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02A -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02A
KR20190033702A KR1020170122178A KR20170122178A KR20190033702A KR 20190033702 A KR20190033702 A KR 20190033702A KR 1020170122178 A KR1020170122178 A KR 1020170122178A KR 20170122178 A KR20170122178 A KR 20170122178A KR 20190033702 A KR20190033702 A KR 2019003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rotective case
portable terminal
design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백진
정백연
Original Assignee
정백진
정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백진, 정백연 filed Critical 정백진
Priority to KR102017012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3702A/ko
Publication of KR2019003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이 위치하는 반대 면에 제1 디자인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는 바디; 및 상기 제1 디자인에 대응하는 제2 디자인으로 상기 바디에 착탈되는 액세서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PROTECTING CAS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출력부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보관하면서도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핸드폰, 테블릿 피씨 등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점차 그 사용시간도 늘어나고 있다.
이때, 사용시간이 늘어난다는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손상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손상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는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등장하였다.
그런데, 오늘날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는 본연의 목적대로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넘어서서, 휴대용 단말기 외에 다른 물품(예를 들면, 교통카드, 명함 등)을 보관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나만의 휴대용 단말기임을 강조할 수 있는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이어폰의 출력부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보관하는데 사용되면,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자체의 부피 또한 커지므로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이어폰의 출력부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보관하는 기능을 넣는 경우,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져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어폰의 출력부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보관하면서도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이 위치하는 반대 면에 제1 디자인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는 바디; 및 상기 제1 디자인에 대응하는 제2 디자인으로 상기 바디에 착탈되는 액세서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디자인은 동물의 얼굴(face)에 해당하는 디자인이고, 상기 제2 디자인은 상기 동물의 귀(ears)에 해당하는 디자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자인은 식물의 줄기(stem)에 해당하는 디자인이고, 상기 제2 디자인은 상기 식물의 줄기에 달려있는 잎(leaf) 또는 꽃(flower)에 해당하는 디자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바디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바디에 마련된 끼움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용부가 수용하는 물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폰의 출력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유출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유입구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유출입될 때에는 상기 유입구의 크기가 커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를 감싸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수용된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서 흔들리거나 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를 자력으로 부착하는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 중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유출입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홀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는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수용된 상기 이어폰 출력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이어폰 출력부와 접하는 탄성부재를 내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는, 상기 이어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음향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는 바디와 물품을 보관하는 액세서리를 구분하고 이들의 디자인을 상호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출력부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보관하면서도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들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액세서리가 바디의 일측에 착탈되는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액세서리에 포함된 수용부에 이어폰의 출력부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액세서리에 포함된 수용부에 이어폰의 출력부가 수용되는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가 사용되는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배면도이며,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들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액세서리가 바디의 일측에 착탈되는 다양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액세서리에 포함된 수용부에 이어폰의 출력부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액세서리에 포함된 수용부에 이어폰의 출력부가 수용되는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는 바디(100) 및 액세서리(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바디(100)는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는 구성요소이고, 액세서리(200)는 바디(100)에 착탈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바디(100)는 휴대용 단말기를 감쌀 수 있다면 그 형상이나 재질 등에 제한이 없으며,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더 구비되어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는 사각형의 휴대용 단말기를 감쌀 수 있도로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가 사용되는 일례를 설명할 때 참조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는 이어폰의 출력부와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시키는 전선이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줄감개(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액세서리(200) 역시 바디(100)에 착탈될 수 있다면 그 형상이나 재질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더 구비되어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바디(100)와 액세서리(200)의 디자인이 상호 대응하도록 한다면, 액세서리(200)의 형상이나 재질, 추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는 바디(100)의 형상이나 재질, 추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가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디(100)와 액세서리(200)는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이 위치하는 바디(10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디자인과, 액세서리(200)의 일면에 형성된 제2 디자인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디자인 및 제2 디자인에서 디자인이 갖는 의미는 형태, 모양, 색체, 또는 이들의 결합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서로 대응한다는 의미는 제1 디자인으로부터 제2 디자인이 연장되거나 또는 제1 디자인과 제2 디자인이 상호 관련성이 높은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디(100)에 포함된 제1 디자인과 액세서리(200)에 포함된 제2 디자인이 서로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세서리(200)에 이어폰의 출력부(E)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이 수용되더라도 심미감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포함되는 제1 디자인이 동물의 얼굴(face)에 해당하는 디자인이라면, 액세서리(200)에 포함되는 제2 디자인은 동물의 귀(ears)에 해당하는 디자인일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자인을 곰의 얼굴을 모티브로 한 것이라면 제2 디자인은 곰의 귀를 모티브로 한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자인을 토끼의 얼굴을 모티브로 한 것이라면 제2 디자인은 토끼의 귀를 모티브로 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어느 동물의 얼굴과 귀를 모티브로 하느냐는 제2 디자인과 연관된 액세서리(200)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나 형상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200)에 수용되는 이어폰의 출력부(E)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라면, 토끼의 얼굴과 귀를 모티브로 하여 제1 디자인과 제2 디자인을 정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포함되는 제1 디자인이 식물의 줄기(stem)에 해당하는 디자인이라면, 액세서리(200)에 포함되는 제2 디자인은 식물의 잎(leaf) 또는 꽃(flower)에 해당하는 디자인일 수 있다.
