up state.

본 발명 한 번의 동작으로 워크인과 팁업 및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한 번의 레버조작으로 시트 백의 리클라이닝과 폴딩을 연속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편의 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The vehicle seat capable of performing a walk-in, a tipping-up and a sliding operation by on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operate the reclining and folding of the seat back with a single lever opera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및 쿠션 팁업 해제가 연동되는 차량용 시트의 프레임을 정면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및 쿠션 팁업 해제가 연동되는 차량용 시트의 프레임을 배면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팁업 및 슬라이드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가 탑승자가 한 번의 동작으로 워크인과 팁업 및 슬라이드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f a vehicle seat in which a slide and a cushion tip-up rele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locked, viewed from the fron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f a vehicle seat in which a slide and a cushion tip-up rele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locked, as viewed from the back.
Fig.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work i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tip up and slid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ssenger performs a walk-in operation, a tipping-up operation, and a slide operation in a single ope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등받이를 구성하는 백프레임(1)과,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및 상기 쿠션프레임 하부 네모서리에 설치되며, 레일 상에 설치되는 렛치(31)가 탑승자의 한 번의 동작으로 워크인수단(100)과, 팁업수단(200), 슬라이드수단(300)을 동시에 작동시켜 쿠션 팁업 및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or 2,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provided with a back frame 1 constituting a backrest, a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four cushion frame lower four corners, The tongue 31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ushion tip-up and slidable by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walk-in means 100, the tip-up means 200, and the slide means 300 in a single operation of the passenger.

상기 워크인수단(10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프레임(1) 측면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와,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와 연동되게 설치되며, 이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의 작동에 의해 제1힌지(20)를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는 캠 리클 라이너 레버(4)와, 상기 캠 리클 라이너 레버(4)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와,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백프레임(1)의 양측면에 연장설치된 라이너 코어 브래킷(2)와, 상기 코어 브래킷(2)이 제2 힌지(24) 축을 지지점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백프레임(1) 타 측면에 설치된 제2 스토퍼(2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 2스토퍼(21')와 접속된 회전 토크전달 레버(13)를 회전하고, 상기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의 회전력에 의해 당겨지는 케이블 앗세이(14)와, 상기 케이블 앗세이(14)와 연결되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부터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한 구속해제수단(400)으로 구성된다.1 or 3, the work-in means 100 includes a link recliner lever 6 installed at a midpoint of a side surface of the back frame 1, and a link reclining lever 6 interlocked with the link recliner lever 6 A cam recliner lever 4 which is rotated with the first hinge 20 as a fulcrum by the operation of the link recliner lever 6 and a cam recliner lever 4 which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am recliner lever 4 A liner core bracket 2 rotated by the link recliner lever 3 and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and a second liner core bracket 2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link recliner lever 3, The second stopper 2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ck frame 1 is rotated while the rotation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21' And is pull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Connected to the block Aw sage 14, the cable Aw sage 14 and is composed of a restraint releasing unit 400 for releasing the restraint cushion sub frame Aw sage 19 from the back frame (1).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는 가죽 끝이나 합성피혁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금속편(7a)이 형성되어 스트랩브래킷(5)에 핀 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The link recliner lever 6 is made of leather or synthetic leather or synthetic resin. The link recliner lever 6 is formed with a metal piece 7a at one end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strap bracket 5 by a pin or a hinge.

