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948A -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948A
KR20190033948A KR1020170122721A KR20170122721A KR20190033948A KR 20190033948 A KR20190033948 A KR 20190033948A KR 1020170122721 A KR1020170122721 A KR 1020170122721A KR 20170122721 A KR20170122721 A KR 20170122721A KR 20190033948 A KR20190033948 A KR 20190033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eighboring
verification message
message
neighbor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122B1 (ko
Inventor
노동규
성수련
황대성
박종록
노학렬
류초롱
이태준
김효곤
박용태
안인선
김태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22B1/ko
Priority to CN201711238129.6A priority patent/CN109547972B/zh
Priority to DE102017221629.8A priority patent/DE102017221629A1/de
Priority to US15/829,650 priority patent/US10410436B2/en
Publication of KR2019003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a selec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takes place i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 H04W12/106Packet or message 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6Trust-dependent, e.g. using trust scores or trust relations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검증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차량을 검증함으로써,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이 전송한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해 낼 수 있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에 있어서,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 및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검증메시지를 일정시간 동안 기준횟수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메시지의 활용을 허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VEHICLE IN THE V2V ENVIRONMENT}
본 발명은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검증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차량에 대한 신뢰 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V2X(Vehicle to Everything)는 차량과 차량 사이의 무선통신(V2V: Vehicle to Vehicle), 차량과 인프라 간 무선통신(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내 유무선 네트워킹(IVN: In-Vehicle Networking), 차량과 이동 단말 간 통신(V2P: Vehicle to Pedestrian) 등을 포함한다.
V2X 무선통신 표준 중 하나인 IEEE 1609.2에서는 보안 프레임워크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IEEE 1609.2의 보안 프레임워크에는 대칭 키 및 비대칭 키를 이용하여 송신자(차량)를 인증하는 프로세스와 메시지 전송과정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IEEE 1609.2에서의 인증은 차량 간 통신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차량 간 통신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차량정보) 자체에 대한 신뢰성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IEEE 1609.2에 정의된 검증 과정을 정상적으로 통과한 차량, 즉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차량이 전송한 메시지가 신뢰할 수 있는 메시지인지 아닌지를 판별해 내지 못한다.
결국, 종래의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기술은 단순히 차량 간 통신을 허가하거나 불허하기 위한 기술로서,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차량이 전송한 차량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별해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3-0041214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검증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차량을 검증함으로써,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이 전송한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해 낼 수 있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에 있어서,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 및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검증메시지를 일정시간 동안 기준횟수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메시지의 활용을 허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검증메시지는 상기 주변차량의 인증서 다이제스트,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와 상기 자차의 인증서 다이제스트 및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검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검증메시지를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차량의 신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횟수를 신뢰점수로 환산하여 누적 신뢰점수가 임계점수를 초과하면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차량의 인증서 다이제스트와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주변차량의 신뢰점수를 상호 매칭시켜 자차의 검증메시지 수신 리스트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매 1초 마다 누적 신뢰점수에서 기준점수를 차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주변차량과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검증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메시지는 상기 정보메시지에 비해 전송거리는 짧지만, 전송주기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이 있어서, 통신부가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 및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메시지를 일정시간 동안 기준횟수 수신한 경우, 제어부가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메시지의 활용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검증메시지는 상기 주변차량의 인증서 다이제스트,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와 상기 자차의 인증서 다이제스트 및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검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검증메시지를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차량의 신뢰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횟수를 신뢰점수로 환산하여 누적 신뢰점수가 임계점수를 초과하면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주변차량의 인증서 다이제스트와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주변차량의 신뢰점수를 상호 매칭시켜 자차의 검증메시지 수신 리스트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매 1초 마다 누적 신뢰점수에서 기준점수를 차감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 단계는 제1통신모듈이 상기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제2통신모듈이 상기 주변차량과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증메시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메시지는 상기 정보메시지에 비해 전송거리는 짧지만, 전송주기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검증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차량을 검증함으로써,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이 전송한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 대한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장치가 임계점수를 산출 수식을 도출해 내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의 테스트 환경을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의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 대한 일예시도로서, 자차(100)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 간 통신환경(시스템)은 자차(HV, Host Vehicle)(100)와 복수의 주변차량(RV, Remote Vehicle)(200)을 포함한다. 이때, 자차(100)와 주변차량(200)은 동일한 도로를 주행하고 있다.