이 역시 어떠한 식물의 줄기와 잎 또는 꽃을 모티브로 하느냐는 제2 디자인과 연관된 액세서리(200)에 수용되는 물품의 크기나 형상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을 것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물과 식물로부터 모티브를 정하여 제1 디자인과 제2 디자인을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것 이외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패턴을 이용하여 제1 디자인과 제2 디자인의 연속성을 가져가도록 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정 패턴이라는 용어는 선이 상호 이어지는 형태 또는 문양이 반복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구름과 비와 같이 상호 연계성이 있는 형태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이렇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자인과 제2 디자인이 서로 대응되도록 한다면, 모티브에 영향을 받아서 액세서리(200)의 외형을 결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즉, 액세서리(200)의 외형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이든 아니면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통형이든과 무관하게 일정한 패턴을 이용하여 제1 디자인과 제2 디자인이 서로 연속성만 가져갈 수 있다면 서로 대응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 바디(100)에 포함된 제1 디자인과 액세서리(200)에 포함된 제2 디자인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100)에 포함된 제1 디자인과 액세서리(200)에 포함된 제2 디자인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였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세서리(200)에 이어폰의 출력부(E)와 같이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이 수용되더라도 심미감을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액세서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0)에 착탈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액세서리(200)는 휴대용 단말기 전체를 감싸는 바디(100)의 일측에 착탈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바디(100)의 일 부분으로서 바디(100)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감싸서 바디(100)에 장착될 때 바디(100)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의 일 부분으로서 바디(100)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감싸는 경우에는, 액세서리(200)와 접하는 바디(100)의 일측에 마려된 장착홈(140)에 액세서리(200)에 구비된 장착돌기(240)가 끼워졌다가 빠지는 방식으로,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홈(140)에 장착돌기(240)가 끼워진 이후에는, 사용자가 원할 때 소정의 힘을 가해야만 장착돌기(240)가 장착홈(140)에서 빠지도록 해야 될 것이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에는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장착된 후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이와 같이 소정의 힘이 가해져야만 장착돌기(240)가 장착홈(140)에 빠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거나, 장착홈(140)과 장착돌기(240) 각각에 대하여 단부가 일정 각도 절곡되어 절곡된 단부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장착홈(140)과 장착돌기(240)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바뀔 수 있으며, 즉 바디(100)의 일측에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액세서리(200)에 장착홈이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홈(140)과 장착돌기(240)를 한 세트라고 할 때 액세서리(200)가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감싸는 부분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세트가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장착홈(140)과 장착돌기(240)를 통해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되도록 하는 방식은 후술하는 다른 방식 대비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지만,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의 일 부분으로 사용되는 만큼 바디(100)만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지 못하여 바디(100)를 액세서리(200)와 별도로 판매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200)에 구비된 돌기(210)가 바디(100)에 마려된 끼움홈(110)에 끼워졌다가 빠지는 방식으로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210)가 끼움홈(110)에 끼워졌다가 빠지기만 하면, 돌기(210)의 형상과 크기에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 어떻게 끼워지고 빠지는지에 대하여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음도 당연하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8 내지 도 10를 각각 참고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일례에서는, 액세서리(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210)가 끼움홈(110)에 끼워졌다가 빠지면서,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된다.
