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49A -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 Google Patents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49A
KR20190033749A KR1020170122289A KR20170122289A KR20190033749A KR 20190033749 A KR20190033749 A KR 20190033749A KR 1020170122289 A KR1020170122289 A KR 1020170122289A KR 20170122289 A KR20170122289 A KR 20170122289A KR 20190033749 A KR20190033749 A KR 2019003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ocument
selection
input form
bu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208B1 (ko
Inventor
김현경
양왕성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7012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2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입력된 문자 또는 개체가 문서 내에 자리 잡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글머리 기호로서 입력폼이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문서작성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작성 장치에서 복합된 기능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DOCUMENT EDITO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문서작성 장치 및 문서작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머리 표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하는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작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어로 '글머리 기호'로 불리는 영문 명칭은 불릿 포인트(bullet point)이다. 여러 개의 글머리 기호를 글머리 표(bullet list)라고 부르기도 한다.
글머리 기호는 여러 개의 항목을 문단 또는 줄을 바꾸어 나열할 때 문단 또는 줄의 처음에 입력된다. 특히 글머리 기호는 문서 내의 중요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여서 독자가 핵심 문제와 사실을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글머리 기호의 사용방법에 대한 고정된 규칙은 없지만 몇 가지 지침이 있다. 글머리 표를 소개하는 텍스트는 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예를 들어, 다음에 그 항목들을 소개한다: ·제1 항목, 이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글머리 기호 뒤에 나오는 텍스트가 적절한 문장이 아니라면 대문자로 시작하거나 마침표로 끝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first item, 이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문서작성 장치 또는 문서작성 툴, 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또는 프레젠테이션 작성 장치들은 글머리 표에 관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유저들은 문서작성 장치에서 글머리 기호의 모양을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정의에 따라 글머리 표 모양을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저들은 따로 글머리 기호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글머리 표의 기능을 적용 및 해제함으로써 글머리 기호를 사용하여 문장 또는 문단을 작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의 문서작성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글머리 기호 관련 기능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서작성 장치들의 유저들은 다양한 모양의 글머리 기호를 삽입할 수 있다. 유저들은 특히 글머리 기호 정의를 통해 기호를 선택하거나, 그림을 선택하거나 글꼴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유저들은 글머리 기호의 다양한 맞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글머리 표에 관한 기능은 상기 설명된 것이 전부이고 글머리 기호에 다양한 기능이 접목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먼저,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8585호(2015.12.10.)는 전자책 제작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글머리 기호에 관한 기능을 소개하고 있으나, 문장의 순서가 있는 경우에 글머리에 숫자의 순서를 넣고, 순서가 없는 경우에는 글머리에 부호를 넣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기술은 글머리 기호와 입력폼 기능이 결합된 문서작성의 응용 기술로서 상기 살펴본 선행기술과 구별되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복합된 글머리 표의 기능을 제공하는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합된 기능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구현되는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2가지 요소의 접목에 의해 새로운 기능이 파생되는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입력된 문자 또는 개체가 문서 내에 자리 잡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글머리 기호(Bullet Point)로서 입력폼(Input Form)이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폼은, 선택 상자(Check Box) 및 라디오 버튼(Radio Butt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작성된 문서가 출력부를 통해 표시 및/또는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폼 글머리의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폼 글머리 실행부; 및 입력폼 글머리의 속성을 지정하는 입력폼 글머리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입력폼을 이용하여 글머리 표(Bullet List)가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토글 형식으로 상기 입력폼에 선택 표시가 나타나거나 해제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 표시의 발현/해제는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새로운 이벤트는 글자 모양 또는 문단 모양의 다른 스타일로의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2회 이상의 선택 행위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폼에 아라비아 숫자를 단독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 표시에 추가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폼은, 문장의 마지막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문서 작성 이후, 추가적인 편집에 따라 문서 열람자로부터 선택 표시를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입력폼 중에서 하나의 선택만이 가능하거나, 중복 선택도 가능한 상황에서, 입력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상황에 대한 도움말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입력된 문자 또는 개체가 문서 내에서 자리 잡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글머리 기호로서 입력폼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폼은, 선택 상자(Check Box) 및 라디오 버튼(Radio Butt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서작성 방법은, 작성된 문서가 표시 및/또는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폼 글머리의 입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입력폼 글머리의 속성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의 입력폼을 이용하여 글머리 표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토글 형식으로 상기 입력폼에 선택 표시가 나타나거나 해제되도록 입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 표시의 발현/해제는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새로운 이벤트는 글자 모양 또는 문단 모양의 다른 스타일로의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2회 이상의 선택 행위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폼에 아라비아 숫자를 단독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 표시에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입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폼은, 문장의 마지막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문서 작성 이후, 추가적인 편집에 따라 문서 열람자로부터 선택 표시를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입력폼 중에서 하나의 선택만이 가능하거나, 중복 선택도 가능한 상황에서, 입력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상황에 대한 도움말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작성 장치가 복합된 글머리 표의 기능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문서작성 장치에서 복합된 기능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2가지 요소의 접목에 의해 문서작성 장치의 새로운 기능이 파생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의 문서작성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글머리 기호 관련 기능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작성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장치(100)는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장치로서, 문서를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는 문서작성 전용의 장치, 문서 에디터, 문서편집 장치, 전자 타이프라이터(Electric Type Writer) 또는 문서의 작성 및 편집 이외에 범용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 단말기(Terminal) 및 무선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Gaming)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문서작성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저장부(130), 전원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한다. 입력부(110)는 키보드(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마우스(Mouse), 전자펜(Stylus Pen) 및 펜 태블릿(Pen Tablet)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는 공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개체는 아이콘, 그림, 도형, 표 및 차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양식 개체를 포함한다.