자차(100)는 자신의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BSM, Basic Safety Message)을 주변차량(200)으로 전송하고, 주변차량(200)은 자신의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BSM)를 자차(100)로 전송한다. 이때, 주변차량(200)의 차량정보는 자차(100)와 동일한 도로를 주행하고 있으면서 자차(100)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내에 위치한 주변차량(200)의 주행정보로서, 자차(100)의 주행안전에 도움을 주는 정보들로 이루어진다.
자차(100)는 주변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한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자차(100) 내에 탑재된 각종 안전 시스템을 제어한다. 여기서, 안전 시스템은 SCC(Smart Cruise Control) 시스템, 차선이탈 경보시스템(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후측방 접근차량 경보시스템(SOWS: Side Obstacle Warning System), 충돌방지시스템(Collision Avoidance System), AEB(Automatic Emergency Braking), 차선유지 보조시스템(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자차(100)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지만, 자차(100)가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외부에 위치한 공격차량(AV, Attack Vehicle)(300)은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차량이다.
이러한 공격차량(300)이 전송한 차량정보는 자차(100)의 주행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악의적인 사용자가 공격차량(300)을 통해 거짓정보를 자차(100)로 전송하는 경우라면 더더욱 자차(100)의 주행안전을 지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렇게 자차(100)의 안전을 방해하는 차량정보를 제공하는 공격차량(300)을 정확도 높게 판별해 냄으로써, 결국 공격차량(300)이 전송하는 메시지를 필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자차(100) 및 주변차량(200)은 V2X(Vehicle-to-Anything)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차량 통신 모듈은 WCDMA, LTE, WiFi 등 이동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으나, 특히,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무선통신방식을 통하여 차량 간, 인터넷상의 서버 또는 다른 시스템이나 단말 등과 V2X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차량 통신 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WAVE(차량 환경용 무선 접속) 통신 프로토콜은 IEEE802.11p 규격과 IEEE P1609 규격의 조합으로서, 차량 간 고속통신과 차량 및 인프라 간 통신을 지원하여 다양한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통신 규격의 하나이다. 이러한 WAVE 통신 방식은 RSU(Road-Side Unit)의 중계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차량 간 직접 V2V 통신도 지원할 수 있다. WAVE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차량 통신 모듈은 최대 차량 속도 200km/h에서 10msec 이하의 통신지연, 통신반경 1km, 최대 전송 속도 54Mbps, 사용 주파수 5.850 ~ 5.925 GHz, 채널 대역폭 10MHz, 채널 수 7개 등을 지원하기 위한 물리계층과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을 포함하며, 고속 이동성 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V2X 통신환경에서, 차량 통신 모듈은 운전자 등 사용자의 조작이나 다른 방법으로 필요한 신호 발생에 따라 RSU, 서버 등과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차량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단말(예, 스마트폰, PDA, PMA 등),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단말 등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HMI(Human-Machine Interface)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운전자 등 사용자의 HMI를 통한 조작이나 다른 방법으로 필요한 신호 발생에 따라 RSU, 서버 등과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차량 통신 모듈 자체에 구비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운전자 등 사용자의 조작이나 다른 방법으로 필요한 신호 발생에 따라 RSU, 서버 등과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이러한 차량 검증 장치는 차량 간 통신이 허용된 모든 차량에 탑재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자차(100)에 탑재된 차량 검증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자차(100)와 주변차량(200) 및 공격차량(300)은 인증을 통해 모두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상태로 가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는, 통신부(10), 제어부(20), 및 저장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통신부(10)는 주변차량(200)과 정보메시지(BSM)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모듈(11) 및, 주변차량(200)과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모듈(1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메시지는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의미하고, 검증메시지는 검증정보(인증서 다이제스트, 고유번호,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이때, 인증서 다이제스트는 일종의 데이터 포맷으로서 일례로 32바이트의 해쉬값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는 검증메시지를 발송한 차량(단말)의 고유번호들이 기록된 리스트를 의미한다.