이때, 끼움홈(110)은 돌기(210)가 돌출된 형상, 즉 원통형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데, 이는 마이크 단자 또는 이어폰 단자와 같이 바디(100)가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지 않는 일 부분과도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마이크 단자 또는 이어폰 단자를 끼움홈(110)으로 대체하여 돌기(210)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끼움홈(110)에 끼워진 돌기(210)가 쉽게 이탈되어 바디(100)에 장착된 액세서리(200)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 쉽게 바디(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돌기(210)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턱(21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턱(212)은 돌기(210)와 동일 재질로 단순하게 경사지게 단차져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보다 마찰력이 큰 이종 재질로 돌기(210)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일례에서는, 액세서리(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로부터 연장된 형태의 외형을 갖는 돌기(210)가 끼움홈(110)에 끼워졌다가 빠지면서,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200) 몸체가 원반형으로 형성되면, 액세서리(200) 몸체의 절반은 후술할 수용부(230)를 구비하여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장착될 때 외부로 드러나고, 액세서리(200) 몸체의 나머지 절반은 돌기(210)가 되어 끼움홈(110)에 끼워져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장착될 때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이때, 돌기(210)가 되는 액세서리(200) 몸체의 나머지 절반의 표면은, 액세서리(200) 몸체의 나머지 절반이 끼움홈(110)에 끼워진 이후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 쉽게 끼움홈(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리콘과 같이 마찰이 큰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일례에서는, 도 8과 유사하게 액세서리(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몸체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210)가 끼움홈(110)에 끼워졌다가 빠지면서,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된다.
그러나, 앞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일례들과 달리, 도 10에 도시된 일례는, 후술할 수용부(230)가 둘 이상 구비되는 경우, 둘 이상의 수용부(230)를 하나로 묶어서 바디(100)의 일면 대부분을 차지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돌기(210)가 끼움홈(110)에 끼워졌다가 빠지면서,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된다.
이때, 플레이트 형태의 돌기(210)가 마련된다고 하여 반드시 둘 이상의 수용부(230)가 묶여질 필요는 없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도 물론이다.
또한, 플레이트 형태의 돌기(210)에도 도 8에 도시된 일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탈방지턱(214)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여기서의 이탈방지턱(214)의 역할 또한 끼움홈(110)에 끼워진 돌기(210)가 쉽게 이탈되어 바디(100)에 장착된 액세서리(200)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 쉽게 바디(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임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돌기(210)가 끼움홈(110)에 끼워졌다가 빠지는 방식은 바디(100)만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으므로 액세서리(200)는 옵션으로 판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장착홈(140)과 장착돌기(240)를 통해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되도록 하는 방식 대비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견고하게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 외에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20)가 접착면(120)에 접착되었다가 떨어지는 방식으로도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착탈될 수 있다.
이때, 접착면(120) 또는 접착부(220) 둘 중 어느 하나에만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면 되는데, 여기서 접착제는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접착제가 아니라, 다회성으로 사용되는 접착제여야, 보다 사용자의 의사에 부합하여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반복적으로 착탈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접착부(220)가 접착면(120)에 접착되었다가 떨어지는 방식은 장착홈(140), 장착돌기(240), 끼움홈(110), 돌기(210) 등을 바디(100) 또는 액세서리(200)를 가공하여 만들 필요가 없어서 생산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앞서 설명한 나머지 방식 대비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견고하게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액세서리(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다른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다른 물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지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수용부(230)에 수용되는 물품을 이어폰의 출력부(E)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용부(230)에 수용되는 물품이 이어폰의 출력부(E)인 경우, 수용부(230)는 이어폰의 출력부(E)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32)를 구비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어폰의 출력부(E)의 크기는 이어폰을 제조하는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유입구(232)의 크기는 이어폰의 출력부(E)의 크기보다 작게 하여 두고, 필요시 유입구(232)의 크기를 크게 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이어폰의 출력부(E)가 수용부(230)에 수용되어 있거나 또는 수용부(230)에 수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유입구(232)는 이어폰의 출력부(E)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어폰의 출력부(E)가 유출입될 때에는 유입구(232)는 일시적으로 커지도록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232)의 크기가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30)는 이어폰의 출력부(E)를 감싸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구(232)가 형성되는 수용부(230)의 내주면을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해두면, 이어폰의 출력부(E)가 유출입될 때 해당 플라스틱이 압축되면서 유입구(232)의 크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수용부(230)가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압축되는 정도에도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수용부(230)의 내주면에는 이어폰의 출력부(E)가 유출입되는 방향이 뚫려져 있는 방향으로 하는 슬릿(234)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이어폰의 출력부(E)가 유출입될 때 유입구(232)가 일시적으로 커지도록 하기 위해 수용부(230)를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 외에도, 수용부(230)를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하게 되면, 수용부(230)에 수용된 이어폰의 출력부(E)가 수용부(230) 내에서 흔들리거나 수용부(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용부(230)를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수용부(230)에 수용된 이어폰의 출력부(E)가 수용부(230) 내에서 흔들리거나 수용부(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수용부(230)는 자석(236)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수용부(230)에 수용된 이어폰의 출력부(E)를 자석(236)이 갖는 자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수용부(230)에 수용된 이어폰의 출력부(E)가 수용부(230) 내에서 흔들리거나 수용부(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자석(236)은 이어폰의 출력부(E)를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면 그 종류나 형상에 제한이 없음은 당연하다. 다만, 자석(236)이 갖는 자력의 세기는 이어폰의 출력부(E)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변조시키지 않는 범위여야 할 것이며, 자석(236)이 갖는 형상은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수용부(230)가 압축되는 것은 방해해서는 안 되는 범위여야 할 것이다.