상기 팁업수단(200)은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프레임(1) 좌측면 중간지점에 일단이 스트랩레버(7)가 설치되며 타측은 캠핀(27)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설치된 스트랩브래킷 힌지(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랩브래킷(5)과, 일측은 상기 스트랩브래킷 힌지(26)가 삽입 설치되는 가이드구멍(4a)이 형성되며 타측은 힌지(20)에 의 고정되어 회동되는 캠 리클 라이너 레버(4)와, 상기 힌지(20)가 설치된 캠 리클 라이너 레버(4)의 일단에 상기 라이너 코어 브래킷(2)에 설치된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와, 상기 라이너 코어 브래킷(2) 상단에 설치되며 백프레임(1) 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21,21')를 포함하고, 상기 백프레임(1) 우측면에 설치된 제2 스토퍼(21')의 회전 반경 내에 설치되는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와,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설치되는 백프레임(1) 하면 중간 지점 양측에 돌출설치되는 힌지 이너브래킷(15) 및 힌지 아우터브래킷(8)와, 상기 힌지 이너브래킷(15)은 쿠션프레임 힌지 볼트(30)에 의해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우측에는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 구속을 해제하여 팁업 상태로 한 구속해제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or 4, the tip-up means 200 is provided with a strap lever 7 at one end at an intermediate point on the left side of the back frame 1 and a cam pin 27 A strap bracket 5 rotatably installed by a strap bracket hinge 26 provided at the center and a guide hole 4a through which the strap bracket hinge 26 is inserted is formed at one side and a guide hole 4a is formed at the other side by a hinge 20, A link recliner lever 3 provided on the liner core bracket 2 at one end of a cam recliner lever 4 provided with the hinge 20, And first and second stoppers (21, 21 ')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liner core brackets (2) and integr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A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provid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stopper 21 ' A hinge inner bracket 15 and a hinge outer bracket 8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 frame 1 on which the frame frame subassembly 19 is installed and the hinge inner bracket 15,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s fixed by the bolt 30 in a rotatable state and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s restrained to the right side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by the back frame 1 And a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for releasing the tie-up state.

상기 구속해제수단(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좌측에 설치되는 탑업 로크 핀(23)에 락킹되어 있는 탑업 로크(16)과, 상기 탑업 로크(16)의 일단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이너브래킷(15)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S2)과, 상기 탑업 로크(16) 중간 지점은 탑업 로크 힌지(2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와 연결설치된 케이블 앗세이(14)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FIG. 4, the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includes a top lock 16 locked to a top lock pin 23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a second spring S2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hinge inner bracket 15 and a middle point between the top lock 16 and the top lock hinge 25 so as to be rotatabl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cable assy 14 connected to the rotation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

상기 슬라이드수단(300)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백프레임(1) 중간 하단에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설치되 힌지 아우터브래킷(8)와, 상기 힌지 아우터브래킷(8) 근접위치 하단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을 지지점으로 회동되는 슬라이드 레버(9)와, 상기 슬라이드 레버(9)와 힌지 아우터브래킷(8)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스프링(S3)과, 상기 슬라이드 레버(9)에 제1 핀(P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슬라이드 레버(10)와, 상기 링크 슬라이드 레버(10) 타측에 제2 핀(P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l1)와, 상기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l1)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에 연결되어있는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으로 구성된다.1 or 4, the slide unit 300 includes a hinge outer bracket 8 provided with a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t the middle lower end of the left back frame 1, A slide lever 9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ximal position of the slide lever 9 and rotated by the support point of the slide lever bracket pin 28 and a third spring S3 A link slide lever 10 rotatably mounted on the slide lever 9 by a first pin P1 and a second pin P2 which is rotat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slide lever 10 And a slide release bracket 12 connected to a slide lever bracket pin 28 provided on the slide pin hinge link 11.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버(9)는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레버(9)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 슬라이드 레버(10)에 의해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l1)를 회전키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11)는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을 통해 연결되어있는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을 움직이며 슬라이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The slide lever 9 is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slide lever bracket pin 28 and the slide pin hinge link 11 is rotated by the link slide lever 10 connected to the slide lever 9 And the slide pin hinge link 11 is configured to move the slide release bracket 12 connected via the slide lever bracket pin 28 to release the slide.

이때,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쿠션 링크 파이프(29)에 의해 시트 양쪽 설치된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18)의 락이 동시에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slide release lever 18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at is simultaneously released by the slide release lever cushion link pipe 29.