상기 제1통신모듈(11)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의 일종인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통신방식에 기초하여 주변차량(200)과 정보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일례로, 제1통신모듈(11)은 23dBm의 전송전력과 10Hz의 전송주기(1초에 10번)로 정보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모듈(12)은 근거리통신방식에 기초하여 주변차량(200)과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때, 제2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례로, 제2통신모듈(12)은 9dBm의 전송전력(저전력)과 7Hz의 전송주기(1초에 7번)로 검증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검증메시지는 정보메시지에 비해 전송거리가 짧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검증메시지를 이용하여 주변차량을 검증함으로써,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이 전송한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해 낸다. 즉, 제어부(20)는 일정시간 동안 제2통신모듈(12)의 통신영역 내에 위치한 주변차량(2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며, 따라서 이렇게 신뢰할 수 있는 주변차량(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메시지를 신뢰할 수 있는 메시지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신뢰할 수 있는 주변차량(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메시지(차량정보)를 각종 시스템에서 활용하도록 허가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20)가 주변차량(200)을 검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1) 제어부(20)가 주변차량(200)으로 검증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
제어부(20)는 통신부(10) 내 제2통신모듈(12)을 통해 주변차량(200)으로부터 검증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검증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차량(200)의 고유번호를 자차(1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기록한다. 이때, 자차(1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는 저장부(30)에 저장된다. 또한, 주변차량(200)이 자차(100)의 제2통신모듈(12)의 통신영역에 위치하는 동안 자차(100)는 주변차량(20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검증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20)는 자차(100)의 인증서 다이제스트와 자차(100)의 고유번호 및 자차(1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증메시지를 생성하여 주변차량(200)으로 송신한다. 이때, 주변차량(200)이 자차(100)의 제2통신모듈(12)의 통신영역에 위치하는 동안 자차(100)는 주기적으로 검증메시지를 주변차량(200)으로 송신한다.
2) 제어부(20)가 주변차량(200)의 신뢰점수를 관리하는 과정.
제어부(20)는 통신부(10) 내 제2통신모듈(12)을 통해 주변차량(200)으로부터 검증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검증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차량(2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자차(100)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는, 이전에 자차(100)가 상기 주변차량(200)으로 검증메시지를 송신한 적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후, 제어부(20)는 주변차량(2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자차(100)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주변차량(200)의 신뢰도를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신뢰점수(Trust Point)에 1점을 가산(add)한다.
이후, 제어부(20)는 검증메시지 수신 리스트에 주변차량(200)의 인증서 다이제스트와 주변차량(200)의 고유번호 및 주변차량(200)의 신뢰점수를 기록한다.
이후, 제어부(20)는 검증메시지 수신 리스트 상에서 주변차량(200)의 누적 신뢰점수가 임계점수(Threshold Point)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초과하면 상기 주변차량(2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0)는 주기적으로(일례로 1초 단위) 각 주변차량(200)의 신뢰점수에서 1점을 감산(subtract)한다. 이는 한번 신뢰받은 주변차량(200)일지라도 지속적으로 신뢰점수가 가산되지 않으면 더이상 신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임계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장치가 임계점수를 산출 수식을 도출해 내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구간(ⓐ,ⓑ,ⓒ,ⓓ)은 자차(100)가 공격차량(300)으로부터 정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구간을 나타낸다. 각 구간에서 공격차량(3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공격차량(3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자차(100)의 고유번호가 기록되어 있느냐의 여부에 따른다.
ⓐ 구간의 경우, 자차(100)는 주변차량 A(201)와 일정거리(dw) 내에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주변차량 A(201)는 공격차량(300)과 일정거리(dw) 내에 위치한다. 또한, 공격차량(300)은 자차(100)와 일정거리(dw)보다는 멀리 위치하지만 상기 일정거리의 두배(2×dw)보다는 가까이 위치한다.