일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236)은 소리가 출력되는 이어폰의 출력부(E)의 중앙부로부터 최대한 멀러 떨어져 있고,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수용부(230) 내부가 아닌, 액세서리(200)를 구성하는 몸체(도면번호 미부여)와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수용부 사이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230)는 이어폰의 출력부(E) 중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232)와 연통되는 유입홀(238)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230)에 유입홀(238)이 구비되는 것은 이어폰의 출력부(E)가 수용부(230)에 수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어폰의 출력부(E)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수용부(230) 밖으로 더 잘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수용부(230)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구비하고 있는데, 그 밖에도 언급되지 않지만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용부(230)에 이어폰의 출력부(E)가 수용되고 유입홀(238)을 통해 이어폰의 출력부(E)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나올 때 소리의 크기를 더 크게 확장시켜주는 구성도 더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수용부(230)는 도 13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여 변형된 제1 수용부(25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변형된 제1 수용부(250)는 전술한 이탈방지턱(212)를 구비하는 돌기(210)가 하측에 마련된 제1 케이스(252) 내부에 이어폰의 출력부(E)가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케이스(252) 내부에 수용된 이어폰의 출력부(E)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케이스(252)의 일측에는 제1 힌지(256)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리드(254)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1 리드(254) 회전되면서 제1 케이스(252)의 개구된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다만, 제1 리드(254)가 제1 케이스(252)의 개구된 부분을 덮을 때, 이어폰의 출력부(E)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전선 때문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케이스(252)의 다른 일측에는 통과홀(258)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254)에 의해 제1 케이스(252)의 개구된 부분이 덮일 경우 이어폰의 출력부(E)에서 나오는 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 케이스(252)의 일면에는 음향홀(259)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230)를 제1 수용부(250)로 변형하게 되면, 이어폰의 출력부(E)는 보다 청결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미관상으로도 더 보기 좋을 수 있을 것이다.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여 변형된 제2 수용부(26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변형된 제2 수용부(260)는 전술한 이탈방지턱(212)를 구비하는 돌기(210)가 하측에 마련된 제2 케이스(262) 내부에 이어폰의 출력부(E)가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케이스(262) 내부에 수용된 이어폰의 출력부(E)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2 케이스(262)의 일측에는 제2 힌지(266)를 통해 연결되는 제2 리드(264)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1 리드(264) 회전되면서 제1 케이스(262)의 개구된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앞서 변형된 제1 수용부(250)와 같이, 이어폰의 출력부(E)가 유선으로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2 케이스(262) 역시 통과홀(258)과 유사한 구성이 존재하여야 함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더욱 다양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하여, 제2 케이스(262)에는 이어폰의 출력부(E)가 무선으로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이어폰 출력부(E)가 제2 케이스(262) 내부에서 흔들리면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펀지와 같은 탄성부재(268)가 제2 케이스(262)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68)에 대하여 변형된 제1 수용부(250)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제1 수용부(250)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수용부(250)에서 언급하였던 음향홀(259)에 대하여 제2 수용부(260)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 역시 제2 수용부(260)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1 수용부(250)와 제2 수용부(260)에 세부적인 구성들은 상호 혼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가 사용되는 일례에 대하여 상게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가 사용되는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바디(100)를 구매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이용할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소리를 듣기도 할 것이다.