또한, 상기 탑업 로크(16)의 하부에는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해제수단(410)이 설치되어 있다.Further, a slide release lever releasing means 410 is provided below the top lock 16.

상기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해제수단(4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업 로크(16) 하부에 긴 호형상의 제1 가이드구멍(16a)과, 상기 탑업 로크(16)과 맞닿은 지점에 위치한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에 동일하게 형성된 제2 가이드구멍(12a)과, 상기 제1 가이드구멍(16a) 및 제2 가이드구멍(12a) 사이에 설치되는 릴리즈 링크(17)과,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 구속을 해제하여 팁업 상태로 한 구속해제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5, the slide release lever releasing means 410 includes a first guide hole 16a having a long arc shape at the bottom of the top lock 16 and a second guide hole 16b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top slide lock 16 is in contact with the top lock 16 A second guide hole 12a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lease bracket 12 and a release link 17 provided between the first guide hole 16a and the second guide hole 12a, And a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for releasing the restraint by the back frame (19) to the tip-up state.

상기 구속해제수단(400)을 구성하는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와 연결설치된 케이블 앗세이(14)가 동작하면 상기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과 탑업 로크(16)은 릴리즈 링크(17)을 기점으로 좌우로 제안적으로 움직인다.The slide release bracket 12 and the top-up lock 16 move the release link 17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cable assy 14 connected to the rotation torque transmission lever 13 constituting the constraint release means 400 is operated, To the left and right.

즉, 상기 탑업 로크(16)은 탑업 로크 힌지(25)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고, 이 힘은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의 제2 가이드구멍(12a)에 전달되어 동일방향으로 당겨져 상기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와 접속하고 있던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구속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는 렛치(31)가 자유롭게 이동된다.5, and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guide hole 12a of the slide release bracket 12, and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guide hole 12a of the slide release bracket 12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restraint is released from the slide rail connected to the slide release bracket 12 and the latch 31 mounted on the slide rail is freely moved.

이때, 상기 백프레임(1) 양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 사이에는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쿠션 링크 파이프(29)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은 동시에 동작한다.At this time, a slide release lever cushion link pipe 29 is integrally installed between the slide release brackets 1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so that the slide release bracket 12 operates simultaneously.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및 쿠션팁업 해제가 연동되는 차량용 시트는 다음과 같이 작용된다. Therefore, the vehicle seat in which the slide and the cushion tip up releas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interlocked works as follows.

본 발명은 한 동작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나 편의상 워크인동작, 팁업동작, 슬라이드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urrently performed by one operation, but for convenience sake, a walk-in operation, a tipping-up operation, and a slide operation are separately described.

워크인Walk in  city

먼저, 탑승자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를 위로 잡아당기면 제1 힌지(2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에 연결설치된 캠 레버(4)가 동시에 회전된다. First, when the passenger pulls up the link recliner lever 6 shown in Fig. 1 or Fig. 3, it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20, and when the cam is connected to the link recliner lever 6, The lever 4 is rotated at the same time.

그러면, 캠 레버(4)는 제1 힌지(2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를 당기고, 이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는 리클 라이너 코어 브래킷(2)을 회전시킨다.Then, the cam lever 4 pulls the link recliner lever 3 while rotating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20, and this link recliner lever 3 rotates the recliner core bracket 2 .

상기 리클 라이너 코어 브래킷(2)이 제2 힌지(24)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리클 라이너가 해제되고 등받이(1)가 접히게 된다.The recliner core bracket 2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24 so that the recliner is released and the backrest 1 is folded.

이때, 상기 스토퍼(21)은 등받이(1)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1)가 회전함과 동시에 스토퍼(21)도 회전한다. At this time, the stopper 21 is joined to the backrest 1, and the stopper 21 is rotated as the backrest 1 rotates.