출력부(120)는 문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문서를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터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부(120)는 문서 내의 문자를 음성합성(Text to Speech, TTS) 엔진을 이용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헤드폰(Head-phone) 및 헤드셋(Head-set)을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문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이 있는 램(RAM),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롬(ROM) 형태의 메모리 및 하드디스크(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자기테입 리더(Magnetic Tape Reader)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전원부(140)는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및 배터리(battery)를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된 문자가 문서 내에 자리 잡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작성된 문서가 출력부(120)를 통해 표시 또는 출력되도록 출력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폼 글머리의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폼 글머리 실행부(151); 및 입력폼 글머리의 속성을 지정하는 입력폼 글머리 설정부(152)를 포함한다.
입력폼 글머리 실행부(15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폼 글머리를 문서 내에 입력시킨다. 사용자는 입력폼 글머리가 놓일 위치를 정하고 실행 명령을 내리면, 입력폼 글머리 실행부(151)는 미리 설정되거나 디폴트된 입력폼의 종류, 모양, 개수, 위치 및 크기에 맞는 입력폼 글머리를 문서에 입력시킨다. 입력폼 글머리의 입력은 사용자의 단축 키 동작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입력폼 글머리 설정부(152)는 입력폼 글머리에 대한 파라미터를 미리 설정하거나, 상기 입력 후에 다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이름, 크기, 색, 스타일, 폰트 종류, 설명, 각종 스위치 값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파라미터는 일정 값을 미리 설정해 디폴트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서작성 장치(100)는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범용의 컴퓨터 장치(200)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 형태의 문서작성 장치(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20), 메모리(231), 저장장치(232), 전원 장치(24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50),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260), 무선통신 장치(270) 및 버스(2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10)는 키보드(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마우스(Mouse), 전자펜(Stylus Pen) 및 펜 태블릿(Pen Tablet)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20)는 문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및 문서를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터(Printer)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20)는 문서 내의 문자를 음성합성(Text to Speech, TTS) 엔진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헤드폰(Head-phone) 및 헤드셋(Head-set)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50)는 메모리(231) 및/또는 저장 장치(232)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31)와 저장 장치(232)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1)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 장치(270)는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음성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문서작성 장치(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28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입력폼을 이용하여 글머리 표(Bullet List)가 작성되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부(110), 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키보드에 작용에 의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엔터 키의 동작에 따라 글머리 기호를 문서에 기입 시킨다. 1회의 동작에 의해 복수의 글머리 기호들이 기입될 수 있고, 복수의 글머리 기호들이 글머리 표에 해당한다. 여기서, '글머리 기호'는 단어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메뉴에 따라 글말미에도 기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글말미에 기입된 '글머리 기호'를 나타낸다.
또한, 제어부(150)는, 토글(Toggle) 형식으로 입력폼에 선택 표시가 나타나거나 해제되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선택 표시는
Figure pat00001
모양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입력폼 내에 선택 표시가 나타나 있다. 특히 입력폼 중에서 선택 상자(Check Box)를 글머리로 사용하고, 선택 상자에 선택 표시가 되어 있다. 이러한 선택 표시는 입력부(100)의 마우스의 클릭 동작에 의해 표시/해제될 수 있다.