주변차량 A(201)는 자차(100)의 검증메시지를 수신하고, 자차(100)의 검증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자차(100)의 고유번호를 주변차량 A(201)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기록한다.
공격차량(300)은 주변차량 A(201)의 검증메시지를 수신하고, 주변차량 A(201)의 검증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차량 A(201)의 고유번호는 물론 주변차량 A(201)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 상의 고유번호까지도 공격차량(3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기록할 수 있다. 결국, 공격차량(300)은 실제로 자차(100)로부터 검증메시지를 수신한 적이 없지만, 주변차량 A(201)를 통해 자차(100)의 고유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공격차량(300)이 전송전력을 변경하여 자차(100)로 공격차량(300)의 검증메시지를 전송하면,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의 검증메시지 내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자차(100)의 고유번호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공격차량(3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한다.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므로,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으로부터 무의미한 정보 또는 거짓정보가 담긴 정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자차(100)가 주행하여 ⓑ 구간에 진입하면, 자차(100)는 공격차량(300)과 일정거리(dw) 내에 위치한다. 자차(100)가 ⓑ 구간을 이동하는 동안 자차(100)의 검증메시지를 공격차량(300)이 수신할 수 있으므로, 공격차량(300)이 자차(100)의 고유번호를 공격차량(3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기록할 수 있다.
공격차량(300)이 자신의 검증메시지를 송신하게 되면, 이를 수신한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자차(100)의 고유번호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공격차량(3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한다.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므로,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으로부터 무의미한 정보 또는 거짓정보가 담긴 정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 구간의 경우, 자차(100)는 주변차량 B(202)와 일정거리(dw) 내에 위치하고, 주변차량 B(202)는 공격차량(300)과 일정거리(dw) 내에 위치한다. 또한, 공격차량(300)은 자차(100)와 일정거리(dw)보다는 멀리 위치하지만 상기 일정거리의 두배(2×dw)보다는 가까이 위치한다.
주변차량 B(202)는 자차(100)의 검증메시지를 수신하고, 자차(100)의 검증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자차(100)의 고유번호를 주변차량 B(202)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기록한다.
공격차량(300)은 주변차량 B(202)의 검증메시지를 수신하고, 주변차량 B(202)의 검증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차량 B(202)의 고유번호는 물론 주변차량 B(202)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 상의 고유번호까지도 공격차량(3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기록할 수 있다. 결국, 공격차량(300)은 실제로 자차(100)로부터 검증메시지를 수신한 적이 없지만, 주변차량 B(202)를 통해 자차(100)의 고유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공격차량(300)이 전송전력을 변경하여 자차(100)로 공격차량(300)의 검증메시지를 전송하면,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자차(100)의 고유번호가 있기 때문에 공격차량(3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한다.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므로,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으로부터 무의미한 정보 또는 거짓정보가 담긴 정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 구간은 자차(100)의 속도와 메시지 업데이트 시간을 고려하여 자차(100)가 공격차량(300)으로부터 일정거리의 두 배(2×dw)를 초과하여 이격된 경우에도 정보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구간을 나타낸다.
자차(100)가 V'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자차(100)의 고유번호가 공격차량(3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남아 있다. 이때, V'은 자차(100)의 속도(v)에 고유번호의 교체주기(tup)를 곱한 결과(거리)를 나타낸다.
공격차량(300)이 전송전력을 변경하여 자차(100)로 공격차량(300)의 검증메시지를 전송하면,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에 자차(100)의 고유번호가 있기 때문에 공격차량(300)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한다.
자차(100)가 V'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자차(100)는 공격차량(300)으로부터 무의미한 정보 또는 거짓정보가 담긴 정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격차량(100)의 검증메시지 전송빈도를 c Hz라 할 때 공격차량(300)의 검증메시지가 1/c 초 후에도 도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자차(100)가 v의 속도로 V'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자차(100)가 공격차량(300)으로부터 정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d(tup))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d(tup) = v × (tup + 1/c)
여기서, v는 자차(100)의 속도, tup은 고유번호 교체주기(시간), c는 공격차량(100)의 검증메시지 전송빈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를 종합해 보면, 자차(100)가 공격차량(300)으로부터 정보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최대거리(dx)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dx = 4 × dw + v × (tup + 1/c)
여기서, dw는 구간의 거리(검증메시지 전송거리)를 나타낸다.