상기 스토퍼(21)가 회전하면서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토크전달 레버(13)는 등받이(1)의 회전력의 영향을 받아 리클 라이너 힌지(2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케이블 앗세이(14)를 잡아당긴다. The stopper 21 is rotat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and the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is mov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cliner hinge 24 under the influence of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ackrest 1 While pulling, pull the cable assy (14).

그러면, 상기 케이블 앗세이(14)와 연결된 팁업 슬라이드 링크 핀(22)이 당겨지면서 팁업로크(16)은 팁업로크 힌지(2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며 팁업로크 핀(23)과 분리된다.Then, the tip up lock link pin 22 connected to the cable assy 14 is pulled so that the tip up lock 16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ip up lock hinge 25 and is separated from the tip up lock pin 23.

이때,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18)는 스트랩 브래킷 힌지(26)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락(LOCK)이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slide release lever 18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strap bracket hinge 26, and the lock is released.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쿠션 링크 파이프(29)에 의해 시트 양쪽 설치된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18)의 락이 동시에 해제된다. At the same time, the slide release lever 18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at is simultaneously released by the slide release lever cushion link pipe 29.

작동 이후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는 제1 스프링(S1)에 의해 초기상태로 돌아간다.After operation, the link recliner lever 6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first spring S1.

팁업 시Tipping time

탑승자가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스트랩레버(7)를 당기면 스트랩브래킷(5)은 스트랩브래킷 힌지(26)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캠핀(27)을 리클 라이너 레버 힌지(2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When the occupant pulls the strap lever 7 shown in Fig. 2 or Fig. 4, the strap bracket 5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strap bracket hinge 26 and moves the cam pin 27 to the recliner lever hinge 20, In the clockwise direction.

이것은 캠 리클 라이너 레버(4)를 리클 라이너 레버 힌지(2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가 당겨지고, 리클 라이너 코어 브래킷(2)을 회전시킨다. This rotates the cam recliner lever 4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cliner lever hinge 20. Through this, the link recliner lever 3 is pulled, and the recliner core bracket 2 is rotated.

그러면, 상기 리클 라이너 코어 브래킷(2)이 회전하며서 리클 라이너가 해제되고 등받이(1)가 접히게 된다.Then, the recliner core bracket 2 is rotated so that the recliner is released and the back 1 is folded.

이때, 스토퍼(21)는 등받이(1)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1)가 회전함과 동시에 스토퍼(21)도 회전한다. At this time, the stopper 21 is provided on the back 1, and the stopper 21 is rotated as the back 1 rotates.

그러면 상기 스토퍼(21)가 회전하면서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 토크전달 레버(13)는 등받이(1)의 회전력의 영향을 받아 리클 라이너 힌지(2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케이블 앗세이(14)를 당긴다. The stopper 21 is rotat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and the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is mov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cliner hinge 24 under the influence of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ackrest 1 And pulls the cable assy (14).

상기 케이블 앗세이(14)와 연결된 팁업 슬라이드 링크 힌지(22)가 당겨지면서 탑업 로크(16)은 탑업 로크 힌지(2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돌며 탑업 로크 핀(23)과 분리되고,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18)는 스트랩 브래킷 힌지 핀(26)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락이 해제된다. Up hook 16 connected to the cable assy 14 is pulled so that the top lock 16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p lock hinge 25 and separated from the top lock pin 23, The lever 18 is releas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the strap bracket hinge pin 26 as a reference.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쿠션 링크 파이프(29)에 의해 시트 양쪽 설치된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18)의 락이 동시에 해제된다. The slide release lever 18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at by the slide release lever cushion link pipe 29 is released simultaneously.

작동 이후 스트랩 레버(7)는 캠 리클 라이너 레버(4)가 리클 라이너 레버 힌지 핀(2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초기상태로 돌아간다.After the operation, the strap lever 7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while the cam recliner lever 4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cliner lever hinge pin 20.