또한, 선택 표시의 발현/해제는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을 트리거링한다. 여기서, 새로운 이벤트는 글자 모양 또는 문단 모양의 다른 스타일로의 변경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택 표시의 발현/해제에 따라 글자 모양 스타일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선택 표시가 발현되는 문장의 문자색이 변경되거나, 문장에 지움 표시가 나타나거나, 문자의 속성, 예를 들면 볼드체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폼, 예를 들어 선택 상자 내에서 2회 이상의 선택 행위에 대해서는 선택 상자 내부에 아라비아 숫자를 단독으로 표시하거나 선태 표시에 추가하여 표시되도록 입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폼, 특히 선택 상자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선택 상자는 유저에 의해 복수 회 선택될 수 있다. 2회 이상의 선택의 경우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하여 선택 회수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마우스 왼 클릭에 의해 선택 카운터가 증가하거나 마우스 우 클릭에 의해 선택 카운터가 감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괄호에 넣을 보기가 나타나 있고, 2개의 보기는 입력폼 글머리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되어 있다. 이 입력폼은 라디오 버튼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입력폼의 특징은 복수 개 중에서 반드시 하나의 입력폼에 선택 표시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문서 작성 이후, 추가적인 편집에 따라 문서 열람자로부터 선택 표시를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 복수의 입력폼 중에서 하나의 선택만이 가능하거나, 예를 들면 라디오 버튼, 중복 선택도 가능한 상황에서, 예를 들면 선택 박스, 입력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상황에 대한 도움말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5개의 입력폼 글머리 기호들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글머리 기호들은 복수 선택 표시가 가능한, 선택 박스에 해당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폼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2개의 입력폼 글머리 기호들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글머리 기호들은 복수 선택 표시가 불가능하고 하나의 선택만 가능한, 라디오 버튼에 해당한다.
도 9와 도 10의 실시 예는 입력폼의 종류에 따라 구별된다. 문서가 작성된 후에 전자문서 형태로 타인이 열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의 인사 관계자가 작성한 입사 지원서를 지원자가 다운로드 받아, 전자문서 형태로 내용을 기입하고 온라인으로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지원자는 열람자로서 문서 내에 기입된 입력폼 기능의 글머리 기호 내에 선택 표시를 기입함으로써 문서를 수정 및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열람자는 글머리 기호로 사용되는 입력폼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선택이 가능하거나 싱글 선택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머리 표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 선택이 가능합니다'라는 도움말이 나타나 있다. 이는 소위 풍선 도움말 기능으로서 열람자에게 문서 수정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선택하지 않으셨습니다!'라는 도움말이 나타나 있다. 이는 소위 풍선 도움말 기능 또는 커서가 상기 글머리 기호를 지나친 위치에 있을 경우 알람 형태로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 또한 열람자에게 문서 수정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도 9의 예시는 물론 선택 상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문서작성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단계(S110); 입력된 문자 또는 개체가 문서 내에서 자리 잡도록 제어하는 단계(S120); 작성된 문서가 표시(S130) 및/또는 출력(S40)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글머리 기호로서 입력폼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방법은, 상기 설명된 문서작성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문서작성 장치(100)에 관한 설명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작성 방법은 복합된 기능의 글머리 표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문서작성 장치에서 복합된 기능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2가지 요소의 접목에 의해 문서작성 장치의 새로운 기능이 파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작성 방법에 의해, 입력폼을 글머리 기호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발휘되는 것이 특징에 해당한다. 이러한 기능은 기존의 기능들이 합쳐졌다는 의미 이상으로 입력폼 기능의 글머리 기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 회수를 줄일 수 있고, 기존의 글머리 기호 및 입력폼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가장 큰 변화는 개체 입력을 문자 입력화 하여 유저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문서작성 장치 110: 입력부
120: 출력부 130: 저장부
140: 전원부 150: 제어부
151: 입력폼 글머리 실행부 152: 입력폼 글머리 설정부
200: 문서작성 장치 21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22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231: 메모리
232: 저장 장치 240: 전원 장치
250: 프로세서 2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270: 무선통신 장치

Claims (20)

  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입력된 문자 또는 개체가 문서 내에 자리 잡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글머리 기호(Bullet Point)로서 입력폼(Input Form)이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폼은,
    선택 상자(Check Box) 및 라디오 버튼(Radio Butt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성된 문서가 출력부를 통해 표시 및/또는 출력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폼 글머리의 입력을 제어하는 입력폼 글머리 실행부; 및
    입력폼 글머리의 속성을 지정하는 입력폼 글머리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입력폼을 이용하여 글머리 표(Bullet List)가 입력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토글(Toggle) 형식으로 상기 입력폼에 선택 표시가 나타나거나 해제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택 표시의 발현/해제는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새로운 이벤트는 글자 모양 또는 문단 모양의 다른 스타일로의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2회 이상의 선택 행위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폼에 아라비아 숫자를 단독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 표시에 추가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폼은,
    문장의 마지막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서 작성 이후, 추가적인 편집에 따라 문서 열람자로부터 선택 표시를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입력폼 중에서 하나의 선택만이 가능하거나, 중복 선택도 가능한 상황에서, 입력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상황에 대한 도움말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장치.