한편, 공격차량(300)의 검증메시지 전송주기를 fw Hz라 할 때 공격차량(300)의 신뢰점수는 매 1초 마다 1점씩 차감되므로 1초에 최대 (fw-1) 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차(100)가 v의 속도로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은 dx/v가 된다.
결국, 임계점수(θH)는 구간(dx)에서 1초에 자차(100)가 얻을 수 있는 주변차량(200)의 최대점수와 자차(100)가 구간(dx)을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θH = (fw - 1) × dx/v
다음으로, 저장부(30)는 주변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한 검증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차량(200)의 인증서 다이제스트와 주변차량(200)의 고유번호 및 제어부(20)에 의해 산출된 주변차량(200)의 신뢰점수가 상호 매칭되어 기록된 검증메시지 수신 리스트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30)는 주변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한 검증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차량(200)의 고유번호가 기록된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의 테스트 환경을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는 4차선 고속도로상에서 진행되었으며, 그 상세 조건은 하기와 같다.
고속도로의 차선간격은 3m, 차간 간격은 33.3m, 차량 속도는 120km/h, 공격차량(300)이 전송하는 정보메시지의 전송전력은 23 dBm, 공격차량(300)이 전송하는 정보메시지의 전송주기는 10Hz, 공격차량(100)이 전송하는 검증메시지의 전송전력은 9dBm, 공격차량(100)이 전송하는 검증메시지의 전송주기는 7Hz이다.
공격차량(300)은 정차해 있으며, 공격차량(300)과 고속도로 간의 거리(dk)를 조절하면서, 본 발명이 적용된 고속도로상의 차량이 공격차량(300)이 전송한 정보메시지를 제어에 활용하는지 관찰하였다. 이때, 공격차량(300)이 전송한 정보메시지를 고속도로상의 특정 차량이 최초로 활용했을 때 공격성공이라 한다. 일례로, 상기 정보메시지는 K' 지점에 차량이 정차해 있다고 알리는 거짓 정보이다.
그 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의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5에서 세로축은 1초당 공격성공 횟수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공격차량(300)과 고속도로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공격성공 횟수는 공격차량(300)이 전송한 정보메시지를 제어에 활용한 차량의 수를 의미한다.
'410'은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성공횟수를 나타내고, '420'은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의 성공횟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410), 대부분의 차량이 공격차량(300)이 전송한 정보메시지를 제어에 활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약 460m 지점에서 공격차량(300)이 전송한 정보메시지를 제어에 활용하는 차량이 줄어드는 이유는 정보메시지의 전송거리에 기인한 것으로, 공격차량(300)이 고속도로로부터 약 710m가 이격되면 공격차량(300)의 통신거리를 완전히 벗어나서 고속도로상의 차량이 공격차량(300)이 전송한 정보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420), 거리에 상관없이 고속도로상의 차량이 공격차량(300)이 전송한 정보메시지를 제어에 활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통신부(10)가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 및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한다(601).
이후, 상기 검증메시지를 일정시간 동안 기준횟수 수신한 경우, 제어부(20)가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메시지의 활용을 허가한다(602).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자차
200 : 주변차량
300 : 공격차량
10 : 통신부
20 : 제어부
30 : 저장부

Claims (20)

  1.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 및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검증메시지를 일정시간 동안 기준횟수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메시지의 활용을 허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검증메시지는,
    상기 주변차량의 인증서 다이제스트,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와 상기 자차의 인증서 다이제스트 및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검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검증메시지를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차량의 신뢰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횟수를 신뢰점수로 환산하여 누적 신뢰점수가 임계점수를 초과하면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차량의 인증서 다이제스트와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주변차량의 신뢰점수를 상호 매칭시켜 자차의 검증메시지 수신 리스트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 1초 마다 누적 신뢰점수에서 기준점수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주변차량과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검증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메시지는,
    상기 정보메시지에 비해 전송거리는 짧지만, 전송주기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장치.