시트 슬라이드 시On sheet slide

탑승자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 레버(9)는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연결되어 있는 링크 슬라이드 레버(10)에 의해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l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The slide lever 9 shown in Figs. 2 to 5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ide lever bracket pin 28, and the link slide lever 10 connected thereto rotates the slide pin hinge link 11 ) In the clockwise direction.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11)는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을 통해 연결되어있는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을 움직이며 슬라이드를 해제시킨다.The slide pin hinge link 11 moves the slide release bracket 12 connected via the slide lever bracket pin 28 to release the slide.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쿠션 링크 파이프(29)에 의해 시트 양쪽 설치된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18)의 락이 동시에 해제된다.The slide release lever 18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at by the slide release lever cushion link pipe 29 is released simultaneously.

작동 이후 슬라이드 레버(9)는 제3 스프링(S3)에 의해 초기상태로 돌아간다.After the operation, the slide lever 9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third spring S3.

따라서, 탑승자가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를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스트랩레버(7)를 당기면,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 및 스트랩레버(7)와 연동되어 있는 캠 리클 라이너 레버(4)는 제1힌지(20)를 기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가 당겨지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occupant moves the link recliner lever 6 in the clockwise direction or pulls the strap lever 7, the cam recliner lever 4 interlocked with the link recliner lever 6 and the strap lever 7 The link recliner lever 3 is pulled while rotating clockwise with the first hinge 20 as a reference point.

그러면,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는 라이너 코어 브래킷(2)을 제2 힌지(24)를 기준점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후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백프레임(1)을 제2 힌지(24)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Then, the link recliner lever 3 rotates the liner core bracket 2 clockwise with the second hinge 24 as a reference point, and t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back frame 1 to the second hinge 24 24 in the clockwise direction.

상기 작동 시 최대로 움직일 수 있는 백프레임의 각도는 36˚이며, 1단에 2˚씩 작동 가능하다. The angle of the back frame which can be moved maximum in the above operation is 36 degrees,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2 degrees in the first stage.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 및 스트랩레버(7)의 작동을 멈추면 백프레임(1)은 고정된면서 라이너 코어 브래킷(2),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 캠 리클 라이너 레버(4), 스트랩브래킷(5),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 및 스트랩레버(7) 들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link recliner lever 6 and the strap lever 7 is stopped, the back frame 1 is fixed to the liner core bracket 2, the link recliner lever 3, the cam recliner lever 4, The strap bracket 5, the link recliner lever 6 and the strap levers 7 return to their initial positions.

또한, 탑승자가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아래 방향으로 눌러주면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는 쿠션프레임 힌지 볼트(30)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탑업 로크 핀(23)이 탑업 로크(16)에 의해 락이 걸리면서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고정된다. When the occupant presses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downward,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hinge bolt 30, and the top lock pin 23 Is locked by the top lock 16,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s fixed.

상기 탑업 로크(16)은 제3 스프링(S3)과 연결되어 있어 탑업 로크 핀(23)을 단단하게 고정시켜 준다.The top lock 16 is connected to the third spring S3 to firmly fix the top lock pin 23.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different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1 : 백프레임 2 : 리클 라이너 코어 브래킷
3 :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 4 : 캠 리클 라이너 레버
5 : 스트랩 브래킷 6 : 리클 라이너 레버
7 : 스트랩 레버 8 : 힌지 아우터 브래킷
9 : 슬라이드 레버 10 : 링크 슬라이드 레버
11 :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 12 :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
13 : 회전 토크전달 레버 14 : 케이블 앗세이
15 : 힌지 이너 브래킷 16 : 팁업 로크
17 : 릴리즈 링크 18 :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19 :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 20 : 제1힌지
21,21' ; 스토퍼 22 : 팁업 슬라이드 링크 핀
23 : 탑업 로크 핀 24 : 제2 힌지
25 : 탑업 로크 힌지 26 : 스트랩브래킷 힌지
27 : 캠핀 28 :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
29 : 쿠션 링크 파이프 30 : 쿠션프레임 힌지 볼트
31 : 렛치 100 : 워크인수단
200 : 팁업수단 300 : 슬라이드수단
400 :구속해제수단 410 :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해제수단
S1,S2,S3 : 스프링
1: Back frame 2: Recliner core bracket
3: Link recliner lever 4: Cam recliner lever
5: Strap bracket 6: Recliner lever
7: Strap lever 8: Hinge outer bracket
9: Slide lever 10: Link slide lever
11: Slide pin hinge link 12: Slide release bracket
13: rotation torque transmitting lever 14: cable assy
15: Hinge inner bracket 16: Tip-up lock
17: Release link 18: Slide release lever
19: cushion frame subassembly 20: first hinge
21, 21 '; Stopper 22: Tip-up slide link pin
23: top lock pin 24: second hinge
25: top lock hinge 26: strap bracket hinge
27: cam pin 28: slide lever bracket pin
29: cushion link pipe 30: cushion frame hinge bolt
31: Lattice 100: Walking means
200: tip-up means 300: slide means
400: restraint releasing means 410: slide release lever releasing means
S1, S2, S3: Spring