  1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입력된 문자 또는 개체가 문서 내에서 자리 잡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글머리 기호로서 입력폼(Input Form)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입력폼은,
    선택 상자(Check Box) 및 라디오 버튼(Radio Butt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문서작성 방법은,
    작성된 문서가 표시 및/또는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폼 글머리의 입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입력폼 글머리의 속성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의 입력폼을 이용하여 글머리 표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토글 형식으로 상기 입력폼에 선택 표시가 나타나거나 해제되도록 입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선택 표시의 발현/해제는 새로운 이벤트의 발생을 트리거링하고,
    상기 새로운 이벤트는 글자 모양 또는 문단 모양의 다른 스타일로의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2회 이상의 선택 행위에 대해서는 상기 입력폼에 아라비아 숫자를 단독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선택 표시에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입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입력폼은,
    문장의 마지막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문서 작성 이후, 추가적인 편집에 따라 문서 열람자로부터 선택 표시를 입력받아야 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입력폼 중에서 하나의 선택만이 가능하거나, 중복 선택도 가능한 상황에서, 입력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상황에 대한 도움말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작성 방법.
KR1020170122289A 2017-09-22 2017-09-22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KR10197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89A KR101977208B1 (ko) 2017-09-22 2017-09-22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89A KR101977208B1 (ko) 2017-09-22 2017-09-22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49A true KR20190033749A (ko) 2019-04-01
KR101977208B1 KR101977208B1 (ko) 2019-06-18

Family

ID=6610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89A KR101977208B1 (ko) 2017-09-22 2017-09-22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111A1 (ko) 2019-03-25 2020-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45A (ko) * 2000-06-16 2001-12-28 임승영 매뉴얼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매뉴얼 제공 방법
KR20020020438A (ko) * 2000-09-08 2002-03-15 방세현 선택 메뉴를 이용한 외국어 편지작성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35798A (ko) * 2012-07-02 2015-04-0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현지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45A (ko) * 2000-06-16 2001-12-28 임승영 매뉴얼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매뉴얼 제공 방법
KR20020020438A (ko) * 2000-09-08 2002-03-15 방세현 선택 메뉴를 이용한 외국어 편지작성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035798A (ko) * 2012-07-02 2015-04-0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현지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생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eter Weverka, PowerPoint 2007, Wiley Publishing, Inc. (20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7111A1 (ko) 2019-03-25 2020-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208B1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0842B2 (en) Font preloading
CN109690481B (zh) 用于动态功能行定制的方法和设备
US98809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control of zoom adjustments in an electronic publication
CN101243439A (zh) 用于用户界面的基于标记的可扩展性
CN103425485A (zh) 面向普通用户应用的界面编辑、运行系统及方法
KR100981653B1 (ko)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US20160103608A1 (en) Virtual keyboard of a computing device to create a rich output and associated methods
US20110041177A1 (en) Context-sensitive input user interface
CN104915186B (zh) 一种制作页面的方法和装置
JP6714286B1 (ja) コンテンツ作成支援システム
KR101977208B1 (ko)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US201403311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ssage in portable terminal
CN109933766B (zh) 文件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King -Screenreaders, Magnifiers, and Other Ways of Using Computers
KR20210078466A (ko) 단말기에서 그림을 학습하는 방법
KR101999323B1 (ko)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JP2006331356A (ja) 業務処理プログラム、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業務処理システム
CN112784542B (zh) 一种文档编辑方法及装置
JP6747741B1 (ja) コンテンツ作成支援システム
KR102487810B1 (ko) 저시력자를 위한 웹문서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US20110078561A1 (en) Method and system of formatting text in an electronic document to increase reading speed
KR102014216B1 (ko) 데이터 표시 및 입력 방법과 장치
Haidenko English for Information Technology: Basic Computer Software
Jog et al. Smart Keyboards: Need of Customization and Personalization of Mobile Keyboards
JP2015210694A (ja) オーサリング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