  11. 통신부가 차량 간 통신이 허가된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 및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메시지를 일정시간 동안 기준횟수 수신한 경우, 제어부가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메시지의 활용을 허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검증메시지는,
    상기 주변차량의 인증서 다이제스트,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 수신 리스트와 상기 자차의 인증서 다이제스트 및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검증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주변차량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자차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검증메시지를 상기 주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차량의 신뢰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횟수를 신뢰점수로 환산하여 누적 신뢰점수가 임계점수를 초과하면 상기 주변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차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주변차량의 인증서 다이제스트와 상기 주변차량의 고유번호 및 상기 주변차량의 신뢰점수를 상호 매칭시켜 자차의 검증메시지 수신 리스트에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매 1초 마다 누적 신뢰점수에서 기준점수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단계는,
    제1통신모듈이 상기 주변차량과 정보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제2통신모듈이 상기 주변차량과 검증메시지를 송수신하기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메시지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메시지는,
    상기 정보메시지에 비해 전송거리는 짧지만, 전송주기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의 차량 검증 방법.
KR1020170122721A 2017-09-22 2017-09-22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21A KR102348122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CN201711238129.6A CN109547972B (zh) 2017-09-22 2017-11-30 用于在车辆间通信环境中验证车辆的方法和装置
DE102017221629.8A DE102017221629A1 (de) 2017-09-22 2017-12-0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eines Fahrzeugs in einem Kommunikationsumfeld zwischen Fahrzeugen
US15/829,650 US10410436B2 (en) 2017-09-22 2017-12-01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vehicle in inter-vehicular communication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721A KR102348122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948A true KR20190033948A (ko) 2019-04-01
KR102348122B1 KR102348122B1 (ko) 2022-01-07

Family

ID=6563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21A KR102348122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0436B2 (ko)
KR (1) KR102348122B1 (ko)
CN (1) CN109547972B (ko)
DE (1) DE102017221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3278B2 (en) * 2017-12-21 2022-1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cured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CN110149611B (zh) * 2019-04-19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身份验证方法、设备、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US10873840B1 (en) * 2019-07-30 2020-12-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to-X communication, method and use
TWI719617B (zh) * 2019-09-02 2021-02-2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基於距離判斷之封包過濾方法及其系統
CN112492507A (zh) * 2019-09-11 2021-03-12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距离判断的封包过滤方法及其系统
US11407423B2 (en) * 2019-12-26 2022-08-09 Intel Corporation Ego actions in response to misbehaving vehicle identification
US11290984B2 (en) * 2020-02-21 2022-03-29 Qualcomm Incorporated C-V2X message processing timeline adaption based on contouring of remote vehicles and available delay budget
CN111885539B (zh) * 2020-07-23 2023-10-10 杭州师范大学 一种基于更新间隔动态调整的车联网车辆信誉更新方法
CN112706641B (zh) * 2020-12-25 2022-10-18 环球车享汽车租赁有限公司 交流充电桩充电控制方法、控制设备和存储介质
US11665516B2 (en) * 2021-07-02 2023-05-30 Ettifo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or receiving mess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543A1 (en) * 2009-02-09 2010-08-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rust-based methodology for secur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US20110261890A1 (en) * 2010-04-22 2011-10-27 Denso Corporatio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41214A (ko) 2010-07-16 2013-04-24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V2x 메시지를 승인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이용
KR20160144719A (ko) *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엠투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841B1 (ko) 2005-07-19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차단 방법
TWI287514B (en) * 2005-11-03 2007-10-01 Ind Tech Res Inst Inter-vehicle communication and warning apparatus
US7742603B2 (en) * 2006-03-27 2010-06-22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Security for anonymous vehicular broadcast messages
US20090271112A1 (en) * 2008-04-29 2009-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sender validation using gps precise positioning techniques
US8233389B2 (en) * 2009-08-19 2012-07-3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protocol for congestion control in a vehicular network