Claims (7)

등받이를 구성하는 백프레임(1)과,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및 상기 쿠션프레임 하부 네모서리에 설치되며, 레일 상에 설치되는 렛치(31)가 탑승자의 한 번의 동작으로 워크인수단(100)과, 팁업수단(200), 슬라이드수단(300)을 동시에 작동시켜 쿠션팁업 및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A back frame 1 constituting a backrest, a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a leg 31 mounted on the lower four corners of the cushion frame, 100), the tip-up means (200), and the slide means (300)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so as to allow the cushion tip-up and slide-u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수단(100)은;
백프레임(1) 측면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 및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와 연동되게 설치되며, 이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의 작동에 의해 제1힌지(20)를 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되는 캠 리클 라이너 레버(4); 및
상기 캠 리클 라이너 레버(4)의 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백프레임(1)의 양측면에 연장설치된 라이너 코어 브래킷(2); 및
상기 코어 브래킷(2)이 제2 힌지(24) 축을 지지점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백프레임(1)의 타 측면에 설치된 제2 스토퍼(21'); 및
상기 제 2스토퍼(21')와 접속되어 회전되는 회전 토크전달 레버(13); 및
상기 회전 토크전달 레버(13) 회전력에 의해 당겨지는 케이블 앗세이(14)와,
상기 케이블 앗세이(14)와 연결되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 부터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한 구속해제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브래킷(2)이 제2 힌지(24) 축을 지지점으로 회전하여 리클 라이너가 해제되어 백프레임(1)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k-in means (100) comprises:
A link recliner lever (6) installed at a sid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ck frame (1) side; And
A cam recliner lever 4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link recliner lever 6 and rotated with the first hinge 20 as a fulcrum by operation of the link recliner lever 6; And
A link recliner lever (3) operated by rotation of the cam recliner lever (4);
A liner core bracket 2 rotated by the link recliner lever 3 and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And
A second stopper (21 ')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ck frame (1) while the core bracket (2) rotates with a support point of the second hinge (24) axis; And
A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connected to the second stopper 21 'and rotated; And
A cable assy 14 pulled by the rotational torque transmission lever 13,
And a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connected to the cable assy (14) for releasing restraint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from the back frame (1), wherein the core bracket And the recliner is released and the back frame (1) is folded by rotating the two hinges (24) with the support poin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6)는 백프레임(1)에 설치된 제1 스프링(S1)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nk recliner lever (6)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a first spring (S1) provided on the back frame (1).
제 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팁업수단(200)은;
백프레임(1) 좌측면 중간지점에 일단이 스트랩레버(7)가 설치되며 타측은 캠핀(27)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설치된 스트랩브래킷 힌지(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스트랩브래킷(5); 및
일측은 상기 스트랩브래킷 힌지(26)가 삽입 설치되는 가이드구멍(4a)이 형성되며 타측은 힌지(20)에 의 고정되어 회동되는 캠 리클 라이너 레버(4); 및
상기 힌지(20)가 설치된 캠 리클 라이너 레버(4)의 일단에 상기 라이너 코어 브래킷(2)에 설치된 링크 리클 라이너 레버(3); 및
상기 라이너 코어 브래킷(2) 상단에 설치되며 백프레임(1) 양측면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21,21');를 포함하고,
상기 백프레임(1) 우측면에 설치된 제2 스토퍼(21')의 회전 반경 내에 설치되는 회전 토크전달 레버(13); 및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설치되는 백프레임(1) 하면 중간 지점 양측에 돌출설치되는 힌지 이너브래킷(15) 및 힌지 아우터브래킷(8);
상기 힌지 이너브래킷(15)은 쿠션프레임 힌지 볼트(30)에 의해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우측에는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 구속을 해제하여 팁업 상태로 한 구속해제수단(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ip-up means (200) comprises:
A strap lever 7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ft side of the back frame 1 and a strap bracket 7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back frame 1 so as to allow the cam pin 27 to move and to be rotatable by a strap bracket hinge 26 (5); And
A cam recliner lever 4 on one side of which is formed a guide hole 4a into which the strap bracket hinge 26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rotated on the hinge 20; And
A link recliner lever (3) provided on the liner core bracket (2) at one end of a cam recliner lever (4) provided with the hinge (20); And
And first and second stoppers (21, 21 ')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liner core brackets (2) and integr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A rotation torque transmission lever 13 installed within a rotation radius of a second stopper 21 'installed on a right side surface of the back frame 1; And