그런데, 이어폰을 착용하지 않거나, 착용하기 싫을 때에는 이어폰을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게 될 것인데, 이런 경우 이어폰을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주머니나 가방을 이용하지 않고, 바디(100)가 포함하는 제1 디자인과 대응되는 제2 디자인을 포함하고 있는 액세서리(2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액세서리(200)는 바디(100)와 별도로 구매하여 바디(100)에 장착할 수 있는데, 액세서리(200)가 바디(100)에 장착되는 방식은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액세서리(200)를 바디(100)에 장착한 후에 이어폰의 출력부(E)를 액세서리(200)에 포함된 수용부(230)에 수용시키면 도 15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이어폰이 유선 이어폰인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을 휴대용 단말기에 계속하여 연결하여 둔 채 줄감개(130)에 전선을 감아서 더욱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이어폰이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이어폰인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줄감개(130)가 없는 바디(100)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이어폰의 출력부(E)를 액세서리(200)에 포함된 수용부(230)에 수용시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홀(238)을 통해 소리가 수용부(230) 밖으로 나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들과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바디
110 : 끼움홈
120 : 접착면
130 : 줄감개
140 : 장착홈
200 : 액세서리
210 : 돌기
212, 214 : 이탈방지턱
220 : 접착부
230 : 수용부
232 : 유입구
234 : 슬릿
236 : 자석
238 : 유입홀
240 : 장착돌기
250 : 변형된 제1 수용부
252 : 제1 케이스
254 : 제1 리드
256 : 제1 힌지
258 : 통과홀
259 : 음향홀
260 : 변형된 제2 수용부
262 : 제2 케이스
264 : 제2 리드
266 : 제2 힌지
268 : 탄성부재

Claims (15)

  1.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이 위치하는 반대 면에 제1 디자인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는 바디; 및
    상기 제1 디자인에 대응하는 제2 디자인으로 상기 바디에 착탈되는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자인은 동물의 얼굴(face)에 해당하는 디자인이고, 상기 제2 디자인은 상기 동물의 귀(ears)에 해당하는 디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자인은 식물의 줄기(stem)에 해당하는 디자인이고, 상기 제2 디자인은 상기 식물의 줄기에 달려있는 잎(leaf) 또는 꽃(flower)에 해당하는 디자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바디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에 의해 감싸지지 않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바디에 마련된 끼움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폰의 출력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유출입되는 유입구를 구비하되,
    상기 유입구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유출입될 때에는 상기 유입구의 크기가 커지도록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를 감싸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된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상기 수용부 내에서 흔들리거나 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를 자력으로 부착하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 중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유출입되는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이어폰의 출력부가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는 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수용된 상기 이어폰 출력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이어폰 출력부와 접하는 탄성부재를 내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이어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통과될 수 있도록 음향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20170122178A 2017-09-22 2017-09-22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190033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78A KR20190033702A (ko) 2017-09-22 2017-09-22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78A KR20190033702A (ko) 2017-09-22 2017-09-22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02A true KR20190033702A (ko) 2019-04-01

Family

ID=6610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178A KR20190033702A (ko) 2017-09-22 2017-09-22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37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849B2 (en) Cord management system
US20080144872A1 (en) Headgear and integrated music player
US10939194B2 (en) Deco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dule thereof
US20110252607A1 (en) Cord Management System
US20070256946A1 (en) Carrying case for headphones
US20160197636A1 (en) Protective cover and retractable lanyard
WO2011129847A1 (en) Cord management system
KR10087954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모듈
KR20190033702A (ko)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9426558B2 (en) Earphone with chassis enclosure
US20160037250A1 (en) Earphone Storage Device
KR20150004606U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 및 수납 케이스
KR200486281Y1 (ko) 스마트폰 포켓케이스
KR200468689Y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3191Y1 (ko) 휴대 단말기 내장용 이어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989047B1 (ko) 무선 이어폰용 마그네틱 펜던트 및 이를 포함하는 목걸이
US20230396911A1 (en) Tethering strap for wireless earphones
KR200426046Y1 (ko) 이어폰 고정이 가능한 엠피쓰리 플레이어 케이스
JP3157884U (ja) 耳掛け
KR20140134762A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914091B1 (ko) 상의에 고정되는 이어폰 고정 기구
JPS6223299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472993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40004706U (ko) 이어캡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298306Y1 (ko) 귀걸이 타입 무선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