US8397063B2 (en) * 2009-10-07 2013-03-12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 public-key infrastructure for vehicular networks with limited number of infrastructure servers
US8627073B2 (en) * 2010-03-24 2014-0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daptive certificate distribution mechanism in vehicular networks using forward error correcting codes
US9100453B2 (en) * 2011-10-08 2015-08-04 Broadcom Corporation Social device security in a social network
WO2013179392A1 (ja) 2012-05-29 2013-12-05 トヨタ自動車 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430069B1 (ko) 2012-12-27 2014-08-14 전자부품연구원 차량 통신망 인증 및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2011457B1 (ko) * 2013-04-17 201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30818A (ko) * 2014-05-14 201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25992B2 (en) * 2014-10-15 2018-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vehicle consist
KR101584001B1 (ko) * 2014-10-22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2x 통신을 위한 부정 행위 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714525B1 (ko) * 2015-11-27 2017-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해킹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522922B1 (ko) * 2016-01-06 2023-04-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군집주행 차량들간 안전메시지 송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346119B2 (en) * 2016-09-27 2019-07-09 Intel Corporation Trusted vehicle messaging via transparent display
EP3382932A1 (en) * 2017-03-31 2018-10-03 Nxp B.V.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station, host processor, and method therefor
CN107509228B (zh) * 2017-07-24 2019-03-22 长安大学 一种车联网下的数据可信传输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543A1 (en) * 2009-02-09 2010-08-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rust-based methodology for secur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US20110261890A1 (en) * 2010-04-22 2011-10-27 Denso Corporatio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41214A (ko) 2010-07-16 2013-04-24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V2x 메시지를 승인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이용
KR20160144719A (ko) *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엠투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47972A (zh) 2019-03-29
US20190096144A1 (en) 2019-03-28
KR102348122B1 (ko) 2022-01-07
US10410436B2 (en) 2019-09-10
DE102017221629A1 (de) 2019-03-28
CN109547972B (zh)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122B1 (ko) 차량 간 통신환경에서 차량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Boualouache et al. A survey on pseudonym changing strategies for vehicular ad-hoc networks
EP4258712A2 (en) A tracking and theft-recovery system for mobile assets
US20140191884A1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equipped with this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for pedestrians and navigation device equipped with this communication device for pedestrians, and pedestrian-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8194550B2 (en) Trust-based methodology for secur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US20180115898A1 (en) Method of authenticating external vehicle and vehicle capable of performing same
CN110796853A (zh) 用于范围外车辆的中间车辆转发器
Al-Sabaawi et al. Addressing malware attacks on connected and autonomous vehicles: recent techniques and challenges
KR101407705B1 (ko) 차량 간 통신 환경에서 효과적인 긴급 메시지 전송을 위한 긴급 메시지 릴레이 장치 및 방법
Wahid et al. Holistic approach for coupling privacy with safety in VANETs
KR20220153556A (ko) 차량용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환경 설정 방법
Outay et al. Towards safer roads through cooperative hazard awareness and avoidance in connected vehicles
CN113507698A (zh) 车联网通信方法与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Offor Vehicle ad hoc network (vanet): Safety benefits and security challenges
Lastinec et al. Analysis of realistic attack scenarios in vehicle ad-hoc networks
Alotibi et al. Anomaly detection in cooperative adaptive cruise control using physics laws and data fusion
KR101719754B1 (ko) Wave 통신용 가입자 인증 장치와 wave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iran et al. Cyber security and risk analysis on connected autonomous vehicles
KR102365163B1 (ko) 외부 차량을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Oh et al. Traffic hazard prediction based on neighbor nodes for vehicle safety communications on a highway
KR102477566B1 (ko)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자율주행 차량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2316127B1 (ko) 차량용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환경 설정 방법
KR102285221B1 (ko)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교차로 정보 공유 방법
Schmidt et al. Defending against roadside attackers
Tong et al. Putting the Connectivity in C-ITS-Investigating pathways to accelerate the uptake of road safety and efficiency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