A hinge inner bracket 15 and a hinge outer bracket 8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ack frame 1 when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s installed;
The hinge inner bracket 15 is fixed to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n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is rotatable by the cushion frame hinge bolt 30.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a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for releasing restraint of the seat back (19) by the back frame (1) into a tipping up stat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해제수단(400)은;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좌측에 설치되는 탑업 로크 핀(23)에 락킹되어 있는 탑업 로크(16); 및
상기 탑업 로크(16)의 일단에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 이너브래킷(15)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S2); 및
상기 탑업 로크(16) 중간 지점은 탑업 로크 힌지(2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회전 토크전달 레버(13)와 연결설치된 케이블 앗세이(14)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straint release means (400) comprises:
A top lock (16) locked to a top lock pin (23)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A second spring S2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op lock 16 and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hinge inner bracket 15; And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top lock (16) is rotatably mounted by a top lock hinge (25)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with a cable assy (14) connected to the rotary torque transmitting lever (13) A sheet of work-in device.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수단(300)은;
좌측 백프레임(1) 중간 하단에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이 설치되 힌지 아우터브래킷(8); 및
상기 힌지 아우터브래킷(8) 근접위치 하단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을 지지점으로 회동되는 슬라이드 레버(9);
상기 슬라이드 레버(9)와 힌지 아우터브래킷(8)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스프링(S3); 및
상기 슬라이드 레버(9)에 제1 핀(P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슬라이드 레버(10); 및
상기 링크 슬라이드 레버(10) 타측에 제2 핀(P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l1); 및
상기 슬라이드 핀 힌지 링크(l1)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버 브래킷 핀(28)에 연결되어있는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
상기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 좌측에 설치되는 탑업 로크 핀(23)에 락킹되어 있는 탑업 로크(16); 및
상기 탑업 로크(16)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해제수단(41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lide means (300) comprises:
A hinge outer bracket 8 provided with a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t the middle lower end of the left back frame 1; And
A slide lever (9)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inge outer bracket (8) at a position close to the hinge outer bracket (8) and rotated by a supporting point of the slide lever bracket pin (28);
A third spring (S3) installed between the slide lever (9) and the hinge outer bracket (8); And
A link slide lever (10) rotatably installed on the slide lever (9) by a first pin (P1); And
A slide pin hinge link (11)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slide lever (10) by a second pin (P2); And
A slide release bracket 12 connected to a slide lever bracket pin 28 provided on the slide pin hinge link 11;
A top lock (16) locked to a top lock pin (23)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And
A slide release lever release means 41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p lock 16;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projection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릴리즈 레버 해제수단(410)은;
상기 탑업 로크(16) 하부에 긴 호형상의 제1 가이드구멍(16a);
상기 탑업 로크(16)과 맞닿은 지점에 위치한 슬라이드 릴리즈 브래킷(12)에 동일하게 형성된 제2 가이드구멍(12a);
상기 제1 가이드구멍(16a) 및 제2 가이드구멍(12a) 사이에 설치되는 릴리즈 링크(17);
쿠션 프레임 서브 앗세이(19)을 백프레임(1)으로 구속을 해제하여 팁업 상태로 한 구속해제수단(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lide release lever releasing means 410 includes:
A first guide hole 16a having a long arc shape at the bottom of the top-up lock 16;
A second guide hole 12a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lide release bracket 12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top lock 16 abuts;
A release link 17 provided between the first guide hole 16a and the second guide hole 12a;
And a restraint releasing means (400) for releasing restraint of the cushion frame subassembly (19) by the back frame (1) to put it in a tipping up state.
KR1020170122812A 2017-09-22 2017-09-22 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 KR102003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812A KR102003986B1 (en) 2017-09-22 2017-09-22 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812A KR102003986B1 (en) 2017-09-22 2017-09-22 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90A true KR20190033990A (en) 2019-04-01
KR102003986B1 KR102003986B1 (en) 2019-07-25

Family

ID=6610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812A KR102003986B1 (en) 2017-09-22 2017-09-22 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98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040A (en) * 2005-02-14 2006-08-24 Toyota Auto Body Co Ltd Vehicular seat
KR100813700B1 (en) 2007-03-14 2008-03-14 (주)케이엠앤아이 Folding type recliner for vehicle
JP4241224B2 (en) 2003-07-03 2009-03-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Vehicle seat
KR20130049403A (en)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다스 Modual type seat work in mechanism
EP2875990A1 (en) 2012-07-23 2015-05-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1224B2 (en) 2003-07-03 2009-03-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Vehicle seat
JP2006219040A (en) * 2005-02-14 2006-08-24 Toyota Auto Body Co Ltd Vehicular seat
KR100813700B1 (en) 2007-03-14 2008-03-14 (주)케이엠앤아이 Folding type recliner for vehicle
KR20130049403A (en) 2011-11-04 2013-05-14 주식회사다스 Modual type seat work in mechanism
EP2875990A1 (en) 2012-07-23 2015-05-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JP5886960B2 (en) * 2012-07-23 2016-03-1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986B1 (en)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KR101204559B1 (en) Seat and seat control method
KR101194914B1 (en) Mono leg transformer seat
US9616784B2 (en) Vehicle seat
EP2269863B1 (en) Stowable vehicle seat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9108544B2 (en) Vehicle seat device
KR20100062228A (en) Apparatus for walkin and folding for a seat
WO2007086468A1 (en) Seat
KR101210155B1 (en) Back reclining device interconnected with cushion of seat for vehicle
KR101884741B1 (en)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latch rotating type
KR101371868B1 (en) Walk―in Seat
KR102003986B1 (en) Walk-In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578944B1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JP2002079860A (en) Vehicular seat device
KR101884744B1 (en) Rear-seat sliding apparatus of movable striker type
KR101926066B1 (en) Walk-in operat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JP2009023384A (en) Seat for vehicle
JP6711143B2 (en) Seat device
KR100655989B1 (en) Two rows seat structure of an automobile
KR100501671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Seat-Back Angle
JP2003002098A (en) Folding seat for vehicle
JP2009035197A (en) Vehicular seat
JP7239803B2 (en) vehicle seat
JP2011073472A (en) Seat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